KR20230109376A - 교량 선배수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선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376A
KR20230109376A KR1020220005259A KR20220005259A KR20230109376A KR 20230109376 A KR20230109376 A KR 20230109376A KR 1020220005259 A KR1020220005259 A KR 1020220005259A KR 20220005259 A KR20220005259 A KR 20220005259A KR 20230109376 A KR20230109376 A KR 20230109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drain pipe
plate
drain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9204B1 (ko
Inventor
진현오
Original Assignee
진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현오 filed Critical 진현오
Priority to KR102022000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204B1/ko
Publication of KR2023010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1Gully gratings hinged to the body of the gu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교량 바닥판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각각 상기 교량 바닥판의 빗물을 배수시키는 횡배수관들; 상기 교량 바닥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량 바닥판의 옆에 위치하여 상기 횡배수관들에 연결되며, 상기 횡배수관들을 따라 배수되는 빗물을 상기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배수시키는 종배수관; 및 상기 종배수관을 횡배수관에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종배수관은 상기 교량 바닥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위치하는 바닥배수판과, 상기 바닥배수판의 폭방향 양쪽단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양측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배수판은 빗물 유량이 적은 경우 유속이 빠르도록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유로들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 바닥판의 빗물 등의 노면수를 막힘 없이 효율적으로 배수시킬 뿐만 아니라 배수관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고, 교량의 배수시설에 대한 시공 정밀도를 높인다.

Description

교량 선배수장치{BRIDGE DRAINAGE APPARATUS}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교량 바닥판의 빗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교량에 배수시설이 구비된다. 배수시설은 교량 바닥판의 폭방향 양쪽에 길이 방향으로 집수정이 구비되고 그 집수정에 이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배관들이 연결되어 집수정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배관들을 통해 지상의 배수시설로 배수시킨다. 이와 같은 배수시설은 교량 바닥판의 상면에 쌓이는 흙, 모래, 낙엽 등의 이물질이 빗물과 함께 쓸려 배관 내부에 점점 쌓이고 응고되면서 배관의 유로가 점점 좁아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교량 배수시설의 배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어 교량의 배수시설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될 경우 교량 바닥판의 침수로 교통사고가 유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시설의 배수관의 하중 증가로 배수시설이 파손되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 특히, 기후 변화로 국지성 집중호우 등 강우패턴이 바뀜에 따라 순간적인 교량침수 등이 발생하고 있어 교통사고와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5641호(2013.04.16. 공고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교량의 바닥판 옆으로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부가 구비되어 배수부의 안내관을 통해 빗물이 지상의 배수시설로 배수되는 교량 배수시설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교량 바닥판의 옆에 빗물이 배수되는 안내관의 상측이 개구(오픈)되어 있어 안내관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게 될 경우 쉽게 제거하여 안내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안내관의 상측이 개구되므로 구조적 강도가 약하여 빗물의 양이 많아지거나 안내관 내부를 자주 청소하지 않을 경우 안내관의 처짐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 바닥판의 빗물 등의 노면수를 막힘 없이 효율적으로 배수시킬 뿐만 아니라 배수관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는 교량 선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량의 배수시설에 대한 시공 정밀도를 높이는 교량 선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교량 바닥판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각각 상기 교량 바닥판의 빗물을 배수시키는 횡배수관들; 상기 교량 바닥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량 바닥판의 옆에 위치하여 상기 횡배수관들에 연결되며, 상기 횡배수관들을 따라 배수되는 빗물을 상기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배수시키는 종배수관; 및 상기 종배수관을 횡배수관에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종배수관은 상기 교량 바닥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위치하는 바닥배수판과, 상기 바닥배수판의 폭방향 양쪽단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양측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배수판은 빗물 유량이 적은 경우 유속이 빠르도록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유로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선배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횡배수관은 폭과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 한쪽에 관통된 배출구가 구비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폭방향 양쪽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장측면판들과,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단측면판들과, 상기 바닥판과 장측면판들과 단측면판들과 함께 유로를 형성하도록 장측면판들과 단측면판들의 상단을 복개하며 상기 배출구와 반대편쪽에 유입구가 구비되어 교량 바닥판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면판과, 상기 유입구 내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수직거름판들과, 상기 장측면판들에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구비되는 두 개의 결합판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배수관의 바닥판 유로의 횡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 또는 삼각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종배수관의 아래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횡배수관의 폭방향 한쪽에 체결유닛에 의해 체결되는 제1 연결밴드와, 상기 종배수관의 아래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횡배수관의 폭방향 다른 한쪽에 체결유닛에 의해 체결되는 제2 연결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배수관의 상단부에 종배수관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종배수관 내부로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종배수관의 상측을 복개하는 복수 개의 개폐커버들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빗물과 함께 교량 바닥판 상면의 먼지, 모래 등의 이물질들이 횡배수관을 통해 종배수관으로 유입되어 종배수관 내부에 쌓이게 될 경우 종배수관의 상측 개구를 통해 종배수관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쉽게 청소할 수 있게 되어 종배수관이 이물질로 인하여 막혀 빗물이 배수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종배수관은 교량 바닥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위치하는 바닥배수판과, 그 바닥배수판의 폭방향 양쪽단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양측면판을 포함하고, 바닥배수판은 다수 개의 유로들이 구비되므로 종배수관에 적은 양의 빗물이 흐를 경우에도 유속이 빠르게 흐르게 되어 종배수관의 바닥배수판에 쌓인 이물질을 종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고 아울러 종배수관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켜 종배수관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횡배수관이 바닥판, 장측면판들, 단측면판들, 상면판을 포함하고, 상면판이 바닥판과 장측면판들과 단측면판들과 함께 빗물 통로를 형성하도록 장측면판들과 단측면판들의 상단을 복개하며 배출구와 반대편쪽에 유입구가 구비되어 교량 바닥판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교량 바닥판을 시공시 교량 철근 구조물에 횡배수관의 설치 작업이 쉽고 정밀 시공이 가능하며 아울러 교량 바닥판의 시공이 정밀하고 수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배수관에 개폐커버가 구비되는 경우 종배수관 내부로 낙엽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교량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교량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횡배수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종배수관의 바닥배수판 유로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유닛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종배수관에 개폐커버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개폐커버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의 일실시예는, 횡배수관(10)들, 종배수관(20), 연결유닛(30)을 포함한다.
횡배수관(10)들은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교량 바닥판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각각 교량 바닥판의 빗물을 배수시킨다.
횡배수관(10)의 일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배수관(10)은 폭과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 한쪽에 관통된 배출구(11)가 구비된 바닥판(12)과, 그 바닥판(12)의 폭방향 양쪽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장측면판(13)들과, 바닥판(12)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단측면판(14)들과, 바닥판(12)과 장측면판(13)들과 단측면판(14)들과 함께 통로를 형성하도록 장측면판(13)들과 단측면판(14)들의 상단을 복개하되, 배출구(11)와 반대편에 유입구(15)가 형성되게 복개되는 상면판(16)을 포함한다.
바닥판(12)은 유입구(15)쪽 부분에 상면판과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1 경사판부(1)와, 그 제1 경사판부(1)에 이어 제1 경사판부(1)보다 작은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제2 경사판부(2)와, 그 제2 경사판부(2)에 이어 상면판(16)과 수평이며 내부에 배출구(11)가 구비되는 수평판부(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구(11)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판(12)의 하면에 배출구(11)로 배출되는 빗물을 수직 아래 방향으로 유도하는 빗물낙하가이드판(17)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낙하가이드판(17)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빗물낙하가이드판(17)은 배출구(11)의 한쪽 옆에 위치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다. 빗물낙하가이드판(17)은 종배수관(20)이 위치하는 쪽의 단측면판(14)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빗물낙하가이드판(17)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두 개의 빗물낙하가이드판(17)은 서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면되게 나란하게 위치한다.
장측면판(13)들은 서로 같은 형상과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장측면판(13)들에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두 개의 결합판(18)들이 구비된다. 즉, 한쪽의 장측면판(13) 외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결합판(18)들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다른 한쪽의 장측면판(13) 외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결합판(18)들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두 개의 결합판(18)들은 각각 내부에 결합구멍이 구비된 사각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두 개의 결합판(18)들은 배출구(11)의 양쪽에 위치한다.
단측면판(14)들 중 유입구(15)측에 위치하는 단측면판(14)이 배출구(11)측에 위치하는 단측면판(14)의 크기보다 작다.
상면판(16)은 균일한 폭과 길이를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면판(16)의 한쪽에 구비되는 유입구(15) 내부에 낙엽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거름판(19)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거름판(19)들은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수직거름판(19)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유입구(15)의 내면에 결합된다.
횡배수관(10)은 유입구(15)가 교량의 바닥판(B)쪽에 위치하고 배출구(11)가 교량 바닥판(B)의 측면 밖으로 위치하도록 교량 바닥판(B)에 설치되되, 상면판(16)이 교량 바닥판(B)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유입구(15)는 상측으로 향하고 배출구(11)는 하측으로 향한다. 횡배수관(10)은 설치시 교량 바닥판(B)을 시공하기 위하여 바닥판 철근을 배근한 상태에서 횡배수관(10)을 배근된 철근구조물에 설치하되, 횡배수관(10)의 상면판(16)이 교량 바닥판(B)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교량 바닥판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 바닥판(B)과 일체로 결합시킨다. 양생된 교량 바닥판(B)의 가장자리에 보호벽을 설치하며 그 방호벽의 하면 아래에 횡배수관(10)의 상면 일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방호벽의 시공이 수월하게 된다.
종배수관(20)은 교량 바닥판(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량 바닥판(B)의 옆에 위치하여 횡배수관(10)들에 연결되며, 횡배수관(10)들을 따라 배수되는 빗물을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배수시킨다.
종배수관(20)의 일예로, 종배수관(20)은 교량 바닥판(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위치하는 바닥배수판(21)과, 그 바닥배수판(21)의 폭방향 양쪽단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양측면판(22)을 포함하며, 바닥배수판(21)은 빗물 유량이 적은 경우 유속이 빠르도록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다수 개의 유로(23)들이 구비된다.
바닥배수판(21)의 다수 개의 유로(23)들은 바닥배수판(21)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종배수관(20)의 바닥배수판 유로(23)의 횡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일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배수관(20)의 바닥배수판 유로(23)의 횡단면 형상은 삼각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다른 일예로, 종배수관(20)의 바닥배수판 유로(23)의 횡단면 형상은 역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배수관(20)의 바닥배수판 유로(23)의 횡단면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종배수관(20)의 바닥배수판(21)이 주름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유로(23)들을 포함하게 되어 빗물 유량이 적은 경우 유속을 빠르게 할 뿐만 아니라 종배수관(20)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켜 종배수관(20)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연결유닛(30)은 종배수관(20)을 횡배수관(10)에 연결한다. 종배수관(20)은 교량 바닥판(B)의 측면 옆에 교량 바닥판(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되, 교량 바닥판(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횡배수관(10)들의 아래에 위치하며, 연결유닛(30)에 의해 횡배수관(10)에 연결된다. 이때, 횡배수관(10)들의 각 배출구(11)는 종배수관(20)의 상측 개구 내에 위치한다.
연결유닛(30)의 일예로, 도 2,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유닛(30)은 종배수관(20)의 아래 부분을 감싸면서 횡배수관(10)의 폭방향 한쪽에 체결유닛(31)에 의해 체결되는 제1 연결밴드(32)와, 종배수관(20)의 아래 부분을 감싸면서 횡배수관(10)의 폭방향 다른 한쪽에 체결유닛(33)에 의해 체결되는 제2 연결밴드(34)를 포함한다. 제1 연결밴드(32)의 한쪽 단부는 횡배수관(10)의 한쪽 장측면판(13)에 구비된 한 개의 결합판(18)에 체결유닛(31)인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고 제1 연결밴드(32)의 다른 한쪽 단부는 횡배수관(10)의 한쪽 장측면판(13)에 구비된 다른 한 개의 결합판(18)에 체결유닛(31)인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된다. 제2 연결밴드(34)의 한쪽 단부는 횡배수관(10)의 다른 한쪽 장측면판(13)에 구비된 한 개의 결합판(18)에 체결유닛(33)인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고, 제2 연결밴드(34)의 다른 한쪽 단부는 횡배수관(10)의 다른 한쪽 장측면판(13)에 구비된 다른 한 개의 결합판(18)에 체결유닛(33)인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된다.
종배수관(20)의 상단부에 종배수관(2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종배수관(20) 내부로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종배수관(20)의 상측을 복개하는 복수 개의 개폐커버(40)들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개폐커버(40)의 일예로, 개폐커버(40)는 종배수관(20)의 폭과 상응하는 크기의 커버판부(41)와, 그 커버판부(41)의 폭방향 한쪽 단부에 아래로 절곡 연장된 스커트부(42)와, 커버판부(41)의 폭방향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되어 종배수관(20)과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43)와, 커버판부(41)의 상면에 절곡된 바 형태로 구비되는 절곡형 푸싱부(44)를 포함한다. 커버판부(41)는 평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판부(41)의 다른 일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판부(41)는 횡단면이 반원 형상인 곡면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절곡형 푸싱부(44)는 기역자 형상의 막대(바)로 형성되어 한쪽 단부가 커버판부(41)의 상면에 연결된다. 커바판부(41)의 하면에 절곡된 바 형태로 구비되는 절곡형 당김부(4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형 당김부(45)는 기역자 형상의 막대로 형성되어 한쪽 단부가 커버판부(41)의 내측면에 연결된다. 개폐커버(40)의 일측에 개폐커버(40)를 오픈시 개폐커버(40)가 힌지결합부(43)를 축으로 하여 120도 이상 열리지 않도록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힌지결합부(43)가 결합된 종배수관(20)의 일측에 개폐커버(40)를 오픈시 개폐커버(40)가 힌지결합부(43)를 축으로 하여 120도 이상 열리지 않도록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개폐커버(40)는 종배수관(20)을 복개한 상태에서 종배수관(20)의 상측 개구로 낙엽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종배수관(20)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개폐커버(40)를 열어 종배수관(20)의 상측을 오픈시킬 경우 절곡 푸싱부(44)를 밀어 힌지결합부(43)를 힌지축으로 하여 개폐커버(40)를 오픈시키며, 개폐커버(40)를 닫아 종배수관(20)의 상측을 복개할 경우 스커트부(42)를 당기거나 절곡형 당김부(45)를 당겨 개폐커버(40)로 종배수관(20)의 상측을 복개하게 되어 개폐커버(40)의 개폐 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교량의 바닥판(B) 상면으로 빗물이 떨어지면 그 빗물은 교량 바닥판(B) 폭방향 양쪽으로 흐르게 되고 교량 바닥판(B) 폭방향 양쪽으로 흐르는 빗물은 횡배수관(10)들의 각 유입구(15)로 유입된다. 횡배수관(10)의 유입구(15)로 유입되는 빗물은 횡배수관(10)을 통해 흐르면서 배출구(11)를 통해 종배수관(20)으로 낙하하게 된다. 각 횡배수관(10)에서 종배수관(20)으로 낙하하는 빗물은 종배수관(20)을 따라 교량 바닥판(B)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면서 종배수관(2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배수시설을 통해 배수된다.
본 발명은 빗물과 함께 교량 바닥판(B) 상면의 먼지, 모래 등의 이물질들이 횡배수관(10)을 통해 종배수관(20)으로 유입되어 종배수관(20) 내부에 쌓이게 될 경우 종배수관(20)의 상측 개구를 통해 종배수관(20)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쉽게 청소할 수 있게 되어 종배수관(20)이 이물질로 인하여 막혀 빗물이 배수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종배수관(20)은 교량 바닥판(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위치하는 바닥배수판(21)과, 그 바닥배수판(21)의 폭방향 양쪽단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양측면판(22)을 포함하고, 바닥배수판(21)은 다수 개의 유로(23)들이 구비되므로 종배수관(20)에 적은 양의 빗물이 흐를 경우에도 유속이 빠르게 흐르게 되어 종배수관(20)의 바닥배수판(21)에 쌓인 이물질을 종배수관(2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고 아울러 종배수관(20)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켜 종배수관(20)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횡배수관(10)이 바닥판(12), 장측면판(13)들, 단측면판(14)들, 상면판(16)을 포함하고, 상면판(16)이 바닥판(12)과 장측면판(13)들과 단측면판(14)들과 함께 빗물 통로를 형성하도록 장측면판(13)들과 단측면판(14)들의 상단을 복개하며 배출구(11)와 반대편쪽에 유입구(15)가 구비되어 교량 바닥판(B)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교량 바닥판(B)을 시공시 교량 철근 구조물에 횡배수관(10)의 설치 작업이 쉽고 정밀 시공이 가능하며 아울러 교량 바닥판(B)의 시공이 정밀하고 수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배수관(20)에 개폐커버(40)가 구비되는 경우 종배수관(20) 내부로 낙엽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 횡배수관 20; 종배수관
30; 연결유닛

Claims (5)

  1.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교량 바닥판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각각 상기 교량 바닥판의 빗물을 배수시키는 횡배수관들;
    상기 교량 바닥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량 바닥판의 옆에 위치하여 상기 횡배수관들에 연결되며, 상기 횡배수관들을 따라 배수되는 빗물을 상기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배수시키는 종배수관; 및
    상기 종배수관을 횡배수관에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종배수관은 상기 교량 바닥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위치하는 바닥배수판과, 상기 바닥배수판의 폭방향 양쪽단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양측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배수판은 빗물 유량이 적은 경우 유속이 빠르도록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유로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배수관은 폭과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 한쪽에 관통된 배출구가 구비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폭방향 양쪽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장측면판들과, 상기 바닥판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단측면판들과, 상기 바닥판과 장측면판들과 단측면판들과 함께 유로를 형성하도록 장측면판들과 단측면판들의 상단을 복개하며 상기 배출구와 반대편쪽에 유입구가 구비되어 교량 바닥판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면판과, 상기 유입구 내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수직거름판들과, 상기 장측면판들에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구비되는 두 개의 결합판들을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배수관의 바닥판 유로의 횡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 또는 삼각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종배수관의 아래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횡배수관의 폭방향 한쪽에 체결유닛에 의해 체결되는 제1 연결밴드와, 상기 종배수관의 아래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횡배수관의 폭방향 다른 한쪽에 체결유닛에 의해 체결되는 제2 연결밴드를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배수관의 상단부에 종배수관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종배수관 내부로 이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종배수관의 상측을 복개하는 복수 개의 개폐커버들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선배수장치.
KR1020220005259A 2022-01-13 2022-01-13 교량 선배수장치 KR102609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259A KR102609204B1 (ko) 2022-01-13 2022-01-13 교량 선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259A KR102609204B1 (ko) 2022-01-13 2022-01-13 교량 선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376A true KR20230109376A (ko) 2023-07-20
KR102609204B1 KR102609204B1 (ko) 2023-12-01

Family

ID=8742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259A KR102609204B1 (ko) 2022-01-13 2022-01-13 교량 선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2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641B1 (ko) * 2012-11-09 2013-04-16 김원주 이중 집수구조를 갖는 우수배출장치
KR20130092841A (ko) * 2012-02-13 2013-08-21 김진섭 교면 배수구조를 갖는 배수로
KR20140123346A (ko) * 2013-04-12 2014-10-22 주식회사 지오웍스 하상 여과용 집수정의 수밀형 맨홀의 설치 방법
JP2019007285A (ja) * 2017-06-27 2019-01-17 株式会社シラヤマ 排水調整部材
KR102348400B1 (ko) * 2020-09-28 2022-01-07 그린로드(주) 점배수 기능을 겸한 선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841A (ko) * 2012-02-13 2013-08-21 김진섭 교면 배수구조를 갖는 배수로
KR101255641B1 (ko) * 2012-11-09 2013-04-16 김원주 이중 집수구조를 갖는 우수배출장치
KR20140123346A (ko) * 2013-04-12 2014-10-22 주식회사 지오웍스 하상 여과용 집수정의 수밀형 맨홀의 설치 방법
JP2019007285A (ja) * 2017-06-27 2019-01-17 株式会社シラヤマ 排水調整部材
KR102348400B1 (ko) * 2020-09-28 2022-01-07 그린로드(주) 점배수 기능을 겸한 선배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204B1 (ko)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895B1 (ko) 교량의 교면 배수시스템
RU14775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и удаления влаги с проезжей части мостов и эстакад инженерных сооружений
US4986693A (en) Roadway water drainage installation
KR101776805B1 (ko)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KR101963429B1 (ko) 측구 구조체
US8734053B1 (en) Articulated baffle assembly
KR102027469B1 (ko) 교량 선 배수 시스템
KR101013008B1 (ko) 교량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63000B1 (ko) 이중관에 조립된 유출관을 갖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101255641B1 (ko) 이중 집수구조를 갖는 우수배출장치
KR101002440B1 (ko) 교량용 빗물 배수장치의 집수구
KR102348396B1 (ko)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KR200409378Y1 (ko)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KR20120126398A (ko) 교량용 배수장치
KR20060008252A (ko)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KR102609204B1 (ko) 교량 선배수장치
US6805517B2 (en) Gutterless drainage system
KR20110020020A (ko) 세련된 외관을 갖는 빔 지지 교량의 배수구조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1535668B1 (ko)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KR102526838B1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101263001B1 (ko) 배수 능력이 증대되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200151725Y1 (ko) 집수구
KR100650930B1 (ko) 배수관클리너
CN209323356U (zh) 一种桥梁排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