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125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125A
KR20230109125A KR1020230088449A KR20230088449A KR20230109125A KR 20230109125 A KR20230109125 A KR 20230109125A KR 1020230088449 A KR1020230088449 A KR 1020230088449A KR 20230088449 A KR20230088449 A KR 20230088449A KR 20230109125 A KR20230109125 A KR 20230109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layer
light emitting
area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291B1 (ko
Inventor
이현범
주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8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291B1/ko
Publication of KR20230109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화소 회로, 상기 화소 회로 위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와 격벽, 상기 화소 회로, 유기 발광 소자 및 격벽을 덮는 봉지층, 및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층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과 접하는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비표시 영역과 이격되는 중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 필터는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제3 컬러 필터 및 상기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및 제3 컬러 필터가 중첩하는 컬러 필터 중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는 상기 격벽이 위치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컬러 필터의 두께는 상기 중심 영역보다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더 크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 소자는 두 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하나의 전극인 캐소드(cathode)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인 애노드(anode)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최근에는 가볍고 충격에 강하며 변형이 쉬운 유연한 성질을 갖는 기판을 사용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TV와 컴퓨터 모니터뿐만 아니라 휴대 기기나 웨어러블(wearable) 장치 등에 사용 가능한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이외에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터치 감지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기능은 사용자가 화면 위에 손가락이나 터치 펜(touch pen) 등을 터치하면 표시 장치가 화면에 가한 압력, 전하, 빛 등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물체가 화면에 터치되었는지 여부 및 그 터치 위치 등의 터치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이러한 터치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실시예들은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고, 광 특성이 모든 영역에서 균일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화소 회로, 상기 화소 회로 위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와 격벽, 상기 화소 회로, 유기 발광 소자 및 격벽을 덮는 봉지층, 및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층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과 접하는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비표시 영역과 이격되는 중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 필터는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제3 컬러 필터 및 상기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및 제3 컬러 필터가 중첩하는 컬러 필터 중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는 상기 격벽이 위치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컬러 필터의 두께는 상기 중심 영역보다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더 크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의 차이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의 7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봉지층의 두께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봉지층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중심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봉지층의 두께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봉지층의 최대 두께의 9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및 제3 컬러 필터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및 제3 컬러 필터는 각각 마젠타색(Magenta), 노란색(Yellow) 및 시안색(Cyan) 컬러 필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화소 회로, 상기 화소 회로 위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와 격벽, 상기 화소 회로, 유기 발광 소자 및 격벽을 덮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터치 감지층, 및 상기 터치 감지층 위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층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과 접하는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비표시 영역과 이격되는 중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지층은 평탄화층과 터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화층의 두께는 상기 중심 영역보다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더 크고, 상기 컬러 필터는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제3 컬러 필터 및 상기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및 제3 컬러 필터가 중첩하는 컬러 필터 중첩부를 포함한다.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는 상기 격벽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및 제3 컬러 필터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의 차이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의 7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층은 무기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전극은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전극 및 제2 터치 전극은 복수의 단위 전극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터치 셀, 및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셀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 전극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터치 셀, 및 상기 제2 터치 셀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 위에 상기 제1 연결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부 위에 상기 평탄화층과 상기 무기 절연층이 차례로 위치하고, 상기 무기 절연층 위에 상기 제1 터치 셀, 제2 터치 셀 및 제2 연결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1 터치 셀은 상기 평탄화층과 상기 무기 절연층에 위치하는 오프닝에도 위치하여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은 상기 제2 방향 좌표값을 감지하기 위한 제1 터치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2 터치 전극은 상기 제1 방향 좌표값을 감지하기 위한 제2 터치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층은 유기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절연층은 실리콘질화물(SiNx) 또는 실리콘산화물(SiO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봉지층의 두께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봉지층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층은 상기 평탄화층 위에 위치하는 무기 절연층, 및 상기 터치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전극은 상기 무기 절연층 위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전극은 복수의 단위 전극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층은 유기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절연층은 실리콘질화물(SiNx) 또는 실리콘산화물(SiO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화소 회로, 상기 화소 회로 위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와 격벽, 상기 화소 회로, 유기 발광 소자 및 격벽을 덮는 봉지층, 및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층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과 접하는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비표시 영역과 이격되는 중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 필터는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제3 컬러 필터 및 상기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및 제3 컬러 필터가 중첩하는 컬러 필터 중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는 상기 격벽이 위치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의 차이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의 5 % 이하이다.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봉지층의 상부면의 높이는 일정하고,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봉지층의 상부면의 높이는 점차 낮아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고, 광 특성이 모든 영역에서 균일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중심 영역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중심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컬러 필터별 빛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자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터치 감지층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10은 도 6 내지 도 9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중심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감지층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터치 감지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중심 영역과 가장자리 영역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P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PX)가 형성되어 있으며,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게이트선(173)과 복수의 데이터선(171) 및 복수의 구동 전압선(172)을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선이 형성된다. 비표시 영역(PA)은 표시 영역(DA)에 인가되는 각종 신호들을 생성 또는 전달하기 위한 소자 또는 배선들이 위치하는 영역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은 기판(110), 표시층(200), 봉지층(300), 컬러 필터(410) 및 오버코트층(42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잘 휘어지고 구부러지며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플라스틱 등의 플렉서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 imide, PEI),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PE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도 상술한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PA)으로 구분된다.
기판(110)의 표시 영역(DA)상에는 표시층(200)이 위치한다. 표시층(200)은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와, 화소 회로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는 유기 발광 소자 및 발광 영역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층(200)은 터치 감지를 위한 터치 감지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감지층은 유기 발광 소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층(200) 위에 표시층(200)을 덮는 봉지층(300)이 위치한다. 봉지층(300)은 표시층(200)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덮어 표시층(200)을 밀봉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수분과 산소에 매우 취약하므로, 봉지층(300)이 표시층(200)을 밀봉하여 외부의 수분 및 산소의 유입을 차단한다. 봉지층(300)은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중 무기막과 유기막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무기막, 유기막, 무기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3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기막은 금속 산화물, 금속 산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유기막은 고분자(polymer) 계열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봉지층(300)은 표시 영역(DA)의 전면에 위치하고, 표시 영역(DA)에서 연장되어 비표시 영역(PA)에 봉지층(300)의 끝단이 위치할 수 있다. 봉지층(300)은 표시 영역(DA)에서 평면도상 봉지층(30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중심 영역(CA)과 표시 영역(DA)에서 봉지층(3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가장자리 영역(EA)을 포함한다. 봉지층(300)의 가장자리 영역(EA)은 표시 영역(DA)에서 비표시 영역(PA)과 접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중심 영역(CA)은 가장자리 영역(EA)을 사이에 두고 비표시 영역(PA)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가장자리 영역(EA)은 중심 영역(CA)을 둘러싸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중심 영역(CA)의 주변부에 위치할 수 있다.
중심 영역(CA)에서 봉지층(300)의 상부면은 대체로 평탄하다. 다시 말해, 중심 영역(CA)의 모든 영역에서 봉지층(300)의 두께는 균일할 수 있고, 기판(110)으로부터 봉지층(30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중심 영역(CA)에서 봉지층(300)의 두께를 제1 두께라 한다. 예를 들어, 제1 두께는 8 ㎛ 내지 9 ㎛ 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봉지층(300)의 두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장자리 영역(EA)에서 봉지층(300)의 두께는 점차 작아진다. 가장자리 영역(EA)은 중심 영역(CA)에서 봉지층(300)의 최대 두께 대비 두께가 90 % 이하인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장자리 영역(EA)은 표시층(200)의 끝 단을 기준으로 표시 영역(DA)의 안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3.5 mm 내지 4.5 mm 떨어진 영역까지 일 수 있다. 이하, 가장자리 영역(EA)에서 봉지층(300)의 두께를 제2 두께라 한다. 봉지층(300)은 끝 부분으로 갈수록 제2 두께가 점차 작아지고,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 영역(EA)에서 봉지층(300)의 상부면도 점차 낮아진다. 봉지층(300)의 상부면은 가장자리 영역(EA)에서 만곡되어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가장자리 영역(EA)에서 봉지층(300)의 상부면은 곡면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봉지층(300)의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작다. 예컨대, 가장자리 영역(EA)에서 봉지층(300)의 제2 두께는 8 ㎛ 미만일 수 있다.
봉지층(300)의 끝 부분에서 봉지층(300)의 상부면은 기판(110)의 면과 만나고, 이 부분에서 봉지층(300) 상부면이 봉지층(300)의 하부면과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봉지층(300)의 상부면은 가장자리 영역(EA)에서부터 끝 부분까지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만곡되어 곡선을 이룰 수 있다.
봉지층(300) 위에 컬러 필터(410)가 위치한다. 컬러 필터(41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이 반사되는 것을 억제하고,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컬러 필터(410)는 방출되는 색의 파장 대역을 가지는 빛만 투과시키므로 표현하고자 하는 색상을 더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컬러 필터(410)는 끝 부분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진다. 컬러 필터(410)의 두께는 중심 영역(CA) 보다 가장자리 영역(EA)에서 더 크다. 또한, 컬러 필터(410)의 두께는 가장자리 영역(EA)에서 표시 영역(DA)의 끝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두꺼워 질 수 있다. 가장자리 영역(EA)에서 봉지층(300)의 상부면이 끝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므로 컬러 필터(410)의 하부면 또한 끝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진다. 컬러 필터(410)의 하부면이 낮아짐에 따라 컬러 필터(410)의 두께를 크게 형성하여 단차가 보상된다.
이에 따라, 기판(110) 또는 표시층(200)으로부터 컬러 필터(41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는 표시 영역(DA)의 중심 영역(CA)뿐만 아니라 가장자리 영역(EA)에서도 거의 동일하다. 예컨대, 중심 영역(CA)에서 기판(110) 또는 표시층(200)으로부터 컬러 필터(41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와 가장자리 영역(EA)에서 기판(110) 또는 표시층(200)으로부터 컬러 필터(41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의 차이는 중심 영역(CA)에서 기판(110) 또는 표시층(200)으로부터 컬러 필터(41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의 5 % 이하일 수 있다.
컬러 필터(410) 위에 오버코트층(420)이 위치한다. 오버코트층(420)은 컬러 필터(410) 위에 형성되어 컬러 필터(410)를 보호하고, 컬러 필터(410)가 형성된 층의 표면을 평탄화 한다.
오버코트층(420)은 유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절연막은 일반 범용고분자(PMMA, PS), phenol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오버코트층(420)은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의 복합 적층체로도 형성될 수 있다. 무기 절연막은 SiO2, SiNx, SiON, Al2O3, TiO2, Ta2O5, HfO2, ZrO2, BST, PZ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중심 영역(C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10), 화소 회로(250), 유기 발광 소자(OLED), 격벽(361), 봉지층(300), 컬러 필터(410) 및 오버코트층(4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1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잘 휘어지고 구부러지며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플라스틱 등의 플렉서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기판(110) 위에는 버퍼층(121)이 위치한다. 버퍼층(121)은 실리콘질화물(SiNx) 또는 실리콘산화물(SiO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21)은 기판(110)과 반도체층(154) 사이에 위치하여, 다결정 규소를 형성하기 위한 결정화 공정 시 기판(110)으로부터 불순물을 차단하여 다결정 규소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기판(110)을 평탄화시켜 버퍼층(121) 위에 형성되는 반도체층(154)의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다.
버퍼층(121) 위에는 반도체층(154)이 위치한다. 반도체층(154)은 다결정 규소 또는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층(154)은 다결정 규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채널 영역(152), 소스 영역(151) 및 드레인 영역(153)을 포함한다. 소스 영역(151) 및 드레인 영역(153)은 각각 채널 영역(152)의 양 옆에 배치되어 있다. 채널 영역(152)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진성 반도체(intrinsic semiconductor)이고, 소스 영역(151) 및 드레인 영역(153)은 도전성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는 불순물 반도체(impurity semiconductor)이다. 반도체층(154)은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고온 등의 외부 환경에 취약한 산화물 반도체 물질을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층이 추가될 수 있다.
반도체층(154) 위에는 이를 덮는 게이트 절연막(122)이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막(122)은 실리콘질화물(SiNx) 및 실리콘산화물(Si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22) 위에는 게이트 전극(155)이 위치한다, 게이트 전극(155)은 구리(Cu), 구리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 몰리브덴(Mo), 및 몰리브덴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막이 적층된 다중막일 수 있다.
게이트 전극(155) 및 게이트 절연막(122) 위에는 층간 절연막(123)이 위치한다. 층간 절연막(123)은 실리콘질화물(SiNx) 또는 실리콘산화물(SiO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23)에는 소스 영역(151) 및 드레인 영역(153)을 각각 노출하는 오프닝이 위치한다.
층간 절연막(123) 위에 소스 전극(161)과 드레인 전극(162)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161)과 드레인 전극(162)은 층간 절연막(123)과 게이트 절연막(122)에 형성된 오프닝을 통해 반도체층(154)의 소스 영역(151) 및 드레인 영역(153)과 각각 연결된다.
층간 절연막(123), 소스 전극(161) 및 드레인 전극(162) 위에는 보호막(180)이 위치한다. 보호막(180)은 층간 절연막(123), 소스 전극(161) 및 드레인 전극(162)을 덮어 평탄화시키므로 보호막(180) 위에 화소 전극(191)을 단차 없이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막(180)은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sin) 등의 유기물 또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적층막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화소 전극(191)이 위치한다. 화소 전극(191)은 보호막(180)에 형성된 오프닝을 통해 드레인 전극(162)과 연결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55), 반도체층(154), 소스 전극(161) 및 드레인 전극(162)으로 이루어진 구동 트랜지스터는 화소 전극(191)에 연결되어 유기 발광 소자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구동 트랜지스터 이외에, 데이터선과 연결되고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트랜지스터와 연결되고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을 보상하는 보상 트랜지스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호막(180)과 화소 전극(191)의 위에는 이를 덮는 격벽(361)이 위치하고, 격벽(361)은 화소 전극(191)을 드러내는 화소 개구부(365)를 가진다. 격벽(361)은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sin) 등의 유기물 또는 실리카 계열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개구부(365)는 평면상 마름모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각형, 다각형 등 어떠한 모양도 가질 수 있다.
화소 개구부(365)에 의해 노출된 화소 전극(191) 위에는 유기 발광층(370)이 위치한다. 유기 발광층(370)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PEDOT(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등의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층(370)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다중막일 수 있다.
유기 발광층(370)은 적색광을 방출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370R), 녹색광을 방출하는 녹색 유기 발광층(370G) 및 청색광을 방출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370B)을 포함한다. 적색 유기 발광층(370R), 녹색 유기 발광층(370G) 및 청색 유기 발광층(370B)은 각각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형성되어 컬러 화상을 구현한다. 유기 발광층(370)이 적색 유기 발광층(370R), 녹색 유기 발광층(370G) 및 청색 유기 발광층(370B)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유기 발광층(370)은 각각 마젠타색(Magenta), 노란색(Yellow) 및 시안색(Cyan) 광을 방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기 발광층(37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이 위치한다. 공통 전극(270)은 복수의 화소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전극(191), 유기 발광층(370)과 공통 전극(270)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화소 전극(191)은 정공 주입 전극인 애노드이며, 공통 전극(270)은 전자 주입 전극인 캐소드 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화소 전극(191)이 캐소드가 되고, 공통 전극(270)이 애노드가 될 수도 있다. 화소 전극(191) 및 공통 전극(270)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370) 내부로 주입되고,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ex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은 유기 발광층(370)이 위치하여 빛을 방출하는 발광 영역(LA)과 격벽(361)이 위치하여 빛을 방출하지 않는 비발광 영역(NLA)을 포함한다.
공통 전극(270) 위에 봉지층(300)이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봉지층(300)은 중심 영역(CA)에 위치하는 것으로 두께가 균일하다. 다시 말해, 기판(110)으로부터 봉지층(30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가 균일하다. 봉지층(300)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봉지층(300) 위에 컬러 필터(410)가 위치한다. 컬러 필터(410)는 적색 컬러 필터(410R), 녹색 컬러 필터(410G) 및 청색 컬러 필터(410B)를 포함한다. 적색 컬러 필터(410R)는 적색 영역의 파장의 빛을 통과시키고, 녹색 컬러 필터(410G)는 녹색 영역의 파장의 빛을 통과시키며, 청색 컬러 필터(410B) 청색 영역의 파장의 빛을 통과시킨다. 컬러 필터(410)는 발광 영역(LA)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인접하는 비발광 영역(NLA)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컬러 필터(410)는 녹색 컬러 필터(410G), 적색 컬러 필터(410R), 청색 컬러 필터(410B) 순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녹색 컬러 필터(410G)는 녹색 유기 발광층(370G)에 대응하는 발광 영역(LA)에 위치하고, 녹색 유기 발광층(370G)과 인접하는 비발광 영역(NLA)까지 연장되어 위치한다. 녹색 컬러 필터(410G)는 적색 유기 발광층(370R)과 청색 유기 발광층(370B) 사이의 비발광 영역(NLA)에도 위치한다. 이 때, 녹색 컬러 필터(410G)는 적색 유기 발광층(370R)에 대응하는 발광 영역(LA) 또는 청색 유기 발광층(370B)에 대응하는 발광 영역(LA)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적색 컬러 필터(410R)는 적색 유기 발광층(370R)에 대응하는 발광 영역(LA)에 위치하고, 적색 유기 발광층(370R)과 인접하는 비발광 영역(NLA)까지 연장되어 녹색 컬러 필터(410G)와 중첩한다. 적색 컬러 필터(410R)는 녹색 유기 발광층(370G)과 청색 유기 발광층(370B) 사이의 비발광 영역(NLA)에도 위치한다. 이 때, 적색 컬러 필터(410R)는 녹색 유기 발광층(370G)에 대응하는 발광 영역(LA) 또는 청색 유기 발광층(370B)에 대응하는 발광 영역(LA)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청색 컬러 필터(410B)는 청색 유기 발광층(370B)에 대응하는 발광 영역(LA)에 위치하고, 청색 유기 발광층(370B)과 인접하는 비발광 영역(NLA)까지 연장되어 적색 컬러 필터(410R)과 중첩한다. 청색 컬러 필터(410B)는 적색 유기 발광층(370R)과 녹색 유기 발광층(370G) 사이의 비발광 영역(NLA)에도 위치한다. 이 때, 청색 컬러 필터(410B)는 적색 유기 발광층(370R)에 대응하는 발광 영역(LA) 또는 녹색 유기 발광층(370G)에 대응하는 발광 영역(LA)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410R, 410G, 410B)는 격벽(361)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비발광 영역(NLA)에서 중첩한다.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410R, 410G, 410B)는 각각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 만을 투과시키므로,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410R, 410G, 410B)가 중첩하는 영역에서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포함하는 가시광선이 투과하지 못한다. 컬러 필터(410)는 녹색 컬러 필터(410G), 적색 컬러 필터(410R), 청색 컬러 필터(410B) 순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컬러 필터(410)의 적층 순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컬러 필터(410)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410R, 410G, 410B)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3원색을 이루는 어떠한 색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컬러 필터(410)는 각각 마젠타색(Magenta), 노란색(Yellow) 및 시안색(Cyan) 광을 투과시키는 마젠타색(Magenta), 노란색(Yellow) 및 시안색(Cyan)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컬러 필터(410) 위에는 컬러 필터(410)를 보호하고 컬러 필터(410)가 형성된 층의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오버코트층(420)이 위치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중심 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장자리 영역(EA)에서 컬러 필터(410)의 두께(h2-1)는 중심 영역(CA)에서 컬러 필터(410)의 두께(h1-1) 보다 두껍다. 봉지층(300)의 상부면은 중심 영역(CA)에서 평탄하지만, 가장자리 영역(EA)에서 점차 낮아진다. 따라서, 가장자리 영역(EA)에서 컬러 필터(410)의 두께(h2-1)를 중심 영역(CA)에서 컬러 필터(410)의 두께(h1-1)보다 두껍게 형성하면, 중심 영역(C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1-2)와 가장자리 영역(E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2-2)는 거의 일치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1-2, h2-2)는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수직거리이다.
예컨대, 중심 영역(C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1-2)와 가장자리 영역(E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2-2)의 차이는 중심 영역(C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1-2)의 7 %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중심 영역(CA)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1-3)와 가장자리 영역(EA)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2-3)의 차이는 중심 영역(CA)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1-3)의 5 % 이하일 수 있다.
도 4에서 중심 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에서 각각 하나의 컬러 필터(410) 중첩부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술한 내용은 중심 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의 전 영역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370)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까지의 거리가 상이하면 유기 발광층(370)에서 방출되어 컬러 필터(410)를 통과하는 빛의 휘도 및 시야각 특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유기 발광층(370)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 영역까지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면 균일한 광특성 확보가 가능하다.
컬러 필터(410) 중첩 영역은 격벽(361)이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NLA) 내에 위치한다. 컬러 필터(410) 중첩 영역은 격벽(361)이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NLA)보다 작고, 컬러 필터(410) 중첩 영역의 폭은 비발광 영역(NLA)의 폭보다 작다. 이는 보다 넓은 시야각 확보 및 휘도 향상을 위함이다.
도 5는 컬러 필터별 빛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청색 컬러 필터(BLUE)의 경우, 청색광에 해당하는 450 nm 내지 480 nm 파장대의 빛이 투과된다. 녹색 컬러 필터(GREEN)의 경우, 녹색광에 해당하는 490 nm 내지 570 nm 파장대의 빛이 투과된다. 적색 컬러 필터(RED)의 경우, 적색광에 해당하는 640 nm 이상의 파장대의 빛이 투과된다.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를 중첩한 경우(R/G/B), 가시광선의 파장대의 전체 영역에서 빛의 투과율이 5 %를 넘지 않는다. 따라서,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를 중첩하면 차광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광 반사를 줄이기 위해 편광판을 사용하는 경우 봉지층의 두께에 상관없이 휘도비가 일정하지만,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며 출광 효율이 낮아지고,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광 반사를 줄이면서 출광 효율을 높이고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차광 부재와 색필터를 이용하는 편광판 대체 구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차광 부재와 색필터를 이용하는 편광판 대체 구조는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차광 부재의 사이즈가 작아지므로 패턴 형성이 어려우며 차광 부재 패턴 불량률이 높아진다. 또한, 차광 부재와 색필터를 이용하는 편광판 대체 구조의 경우, 봉지층의 두께에 따라 휘도비가 달라진다. 이는 봉지층의 두께에 따라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차광 부재까지의 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영역별 휘도비 차이에 의한 휘도비 산포가 증가하면,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왜곡되어 보이거나, 표시 장치의 전면에 대해 균일한 광특성 확보가 불가하다.
일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차광 부재를 사용하는 대신 컬러 필터를 중첩하여 비발광 영역에서 광이 투과하지 않도록 한다. 그 결과, 마스크 수가 감소되어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고,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컬러 필터 중첩부까지의 거리를 단차 없이 일정하게 형성하여 표시 영역의 모든 영역에서 광 특성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영역별 봉지층의 두께 변화와 상관없이 전 영역에서의 균일한 휘도비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내용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2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2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 주변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PA),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영역(TA)을 포함한다.
터치 영역(TA)은 물체가 표시 패널(20)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근접하거나 접근한 상태에서 움직이는 경우, 이러한 접촉이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이다. 터치 영역(TA)은 표시 영역(DA)과 중첩할 수 있다. 도 6에서 터치 영역(TA)은 표시 영역(DA)과 일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영역(TA)은 표시 영역(DA)이 일치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 감지 기능은 터치 전극(touch electrodes)을 포함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에서 터치 전극은 축전기를 형성하고, 터치 시 발생하는 축전기의 정전 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한다. 터치 정보는 이러한 정정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자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20)은 기판(110), 표시층(200), 봉지층(300), 터치 감지층(350), 컬러 필터(410) 및 오버코트층(420)을 포함한다. 터치 감지층(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2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봉지층(300)은 표시 영역(DA)에서 평면도상 봉지층(30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중심 영역(CA)과 표시 영역(DA)에서 봉지층(3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가장자리 영역(EA)을 포함한다. 봉지층(300)의 가장자리 영역(EA)은 표시 영역(DA)에서 비표시 영역(PA)과 접하는 영역에 위치하고, 중심 영역(CA)은 가장자리 영역(EA)을 사이에 두고 비표시 영역(PA)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가장자리 영역(EA)은 중심 영역(CA)을 둘러싸는 주변부에 위치할 수 있다.
중심 영역(CA)에서 봉지층(300)의 상부면은 대체로 평탄할 수 있다. 봉지층(300)의 두께는 중심 영역(CA) 보다 가장자리 영역(EA)에서 작다.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 영역(EA)에서 봉지층(300)은 끝 부분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작아지고, 봉지층(300)의 상부면도 점차 낮아진다.
봉지층(300) 위에 터치 감지층(350)이 위치한다. 터치 감지층(350)의 두께는 끝 부분으로 갈수록 커진다. 봉지층(300)의 상부면이 끝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므로 터치 감지층(350)의 하부면 또한 끝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진다. 터치 감지층(350)의 하부면이 낮아짐에 따라 터치 감지층(350)의 두께를 크게 형성하여 기판(110)으로부터 터치 감지층(35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는 표시 영역(DA)의 중심 영역(CA)뿐만 아니라 가장자리 영역(EA)에서도 거의 동일하다.
터치 감지층(350)은 자체 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표시판을 기판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터치 감지층(350)은 전체 두께가 매우 얇아 표시 패널(20)의 박형화에 유리하며, 가요성 표시 장치에 적합하다.
터치 감지층(350) 위에 컬러 필터(410)가 위치한다. 도 2와는 달리, 컬러 필터(410)의 두께는 중심 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에서 동일할 수 있다. 기판(110)으로부터 터치 감지층(350)의 상부면까지의 높이가 균일하므로, 컬러 필터(410)의 두께가 일정하더라도 기판(110) 또는 표시층(200)으로부터 컬러 필터(410)까지의 높이 또한 표시 영역(DA) 내의 모든 영역에서 균일할 수 있다. 예컨대, 중심 영역(CA)에서 기판(110) 또는 표시층(200)으로부터 컬러 필터(41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와 가장자리 영역(EA)에서 기판(110) 또는 표시층(200)으로부터 컬러 필터(41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의 차이는 중심 영역(CA)에서 기판(110) 또는 표시층(200)으로부터 컬러 필터(41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의 5 % 이하일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터치 감지층(35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터치 감지층(350)은 제1 터치 전극(351)과 제2 터치 전극(352)을 포함한다.
제1 터치 전극(351)은 마름모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제1 터치 셀(351a)과, 제1 방향(x)을 따라 복수의 제1 터치 셀(351a)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351b)를 포함한다. 제1 터치 전극(351)은 제2 방향(y) 좌표값을 감지하기 위한 제1 터치 신호가 전달되는 Tx 터치 전극(transmitter touch electrode)일 수 있다. 제1 터치 셀(351a)은 마름모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터치 셀(351a)의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터치 전극(352)은 마름모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제2 터치 셀(352a)과, 제2 방향(y)을 따라 복수의 제2 터치 셀(352a)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3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치 전극(352)은 제1 방향(x) 좌표값을 감지하기 위한 제2 터치 신호가 전달되는 Rx 터치 전극(receiver touch electrode)일 수 있다. 제2 터치 셀(352a)은 마름모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터치 셀(352a)의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평면 상으로 볼 때, 제1 터치 셀(351a)과 제2 터치 셀(352a)은 서로 이웃하고, 제1 연결부(351b)와 제2 연결부(352b)는 서로 교차한다.
제1 터치 전극(351)과 제2 터치 전극(352)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제1 터치 전극(351)과 제2 터치 전극(352) 사이에 정전 용량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있을 때, 제1 터치 전극(351)과 제2 터치 전극(352) 사이에 형성된 정전 용량이 변화하며, 이를 제어부(미도시)가 인식하여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터치 셀(351a), 제2 터치 셀(352a) 및 제2 연결부(352b)는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351b)는 제1 터치 셀(351a), 제2 터치 셀(352a) 및 제2 연결부(352b)와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351b)는 제1 터치 셀(351a), 제2 터치 셀(352a) 및 제2 연결부(352b)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연결부(351b)가 제1 터치 셀(351a), 제2 터치 셀(352a) 및 제2 연결부(352b)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부(351b)는 오프닝을 통해 제1 터치 셀(351a)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치 전극(352)의 제2 터치 셀(352a) 및 제2 연결부(352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공정 단계에서 제1 터치 셀(351a), 제2 터치 셀(352a) 및 제2 연결부(352b)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연결부(352b)가 반드시 제1 터치 셀(351a) 및 제2 터치 셀(352a)과 동시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질을 이용하여 다른 공정 단계에서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351b)가 제1 터치 셀(351a), 제2 터치 셀(352a) 및 제2 연결부(352b)와 다른 층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터치 셀(351a), 제2 터치 셀(352a) 및 제1 연결부(351b)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제2 연결부(352b)가 제1 터치 셀(351a), 제2 터치 셀(352a) 및 제1 연결부(351b)와 다른 층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터치 전극(351)의 제1 터치 셀(351a)과 제1 연결부(351b)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제2 터치 전극(352)의 제2 터치 셀(352a)과 제2 연결부(352b)가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제1 터치 전극(351)과 제2 터치 전극(352)이 다른 층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터치 전극(351)과 제2 터치 전극(352)은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크롬(Cr), 니켈(Ni) 등과 같은 저저항 금속을 포함하거나,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카본 나노튜브(carbon nanotube) 등과 같은 도전성 나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터치 전극(351)은 저항이 낮아 RC 지연을 줄일 수 있고, 연성이 우수하므로 휘어짐과 같은 반복적인 변형에도 쉽게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1 터치 감지층(350)은 제1 배선(21)과 제2 배선(22)을 포함한다. 제1 배선(21)과 제2 배선(22)은 각각 제1 터치 전극(351)과 제2 터치 전극(352)에 연결되어 터치 신호를 전달한다. 제1 터치 전극(351)과 제2 터치 전극(352)은 터치 영역(TA)에 위치하고, 제1 배선(21)과 제2 배선(22)은 터치 영역(TA) 바깥의 비표시 영역(PA)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9에서 제1 터치 전극(351)의 제1 터치 셀(351a) 및 제2 터치 전극(352)과 다른 층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351b)를 분리 도시 하였다.
*도 9를 참고하면, 제1 터치 전극(351)과 제2 터치 전극(352)은 메쉬 패턴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터치 전극(351)과 제2 터치 전극(352)은 제3 방향 및 제3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4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미세한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 전극선(3511, 3521)을 포함한다. 제1 터치 전극(351)의 단위 전극선(3511)은 제1 터치 셀(351a)의 단위 전극선(3511a)과 제1 연결부(351b)의 단위 전극선(3511b)을 포함한다. 제2 터치 전극(352)의 단위 전극선(3521)은 제2 터치 셀(352a)의 단위 전극선(3521a)과 제2 연결부(352b)의 단위 전극선(3521b)을 포함한다. 제3 방향으로 배열된 단위 전극선과 제4 방향으로 배열된 단위 전극선(3511, 3521)은 서로 수직 교차하여 마름모 모양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즉, 제1 터치 전극(351)과 제2 터치 전극(352)의 메쉬 패턴은 단위 전극선(3511, 3521)의 배열에 따라 일정한 격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351)과 제2 터치 전극(352)은 복수개의 단위 전극선(3511, 3521)으로 이루어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지 않고, 표시 패널의 도선들과 중첩하는 면적을 줄여 기생 커패시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351)과 제2 터치 전극(352)이 마름모 모양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개구부의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다각형 등 어떠한 모양도 될 수 있다. 또한, 단위 전극선(3511, 3521)이 연장되는 제3 방향 및 제4 방향은 사선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과 평행할 수도 있다.
제1 연결부(351b)는 제1 터치 셀(351a), 제2 터치 셀(352a) 및 제2 연결부(352b)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부(351b)는 도 9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에 위치하여, 제1 터치 셀(351a) 및 제2 연결부(352b)와 일부 중첩한다. 제2 연결부(352b)는 후술하는 무기 절연층에 의해 제1 연결부(351b)와 절연된다. 제1 연결부(351b)는 제1 터치 셀(351a)과 중첩하는 영역에서 제1 터치 셀(351a)과 연결된다.
도 10은 도 6 내지 도 9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중심 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의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제1 터치 셀(351a)의 단위 전극선(3511a)과 제1 연결부(351b)의 단위 전극선(3511b)의 단면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봉지층(300) 위에 무기층(3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301)은 금속 산화물, 금속 산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301)은 봉지층(300)을 덮어 봉지층(300)을 보호하고, 투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기층(301)은 공통 전극(270)과 터치 감지층(350)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무기층(301) 위에 터치 감지층(350)이 위치한다. 터치 감지층(350)은 제1 터치 전극(351), 평탄화층(362), 무기 절연층(363) 및 제2 터치 전극(352)을 포함한다. 도 10에는 제1 터치 전극(351)의 제1 터치 셀(351a)과 제1 연결부(351b)가 중첩하는 영역에서 제1 터치 셀(351a)의 단위 전극선(3511a)과 제1 연결부(351b)의 단위 전극선(3511b)이 연결되는 부분을 대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기층(301) 위에 제1 연결부(351b)의 단위 전극선(3511b)이 위치하고, 제1 연결부(351b)의 단위 전극선(3511b) 위에 평탄화층(362)이 위치한다. 평탄화층(362)은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장자리 영역(EA)에서 평탄화층(362)의 두께(h4-1)는 중심 영역(CA)에서 평탄화층(362)의 두께(h3-1)보다 더 크다. 가장자리 영역(EA)에서 봉지층(300)의 두께는 점차 작아진다. 그러나, 가장자리 영역(EA)에서 평탄화층(362)의 두께(h4-1)를 점차 크게 형성하여, 기판(110)으로부터 평탄화층(362) 상부면까지의 거리는 중심 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에서 일정할 수 있다.
평탄화층(362) 위에 무기 절연층(363)이 위치한다. 무기 절연층(363)은 실리콘질화물(SiNx) 또는 실리콘산화물(SiO2) 등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절연층(363) 위에 제1 터치 셀(351a)의 단위 전극선(3511a)이 위치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무기 절연층(363) 위에 제2 터치 셀(352a) 및 제2 터치 셀(352a)에 연결된 제2 연결부(352b)도 위치한다. 평면 상에서 제1 터치 셀(351a)과 제2 터치 셀(352a)은 이웃하여 위치한다. 평면상 제1 연결부(351b)와 제2 연결부(352b)는 서로 중첩되나 무기 절연층(363)에 의해 절연된다.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터치 전극(351)의 제1 터치 셀(351a)은 제1 연결부(351b)의 일부 영역과 중첩한다. 제1 터치 셀(351a)과 제1 연결부(351b)가 중첩하는 영역에서 제1 터치 셀(351a)과 제1 연결부(351b)는 접촉하여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평탄화층(362)과 무기 절연층(363)은 제1 연결부(351b)가 노출된 영역인 오프닝(25)을 포함할 수 있고, 무기 절연층(363) 위에 제1 터치 셀(351a)의 단위 전극선(3511a)이 형성될 때, 제1 터치 셀(351a)의 단위 전극선(3511a)을 형성하는 물질이 오프닝(25)을 채워 제1 연결부(351b)의 단위 전극선(3511b)과 직접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터치 셀(351a)은 무기 절연층(363) 위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제1 연결부(351b)가 노출된 오프닝(25)에도 위치하여 제1 연결부(351b)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351)의 단위 전극선(3511)과 제2 터치 전극(352)의 단위 전극선(3521)은 평면상 컬러 필터(410) 중첩부 또는 격벽(361)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351)의 단위 전극선(3511)과 제2 터치 전극(352)의 단위 전극선(3521)은 격벽(361) 또는 컬러 필터(410) 중첩부가 위치하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화소 개구부(365)는 제1 터치 전극(351) 및 제2 터치 전극(352)의 개구부와 중첩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위 전극선(3511, 3521)은 컬러 필터(410) 중첩부 또는 격벽(361)이 위치하는 모든 영역에 위치하지 않고, 일부 컬러 필터(410) 중첩부 또는 격벽(361)과 중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단위 전극선(3511, 3521) 사이에는 하나의 화소 개구부(365) 만이 위치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화소 개구부(365)가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터치 셀(351a) 및 제2 터치 전극(352) 위에 컬러 필터(410)가 위치한다. 도 4와는 다르게 중심 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에서 컬러 필터(410)의 두께는 일정할 수 있다. 컬러 필터(410)의 두께가 일정하더라도, 가장자리 영역(EA)에서 평탄화층(362)의 두께(h4-1)를 중심 영역(CA)에서 평탄화층(362)의 두께(h3-1)보다 두껍게 형성하면, 중심 영역(C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3-2)와 가장자리 영역(E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4-2)는 거의 일치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3-2, h4-2)는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을 포함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수직거리이다.
예컨대, 중심 영역(C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3-2)와 가장자리 영역(E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4-2)의 차이는 중심 영역(C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3-2)의 7 %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중심 영역(CA)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3-3)와 가장자리 영역(EA)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4-3)의 차이는 중심 영역(CA)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3-3)의 5 % 이하일 수 있다.
컬러 필터(410) 중첩 영역은 격벽(361)이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NLA) 내에 위치한다. 컬러 필터(410) 중첩 영역은 격벽(361)이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NLA)보다 작고, 컬러 필터(410) 중첩 영역의 폭은 비발광 영역(NLA)의 폭보다 작다.
도 10에서 중심 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 각각 하나의 단위 전극선(3511, 3521)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술한 내용은 중심 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의 전 영역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터치 셀(351a), 제2 터치 셀(352a) 및 제2 연결부(352b)와 제1 연결부(351b)는 그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제1 터치 셀(351a), 제2 터치 셀(352a) 및 제2 연결부(352b)가 무기층(301) 위에 형성되고, 평탄화층(362)과 무기 절연층(363)으로 덮일 수 있다. 이 때, 제1 연결부(351b)는 무기 절연층(363)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감지층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배치도 및 단면도는 도 6 및 도 7과 동일하다.
터치 감지층(350)은 동일한 층에 모두 형성된 복수의 터치 전극(356)과 터치 전극(356)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배선(31)을 포함한다. 터치 감지층(350)은 터치 전극(356)과 손가락, 펜 등의 포인터 사이에 형성되는 자체 캐패시턴스에 기반하여 터치 유무 및 터치 좌표 등을 검출한다.
터치 영역(TA)은 터치가 가해지고 터치가 감지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과 중첩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전극(356)은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단면 구조로 볼 때 서로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터치 전극(356)의 모양은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터치 전극(356)은 터치 영역 안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고, 각각의 터치 전극(356)은 서로 다른 배선(31)을 통해 감지 신호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전극(356)은 메쉬(mesh) 패턴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전극(356)은 제3 방향 및 제3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4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미세한 폭을 가지는 복수개의 단위 전극선(3561)을 포함한다. 제3 방향으로 배열된 단위 전극선(3561)과 제4 방향으로 배열된 단위 전극선(3561)은 서로 수직 교차하여 마름모 모양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즉, 터치 전극(356)의 메쉬 패턴은 단위 전극선(3561)의 배열에 따라 일정한 격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치 전극(356)이 마름모 모양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개구부의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다각형 등 어떠한 모양도 될 수 있다. 또한, 단위 전극선(3561)이 연장되는 제3 방향 및 제4 방향은 사선방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356)은 배선(31)을 통해 감지 신호 제어부로부터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 받고 접촉에 따른 감지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감지 신호 제어부(미도시)로 보낼 수 있다. 각 터치 전극(356)은 자가 감지 축전기(self-sensing capacitor)를 형성하여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 받은 후 소정 전하량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후 손가락 등의 외부 물체의 접촉이 있으면 자가 감지 축전기의 충전 전하량에 변화가 생겨 입력된 감지 입력 신호와 다른 감지 출력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감지 출력 신호를 통해 접촉 여부,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배선(31)은 터치 전극(356)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터치 전극(356)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선(31)은 터치 전극(356)과 다른 층에 위치하며 별도의 연결부를 통해 터치 전극(356)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2는 다른 도 11의 터치 감지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중심 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터치 전극(356)의 단위 전극선(3561)의 단면을 도시한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봉지층(300) 위에 무기층(301)이 위치하고, 무기층(301) 위에 평탄화층(362)이 위치한다. 평탄화층(362)은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층(362)의 두께는 중심 영역(CA)보다 가장자리 영역(EA)에서 더 크다. 기판(110)으로부터 평탄화층(362) 상부면까지의 거리는 중심 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에서 일정하다.
평탄화층(362) 위에 무기 절연층(363)이 위치한다. 무기 절연층(363)은 실리콘질화물(SiNx) 또는 실리콘산화물(SiO2) 등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절연층(363) 위에 터치 전극(356)의 단위 전극선(3561)이 위치한다. 터치 전극(356)의 단위 전극선(3561)은 평면상 컬러 필터(410) 중첩부 또는 격벽(361)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터치 전극(356)의 단위 전극선(3561)은 격벽(361) 또는 컬러 필터(410) 중첩부가 위치하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화소 개구부(365)는 터치 전극(356)의 개구부와 중첩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위 전극선(3561)은 컬러 필터(410) 중첩부 또는 격벽(361)이 위치하는 모든 영역에 위치하지 않고, 일부 컬러 필터(410) 중첩부 또는 격벽(361)과 중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단위 전극선(3561) 사이에는 하나의 화소 개구부(365) 만이 위치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화소 개구부(365)가 위치할 수도 있다.
터치 전극(356) 위에 컬러 필터(410)가 위치한다. 도 4와는 다르게 중심 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에서 컬러 필터(410)의 두께는 일정할 수 있다.
컬러 필터(410)의 두께가 일정하더라도, 가장자리 영역(EA)에서 평탄화층(362)의 두께(h6-1)를 중심 영역(CA)에서 평탄화층(362)의 두께(h5-1)보다 두껍게 형성하면, 중심 영역(C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5-2)와 가장자리 영역(E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6-2)는 거의 일치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5-2, h6-2)는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을 포함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수직거리이다.
예컨대, 중심 영역(C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5-2)와 가장자리 영역(E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6-2)의 차이는 중심 영역(CA)에서 유기 발광층(37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5-2)의 7 %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중심 영역(CA)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5-3)와 가장자리 영역(EA)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6-3)의 차이는 중심 영역(CA)에서 기판(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컬러 필터(410)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h5-3)의 5 % 이하일 수 있다.
도 12에서 중심 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에서 각각 하나의 단위 전극선(3561)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술한 내용은 중심 영역(CA)과 가장자리 영역(EA)의 전 영역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20: 표시 패널 110: 기판
191: 화소 전극 200: 표시층
250: 화소 회로 270: 공통 전극
300: 봉지층 301: 무기층
350: 터치 감지층 351: 제1 터치 전극
352: 제2 터치 전극 356: 터치 전극
361: 격벽 362: 평탄화층
363: 무기 절연층 370: 유기 발광층
410: 컬러 필터 420: 오버코트층
CA: 중심 영역 EA: 가장자리 영역

Claims (20)

  1.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화소 회로,
    상기 화소 회로 위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격벽,
    상기 화소 회로, 상기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격벽을 덮는 제1층, 및
    상기 제1층 위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비표시 영역과 접하는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비표시 영역과 이격되는 중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장자리 영역 및 상기 중심 영역 각각은 복수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 필터는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제3 컬러 필터, 그리고 상기 제1 컬러 필터, 상기 제2 컬러 필터 및 상기 제3 컬러 필터가 중첩하는 컬러 필터 중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는 평면상 상기 격벽이 위치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컬러 필터, 상기 제2 컬러 필터, 그리고 상기 제3 컬러 필터 각각의 두께는 상기 중심 영역보다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더 큰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의 차이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의 7 % 이하인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제1층의 두께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제1층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중심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제1층의 두께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제1층의 최대 두께의 90 % 이하인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및 제3 컬러 필터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인 표시 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및 제3 컬러 필터는 각각 마젠타색(Magenta), 노란색(Yellow) 및 시안색(Cyan) 컬러 필터인 표시 장치.
  7.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화소 회로,
    상기 화소 회로 위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격벽,
    상기 화소 회로, 상기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격벽을 덮는 제1층,
    상기 제1층 위에 위치하는 터치 감지층, 및
    상기 터치 감지층 위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과 접하는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비표시 영역과 이격되는 중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장자리 영역 및 상기 중심 영역 각각은 복수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지층은 평탄화층과 터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화층의 두께는 상기 중심 영역보다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더 크고,
    상기 컬러 필터는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제3 컬러 필터, 그리고 상기 제1 컬러 필터, 상기 제2 컬러 필터 및 상기 제3 컬러 필터가 중첩하는 컬러 필터 중첩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는 평면상 상기 격벽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1 컬러 필터, 상기 제2 컬러 필터 및 상기 제3 컬러 필터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인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의 차이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유기 발광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의 7 % 이하인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터치 감지층은 무기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전극은 제1 터치 전극과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전극 및 제2 터치 전극은 복수의 단위 전극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터치 전극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터치 셀, 및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셀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 전극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터치 셀, 및 상기 제2 터치 셀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층 위에 상기 제1 연결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부 위에 상기 평탄화층과 상기 무기 절연층이 차례로 위치하고,
    상기 무기 절연층 위에 상기 제1 터치 셀, 상기 제2 터치 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1 터치 셀은 상기 평탄화층과 상기 무기 절연층에 위치하는 오프닝에도 위치하여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제1 터치 전극은 상기 제2 방향 좌표값을 감지하기 위한 제1 터치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2 터치 전극은 상기 제1 방향 좌표값을 감지하기 위한 제2 터치 신호가 전달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평탄화층은 유기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절연층은 실리콘질화물(SiNx) 또는 실리콘산화물(SiO2)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제1층의 두께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제1층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17. 제10항에서,
    상기 터치 감지층은,
    상기 평탄화층 위에 위치하는 무기 절연층, 및
    상기 터치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전극은 상기 무기 절연층 위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전극은 복수의 단위 전극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평탄화층은 유기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절연층은 실리콘질화물(SiNx) 또는 실리콘산화물(SiO2)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화소 회로,
    상기 화소 회로 위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격벽,
    상기 화소 회로, 상기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격벽을 덮는 제1층, 및
    상기 제1층 위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비표시 영역과 접하는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비표시 영역과 이격되는 중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컬러 필터는 제1 컬러 필터, 제2 컬러 필터, 제3 컬러 필터, 그리고 상기 제1 컬러 필터, 상기 제2 컬러 필터 및 상기 제3 컬러 필터가 중첩하는 컬러 필터 중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는 평면상 상기 격벽이 위치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의 차이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컬러 필터 중첩부의 최상부까지의 거리의 5 % 이하인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제1층의 상부면의 높이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는 일정하고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서는 점차 낮아지는 표시 장치.
KR1020230088449A 2018-09-14 2023-07-0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54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449A KR102654291B1 (ko) 2018-09-14 2023-07-0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444A KR102554873B1 (ko) 2018-09-14 2018-09-14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230088449A KR102654291B1 (ko) 2018-09-14 2023-07-0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444A Division KR102554873B1 (ko) 2018-09-14 2018-09-14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125A true KR20230109125A (ko) 2023-07-19
KR102654291B1 KR102654291B1 (ko) 2024-04-03

Family

ID=697733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444A KR102554873B1 (ko) 2018-09-14 2018-09-14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230088449A KR102654291B1 (ko) 2018-09-14 2023-07-07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444A KR102554873B1 (ko) 2018-09-14 2018-09-14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121187B2 (ko)
KR (2) KR102554873B1 (ko)
CN (1) CN1109114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2362B2 (ja) * 2017-05-12 2021-03-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637859B1 (ko) * 2018-12-17 2024-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10083876A (ko) * 2019-12-27 202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
KR20210085912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CN115327815A (zh) * 2020-01-21 2022-1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发光板、线路板以及显示装置
WO2021189482A1 (zh) * 2020-03-27 2021-09-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20210145026A (ko) * 2020-05-22 2021-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10638A (ko) * 2020-07-16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30367A (ko) * 2020-08-28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310322B (zh) 2020-10-30 2022-11-08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057767A (ko) 2020-10-30 2022-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CN115826799A (zh) * 2020-12-07 2023-03-2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触控面板及显示面板
WO2022178676A1 (zh) * 2021-02-23 2022-09-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US11567620B1 (en) * 2021-07-06 2023-01-31 Tpk Advanced Solutions Inc. Touch module and touch device
KR20230081854A (ko) * 2021-11-30 2023-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82814A1 (en) * 2016-12-22 2018-06-28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color filters
JP2018106706A (ja) * 2016-12-27 2018-07-05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装置
US20180321764A1 (en) * 2017-05-08 2018-11-08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372B1 (ko) 2005-11-29 2007-07-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1634791B1 (ko) 2008-11-28 2016-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953122B2 (en) * 2009-06-18 2015-02-10 Japan Display In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KR101853037B1 (ko) 2011-08-23 2018-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853027B1 (ko) 2011-08-24 2018-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986650B1 (ko) 2012-12-31 2019-06-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715145B2 (ja) 2016-09-27 2020-07-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センサ及びタッチセンサ付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82814A1 (en) * 2016-12-22 2018-06-28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color filters
KR20180073194A (ko) * 2016-12-22 2018-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18106706A (ja) * 2016-12-27 2018-07-05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装置
US20180321764A1 (en) * 2017-05-08 2018-11-08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91247A1 (en) 2020-03-19
KR102554873B1 (ko) 2023-07-12
US20210399058A1 (en) 2021-12-23
CN110911441A (zh) 2020-03-24
US11696479B2 (en) 2023-07-04
US11121187B2 (en) 2021-09-14
KR20200031748A (ko) 2020-03-25
US20230301154A1 (en) 2023-09-21
KR102654291B1 (ko) 202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87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976853B2 (en) Display device
US1175876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974487B2 (en) Display device
CN106997894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KR10236218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683954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946681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164612B2 (en) Flexible touch display panel
CN107799015B (zh) 显示设备
US9329441B2 (en) Display device
US9600111B2 (en) Display device
CN106960861B (zh) 显示装置
US11016622B2 (en) Display device
CN109558029B (zh) 具有触摸结构的显示装置和制造该显示装置的方法
KR20160122899A (ko)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1501140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