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136A - 전자 제어 댐퍼 - Google Patents

전자 제어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136A
KR20230108136A KR1020220003557A KR20220003557A KR20230108136A KR 20230108136 A KR20230108136 A KR 20230108136A KR 1020220003557 A KR1020220003557 A KR 1020220003557A KR 20220003557 A KR20220003557 A KR 20220003557A KR 20230108136 A KR20230108136 A KR 20230108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oppet
control disk
main poppe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선
임원빈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3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8136A/ko
Publication of KR20230108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13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댐퍼는, 실린더의 내부를 왕복하며 상기 실린더의 상실 및 하실을 구획하는 외측 하우징; 상기 외측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상실 및 하실을 연통시키는 내측 하우징;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메인 포펫; 상기 메인 포펫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포펫과의 사이에 메인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 시트; 및 상기 메인 포펫과 상기 메인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컨트롤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디스크는 압축 행정 시에는 상기 메인 시트에 의해 위치가 구속되고, 인장 행정 시에는 상기 메인 포펫에 의해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제어 댐퍼{ELECTRONICALLY CONTROLLED DAMPER}
본 발명은, 전자 제어 댐퍼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어 댐퍼는 전류에 따라 스풀의 위치를 이동하여 메인 유로의 열림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제어할 수 있다.
압축 행정과 인장 행정 시에 유체가 통과하는 메인 유로는 메인 포펫과 메인 시트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메인 포펫과 메인 시트 사이에는 유체를 실링하기 위한 컨트롤 디스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축 행정과 인장 행정의 반복 과정에서 컨트롤 디스크의 정렬을 유지하기 위한 전자 제어 댐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댐퍼는, 실린더의 내부를 왕복하며 상기 실린더의 상실 및 하실을 구획하는 외측 하우징; 상기 외측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상실 및 하실을 연통시키는 내측 하우징;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메인 포펫; 상기 메인 포펫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포펫과의 사이에 메인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 시트; 및 상기 메인 포펫과 상기 메인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컨트롤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디스크는 압축 행정 시에는 상기 메인 시트에 의해 위치가 구속되고, 인장 행정 시에는 상기 메인 포펫에 의해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 디스크는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주면과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 디스크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링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메인 포펫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과 오버랩되도록 돌출되는 상부 단턱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면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메인 시트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과 오버랩되도록 돌출되는 하부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단턱부의 내경은 상기 메인 포펫의 하단부의 외경과 대응되고, 상기 하부 단턱부의 외경은 상기 메인 시트의 상단부의 내경과 대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 디스크는, 압축 행정 시에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이 유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메인 포펫과 이격되고, 인장 행정 시에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이 유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메인 시트와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댐퍼는, 컨트롤 디스크가 내측 하우징과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작동 과정에서 내측 하우징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디스크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상,하부 단턱부를 통해 인장 행정 시 및 압축 행정 시에 정렬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댐퍼의 컨트롤 디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댐퍼의 메인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댐퍼에서 인장 행정 시의 작동 상태를 유로와 함께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댐퍼에서 압축 행정 시의 작동 상태를 유로와 함께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솔 밸브가 내부에 배치되는 내장형 방식의 전자 제어 댐퍼로 설명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외장형 방식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댐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댐퍼의 컨트롤 디스크(15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댐퍼의 메인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댐퍼에서 인장 행정 시의 작동 상태를 유로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댐퍼에서 압축 행정 시의 작동 상태를 유로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1512),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댐퍼는, 외측 하우징(110), 내측 하우징(130), 메인 포펫(140), 메인 시트(180) 및 컨트롤 디스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는 외측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하우징(110)은 피스톤 로드(미도시)의 끝단에 결합되어 압축, 인장에 따라 실린더(미도시)의 내부에서 상하 왕복하면서, 실린더 내부를 상실(U) 및 하실(D)로 구획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외측 하우징(1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외측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솔밸브(미도시), 내측 하우징(130), 파일럿 포펫(160), 메인 포펫(140), 컨트롤 디스크(150) 및 메인 시트(180)가 동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외측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단에는 소프트 밸브(190)가 결합될 수 있다.
외측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작동 유체가 유입/유출되는 외측 관통홀(115)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실린더의 상실(U)과 하실(D)의 작동 유체가 상호간에 흐를 수 있다.
외측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내측 하우징(130)이 배치될 수 있다. 내측 하우징(130)은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내부 공간에는 파일럿 포펫(160), 메인 포펫(140), 컨트롤 디스크(150)가 동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내측 하우징(130)의 하단에는 메인 시트(18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시시예에서 내측 하우징(130)은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내측 하우징(130)의 내부에서는 메인 포펫(14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내측 하우징(130)의 상부 구간에는 파일럿 포펫(160)이 솔밸브(미도시)의 플런저 로드(125)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측 하우징(130)의 하단에는 메인 포펫(14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메인 시트(180)가 결합될 수 있고, 메인 시트(180)와 메인 포펫(140) 사이에 컨트롤 디스크(150)가 배치될 수 있다.
내측 하우징(130)의 하부 구간과 대응되는 측면에는 메인 유로(M)를 형성하는 제1 내측 관통홀(132) 및 파일럿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내측 관통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내측 관통홀(132)은 외측 하우징(110)의 외측 관통홀(115)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내측 관통홀(134)은 내측 하우징(130)의 측면에서 제1 내측 관통홀(132)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인장 행정 시에는 상실(U)의 작동 유체가 제1 내측 관통홀(132) 및 제2 내측 관통홀(134)을 통해 유입되어 하실(D)로 흐르고, 압축 행정 시에는 하실(D)의 작동 유체가 제1 내측 관통홀(132)을 통해 상실(U)로 유출될 수 있다.
메인 포펫(140)은 내측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메인 유로(M)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인 유로(M)는 외측 하우징(110)의 외측 관통홀(115), 내측 하우징(130)의 제1 내측 관통홀(132), 메인 포펫의 하단부 및 메인 시트(180)의 중공홀(181)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포펫(140)은 메인 포펫 본체부(142), 작동 유체 작용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포펫 본체부(142)는 내측 하우징(130)의 상부 구간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측 하우징(130)의 상부 구간의 내주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접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메인 포펫 본체부(142)의 내측에는 파일럿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 포펫(140) 유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기 위해 유로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작동 유체 작용부(146)는 메인 포펫(14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작동 유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유체 작용부(146)는 상기 메인 포펫(140)의 하단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벽(1461) 및 상기 안내벽(1461)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안내홈(146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안내벽(1461)의 외주면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빗면(146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벽(1461)의 내경은 후술하는 메인 시트(180)의 상단부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인 포펫(140)의 하단부의 외경은 안내벽(146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빗면(1463)의 직경으로 설명될 수 있고, 빗면(1463)의 직경은 안내벽(1461)의 내경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포펫(140)의 하단부의 외경은 컨트롤 디스크(150)의 상부 단턱부(153)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포펫(140)의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컨트롤 디스크(150)의 상부 단턱부(153)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포펫(140)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빗면(1463)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컨트롤 디스크(150)의 상부 단턱부(153)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측 하우징(130)의 개방된 하단에는 중공홀(181)이 형성되는 메인 시트(180)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시트(180)는 메인 포펫(14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포펫(140)과의 사이에 메인 유로(M)를 형성할 수 있다. 중공홀(181)을 통해 작동 유체가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인 시트(180)의 상단부의 내경은 중공홀(181)의 직경으로 설명될 수 있다. 메인 시트(180)의 상단부의 내경은 하부 단턱부(155)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공홀(181)의 직경은 상술한 메인 포펫(14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안내벽(146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시트(180)의 상단부 내주면은 컨트롤 디스크(150)의 하부 단턱부(155)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시트(180)의 상단부의 상면(1511)은 컨트롤 디스크(150)의 본체부(151)의 하면(1512)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시트(180)의 상면(1511)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면(185)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시트(180)와 메인 포펫(140) 사이에는 링 형상의 컨트롤 디스크(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포펫(140)의 안내벽(1461)의 내경이 후술하는 메인 시트(180)의 상단부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컨트롤 디스크(150)를 통해 메인 시트(180)와 메인 포펫(140) 사이가 씰링될 수 있다.
그러나, 컨트롤 디스크(150)의 외경을 내측 하우징(130)의 내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축 정렬(alignment) 전자 제어 댐퍼의 작동 과정에서 컨트롤 디스크(150)의 정렬(alignment)을 유지하기 위해,
컨트롤 디스크(150)는 메인 시트(180)와 메인 포펫(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디스크(150)는 대체로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디스크(150)는 내측 하우징의 내주면과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컨트롤 디스크(150)가 내측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댐퍼의 작동 과정에서 내측 하우징의 내주면에 컨트롤 디스크(150)로 인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는다.
컨트롤 디스크(150)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링 형상의 본체부(151), 상기 본체부(151)의 상면(151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메인 포펫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과 오버랩되도록 돌출되는 상부 단턱부(153), 상기 본체부(151)의 하면(1512)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메인 시트(180)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과 오버랩되도록 돌출되는 하부 단턱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단턱부(153)의 내경은 상기 메인 포펫(140)의 하단부의 외경과 대응되고, 상기 하부 단턱부(155)의 외경은 상기 메인 시트(180)의 상단부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단턱부(153)의 내주면은 메인 포펫(140)의 안내벽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단턱부(153)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메인 포펫(140)의 안내벽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빗면(1463)과 접촉되도록, 대응되는 빗면 형상(153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단턱부(153)의 내주면이 메인 포펫의 안내벽의 외주면과 접촉됨으로써 작동 유체가 사이로 흐르지 못하도록 씰링 될 수 있다.
하부 단턱부(155)의 외주면은 메인 시트(180)의 중공홀(181)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단턱부(155)의 외주면이 메인 시트(180)의 중공홀(181)의 내주면과 접촉됨으로써 작동 유체가 사이로 흐르지 못하도록 씰링 될 수 있다.
다음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인장 행정 시 및 압축 행정 시에 컨트롤 디스크(150)의 정렬(alignment)이 유지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장 행정 시에는 외측 하우징(110)의 외측 관통홀(115) 및 내측 하우징(130)의 제1 내측 관통홀(132)을 통해 작동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작동 유체는 메인 포펫(140)의 안내벽(1461)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외주면의 빗면 형상(1463)으로 인해 메인 포펫(140)이 위쪽으로 이동될수 있다. 이 때 유입된 작동 유체는 컨트롤 디스크(150)의 하면(1512)을 위쪽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컨트롤 디스크(150)는 메인 포펫(140)의 하단부에 접촉된 상태로 정렬이 유지될 수 있다.
인장 행정 시에는 컨트롤 디스크(150)와 메인 포펫(140)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컨트롤 디스크(150)와 메인 시트(180)의 상단부가 상하로 이격되기 때문에, 컨트롤 디스크(150)와 메인 시트(180)의 사이로 메인 유로(M)가 개방되어 작동 유체가 아래쪽으로 흐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1512), 압축 행정 시에는 후술하는 메인 시트(180)의 중공홀(181)을 통해 아래쪽으로부터 작동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작동 유체의 유압은 메인 포펫(140)의 안내홈(1465)에 작용하여, 메인 포펫(140)을 위쪽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메인 유로(M)가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메인 포펫(140)의 안내홈에 작동되는 작동 유체는 컨트롤 디스크(150)의 본체부(151)의 상면(1511)을 아래쪽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컨트롤 디스크(150)는 메인 시트(180)의 상단부에 접촉된 상태로 정렬이 유지될 수 있다.
압축 행정 시에는 메인 포펫(140)이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컨트롤 디스크(150)와 메인 포펫(140)의 하단부가 상하로 이격되기 때문에, 컨트롤 디스크(150)와 메인 포펫(140)의 사이로 메인 유로(M)가 개방되어 작동 유체가 흐를 수 있다.
한편, 전자 제어 댐퍼가 미 작동 시 또는 압축 행정에서 인장 행정으로 전환되거나 인장 행정에서 압축 행정을 전환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포펫(140)의 하단부가 컨트롤 디스크(150)의 상부 단턱부(153)와 접촉되어 씰링됨과 동시에 메인 시트(180)의 상단부가 컨트롤 디스크(150)의 하부 단턱부(155)와 접촉되어 씰링됨으로써 메인 유로가 폐쇄될 수 있다.
외측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단에는, 작동 유체가 관통되면서 소프트한 감쇠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 밸브(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댐퍼는, 컨트롤 디스크(150)가 내측 하우징(130)과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작동 과정에서 내측 하우징(13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디스크(150)의 상,하면(1511,1512)에 형성되는 상,하부 단턱부(153,155)를 통해 인장 행정 시 및 압축 행정 시에 정렬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린더(미도시)
U: 실린더 상실
D: 실린더 하실
M: 메인 유로
110: 외측 하우징
115: 외측 관통홀
125: 플런저 로드
130: 내측 하우징
132: 제1 내측 관통홀
134: 제2 내측 관통홀
140: 메인 포펫
142: 메인 포펫 본체부
146: 작동 유체 작용부
1461: 안내벽
1463: 빗면
1465: 안내홈
150: 컨트롤 디스크
151: 본체부
1511: 상면
1512: 하면
153: 상부 단턱부
155: 하부 단턱부
160: 파일럿 포펫
180: 메인 시트
181: 중공홀
185: 경사면

Claims (5)

  1. 실린더의 내부를 왕복하며 상기 실린더의 상실 및 하실을 구획하는 외측 하우징;
    상기 외측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상실 및 하실을 연통시키는 내측 하우징;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메인 포펫;
    상기 메인 포펫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포펫과의 사이에 메인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 시트; 및
    상기 메인 포펫과 상기 메인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컨트롤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디스크는 압축 행정 시에는 상기 메인 시트에 의해 위치가 구속되고, 인장 행정 시에는 상기 메인 포펫에 의해 위치가 구속되는 전자 제어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디스크는 상기 내측 하우징의 내주면과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자 제어 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디스크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링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메인 포펫의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과 오버랩되도록 돌출되는 상부 단턱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면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메인 시트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과 오버랩되도록 돌출되는 하부 단턱부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단턱부의 내경은 상기 메인 포펫의 하단부의 외경과 대응되고, 상기 하부 단턱부의 외경은 상기 메인 시트의 상단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전자 제어 댐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디스크는, 압축 행정 시에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이 유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메인 포펫과 이격되고, 인장 행정 시에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이 유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메인 시트와 이격되는 전자 제어 댐퍼.

KR1020220003557A 2022-01-10 2022-01-10 전자 제어 댐퍼 KR20230108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57A KR20230108136A (ko) 2022-01-10 2022-01-10 전자 제어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57A KR20230108136A (ko) 2022-01-10 2022-01-10 전자 제어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136A true KR20230108136A (ko) 2023-07-18

Family

ID=8742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557A KR20230108136A (ko) 2022-01-10 2022-01-10 전자 제어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81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423B1 (ko) 듀얼 솔레노이드 밸브 구조의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2349894B1 (ko)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
KR20150019526A (ko) 듀얼 솔레노이드 밸브 구조의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RU2679954C1 (ru) Усилитель давления
JP2018523796A (ja) ピストン−シリンダー型ダンパー
KR20210015930A (ko) 릴리프 밸브
KR20180071261A (ko) 유체 제어 밸브
KR20190121826A (ko) 완충기
JP5314302B2 (ja) 振幅選別的減衰力を有する振動ダンパ
JP6067953B1 (ja) 流量制御弁
EP2565490A2 (en) Front Fork
JP4453000B2 (ja) 油圧緩衝器
US20230175530A1 (en) Hydraulic booster using variable-volume piston
JP4356016B2 (ja) 油圧緩衝器
KR20230108136A (ko) 전자 제어 댐퍼
JP5876855B2 (ja) 流体圧シリンダ
KR101507342B1 (ko)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EP4012177B1 (en) Motor and hydraulic pump device comprising the motor
CN101782127A (zh) 减震器的液压止动结构
KR100853572B1 (ko) 가스 스프링
KR102086109B1 (ko) 개선된 형상의 랜드부를 갖는 스풀을 구비한 비례감압밸브
KR102086117B1 (ko) 개선된 정렬 특성을 갖는 스풀을 구비한 비례감압밸브
KR20210120205A (ko) 쇽업소버
JP6238962B2 (ja) 緩衝器における改良
KR20230115664A (ko) 내장형 전자 제어 댐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