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342B1 -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342B1
KR101507342B1 KR1020140060236A KR20140060236A KR101507342B1 KR 101507342 B1 KR101507342 B1 KR 101507342B1 KR 1020140060236 A KR1020140060236 A KR 1020140060236A KR 20140060236 A KR20140060236 A KR 20140060236A KR 101507342 B1 KR101507342 B1 KR 101507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fice
spool
push rod
damping chamb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춘국
Original Assignee
(주)제일피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피엠씨 filed Critical (주)제일피엠씨
Priority to KR102014006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05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의 구성은 내부에 작동유 챔버(6)와 적어도 하나의 포트(7)가 구비된 밸브 바디(3); 상기 밸브 바디(3)에 포트(7) 및 작동유 챔버(6)를 통하여 종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작동유 흐름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풀(8); 상기 스풀(8)을 종방향으로 왕복운동 가이드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풀(8)의 종방향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작동유 챔버(6)와 연통되거나 연결 차단되는 스풀홀(9); 상기 밸브 바디(3)의 상부측에 조인트(2)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조인트(2)를 기준으로 시이소 운동하는 푸싱캠(10); 상기 푸싱캠(10)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기 스풀(8)을 누르는 푸시로드(5); 상기 푸시로드(5)의 외주면과 상기 밸브 바디(3) 사이에 형성된 댐핑 챔버(18); 상기 댐핑 챔버(18)를 제1댐핑 챔버(18A)와 제2댐핑 챔버(18B)로 구획하도록 상기 푸시로드(5)에 결합된 피스톤(22); 상기 피스톤(22)을 기준으로 상기 제1댐핑 챔버(18A)와 상기 제2댐핑 챔버(18B)의 유량을 조절하는 오리피스(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Oil pressure adjustment valve with improved neutral state return damping and neutral state return speed fuction}
본 발명은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댐핑실을 형성하여 푸싱캠의 중립 복귀시 댐핑 효과를 가지게 하는 한편,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피스톤 스프링이 구비되어 피스톤의 중립 복귀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푸싱캠에 의해 주요부인 푸시로드와 스풀을 누를 때에는 좀더 쉽게 누를 수 있고 푸시로드와 스풀 및 푸싱캠이 복귀될 때에는 무리없이 천천히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유압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나 로드와 같은 건설중장비에서는 조이스틱으로 조작하는 파일럿밸브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운전자의 조이스틱 조작에 따라 스풀이 작동하여 발생되는 파일럿신호압에 응답하여 붐이나 버킷과 같은 작업기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가 작동하게 된다. 유압조절밸브의 경우, 레버를 조작하여 푸시로드에 하강하는 힘이 가해지고, 푸시로드에 하강하는 힘이 생김에 따라 스풀이 푸시로드에 의해 아래로 눌려져서 오픈되면, 해당 포트(공급포트)로 작동유가 토출되고, 해당 포트로 작동유가 토출되면, 예를 들어 로드의 붐이 신축되거나 굴삭기의 버킷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기존의 유압조절밸브는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레버가 조인트로 밸브 바디에 연결되고 밸브 바디의 상측에서 복수개의 푸시로드들이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어서, 레버를 조작하면 푸싱캠이 푸시로드들을 선택적으로 눌러서 푸시로드의 하단에 연결된 스풀이 각각 스풀홀에서 상하 이동하게 된다.
밸브 바디에는 작동유 챔버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귀환포트를 통하여 탱크로 압유가 귀환되며, 외부의 유압펌프 및 액츄에이터로부터 작동유 챔버로 공급된 압유(작동유)가 밸브 바디의 각 포트로 배출되어 작업기의 액츄에이터 신호압으로서 작용한다. 다시 말해, 밸브 바디에는 복수개(통상 4개)의 포트가 구비되고, 밸브 바디의 내부에는 외부의 유압펌프 및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포트가 구비되고, 외부의 작동유 탱크와 연결되는 작동유 챔버가 포트의 상측에 구비되고, 작동유 챔버는 각 포트에 구비된 스풀의 작동에 따라 포트와 연통되거가 연통 차단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레버를 조작자가 작동시키는 기계적 작동수단에 의해 푸싱캠이 시이소 운동하면서 스풀들을 눌러 하강시키고, 스풀이 하강되면 작동유 챔버와 해당 눌려진 스풀측의 포트가 연통되면서 작동유 챔버에 있던 압유가 상기 스풀이 눌려진 포트로 공급되어 굴삭기와 같은 작업기의 액츄에이터 신호압을 작용하므로, 굴삭기의 버킷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스풀은 스프링에 의해 상향 복귀되도록 한다. 즉, 상기 유압조절밸브는 각각의 포트와 작동유 챔버 사이의 유로를 각 스풀이 막고 있어서 작업기(굴삭기의 버킷 등)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레버 조작으로 동작되는 스풀에 의해 해당 포트와 작동유 챔버 사이의 유로가 개방되면, 상기 작동유 챔버와 연통된 포트를 통한 신호압(작동유 압력)이 액츄에이터로 공급되어 예를 들어 로드의 붐이 신축되거나 굴삭기의 버킷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며, 스풀이 스프링의 힘으로 원상 복귀할 때에는 밸브 바디의 중심부에 형성된 귀환포트를 통하여 작동유 챔버로 작동유가 귀환하게 되는 것이다.
굴삭기 또는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에는 주행의 조작을 위해서 파일럿 유압조작 밸브(유압조절밸브)는 회전 조작되는 페달과 연결된 푸싱캠에 의해 스풀이 작동하게 되며, 상기 푸싱캠이 중립위치로 복귀시 스프링이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중립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푸싱캠의 중립위치로 복귀시 스프링의 과도한 탄성력에 의한 반발력으로 푸싱캠이 중립위치를 넘어 반대편 포트를 건드려 기기자체의 오작동 또는 진동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압 조작밸브(유압조절밸브)로 인한 오작동 및 진동은 중장비의 수명 및 작업안전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유압조절밸브의 주요부인 스풀과 푸싱캠이 중립 복귀시에 스프링의 과도한 탄성력에 의한 반발력으로 푸싱캠이 중립위치를 넘어 반대편 포트를 건드리게 되어서 기기자체의 오작동 또는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국내공개특허 특1998-087734호(1998.12.05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0803963호(2008.02.1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댐핑실을 형성하여 푸싱캠의 중립 복귀시 댐핑 효과를 가지게 하는 한편,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피스톤 스프링이 구비되어 피스톤의 중립 복귀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푸싱캠에 의해 주요부인 푸시로드와 스풀을 누를 때에는 좀더 쉽게 누를 수 있고 푸시로드와 스풀 및 푸싱캠이 복귀될 때에는 무리없이 천천히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압조절밸브로 인한 오작동 및 진동을 방지하여 중장비의 수명 및 작업안전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유압조절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작동유 챔버와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구비된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에 포트 및 작동유 챔버를 통하여 종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작동유 흐름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풀; 상기 스풀을 종방향으로 왕복운동 가이드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풀의 종방향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작동유 챔버와 연통되거나 연결 차단되는 스풀홀; 상기 밸브 바디의 상부측에 조인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조인트를 기준으로 시이소 운동하는 푸싱캠; 상기 푸싱캠에 연결되어 그 조작에 따라 상기 푸싱캠을 시이소 운동시키고 상기 스풀은 상기 스풀홀에서 왕복 이동시켜서 상기 포트를 상기 작동유 챔버에 대해 개폐시키는 레버;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시이소 운동하는 상기 푸싱캠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기 스풀을 누르는 푸시로드; 상기 푸시로드의 외주면과 상기 밸브 바디 사이에 형성된 댐핑 챔버; 상기 댐핑 챔버를 제1댐핑 챔버와 제2댐핑 챔버로 구획하도록 상기 푸시로드에 결합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을 기준으로 상기 제1댐핑 챔버와 상기 제2댐핑 챔버의 유량을 조절하는 오리피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피스톤을 기준으로 상기 제1댐핑 챔버와 상기 푸시로드의 내부와 연통된 제1오리피스와, 상기 제2댐핑 챔버와 상기 푸시로드의 내부와 연통된 제2오리피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로드는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유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오리피스는 상기 푸시로드 내부의 상기 유입홀과 상기 제1댐핑 챔버에 연통되며, 상기 제2오리피스는 상기 푸시로드 내부의 상기 유입홀과 상기 제2댐핑 챔버에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오리피스와 상기 제2오리피스는 상기 푸시로드의 외주면에서 일정 깊이 연장된 대경 오리피스부와, 상기 대경 오리피스부와 상기 유입홀에 이어짐과 동시에 내경은 대경 오리피스부의 내경보다 더 작은 소경 오리피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댐핑 챔버는 상기 피스톤을 기준으로 상기 제1댐핑 챔버보다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오리피스는 상기 피스톤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오리피스보다 상부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오리피스의 내경은 상기 제1오리피스의 내경보다 더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은 하측으로 연장된 측벽부를 구비하여,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와 상기 피스톤의 저면 사이에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상기 피스톤은 외주면에 오목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로드는 하단부에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스풀은 상단부에 결합 헤드가 구비되어, 상기 스풀의 상기 결합 헤드가 상기 푸시로드 하단부의 상기 결합홈에 수용된 상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풀의 외주면에는 링홈이 구비되고, 상기 링홈에 스냅링이 결합되며, 상기 스풀의 외주면에 결합된 지지판이 상기 스냅링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푸싱캠의 누름 동작에 의해 푸시로드와 스풀이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 눌려있던 스프링이 다시 펼쳐지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풀과 피스톤 및 푸시로드가 다시 원위치 상승하여 푸싱캠을 중립 위치로 회동복귀시키는데, 상기 푸시로드에 형성되어 있는 제2오리피스와 유입홀 및 제1오리피스를 통하여 오일이 제2댐핑 챔버에서 제1댐핑 챔버로 서서히 빠지게 되므로, 푸시로드와 피스톤 및 스풀이 스프링이 급속하게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급속하게 상승하지 않고 서서히 상승하므로, 푸싱캠이 중립 위치를 과도한 힘으로 올라오는 스풀과 푸시로드에 의해 중립 위치(원래의 수평 위치)를 넘어서 과도하게 반대편으로 회동되면서 반대폰 포트에 구비된 푸시로드와 스풀을 내리 누르도록 건드리는 경우가 방지된다. 따라서, 스풀과 푸시로드와 푸싱캠의 급속한 복귀로 인하여 푸싱캠이 중립 위치에서 과도하게 넘어가서 반대편 푸시 로드를 누르는 일이 없어서 각 포트에 연결된 기기(즉,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 등) 자체의 오작동 또는 진동을 유발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오리피스와 제2오리피스의 내경을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푸싱캠과 푸시로드와 스풀을 내리 누르는 작동은 보다 쉽게 이루어지고 푸시로드와 스풀이 올라올 때에는 서서히 올라오도록 하여 푸싱캠이 서서히 중립 위치로 서서히 복귀되도록 하는 기능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을 기준으로 상하로 구획된 제2댐핑 챔버와 제1댐핑 챔버를 구비하고, 제1오리피스와 제2오리피스를 구비함으로써 오일 유로 조절로 인한 댐핑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기존에 비하여 간단하며 공정시간 및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조절밸브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조절밸브의 주요부의 구조와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는 밸브 바디(3)의 내부에 복수개(적어도 2개 또는 4개)의 스풀(8)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스풀(8)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작동수단으로서, 각 스풀(8)의 상부에 설치된 푸시로드(5), 이 푸시로드(5)를 밸브 바디(3) 내측으로 누르도록 된 푸싱캠(10) 및 각각의 스풀(8)을 상향 지지하는 스프링(13)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밸브 바디(3)의 상부측에 조인트(2)를 매개로 연결되어 조인트(2)를 기준으로 시이소 운동하는 푸싱캠(10), 이 푸싱캠(10)에 연결되어 그 조작에 따라 푸싱캠(10)을 시이소 운동시키고 스풀(8)은 스풀홀(9)에서 왕복 이동시켜서 포트(7)를 작동유 챔버(6)에 대해 개폐시키는 레버와, 이러한 레버의 조작에 의해 푸싱캠(10)이 시이소 운동할 때에 눌려지면서 스풀(8)을 누르는 푸시로드(5)와, 이 푸시로드(5)의 외주면과 밸브 바디(3) 사이에 형성된 댐핑 챔버(18)와, 이러한 댐핑 챔버(18)를 제1댐핑 챔버(18A)와 제2댐핑 챔버(18B)로 구획하도록 푸시로드(5)에 결합된 피스톤(22) 및 피스톤(22)을 기준으로 제1댐핑 챔버(18A)와 제2댐핑 챔버(18B)의 유량을 조절하는 오리피스(20)를 포함하며, 댐핑실을 형성하여 푸싱캠(10)의 중립 복귀시 댐핑 효과를 가지게 하는 한편, 피스톤(22)을 탄성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11)이 구비되어 피스톤(22)의 중립 복귀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이때, 본 발명은 굴삭기, 유압모터, 유압실린더 등의 유압 작동식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통상의 작업기 내지 유압시스템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밸브 바디(3)는 외부의 유압펌프 및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포트(7)가 내부 하측에 구비되고, 외부의 작동유 탱크와 연결되는 작동유 챔버(6)가 그 상측에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트(7)와 작동유 챔버(6)의 사이에 상기 스풀(8)이 각각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고, 이 연결유로 하측에는 스풀(8)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스풀홀(9)이 형성된다. 상기 스풀홀(9)은 밸브 바디(3) 내부의 연결유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해당 스풀(8)이 폐쇄시 상기 중간 연결유로와 해당 스풀홀(9)이 폐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유로는 밸브 바디(3)의 내부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분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포트(7)에는 유압펌프로 연결되는 펌프포트가 형성되고 작동유 챔버(6)에는 작동유 탱크로 연결되는 탱크포트가 형성된다.
상기 푸시로드(5)는 하단부가 각 스풀(8)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밸브 바디(3) 외부로 돌출되어 단관 형태의 가이드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푸시로드(5)와 스풀(8)의 연결부에 환형의 지지판이 설치되고, 이 지지판을 상향 지지하도록 작동유 챔버(6)의 내부에 스프링(13)이 설치된다.
상기 푸싱캠(10)은 조인트(2)(필요시, 유니버설 조인트(2)가 될 수 있음)에 의해 중앙부가 밸브 바디(3)의 상부측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 바디(3)의 상부에 시이소오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푸싱캠(10)은 회동 중심(즉, 조인트(2)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이 각각 상기 푸시로드(5)의 외부로 돌출된 상단부를 누르게 된다. 상기 푸싱캠(10)의 상부측 중앙부에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연결축이 구비되고, 상기 푸싱캠(10)의 위쪽에 배치되는 레버의 하단부측 외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나사부와 푸싱캠(10)의 연결축의 나사부에 공통 결합되는 너트에 의해 푸싱캠(10)에 레버가 상호 연결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상기 푸싱캠(10)의 중앙부에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2)의 상면 중앙부에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연결축이 구비되어, 상기 조인트(2)의 연결축 외주면 나사부가 푸싱캠(10)의 나사홀에 볼트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푸싱캠(10)의 상면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연결축 외주면의 일부 나사부와 상기 레버 외주면의 나사부에 공통으로 너트가 결합됨으로써, 레버와 푸싱캠(10)이 상호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풀(8)은 포트(7)의 내부 또는 포트(7)와 작동유 챔버(6) 간의 연결유로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확경부가 형성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풀(8)은 상기 밸브 바디(3)에 포트(7) 및 작동유 챔버(6)를 통하여 종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유압펌프, 액츄에이터 및 작동유 탱크 간의 유체 흐름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밸브 바디(3)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스풀(8)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밸브 바디(3)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네 개의 스풀(8)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트(7)가 관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작동유 챔버(6)는 룸 형태로 이루어지며, 두 개의 유로, 다시 말해, 두 개의 포트(7)가 상하로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와 위치로 포트(7)와 작동유 챔버(6)가 구비된 통상의 밸브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풀(8)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작동수단으로서 상기 푸싱캠(10)과 스프링(13)을 예시하였으나, 이 작동수단은 통상의 밸브에서 스풀(8)을 왕복 운동시키는 다양한 구조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밸브 바디(3)의 내부에는 스풀(8)을 종방향으로 왕복운동 가이드되도록 하는 스풀홀(9)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스풀홀(9)는 스풀(8)이 밸브 바디(3)의 상하 방향으로 상대 승강되도록 밸브 바디(3)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풀홀(9)는 스풀(8)의 종방향 왕복 운동에 의해 작동유 챔버(6)와 연통되거나 연결 차단된다. 즉, 스풀(8)의 왕복 운동에 따라 스풀홀(9)와 작동유 챔버(6) 사이의 유로가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밸브 바디(3)는 스풀홀(9)의 내부 상부 위치에 작동유 챔버(6)가 구비되고, 작동유 챔버(6)의 위쪽에는 스풀홀(9)과 직상부에서 만나는 가이드홀(4)이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홀(4)은 그 하단부가 작동유 챔버(6)에 연통되고 그 상단부는 밸브 바디(3)의 상부측으로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홀(4)에 푸시로드(5)가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푸시로드(5)의 하단부에는 스풀(8)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판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푸싱캠(10)의 시이소 운동에 따라 푸시로드(5)가 눌려지고, 푸시로드(5)가 눌려지면 스풀(8)이 아래로 눌려져서 상기 작동유 챔버(6)와 포트(7) 사이의 유로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징적인 핵심 구성으로서 푸시로드(5)의 외주면과 밸브 바디(3) 사이에 형성된 댐핑 챔버(18)와, 이러한 댐핑 챔버(18)를 제1댐핑 챔버(18A)와 제2댐핑 챔버(18B)로 구획하도록 푸시로드(5)에 결합된 피스톤(22)과, 이 피스톤(22)을 기준으로 제1댐핑 챔버(18A)와 제2댐핑 챔버(18B)의 유량을 조절하는 오리피스(20)를 포함하며, 오리피스(20)는 제1오리피스(24)와 제2오리피스(26)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 바디(3) 내부의 스풀홀(9) 상부측에는 스프링실이 구비되어, 스프링실에 스프링(13)이 내장되며, 스프링실 상부 위치에 댐핑 챔버(18)가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22)은 밸브 바디(3)의 푸시로드(5)의 승강을 위한 가이드홀과 하부에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피스톤(22)은 하측으로 연장된 측벽부(23)를 구비한다. 밸브바디의 종단면으로 볼 때에 피스톤(22)이 아래로 개방된 단면 디귿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측벽부(23)의 피스톤(22)의 저면 사이에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다. 피스톤(22)의 외주면은 밸브바디와 푸시로드(5) 외주면 사이에 확보된 댐핑 챔버(18)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피스톤(22)의 외주면에는 오목홈(22a)이 구비된다. 오목홈(22a)은 피스톤(22)의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된다. 오목홈(22a)은 피스톤(22)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어진 환형홈으로 구성된다.
상기 댐핑 챔버(18)의 바닥면과 피스톤(22)의 저면 사이에 스프링(11)(복귀 스프링(11))이 개재된다. 스프링(11)의 하단부가 댐핑 챔버(18)의 바닥면에 닿아있고 스프링(11)의 상단부는 피스톤(22)의 저면에 닿아 있다. 피스톤(22)에 의해 댐핑 챔버(18)가 제1댐핑 챔버(18A)와 제2댐핑 챔버(18B)로 구획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11)의 하단부가 제2댐핑 챔버(18B)의 바닥면에 닿아 있고 스프링(11)의 상단부는 피스톤(22)의 저면에 닿아 있는 구조이다.
상기 푸시로드(5)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유입홀(15)(오일 유입홀(15))이 구비되는데, 제1오리피스(24)는 푸시로드(5) 내부의 유입홀(15)과 피스톤(22) 아래 위치의 제1댐핑 챔버(18A)와 연통된다. 제1오리피스(24)가 푸시로드(5)의 옆으로 뚫려서 상기 유입홀(15)과 연통된 구조이다. 상기 제2오리피스(26)는 푸시로드(5) 내부의 유입홀(15)과 피스톤(22) 위쪽의 제2댐핑 챔버(18B)와 연통된다. 제2오리피스(26)도 푸시로드(5)의 옆으로 뚫려서 상기 유입홀(15)과 연통된 구조이다. 피스톤(22)을 기준으로 아래쪽의 제1댐핑 챔버(18A)에 푸시로드(5) 내부의 유입홀(15)과 제1오리피스(24)가 연통되고 위쪽의 제2댐핑 챔버(18B)에 푸시로드(5) 내부의 유입홀(15)과 제2오리피스(26)가 연통되어, 상하부에 각각 제2오리피스(26)와 제1오리피스(24)가 나란하게 형성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결국, 상기 제2댐핑 챔버(18B)는 피스톤(22)을 기준으로 제1댐핑 챔버(18A)보다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오리피스(26)는 피스톤(22)을 기준으로 제1오리피스(24)보다 상부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오리피스(24)와 제2오리피스(26)는 푸시로드(5)의 외주면에서 일정 깊이 연장된 대경 오리피스부와, 상기 대경 오리피스부와 푸시로드(5) 내부의 유입홀(15)에 이어짐과 동시에 내경은 대경 오리피스부의 내경보다 더 작게 구성된 소경 오리피스부를 포함한다. 즉, 제1오리피스(24)는 제1대경 오리피스부(24a)와 제1소경 오리피스부(24b)를 구비하고, 제2오리피스(26)는 제2대경 오리피스부(26a)와 제2소경 오리피스부(26b)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대경 오리피스부와 소경 오리피스부들이 이어지는 부분은 상기 푸시로드(5)의 유입홀(15)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내경이 줄어드는 테이퍼부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시로드(5)는 하단부에 결합홈(5a)이 구비되고, 상기 스풀(8)은 상단부에 결합 헤드(8a)가 구비되어, 상기 스풀(8)의 결합 헤드(8a)가 푸시로드(5) 하단부의 결합홈(5a)에 수용된 상태로 연결된다. 스풀(8)의 결합 헤드(8a)가 푸시로드(5) 하단부 결합홈(5a)에 수용된 상태로 푸시로드(5)와 스풀(8)이 동시에 승강되도록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물론, 푸시로드(5)의 하단부에 스풀(8)의 상단부를 용접 등에 의해 연결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푸시로드(5)와 스풀(8)을 연결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압조절밸브의 전체적인 작동은 통상의 것과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가 레버을 밀거나 당겨 상기 푸싱캠(10)을 회동시키면 선택적으로 눌려진 일측의 푸시로드(5)가 그 하부에 연결된 스풀(8)을 하강시키게 되고, 푸싱캠(10)에 의한 하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13)에 의해 스풀(8)이 상향 복귀되며, 이러한 작동에 의한 각 스풀(8)의 위치에 따라 상기 포트(7)와 작동유 챔버(6)를 통한 유압펌프와 액츄에이터 및 작동유 탱크 간의 작동유 공급 방향과 유량이 조절되며, 이로 인하여 굴삭기의 버킷 등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핵심적인 구성으로서 피스톤(22)을 기준으로 상하로 구획된 제2댐핑 챔버(18B)와 제1댐핑 챔버(18A)를 구비하고, 제1오리피스(24)와 제2오리피스(26)를 구비함으로써 오일 유로 조절로 인한 댐핑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기존에 비하여 간단하며 공정시간 및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작동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굴삭기 등의 작업자가 레버를 잡고 조작하여 푸싱캠(10)이 시이소 운동하면서 어느 한쪽으로 눌려지도록 조작하면, 상기 푸싱캠(10)이 푸시로드(5)를 누르고, 푸시로드(5)의 눌려짐에 의해 스풀(8)이 하강한다. 스풀(8)이 하강하면서 스풀(8)의 하단부가 밑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스풀(8) 하단부가 밑으로 내려올 때에 제1댐핑 챔버(18A)에 차있던 오일은 푸시로드(5)에 구비된 제1오피스를 통해 유입홀(15)로 들어와서 상기 피스톤(22) 위쪽의 제2오리피스(26)를 통해 빠져나와 제2댐핑 챔버(18B)로 유입되므로, 상기 푸시로드(5)와 스풀(8)이 하강 작동될 수 있고, 스풀(8)이 하강하면 해당 포트(7)가 열리면서 오일이 공급된다.
다음, 작업자가 레버의 복귀 회동 작동을 시켜서 푸싱캠(10)이 해당 푸시로드(5)와 스풀(8)을 누른 작동이 해제되면, 제1댐핑실에 있는 스프링(11)(복귀 스프링(11))이 눌려져 있는 상태에서 다시 펴지면서 피스톤(22)을 위쪽, 다시 말해, 제2댐핑 챔버(18B)쪽으로 밀어올리는데, 이때에는 제2댐핑 챔버(18B)에 차있던 오일이 다시 제2오리피스(26)를 통해 푸시로드(5) 내부의 유입홀(15)로 들어오고 다시 제1오리피스(24)를 통해서 제1댐핑 챔버(18A)로 배출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푸시로드(5)와 피스톤(22) 및 스풀(8)이 스프링(11)이 급속하게 밀어내는 힘에 의해 급속하게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스풀(8)과 푸시로드(5)가 과도한 힘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푸싱캠(10)이 중립 위치를 넘어 반대편 포트(7)를 건드려 기기 자체의 오작동 또는 진동을 유발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푸싱캠(10)의 누름 동작에 의해 푸시로드(5)와 스풀(8)이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 눌려있던 스프링(11)이 다시 펼쳐지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풀(8)과 피스톤(22) 및 푸시로드(5)가 다시 원위치 상승하여 푸싱캠(10)을 중립 위치로 회동복귀시키는데, 상기 푸시로드(5)에 형성되어 있는 제2오리피스(26)와 유입홀(15) 및 제1오리피스(24)를 통하여 오일이 제2댐핑 챔버(18B)에서 제1댐핑 챔버(18A)로 서서히 빠지게 되므로, 푸시로드(5)와 피스톤(22) 및 스풀(8)이 스프링(11)이 급속하게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급속하게 상승하지 않고 서서히 상승하므로, 푸싱캠(10)이 중립 위치를 과도한 힘으로 올라오는 스풀(8)과 푸시로드(5)에 의해 중립 위치(원래의 수평 위치)를 넘어서 과도하게 반대편으로 회동되면서 반대폰 포트(7)에 구비된 푸시로드(5)와 스풀(8)을 내리 누르도록 건드리지 않기 때문에, 기기(즉,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 등) 자체의 오작동 또는 진동을 유발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오리피스(24)와 제2오리피스(26)의 내경을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푸싱캠(10)과 푸시로드(5)와 스풀(8)을 내리 누르는 작동은 보다 쉽게 이루어지고 푸시로드(5)와 스풀(8)이 올라올 때에는 서서히 올라오도록 하여 푸싱캠(10)이 서서히 중립 위치로 서서히 복귀되도록 하는 기능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위쪽의 제2오리피스(26) 내경이 아래쪽의 제1오리피스(24)의 내경에 비하여 더 크게 구성되어서, 푸싱캠(10)으로 푸시로드(5)와 스풀(8)을 내리 누르면, 제1댐핑 챔버(18A)에서 제1오리피스(24)와 유입홀(15)로 들어온 오일이 제2오리피스(26)에 의해서는 제1오리피스(24)에서보다는 더 빨이 빠져나와 제2댐핑 챔버(18B)로 더 빨리 배출되므로, 상기 푸시로드(5)와 스풀(8)을 누르는 작동은 보다 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푸시로드(5)와 스풀(8)을 눌려진 상태에서 스프링(11)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스풀(8)과 푸시로드(5) 및 피스톤(22)이 상승할 때에는 제2댐핑 챔버(18B)에서 제2오리피스(26)와 유입홀(15)로 들어온 오일이 제1오리피스(24)에 의해서는 제2오리피스(26)에서보다는 더 느린 속도로 빠져나와 제1댐핑 챔버(18A)로 더 서서히 배출되므로, 상기 푸시로드(5)와 스풀(8)을 무리없이 서서히 복귀시키는 작동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서는 제2오리피스(26)의 내경이 제1오리피스(24)의 내경에 비하여 더 크게 구성됨으로 인하여 푸시로드(5)와 스풀(8)의 누르는 동작은 보다 쉽게 이루어지는 한편 푸시로드(5)와 스풀(8)이 원위치로 상승할 때에는 급속도로 상승하지 않고 서서히 올라오도록 확실하게 제어하므로, 푸싱캠(10)이 중립 위치를 과도하게 넘어서 기기 자체의 오작동이나 진동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보다 신뢰성이 높다.
또한, 상기와 같이 푸싱캠(10)과 푸시로드(5)와 스풀(8)은 누른 작동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고 푸싱캠(10)과 푸시로드(5)와 스풀(8)이 확실하게 무리 없이 서서히 복귀되도록 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기존에 비하여 보다 심플해질 수 있으므로, 작동 안정성 및 조립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과 공정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오리피스(24)와 제2오리피스(26)는 푸시로드(5)의 외주면에서 일정 깊이 연장된 대경 오리피스부와, 상기 대경 오리피스부와 유입홀(15)에 이어짐과 동시에 내경은 대경 오리피스부의 내경보다 더 작은 소경 오리피스부로 구성되어서 푸시로드(5)와 스풀(8)이 하강 작동할 때에는 제1오리피스(24)의 제1대경 오리피스부(24a)로 일단 오일이 들어와서 제1소경 오리피스부(24b)에서 오일이 더 줄어든 양으로 유입홀(15) 내부로 들어오고 상기 제2오리피스(26)의 제2소경 오리피스부(26b)로 올라온 오일이 내경이 더 큰 제2대경 오리피스부(26a)를 통해 빠져 나가도록 되어 있어서, 오일이 무리없이 제1오리피스(24)와 유입홀(15) 및 제2오리피스(26)를 통해 유통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푸싱캠(10)과 푸시로드(5)와 스풀(8)이 눌릴 때에 내부 부하가 작용하는 현상을 더 저감시킬 수 있으며, 푸시로드(5)와 스풀(8)이 상승 작동(리턴 작동)할 때에는 제2오리피스(26)의 제2대경 오리피스부(26a)로 일단 오일이 들어와서 제2소경 오리피스부(26b)에서 오일이 더 줄어든 양으로 유입홀(15) 내부로 들어오고 상기 제1오리피스(24)의 제1소경 오리피스부(24b)로 내려온 오일이 내경이 더 큰 제1대경 오리피스부(24a)를 통해 빠져 나가도록 되어 있어서, 오일이 무리없이 제2오리피스(26)와 유입홀(15) 및 제1오리피스(24)를 통해 유통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푸싱캠(10)과 푸시로드(5)와 스풀(8)이 올라갈 때에도 역시 내부 부하가 작용하는 현상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5)는 하단부에 결합홈(5a)이 구비되고, 상기 스풀(8)은 상단부에 결합 헤드(8a)가 구비되어, 상기 스풀(8)의 결합 헤드(8a)가 푸시로드(5) 하단부의 결합홈(5a)에 수용된 상태로 연결되므로, 상기 푸시로드(5)와 스풀(8) 사이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도 보다 강한 특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a. 연결축 3. 밸브 바디
4. 가이드홀 5. 푸시로드
6. 작동유 챔버 7. 포트
8. 스풀 8a. 결합 헤드
9. 스풀홀 10. 푸싱캠
11. 스프링 15. 유입홀
18. 댐핑 챔버 18A. 제1댐핑 챔버
18B. 제2댐핑 챔버 20. 오리피스
22. 피스톤 22a. 오목홈
23. 측벽부 24. 제1오리피스
24a. 제1대경 오리피스부 24b. 제1소경 오리피스부
26. 제2오리피스 26a. 제2대경 오리피스부
26b. 제2소경 오리피스부

Claims (10)

  1. 내부에 작동유 챔버(6)와 적어도 하나의 포트(7)가 구비된 밸브 바디(3);
    상기 밸브 바디(3)에 포트(7) 및 작동유 챔버(6)를 통하여 종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작동유 흐름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풀(8);
    상기 스풀(8)을 종방향으로 왕복운동 가이드되도록 상기 밸브 바디(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풀(8)의 종방향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작동유 챔버(6)와 연통되거나 연결 차단되는 스풀홀(9);
    상기 밸브 바디(3)의 상부측에 조인트(2)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조인트(2)를 기준으로 시이소 운동하는 푸싱캠(10);
    상기 푸싱캠(10)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기 스풀(8)을 누르는 푸시로드(5);
    상기 푸시로드(5)의 외주면과 상기 밸브 바디(3) 사이에 형성된 댐핑 챔버(18);
    상기 댐핑 챔버(18)를 제1댐핑 챔버(18A)와 제2댐핑 챔버(18B)로 구획하도록 상기 푸시로드(5)에 결합된 피스톤(22);
    상기 피스톤(22)을 기준으로 상기 제1댐핑 챔버(18A)와 상기 제2댐핑 챔버(18B)의 유량을 조절하는 오리피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오리피스(20)는, 상기 피스톤(22)을 기준으로 상기 제1댐핑 챔버(18A)와 상기 푸시로드(5)의 내부와 연통된 제1오리피스(24)와, 상기 제2댐핑 챔버(18B)와 상기 푸시로드(5)의 내부와 연통된 제2오리피스(2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5)는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유입홀(15)이 구비되고, 상기 제1오리피스(24)는 상기 푸시로드(5) 내부의 상기 유입홀(15)과 상기 제1댐핑 챔버(18A)에 연통되며, 상기 제2오리피스(26)는 상기 푸시로드(5) 내부의 상기 유입홀(15)과 상기 제2댐핑 챔버(18B)에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리피스(24)와 상기 제2오리피스(26)는 상기 푸시로드(5)의 외주면에서 일정 깊이 연장된 대경 오리피스부와, 상기 대경 오리피스부와 상기 유입홀(15)에 이어짐과 동시에 내경은 대경 오리피스부의 내경보다 더 작은 소경 오리피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핑 챔버(18B)는 상기 피스톤(22)을 기준으로 상기 제1댐핑 챔버(18A)보다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오리피스(26)는 상기 피스톤(22)을 기준으로 상기 제1오리피스(24)보다 상부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오리피스(26)의 내경은 상기 제1오리피스(24)의 내경보다 더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2)은 하측으로 연장된 측벽부(23)를 구비하여, 상기 측벽부(23)의 하단부와 상기 피스톤(22)의 저면 사이에 스페이스가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2)은 외주면에 오목홈(22a)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5)는 하단부에 결합홈(5a)이 구비되고, 상기 스풀(8)은 상단부에 결합 헤드(8a)가 구비되어, 상기 스풀(8)의 상기 결합 헤드(8a)가 상기 푸시로드(5) 하단부의 상기 결합홈(5a)에 수용된 상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10. 삭제
KR1020140060236A 2014-05-20 2014-05-20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KR101507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236A KR101507342B1 (ko) 2014-05-20 2014-05-20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236A KR101507342B1 (ko) 2014-05-20 2014-05-20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342B1 true KR101507342B1 (ko) 2015-03-31

Family

ID=5302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236A KR101507342B1 (ko) 2014-05-20 2014-05-20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3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2574A1 (fr) * 2015-10-19 2017-04-21 Bosch Gmbh Robert Distributeur de liquide hydraulique sous une pression commandee
KR20190016784A (ko) * 2017-08-09 2019-02-19 (주)제일피엠씨 중립복귀 댐핑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CN109681484A (zh) * 2019-01-08 2019-04-26 江苏大学 一种机械式可调液压自动往复阀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4512A (en) 1977-01-06 1980-01-22 Rexroth-Sigma Fluid distributing devices, particularly for hydraulic remote control
KR19980061619U (ko) * 1997-03-21 1998-11-05 정춘국 유압조작밸브
KR0179581B1 (ko) * 1995-12-30 1999-04-15 석진철 중장비의 유압작동기 제어용 변위비례감압밸브
KR20100044037A (ko) * 2008-10-21 2010-04-29 윤권헌 유압조작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4512A (en) 1977-01-06 1980-01-22 Rexroth-Sigma Fluid distributing devices, particularly for hydraulic remote control
KR0179581B1 (ko) * 1995-12-30 1999-04-15 석진철 중장비의 유압작동기 제어용 변위비례감압밸브
KR19980061619U (ko) * 1997-03-21 1998-11-05 정춘국 유압조작밸브
KR20100044037A (ko) * 2008-10-21 2010-04-29 윤권헌 유압조작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2574A1 (fr) * 2015-10-19 2017-04-21 Bosch Gmbh Robert Distributeur de liquide hydraulique sous une pression commandee
KR20190016784A (ko) * 2017-08-09 2019-02-19 (주)제일피엠씨 중립복귀 댐핑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KR102043860B1 (ko) * 2017-08-09 2019-12-02 (주)제일피엠씨 중립복귀 댐핑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CN109681484A (zh) * 2019-01-08 2019-04-26 江苏大学 一种机械式可调液压自动往复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3651B2 (en) Proportional pressure-regulating valve
KR101444574B1 (ko) 제어 밸브
US10047771B2 (en) Construction machine
KR101507342B1 (ko) 중립 복귀 댐핑 기능과 중립 복귀 속도 향상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KR101335954B1 (ko) 누유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이스틱 파일럿 밸브
KR20130103304A (ko) 건설기계용 더블 체크밸브
KR20130132499A (ko) 건설기계용 홀딩밸브
AU2012397386B2 (en) Construction machine with floating function
CN103671325A (zh) 换向阀、液压执行元件换向控制回路及工程机械
KR100931851B1 (ko) 굴삭기 유압조작밸브
US7438089B2 (en) Hydraulic pilot control unit with oscillation damping system
JP2013518227A (ja) 液圧式のパイロット制御装置
KR101188838B1 (ko) 유압회로 및 유압잭 시스템의 작동방법
KR101509259B1 (ko) 유압장치의 홀딩밸브
KR100998611B1 (ko) 건설중장비용 홀딩밸브
KR102043860B1 (ko) 중립복귀 댐핑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JP4382046B2 (ja) パイロット弁
KR101946926B1 (ko) 스풀 작동 저항 방지 기능을 구비한 유압조절밸브
KR200475019Y1 (ko) 댐핑기능을 갖는 조이스틱 파일럿밸브
KR20200025139A (ko) 댐핑 오작동 방지 구조를 강화한 유압조절밸브
EP2345815B1 (en) A hydraulic valve for supporting and controlling descent of a load
KR200486356Y1 (ko) 착유기용 유압조절장치
JP2015135126A (ja) 油圧作動装置及びパンチャー
JP5944872B2 (ja) パイロットバルブ装置
KR101852364B1 (ko) 카운터 발란스 릴리프밸브의 원리를 응용한 고속제어 및 정밀 저속제어가 가능한 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