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675A -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향상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향상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675A
KR20230107675A KR1020237020535A KR20237020535A KR20230107675A KR 20230107675 A KR20230107675 A KR 20230107675A KR 1020237020535 A KR1020237020535 A KR 1020237020535A KR 20237020535 A KR20237020535 A KR 20237020535A KR 20230107675 A KR20230107675 A KR 20230107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ion information
inter
resource
transmission range
prefe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인
에마드 나데르 파라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07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제1 사용자 장비(UE)를 작동하는 방법은: 사이드링크(S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위해, SL 자원 및 구역 식별자(zone ID)를 포함하는 UE간 조정 정보를 제2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S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전송 범위를 식별하는 단계; 구역 ID에 기초하여 제2 UE 및 제1 UE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전송 범위 및 거리를 기반으로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SL 자원을 식별하는 단계; 및 SL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향상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자원 할당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5세대(5G) 또는 new radio(NR) 이동 통신은 최근 산업 및 학계의 다양한 후보 기술들에 대한 전 세계적인 기술 활동들로 증가하는 탄력(momentum)을 받고 있다. 5G/NR 이동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후보로는 기존 셀룰러 주파수 대역에서 고주파수에 이르기까지 빔포밍 이득을 제공하고 증가된 용량을 지원하기 위한 대규모 안테나 기술, 다양한 요구사항을 가진 다양한 서비스/애플리케이션들을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RAT)과 같은) 새로운 파형(new waveform), 대규모 연결들(massive connections)을 지원하는 새로운 다중 액세스 기법 등이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장비(UE)가 제공된다. 제1 UE는, 사이드링크(SL)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위해, 제2 UE로부터 SL 자원 및 구역 식별자(zone ID)를 포함하는 UE간 조정 정보(inter-UE coordin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UE는 송수신부에 작동적으로 결합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S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전송 범위를 식별하고, 구역 ID에 근거하여 제2 UE와 제1 UE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전송 범위 및 거리에 기반하여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한지 결정하고, 및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다는 판단에 기반하여 SL 자원을 식별하도록 설정된다. 제1 UE의 송수신부는 SL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더 설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UE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2 UE로부터 사이드링크(SL)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위해 사이드링크(SL) 자원 및 구역 ID를 포함하는 UE간 조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S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전송 범위를 식별하는 단계, 구역 ID에 근거하여 제2 UE와 제1 UE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전송 범위 및 거리에 기반하여 UE 간 조정 정보가 유효한지 결정하는 단계, UE 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다는 판단에 근거하여 SL 자원을 식별하는 단계, 및 SL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UE가 제공된다. 제2 UE는 SL 자원 및 구역 ID를 포함하는 UE간 조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2 UE는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송수신부는 SL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위한 UE간 조정 정보를 제1 UE로 전송하고 및 제1 UE로부터 SL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다 - 여기서, S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전송 범위가 식별되고, 구역 ID에 기초하여 제2 UE와 제1 UE 사이의 거리가 계산되고, 전송 범위 및 거리에 기초하여 UE간 조정 정보의 유효성이 결정되고, 및 SL 자원은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다는 판단에 근거하여 식별됨 -.
기타 기술적 특징들은 다음의 도면,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본 특허 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특정 단어와 구의 정의를 설명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을 것이다. "결합(couple) "이라는 용어와 그 파생어는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둘 이상의 요소들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통신을 의미한다. "전송(transmit)", "수신(receive)" 및 "통신(communicate)"이라는 용어들과 그 파생어들은 직접 및 간접 통신을 모두 포괄한다. "포함(include)" 이나 "포함(comprise)"이라는 용어 및 그 파생어는 제한 없는 포함을 의미한다. "또는(or)"는 "및/또는"을 의미하는 포괄적인(inclusive) 용어이다. "연관된(associated with)"이라는 어구 및 이의 파생어는 포함하다, 포함되다, 상호 연결되다, 포함하다(contain), 포함되다, 연결하다, 결합하다, 통신 가능하다, 협력하다, 끼워넣다, 병치하다, 근접하다, ~에 속박되다, 소유하다, ~의 특성을 갖다, ~와 관계를 맺다 등을 포함하고자 한다. "제어부(controll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어떠한 장치, 시스템 또는 그 일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부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제어부와 관련된 기능은 국부적이든 원격이든 중앙 집중화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라는 어구는 항목들의 목록과 함께 사용될 때 나열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조합이 사용될 수 있으며 목록에서 하나의 항목만 필요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와 B, A와 C, B와 C, A와 B와 C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로부터 만들어지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구현된다.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는,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로의 구현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components), 명령어(instructions) 집합, 절차, 함수, 객체, 클래스, 인스턴스, 관련 데이터, 또는 그 일부를 지칭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라는 문구는 소스 코드, 목적 코드 및 실행 가능 코드를 포함한 모든 유형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는 어구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 (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DVD) 또는 기타 유형의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일과성(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과성의(transitory) 전기적 또는 기타 신호를 전송하는 유선, 무선, 광학 또는 기타 통신 링크를 배제한다(exclude). 비일과성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매체, 및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또는 지울 수 있는 메모리 장치와 같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중에 덮어쓸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단어 및 구문에 대한 정의들은 이 특허 문서 전반에 걸쳐 제공된다. 당업자는 대부분은 아니지만 많은 경우에 이러한 정의들이 이렇게 정의된 단어 및 구의 이전 사용뿐만 아니라 미래 사용에도 적용됨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자원 할당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 및 그 장점들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하 다음의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 - 유사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냄 - 과 함께 참조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gNB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UE의 예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송신 및 수신 경로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를 통한 V2X 통신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SL 자원 할당을 위한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 채널 센싱(full channel sensing) 및 자원 선택의 예를 도시한다.
도 9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채널 센싱(partial channel sensing) 및 자원 선택의 예를 도시한다.
도 9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채널 센싱 및 자원 선택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채널 센싱 및 자원 선택을 위한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자원 할당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도 1 내지 11 및 이 특허 문서에서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가 적절하게 구비된 어떤 시스템 또는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음 문서들은 마치 여기에 완전히 설명된 것처럼 본 개시에 참조로써 포함된다: 3GPP TS 38.213 v16.3.0, "NR; 제어를 위한 물리 계층 절차(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Control)"; 3GPP TS 38.321 v16.2.0,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 규격(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 38.331 v.16.2.0, "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 규격(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tocol specification)"; and 3GPP TR 38.885 v.16.0.0, "NR V2X에 관한 연구 (Study on NR Vehicle-to-Everything (V2X))".
이하의 도 1 내지 3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의 설명은 상이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물리적 또는 구조적 제한을 시사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은 적절하게 구비된 어떤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1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100)의 다른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는 gNB(101)(예, 기지국(base station, BS)), gNB(102), 및 gNB(103)를 포함한다. gNB(101)는 gNB(102) 및 gNB(103)와 통신한다. gNB(101)는 또한 인터넷, 전용(proprietary)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 또는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130)와 통신한다.
gNB(102)는 gNB(102)의 커버리지 영역(120) 내의 복수의 제1 사용자 장비(UE)를 위해 네트워크(130)에 대한 무선 광대역 액세스(wireless broadband access)를 제공한다. 복수의 제1 UE는 소기업에 위치할 수 있는 UE(111), WiFi 핫스팟(HS)에 위치할 수 있는 UE(113), 제1 거주지(R)에 위치할 수 있는 UE(114), 제2 거주지(R)에 위치할 수 있는 UE(115), 및 휴대폰, 무선 랩탑, 무선 PDA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M)일 수 있는 UE(116)를 포함한다. gNB(103)는 gNB(103)의 커버리지 영역(125) 내의 복수의 제2 UE를 위해 네트워크(130)에 대한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제공한다. 복수의 제2 UE는 UE(115) 및 UE(11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gNB들(101-103) 중 하나 이상은 서로 통신할 수 있고, 또한 5G/NR, LTE, LTE-A, WiMAX, WiFi 또는 기타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UE들(111-116)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기지국(base station, BS)"이라는 용어는, 전송 포인트(TP), 전송-수신 포인트(TRP), 향상된 기지국(eNodeB 또는 eNB), 5G/NR 기지국(gNB), 매크로셀, 펨토셀, WiFi 액세스 포인트(AP), 기타 무선 지원 장치(wirelessly enabled device)와 같이, 네트워크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어떤 구성 요소(또는 구성 요소의 집합)를 지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5G/NR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R,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Wi-Fi 802.11a/b/g/n/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편의상, "BS" 및 "TRP"라는 용어들은 원격 단말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본 특허 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라는 용어는 이동국, 가입자국, 원격 단말, 무선 단말, 수신 포인트, 사용자 장치와 같은 어떤 구성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편의상, 본 특허 문서에서 "사용자 장비" 및 "UE"라는 용어는 BS에 무선으로 접속하는 원격 무선 장비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되며, UE는 이동식 장치(예,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 또는 일반적으로 고정식 장치(예,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자동 판매기)로 간주될 수도 있다.
점선은 커버리지 영역들(120, 125)의 대략적인 범위를 나타내며, 이들은 단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대략적인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커버리지 영역들(120, 125)과 같은 gNB와 관련된 커버리지 영역은, gNB의 구성 및 자연적 및 인위적인 장애물들과 연관된 무선 환경의 변화에 따라, 불규칙한 모양을 포함하여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분명히 이해해야 한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UE들(111-116) 중 하나 이상은 SL 통신에서 향상된 자원 할당을 위한 회로, 프로그래밍,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gNB들(101-103) 중 하나 이상은 SL 통신에서 향상된 자원 할당을 위한 회로, 프로그래밍,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100)는 UE(111)와 사이드링크 통신을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장치(예, UE(112A 내지 112C))를 통해 용이하게 되는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라인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UE들(112A 내지 112C)이 원격 위치에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전통적인 프런트홀(fronthaul) 및/또는 백홀(backhaul) 연결을 넘어서 또는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액세스 연결(예, BS(102))을 위한 용이성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UE(111)는 사이드링크 집합을 통해 UE들(112A 내지 112C)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일 예에서, UE(111)는 BS(102)의 지원이 있거나 없이 UE들(112A 내지 112C)과 사이드링크 통신을 통해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UE들(예, UE들(113 내지 116)로 도시됨)은 그들 자신의 장치들(예, UE(111)의 112A 내지 112C) 또는 다른 장치들과 하나 이상의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네트워크의 한 예를 보여주지만 도 1에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는 어떤 적절한 배치에서 임의의 수의 gNB 및 임의의 수의 U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NB(101)는 임의의 수의 UE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고 이러한 UE들에게 네트워크(130)에 대한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각 gNB(102-103)는 네트워크(130)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고 UE들에게 네트워크(130)에 대한 직접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gNB들(101, 102 및/또는 103)은 외부 전화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형의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또는 추가적인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gNB(102)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gNB(102)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도 1의 gNB들(101 및 103)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gNB들은 매우 다양한 구성을 가지며, 도 2는 본 개시의 범위를 gNB의 어떤 특정 구현에 제한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NB(102)는 복수의 안테나들(205a-205n), 복수의 RF 송수신부들(210a-210n), 송신(TX) 처리 회로(215), 및 수신(RX) 처리 회로(220)를 포함한다. gNB(102)는 또한 제어부/프로세서(225), 메모리(230), 및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를 포함한다.
RF 송수신부들(210a-210n)은, 네트워크(100) 상의 UE들에 의해 또는 사이드링크 상의 다른 UE들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와 같은, 들어오는(incoming) RF 신호들을 안테나들(205a-205n)로부터 수신한다. RF 송수신부들(210a-210n)은 들어오는 RF 신호들을 하향 변환하여(down-convert)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한다.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들은 RX 처리 회로(220)로 전송되고, RX 처리 회로(220)는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들을 필터링, 디코딩 및/또는 디지털화함으로써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한다. RX 처리 회로(220)는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들을 제어부/프로세서(225)로 전송한다.
TX 처리 회로(215)는 제어부/프로세서(225)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예, 음성 데이터, 웹 데이터, 이메일, 또는 대화형 비디오 게임 데이터)를 수신한다. TX 처리 회로(215)는 나가는(outgoing) 기저대역 데이터를 인코딩, 다중화 및/또는 디지털화하여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들을 생성한다. RF 송수신부들(210a-210n)는 TX 처리 회로(215)로부터 처리된 나가는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들을 수신하고,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들을 안테나들(205a-205n)을 통해 전송되는 RF 신호들로 상향 변환한다(up-convert).
제어부/프로세서(225)는 gNB(102)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기타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프로세서(225)는 잘 알려진 원리에 따라 RF 송수신부들(210a-210n), RX 처리 회로(220) 및 TX 처리 회로(215)에 의한 상향링크 채널 신호들의 수신 및 하향링크 채널 신호들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프로세서(225)는 더 진보된 무선 통신 기능과 같은 추가 기능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프로세서(225)는 나가는 신호들을 원하는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조종하기(steer) 위해 다중 안테나(205a-205n)로부터/로 나가는/들어오는 신호들에게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빔 형성 또는 방향성 라우팅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프로세서(225)에 의해 gNB(102)에서 매우 다양한 기타 기능들이 지원될 수 있다.
제어부/프로세서(225)는 또한 OS와 같은 메모리(230)에 상주하는 프로그램 및 기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프로세서(225)는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의해 요구되는 대로 데이터를 메모리(230)로 또는 메모리(230)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프로세서(225)는 또한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와 결합된다. 백홀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5)는 gNB(102)가 백홀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 또는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한다. 인터페이스(235)는 어떤 적합한 유선 또는 무선 연결(들)을 통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NB(102)가 (5G/NR, LTE 또는 LTE-A를 지원하는 것과 같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일부로서 구현될 때, 인터페이스(235)는 gNB(102)가 유선 또는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해 다른 gNB와 통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gNB(102)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구현될 때, 인터페이스(235)는 gNB(102)가 유선 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인터넷과 같은) 더 큰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35)는 이더넷 또는 RF 송수신부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한 통신을 지원하는 어떤 적합한 구조를 포함한다.
메모리(230)는 제어부/프로세서(225)와 결합된다. 메모리(230)의 일부는 RAM을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230)의 다른 일부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RO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gNB(102)의 일례를 도시하지만, 도 2에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gNB(102)는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를 임의의 개수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예로서, 액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인터페이스(235)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프로세서(225)는 향상된 자원 할당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예로서, 하나의 TX 처리 회로(215) 및 하나의 RX 처리 회로(2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gNB(102)는 이 각각에 대해 여러 개(예를 들어, RF 송수신부 당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결합되거나, 더 세분화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필요에 따라 부가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UE(116)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UE(116)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도 1의 UE들(111-115)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UE들은 매우 다양한 구성을 가지며, 도 3은 본 개시의 범위를 UE의 어떤 특정한 구현에 제한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16)는 안테나(305), 무선 주파수(RF) 송수신부(310), TX 처리 회로(315), 마이크로폰(320), 및 수신(RX) 처리 회로(325)를 포함한다. UE(116)는 또한 스피커(330), 프로세서(34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IF)(345), 터치 스크린(350), 디스플레이(355), 및 메모리(360)를 포함한다. 메모리(360)는 운영 체제(OS)(361) 및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362)을 포함한다.
RF 송수신부(310)는 무선 네트워크(100)의 gNB에 의해 송신된 들어오는 RF 신호를 안테나(305)로부터 수신한다. RF 송수신부(310)는 들어오는 RF 신호를 하향 변환하여 중간 주파수(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IF 또는 기저대역 신호는,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필터링, 디코딩 및/또는 디지털화함으로써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RX 처리 회로(325)로 전송된다. RX 처리 회로(325)는 처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스피커(330)로 전송하거나(음성 데이터와 같은 경우), 추가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340)로 전송한다(웹 브라우징 데이터와 같은 경우).
TX 처리 회로(315)는 마이크로폰(320)으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340)로부터 (웹 데이터, 이메일, 또는 대화형 비디오 게임 데이터와 같은) 기타 나가는 기저대역 데이터를 수신한다. TX 처리 회로(315)는 나가는 기저대역 데이터를 인코딩, 다중화 및/또는 디지털화하여 처리된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생성한다. RF 송수신부(310)는 처리된 나가는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TX 처리 회로(315)로부터 수신하고, 기저대역 또는 IF 신호를 안테나(305)를 통해 전송되는 RF 신호로 상향 변환한다.
프로세서(34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기타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UE(116)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360)에 저장된 OS(361)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40)는 잘 알려진 원리에 따라 RF 송수신부(310), RX 처리 회로(325), 및 TX 처리 회로(315)에 의한 하향링크 및/또는 사이드링크 채널 신호의 수신과 상향링크 및/또는 사이드링크 채널 신호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4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40)는 또한 향상된 자원 할당을 위한 프로세스와 같은 메모리(360)에 상주하는 다른 프로세스 및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40)는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의해 요구되는 대로 데이터를 메모리(360)로 또는 메모리(360)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40)는 OS(361)에 기반하여 또는 gNB 또는 조작자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362)을 실행하도록 설정된다. 프로세서(340)는 또한 I/O 인터페이스(345)에 결합되는데, 이 I/O 인터페이스(345)는 UE(116)에게 랩탑 컴퓨터 및 핸드헬드 컴퓨터와 같은 다른 장치에 연결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I/O 인터페이스(345)는 이러한 액세서리와 프로세서(340) 사이의 통신 경로이다.
프로세서(340)는 또한 터치스크린(350) 및 디스플레이(355)에 결합된다. UE(116)의 조작자는 데이터를 UE(116)에 입력하기 위해 터치스크린(350)을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55)는 액정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또는 웹 사이트와 같은 것으로부터의 텍스트 및/또는 적어도 제한된 그래픽을 렌더링할 수 있는 다른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메모리(360)는 프로세서(340)와 결합된다. 메모리(360)의 일부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360)의 다른 일부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읽기 전용 메모리(RO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UE(116)의 일례를 도시하지만, 도 3에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결합되거나, 더 세분화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필요에 따라 부가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프로세서(340)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및 하나 이상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와 같은 복수의 프로세서들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도 3은 이동전화 또는 스마트폰으로 설정된 UE(116)를 도시하지만, UE들은 다른 유형의 이동 또는 고정식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4G 통신 시스템의 구축 이후 증가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하고 다양한 수직 애플리케이션들(vertical applications)이 가능하도록 5G/NR 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어 현재 배치되고 있다. 5G/NR 통신 시스템은 더 높은 데이터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28 GHz 또는 60 GHz 대역과 같이 더 높은 주파수(mmWave) 대역에서 구현되거나, 강건한 커버리지 및 이동성 지원이 가능하도록 6 GHz와 같이 더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전파(radio wave)의 전파 손실을 감소시키고, 송신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빔포밍(beamforming), 대용량 MIMO(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전차원 MIMO(FD-MIMO), 어레이 안테나, 아날로그 빔포밍, 대규모 안테나 기술 등이 5G/NR 통신 시스템에서 논의된다.
또한, 5G/NR 통신 시스템에서, 첨단 소형 셀, 클라우드 RAN(radio access network), 초 고밀도 네트워크, D2D 통신, 무선 백홀, 이동 네트워크, 협력 통신, CoMP(Coordinated Multi-Point), 수신 단 간섭 제거 등을 기반으로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가 5G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5G 시스템 및 이와 관련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논의는 참조용이다. 다만, 본 개시는 5G 시스템 또는 이와 관련된 주파수 대역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어떠한 주파수 대역과도 연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양상은 5G 통신 시스템의 배치 및 테라헤르츠(THz) 대역을 사용할 수 있는 6G 또는 그 이후 릴리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또는 하나 이상의 전송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로부터 UE들로의 전송을 지칭하는 하향링크(downlink, DL), UE들로부터 기지국 또는 하나 이상의 수신 포인트(reception point)로의 전송을 지칭하는 상향링크(uplink, UL), 및 하나 이상의 UE로부터 하나 이상의 UE로의 전송을 지칭하는 사이드링크(sidelink, SL)를 포함한다.
셀(cell) 상에서 DL 시그널링 또는 UL 시그널링을 위한 시간 단위를 슬롯(slot)이라 하며 하나 이상의 심볼(symbol)을 포함할 수 있다. 심볼은 추가적인 시간 단위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주파수(또는 대역폭(BW)) 단위를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라고 한다. 하나의 RB는 다수의 부반송파(sub-carrier, SC)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슬롯은 0.5밀리초 또는 1밀리초의 지속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14개의 심볼을 포함하고, 또한 RB는 SC 간 간격(inter-SC spacing)이 15KHz, 30KHz 등인 12개의 SC를 포함할 수 있다.
DL 신호는 정보 콘텐츠를 전달하는 데이터 신호, DL 제어 정보(DCI)를 전달하는 제어 신호, 및 파일럿 신호로도 알려진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포함한다. gNB는 물리적 DL 공유 채널(physical DL shared channel, PDSCH) 또는 물리적 DL 제어 채널(physical DL control channel, PDCCH)을 통해 데이터 정보 또는 DCI를 각각 전송한다. PDSCH 또는 PDCCH는 하나의 슬롯 심볼을 포함하여 가변 개수의 슬롯 심볼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간략하게, UE에 의한 PDSCH 수신을 스케줄 하는 DCI 포맷(format)을 DL DCI 포맷이라고 하고, UE로부터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의 전송을 스케줄 하는 DCI 포맷을 UL DCI 포맷이라고 한다.
gNB는 채널 상태 정보 RS(CSI-RS) 및 복조 RS(DMRS)를 포함하여 여러 유형의 RS들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한다. CSI-RS는 주로 UE가 측정을 수행하고 CSI를 gNB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채널 측정을 위해 비영전력(non-zero power, NZP) CSI-RS 자원이 사용된다. 간섭 측정 보고(interference measurement report, IMR)을 위해, 영전력 CSI-RS(ZP CSI-RS) 설정과 관련된 CSI 간섭 측정(CSI-IM) 자원이 사용된다. CSI 프로세스는 NZP CSI-RS 및 CSI-IM 자원들을 포함한다.
UE는 gNB로부터의 DL 제어 시그널링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CSI-RS 전송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개별적인 CSI-RS 전송은 DL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되거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DMRS는 각각의 PDCCH 또는 PDSCH의 BW에서만 전송되며, UE는 DMRS를 이용하여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복조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송신 및 수신 경로의 예를 도시한다. 다음 설명에서, 전송 경로(400)는 gNB(예, gNB(102))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고, 수신 경로(500)는 UE(예, UE(116))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 그러나, 수신 경로(500)는 gNB에서 구현될 수 있고 전송 경로(400)는 UE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SL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수신 경로(500)가 제1 UE에서 구현될 수 있고 전송 경로(400)가 제2 UE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이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 경로(500)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V2X 통신에서 사이드링크 측정을 지원하도록 설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경로(400)는 채널 코딩 및 변조 블록(405), 직렬-병렬(S-to-P) 블록(410), 크기 N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 블록(415), 병렬-직렬(P-to-S) 블록(420), 순환 전치(cyclic prefix) 추가 블록(425), 및 상향 변환기(up-converter, UC)(43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경로(500)는 하향 변환기(down-converter, DC)(555), 순환 전치 제거 블록(560), 직렬-병렬(S-to-P) 블록(565), 크기 N 고속 푸리에 변환(FFT) 블록(570), 병렬-직렬(P-to-S) 블록(575), 및 채널 디코딩 및 복조 블록(580)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코딩 및 변조 블록(405)은 정보 비트들의 집합을 수신하고, (저밀도 패리티체크(LDPC) 코딩과 같은) 코딩을 적용하고, 입력 비트들을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또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과 같은 것으로) 변조하여 주파수 도메인 변조 심볼들의 시퀀스를 생성한다.
직렬-병렬 블록(410)은 N개의 병렬 심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직렬 변조된 심볼들을 병렬 데이터로 (역다중화와 같이) 변환하며, 여기서 N은 gNB(102) 및 UE(116)에서 사용되는 IFFT/FFT 크기이다. 크기 N IFFT 블록(415)은 N개의 병렬 심볼 스트림에 대해 IFFT 연산을 수행하여 시간-도메인 출력 신호들을 생성한다. 병렬-직렬 블록(420)은 직렬 시간-도메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크기 N IFFT 블록(415)으로부터의 병렬 시간-도메인 출력 심볼들을 (다중화와 같이) 변환한다. 순환 전치 추가 블록(425)은 시간-도메인 신호에 순환 전치(cyclic prefix)를 삽입한다. 상향 변환기(430)는, 무선 채널을 통한 전송을 위해, 순환 전치 추가 블록(425)의 출력을 RF 주파수로 변조(예, 상향 변환)한다. 신호는 RF 주파수로 변환되기 전에 기저대역에서 필터링될 수도 있다.
gNB(102)로부터의 송신 RF 신호는 무선 채널을 통과하여 UE(116)에 도달하고, gNB(102)에서 적용된 동작들의 역동작들(reverse operations)이 UE(116)에서 수행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변환기(555)는 수신된 신호를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고, 순환 전치 제거 블록(560)은 순환 전치를 제거하여 직렬 시간-도메인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직렬-병렬 블록(565)은 시간-도메인 기저대역 신호를 병렬 시간-도메인 신호로 변환한다. 크기 N FFT 블록(570)은 FFT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N개의 병렬 주파수-도메인 신호를 생성한다. 병렬-직렬 블록(575)은 병렬 주파수-도메인 신호들을 변조된 데이터 심볼들의 시퀀스로 변환한다. 채널 디코딩 및 복조 블록(580)은 변조된 심볼들을 복조하고 디코딩 하여 원래의 입력 데이터 스트림을 복구한다.
gNB들(101-103)의 각각은 UE들(111-116)에게 하향링크로 전송하는 것과 유사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경로(400)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UE들(111-116)로부터 상향링크로 수신하는 것과 유사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신 경로(500)를 구현할 수 있다. 유사하게, UE들(111-116)의 각각은 gNB들(101-103)에게 상향링크로 전송 및/또는 다른 UE로 사이드링크로 전송하기 위해 전송 경로(400)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BS들(101-103)로부터 하향링크로 수신 및/또는 다른 UE로부터 사이드링크로 수신하기 위해 수신 경로(50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와 도 5의 각 구성요소는 하드웨어만을 사용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펌웨어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도 4 및 도 5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구성 요소는 설정 가능한(configurable)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설정 가능한 하드웨어의 혼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FT 블록(570) 및 IFFT 블록(515)은 설정 가능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크기 N의 값은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FFT 및 IFFT를 사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산 푸리에 변환(DFT) 및 역 이산 푸리에 변환(IDFT) 함수들과 같은 다른 유형의 변환이 사용될 수 있다. DFT 및 IDFT 함수들에 대한 변수 N의 값은 (1, 2, 3, 4 등과 같은) 임의의 정수일 수 있지만, FFT 및 IFFT 함수들에 대한 변수 N의 값은 (1, 2, 4, 8, 16 등과 같은) 2의 거듭제곱인 어떤 정수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무선 전송 및 수신 경로의 예를 보여주지만 도 4와 도 5에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결합되거나, 더 세분화되거나, 생략될 수 있고, 또한 특정한 필요에 따라 부가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송신 및 수신 경로들 유형의 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어떤 다른 적절한 구조(architecture)도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3GPP 무선 규격에서는 NR이 5G 무선 통신으로 논의되고 있다. 논의 중인 NR 특징들 중 하나는 V2X 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를 통한 V2X 통신(600)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사이드링크를 통한 V2X 통신(6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6은 차량 간 통신(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의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두 대 또는 여러 대의 차량이 차량 간 직접 링크/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제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차량 간 또는 차량과 다른 사물 간의 직접 링크/인터페이스를 3GPP에서는 사이드링크(SL)라고 한다. 도 6은 SL 자원, SL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 등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이 여전히 gNB와 통신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도시하지만, gNB와의 상호 작용 없이도 차량들은 여전히 SL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 경우, SL 자원, SL 무선 베어러 설정 등이 미리 설정된다 (예, V2X 서버 또는 기타 코어 네트워크 엔터티를 통해).
보다 상세한 V2X 시나리오 및 연구가 3GPP 표준 규격에 소개되었다. UL(예: UE에서 gNB로의 링크)과 비교하여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메커니즘이다. UL에서 전송을 위한 자원은 gNB에 의해 할당되지만, SL에서는 UE 자체적으로 SL 자원 풀(SL resource pool) 내에서 자원을 선택한다 - 복수의 SL 자원 풀이 설정된 경우, UE의 채널 센싱 결과 및 데이터/제어 전송에 필요한 자원의 수를 기반으로 하여, SL 자원 풀이 gNB에 의해 설정되고 UE에 의해 선택됨 -. SL 자원 선택에 대한 세부사항은 3GPP 표준 규격에 명시되어 있다.
3GPP Rel-16에서는 기본적인 SL 통신 기능들이 지원된다. Rel-17의 경우, SL에 더 향상된 특징들을 도입할 계획이다. Rel-17 특징들 중 하나는 TX UE(SL을 통해 데이터/제어를 전송하려는 UE) 자신의 SL 채널 센싱 외에 다른 UE의 SL 채널 센싱 결과를 고려함으로써 향상된 SL 자원 할당 메커니즘을 도입하는 것이다. 다른 UE(들)은 UE간 조정 정보(inter-UE coordination information)라 불리는 제어 메시지에 의해 자신의 채널 센싱으로부터 도출된 선호 및/또는 비선호 자원 정보 집합을 TX UE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효율적인 UE간 조정 기반 자원 할당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SL 자원 할당을 위한 시그널링 흐름(70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 흐름(700)은 UE들(예,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111-116) 및 다른 UE(들)(예,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111A-111C)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시그널링 흐름(7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L UE#1(701)은 SL을 통해 데이터/제어를 전송하고자 하고, SL UE#2(703)는 UE간 조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L UE#2(703)는 SL UE#1 또는 UE간 조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어떤 다른 UE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제어의 수신 UE일 수 있다. 단계 711 및 단계 713에서, SL UE#1과 UE#2는 전송을 위해 선택된 자원 풀(들) 내의 자원에 대해 SL 채널 센싱을 수행한다. UE#2는 UE간 조정 REQ를 수신한 (721a) 후에 단계 713을 수행할 수 있다.
UE#2의 관점에서, UE#2는 전송할 데이터/제어가 없지만 UE#2는 여전히 UE간 조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SL 채널 센싱을 수행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일단 SL UE#1이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해 설정되면 단계 711은 항상 백그라운드에서 수행될 수 있고, 일단 UE#2가 UE간 조정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되면 단계 713은 항상 백그라운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단계 721a에서, SL UE#1은 UE간 조정 요청(REQ)을 전송한다. SL UE#1은 임의의 SL 캐스트 유형(SL 유니캐스트, SL 그룹캐스트, 또는 SL 브로드캐스트)에 의해 UE간 조정 REQ를 전송할 수 있다.
UE간 조정 REQ는 다음 정보 또는 다음 정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i) {선호 자원의 집합 및 해당 자원 풀 id} 정보의 목록; (ii) SL UE#1 위치 정보(예, SL UE#1이 위치한 구역 id) 및 전송 범위 정보; (iii) SL 캐스트 유형 및 UE간 조정 정보를 제공하는 타겟 UE id; 및 (iv) 자원 필터링 지시.
해당 자원 풀 id는 SL UE#1이 전송을 위해 선택한 자원 풀을 나타낸다. 선호 자원 집합은 SL UE#1의 선호 자원 정보, 예를 들어 해당 자원 풀 내의 선호 SL 채널 인덱스/번호를 나타내거나, 또는 해당 자원 풀 내의 각 SL 채널에 대해 선호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가 포함될 수 있다. 선호 자원(들)은 SL UE#1의 채널 센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채널 센싱 결과 자원의 측정된 채널 혼잡 비(channel busy ratio)가 임계값(threshold) 미만인 경우 이 자원이 전송을 위한 선호 자원(preferred resource)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을 위해, 도 7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측정된 채널 혼잡 비를 비교하기 위한 임계값 및/또는 히스테리시스 파라미터도 gNB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자원을 선호 자원으로 설정하기 위한 진입 조건(entering condition)은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Figure pct00001
.
일 예에서, 자원을 선호 자원으로 설정하지 않는 이탈 조건(leaving condition)은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Figure pct00002
.
수식의 변수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 Ms는 전송 자원 풀 내의 자원에 대한 채널 혼잡 비의 측정 결과이고, (ii) Hys는 이 판단을 위한 히스테리시스 파라미터이고, 및 (iii) Thresh는 이 판단을 위한 임계 파라미터이다.
SL UE#1은 복수의 자원이 위의 예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복수의 선호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호 자원의 개수를 제한하기 위해,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UE간 조정 REQ에 포함될 선호 자원 정보의 최대 개수도 gNB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SL UE#1은 전송을 위해 복수의 자원 풀이 (사전에)설정된 경우 전송을 위한 복수의 자원 풀에 대한 복수의 선호 자원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선호 자원 집합 및 해당 자원 풀 ID} 목록의 수를 제한하기 위해,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UE간 조정 REQ에 포함될 최대 목록 수는 gNB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SL UE#1 위치 정보는 SL UE#1의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세 GPS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세 GPS 위치 정보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상세 GPS 위치 정보 대신에 SL UE#1이 위치한 구역 id(zone id)가 포함될 수 있다. SL UE#1이 위치한 구역 id는 GPS로부터 도출된 SL UE#1의 실제 위치가 어느 구역에 속하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역 정보(zone information)(예, 전 세계를 구역으로 나누는 방법)는 gNB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el-16 SL에서 SL 그룹캐스트 특정 HARQ(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 메커니즘을 위해 도입된 다음과 같은 구역 id 계산은 UE간 조정 정보의 UE 위치 정보에 재사용될 수 있다. sl-ZoneLength(미터들의 X unit으로)를 포함하는 sl-ZoneConfig는 gNB에 의해 설정되거나(시스템 정보 또는 UE 전용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의해) 또는 미리 설정된다.
sl-ZoneConfig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UE는 표 1과 같은 다음 수식을 사용하여 UE가 위치한 구역의 ID(즉, Zone_id)를 결정할 수 있다.
표 1. 수식
Figure pct00003
표 1에 표시된 수식에 대해, 수식의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 Lsl-ZoneConfig에 포함된 sl-ZoneLength의 값이고, (ii) x는 3GPP 표준 규격에 따른 UE의 현재 위치와 지리적 좌표(0, 0) 사이의 경도 측지선 거리이고 x는 미터 단위로 표현되며, 및 (iii) y는 3GPP 표준 규격에 따른 UE의 현재 위치와 지리적 좌표(0, 0) 사이의 위도 측지선 거리이고 y는 미터 단위로 표현된다.
전송 범위 정보(또는 통신 범위 정보)는 전송해야 할 SL 데이터/제어에 필요한 전송 범위를 나타낸다. 이 정보는 전송될 SL 데이터/제어에 필요한 서비스 품질(QoS) 정보와 함께 상위 계층에 의해 제공되거나, 또는 이 정보는 gNB에 의해 해당하는 SL PQI(PC5 5G QoS identifier)로 설정되거나(시스템 정보 또는 UE 전용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의해) 또는 해당 SL PQI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 정보는 목적지(destination) 계층 2(layer 2, L2) id 또는 논리 채널 id와 연관될 수 있다. (사전) 설정된 경우, 이 정보는 미터 수를 나타낸다. SL 데이터/제어가 서로 다른 SL 논리 채널(또는 서로 다른 SL 애플리케이션)로부터 도착하는 경우 SL 데이터/제어는 서로 다른 필요 전송 범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캐스트 유형(cast-type) 정보는 SL 유니캐스트(일대일 통신)인지, SL 그룹캐스트(일대 M 통신이고 M은 전송 UE와 동일한 그룹에 속함)인지, 또는 SL 브로드캐스트(일대모두 통신)인지를 나타낸다. 타겟 UE id는 목적지/수신자 UE(들)의 L1/L2 id를 나타낸다. L1 id는 L1(또는 물리적)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것이고, L2 id는 다중 접근 제어(MAC) 헤더에 사용되는 것이다. L1 id는 L2 id의 일부일 수 있다. 타겟 UE id는 SL 유니캐스트에서 하나의 특정 목적지/수신자 UE를 나타낼 수 있는 반면, 타겟 UE id는 SL 그룹캐스트에서 하나의 그룹 id 또는 특정 서비스 id를 나타낼 수 있고 SL 브로드캐스트에서 모든 SL UE를 나타낼 수 있다. 캐스트 유형 및/또는 타겟 UE id 정보는 전송될 데이터/제어에 대한 캐스트 유형 및/또는 타겟 UE id에 따라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캐스트 유형 및/또는 타겟 UE id는 전송될 데이터/제어의 실제 목적지/수신자 UE(들)에 관계없이 UE간 조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타겟 UE의 선정만을 위해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자원 필터링 지시(resource filtering indication)는 언제 SL UE#2가 해당 UE간 조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다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지시 A(indication A)가 포함된다. 지시 A는 721a 단계에서 수신된 선호 자원 집합에 대해 SL UE#2가 상이한 정보를 가질 때만 SL UE#2가 해당 UE간 조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SL UE#2가 단계 721a에서 수신한 "선호 자원"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선호하지 않는 자원"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그렇지 않으면, SL UE#2는 해당 UE간 조정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일 예에서, 지시 B가 포함된다. 지시 B는 단계 721a에서 수신된 선호 자원 집합에 대해 SL UE#2가 어떤 정보를 가지고 있을 때 SL UE#2가 해당 UE간 조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수신된 정보와 동일한 것인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일 예에서, 지시 C가 포함된다. 지시 C는 721a 단계에서 수신된 선호 자원 집합에 관련된 제한 없이 SL UE#2가 어떠한 정보라도 가지고 있을 때 SL UE#2가 해당 UE간 조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단계 721a에서 SL UE#1이 신호를 전송하면, SL UE#1은 타이머 T#1을 시작시킨다. T#1은 해당 UE간 조정 정보를 대기하는(wait) 것이다. T#1 만료 이전에 UE간 조정 정보가 수신된 경우, SL UE#1은 UE간 조정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단계 743의 최종 자원 선택에서 고려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SL UE#1은 단계 743 의 최종 자원 선택에서 자신의 정보만을 고려할 수 있다.
SL UE#2는 단계 721a에서 UE간 조정 REQ를 수신하면, 단계 721b에서 해당 UE간 조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계산된 SL UE#1과 SL UE#2 사이의 거리와 수신된 전송/통신 범위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 SL UE#1과 SL UE#2 사이의 거리는 GPS/GNSS로부터 도출된 SL UE#2의 위치(또는, SL UE#1과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는 SL UE#2이 위치한 구역 id) 및 단계 721a에서 수신된 SL UE#1의 위치(또는, SL UE#1이 위치한 구역 id)를 근거로 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L UE#2는 다음 조건이 만족되면 해당 UE간 조정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SL UE#2는 해당 UE간 조정 정보를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조건의 예시 #1a에서, SL UE#2와 SL UE#1 사이의 계산된 거리는 거리-임계값#1보다 (같거나) 크다 및/또는 계산된 거리가 수신된 전송 범위보다 (같거나) 작다. 거리-임계값#1(미터 단위로)은 단계 721a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거나, 또는 거리-임계값#1은 gNB에 의해 설정(시스템 정보 또는 UE 전용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의해) 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조건의 예시 #1b에서, SL UE#2와 SL UE#1 사이의 계산된 거리는 {수신된 전송 범위 빼기(minus) 거리-오프셋#1}보다 (같거나) 크다 및/또는 계산된 거리가 수신된 전송 범위보다 (같거나) 작다. 거리-오프셋#1(미터 단위로)은 단계 721a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거나, 거리-오프셋#1은 gNB에 의해 설정(시스템 정보 또는 UE 전용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의해) 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거리-오프셋은 백분율 단위로 시그널링 되거나 (미리)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거리-오프셋이 백분율 단위로 결정되는 경우, 위의 "{수신된 전송 범위 빼기 거리-오프셋#1}"은 {수신된 전송 범위에 지시된 백분율을 곱한 값} 또는 {수신된 전송 범위 빼기 (수신된 전송 범위에 표시된 백분율을 곱한 값)}으로 대체될 수 있다.
조건의 예시 2에서, SL UE#2의 id가 상응하는 캐스트 유형을 갖는 수신된 타겟 UE id와 일치하는(matched) 경우. 예를 들어, 수신된 캐스트 유형이 SL 유니캐스트이고 수신된 타겟 UE id가 SL 유니캐스트에 대한 SL UE#2의 소스 id와 일치하는 경우, 또는 수신된 캐스트 유형이 SL 그룹캐스트이고 수신된 타겟 UE id가 SL UE#2가 속한 SL UE#2의 그룹 id 또는 SL 그룹캐스트에 대한 서비스 id와 일치하는 경우, 또는 수신된 캐스트 유형이 SL 브로드캐스트 이고/이거나 수신된 타겟 UE id가 SL 브로드캐스트를 위해 예약된 코드 포인트(값)와 일치하는 경우. 캐스트 유형 정보는 단계 721a에서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UE는 타겟 UE id 정보만을 기반으로 상기 조건을 판단함에 유의한다.
조건의 예시 3에서, SL UE#2가 자원 선호 지시를 충족할 수 있는 UE간 조정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지시 A가 수신되고 SL UE#2가 수신된 선호 자원 집합에 대해 상이한 정보를 갖는 경우(예, SL UE#2는 단계 721a에서 수신된 선호 자원에 대해 "선호되지 않음" 정보를 가짐).
도 7의 단계 721b는 예시#1a 또는 예시#1b의 가정에 기초하여 도시되지만, 다른 예들도 또한 결정 절차에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여러 예시들의 조합 (예, 예시 1a/1b 및 예시 2가 만족되거나, 예시 1a/1b 및 예시 3이 만족되거나, 예시 1a/1b 및 예시 2 및 예시 3이 만족되면, SL UE#2는 해당 UE간 조정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한다) 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731에서, SL UE#2는 SL UE#2의 채널 센싱 결과를 기반으로 UE간 조정 정보를 전송한다. 도 7은 SL UE#2의 UE간 조정 정보가 SL UE#1로부터 UE간 조정 REQ의 응답으로서 전송되는 것을 도시하지만(단계 721a 및 721b와 함께), SL UE#2는 또한 (UE간 조정 REQ를 수신하지 않고) UE간 조정 정보를 독립형 메시지로서 전송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 경우, 단계 721a 및 721b는 스킵된다(skipped). 이는 단계 721a 및 단계 721b가 SL UE#2의 UE간 조정 정보 전송이 UE간 조정 REQ에 의해 트리거된 경우에만 필요함을 의미한다. UE간 조정 정보는 다음 정보를 포함한다: (i) {선호 및/또는 비선호 자원 집합 및 해당 자원 풀 id} 의 목록; 및 (ii) SL UE#2 위치 정보(예, SL UE#2이 위치한 구역 id).
해당 자원 풀 id는 선호 및/또는 비선호 자원 집합이 속한 자원 풀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선호 및/또는 비선호 자원(들)의 집합은 SL UE#2의 권장 선호 및/또는 비선호 자원 정보, 예를 들어 해당 자원 풀 내에서 선호 또는 비선호 SL 채널 인덱스/번호를 나타내고, 또는 해당 자원 풀 내에서 각 SL 채널에 대해 선호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가 포함될 수 있다.
선호 자원(들)은 SL UE#2의 채널 센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측정된 자원의 채널 혼잡 비가 채널 센싱 결과 임계값 미만인 경우 이 자원은 전송을 위한 선호 자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을 위해, 도 7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측정된 채널 혼잡 비를 비교하기 위한 임계값 및/또는 히스테리시스 파라미터도 gNB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결정을 위해 다음의 수식의 예를 참조한다.
일 예에서 자원을 선호 자원으로 설정하기 위한 진입 조건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pct00004
.
일 예에서, 자원을 선호 자원으로 설정하지 않는 이탈 조건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pct00005
.
이러한 예에서 수식의 변수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 Ms는 전송 자원 풀 내 자원의 채널 혼잡 비 측정 결과이고, (ii) Hys는 이 결정을 위한 히스테리시스 파라미터 이며, 및 (iii) Thresh는 이 결정을 위한 임계치 파라미터 이다.
비선호 자원(들)은 또한 SL UE#2의 채널 센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측정된 자원의 채널 혼잡 비가 위의 선호 자원에 대한 진입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비선호 자원으로 판단될 수 있다. 대안으로, 비선호 자원에 대한 별도의 추가 조건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i) 자원을 비선호 자원으로 설정하기 위한 진입 조건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Ms + Hys#2 > Thresh#2; 및 (ii) 자원을 비선호 자원으로 설정하기 위한 이탈 조건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Ms - Hys#2 < Thresh#2.
위에서 언급한 수식의 변수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 Ms는 전송 자원 풀 내 자원의 채널 혼잡 비에 대한 측정 결과이고, (ii) Hys#2는 이 결정을 위한 히스테리시스 파라미터 이고, 및 (iii) Thresh#2는 이 결정을 위한 임계치 파라미터 이다. Hys#2 및/또는 Thresh#2는 동일한 값(들)이 사용되는 경우 선호 자원 결정을 위한 조건에서 Hys 및 Thresh로 대체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단계 721a에서 UE간 조정 정보가 응답으로서 전송되면, 단계 731에서 포함될 자원 정보는 단계 721a에 포함된 자원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만을 가질 수 있음에 유의한다.
SL UE#2 위치 정보는 SL UE#2의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세 GPS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세 GPS 위치 정보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상세 GPS 위치 정보 대신 SL UE#2이 위치한 구역 ID가 포함될 수 있다. SL UE#2 이 위치한 구역 id는 GPS로부터 도출된 SL UE#2의 실제 위치가 속하는 구역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역 정보(예, 전 세계를 구역으로 나누는 방법)는 gNB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el-16 SL에서 SL 그룹캐스트 특정 HARQ 피드백 메커니즘을 위해 도입된 다음과 같은 구역 id 계산은 UE간 조정 정보의 UE 위치 정보에 재사용될 수 있다. sl-ZoneLength(미터들의 X unit으로)를 포함하는 sl-ZoneConfig는 gNB에 의해 설정되거나(시스템 정보 또는 UE 전용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의해) 또는 미리 설정된다.
sl-ZoneConfig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UE는 표 2과 같은 다음 수식을 사용하여 UE가 위치한 구역의 ID(즉, Zone_id)를 결정할 수 있다.
표 2. 수식
표 2에 나타낸 수식에서,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 Lsl-ZoneConfig에 포함된 sl-ZoneLength의 값이고, (ii) x는 3GPP 표준 규격에 따른 UE의 현재 위치와 지리적 좌표(0, 0) 사이의 경도 측지선 거리이고 x는 미터 단위로 표현되며, 및 (iii) y는 3GPP 표준 규격에 따른 UE의 현재 위치와 지리적 좌표(0, 0) 사이의 위도 측지선 거리이고 y는 미터 단위로 표현된다.
SL UE#1이 T#1이 만료되기 전에 UE간 조정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731), SL UE#1은 이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다고 간주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741). 이는 계산된 SL UE#1과 SL UE#2 사이의 거리 및 전송될 데이터/제어에 대한 SL UE#1의 전송/통신 범위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SL UE#1과 SL UE#2 사이의 거리는 GPS/GNSS로부터 도출된 SL UE#1의 위치(또는 SL UE#1이 위치한 구역 id, 구역 id 계산은 위에서 이미 설명됨) 및 단계 731에서 수신한 SL UE#2의 위치(또는 SL UE#2가 위치한 구역 id)에 근거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L UE#1과 SL UE#2 사이의 계산된 거리가 전송될 데이터/제어를 위한 SL 전송/통신 범위보다 (같거나) 작으면, SL UE#1은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렇지 않으면, SL UE#1은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다른 예에서, SL UE#1과 SL UE#2 사이의 계산된 거리가 거리-임계값#2 보다 (같거나) 크고 및/또는 계산된 거리가 전송될 데이터/제어에 대한 SL 전송/통신 범위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 SL UE#1은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SL UE#1은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거리-임계값#2는 gNB에 의해 설정되거나(시스템 정보 또는 UE 전용 RRC 연결 재설정에 의해) 또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SL 전송/통신 범위 정보는 전송될 SL 데이터/제어에 필요한 전송 범위를 나타낸다.
이 정보는 전송될 SL 데이터/제어에 필요한 QoS 정보와 함께 상위 계층에 의해 제공되거나, 또는 이 정보는 gNB에 의해 해당하는 SL PQI(PC5 5G QoS identifier)로 설정되거나(시스템 정보 또는 UE 전용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 의해) 또는 해당 SL PQI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 정보는 목적지 계층 2(L2) id 또는 논리 채널 id와 연관될 수 있다. (사전) 설정된 경우, 이 정보는 미터 수를 나타낸다. SL 데이터/제어가 서로 다른 SL 논리 채널(또는 서로 다른 SL 애플리케이션)로부터 도착하는 경우 SL 데이터/제어는 서로 다른 필요 전송 범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743에서, SL UE#1은 단계 711 또는 단계 721a에서의 자신의 채널 센싱 결과 및 SL UE#2로부터 수신된 유효한 UE간 조정 정보를 고려하여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한 최종 자원 선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SL UE#1은 UE간 조정 정보가 비선호 자원으로 지시한 자원을 제외하거나, 또는 SL UE#1은 UE간 조정 정보가 선호 자원으로 지시한 자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타이머 T#1이 만료되기 전에 SL UE#1이 유효한 UE간 조정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SL UE#1은 자신의 채널 센싱 결과에만 기반하여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한 최종 자원 선택을 수행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 경우, SL UE#1은 타이머 T#1이 만료되면 더 이상의 UE간 협력 정보 수신을 시도하지 않는다. 단계 743에서 최종 자원(들)이 선택되면, SL UE#1은 단계 745에서 선택된 자원(들)을 통해 데이터/제어를 전송한다.
도 7의 단계 721a 또는 단계 731에서 전송/통신 범위 정보가 포함된다고 가정하지만, UE는 단계 721a 또는 단계 731에서 포함하지 않아도 전송/통신 범위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통신 범위 정보는 요구되는 QoS 정보의 일부로서 상위 계층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UE는 단순히 목적지 L2 id 또는 논리 채널과 관련된 QoS 정보로부터 전송/통신 범위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전(full) 채널 센싱 및 자원 선택(800)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전 채널 센싱 및 자원 선택(8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3GPP Rel-16에서는 기본적인 SL 통신 기능들이 지원된다. Rel-17의 경우 SL에 더 향상된 특성들이 도입될 계획이다. Rel-17 기능 중 하나는 절전 측면을 고려하여 향상된 SL 자원 할당 메커니즘을 도입하는 것이다. 도 8은 UE 자율적 자원 선택 절차를 위한 3GPP Rel-16 전 채널 센싱(full channel sensing) 동작을 예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N에 UE가 상위 계층으로부터 도착한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한 자원 선택을 트리거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UE는 가능한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해 비점유(unoccupied) 채널을 찾기 위해 항상 채널 센싱 동작을 수행한다.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한 자원 선택이 시간 N에 트리거되면, 비점유 자원/채널을 선택/예약하기 위해, UE는 시간 N-T3과 시간 N-T4 사이에 수행된 채널 센싱 동작의 결과를 사용한다. UE가 시간 N-T3과 시간 N-T4 사이의 채널 센싱 결과 비점유 자원/채널을 발견하면, 자원/채널은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해 시간 N+T1 및 시간 N+T2 사이의 시간 도메인에서 선택/예약될 수 있다. 3GPP Rel-16에서 UE는 시간 N-T3 및 시간 N-T4 사이에서 채널 센싱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점에 유의한다.
도 9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채널 센싱 및 자원 선택의 예를 도시한다. 도 9a에 도시된 부분 채널 센싱 및 자원 선택(9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채널 센싱(partial channel sensing) 및 자원 선택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b에 도시된 부분 채널 센싱 및 자원 선택(9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3GPP Rel-17에서 UE 절전을 위해 새롭게 고려되는 UE 자율적 자원 선택(UE autonomous resource selection) 절차를 위한 부분 채널 센싱 동작을 나타낸다. 도 9a는 도 8에 기술된 동작과 유사하다. 도 9a의 주요 차이점은 UE가 실제로 시간 N-T3 및 시간 N-T4 사이의 채널 센싱 윈도우(channel sensing window) 동안 불연속적으로 채널 센싱 동작을 수행한다는 점인데, 따라서 UE는 도 8의 연속적 채널 센싱과 비교하여 절전 이득을 가질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N에 UE가 상위 계층으로부터 도착한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한 자원 선택을 트리거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UE는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한 비점유 자원/채널을 찾기 위해 시간 N-T3 및 시간 N-T4 사이의 시간 도메인에서 불연속적으로 수행된 채널 센싱 결과를 이용한다. 시간 N-3 및 시간 N-4 사이의 부분 채널 센싱 결과 UE가 비점유 자원/채널을 발견하면, 자원/채널은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해 시간 N+T1 및 시간 N+T2 사이의 시간 도메인에서 선택/예약될 수 있다. 도 9b에서, UE가 시간 N에 상위 계층으로부터 도착한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한 자원 선택을 트리거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 N에 자원 선택이 트리거되면, UE는 시간 N+Ta 및 시간 N+Tb 시점 사이에 채널 센싱 동작을 시작한다.
UE는 시간 N+Ta에서 시간 N+Tb 사이에 비점유 자원/채널을 찾기 위해 연속적인 채널 센싱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N+Ta와 N+Tb 사이의 기간은 도 8에 설명된 채널 센싱 윈도우(N-T3 및 N-T4 사이)보다 짧다. 자원 선택이 트리거된 후 더 짧은 연속적 채널 센싱 동작을 통해 UE는 절전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요구되는 지연 허용치(delay budget)을 충족할 수 있다. 시간 N+Ta 및 시간 N+Tb 사이의 부분 채널 센싱 결과 UE가 비점유 자원/채널을 발견하면, 자원/채널은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해 시간 N+T1과 시간 N+T2 사이의 시간 도메인에서 선택/예약될 수 있다.
도 8, 도 9a 및 도 9b에 설명된 UE 동작은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한 자원 선택/예약을 수행하는 UE에 대한 것임에 유의한다. 부분 채널 센싱 동작을 위해, 전술된 바와 같이 두 종류의 모드가 고려된다 (하나는 도 9a에 설명되고 다른 하나는 도 9b에 설명됨). 두 종류의 부분 채널 센싱 동작이 공존하는 경우, 각 모드별로 시간 도메인에서 부분 채널 센싱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부분 채널 센싱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있을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 채널 센싱 및 자원 선택을 위한 시그널링 흐름(100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 흐름(1000)은 UE(예,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111-116) 및 기지국(예,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101-10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시그널링 흐름(10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10은 이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SL UE(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1001)는 데이터/제어 전송을 수행한다. 이 UE를 SL TX UE라고 부를 수 있다. gNB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예, SL 사전 설정(pre-configuration)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는 1003로 표시된다. 1003에서, SL 통신(단계 1011)을 위해 필요한 모든 무선 자원 및 베어러 파라미터/정보가 설정되거나 사전에 설정된다. 이 설정은 시스템 정보 블록(SIB), UE 전용 RRC 메시지(예,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 또는 사전 설정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설정은 TX 자원 풀(즉,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한 자원 선택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 풀)의 목록 및 TX 자원 풀별로 허용되는 부분 채널 센싱 모드 지시자를 포함한다. SL TX UE가 단계 1011에서 설정을 수신하면, SL TX UE는 단계 1021에서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한 부분 채널 센싱 모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주기적인 데이터 패턴에 대해, UE는 도 9a에 설명된 부분 채널 센싱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부분 채널 센싱 모드는 부분 채널 센싱 모드 1일 수 있다. 그리고 비주기적 데이터 패턴에 대해, UE는 도 9b에 기술된 부분 채널 센싱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부분 채널 센싱 모드는 부분 채널 센싱 모드 2일 수 있다.
SL TX UE가 단계 1021에서 부분 채널 센싱 모드를 선택하면, SL TX UE는 선택된 부분 채널 센싱 모드에 대해 지시자가 "참(true)"으로 설정된 TX 자원 풀을 선택하는데, 이는 선택된 부분 채널 센싱 모드가 TX 자원 풀에 대해 허용됨을 의미한다(단계 1031에서). 예를 들어, UE가 단계 1021에서 부분 채널 센싱 모드 1을 선택한다면, UE는 부분 채널 센싱 모드 1에 대해 연관된 지시자가 "참"으로 설정된 TX 자원 풀을 선택한다. UE가 단계 1021에서 부분 채널 센싱 모드 2를 선택하면, UE는 부분 채널 센싱 모드 2에 대해 연관된 지시자가 "참"으로 설정된 TX 자원 풀을 선택한다. UE가 단계 1031에서 TX 자원 풀을 선택하면, UE는 선택된 부분 채널 센싱 모드에 기초하여 선택된 TX 자원 풀 내에서 데이터/제어 전송을 위한 실제 자원을 선택하는데, 이는 도 9a 또는 도 9b에 설명되어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1100)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방법(1100)은 UE(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111-11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방법(1100)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은 언급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특수 회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은 언급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100)은 단계 1102에서 시작한다. 단계 1102에서, 제1 UE는 SL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위해 SL 자원 및 구역 ID를 포함하는 UE간 조정 정보를 제2 UE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1102에서 UE간 조정 정보는 선호 자원의 집합, 비선호 자원의 집합, 또는 선호 자원 집합과 비선호 자원 집합에 각각 대응하는 자원 풀 ID들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이후, 단계 1104에서, 제1 UE는 S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전송 범위를 식별한다.
이후, 단계 1106에서, 제1 UE는 구역 ID를 기반으로 제2 UE와 제1 UE 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이후, 단계 1108에서, 제1 UE는 전송 범위 및 거리를 기반으로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한지 판단한다.
다음으로, 단계 1110에서, 제1 UE는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SL 자원을 식별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1112에서, 제1 UE는 SL 데이터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UE는 계층 2 그룹캐스트 목적지 ID 및 계층 2 그룹캐스트 목적지 ID에 대응하는 QoS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범위를 식별하는데, UE간 조정 정보는 전송 범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UE는 거리가 전송 범위보다 큰 경우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지 않다고 결정하고, 거리가 전송 범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다고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UE는 제1 UE의 현재 위치 및 지리적 좌표에 기초하여 제1 UE의 구역 ID를 계산하고, 상기 구역 ID 및 제2 UE로부터 수신한 구역 ID에 기초하여 거리를 계산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UE는 구역 ID를 포함하는 UE간 조정 정보 요청을 제2 UE로 전송하고, UE간 조정 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UE간 조정 정보를 제2 UE로부터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UE는 전송 범위를 더 포함하는 UE간 조정 정보 요청을 제2 UE로 전송하고, UE간 조정 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UE간 조정 정보를 제2 UE로부터 수신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UE간 조정 정보 요청은 선호 자원의 집합, 비선호 자원의 집합, 또는 선호 자원 집합에 대응하는 자원 풀 ID의 집합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순서도들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도시하고, 여기의 순서도들에 도시된 방법들에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들로서 도시되지만, 각 도면에서 다양한 단계들이 중첩되거나 병렬로 발생하거나 다른 순서로 발생하거나 여러 번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계들은 생략되거나 다른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에게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제시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을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출원의 어떠한 설명도 임의의 특정 요소, 단계 또는 기능이 청구범위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 요소라고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특허 주제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있어서,
    제2 UE로부터, 사이드링크(sidelink, SL) 자원 및 S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위한 구역 식별자(zone ID)를 포함하는 UE간 조정 정보(inter-UE coordin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송수신부(transceiver); 및
    상기 송수신부에 작동적으로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전송 범위(transmission range)를 식별하고,
    상기 구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UE 및 상기 제1 UE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전송 범위 및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및
    상기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SL 자원을 식별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SL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사용자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간 조정 정보는 상기 전송 범위를 더 포함하고, 및
    상기 프로세서는 계층 2 그룹캐스트 목적지 ID(layer 2 groupcast destination ID) 및 상기 계층 2 그룹캐스트 목적지 ID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Qo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범위를 식별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사용자 장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가 상기 전송 범위보다 큰 경우, 상기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지 않다고 결정하고, 및
    상기 거리가 상기 전송 범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다고 결정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사용자 장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E의 현재 위치 및 지리적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E의 구역 식별자를 계산하고, 및
    상기 구역 식별자및 제2 UE로부터 수신된 구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를 계산하도록 더 설정되고,
    상기 UE간 조정 정보는 선호 자원의 집합, 비선호 자원의 집합, 또는 선호 및 비선호 자원 집합에 각각 대응하는 자원 풀 ID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사용자 장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2 UE로, 상기 구역 식별자를 포함하는 UE간 조정 정보 요청(inter-UE coordination information request)을 전송하고, 및
    상기 제2 UE로부터, 상기 UE간 조정 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UE간 조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설정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2 UE로, 전송 범위를 더 포함하는 상기 UE간 조정 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및
    상기 제2 UE로부터, 상기 UE간 조정 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UE간 조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설정되며,
    상기 UE간 조정 정보 요청은 선호 자원의 집합, 비선호 자원의 집합, 또는 선호 자원 집합에 대응하는 자원 풀 ID의 집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사용자 장비.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방법에 있어서,
    제2 UE로부터, 사이드링크(sidelink, SL) 자원 및 S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위한 구역 식별자(zone ID)를 포함하는 UE간 조정 정보(inter-UE coordin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S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전송 범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구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UE 및 상기 제1 UE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전송 범위 및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SL 자원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SL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계층 2 그룹캐스트 목적지 ID(layer 2 groupcast destination ID) 및 상기 계층 2 그룹캐스트 목적지 ID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Qo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범위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UE간 조정 정보는 상기 전송 범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가 상기 전송 범위보다 큰 경우, 상기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지 않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가 상기 전송 범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E의 현재 위치 및 지리적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E의 구역 식별자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구역 식별자및 제2 UE로부터 수신된 구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UE간 조정 정보는 선호 자원의 집합, 비선호 자원의 집합, 또는 선호 및 비선호 자원 집합에 각각 대응하는 자원 풀 ID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제2 UE로, 상기 구역 식별자를 포함하는 UE간 조정 정보 요청(inter-UE coordination information request)을 상기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UE로부터, 상기 UE간 조정 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UE간 조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2 UE로, 전송 범위를 더 포함하는 상기 UE간 조정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UE로부터, 상기 UE간 조정 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UE간 조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UE간 조정 정보 요청은 선호 자원의 집합, 비선호 자원의 집합, 또는 선호 자원 집합에 대응하는 자원 풀 ID의 집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2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있어서,
    사이드링크(sidelink, SL) 자원 및 구역 식별자(zone ID)를 포함하는 UE간 조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제1 UE로, SL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위해 상기 UE간 조정 정보를 전송하고, 및
    상기 제1 UE로부터 상기 SL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며,
    전송 범위가 상기 S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식별되고,
    상기 제2 UE와 상기 제1 UE 사이의 거리가 상기 구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상기 UE간 조정 정보의 유효성은 상기 전송 범위 및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SL 자원은 상기 UE간 조정 정보가 유효하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사용자 장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E간 조정 정보는 상기 전송 범위를 더 포함하고, 및
    상기 전송 범위는 계층 2 그룹캐스트 목적지 ID(layer 2 groupcast destination ID) 및 상기 계층 2 그룹캐스트 목적지 ID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QoS)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사용자 장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가 상기 전송 범위보다 큰 경우, 상기 UE간 조정 정보는 유효하지 않다고 결정되고, 및
    상기 거리가 상기 전송 범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UE간 조정 정보는 유효하다고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사용자 장비.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1 UE로부터, 상기 구역 식별자를 포함하는 UE간 조정 정보 요청(inter-UE coordination information request)을 수신하고, 및
    상기 제1 UE로, 상기 UE간 조정 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UE간 조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설정되고,
    상기 UE간 조정 정보는 선호 자원의 집합, 비선호 자원의 집합, 또는 선호 및 비선호 자원 집합에 각각 대응하는 자원 풀 ID의 집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UE의 상기 구역 식별자는 제1 UE의 현재 위치 및 지리적 좌표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상기 거리는 상기 구역 식별자및 상기 제2 UE로부터 수신된 구역 식별자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사용자 장비.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1 UE로부터, 전송 범위를 더 포함하는 상기 UE간 조정 정보 요청을수신하고, 및
    상기 제1 UE로, 상기 UE간 조정 정보 요청에 대응하는 UE간 조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설정되고,
    상기 UE간 조정 정보 요청은 선호 자원의 집합, 비선호 자원의 집합, 또는 선호 자원 집합에 대응하는 자원 풀 ID의 집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사용자 장비.
KR1020237020535A 2020-11-23 2021-11-23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향상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1076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17293P 2020-11-23 2020-11-23
US63/117,293 2020-11-23
US202163152810P 2021-02-23 2021-02-23
US63/152,810 2021-02-23
US17/530,189 2021-11-18
US17/530,189 US20220167345A1 (en) 2020-11-23 2021-11-18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resource allocation in sl communication
PCT/KR2021/017241 WO2022108415A1 (en) 2020-11-23 2021-11-23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resource allocation in sl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675A true KR20230107675A (ko) 2023-07-17

Family

ID=8165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535A KR20230107675A (ko) 2020-11-23 2021-11-23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향상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67345A1 (ko)
EP (1) EP4233444A4 (ko)
KR (1) KR20230107675A (ko)
CN (1) CN116472759A (ko)
WO (1) WO2022108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98273A1 (en) * 2021-09-24 2023-03-3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requesting a type of coordination information
US20240129910A1 (en) * 2022-10-13 2024-04-18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resource reservation using non-preferred resource signaling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7906B2 (en) * 2016-04-27 2019-03-19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up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40617B2 (en) * 2017-06-16 2021-10-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access barring
WO2019097476A1 (en) * 2017-11-17 2019-05-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nagement of resource allocation and notification control over ran interfaces
WO2020033088A1 (en) * 2018-08-09 2020-02-13 Convida Wireless, Llc Resource management for 5g ev2x
US11871442B2 (en) * 2018-09-14 2024-01-09 Nec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resource selection
US11212764B2 (en) * 2018-09-28 2021-12-28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ccuracy control for vehicle-to-everything (V2X) sidelink transmission
EP3675529B1 (en) * 2018-10-31 2021-04-07 LG Electronics Inc. -1-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in nr v2x
CN111356161B (zh) * 2018-12-20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网络通信方法、基站、终端及通信装置
KR102353396B1 (ko) * 2019-01-11 2022-01-19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통신 스케줄링 모드를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141815A1 (en) * 2019-02-15 2022-05-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osition-based sidelink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922066A4 (en) * 2019-03-26 2022-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CONFIGURATION AND ASSIGNMENT OF SIDELINK RESOURCES FOR DIRECT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02932B2 (en) * 2019-04-02 2024-02-13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US20220191725A1 (en) * 2019-04-02 2022-06-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providing ack/nack feedback based on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and related wireless devices
CN112637773B (zh) * 2019-04-26 2022-03-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KR20200127402A (ko) * 2019-05-02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직접 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송수신 영역 결정 방법 및 장치
WO2020226404A1 (ko) * 2019-05-03 202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51652B1 (ko) * 2019-07-03 2023-07-04 오피노 엘엘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에 대한 구역 관리 및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CN114175730A (zh) * 2019-07-16 2022-03-11 汉尼拔Ip有限责任公司 用户装置及由用户装置执行的用于侧链的方法
US11711785B2 (en) * 2019-08-09 2023-07-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idelink resource allocation in user equipment groups
CN114270889A (zh) * 2019-08-12 2022-04-01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操作与副链路drx关联的ue的方法和设备
KR20210020460A (ko) * 2019-08-14 202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 피드백 방법 및 장치
US20220393834A1 (en) * 2019-11-05 2022-12-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to feedback based on distance in nr v2x
US11330414B2 (en) * 2020-01-24 2022-05-10 Qualcomm Incorporated Proximity determination to a geo-fence
US11076259B1 (en) * 2020-01-24 2021-07-27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 layer safety message with geo-fence information
US20210243554A1 (en) * 2020-01-30 2021-08-0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istance based sidelink transmission
EP4089945A4 (en) * 2020-04-21 2023-10-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SFCH TRANSMISSION IN V2X IN NR
CN113660701A (zh) * 2020-05-12 2021-1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766449B (zh) * 2020-06-02 2024-02-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5868208A (zh) * 2020-06-04 2023-03-28 Idac控股公司 涉及中继及路径选择和重新选择的方法、架构、装置和系统
WO2021262875A1 (en) * 2020-06-24 2021-12-30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selection in the distributive dual band carrier aggregation system
WO2022077169A1 (en) * 2020-10-12 2022-04-21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anging-based services
KR20220054109A (ko) *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아이티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US11963184B2 (en) * 2021-08-10 2024-04-16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full-duplex sidelink communications
US11917618B2 (en) * 2021-10-28 2024-02-27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feedback resources
KR20230146428A (ko) * 2022-04-12 2023-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도 정보를 고려한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151866A (ko) * 2022-04-26 2023-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413325A1 (en) * 2022-06-15 2023-12-21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channel occupancy time sharing in mode two sidelink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33444A4 (en) 2024-03-20
CN116472759A (zh) 2023-07-21
US20220167345A1 (en) 2022-05-26
WO2022108415A1 (en) 2022-05-27
EP4233444A1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66370B (zh) 在无线通信系统中配置波束指示的装置和方法
KR20220052988A (ko) 멀티 빔 동작들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7984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ue 절전 방법 및 장치
US117510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ll downlink and uplink beam indication, measurement and reporting
KR20220146608A (ko) 빔 지시 채널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51681A (ko) 고속 빔 인디케이션 방법 및 장치
CN115516965A (zh) 用于动态波束指示机制的方法和装置
EP433353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beam downlink and uplink wireless system
CN115606104A (zh) 用于波束管理的方法和装置
US117776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t and separate beam indication
KR20230035658A (ko) 다운링크 및 업링크 자원 신호 측정들에 기초한 업링크 송신 빔 선택
KR2023013246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폴트 빔의 설정 및 결정방법 및 장치
KR20230107675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향상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87533A (ko) 비면허 대역들의 coreset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6235416A (zh) 用于波束测量和报告的方法和装置
US20220159752A1 (en) Sidelink network assisted inter-ue coordination
KR20230157317A (ko) 셀 간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20140602A (ko) V2x 통신에서 사이드 링크 측정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및 방법
KR20220102621A (ko)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부반송파 오프셋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2954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eriodic csi measurement and reporting
KR20230132787A (ko) Tci 상태에서의 ul 파라미터의 인디케이션 방법 및장치
US20230396301A1 (en) Common beam indication techniques for multi-beam operation
KR20230141903A (ko) 넌-코히어런트 조인트 송신 채널 상태 정보에서의 랭크 표시자 및 계층 표시자 시그널링
US202302998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domain resource determination for 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
CN112166562B (zh) 高级无线系统的终端特定的波束成形自适应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