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119A - 기어박스 - Google Patents

기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119A
KR20230105119A KR1020220000286A KR20220000286A KR20230105119A KR 20230105119 A KR20230105119 A KR 20230105119A KR 1020220000286 A KR1020220000286 A KR 1020220000286A KR 20220000286 A KR20220000286 A KR 20220000286A KR 20230105119 A KR20230105119 A KR 20230105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lip
gearbox
air breath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243B1 (ko
Inventor
오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2000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24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5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7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venting gearboxes, e.g. air breat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기어, 기어를 윤활하기 위한 오일, 공기통로가 형성된 에어브리더 및 공기통로와 연통되며 나선홈이 형성된 클립을 포함하고, 오일과 공기의 점도 차이를 이용해 나선홈 사이로 공기는 통과시키면서 오일은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종래 누유 방지 구조에 비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 위치가 자유로우며 유지보수가 신속, 저렴하면서도, 누유 방지 기능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어박스 {Gearbox}
본 발명은 기어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어박스 내부의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브리더 및 클립이 구비된 기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기어박스란 자동차의 구동에 필요한 기어류를 포함하는 부품으로, 엔진 또는 모터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자동차의 속도에 따라 필요한 토크로 바꾸어주는 장치이다. 기어박스 내외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위하여 기어박스의 하우징에는 에어브리더가 설치된다.
한편 기어박스 내부에는 기어 변속시 윤활을 위한 오일이 들어있는데, 기어가 고속으로 회전되면 처닝(churning)된 오일이 공기 배출을 위한 에어브리더를 통해 기어박스 외부로 누유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기어박스 누유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어박스의 하우징 내부에 격벽(partition) 구조를 형성하고, 에어브리더를 격벽 구조보다 상단에 배치하여 에어브리더를 고립시킴으로써 오일의 누출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어박스 하우징에 격벽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에어브리더의 설치위치가 격벽 위쪽의 하우징 상단으로 한정되고, 격벽이 있더라도 차량이 가파른 경사로를 운행하는 등 기어박스가 기울어지는 경우 오일이 격벽을 넘어가 누출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설계 실패로 인하여 오일의 누출이 발생한 경우 격벽 형상의 수정을 위해 하우징 전체의 금형을 수정해야 하므로 비용의 손실이 매우 크다.
따라서, 격벽 외에 오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에어브리더 및 에어브리더에 결합되어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지 않으면서 오일의 유동은 차단할 수 있는 나선홈을 포함하는 클립이 구비된 기어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어박스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기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저장되고, 상기 기어의 마모를 방지하는 오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에어브리더; 및 상기 에어브리더에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에어브리더를 둘러싸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에어브리더보다 길게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통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클립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및 상기 클립홀에 삽입되고, 상기 공기통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사이에서 기체는 통과시키고 액체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개는,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브리더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오일보다 높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브리더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에어브리더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은, 상기 에어브리더에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는, 내외부 공기의 이동이 가능한 에어브리더가 배치되고, 에어브리더에 결합되어 공기와 오일의 점도 차이를 바탕으로, 공기는 통과시키되 오일의 누출은 방지할 수 있는 나선홈을 포함하는 클립의 구성이 있는 바, 종래의 격벽에 비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 위치가 자유로우면서도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종래의 기어박스의 누유방지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의 에어브리더 및 클립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의 클립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에 나타난 기어(40) 등 각종 구성요소의 형태, 위치 및 개수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작용되는 자동차의 특성에 따라 기어(40) 등의 형태, 위치 및 개수는 적절히 변경 및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어박스(1)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어박스(1)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어박스(1)는 자동차의 구동에 필요한 기어(40)를 통해 엔진 또는 모터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자동차의 속도 및 환경에 따라 필요한 토크로 바꾸어 주는 장치이다. 기어박스(1)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기어(40) 등 각종 부품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40)가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기어(40)의 동작으로 인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소정 용량의 오일(A)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에는 기어박스(1) 내외부에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에어브리더(20)가 배치될 수 있다. 에어브리더(20)에는 하우징(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공기통로(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기어(40)가 작동되면, 기어(40)의 윤활을 위하여 구비된 오일(A)은 처닝(churning)되고 에어브리더(20)의 공기통로(21)를 통해 오일(A)이 누유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종래에는 하우징(10)에 격벽(11)을 설치하여 기어박스(1) 내부에서 처닝된 오일(A)이 에어브리더(20)를 통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하면, 격벽(11)의 위치 또는 형상의 설계가 잘못되는 경우 하우징(10)에 형성된 격벽(11)에도 불구하고 오일(A)이 누유될 수 있다.
격벽(11)은 구조상 별물로 설계될 수 없고, 하우징(10)에서 돌출 형성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격벽(11)의 설계가 잘못된 경우 하우징(10) 전체를 재설계해야 하며 이에 따른 비용 손실이 크다.
격벽(11)의 설계가 잘못되지 않은 경우라도, 차량이 가파른 경사로를 운행하는 등 기어박스(1)가 기울어지는 경우 오일(A)이 격벽(11)을 넘어가 누출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처닝된 오일(A)이 에어브리더(20)로 흘러들어가지 않아야 하므로, 에어브리더(20)는 격벽(11)에 의해 오일(A)과 격리될 필요가 있다. 오일(A)은 중력에 의해 하우징(10) 하부에 저장되므로, 에어브리더(20)는 격벽(11)보다 상부에 설치될 수밖에 없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에어브리더(20)는 항상 기어박스(1)의 하우징(10) 상부의 협소한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는 설계상 제한이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1)의 에어브리더(20) 및 클립(3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1)의 클립(30)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1)의 에어브리더(20) 및 클립(3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브리더(2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환언하면, 에어브리더(20)에서 하우징(10)을 관통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은 하우징(10)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한편 클립(30)은 기둥 형상의 바디(31)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고, 바디(31)의 내부에는 중공 형상으로 클립홀(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클립(3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클립홀(32)의 일부가 에어브리더(20)에서 하우징(10)의 내측으로 돌출된 일부분을 둘러싸면 클립(30)이 에어브리더(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클립(30)의 바디(31)는, 하우징(10)의 내측 방향으로 에어브리더(20)가 돌출된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 클립(30)은 처닝된 오일(A)이 하우징(10)의 내측에서 에어브리더(20)의 공기통로(21)를 향해 인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물론 클립홀(32)을 통해 인입되는 오일(A)도 일부 있을 수 있으나, 오일(A)은 공기와 달리 점성이 있으므로 클립홀(32)에 의해 마찰 유동 돼야하는 변위가 증가되어 공기통로(21)까지 도달하는 오일(A)의 양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반면 공기는 클립홀(32)을 잘 통과할 수 있으므로, 에어브리더(20)의 역할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클립(30)이 설치되면 에어브리더(20)만 배치된 경우에 비해 에어브리더(20)의 효용은 유지하며 오일(A)의 누출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클립(30)의 연장된 길이가 길수록 오일(A)의 누출 방지 기능은 향상되나, 클립(30)이 기어박스(1) 하부에 저장된 오일(A)에 잠기지는 않는 한도에서 연장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클립홀(32)을 통해 인입되는 오일(A)의 양을 더욱 줄이기 위하여 클립(30)은 클립홀(32)에 삽입되는 마개(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개(33)는 오일(A) 등의 액체는 차단하되, 공기통로(21)와 하우징(10)의 내부 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은 통과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마개(33)의 외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나선홈은 오일(A)이 마찰 유동되는 변위를 극대화하여 누유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공기의 유동은 보장할 수 있으므로 에어브리더(20)의 효용이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와 오일(A)의 점도가 같지 않기 때문에 공기는 이동되더라도 오일(A)은 누출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기어박스(1)의 클립(30)은, 공기와 오일의 점도 차이를 이용하여 기어박스(1) 내부의 오일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여기서 마개(33)에 형성되는 나선홈은 원형, 삼각, 사각 등 공지된 다양한 나선홈의 형상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 나선홈은 삼각 나선홈 대비 가공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나 동일 툴링 치수에 대비하면 삼각 형상에 비하여 더 작은 단면적을 가지게 된다.
마개(33)에 형성된 나선홈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공기의 이동은 어려우나 오일(A)의 누출의 가능성은 줄어들어 본 발명의 오일(A) 누출 방지 목적의 달성에 더 적합하다.
반대로 마개(33)에 형성된 나선홈의 단면적이 클수록 오일(A)의 누출 가능성이 커지지는 단점이 있으나 공기는 보다 쉽게 이동되어 에어브리더(20)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유리하다.
기어박스(1)에는 필요한 토크와 환경 온도에 맞는 다양한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은 제품에 맞도록 최적의 점도를 갖는 오일로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미국) 자동차 기술자 협회)에서 규제하여 구분한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는 기어박스(1)에 저장되는 오일(A)의 점도에 따라 누유를 방지하기에 충분하면서도 가공 비용이 최대한 적고, 공기는 충분히 이동될 수 있도록 최적의 형상으로 마개(33)의 나사산을 형성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개(33)는 클립홀(32)에 끼움결합, 나사체결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마개(33)가 클립홀(32)에 나사 체결될 경우에는 공기를 이동시키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클립홀(32)의 나사산과 마개(33)의 나사산 사이가 완전히 밀착되어서는 안되므로, 일정한 간격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즉, 통상의 나사 결합은 암나사의 나사산과 수나사의 나사산이 밀착되는 것이 보통이나, 본 발명은 나사산 사이로 공기가 이동될 수 있어야 하므로, 클립홀(32)의 나사산과 마개(33)의 나사산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1)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A)은 중력에 의해 일정한 높이 이하에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에어브리더(20) 및 클립(30)의 누유 방지 구조는 하우징(10)에서 오일(A)에 의해 잠기지만 않는 위치, 즉, 하우징(10)에서 오일(A)보다 높은 곳에 설치되면 누유 방지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기어박스(1)의 에어브리더(20) 및 격벽(11)의 구조에서, 에어브리더(20)는 격벽(11)보다 상부의 매우 협소한 위치로 설계가 제한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1)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에어브리더(20)의 설치 가능한 위치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에어브리더(20)의 설계 위치가 잘못되어 누유가 발생할지라도, 에어브리더(20)의 위치만을 수정하여 설계하면 된다. 이 경우 설계자는 하우징(10)은 에어브리더(20)가 관통되는 위치만 수정하고, 에어브리더(20) 및 클립(30)을 수정된 위치에 재배치하여, 저비용으로 신속하며 간단한 재설계가 가능하다. 이때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기어박스(1)에서 누유가 발생할 경우 격벽(11)을 포함한 하우징(10)의 전반적인 구조를 재설계하기 위해 하우징(10)의 금형을 전반적으로 수정해야했던 것에 비하여 그 비용과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1)에 있어, 에어브리더(20) 및 클립(30)의 누유방지 구조는 먼저 에어브리더(20)가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삽입된 후,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클립(30)이 에어브리더(2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클립(30)은 에어브리더(2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에어브리더(20)의 하우징(10) 내측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클립홀(32)의 에어브리더(20)와 결합되는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에어브리더(2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개(33)의 나사산 형상은 기어박스(1)에 저장되는 오일은 필요한 토크와 환경 온도에 따라 다양하게 저장될 수 있다.
그런데 필요한 오일의 종류가 변경되거나, 클립(30)이 누유에 부적당한 형상이라 하여 기어박스(1) 전체를 바꾸는 것은 경제적이지 않다. 클립(30)이 에어브리더(20)에 나사 결합될 경우, 클립(30)을 에어브리더(20)에서 손쉽게 분리한 후 변경된 오일(A)의 종류에 맞는 나선홈이 구비된 클립(30)으로 재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립(30)이 에어브리더(20)에 나사 결합되는 것은 끼움 결합 대비 유지 보수 측면에서 경제성이 있다.
다만, 나사 결합은 접촉면의 마찰력으로 인해 스스로 풀어지지 않도록 설계됨에도 불구하고 진동, 충격, 반복 응력 및 변형 등에 의해 스스로 풀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도, 차량이 운행되면 기어박스(1)가 진동, 충격 등을 받게 되므로 차량이 장기간 운행되면 클립(30)과 에어브리더(20) 사이의 나사 결합이 느슨해지거나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정기적인 차량 정비로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에어브리더(20)가 클립(30)에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두 개의 구성요소가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나사 결합되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며, 에어브리더(20)와 클립(30)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일 누출의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또한 차량이 장기간 운행되더라도 클립(30)이 에어브리더(20)에서 분리될 가능성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나사 결합과 같이 클립(30)을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교체하기는 어려우므로 유지 보수의 비용이 증가될 것이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는 차량을 정기적으로 정비할 수 있는 환경인지, 기어박스(1)의 오일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 환경인지, 차량이 오프로드(off road)차량인 경우로서 운행될 환경이 비교적 험지여서 기어박스(1)에 심한 진동이 가해져 나사 결합이 풀릴 여지가 큰 환경인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에어브리더(20)와 클립(30)의 결합 방식을 적절히 선정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에어브리더(20)와 클립(30)사이에서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 공지된 결합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여기서 설명된 결합 방식에 따른 장점 및 단점에 대한 설명은 에어브리더(20)와 클립(30) 사이뿐 아니라, 전술한 클립(30)과 마개(33) 사이의 결합방식에 관하여도 원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클립(30)과 마개(33)사이의 결합또한 나사 결합 및 끼움 결합 등이 모두 활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이점과 문제점은 에어브리더(20)와 클립(30) 사이에서의 경우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기어박스
10: 하우징
11: 격벽
20: 에어브리더
21: 공기통로
30: 클립
31: 바디
32: 클립홀
33: 마개
40: 기어
A: 오일

Claims (6)

  1.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동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기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저장되고, 상기 기어의 마모를 방지하는 오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에어브리더; 및
    상기 에어브리더에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에어브리더를 둘러싸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에어브리더보다 길게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통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클립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 및
    상기 클립홀에 삽입되고, 상기 공기통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사이에서 기체는 통과시키고 액체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를 포함하는 기어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리더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오일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리더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에어브리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에어브리더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에어브리더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KR1020220000286A 2022-01-03 2022-01-03 기어박스 KR102607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286A KR102607243B1 (ko) 2022-01-03 2022-01-03 기어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286A KR102607243B1 (ko) 2022-01-03 2022-01-03 기어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119A true KR20230105119A (ko) 2023-07-11
KR102607243B1 KR102607243B1 (ko) 2023-11-29

Family

ID=8715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286A KR102607243B1 (ko) 2022-01-03 2022-01-03 기어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2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5261U (ko) * 1980-10-07 1982-04-19
JPH0534372U (ja) * 1991-10-15 1993-05-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アブリーザの構造
JPH0614833U (ja) * 1990-12-17 1994-02-25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箱体用換気ユニット
JPH0729374U (ja) * 1993-11-05 1995-06-02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ブリ−ザ
JP2017155834A (ja) * 2016-03-01 2017-09-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ブリーザ装置
KR20190012446A (ko) * 2017-07-27 2019-02-11 현대위아 주식회사 오픈형 에어 브리더 및 이를 포함하는 ptu 하우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5261U (ko) * 1980-10-07 1982-04-19
JPH0614833U (ja) * 1990-12-17 1994-02-25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箱体用換気ユニット
JPH0534372U (ja) * 1991-10-15 1993-05-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アブリーザの構造
JPH0729374U (ja) * 1993-11-05 1995-06-02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ブリ−ザ
JP2017155834A (ja) * 2016-03-01 2017-09-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ブリーザ装置
KR20190012446A (ko) * 2017-07-27 2019-02-11 현대위아 주식회사 오픈형 에어 브리더 및 이를 포함하는 ptu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243B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4942A (en) Air breather plug assembly for use in power transmission unit
US9140350B2 (en) Wave gear device
WO2015141783A1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用バッフルプレート
US20140290407A1 (en) Drive force transmission device
US6053835A (en) Differential gear lubrication structure
EP3330502A1 (en) Drain nut attachment structure for synthetic resin cover
US20180066551A1 (en) Drain plug assembly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GB2213212A (en) Seal for sensing unit
US20180087646A1 (en) Plug for vehicle
KR20230105119A (ko) 기어박스
US10408330B2 (en) Protective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JP2014095418A (ja) 駆動力伝達装置の潤滑構造
RU2700947C1 (ru) Система смазки подшипников качения и картер дифференциала
CA2807298C (en) Housing with a direct flow path for hardware lubrication
CN111417798A (zh) 具有内部润滑系统的传动系单元
JP2007107694A (ja) ブリーザ装置
EP2196705A2 (en) Case unit
KR100243592B1 (ko) 자동차용 부시
US20050034952A1 (en) Wet multi-plate clutch
CN103438192A (zh) 锥齿轮传动机构
US20100095795A1 (en) Transmission
KR100793710B1 (ko) 자동변속기 클러치 팩의 리테이너 드럼과 디스크 플레이트간의 오조립 방지 구조
JP2017172593A (ja) 動力伝達装置
KR101976504B1 (ko) 스크류 어셈블리의 윤활유 누유 방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후륜 조향 장치
KR200210441Y1 (ko)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