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286A -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resource,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medium) - Google Patents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resource,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286A
KR20230104286A KR1020237020279A KR20237020279A KR20230104286A KR 20230104286 A KR20230104286 A KR 20230104286A KR 1020237020279 A KR1020237020279 A KR 1020237020279A KR 20237020279 A KR20237020279 A KR 20237020279A KR 20230104286 A KR20230104286 A KR 20230104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transmission
transmission resource
uplink
setting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웨이 지앙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0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7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매체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한다. 방법은 UE에 의해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만에 대해 측정하면 되거나, 및/또는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됨으로써,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1NG UPLINK TRANSM1SS10N RESOURCE, AND COMMUNICATION DEV1CE AND MEDIU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측 기기가 UE(User Equipment, 사용자 기기)에 대해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한 후, UE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하고,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경우에서만, UE가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UE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해야 하고,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서 송신된 업링크 신호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예컨대 TAC(Timing Advance Command, 타이밍 어드밴스 명령)를 송신하고, UE는 다운링크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나, UE에 업링크 송신 요구가 없는 상황에서, 예컨대 UE에 송신할 업링크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 판단 방식은 여전히 UE에 의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나, 추가적인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이 제공되고, UE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릴리징하거나 서스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은 업링크 타이밍을 포함하고; 상기 가용성 판단 조건은, 상기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은,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참조 값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Configurate)하거나 상기 사용자 기기와의 연결을 릴리징하기 전에 또는 할 때,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을 측정하여 획득된 것이고; 상기 측정 값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기기와의 연결을 릴리징한 후,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을 측정하여 획득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측정하는 셋팅 측정 객체는 셋팅 셀, 셋팅 빔 및 셋팅 측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측정하는 셋팅 측정 항목은 참조 신호 수신 강도(RSRP),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NR) 및 경로 손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값 및 상기 참조 값 중 적어도 하나는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된 것이고; 상기 셋팅 측정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의 설정 정보에 따라 결정된 셀 선택 또는 재선택에 사용되는 측정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값 및 상기 참조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용 측정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설정 정보는 주파수 지시 정보, 부반송파 간격, 측정 시간 간격, 참조 신호 설정, 빔 측정 임계값, 빔 최대 수량, 빔 식별자 및 신호 식별자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상기 셋팅 측정 신호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상기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 상황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셋팅 셀의 측정 결과는 상기 셋팅 셀에서 측정 값이 상기 빔 측정 임계값보다 큰 각 빔의 평균 측정 결과; 및 상기 셋팅 셀의 각 빔의 최대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셋팅 빔은 상기 셋팅 셀 내에 최대 측정 값을 구비한 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지시된 빔; 측정 값이 상기 빔 측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빔; 측정 값이 상기 빔 측정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빔;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유형을 특징화하는 식별자는 베어러 식별자, 베어러 유형 식별자,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세션 식별자, 로직 채널 식별자, 비즈니스에 대응되는 셀 그룹 식별자 및 업링크 송신 자원 유형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송신 자원 유형은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서의 업링크 전송,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에서의 업링크 전송 및 업링크 탐지 신호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권한을 상기 PUSCH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은 대응되는 주파수 지시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주파수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되거나 상기 사용자 기기에 미리 설정된 것이며; 상기 주파수 지시 정보는 셀 식별자, 주파수 포인트 식별자, 대역폭, 부분 대역폭 식별자, 셀 그룹 식별자 및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 식별자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이 제공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 기기에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 실시예에 따르면,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가 제공되고, UE에 적용되며, 상기 장치는,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릴리징하거나 서스펜딩하는 릴리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은 업링크 타이밍을 포함하고; 상기 가용성 판단 조건은, 상기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은,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참조 값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Configurate)하거나 상기 사용자 기기와의 연결을 릴리징하기 전에 또는 할 때,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을 측정하여 획득된 것이고; 상기 측정 값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기기와의 연결을 릴리징한 후,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을 측정하여 획득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측정하는 셋팅 측정 객체는 셋팅 셀, 셋팅 빔 및 셋팅 측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측정하는 셋팅 측정 항목은 참조 신호 수신 강도(RSRP),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NR) 및 경로 손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값 및 상기 참조 값 중 적어도 하나는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된 것이고; 상기 셋팅 측정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의 설정 정보에 따라 결정된 셀 선택 또는 재선택에 사용되는 측정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값 및 상기 참조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용 측정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설정 정보는 주파수 지시 정보, 부반송파 간격, 측정 시간 간격, 참조 신호 설정, 빔 측정 임계값, 빔 최대 수량, 빔 식별자 및 신호 식별자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상기 셋팅 측정 신호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장치는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상기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셀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것; 및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 상황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중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셋팅 셀의 측정 결과는 상기 셋팅 셀에서 측정 값이 상기 빔 측정 임계값보다 큰 각 빔의 평균 측정 결과; 및 상기 셋팅 셀의 각 빔의 최대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셋팅 빔은 상기 셋팅 셀 내에 최대 측정 값을 구비한 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지시된 빔; 측정 값이 상기 빔 측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빔; 측정 값이 상기 빔 측정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빔;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유형을 특징화하는 식별자는 베어러 식별자, 베어러 유형 식별자,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세션 식별자, 로직 채널 식별자, 비즈니스에 대응되는 셀 그룹 식별자 및 업링크 송신 자원 유형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송신 자원 유형은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서의 업링크 전송,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에서의 업링크 전송 및 업링크 탐지 신호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권한을 상기 PUSCH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은 대응되는 주파수 지시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주파수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되거나 상기 사용자 기기에 미리 설정된 것이며; 상기 주파수 지시 정보는 셀 식별자, 주파수 포인트 식별자, 대역폭, 부분 대역폭 식별자, 셀 그룹 식별자 및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 식별자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가 제공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장치는,
사용자 기기에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기기가 제공되며, 트랜시버;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의 컴퓨터 수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트랜시버의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제1 측면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을 구현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제2 측면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측면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에 컴퓨터 수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수행 가능한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본 발명의 제1 측면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이 구현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제2 측면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매체는, UE에 의해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여기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만에 대해 측정하면 되거나, 및/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됨으로써,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과 장점은 일부는 이하의 설명에서 제공되고, 일부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행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및/또는 추가적인 측면과 장점은 이하에서 도면을 결부하여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거나,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빔 측정 결과의 개략적인 처리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예시로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다. 하기의 설명에서 도면을 참조할 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현 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일치하는 모든 구현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 측면과 일치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하나" 및 "당해"는, 문맥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또한 다수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이해해야 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또한 하나 또는 다수의 열거된 관련 아이템의 임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설명할 수 있지만, 상기 정보는 이러한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는 단지 같은 유형의 정보를 서로 구분하도록 사용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제1 정보는 또한 제2 정보로 부를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정보는 또한 제1 정보로 부를 수 있다. 언어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어 "만약"은 "... 할 때" 또는 "... 경우" 또는 "결정에 응답하여"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번호는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는 예시적이고,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해석하기 전에,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일반적인 기술 용어를 소개한다.
SDT(Small Data Transmission, 스몰 데이터 송신):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따라, 아이들 상태(IDLE) 또는 비활성 상태(INACTIVE)에서 초기 액세스의 4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4-step RACH)의 Msg3; 초기 액세스의 2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2-step RACH)의 MsgA;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전용 PUS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자원 예컨대 CG(Configure Grant, 설정된 업링크 권한), 또는 PUR(Preallocated Uplink Resource, 미리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과 같은 방식을 통해 SDT를 네트워크측 기기에 직접 송신한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초기 액세스의 4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의 Msg4; 초기 액세스의 2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의 MsgB;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피드백 자원과 같은 방식을 통해 SDT를 UE에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 대해 하나의 셀만 설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업링크 타이밍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만, UE가 당해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업링크 타이밍: UE는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한 후, 다운링크 신호 서브프레임의 경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신호 송신의 전송 지연으로 인해, 업링크 신호가 간섭받는 것을 피하기 위해, 네트워크는 상이한 UE에서 송신된 신호가 고정된 시간에 도착하도록 보장해야 하므로,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의 업링크 전송에 대해 하나의 업링크 TA(Timing Advance, 타이밍 어드밴스)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UE는 당해 TA 값을 수신한 후, UE가 업링크 신호를 송신해야 할 경우, UE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기준으로,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송신 시간 위치에서 TA 값을 앞당겨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TAG(Timing Advance Group,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 복수의 상이한 셀이 같은 TA 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할 경우, 상기 복수의 셀은 같은 TAG에 속한다. 여기서, TAG의 유형은 PTAG(Primary TAG, 프라이머리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 및 STAG(Secondary TAG, 세컨더리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PTAG은 SpCell(Special Cell, 스페셜 셀)의 TAG, 예를 들어, MCG(Master Cell Group, 마스터 셀 그룹)의 PCell(Primary Cell, 프라이머리 셀), 또는 SCG(Secondary Cell Group, 세컨더리 셀 그룹)의 PSCell(Primary Secondary Cell,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셀)의 TAG을 포함한다. STAG은 SCell(Seconary Cell, 세컨더리 셀)의 TAG만 포함한다.
DC(Dual Connectivity, 이중 연결) 아키텍처에서는 MCG 및 SCG 2개의 셀 그룹을 포함한다. MCG 및 SCG은 서로 독립적이다.
상이한 TAG의 TA 값에 대해,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 대해 당해 TA 값이 사용 가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타이머, 즉TAT(Time Alignment Timer)를 설정할 수 있다. UE는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TAC(Timing Advance Command, 타이밍 어드밴스 명령)을 수신한 후, 당해 TAT를 시작하거나 또는 당해 TAT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당해 TAT가 타임아웃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경우, UE는 당해 TAT에 대응되는 TAG의 TA 값이 사용 불가능함을 결정하며, 즉 업링크 스텝아웃 상태로 결정한다. 업링크 스텝아웃 상태의 TAG의 셀에 대해, UE는 preamble(4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에 대해) 및 MSGA(2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에 대해)을 제외한 임의의 업링크 전송도 송신할 수 없다.
경로 손실(Pathloss)은 신호 전송의 경로 손실을 의미한다. 5G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의 업링크 송신 신호에 대해 대응되는 경로 손실을 측정하는 다운링크 경로 손실 참조 신호(Pathloss Reference)를 설정한다. 업/다운링크 송신 신호의 대칭성에 기초하여, UE는 당해 다운링크 경로 손실 참조 신호의 경로 손실 측정 결과에 따라, 업링크 신호의 송신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손실이 클수록 UE의 업링크 송신 전력의 증가가 더 크다. 여기서, UE가 측정한 경로 손실 값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지시된 신호 송신 전력에서 UE가 측정한 신호의 수신 전력을 감하여 얻은 차이값이다.
5G 시스템에 복수의 상이한 전송 빔이 있다. 예를 들어, 셀-1은 TRP(Transmission Point, 전송 포인트)-1의 빔-1 및 TRP-2의 빔-2를 통해 다운링크 신호를 동시 송신한다. 그러나, 상이한 전송 포인트 또는 전송 빔을 통해 송신한 신호는 경로 손실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의 특정 업링크 송신 신호에 대해 복수의 상이한 경로 손실 참조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기기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복수의 상이한 경로 손실 참조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 네트워크측 기기는 지시 시그널링을 통해 업링크 송신 신호에 사용된 경로 손실 참조 신호를 동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기기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다운링크 제어 정보) 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미디어 액세스 제어) CE(Control Element, 제어 유닛)을 통해,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또는 PUSCH 또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탐지 참조 신호)에 사용된 경로 손실 참조 신호를 동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측정: 5G 시스템에서, 셀에 대한 UE의 측정은 아이들 상태/비활성 상태(IDLE/INACTIVE) 및 연결 상태(CONNECTED) 2가지로 나눈다.
CONNECTED의 측정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전용 RRC(Radio Resource Control,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UE에서 측정해야 하는 주파수 포인트 또는 셀에 대해 특정된 측정 객체를 설정한다. 여기서, 당해 측정 객체의 설정 정보는 측정 주파수 포인트, 예를 들어 SSB(Single Side Band, 단측파대) 주파수; 부반송파 간격(Sub carrier Spacing), 예를 들어 SSB Sub carrier Spacing; 측정된 시간 위치; 참조 신호 설정; 셀 측정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빔 측정 임계값 또는 빔 측정 문턱값; 셀 측정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빔 최대 수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레이어1 필터링(Layer1 filtering)을 통해 각 빔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즉, 도 1에 도시된 측정 결과 A를 획득한다. 당해 레이어1 필터링을 통해 획득된 각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한 UE의 처리는 다음과 같은 2개의 분기를 포함한다.
첫번째 분기는 셀 레벨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것이다. UE는 셀 측정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빔 측정 임계값을 초과한 빔 측정 결과를 선형 평균화한 후, 셀 레벨의 측정 결과, 즉 도 1에 도시된 측정 결과 B를 획득한다. 여기서, 선형 평균화에 사용된 빔 수량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셀 측정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빔 최대 수량을 초과하면 안된다. 다음, UE는 당해 셀 측정 결과를 레이어3 필터링(Layer3 filtering)을 통해 측정 보고를 평가하기 위한 측정 결과, 즉 도 1에 도시된 측정 결과 C를 획득한다. 또한, 측정 보고의 이벤트를 만족한 후, 셀 측정 결과, 즉 도 1에 도시된 측정 결과 D를 네트워크측 기기에 보고한다.
두번째 분기는 빔 레벨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것이다. UE는 각 빔의 측정 결과에 대해 레이어3 빔 측정 결과 필터링(L3 Beam filtering)을 통해 보고하기 위한 빔 측정 결과, 즉 도 1에 도시된 측정 결과 E를 획득한다. 또한, 측정 보고의 이벤트를 만족한 후, 빔 측정 결과, 즉 도 1에 도시된 측정 결과 F를 네트워크측 기기에 보고한다.
여기서, 특정된 빔 식별자는 하나 이상의 SSB(Synchronous Signal Block, 동기 신호 블록) 식별자, 하나 이상의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UE의 서빙 셀(serving cell)에 대해, 네트워크측 기기는 특정된 서빙 셀 측정 객체(serving Cell MO(Measuring Object, 측정 객체))를 설정할 수 있다.
IDLE/INACTIVE의 측정에 대해, UE는 상주 셀과 인접 셀에 대해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 셀의 측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인트라 주파수(intra-frequency) 또는 인터 주파수(inter-frequency) 또는 인터 시스템(inter-RAT)의 셀의 주파수 포인트, 셀 및 참조 신호의 정보를 UE에게 제공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다중 빔에서의 셀의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은 2가지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첫번째 방식은 인터 시스템에 대해,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에서 NR(New RAT(Radio Access Technology, 무선 액세스 기술), 새로운 무선 인터페이스)로 재선택하는 것이며, NR의 셀 측정 결과의 도출 방식은 다음과 같다. UE가 셀 측정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빔 측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빔 측정 결과를 선형 평균화한 후, 셀 레벨의 측정 결과를 획득한다.
두번째 방식은 비인터시스템의 재선택 상황에 대해, NR의 셀 측정 결과의 도출 방식은 UE에 의해 결정되고 구현된다.
CG: 네트워크측 기기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대해 PUSCH 업링크 전송의 업링크 권한의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당해 설정 정보는 업링크 권한의 송신 시간 위치 및 자원을 포함한다. 여기서, 송신 시간 위치는 예를 들어 주기 및 시작 위치일 수 있고, 자원은 예를 들어 PRB(Physical Resource Block, 물리적 자원 블록) 및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변조 및 코딩 방식)일 수 있다. UE는 업링크 권한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 후, 업링크 권한을 즉시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기존 기술에서,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 대해 설정한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이 아이들 상태(IDEL) 또는 비활성 상태(INACTIVE)의 UE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될 경우, 당해 전용 업링크 자원은 그에 대응되는 업링크 타이밍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의 UE에 대해 연결 상태와 같은 TAT 타이머를 사용하여 업링크 타이밍이 사용 가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UE에 의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해야 하고,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서 송신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 후, 당해 업링크 신호에 따라 TAC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고, UE는 당해 TAC 시그널링에 따라 업링크 타이밍이 사용 가능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UE에 실제적인 업링크 송신 요구가 없는 상황에서, 예컨대 UE에 송신할 업링크 데이터가 없는 경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의 TAC 시그널링을 수신하므로, 추가적인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야기한다.
상기 문제에 대해, 본 발명은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매체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UE에 의해 수행되고, UE는 자신에 대응되는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기지국일 수 있고, 당해 기지국은 복수의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응용 장면에 따라, 기지국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로 불리울 수 있고,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하나 이상의 섹터를 통해 무선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 또는 기타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은 단계 101 내지 단계 103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1,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업링크 전송은 시그널링, 데이터, 시그널링/데이터 혼합 전송,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전송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된 것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가용성 판단 조건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가용성 판단 조건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당해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운링크 전송은 시그널링, 데이터, 시그널링/데이터 혼합 전송,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셋팅 임계값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셋팅 임계값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셋팅 유형은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전송 유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 대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고, UE에게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송신할 수 있다. 상응하게, UE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하고,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약속할 수도 있으며, UE는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 또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UE는 상기 측정 값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여러 가능한 구현 형태에 대해 각각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을 포함할 경우,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을 결정하고,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다음 UE는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큰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기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변화량은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상대 변화량일 수 있고, 또는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절대 변화량일 수도 있다.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변화량이 절대 변화량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고정 수치이고, 변화량이 상대 변화량일 경우, 셋팅 임계값의 수치는 감수와 피감수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변화량이 측정 값에서 참조 값을 감하는 수치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임계값 1일 수 있고, 변화량이 참조 값에서 측정 값을 감하는 수치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임계값 2일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 1과 임계값 2의 수치는 같을 수 있고, 또는 다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할 경우, UE는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않는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셋팅 유형과 매칭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고, 셋팅 유형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동시 포함할 경우, UE는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또한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크거나, 및/또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않는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우선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된 상황에서, 계속하여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이 경우,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우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계속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이 경우,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셋팅 유형과 매칭됨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만에 대해 측정하면 되거나, 및/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됨으로써,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당해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 상황에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릴리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RRC 설정을 릴리징할 수 있고, 또는,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서스펜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RRC 설정을 보존하고,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서스펜딩할 수 있다. 업링크 전송 자원이 서스펜딩 상태일 경우,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또한 업링크 전송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송신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송신 데이터량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값 또는 문턱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송신 데이터량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값 또는 문턱값보다 작은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송신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한다. 이 경우,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UE가 특정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 업링크 전송 자원 PUSCH에 특정 베어러의 업링크 데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은, UE에 의해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여기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만에 대해 측정하면 되거나, 및/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됨으로써,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을 제공하되,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UE에 의해 수행되고,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 대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할 경우, UE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기지국일 수 있고, 당해 기지국은 복수의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응용 장면에 따라, 기지국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로 불리울 수 있고,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하나 이상의 섹터를 통해 무선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 또는 기타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은 단계 201 내지 단계 204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1,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하며, 여기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을 포함한다.
여기서, 셋팅 임계값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셋팅 임계값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가용성 판단 조건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가용성 판단 조건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당해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업링크 전송 자원은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될 수 있으며, 업링크 전송은 시그널링, 데이터, 시그널링/데이터 혼합 전송,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전송 자원은 대응되는 주파수 지시 정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당해 주파수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당해 주파수 지시 정보는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지시 정보는 셀 식별자, 주파수 포인트 식별자, 대역폭, BWP(Bandwidth Part, 대역폭 파트) 식별자, 셀 그룹 식별자 및 TAG 식별자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셀 식별자는 PCI(Physical Cell Identifier, 물리적 셀 식별자), 서빙 셀 식별자, SCell(Secondary Cell, 세컨더리 셀) 식별자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주파수 포인트 식별자는 예를 들어 ARFCN(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절대 무선 채널 번호)일 수 있고, 셀 그룹 식별자는 예를 들어 MCG 또는 SCG일 수 있다.
여기서, 참조 값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거나 UE와의 연결을 릴리징하기 전에 또는 할 때, UE가 연결 상태(CONNECTED)에서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상응하게, 측정 값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거나 UE와의 연결을 릴리징한 후, UE가 아이들 상태(IDLE) 또는 비활성 상태(INACTIVE)에서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UE가 t 시점에서 RRC Release 메세지를 통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수신하면, 참조 값은 UE가 연결 상태에서, (t-t1) 시점에서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획득된 사용 가능한 측정 결과일 수 있다. 여기서, t1은 0 이상 tx 이하의 값이며, tx는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거나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측정 값은 t 시점 이후, UE가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획득된 측정 결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참조 값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거나 UE와의 연결을 릴리징하기 전에 또는 할 때, UE가 네트워크 기기가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거나 UE와의 연결을 릴리징하는 시점에 가장 가까운 다운링크 전송을 측정하여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UE가 t 시점에서 RRC Release 메세지를 통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수신하면, 참조 값은 UE가 연결 상태에서, (t-t1) 시점에서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획득된 사용 가능한 측정 결과일 수 있다. 여기서, t-t1은 t 시점에 가장 가까운 UE가 측정을 통해 사용 가능한 측정 결과를 획득할 때 대응되는 시점이고, t1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거나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참조 값은 UE가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업링크 타이밍 조정 명령을 마지막으로 수신할 때 또는 수신하기 전에,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UE는 t1 시점에서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셀 1에 대한 업링크 타이밍 조정 명령을 수신한다. 여기서, 당해 업링크 타이밍 조정 명령은 UE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수신하기 전에 또는 수신할 때, UE가 수신한 셀 1에 대한 마지막 하나의 업링크 타이밍 조정 명령일 수 있다. UE는 t2 시점에서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당해 UE에 대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수신하고, 업링크 전송 자원은 셀 1에 대응되며, UE는 당해 업링크 타이밍 조정 명령을 수신할 때 또는 수신하기 전에,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획득된 측정 결과를 참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가 업링크 타이밍 조정 명령을 수신할 때 또는 수신하기 전에,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획득된 측정 결과는 당해 업링크 타이밍 조정 명령을 수신한 시점에 가장 가까운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획득된 사용 가능한 측정 결과이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참조 값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거나 UE와의 연결을 릴리징하기 전에 또는 할 때, UE가 연결 상태에서 다운링크 전송의 셋팅 측정 객체에 대해 셋팅 측정 항목을 측정하여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참조 값의 셋팅 측정 객체는 셋팅 셀, 셋팅 빔, 셋팅 측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셋팅 측정 신호는 예를 들어 설정된 경로 손실 참조 신호일 수 있고, 셋팅 측정 신호의 신호 유형은 SSB(Synchronous Signal Block, 동기 신호 블록),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 Reference Signal,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셋팅 측정 항목은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참조 신호 수신 강도),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참조 신호 수신 품질),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신호 대 간섭 잡음비), 경로 손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셋팅 측정 항목에 경로 손실이 포함될 경우, 셋팅 측정 신호는 네트워크측에서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경로 손실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기기의 설정 정보에 상이한 시간 및/또는 주파수의 자원 위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이한 자원 위치는 상이한 경로 손실 참조 신호에 대응된다.
여기서, 셋팅 셀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기기가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거나 UE와의 연결을 릴리징하기 전에 또는 할 때, UE가 연결 상태에서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획득된 참조 값은 셋팅 셀의 측정 결과, 또는 셋팅 빔의 측정 결과, 또는 경로 손실 참조 신호의 경로 손실 참조 측정 결과일 수 있다. 여기서, 셋팅 셀의 측정 결과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지정된 셋팅 셀의 셀 측정 결과,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지정된 셋팅 셀의 셋팅 측정 객체의 측정 결과, 프라이머리 셀의 서빙 측정 객체의 측정 결과, 프라이머리 셀의 초기 BWP의 측정 결과,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셀의 측정 결과,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셀의 BWP의 측정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에서 셀 측정 결과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어3 필터링 전의 셀 측정 결과(예컨대 셀 측정 결과 B), 도 1에 도시된 레이어3 필터링 후의 셀 측정 결과(예컨대 셀 측정 결과 C), 도 1에 도시된 측정 보고의 셀 측정 결과(예컨대 셀 측정 결과 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에서 셋팅 빔의 측정 결과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어3 필터링 전의 빔 측정 결과(예컨대 셀 측정 결과 K), 도 1에 도시된 레이어3 필터링 후의 빔 측정 결과(예컨대 셀 측정 결과 E), 도 1에 도시된 측정 보고의 빔 측정 결과(예컨대 셀 측정 결과 F), 최대 측정 값의 빔에 대응되는 측정 결과,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 대해 설정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빔의 측정 결과,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지시된 빔의 측정 결과, 측정 값이 네트워크측에 의해 설정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된 빔 측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빔에 대응되는 측정 결과, 측정 값이 네트워크측에 의해 설정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된 빔 측정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빔에 대응되는 측정 결과, UE가 선택한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에 대응되는 빔의 측정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셋팅 빔은 셋팅 셀 내에 최대 측정 값이 구비된 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지시된 빔, 측정 값이 빔 측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빔, 측정 값이 빔 측정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빔, UE가 선택한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에 대응되는 빔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빔의 식별자는 SSB 식별자, CSI-RS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측정 값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거나 UE와의 연결을 릴리징한 후, UE가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 다운링크 전송의 셋팅 측정 객체에 대해, 셋팅 측정 항목을 측정하여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측정 값의 셋팅 측정 객체는 셋팅 셀, 셋팅 빔, 셋팅 측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셋팅 측정 신호의 신호 유형은 SSB, CSI-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셋팅 측정 항목은 RSRP, RSRQ, SINR, 경로 손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셋팅 측정 신호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설정 정보에 따라 결정된 셀 선택 또는 재선택에 사용되는 측정 신호이거나, 또는 측정 값 및/또는 참조 값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용 측정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기기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셀 선택 또는 재선택에 사용되는 또는 측정 값 및/또는 참조 값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용 측정 신호의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측 旬는 UE 전용 시그널링, 예컨대 RRC Release 메세지를 통해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측 기기의 설정 정보는 주파수 지시 정보, 부반송파 간격, 측정 시간 간격, 참조 신호 설정, 셀 측정 값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빔 측정 임계값, 셀 측정 값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빔 최대 수량, 빔 식별자, 신호 식별자(예컨대 경로 손실 참조 신호의 식별자)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셋팅 셀의 측정 결과는 셋팅 셀에서 측정 값이 빔 측정 임계값보다 큰 각 빔의 평균 측정 결과, 및/또는 셋팅 셀의 각 빔의 최대 측정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형 평균화에 사용되는 빔 수량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된 빔 수량 임계값보다 작아야 한다.
셋팅 빔의 측정 결과는 셋팅 셀의 각 빔의 최대 측정 결과,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빔의 측정 결과, 셋팅 빔의 측정 결과(예컨대 네트워크측 기기가 RRC Release 메세지를 통해 지정한 빔의 측정 결과), 측정 값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된 빔 측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빔에 대응되는 측정 결과, 측정 값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된 빔 측정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빔에 대응되는 측정 결과, UE가 업링크 전송에 사용하는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빔의 측정 결과(예컨대 네트워크측 기기의 설정 정보에 상이한 시간 및/또는 주파수의 자원 위치가 포함될 수 있고, 상이한 자원 위치는 상이한 빔, 예를 들어 빔-1 및 빔-2에 대응되며, UE가 빔-1에 대응되는 자원을 선택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빔-1의 측정 결과는 셋팅 빔의 측정 결과일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셋팅 빔은 셋팅 셀 내에 최대 측정 값이 구비된 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지시된 빔, 측정 값이 빔 측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빔, 측정 값이 빔 측정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빔, UE가 선택한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에 대응되는 빔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빔의 식별자는 SSB 식별자, CSI-RS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셋팅 측정 항목에 경로 손실이 포함될 경우, 셋팅 측정 신호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경로 손실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기기의 설정 정보에는 상이한 시간 및/또는 주파수의 자원 위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이한 자원 위치는 상이한 경로 손실 참조 신호, 예컨대 SSB-1 및 SSB-2에 대응된다. UE가 SSB-1에 대응되는 자원을 선택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SSB-1의 측정 결과가 셋팅 측정 신호의 측정 결과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참조 값을 획득하기 위해 측정에 사용되는 셋팅 측정 객체와 측정 값을 획득하기 위해 측정에 사용되는 셋팅 측정 객체는 다음과 같은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할 수 있다. 주파수 지시 정보가 같은 조건(예컨대 상기 참조 값이 셀-1의 초기 BWP의 측정 결과이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도 셀-1의 초기 BWP의 측정 결과임), 신호 유형이 같은 조건(예컨대 상기 참조 값이 셀-1의 SSB의 측정 결과이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도 셀-1의 SSB의 측정 결과임), 셋팅 측정 항목이 같은 조건(예컨대 참조 값이 셀-1의 경로 손실의 측정 결과이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도 경로 손실의 측정 결과임), 셋팅 빔이 같은 조건(예컨대 참조 값이 빔 SSB-1의 측정 결과이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도 빔 SSB-1의 측정 결과임), 셋팅 측정 신호가 같은 조건(예컨대 참조 값이 경로 손실 참조 신호 SSB-1의 측정 결과이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도 경로 손실 참조 신호 SSB-1의 측정 결과임), 빔 최대 수량이 같은 조건(즉, 참조 값과 측정 값이 셋팅 셀의 측정 결과이면, 셀 측정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빔 최대 수량이 같음), 빔 측정 임계값이 같은 조건(즉, 참조 값과 측정 값이 셋팅 셀의 측정 결과이면, 셀 측정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빔 측정 임계값이 같음).
단계 202,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 대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고, UE에 업링크 전송 자원을 송신할 수 있다. 상응하게, UE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발명은 단계 202가 단계 201 다음에 수행되는 예시만 제공하였으나, 실제 응용 시, 단계 202는 또한 단계 201 전에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단계 202는 단계 201과 병렬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03, 가용성 판단 조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을 결정하고,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변화량은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상대 변화량일 수 있고, 또는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절대 변화량일 수도 있다. 다음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클 경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변화량이 절대 변화량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고정 수치이고, 변화량이 상대 변화량일 경우, 셋팅 임계값의 수치는 감수와 피감수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변화량이 측정 값에서 참조 값을 감하는 수치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임계값 1일 수 있고, 변화량이 참조 값에서 측정 값을 감하는 수치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임계값 2일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 1과 임계값 2의 수치는 같을 수 있고, 또는 다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04,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당해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 상황에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릴리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RRC 설정을 릴리징할 수 있고, 또는,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서스펜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RRC 설정을 보존하고,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서스펜딩할 수 있다. 업링크 전송 자원이 서스펜딩 상태일 경우,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또한 업링크 전송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송신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송신 데이터량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값 또는 문턱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송신 데이터량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값 또는 문턱값보다 작은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송신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한다. 이 경우,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예컨대, UE가 특정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 업링크 전송 자원 PUSCH에 특정 베어러의 업링크 데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에는 또한 셋팅 측정 신호가 설정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측 기기가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해 셋팅 측정 신호를 설정한 후,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더는 시스템 정보에 설정된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의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하지 않고,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의 측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은 UE에 의해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하며, 여기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을 포함하고, 또한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하므로, 가용성 판단 조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고,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만에 대해 측정하면 되고,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을 제공하되,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UE에 의해 수행되고, UE는 자신에 대응되는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기지국일 수 있고, 당해 기지국은 복수의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응용 장면에 따라, 기지국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로 불리울 수 있고,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하나 이상의 섹터를 통해 무선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 또는 기타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은 단계 301 내지 단계 304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1,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하며, 여기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한다.
셋팅 유형은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전송 유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가용성 판단 조건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가용성 판단 조건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당해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업링크 전송은 시그널링, 데이터, 시그널링/데이터 혼합 전송,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전송 자원은 대응되는 주파수 지시 정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당해 주파수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당해 주파수 지시 정보는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지시 정보는 셀 식별자, 주파수 포인트 식별자, 대역폭, BWP 식별자, 셀 그룹 식별자 및 TAG 식별자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셀 식별자는 PCI, 서빙 셀 식별자, SCell 식별자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주파수 포인트 식별자는 예를 들어 ARFCN일 수 있고, 셀 그룹 식별자는 예를 들어 MCG 또는 SC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송 유형을 특징화하는 식별자는 베어러(bearer) 식별자, 베어러 유형 식별자,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세션(Session) 식별자, LCID(Logic Channel Identifier, 로직 채널 식별자), 비즈니스에 대응되는 셀 그룹 식별자 및 업링크 송신 자원 유형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러 식별자는 예를 들어 DRB(Data Radio Bearer, 데이터 무선 베어러) 식별자일 수 있고, 베어러 유형 식별자는 예를 들어 MCG bearer, SCG bearer, split bearer(분기 베어러) 일 수 있다.
업링크 송신 자원 유형은 PUSCH에서의 업링크 전송, PUCCH에서의 업링크 전송, 업링크 탐지 신호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업링크 탐지 신호는 예를 들어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탐지 참조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송신 자원 유형이 PUSCH에서의 업링크 전송일 경우, 업링크 권한을 PUSCH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계 302,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 대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고, UE에 업링크 전송 자원을 송신할 수 있다. 상응하게, UE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은 또한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발명은 단계 302가 단계 301 다음에 수행되는 예시만 제공하였으나, 실제 응용 시, 단계 302는 또한 단계 301 전에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단계 302는 단계 301과 병렬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303, 가용성 판단 조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이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셋팅 유형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셋팅 유형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지 않는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다.
단계 304,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셋팅 유형과 매칭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고, 셋팅 유형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UE는 당해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 상황에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릴리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RRC 설정을 릴리징할 수 있고, 또는,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서스펜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RRC 설정을 보존하고,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서스펜딩할 수 있다. 업링크 전송 자원이 서스펜딩 상태일 경우,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나아가,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또한 업링크 전송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송신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송신 데이터량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값 또는 문턱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송신 데이터량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값 또는 문턱값보다 작은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송신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한다. 이 경우,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예컨대, UE가 특정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 업링크 전송 자원 PUSCH에 특정 베어러의 업링크 데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은, UE에 의해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하며, 여기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하고, 또한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하므로, 가용성 판단 조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고,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됨으로써,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을 제공하되,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UE에 의해 수행되며, UE는 자신에 대응되는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기지국일 수 있고, 당해 기지국은 복수의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응용 장면에 따라, 기지국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로 불리울 수 있고,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하나 이상의 섹터를 통해 무선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 또는 기타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은 단계 401 내지 단계 403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1, 가용성 판단 조건, 및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한다.
업링크 전송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된 것일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기존 기술에서,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 대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할 때, UE는 당해 유일한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복수의 상이한 전송 유형의 비즈니스 데이터를 송신한다. 데이터가 도착하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UE가 한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상이한 전송 유형의 비즈니스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 지연을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의 송신 지연을 줄이기 위해,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 대해 설정한 업링크 전송 자원은 복수의 세트일 수 있고, 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된 업링크 전송 자원은 복수의 세트일 수 있으며, 여기서, 복수의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에는 적어도 한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업링크 전송은 시그널링, 데이터, 시그널링/데이터 혼합 전송,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용성 판단 조건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가용성 판단 조건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당해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운링크 전송은 시그널링, 데이터, 시그널링/데이터 혼합 전송,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셋팅 임계값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셋팅 임계값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셋팅 유형은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전송 유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2, 가용성 판단 조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E는 가용성 판단 조건에 따라,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의 가용성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 또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UE는 상기 측정 값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여러 가능한 구현 형태에 대해 각각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을 포함할 경우,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을 결정하고,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화량은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상대 변화량일 수 있고, 또는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절대 변화량일 수도 있다. 다음 UE는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큰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변화량이 절대 변화량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고정 수치이고, 변화량이 상대 변화량일 경우, 셋팅 임계값의 수치는 감수와 피감수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변화량이 측정 값에서 참조 값을 감하는 수치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임계값 1일 수 있고, 변화량이 참조 값에서 측정 값을 감하는 수치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임계값 2일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 1과 임계값 2의 수치는 같을 수 있고, 또는 다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할 경우, UE는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않는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셋팅 유형과 매칭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고, 셋팅 유형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동시 포함할 경우, UE는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또한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크거나, 및/또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않는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우선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된 상황에서, 계속하여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이 경우,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우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계속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이 경우,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셋팅 유형과 매칭됨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403,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에서 사용 가능한 타겟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을 포함할 경우, 타겟 자원은 복수의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에서, 참조 값에 비교하여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은 업링크 전송 자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할 경우, 타겟 자원은 복수의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에서, 대응되는 셋팅 유형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동시 포함할 경우, 타겟 자원은 복수의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에서, 대응되는 셋팅 유형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 및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은 업링크 전송 자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에서 사용 가능한 타겟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네트워크측 기기가 UE에 대해 A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고, A 세트에서 B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을 지정하여 업링크 정보 X의 송신에 사용된다. UE가 송신할 업링크 정보가 X인 경우, X의 전송 유형에 따라 A 세트에서 B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전송 유형이 X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UE는 결정된 B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이 업링크 정보 X를 전송하는데 사용 가능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B 세트의 설정에서 C 세트의 설정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을 경우, UE는 B 세트의 설정에서 C 세트의 설정을 제외한 설정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정보 X를 전송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타겟 자원이 복수의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에서, 대응되는 셋팅 유형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일 경우, 또는, 타겟 자원이 복수의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에서, 대응되는 셋팅 유형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고,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은 업링크 전송 자원일 경우, 셋팅 유형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 타겟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기존 기술에서 한 세트의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상이한 전송 유형의 업링크 전송을 송신하는 방식에 비해, 데이터 송신의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에는 또한 셋팅 측정 신호가 설정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측 기기가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해 셋팅 측정 신호를 설정한 후,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더는 시스템 정보에 설정된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의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하지 않고,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의 측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은, UE에 의해 가용성 판단 조건 및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하고, 가용성 판단 조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고,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에서 사용 가능한 타겟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줄이는 기반에서, 또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을 제공하되,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UE에 의해 수행되며, UE는 자신에 대응되는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기지국일 수 있고, 당해 기지국은 복수의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응용 장면에 따라, 기지국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로 불리울 수 있고,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하나 이상의 섹터를 통해 무선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 또는 기타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은 단계 501 내지 단계 503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01, 가용성 판단 조건, 및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하며; 업링크 전송 자원은 업링크 타이밍을 포함하고,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 조건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전송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업링크 전송 자원은 업링크 타이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 자원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의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해 대응되는 업링크 타이밍, 예컨대, 업링크 TA를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 대해 업링크 타이밍이 사용 가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 대해 TA가 사용 가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TAT(Time Alignment Timer, 시간 조정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UE는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TAC를 수신한 후,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거나 또는 상기 타이머를 다시 시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당해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업링크 전송은 시그널링, 데이터, 시그널링/데이터 혼합 전송,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용성 판단 조건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가용성 판단 조건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당해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 대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고, UE에게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송신할 수 있다. 상응하게, UE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은 또한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502, 가용성 판단 조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가 아닐 경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업링크 타이밍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하고,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일 경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UE는 또한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타임아웃되었는지 여부, 및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지 여부를 동시 판단할 수 있다.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거나 또는 실행 상태가 아닌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업링크 타이밍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하고,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타임아웃되지 않았고 실행 상태인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전송 자원의 업링크 타이밍이 사용 가능하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업링크 스텝아웃 상태일 경우, 프로토콜에 의해 업링크 전송 자원이 더는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약속될 수 있고, 예컨대, 업링크 전송 자원을 릴리징할 수 있다.
단계 503,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당해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 상황에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릴리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RRC 설정을 릴리징할 수 있고, 또는,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서스펜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RRC 설정을 보존하고,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서스펜딩할 수 있다. 업링크 전송 자원이 서스펜딩 상태일 경우,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업링크 전송은 시그널링, 데이터, 시그널링/데이터 혼합 전송, 참조 신호일 수 있다.
나아가,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또한 업링크 전송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송신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송신 데이터량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송신 데이터량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값보다 작은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송신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한다. 이 경우,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예컨대, UE가 특정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 업링크 전송 자원 PUSCH에 특정 베어러의 업링크 데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은, UE에 의해 가용성 판단 조건 및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하고; 여기서, 업링크 전송 자원은 업링크 타이밍을 포함하고,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 조건을 포함하며, 가용성 판단 조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고,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을 제공하되,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UE에 의해 수행되며, UE는 자신에 대응되는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기지국일 수 있고, 당해 기지국은 복수의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응용 장면에 따라, 기지국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로 불리울 수 있고,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하나 이상의 섹터를 통해 무선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 또는 기타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은 단계 601 내지 단계 6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01, 가용성 판단 조건, 및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하며; 업링크 전송 자원은 업링크 타이밍을 포함하고,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 조건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전송 자원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업링크 전송 자원은 업링크 타이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 자원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의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해 대응되는 업링크 타이밍, 예컨대, 업링크 TA를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 대해 업링크 타이밍이 사용 가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 대해 TA가 사용 가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TAT를 설정할 수 있다. UE는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TAC를 수신한 후,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거나 또는 상기 타이머를 다시 시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당해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업링크 전송은 시그널링, 데이터, 시그널링/데이터 혼합 전송, 참조 신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용성 판단 조건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가용성 판단 조건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당해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 대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고, UE에게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송신할 수 있다. 상응하게, UE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은 또한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602, 가용성 판단 조건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며; 가용성 판단 조건은 또한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또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E는 우선 업링크 전송 자원의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가 아닐 경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하고,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일 경우, 계속하여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 및/또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는 또한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타임아웃되었는지 여부, 및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지 여부를 동시 판단할 수 있다.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거나 또는 실행 상태가 아닌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다.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타임아웃되지 않았고 실행 상태인 상황에서, 계속하여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 및/또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을 포함할 경우, 업링크 전송 자원의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 상황에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을 결정하고,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화량은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상대 변화량일 수 있고, 또는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절대 변화량일 수도 있다. 다음 UE는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큰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변화량이 절대 변화량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고정 수치이고, 변화량이 상대 변화량일 경우, 셋팅 임계값의 수치는 감수와 피감수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변화량이 측정 값에서 참조 값을 감하는 수치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임계값 1일 수 있고, 변화량이 참조 값에서 측정 값을 감하는 수치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임계값 2일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 1과 임계값 2의 수치는 같을 수 있고, 또는 다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할 경우, 업링크 전송 자원의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 상황에서, UE는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않는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셋팅 유형과 매칭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고, 셋팅 유형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동시 포함할 경우, 업링크 전송 자원의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 상황에서, UE는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또한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크거나, 및/또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않는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우선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된 상황에서, 계속하여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이 경우,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우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계속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이 경우,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셋팅 유형과 매칭됨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 상황에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릴리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RRC 설정을 릴리징할 수 있고, 또는,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서스펜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RRC 설정을 보존하고,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서스펜딩할 수 있다. 업링크 전송 자원이 서스펜딩 상태일 경우,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나아가,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또한 업링크 전송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송신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송신 데이터량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값 또는 문턱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송신 데이터량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값 또는 문턱값보다 작은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송신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한다. 이 경우,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예컨대, UE가 특정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 업링크 전송 자원 PUSCH에 특정 베어러의 업링크 데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에는 또한 셋팅 측정 신호가 설정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측 기기가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해 셋팅 측정 신호를 설정한 후,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더는 시스템 정보에 설정된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의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하지 않고,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의 측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은, UE가 업링크 전송 자원의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고, 및/또는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할 수 있다.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을 제공하되,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수행되며, UE에 대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한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기지국일 수 있고, 당해 기지국은 복수의 UE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응용 장면에 따라, 기지국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로 불리울 수 있고,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하나 이상의 섹터를 통해 무선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 또는 기타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은 단계 701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01, UE에게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송신하며; 업링크 전송 자원은 UE가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또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 대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고, UE에게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송신할 수 있다. 상응하게, UE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할 수 있고, 가용성 판단 조건에 따라,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고,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은 또한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획득할 수 있고, 가용성 판단 조건에 따라,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고,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업링크 전송은 시그널링, 데이터, 시그널링/데이터 혼합 전송, 참조 신호일 수 있다. 다운링크 전송은 시그널링, 데이터, 시그널링/데이터 혼합 전송, 참조 신호일 수 있다.
가용성 판단 조건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가용성 판단 조건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UE는 당해 가용성 판단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셋팅 임계값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셋팅 임계값은 프로토콜에 의해 약속되고, UE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도 있다.
셋팅 유형은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전송 유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E는 가용성 판단 조건에 따라,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의 가용성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 또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UE는 상기 측정 값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에 따라, 업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여러 가능한 구현 형태에 대해 각각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을 포함할 경우,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을 결정하고,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고, 여기서, 변화량은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상대 변화량일 수 있고, 또는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절대 변화량일 수도 있다. 다음 UE는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큰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측정 값과 참조 값 사이의 변화량이 절대 변화량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고정 수치이고, 변화량이 상대 변화량일 경우, 셋팅 임계값의 수치는 감수와 피감수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변화량이 측정 값에서 참조 값을 감하는 수치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임계값 1일 수 있고, 변화량이 참조 값에서 측정 값을 감하는 수치일 경우, 셋팅 임계값은 임계값 2일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 1과 임계값 2의 수치는 같을 수 있고, 또는 다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할 경우, UE는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않는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셋팅 유형과 매칭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고, 셋팅 유형이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가용성 판단 조건이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동시 포함할 경우, UE는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또한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크거나, 및/또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않는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우선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된 상황에서, 계속하여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이 경우,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우선 참조 값에 대한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계속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 설정의 셋팅 유형이 현재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과 매칭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하고, 이 경우,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업링크 전송 자원에 셋팅 유형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셋팅 유형과 매칭됨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만에 대해 측정하면 되거나, 및/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됨으로써,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UE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필요 없으며,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UE는 당해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 상황에서,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릴리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RRC 설정을 릴리징할 수 있고, 또는,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서스펜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RRC 설정을 보존하고,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서스펜딩할 수 있다. 업링크 전송 자원이 서스펜딩 상태일 경우,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나아가,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또한 업링크 전송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송신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송신 데이터량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값 또는 문턱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송신 데이터량이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량 임계값 또는 문턱값보다 작은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송신 조건을 만족함을 결정한다. 이 경우, UE는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예컨대, UE가 특정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할 때, 업링크 전송 자원 PUSCH에 특정 베어러의 업링크 데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UE에게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송신하고, 상응하게,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수신한 후,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여기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또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만에 대해 측정하면 되거나, 및/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됨으로써,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에 대응되게, 본 발명은 또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가 상기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에 대응되기 때문에,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실시 형태는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에 적용되므로, 본 실시예에서 더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장치는 UE에 적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900)는 결정 모듈(901)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 모듈(901)은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여기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또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900)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는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을 릴리징하거나 서스펜딩하는 릴리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은 업링크 타이밍을 포함하고;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가 실행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은, 아이들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참조 값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거나 사용자 기기와의 연결을 릴리징하기 전에 또는 할 때, 사용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가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거나 사용자 기기와의 연결을 릴리징하는 시점에 가장 가까운 다운링크 전송을 측정하여 획득된 것이고; 또는 참조 값은, 사용자 기기가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업링크 타이밍 조정 명령을 마지막으로 수신할 때 또는 수신하기 전에, 다운링크 전송에 대해 측정하여 획득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측정하는 셋팅 측정 객체는 셋팅 셀, 셋팅 빔 및 셋팅 측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측정하는 셋팅 측정 항목은 참조 신호 수신 강도(RSRP),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NR) 및 경로 손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측정 값 및 참조 값 중 적어도 하나는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된 것이고; 셋팅 측정 신호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설정 정보에 따라 결정된 셀 선택 또는 재선택에 사용되는 측정 신호이거나, 또는 측정 값 및 참조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용 측정 신호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설정 정보는 주파수 지시 정보, 부반송파 간격, 측정 시간 간격, 참조 신호 설정, 빔 측정 임계값, 빔 최대 수량, 빔 식별자 및 신호 식별자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에 셋팅 측정 신호가 설정되어 있다.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900)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을 수행하거나; 및/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 상황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중지하는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셋팅 셀의 측정 결과는 셋팅 셀에서 측정 값이 빔 측정 임계값보다 큰 각 빔의 평균 측정 결과; 및 셋팅 셀의 각 빔의 최대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셋팅 빔은 셋팅 셀 내에 최대 측정 값을 구비한 빔;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지시된 빔; 측정 값이 빔 측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빔; 측정 값이 빔 측정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빔;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 유형을 특징화하는 식별자는 베어러 식별자, 베어러 유형 식별자, 데이터 스트림 식별자, 세션 식별자, 로직 채널 식별자, 비즈니스에 대응되는 셀 그룹 식별자 및 업링크 송신 자원 유형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업링크 송신 자원 유형은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서의 업링크 전송,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에서의 업링크 전송 및 업링크 탐지 신호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업링크 권한을 PUSCH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업링크 전송 자원은 대응되는 주파수 지시 정보를 구비하고; 주파수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되거나 사용자 기기에 미리 설정된 것이며; 주파수 지시 정보는 셀 식별자, 주파수 포인트 식별자, 대역폭, 부분 대역폭 식별자, 셀 그룹 식별자 및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 식별자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는, UE에 의해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여기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만에 대해 측정하면 되거나, 및/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됨으로써,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도 8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에 대응되게, 본 발명은 또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가 상기 도 8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에 대응되기 때문에, 도 8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의 실시 형태는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에 적용되므로, 본 실시예에서 더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다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장치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적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1000)는 송신 모듈(1001)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모듈(1001)은 사용자 기기에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송신한다.
여기서, 업링크 전송 자원은, 사용자 기기가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장치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UE에게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송신하고, 상응하게,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을 수신한 후,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여기서, 가용성 판단 조건은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참조 값에 비교하여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또는,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만에 대해 측정하면 되거나, 및/또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송신할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됨으로써,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한 상황에서, 당해 업링크 전송 자원을 UE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UE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가용성을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측 기기에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기기에서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통신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 트랜시버,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전술한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이 수행되거나,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이 수행된다.
당해 통신 기기는 전술한 UE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양한 유형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당해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저장 매체이며, 통신 기기의 전원이 꺼진 후에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기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기기는 UE 또는 네트워크측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버스 등에 의해 메모리에 연결될 수 있고, 메모리에 저장된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8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한다.
상기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컴퓨터 저장 매체에는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전술한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8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UE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UE(11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사용자 기기, 메시지 송수신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 기기, 의료 기기, 피트니스 기기, 개인용 디지털 비서 등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UE(1100)는 처리 컴포넌트(1102), 메모리(1104), 전원 컴포넌트(11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1108), 오디오 컴포넌트(11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1112), 센서 컴포넌트(1114), 및 통신 컴포넌트(11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컴포넌트(1102)는 일반적으로 UE(1100)의 전체적인 조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된 조작을 제어한다. 처리 컴포넌트(110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그 외에 처리 컴포넌트(1102)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처리 컴포넌트(1102)와 기타 컴포넌트 사이의 인터랙션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처리 파트(11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컴포넌트(1108) 및 처리 컴포넌트(1102) 사이의 인터랙션을 용이하게 한다.
메모리(1104)는 UE(1100)에서의 조작을 서포트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서는 UE(1100)에서 조작을 위한 임의의 응용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 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104)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지우기 가능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전용 메모리(EEPROM), 지우기 가능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전용 메모리(PROM), 읽기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임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컴포넌트(1106)는 UE(1100)의 각 컴포넌트 에 대해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컴포넌트(11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전원 장치, 및 UE(1100)에 대해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를 하기 위한 기타 컴포넌트 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1108)는 상기 UE(1100)와 사용자 사이에서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시그널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 패널 위에 있는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과 관련된 웨이크업 시간 및 압력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1108)는 전방 카메라 또는 후방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UE(1100)가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와 같은 조작 모드에 있는 경우, 전방 카메라 또는 후방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는 고정한 광학렌즈 시스템일 수 있고 또는 초점 거리 및 광학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컴포넌트(1110)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 및/또는 입력을 위해 구성된 것이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컴포넌트(1110)는 마이크(MIC)를 포함하고, UE(1100)가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와 같은 조작 모드에 있는 경우, 마이크가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더 나아가 메모리(11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컴포넌트(1116)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컴포넌트(11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1112)는 처리 컴포넌트(11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페이지 버튼, 볼륨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컴포넌트(1114)는 UE(1100)에 대해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컴포넌트(1114)는 기기(1100)의 온/오프 상태, 컴포넌트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컴포넌트가 UE(1100)의 디스플레이 및 작은 키보드인 경우, 센서 컴포넌트(1114)는 UE(1100) 또는 UE(1100)의 하나 컴포넌트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UE(1100) 사이의 접촉 유무, UE(1100)의 방향 또는 가속/감속 및 UE(11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1114)는 어프로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 접촉이 없을 때 주변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센서 컴포넌트(1114)는 또한 이미징 응용에서 사용하는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컴포넌트(1114)는 또한 가속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1116)는 UE(1100)와 다른 기기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UE(1100)는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표준에 기반한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1116)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컴포넌트(11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술, 적외선 데이터 협회(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1100)는 적어도 하나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디지털 시그널 처리 기기(DSPD),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장치(PLD),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임의의 방법을 수행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또한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어, 예를 들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1104)가 제공되어, 명령이 UE(1100)의 프로세서(1120)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임의의 방법을 완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학 데이터 저장 기기 등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 기기(1200)는 네트워크 기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측 기기(1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처리 컴포넌트(1222), 및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처리 컴포넌트(1222)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1232)로 표현되는 메모리 자원을 포함한다. 메모리(1232)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상기 모듈은 한 그룹의 명령에 해당된다. 그 외에, 처리 컴포넌트(1222)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방법과 같은 전술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적용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한다.
네트워크측 기기(1200)는 네트워크측 기기(1200)의 전원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 컴포넌트(1226), 네트워크측 기기(1200)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50), 및 입출력(I/O) 인터페이스(12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측 기기(1200)는 메모리(1232)에 저장된 Windows ServerTM, Mac OS XTM, UnixTM, LinuxTM, FreeBSDTM과 유사한 조작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명세서를 고려하여 개시된 발명을 실행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식을 쉽게 생각해 낼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을 포괄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고 본 발명에서 개시되지 않은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지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지적된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되어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21)

  1. 업링크(uplink)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방법은,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downlink)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릴리징(releasing)하거나 서스펜딩(suspend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은 업링크 타이밍(timing)을 포함하고;
    상기 가용성 판단 조건은,
    상기 업링크 타이밍에 대응되는 타이머(timer)가 실행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은, 아이들(idle)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의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값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기기와의 연결을 릴리징하기 전에 또는 할 때, 상기 다운링크 전송을 측정하여 획득된 것이고;
    상기 측정 값은,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을 설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기기와의 연결을 릴리징한 후, 상기 다운링크 전송을 측정하여 획득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측정하는 셋팅 측정 객체는 셋팅(setting) 셀(cell), 셋팅 빔(beam) 및 셋팅 측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측정하는 셋팅 측정 항목은 참조 신호 수신 강도(RSRP),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NR) 및 경로 손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값 및 상기 참조 값 중 적어도 하나는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된 것이고;
    상기 셋팅 측정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의 설정 정보에 따라 결정된 셀 선택 또는 재선택에 사용되는 측정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값 및 상기 참조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용 측정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주파수 지시 정보, 부반송파 간격, 측정 시간 간격, 참조 신호 설정, 빔 측정 임계값, 빔 최대 수량, 빔 식별자 및 신호 식별자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상기 셋팅 측정 신호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함을 결정한 상황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상기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을 결정한 상황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설정된 셋팅 측정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셋팅 셀의 측정 결과는,
    상기 셋팅 셀에서 측정 값이 상기 빔 측정 임계값보다 큰 각 빔의 평균 측정 결과; 및
    상기 셋팅 셀의 각 빔의 최대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셋팅 빔은,
    상기 셋팅 셀 내에 최대 측정 값을 구비한 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빔;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지시된 빔;
    측정 값이 상기 빔 측정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빔; 및
    측정 값이 상기 빔 측정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빔;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형을 특징화하는 식별자는 베어러(bearer) 식별자, 베어러 유형 식별자,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 식별자, 세션(session) 식별자, 로직 채널(logic channel) 식별자, 비즈니스에 대응되는 셀 그룹 식별자 및 업링크 송신 자원 유형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송신 자원 유형은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서의 업링크 전송,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에서의 업링크 전송 및 업링크 탐지 신호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업링크 권한을 상기 PUSCH 업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은 대응되는 주파수 지시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주파수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설정되거나 상기 사용자 기기에 미리 설정된 것이며;
    상기 주파수 지시 정보는 셀 식별자, 주파수 포인트 식별자, 대역폭, 부분 대역폭 식별자, 셀 그룹 식별자 및 타이밍 어드밴스(advance) 그룹 식별자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17.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 기기에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18.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
  19. 네트워크측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에 설정된 업링크 전송 자원을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가용성 판단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용 업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가용성 판단 조건은,
    참조 값에 비교하여 상기 업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전송의 측정 값의 변화량이 셋팅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 및
    업링크 전송의 전송 유형이 셋팅 유형과 매칭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20. 통신 기기에 있어서,
    트랜시버;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의 컴퓨터 수행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트랜시버의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21. 컴퓨터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에 컴퓨터 수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수행 가능한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0237020279A 2020-11-17 2020-11-17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resource,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medium) KR202301042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29477 WO2022104549A1 (zh) 2020-11-17 2020-11-17 上行传输资源的确定方法、装置、通信设备和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286A true KR20230104286A (ko) 2023-07-07

Family

ID=7565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279A KR20230104286A (ko) 2020-11-17 2020-11-17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resource,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medium)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22288A1 (ko)
EP (1) EP4250849A4 (ko)
JP (1) JP2023549278A (ko)
KR (1) KR20230104286A (ko)
CN (1) CN112753269B (ko)
WO (1) WO20221045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06290A (zh) * 2021-05-10 2023-01-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Cn) 数据传输方法、装置及通信设备
WO2023000185A1 (zh) * 2021-07-20 2023-01-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和装置
CN117813910A (zh) * 2021-08-06 2024-04-02 高通股份有限公司 小数据传输通信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3627B (zh) * 2011-08-11 2017-1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载波聚合配置方法及装置
US10237889B2 (en) * 2015-12-09 2019-03-19 Qualcomm Incorporated Conditional uplink grant
CN108289335B (zh) * 2017-01-10 2023-07-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及装置、终端
CN108347779B (zh) * 2017-01-25 2020-02-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数据发送方法、接收方法、用户终端和网络侧设备
CN109561511A (zh) * 2017-09-27 2019-04-02 夏普株式会社 无线通信方法和设备
CN109587770A (zh) * 2017-09-29 2019-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调度请求的处理方法和终端设备
CN110198565A (zh) * 2018-02-26 2019-09-03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小带宽系统中上行资源的分配方法及装置
CN110896560B (zh) * 2018-09-13 2022-06-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信号发送方法和终端
JP7201798B2 (ja) * 2018-09-27 2023-01-1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事前設定ulリソース中での送信のサポート
CN111479323B (zh) * 2019-01-23 2023-05-0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物理上行控制信道的传输资源确定方法及设备
CN113439478B (zh) * 2019-02-15 2024-02-13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通过预配置的上行链路资源发送上行链路数据的方法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53269B (zh) 2024-03-01
EP4250849A4 (en) 2024-01-03
JP2023549278A (ja) 2023-11-22
WO2022104549A1 (zh) 2022-05-27
EP4250849A1 (en) 2023-09-27
CN112753269A (zh) 2021-05-04
US20230422288A1 (en)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2637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device
US11843986B2 (en) Beam measurement method and beam measurement device
US20210336737A1 (en) Measurement configuration method, apparatus, devices,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0169116B (zh) 波束失败确定方法和装置
RU276814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отчета о сбое луча вторичной обслуживающей соты и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KR20230104286A (ko) 업링크 전송 자원의 결정 방법, 장치, 통신 기기 및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resource,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medium)
WO2022183454A1 (zh) 波束配置方法、波束配置装置及存储介质
EP2525612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timing advance group
WO2022078273A1 (zh) 定位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3922931B (zh) 定位测量方法、装置及通信设备
US11425734B2 (en) User equipment an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CN113994765A (zh) 一种bwp切换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731522A (zh) 用户辅助信息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2078311A1 (zh) 定位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2068755A1 (zh) 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RU2817412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ресурса передачи восходящего канала,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и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WO2022236549A1 (zh) 定位测量结果发送方法、接收方法、及其装置、通信设备
KR20230096105A (ko) 전송 파라미터 관리 방법, 전송 파라미터 관리 장치 및 전자기기
RU278819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отчета о сбое луча вторичной обслуживающей соты, и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RU2776679C1 (ru)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24065532A1 (zh) 一种上行波形的配置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0492115B2 (en) Mobilit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CN114080028A (zh) 处理方法、配置方法及相关设备
CN118120195A (zh) 一种上行波形的配置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6074950A (zh) 定位方法、装置及相关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