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76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763A
KR20230100763A KR1020210189127A KR20210189127A KR20230100763A KR 20230100763 A KR20230100763 A KR 20230100763A KR 1020210189127 A KR1020210189127 A KR 1020210189127A KR 20210189127 A KR20210189127 A KR 20210189127A KR 20230100763 A KR20230100763 A KR 20230100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connection
disposed
side wiring
fla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용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9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0763A/ko
Priority to CN202211383799.8A priority patent/CN116367644A/zh
Priority to US18/083,731 priority patent/US20230207577A1/en
Publication of KR20230100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01L27/124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for preventing breakage, peeling or short circui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1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어도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측 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측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측면 배선은, 상기 제1 면과 인접하는 제1 상측부, 상기 제2 면과 인접하는 제1 하측부 및 상기 제1 상측부와 상기 제1 하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측부 및 상기 제1 하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연결부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픽셀 또는 서브 픽셀 단위로 동작이 되면서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는 표시 영역과 픽셀 또는 서브 픽셀을 구동하기 위한 배선들이 배치되는 베젤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 들어 표시 장치에서 표시 영역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베젤 영역을 줄이거나 없앤 베젤 리스(bezel-less)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부응하여 기판 측면에 배선을 형성하는 측면 배선 형성 기술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측면 배선의 단선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어도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측 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측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측면 배선은, 상기 제1 면과 인접하는 제1 상측부, 상기 제2 면과 인접하는 제1 하측부 및 상기 제1 상측부와 상기 제1 하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측부 및 상기 제1 하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연결부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어도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엣지부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엣지부 상에 배치되어 상호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측면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엣지부는, 상기 제1 면과 접하고 상기 제1 면과 평행한 제1 평탄면, 상기 제1 평탄면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1 평탄면에 접하는 제1 모따기면 및 상기 제1 모따기면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1 모따기면에 접하는 제2 평탄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 배선 각각은, 상기 제1 면과 인접하는 상측부, 상기 제2 면과 인접하는 하측부 및 상기 상측부와 상기 하측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측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부는 상기 제1 평탄면, 상기 제1 모따기면 및 상기 제2 평탄면을 덮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어도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측 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측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1 측면 배선 및 제2 측면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측면 배선은 상기 제1 면과 인접하는 제1 상측부, 상기 제2 면과 인접하는 제1 하측부 및 상기 제1 상측부와 상기 제1 하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배선은 상기 제1 면과 인접하는 제2 상측부, 상기 제2 면과 인접하는 제2 하측부 및 상기 제2 상측부와 상기 제2 하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측부와 상기 제2 상측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측면 배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기판 본체부의 제1 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기판 엣지부에 배치된 측면 배선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X1-X1`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기판 엣지부의 제1 평탄면 및 본체부의 제1 면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기판 엣지부의 제3 평탄면 및 본체부의 제2 면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다수 개 모여 형성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엣지부에 배치된 측면 배선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2-X2`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 "좌" 및 "우"로 지칭되는 것들은 다른 소자와 바로 인접하게 개재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재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기판 본체부의 제1 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기판 엣지부에 배치된 측면 배선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X1-X1`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기판 엣지부의 제1 평탄면 및 본체부의 제1 면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기판 엣지부의 제3 평탄면 및 본체부의 제2 면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표시부로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3차원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직육면체 또는 그와 유사한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표시 장치(1)의 제1 변에 나란한 방향을 제1 방향(DR1)으로, 표시 장치(1)의 제2 변에 나란한 방향을 제2 방향(DR2)으로, 표시 장치(1)의 두께 방향을 제3 방향(DR3)으로 각각 표기하고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방향"은 그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양측을 향하는 방향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양측으로 연장하는 양 "방향"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일측을 "방향 일측"으로, 타측을 "방향 타측"으로 각각 구분하여 지칭하기로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화살표가 향하는 방향이 일측, 그 반대 방향이 타측으로 지칭된다.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은 서로 수직이고,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은 서로 수직이며,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사각형과 유사한 평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도 1과 같이 제1 방향(DR1)의 단변과 제2 방향(DR2)의 장변을 갖는 사각형과 유사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DR1)의 단변과 제2 방향(DR2)의 장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평면 형태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제3 방향(DR3) 일측 면(이하 '상면'이라 지칭함)에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을 포함하고, 표시 영역(DA) 이외의 영역으로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장치(1)의 상면 일부, 표시 장치(1)의 제2 방향(DR2) 양측 면(이하 '측면'이라 지칭함), 제1 방향(DR1) 양측 면, 제3 방향(DR3) 타측 면(이하 '저면'이라 지칭함)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1)의 표시 영역(DA)에는 화면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PX)가 배치되고, 표시 장치(1)의 비표시 영역(NDA)에는 복수의 화소(PX)를 구동하기 위한 배선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 배선(CL), 제1 패드(PAD1), 제2 패드(PAD2) 및 복수의 측면 배선(1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표시 장치(1)의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은 후술하는 기판(SUB)에도 적용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장치(1)의 기저를 이루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판(SUB)은 강성을 가지는 리지드 기판(SUB)으로서 유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기판(SUB)으로서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판(SUB)이 리지드 기판(SUB)으로서 유리를 포함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기판(SUB)은 본체부(MP)와 엣지부(EP)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의 본체부(MP)는 기판(SUB)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기판(SUB)의 엣지부(EP)는 본체부(MP)의 제1 방향(DR1) 일측에 배치되어 기판(SUB)의 가장자리를 차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엣지부(EP)는 본체부(MP)의 제1 방향(DR1) 일측에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엣지부(EP)는 본체부(MP)의 제1 방향(DR1) 양측 및 제2 방향(DR2) 양측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1)의 제1 방향(DR1) 양측 가장자리 및 제2 방향(DR2) 양측 가장자리를 차지할 수도 있다.
기판(SUB)의 본체부(MP)는 제3 방향(DR3) 일측 면으로서 제1 면(MP_1)과, 제3 방향(DR3) 타측 면으로서 제2 면(MP_2)(도 4 및 도 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MP_1)과 제2 면(MP_2)은 서로 제3 방향(DR3)으로 대향할 수 있다.
본체부(MP)의 제1 면(MP_1)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DA)은 제1 면(MP_1) 내에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비표시 영역(NDA)의 일부가 제1 면(MP_1)과 중첩할 수 있다. 본체부(MP)의 제1 면(MP_1)은 기판(SUB)의 상면과 평행하고, 본체부(MP)의 제2 면(MP_2)은 기판(SUB)의 저면과 평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MP)의 제1 면(MP_1) 상에는 복수의 화소(PX) 및 연결 배선(CL)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빛을 발광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본체부(MP)의 제1 면(MP_1) 중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일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표시 영역(DA)에서 격자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화소(PX)들 각각은 빛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어떠한 종류의 발광소자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소자는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무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이거나, 또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일 수 있다.
제1 영역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 배선(CL)은 복수의 화소(PX)와 후술하는 복수의 제1 패드(PAD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본체부(MP)의 제1 면(MP_1) 중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하는 일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배선(CL)은 엣지부(EP)를 향해, 즉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복수의 화소(PX) 각각에 두 개의 연결 배선(CL)이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연결 배선(CL)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부(MP)의 제2 면(MP_2) 상에는 구동부(DRV)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DRV)는 복수의 화소(PX)를 구동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동부(DRV)는 제1 면(MP_1)과 대향하는 제2 면(MP_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DRV)가 제2 면(MP_2) 상에 배치됨에 따라 제1 면(MP_1)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PX)의 배치가 증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 장치(1)의 상면에서 표시 영역(DA)의 점유 면적을 넓게하고, 비표시 영역(NDA)의 점유 면적을 작게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부(DRV)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면(MP_2) 상에 배치되는 제2 패드(PAD2)는 구동부(DRV)와 측면 배선(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DRV)는 엣지부(EP)에 배치되는 제2 패드(PAD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면 배선(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동부(DRV)는 별도의 패드 없이 엣지부(EP)의 측면 배선(100)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판(SUB)의 엣지부(EP)는 본체부(MP)의 제1 방향(DR1)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엣지부(EP)는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하고 표시 영역(DA)과 비중첩할 수 있다. 기판(SUB)의 엣지부(EP)는 기판(SUB)의 상면과 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가장자리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엣지부(EP)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취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엣지부(EP)는 기판(SUB)의 상면과 평행하고, 본체부(MP)의 제1 면(MP_1)과 직접 접하는 제1 평탄면(EP_1), 제1 평탄면(EP_1)과 직접 접하고, 제1 평탄면(EP_1)을 기준으로 기판(SUB)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1 모따기면(EP_4a), 제1 모따기면(EP_4a)과 직접 접하고, 제1 모따기면(EP_4a)을 기준으로 기판(SUB)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2 평탄면(EP_2), 기판(SUB)의 저면과 평행하는 제3 평탄면(EP_3) 및 제3 평탄면(EP_3)과 제2 평탄면(EP_2)에 직접 접하고, 제3 평탄면(EP_3)을 기준으로 기판(SUB)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2 모따기면(EP_4b)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엣지부(EP)가 면취된 형상을 가지는 경우, 측면 배선(100)에 치핑(chipping)등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평탄면(EP_2)과 평행한 일 평면과 제1 평탄면(EP_1)과 평행한 일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9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평탄면(EP_1) 및 제1 모따기면(EP_4a)이 접하여 기판(SUB) 내부에 형성되는 각도(θ1)는 90° 이상의 둔각이고, 제3 평탄면(EP_3) 및 제2 모따기면(EP_4b)이 접하여 기판(SUB) 내부에 형성되는 각도(θ4)는 90° 이상의 둔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평탄면(EP_2) 및 제1 모따기면(EP_4a)이 접하여 기판(SUB) 내부에 형성되는 각도(θ2)는 90° 이상의 둔각이고, 제2 평탄면(EP_2) 및 제2 모따기면(EP_4b)이 접하여 기판(SUB) 내부에 형성되는 각도(θ3)는 90° 이상의 둔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기판(SUB)의 제3 방향(DR3) 일측 면(이하 '상면'이라 지칭함)은 본체부(MP)의 제1 면(MP_1)과 엣지부(EP)의 제1 평탄면(EP_1)을 포함하고, 제3 방향(DR3) 타측 면(이하 '저면'이라 지칭함)은 본체부(MP)의 제2 면(MP_2)과 엣지부(EP)의 제3 평탄면(EP_3)을 포함하며, 기판(SUB)의 제1 방향(DR1) 일측 면(이하 '측면'이라 지칭함)은 엣지부(EP)의 제1 모따기면(EP_4a), 제2 평탄면(EP_2) 및 제2 모따기면(EP_4b)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의 엣지부(EP) 상에는 복수의 제1 패드(PAD1), 복수의 제2 패드(PAD2) 및 복수의 측면 배선(1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PAD1)는 연결 배선(CL)과 측면 배선(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패드(PAD1)는 표시 장치(1)의 상면에서 엣지부(EP)의 제1 평탄면(EP_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평탄면(EP_1) 상에 배치되는 제1 패드(PAD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소(PX)와 복수의 측면 배선(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패드(PAD2)는 표시 장치(1)의 저면에서 엣지부(EP)의 제3 평탄면(EP_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평탄면(EP_3) 상에 배치되는 제2 패드(PAD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DRV)와 측면 배선(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패드(PAD1)의 제1 방향(DR1) 타측 끝단과 제1 평탄면(EP_1)및 제1 면(MP_1) 사이의 경계는 얼라인되고, 제2 패드(PAD2)의 제1 방향(DR1) 타측 끝단과 제3 제3 평탄면(EP_3)및 제2 면(MP_2) 사이의 경계는 얼라인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측면 배선(100)은 복수의 화소(PX)와 구동부(DRV)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배선(100)은 기판(SUB)의 측면에 배치되어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측면 배선(100)은 엣지부(EP)의 제1 평탄면(EP_1) 일부, 제1 모따기면(EP_4a) 전체, 제2 평탄면(EP_2) 전체, 제2 모따기면(EP_4b) 전체, 제3 평탄면(EP_3)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복수의 측면 배선(100)은 제1 측면 배선(110) 및 제1 측면 배선(110)에 인접 배치되는 제2 측면 배선(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 배선(110)과 제2 측면 배선(120)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제1 측면 배선(110) 및 제2 측면 배선(120)은 제2 방향(DR2)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면 배선(110)은 복수의 화소(PX)와 인접하는 제1 상측부(110a), 구동부(DRV)와 인접하는 제1 하측부(110c) 및 제1 상측부(110a)와 제1 하측부(110c)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상측부(110a)와 제1 하측부(110c)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측부(110a), 제1 연결부(110b) 및 제1 하측부(110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측부(110a)는 제1 평탄면(EP_1)에 배치되는 제1 패드(PAD1)와 중첩하는 제1_1 상측부(110a_1) 및 제1 모따기면(EP_4a)과 직접 접하는 제1_2 상측부(110a_2)를 포함하고, 제1 하측부(110c)는 제3 평탄면(EP_3)에 배치되는 제2 패드(PAD2)와 중첩하는 제1_1 하측부(110c_1) 및 제2 모따기면(EP_4b)과 직접 접하는 제1_2 하측부(110c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측부(110a)의 제2 방향(DR2) 폭 및 제1 하측부(110c)의 제2 방향(DR2)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연결부(110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상측부(110a)의 제2 방향(DR2) 폭 및 제1 하측부(110c)의 제2 방향(DR2) 폭이 제1 연결부(110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상측부(110a)의 제2 방향(DR2) 폭 및 제1 하측부(110c)의 제2 방향(DR2) 폭이 제1 연결부(110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큰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측면 배선(120)은 복수의 화소(PX)와 인접하는 제2 상측부(120a), 구동부(DRV)와 인접하는 제2 하측부(120c) 및 제2 상측부(120a)와 제2 하측부(120c)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상측부(120a)와 제2 하측부(120c)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측부(120a), 제2 연결부(120b) 및 제2 하측부(120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측부(120a)는 제1 평탄면(EP_1)에 배치되는 제1 패드(PAD1)와 중첩하는 제2_1 상측부(120a_1) 및 제1 모따기면(EP_4a)과 직접 접하는 제2_2 상측부(120a_2)를 포함하고, 제2 하측부(120c)는 제3 평탄면(EP_3)에 배치되는 제2 패드(PAD2)와 중첩하는 제2_1 하측부(120c_1) 및 제2 모따기면(EP_4b)과 직접 접하는 제2_2 하측부(120c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측부(120a)의 제2 방향(DR2) 폭 및 제2 하측부(120c)의 제2 방향(DR2) 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2 연결부(120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상측부(120a)의 제2 방향(DR2) 폭 및 제2 하측부(120c)의 제2 방향(DR2) 폭이 제2 연결부(120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상측부(120a)의 제2 방향(DR2) 폭 및 제2 하측부(120c)의 제2 방향(DR2) 폭이 제2 연결부(120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큰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측면 배선(10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측면 배선(100)은 은(Ag) 또는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복수의 측면 배선(100)은 규소 몰드(Si mold)에 은(Ag) 또는 구리(Cu) 페이스트(paste)를 묻혀 기판(SUB)의 측면에 전사하는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판(SUB) 측면 전체에 은 또는 구리 페이스트를 묻힌 후 식각하여 복수의 측면 배선(1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규소 몰드에 은 또는 구리 페이스트를 묻혀 기판(SUB)의 측면에 전사하는 방법을 통해 복수의 측면 배선(100)이 형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 경우, 제1 평탄면(EP_1)과 제1 모따기면(EP_4a) 사이의 경계로서 정의되는 제1_1 모서리(DL_1a), 제1 모따기면(EP_4a)과 제2 평탄면(EP_2) 사이의 경계로서 정의되는 제1_2 모서리(DL_1b), 제2 평탄면(EP_2)과 제2 모따기면(EP_4b) 사이의 경계로서 정의되는 제2_1 모서리(DL_2a), 제2 모따기면(EP_4b)과 제3 평탄면(EP_3) 사이의 경계로서 정의되는 제2_2 모서리(DL_2b)에서 측면 배선(10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측면 배선(100)이 단선될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제1_1 모서리(DL_1a), 제1_2 모서리(DL_1b), 제2_1 모서리(DL_2a) 및 제2_2 모서리(DL_2b) 부근에서 측면 배선(100)의 제2 방향(DR2) 폭을 넓혀 측면 배선(100)의 단선을 막을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측면 배선(110)의 형상과 제2 측면 배선(120)의 형상 및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활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다수 개 모여 형성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기준으로 본체부(MP)의 제1 면(MP_1) 및 제2 면(MP_2), 엣지부(EP)의 제1 평탄면(EP_1), 제2 평탄면(EP_2), 제3 평탄면(EP_3), 제1 모따기면(EP_4a) 및 제2 모따기면(EP_4b)을 제2 평탄면(EP_2)과 평행한 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한다면, 도 7과 같이 도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엣지부(EP)의 제2 평탄면(EP_2)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제2 평탄면(EP_2)과 평행한 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펼지는 경우,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본체부(MP)의 제2 면(MP_2), 엣지부(EP)의 제3 평탄면(EP_3), 엣지부(EP)의 제2 모따기면(EP_4b), 엣지부(EP)의 제2 평탄면(EP_2), 엣지부(EP)의 제1 모따기면(EP_4a), 엣지부(EP)의 제1 평탄면(EP_1), 본체부(MP)의 제1 면(MP_1)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서는 제1 패드(PAD1), 제2 패드(PAD2) 및 연결 배선(CL)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이 경우, 제1 평탄면(EP_1)과 제1 모따기면(EP_4a) 사이의 경계로서 제1_1 모서리(DL_1a)가 정의되고, 제1 모따기면(EP_4a)과 제2 평탄면(EP_2) 사이의 경계로서 제1_2 모서리(DL_1b)가 정의되며, 제2 평탄면(EP_2)과 제2 모따기면(EP_4b) 사이의 경계로서 제2_1 모서리(DL_2a)가 정의되고, 제2 모따기면(EP_4b)과 제3 평탄면(EP_3) 사이의 경계로서 제2_2 모서리(DL_2b)가 정의된다. 제1_1 모서리(DL_1a), 제1_2 모서리(DL_1b), 제2_1 모서리(DL_2a), 제2_2 모서리(DL_2b)는 제2 방향(DR2)과 평행한 직선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측면 배선(110)의 제1 상측부(110a)의 제2 방향(DR2) 폭은 제1 연결부(110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크고, 제1 하측부(110c)의 제2 방향(DR2) 폭은 제1 연결부(110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클 수 있다.
제1 측면 배선(110)의 제1 상측부(110a)의 제2 방향(DR2) 폭은 제3 방향(DR3)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커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상측부(110a)의 제2 방향(DR2) 최대 폭으로서, 제3 방향(DR3) 일측 끝단의 폭(Wa)은 제1 연결부(110b)의 제2 방향(DR2) 폭(Wb)보다 더 크고, 제1 상측부(110a)의 제2 방향(DR2) 최소 폭으로서 제1 연결부(110b)와 접하는 부분의 제2 방향(DR2)폭은 제1 연결부(110b)의 제2 방향(DR2) 폭(Wb)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측면 배선(110)의 제1 하측부(110b)의 제2 방향(DR2) 폭은 제3 방향(DR3)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커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측부(110b)의 제2 방향(DR2) 최대 폭으로서, 제3 방향(DR3) 타측 끝단의 폭(Wc)은 제1 연결부(110b)의 제2 방향(DR2) 폭(Wb)보다 더 크고, 제1 하측부(110b)의 제2 방향(DR2) 최소 폭으로서 제1 연결부(110b)와 접하는 부분의 제2 방향(DR2)폭은 제1 연결부(110b)의 제2 방향(DR2) 폭(Wb)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측면 배선(110)의 제1 상측부(110a)는 제2 측면 배선(120)의 제2 상측부(120a)와 대응되고, 제1 연결부(110b)는 제2 연결부(120b)와 대응되며, 제1 하측부(110c)는 제2 하측부(120c)와 대응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배선(110)의 형상과 제2 측면 배선(120)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측면 배선(110)의 형상과 제2 측면 배선(120)의 형상이 동일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2 측면 배선(120)의 형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측면 배선(110)의 제1 상측부(110a)는 측면 배선(100)의 단선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상측부(110a)는 제1 패드(PAD1)와 중첩하는 제1_1 상측부(110a_1)와 제1 패드(PAD1)와 중첩하지 않는 제1_2 상측부(110a_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_1 상측부(110a_1)와 제1_2 상측부(110a_2)의 경계는 제1 평탄면(EP_1) 상에 배치되고, 제1_2 상측부(110a_2)와 제1 연결부(110b)의 경계는 제2 평탄면(EP_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_2 상측부(110a_2)는 제1 평탄면(EP_1) 일부와 제1 모따기면(EP_4a) 전체, 제2 평탄면(EP_2)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_2 상측부(110a_2)는 제1_1 모서리(DL_1a) 및 제1_2 모서리(DL_1b)를 덮을 수 있다.
제1 연결부(110b)는 제1 상측부(110a)와 제1 하측부(110c)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10b)는 제2 평탄면(EP_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110b)는 제2 방향(DR2) 폭이 일정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하측부(110c)는 측면 배선(100)의 단선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측부(110c)는 제2 패드(PAD2)와 중첩하는 제1_1 하측부(110c_1)와 제2 패드(PAD2)와 중첩하지 않는 제1_2 하측부(110c_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_1 하측부(110c_1)와 제1_2 하측부(110c_2)의 경계는 제3 평탄면(EP_3) 상에 배치되고, 제1_2 하측부(110c_2)와 제1 연결부(110b)의 경계는 제2 평탄면(EP_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_2 하측부(110c_2)는 제3 평탄면(EP_3) 일부와 제2 모따기면(EP_4b) 전체, 제2 평탄면(EP_2)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_2 하측부(110c_2)는 제2_1 모서리(DL_2a) 및 제2_2 모서리(DL_2b)를 덮을 수 있다.
제1 하측부(110c)와 제1 연결부(110b)의 경계에서 제1 하측부(110c)의 제2 방향(DR2) 폭과 제1 연결부(110b)의 제2 방향(DR2)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_1 모서리(DL_2a) 및 제2_2 모서리(DL_2b)를 덮는 제1_2 하측부(110c_2)의 제2 방향(DR2)의 폭은 제1 연결부(110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측부(110c)의 제2 방향(DR2) 폭은 제3 방향(DR3) 타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측면 배선(110)과 제2 측면 배선(120) 사이의 이격 거리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 배선(110)의 제1 상측부(110a)와 제2 측면 배선(120)의 제2 상측부(120a)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제1 연결부(110b)와 제2 연결부(120b) 사이의 이격 거리(D2)보다 작고, 제1 하측부(110c)와 제2 하측부(120c) 사이의 이격 거리(D3)는 제1 연결부(110b)와 제2 연결부(120b) 사이의 이격 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상측부(110a)와 제2 상측부(120a)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제3 방향(DR3) 일측을 따라 커지고, 제1 하측부(110c)와 제2 하측부(120c) 사이의 이격 거리(D3)는 제3 방향(DR3) 타측을 따라 커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측면 배선(110)의 형상에 의해 제1 상측부(110a)는 제1_1 모서리(DL_1a) 및 제1_2 모서리(DL_1b)를 덮는 폭이 넓어 제1_1 모서리(DL_1a) 및 제1_2 모서리(DL_1b)에서 단선이 일어날 확률을 줄일 수 있고, 제1 하측부(110c)는 제2_1 모서리(DL_2a) 및 제2_2 모서리(DL_2b)를 덮는 폭이 넓어 제2_1 모서리(DL_2a) 및 제2_2 모서리(DL_2b)에서 단선이 일어날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복수 개가 모여 격자 패턴으로 배치됨으로써 대형 화면을 표현하는 타일형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상기 타일형 디스플레이의 하나의 셀(cell)로서, 타일형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의 일 부분을 표시하므로 비표시 영역(NDA)이 최소화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상면의 비표시 영역(NDA)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측면에 배치된 측면 배선(100)의 단선을 방지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타일형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표시 장치(1)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전에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칭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1)의 제1 측면 배선(111) 및 제2 측면 배선(121)은 180°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 배선(111)은 제1 상측부(111a)의 제2 방향(DR2) 폭이 제1 연결부(111b)의 제2 방향(DR2) 폭 및 제1 하측부(111c)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크고, 제2 측면 배선(121)은 제2 하측부(121c)의 제2 방향(DR2) 폭이 제2 연결부(121b)의 제2 방향(DR2) 폭 및 제2 상측부(121a)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1)의 제1 측면 배선(111) 및 제2 측면 배선(121)은 180°대칭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1 측면 배선(111)의 제1 상측부(111a)는 제2 측면 배선(121)의 제2 하측부(121c)와 대응되고, 제1 측면 배선(111)의 제1 연결부(111b)는 제2 측면 배선(121)의 제2 연결부(121b)와 대응되며, 제1 측면 배선(111)의 제1 하측부(111c)는 제2 상측부(121a)와 대응할 수 있다. 제1 측면 배선(111)과 제2 측면 배선(121)은 배향만 다를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1 측면 배선(111)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2 측면 배선(12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측면 배선(111)의 제1 상측부(111a)의 제2 방향(DR2) 폭은 제3 방향(DR3)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커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상측부(111a)의 제2 방향(DR2) 최대 폭으로서, 제3 방향(DR3) 일측 끝단의 폭(W1a)은 제1 연결부(111b)의 제2 방향(DR2) 폭(W1b)보다 더 크고, 제1 상측부(111a)의 제2 방향(DR2) 최소 폭으로서 제1 연결부(111b)와 접하는 부분의 제2 방향(DR2)폭은 제1 연결부(111b)의 제2 방향(DR2) 폭(W1b)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배선(111)의 제1 연결부(111b)의 제2 방향(DR2) 폭(W1b) 및 제1 하측부(111c)의 제2 방향(DR2) 폭(W1c)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제1 측면 배선(111)과 제2 측면 배선(121) 사이에서 전기적 쇼트(short)가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져, 제1 측면 배선(111) 및 제2 측면 배선(121) 사이의 이격 거리(D1`, D2`, D3`)가 전체적으로 줄어들고, 엣지부(EP)에 배치되는 측면 배선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2)는 제1 측면 배선(110)의 폭이 제2 측면 배선(122)의 폭보다 클 수 있음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배선(110)의 형상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배선(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측면 배선(122)의 제2 방향(DR2) 폭은 제1 측면 배선(112)의 제1 상측부(112a)의 제2 방향(DR2)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측면 배선(122)의 제2 상측부(122a)의 제2 방향(DR2) 폭(W2a), 제2 연결부(122b)의 제2 방향(DR2) 폭(W2b) 및 제2 하측부(122c)의 제2 방향(DR2) 폭(W2c)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제1 측면 배선(110)과 제2 측면 배선(122) 사이에서 쇼트(short)가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져, 제1 측면 배선(112) 및 제2 측면 배선(122) 사이의 이격 거리(D1``, D2``, D3``)가 전체적으로 줄어들고, 엣지부(EP)에 배치되는 측면 배선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3)의 제1 측면 배선(110)의 제1 상측부(110a)의 형상과 제2 측면 배선(123)의 제2 상측부(123a)의 형상이 180°대칭되고, 제1 측면 배선(110)의 제1 하측부(110c)의 형상과 제2 측면 배선(123)의 제2 하측부(123c)의 형상이 180°대칭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측면 배선(110)의 제1 상측부(110a)의 제2 방향(DR2) 폭은 제3 방향(DR3) 일측으로 갈수록 늘어나고, 제2 측면 배선(123)의 제2 상측부(123a)의 제2 방향(DR2) 폭은 제3 방향(DR3) 일측으로 갈수록 줄어들며, 제1 측면 배선(110)의 제1 하측부(110c)의 제2 방향(DR2) 폭은 제3 방향(DR3) 타측으로 갈수록 늘어나고, 제2 측면 배선(123)의 제2 하측부(123c)의 제2 방향(DR2) 폭은 제3 방향(DR3) 타측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배선(110)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배선(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2 측면 배선(123)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측면 배선(1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상측부(123a)의 제2 방향(DR2) 폭은 제3 방향(DR3) 일측으로 갈수록 줄어들되, 제2 연결부(123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상측부(123a)의 제2 방향(DR2) 최대 폭으로서, 제2 연결부(123b)와 접하는 부분의 제2 방향(DR2) 폭(W3a)은 제2 연결부(123b)의 제2 방향(DR2) 폭(W3b)보다 더 크고, 제1_1 모서리(DL_1a)를 덮는 제2 상측부(123a)의 제2 방향(DR2) 폭(W3a`)은 제2 연결부(123b)와 접하는 부분의 제2 방향(DR2) 폭(W3a)보다 작고, 제2 연결부(123b)의 제2 방향(DR2) 폭(W3b)보다 더 클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제2_2 상측부(123a_2)의 제2 방향(DR2) 폭은 제2 연결부(123b)와의 경계부근에서 가장 크고, 제2_2 상측부(123a_2)와 제2_1 상측부(123a_1) 사이의 경계부근에서 가장 작을 수 있으나, 제2_1 상측부(123a_1)와의 경계부근에서의 제2_2 상측부(123a_2)의 제2 방향(DR2) 폭은 제2 연결부(123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 연결부(123b)는 제2 상측부(123a)와 제2 하측부(123c)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23b)의 제2 방향(DR2) 폭(W3b)은 제2 상측부(123a)의 제2 방향(DR2) 폭 및 제2 하측부(123c)의 제2 방향(DR2)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부(123b)는 제2 방향(DR2)의 폭이 제3 방향(DR3)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하측부(123c)의 제2 방향(DR2) 폭은 제3 방향(DR3) 타측으로 갈수록 줄어들되, 제2 연결부(123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하측부(123c)의 제2 방향(DR2) 최대 폭으로서, 제2 연결부(123b)와 접하는 부분의 제2 방향(DR2) 폭(W3c)은 제2 연결부(123b)의 제2 방향(DR2) 폭(W3b)보다 더 크고, 제2_1 모서리(DL_2a)를 덮는 제2 하측부(123c)의 제2 방향(DR2) 폭(W3c`)은 제2 연결부(123b)와 접하는 부분의 제2 방향(DR2) 폭(W3c)보다 작고, 제2 연결부(123b)의 제2 방향(DR2) 폭(W3b)보다 더 클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제2_2 하측부(123c_2)의 제2 방향(DR2) 폭은 제2 연결부(120b)와의 경계부근에서 가장 크고, 제2_2 하측부(123c_2)와 제2_1 하측부(123c_1) 사이의 경계부근에서 가장 작을 수 있으나, 제2_1 하측부(123c_1)와의 경계부근에서의 제2_2 하측부(123c_2)의 제2 방향(DR2) 폭은 제2 연결부(123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클 수 있다.
제1 상측부(110a)와 제2 상측부(123a) 사이의 이격 거리(D1```) 및 제1 하측부(110c)와 제2 하측부(123c) 사이의 이격 거리(D3```)는 제1 연결부(110b)와 제2 연결부(123b) 사이의 이격 거리(D2```)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배선(110)의 제1 상측부(110a)와 제2 측면 배선(123)의 제2 상측부(123a) 사이의 이격 거리(D1```), 제1 연결부(110b)와 제2 연결부(123b) 사이의 이격 거리(D2```) 및 제1 하측부(110c)와 제2 하측부(123c) 사이의 이격 거리(D3```)는 각각 제3 방향(DR3)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측면 배선(110)과 제2 측면 배선(123)의 폭을 넓혀 단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 측면 배선(110)과 제2 측면 배선(123) 사이에서 쇼트(short)가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제1 측면 배선(110) 및 제2 측면 배선(123) 사이의 이격 거리(D1```, D2```, D3```)가 전체적으로 줄어들고, 엣지부(EP)에 배치되는 측면 배선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4)는 제1 상측부(114a), 제1 하측부(114c), 제2 상측부(124a) 및 제2 하측부(124c) 각각의 제2 방향(DR2) 폭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차이점이 있고,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제1 상측부(114a), 제1 하측부(114c), 제2 상측부(124a) 및 제2 하측부(124c) 각각의 형상은 직사각형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배선(114)과 제2 측면 배선(124)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측면 배선(114)의 형상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2 측면 배선(124)의 형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측면 배선(114)의 제1 상측부(114a)의 제2 방향(DR2) 폭(W4a)은 제1 연결부(114b)의 제2 방향(DR2) 폭(W4b)보다 넓을 수 있다. 제1 상측부(114a)의 제2 방향(DR2) 폭(W4a)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연결부(114b)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상측부(114a)의 제2 방향(DR2) 폭(W4a)은 제1 연결부(114b)의 제2 방향(DR2) 폭(W4b)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상측부(114a)가 덮는 제1_1 모서리(DL_1a)의 제2 방향(DR2) 폭 및 제1_2 모서리(DL_1b)의 제2 방향(DR2)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측면 배선(114)의 제1 하측부(114c)의 제2 방향(DR2) 폭(W4c)은 제1 연결부(114b)의 제2 방향(DR2) 폭(W4b)보다 넓을 수 있다. 제1 하측부(114c)의 제2 방향(DR2) 폭(W4c)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연결부(114b)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하측부(114c)의 제2 방향(DR2) 폭(W4c)은 제1 연결부(114b)의 제2 방향(DR2) 폭(W4b)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측부(114c)가 덮는 제2_1 모서리(DL_2a)의 제2 방향(DR2) 폭 및 제2_2 모서리(DL_2b)의 제2 방향(DR2)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측면 배선은 더욱 안정적으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5)는 제1 측면 배선(115)의 제1 상측부(115a) 및 제2 측면 배선(125)의 제2 하측부(125c) 각각의 제2 방향(DR2) 폭이 도 12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방향(DR3)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1)와 차이가 있고,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제1 상측부(115a) 및 제2 하측부(125c) 각각의 형상은 직사각형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5)는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4)를 설명한 바와 같은 측면 배선의 형상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6)는 제1 측면 배선(114)의 제1 상측부(114a) 및 제1 하측부(114c) 각각의 제2 방향(DR2) 폭이 제3 방향(DR3)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2)와 차이가 있고,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배선(114)의 형상은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배선(114)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측면 배선(122)의 형상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측면 배선(122)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6)는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4)를 설명한 바와 같이 더욱 안정적으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7)는 제1 상측부(117a), 제1 하측부(117c), 제2 상측부(127a) 및 제2 하측부(127c) 각각의 제2 방향(DR2) 폭이 제3 방향(DR3)을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차이가 있고,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제1 상측부(117a), 제1 하측부(117c), 제2 상측부(127a) 및 제2 하측부(127c) 각각은 원형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배선(117)과 제2 측면 배선(127)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측면 배선(117)의 형상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2 측면 배선(127)의 형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측면 배선(117)의 제1 상측부(117a) 중 제1_2 상측부(117a_2)의 제2 방향(DR2) 폭은 제1 연결부(117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_2 상측부(117a_2)의 제2 방향(DR2)의 폭은 제1 연결부(117b)와의 경계에서 최소 값을 가지고, 제3 방향(DR3) 일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배선(117)의 제1_2 상측부(117a_2)의 제2 방향(DR2) 최대 폭으로서, 제1_1 모서리(DL_1a)를 덮는 제1_2 상측부(117a_2)의 제2 방향(DR2) 폭(W7a)은 제1 연결부(110b)의 제2 방향(DR2) 폭(W7b)보다 더 크고, 제1_2 상측부(117a_2)의 제2 방향(DR2) 최소 폭으로서, 제1 연결부(117b)와 접하는 부분의 제2 방향(DR2) 폭은 제1 연결부(117b)의 제2 방향(DR2) 폭(W7b)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_1 상측부(117a_1)의 제2 방향(DR2) 폭은 위치에 따라 제1 연결부(117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_1 상측부(117a_1)의 제2 방향(DR2) 폭은 제3 방향(DR3) 일측으로 갈수록 점점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_2 상측부(117a_2)가 덮는 제1_1 모서리(DL_1a)의 제2 방향(DR2) 폭(W7a) 및 제1_2 모서리(DL_1b)의 제2 방향(DR2) 폭은 제1 연결부(117b)의 제2 방향(DR2) 폭(W7b)보다 커 제1 측면 배선(117)의 단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선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제1_1 상측부(117a_1)의 제2 방향(DR2) 폭을 줄여 제1 측면 배선(117)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제1 측면 배선(117)의 제1 하측부(117c) 중 제1_2 하측부(117c_2)의 제2 방향(DR2) 폭은 제1 연결부(117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_2 하측부(117c_2)의 제2 방향(DR2)의 폭은 제1 연결부(117b)와의 경계에서 최소 값을 가지고, 제3 방향(DR3)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배선(117)의 제1_2 하측부(117c_2)의 제2 방향(DR2) 최대 폭으로서, 제2_1 모서리(DL_2a)를 덮는 제1_2 하측부(117c_2)의 제2 방향(DR2) 폭(W7c)은 제1 연결부(110b)의 제2 방향(DR2) 폭(W7b)보다 더 크고, 제1_2 하측부(117c_2)의 제2 방향(DR2) 최소 폭으로서, 제1 연결부(117b)와 접하는 부분의 제2 방향(DR2) 폭은 제1 연결부(117b)의 제2 방향(DR2) 폭(W7b)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_1 하측부(117c_1)의 제2 방향(DR2) 폭은 위치에 따라 제1 연결부(117b)의 제2 방향(DR2)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_1 하측부(117c_1)의 제2 방향(DR2) 폭은 제3 방향(DR3) 타측으로 갈수록 점점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_2 하측부(117c_2)가 덮는 제2_1 모서리(DL_2a)의 제2 방향(DR2) 폭(W7c) 및 제2_2 모서리(DL_2b)의 제2 방향(DR2) 폭은 제1 연결부(117b)의 제2 방향(DR2) 폭(W7b)보다 커 제1 측면 배선(117)의 단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선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제1_1 하측부(117c_1)의 제2 방향(DR2) 폭을 줄여 제1 측면 배선(117)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7)의 측면 배선은 단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측면 배선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8)는 제1 측면 배선(118)의 제1 상측부(118a) 및 제2 측면 배선(128)의 제2 하측부(128c) 각각의 제2 방향(DR2) 폭이 제3 방향(DR3)을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차이가 있고,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상측부(118a)는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상측부(117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측부(118c)는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측부(117c)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8)는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7)를 설명한 바와 같은 측면 배선의 형상으로써 단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측면 배선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9)는 제1 측면 배선(117)의 제1 상측부(117a) 및 제1 하측부(117c) 각각의 제2 방향(DR2) 폭이 제3 방향(DR3)을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2)와 차이가 있고,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배선(117)은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배선(117)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측면 배선(122)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측면 배선(12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9)는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7)를 설명한 바와 같이 단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측면 배선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기판 엣지부에 배치된 측면 배선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2-X2`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본체부의 제1 면 및 제2 면을 펼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10)의 기판(SUB10)의 엣지부(EP10)는 면취되지 않을 수 있음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엣지부(EP10)는 도 7의 엣지부(EP)의 제1 모따기면(EP_4a) 및 제2 모따기면(EP_4b)이 생략된 구조로서, 기판(SUB10)의 형상이 직육면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SUB10)의 제조가 상대적으로 용이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SUB10)의 상면은 본체부(MP)의 제1 면(MP_1)과 엣지부(EP10)의 제1 평탄면(EP10_1)으로 정의되고, 저면은 본체부(MP)의 제2 면(MP_2)과 엣지부(EP10)의 제3 평탄면(EP10_3)으로 정의되며, 측면은 엣지부(EP10)의 제2 평탄면(EP10_2)으로 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배선(1110)의 형상과 제2 측면 배선(1210)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제1 측면 배선(1110)의 제1 상측부(1110a)는 제2 측면 배선(1210)의 제2 상측부(1210a)와 대응되고, 제1 연결부(1110b)는 제2 연결부(1210b)와 대응되며, 제1 하측부(1110c)는 제2 하측부(1210c)와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측면 배선(1110)의 형상과 제2 측면 배선(1210)의 형상이 동일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2 측면 배선(1210)의 형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측면 배선(1110)의 제1 상측부(1110a) 중 제1_2 상측부(1110a_2)는 제1 평탄면(EP10_1)과 제2 평탄면(EP10_2)의 경계로서 형성되는 제1 모서리(DL10_1)를 덮고, 제1 하측부(1110c) 중 제1_1 하측부(1110c_1)는 제2 평탄면(EP10_2)과 제3 평탄면(EP10_3)의 경계로서 형성되는 제2 모서리(DL10_2)를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_2 상측부(1110a_2)는 제1 평탄면(EP10_1)의 일부 및 제2 평탄면(EP10_2)의 일부를 덮을 수 있고, 제1_2 하측부(1110c_2)는 제2 평탄면(EP10_2)의 일부 및 제3 평탄면(EP10_3)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10)는 기판의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측면 배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SUB: 기판
MP: 본체부
EP: 엣지부
100: 측면 배선
110: 제1 측면 배선
120: 제2 측면 배선
110a: 제1 상측부
110b: 제1 연결부
110c: 제1 하측부
120a: 제2 상측부
120b: 제2 연결부
120c: 제2 하측부

Claims (20)

  1.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측 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측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측면 배선은,
    상기 제1 면과 인접하는 제1 상측부,
    상기 제2 면과 인접하는 제1 하측부 및
    상기 제1 상측부와 상기 제1 하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측부 및 상기 제1 하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연결부보다 큰 폭을 가지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측부의 폭 및 상기 제1 하측부의 폭은 상기 제1 연결부의 폭보다 큰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측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측 면 사이의 경계를 덮고,
    상기 제1 하측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 면과 상기 측 면 사이의 경계를 덮는 표시 장치.
  4.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측면 배선과 이격 배치되는 제2 측면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측면 배선은,
    상기 제1 면과 인접하는 제2 상측부,
    상기 제2 면과 인접하는 제2 하측부 및
    상기 제2 상측부와 상기 제2 하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측부의 폭 및 상기 제2 하측부의 폭은 상기 제2 연결부의 폭보다 크며,
    상기 제1 측면 배선과 상기 제2 측면 배선은 반복 배치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측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측 면 사이의 경계를 덮고,
    상기 제2 하측부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2 면과 상기 측 면 사이의 경계를 덮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배선의 상기 제1 상측부의 폭은 상기 제1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되, 상기 제1 연결부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상측부의 폭은 상기 제1 연결부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2 측면 배선의 상기 제2 상측부의 폭은 상기 제1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되, 상기 제2 연결부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2 상측부의 폭은 상기 제2 연결부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상측부의 폭은 상기 제1 연결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2 연결부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2 상측부의 폭은 상기 제2 연결부의 폭보다 큰 표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배선의 상기 제1 상측부의 폭은 상기 제1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고,
    상기 제2 측면 배선의 상기 제2 상측부의 폭은 상기 제1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표시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및 상기 기판의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측면 배선 및 상기 제2 측면 배선은 상기 복수의 화소와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배선의 상기 제1 상측부는 상기 제1 하측부 및 상기 제1 연결부보다 큰 폭을 가지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측면 배선과 이격 배치되는 제2 측면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측면 배선은,
    상기 제1 면과 인접하는 제2 상측부,
    상기 제2 면과 인접하는 제2 하측부 및
    상기 제2 상측부와 상기 제2 하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측부는 상기 제2 상측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측면 배선과 상기 제2 측면 배선은 반복 배치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하측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하측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는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측면 배선과 이격 배치되는 제2 측면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측면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면 배선과 상기 제2 측면 배선은 반복 배치되는 표시 장치.
  14.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엣지부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엣지부 상에 배치되어 상호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측면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엣지부는,
    상기 제1 면과 접하고 상기 제1 면과 평행한 제1 평탄면,
    상기 제1 평탄면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1 평탄면에 접하는 제1 모따기면 및
    상기 제1 모따기면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1 모따기면에 접하는 제2 평탄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 배선 각각은,
    상기 제1 면과 인접하는 상측부,
    상기 제2 면과 인접하는 하측부 및
    상기 상측부와 상기 하측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측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부는 상기 제1 평탄면, 상기 제1 모따기면 및 상기 제2 평탄면을 덮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부의 상기 제1 평탄면 및 상기 제1 모따기면은 서로 접하여 상기 제1 평탄면 및 상기 제1 모따기면 사이의 경계로서 제1_1 모서리를 가지고,
    상기 제1 모따기면 및 상기 제2 평탄면은 서로 접하여 상기 제1 모따기면 및 상기 제2 평탄면 사이의 경계로서 제1_2 모서리를 가지되,
    상기 상측부는 상기 제1_1 모서리 및 상기 제1_2 모서리를 덮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부는,
    상기 제2 면과 접하고 상기 제2 면과 평행한 제3 평탄면 및
    성가 제3 평탄면을 기준으로 상기 기판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3 평탄면 및 상기 제2 평탄면과 접하는 제2 모따기면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측부는 상기 연결부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평탄면, 상기 제2 모따기면 및 상기 제3 평탄면을 덮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평탄면 및 상기 제3 평탄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패드는,
    상기 제1 평탄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와 상기 복수의 측면 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3 평탄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측면 배선과 상기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표시 장치.
  18.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측 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측 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1 측면 배선 및 제2 측면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측면 배선은 상기 제1 면과 인접하는 제1 상측부, 상기 제2 면과 인접하는 제1 하측부 및 상기 제1 상측부와 상기 제1 하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배선은 상기 제1 면과 인접하는 제2 상측부, 상기 제2 면과 인접하는 제2 하측부 및 상기 제2 상측부와 상기 제2 하측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측부와 상기 제2 상측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표시 장치.
  19. 상기 제1 하측부와 상기 제2 하측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표시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측부의 폭은 상기 제1 연결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고,
    상기 제2 상측부의 폭은 상기 제2 연결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며,
    상기 제1 상측부와 상기 제2 상측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표시 장치.
KR1020210189127A 2021-12-28 2021-12-28 표시 장치 KR20230100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127A KR20230100763A (ko) 2021-12-28 2021-12-28 표시 장치
CN202211383799.8A CN116367644A (zh) 2021-12-28 2022-11-07 显示装置
US18/083,731 US20230207577A1 (en) 2021-12-28 2022-12-1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127A KR20230100763A (ko) 2021-12-28 2021-12-28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763A true KR20230100763A (ko) 2023-07-06

Family

ID=8689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127A KR20230100763A (ko) 2021-12-28 2021-12-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07577A1 (ko)
KR (1) KR20230100763A (ko)
CN (1) CN11636764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07577A1 (en) 2023-06-29
CN116367644A (zh)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8132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11309500B2 (en)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052233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085410B1 (ko) 가요성 기판을 위한 신호 트레이스 패턴
US9113545B2 (en) Tape wiring substrate and chip-on-film package including the same
WO2020087819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860253B (zh) 一种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CN111430421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WO2020062719A1 (zh) 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CN112863341B (zh) 可拉伸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789572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0161740B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4049843A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4545696A (zh) 一种阵列基板及其母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40128278A1 (en) Bonding structure, display panel, flexible circuit board and display apparatus
CN113380144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30100763A (ko) 표시 장치
CN112863339B (zh) 可拉伸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255658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514972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30352896A1 (en) Mold for printing wi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240028153A1 (en) Display panel and mobile terminal
EP4361715A1 (en) Display device
WO2023023888A1 (zh) 触控基板、显示触控面板及显示装置
US20220317529A1 (en)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