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574A -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574A
KR20230099574A KR1020210189068A KR20210189068A KR20230099574A KR 20230099574 A KR20230099574 A KR 20230099574A KR 1020210189068 A KR1020210189068 A KR 1020210189068A KR 20210189068 A KR20210189068 A KR 20210189068A KR 20230099574 A KR20230099574 A KR 20230099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maintenance
rep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렉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렉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렉트리
Priority to KR102021018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574A/ko
Publication of KR20230099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8Driver interactions by enquiring 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시스템과 접속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 IoT) 및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되는 차량의 차량상태정보, 정비소에서 제공하는 정비 수리비정보 및 정비소에서 정비를 받은 운전자들로부터 수집되는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비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성하고, 구성된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차량의 고장 발생 가능성 및 고장을 진단하고, 고장 발생 가능성 및 고장이 있는 경우 고잘 발생 가능성 부분 및 고장 부분에 대한 최적의 비용으로 최적의 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정비소를 검색하여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통지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THE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ELECTRIC VEHICLE DIAGNOSIS SYSTEM AND METHOD USING BIG DATA.}
본 발명은 차량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시스템과 접속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 IoT) 및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되는 차량의 차량상태정보, 정비소에서 제공하는 정비 수리비정보 및 정비소에서 정비를 받은 운전자들로부터 수집되는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비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성하고, 구성된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차량의 고장 발생 가능성 및 고장을 예지적으로 사전 진단하고, 고장 발생 가능성 및 고장이 있는 경우 고장 발생 가능성 부분 및 고장 부분에 대한 안내를 통해 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정비소를 검색하여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안내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안전운전을 위해 다양한 센서가 장착되어 계기판을 통해 자동차의 속도, 변속 기어 위치, 엔진체크, 엔진오일 온도, 연료량, RPM, 타이어 압력, 도어 개폐, 안전벨트, 주차 브레이크 작동 관련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안전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운전자 또는 차량 소유자는 사물인터넷 장비를 추가 장착한 차량에서 확보 가능한 전류, 자속, 진동 등의 데이터를 통해 스스로 자동차의 이상상태를 인식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안전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여성 운전자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자동차에 대한 정비 지식이 많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정비 지식이 많지 않을 경우 주유 경고와 같은 간단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차량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운전자 및 탑승자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운전자 또는 차량 소유자는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정비 업소에 들러 차량 정비를 받아야 하나, 정비시기를 놓쳐 자동차 내구성에 해를 미치거나, 정비가 불필요한 시기에 정비를 받을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정비 비용을 소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자는 고장 부분 또는 고장 발생 가능성 부분에 대한 부품 지식 및 부품에 대한 적절한 가격을 알 수 없으므로 전적으로 정비소에서 제시하는 가격에 의존하므로 부당한 정비 가격을 제시해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운전자들은 정비소를 불신하여 가능한 한 차량 정비를 최소화하려는 생각을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적절한 정비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자들은 지정된 정비소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어서 정비소 또한, 정비대상 자동차에 대해 신뢰성 있는 정비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정비소의 정비 기술자는 해당 정비대상 자동차의 객관적인 누적 데이터를 통해 적절한 정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의 연식이나 주행거리를 바탕으로 정비소의 정비경험과 매뉴얼에 따른 소모품 교체 주기를 통한 정비가 대부분이어서 실제 자동차의 내부 상태 변화 패턴과 운전자의 운전습관에 따른 정보를 통한 맞춤형 정비를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물인터넷 센서퓨전 데이터 기반의 엣지 컴퓨팅 기능을 활용한 자체 진단 시스템을 구축해서 시스템 단에서 적절한 대처를 취해 사고를 방지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시스템과 접속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 IoT) 및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집되는 차량의 차량상태정보, 정비소에서 제공하는 정비 수리비정보 및 정비소에서 정비를 받은 운전자들로부터 수집되는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비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성하고, 구성된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차량의 고장 발생 가능성 및 고장을 진단하고, 고장 발생 가능성 및 고장이 있는 경우 고잘 발생 가능성 부분 및 고장 부분에 대한 최적의 비용으로 최적의 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정비소를 검색하여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통지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은: 전기자동차의 차량시스템에 연결되어 차량진단정보 수집 이벤트의 발생 시 차량진단정보를 수집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신하는 OBD 모듈; 전기자동차 차량상태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OBD 모듈과 페어링되어 상기 OBD 모듈로부터 차량진단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고 자신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 위치정보,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차량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무선으로 송신하고, 차량정비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 해당 정비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비소 정보를 전송하고, 차량 및 부품별 수리비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정비소 서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정비소 서버로부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비소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차량 및 부품별 정비 수리비 정보를 수신받아 정비소별로 갱신하며, 상기 수신되는 차량상태정보의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누적 관리되는 차량상태정보들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분석하고, 상기 차량상태정보 및 운전습관에 의해 차량의 고장 가능성 및 고장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된 고장 가능성 및 고장 여부 판단에 대한 해당 차량 부분의 차량정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정비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정비소 정비 평가 등록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정비소에서 정비받은 정비항목 및 해당 항목에 대한 수리비 및 친절도를 입력받아 상기 정비항목, 항목별 수리비 및 친절도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평가정보를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는, 임의의 정비소에서 수리받은 다수의 운전자들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정비 평가정보를 수신받아 정비소별로 분류하여 저장 관리하고, 상기 차량 정비정보 생성 시 상기 차량정비정보가 고장 가능성이 있거나 고장이 있는 경우 고장 가능성 부분 및 고장 부분에 대한 정비평가정보가 좋은 정비소에 대한 정비소정보를 상기 차량정비정보에 더 포함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OBD 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및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 차량정비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적어도 셋 이상의 GPS 위성들로부터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GPS 모듈; 차량상태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OBD 모듈과 페어링되어 상기 OBD 모듈로부터 차량진단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고 상기 GPS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위치데이터들에 의해 자신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 위치정보, 차량정보 및 운전자정보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차량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무선으로 송신하고, 정비소 정비 평가 등록 모드에서 상기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정비소에서 정비받은 정비항목 및 해당 항목에 대한 수리비 및 친절도를 입력받아 상기 정비항목, 항목별 수리비 및 친절도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평가정보를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차량상태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OBD 모듈과 페어링되어 상기 OBD 모듈로부터 차량진단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아 출력하는 차량정보 수집부, 상기 GPS 모듈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입력받아 자신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위치 계산부, 상기 차량정보 수집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상태정보 및 상기 위치 계산부에서 계산된 위치정보, 미리 저장하고 있는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차량상태정보 생성부,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차량정비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차량상태정보 전송부 및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차량정비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정비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그래픽을 생성하고, 그래픽 차량을 통해 차량정비정보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차량정비정보 시각화부를 포함하는 차량상태 모니터링부; 및 정비소 정비 평가 등록 모드에서 상기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정비소에서 정비받은 정비항목 및 해당 항목에 대한 수리비 및 친절도를 입력받아 상기 정비항목, 항목별 수리비 및 친절도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평가정보를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정비소 정비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의 차량상태 모니터링부는,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를 통해 정비소 검색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비소 검색 정보를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차량정비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정비소 검색 정보에 대응하는 정비소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정비소 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상태정보 수집부, 상기 정비소 서버로부터 차량 및 부품별 정비 수리비 정보를 수집하는 수리비정보 수집부, 및 다수의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을 정비받은 정비소에 대한 상기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차량상태정보의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별로 관리되는 누적된 차량상태정보에 의해 해당 차량의 고장 가능성 여부 및 고장 여부를 분석 및 진단하는 차량 상태 분석부, 상기 차량상태정보의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별로 관리되는 누적된 차량상태 정보에 의해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분석하는 운전 습관 분석부, 및 상기 차량상태 분석부를 통해 고장 가능성이 있거나 고장 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리비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비 수리비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고장 가능성 부분 또는 고장 부분의 수리비를 분석하는 정비처리 비용 분석부를 포함하는 정보 분석부; 분석된 수리비 분석 정보 및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에 의해 최적의 수리비 및 친절도가 높은 최적 정비소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정보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고장 가능성 부분 및 고장 부분의 존재여부, 고장 가능성 부분 및 고장 부분에 대한 정보, 상기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에 의해 분석된 최적 정비소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비정보를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송신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가 차량의 차량시스템에 연결되고 자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OBD 모듈을 통해 차량 진단정보를 수집하고 자신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 위치정보,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차량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차량진단 관리서버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차량상태정보 제공 과정; 정비소 서버가 정비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비소 정보 및 차량 및 부품별 수리비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수리비정보 제공 과정; 차량정비 관리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정비소 서버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차량 및 부품별 정비 수리비 정보를 수신받아 정비소별로 갱신하는 빅데이터 구성 과정; 및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가 상기 수신되는 차량상태정보의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누적 관리되는 차량상태정보들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분석하고, 상기 차량상태정보 및 운전습관에 의해 차량의 고장 가능성 및 고장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된 고장 가능성 및 고장 여부 판단에 대한 해당 차량 부분의 차량정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정비 정보 제공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상태정보 제공 과정은, OBD 모듈이 차량진단정보 수집 이벤트의 발생 시 차량진단정보를 수집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진단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OBD 모듈로부터 차량진단정보가 수신되면 자신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 위치정보,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차량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차량진단 관리서버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차량상태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진단정보 수집 이벤트는 일정 주기, 이그니션 온, 차량 시동 시, 차량 시동 오프 시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가 정비소 정비 평가 등록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정비소에서 정비받은 정비항목 및 해당 항목에 대한 수리비 및 친절도를 입력받아 상기 정비항목, 항목별 수리비 및 친절도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평가정보를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정비소 평가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빅데이터 구성 과정은, 차량정비 관리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누적하여 저장하는 차량상태정보 빅데이터 구성 단계; 상기 정비소 서버로부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비소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차량 및 부품별 정비 수리비 정보를 수신받아 정비소별로 갱신하는 정비소 정보 빅데이터 구성 단계; 및 임의의 정비소에서 수리받은 다수의 운전자들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정비 평가정보를 수신받아 정비소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정비소 평가 빅데이터 구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비소 제공 과정에서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가 상기 정비소 평가정보를 차량정비정보에 더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OBD 모듈을 통해 상기 OBD 모듈이 장착된 차량의 차량진단정보를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차량의 고장 가능성 및 고장 여부를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므로 차량의 고장 전 고장에 대비하여 사전 정비를 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시기의 정비를 통해 차량의 수명을 늘릴 수 있으며 차량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고장 가능성 진단 또는 고장 진단 시 정비소 및 정비소 이용 고객들로부터 수집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 부분에 대한 최적의 수리비만 소요되는 최적의 정비소를 안내하므로 보다 적은 수리비용으로 차량을 수리할 수 있고, 정비소에서 제시하는 수리비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정비소 또한, 주기적으로 수집된 차량의 차량상태정보 및 운전자의 운전습관 등을 수집된 빅데이터를 통해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의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의 차량정비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중 OBD 모듈의 차량상태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중 차량정비 관리서버의 차량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예: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을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인공지능 차량진단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및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진단 시스템은 다수의 정비소에 구성되는 다수의 정비소 서버(110)를 포함하는 정비소 정보 제공부(100), OBD 모듈(300), 모바일 단말기(400) 및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를 포함한다.
상기 정비소 서버(110), 모바일 단말기(400) 및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을 통해 유선 및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은 와이파이(WiFi)망을 포함하는 인터넷망, 3세대(3 Generation: 3G), 4G, 5G 등의 이동통신망, 와이브로망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통신망이다.
OBD 모듈(300) 및 모바일 단말기(400)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 와이파이 다이렉트, 광대역통신(Ultra Wide Band: UWB)등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400)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상태 모니터링 모드와 정비소 정비 평가 모드로 동작한다. 이하 설명에서 차량상태 모니터링 모드로 동작하는 모바일 단말기(400)는 부호 400-1을 사용하고, 차량상태 모니터링 모드로 동작하는 모바일 단말기(400)는 부호 400-2를 사용한다.
상기 정비소 서버(110)는 임의의 정비소에 설치되는 서버로 관리자로부터 차량 및 부품별 수리비를 입력받고, 차량 및 부품별 정비 수리비 정보를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로 제공한다.
차량(1)에 구성되어 있는 차량시스템(200)은 차량의 주행속도 측정, 기어위치 측정, 시동 검출, 이그니션 온/오프 상태 검출, 오일량 측정, 수분 측정, 연료량 측정, RPM 측정, 도어 온/오프 검출, 풋 브레이크 및 사이드 브레이크 구동 여부 검출 등을 수행하는 차량의 다양한 안전시스템들을 포함하고, 그에 따른 주행속도 정보, 기어정보, 시동정보, 이그니션정보, 오일량 정보, 수분량 정보, 연료량 정보, RPM 정보, 도어 온/오프 정보, 브레이크 구동 정보 등을 포함하는 차량진단정보를 OBD 커넥터에 연결된 OBD 모듈(300)로 제공한다.
OBD 모듈(300)은 차량시스템(200)의 OBD 커넥터에 접속되어 차량시스템(200)에 연결되며, 차량진단정보 수집 이벤트의 발생 시 차량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진단정보를 수집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상태 모니터링 모드로 동작하는 모바일 단말기(400-1)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기(400-1)는 OBD 모듈(300)로부터 차량진단정보가 수신되면 자신의 위치정보, 미리 등록되어 있거나 입력받은 차량(1)의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400-1)는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로부터 전송한 차량상태정보에 대한 차량정비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정비소 정비 평가모드로 동작하는 모바일 단말기(400-2)는 정비소를 이용한 운전자들의 모바일 단말기로 운전자들로부터 이용한 정비소에 대한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를 입력받아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400-1)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별로 누적하여 저장하여 빅데이터를 구성한다.
또한,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는 상기 정비소 서버(110)로부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비소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차량 및 부품별 정비 수리비 정보를 수신받아 정비소별로 갱신하여 정비소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성한다.
또한,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는 상기 수신되는 차량상태정보의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누적 관리되는 차량상태정보들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분석하고, 상기 차량상태정보 및 운전습관에 의해 차량의 고장 가능성 및 고장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된 고장 가능성 및 고장 여부 판단에 대한 해당 차량부분의 차량정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400-1)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의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400)는 단말 저장부(410), 디스플레이부(420), 입력부(430), 통신부(440), GPS모듈(450) 및 단말 제어부(460)를 포함한다.
단말 저장부(41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차량진단정보, 차량상태정보, 자신의 위치정보, 차량정보, 운전자정보, 차량정비정보,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420)는 제어부(460)의 제어를 받아 다양한 정보들을 텍스트, 그래픽, 영상 등으로 표시한다.
입력부(430)는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신호를 출력하는 버튼입력장치, 문자를 입력 및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고 눌린 키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부(420)의 화면에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되는 화면 상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디스플레이부(420)의 화면에 표시되는 소프트 키보드와 터치 위치에 따른 소프트 키보드의 기능 및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패드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44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차량정비 관리서버(5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무선통신부(441) 및 근거리의 OBD 모듈(3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442)를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4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지그비, 광대역무선통신, 다이렉트 와이파이 등과 같은 무선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GPS 모듈(450)은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들 각각으로부터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수신받아 단말 제어부(460)로 출력한다.
단말 제어부(460)는 차량상태 모니터링부(470) 및 정비소 정비 평가부(48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400)의 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차량상태 모니터링부(470)는 차량상태 모니터링 모드에서 활성화되며, 차량진단정보 수집부(471), 위치 계산부(472), 차량상태정보 생성부(473), 차량상태정보 전송부(474), 정비소 검색부(475) 및 차량정비정보 시각화부(476)를 포함한다.
차량진단정보 수집부(471)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442)를 통해 상기 OBD 모듈(300)과 페어링되어 상기 OBD모듈(300)로부터 차량진단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는다.
위치 계산부(472)는 상기 GPS 모듈(45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데이터들에 의해 자신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출력한다.
차량상태정보 생성부(473)는 상기 위치정보,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차량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차량상태정보 전송부(474)는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원거리 무선통신부(441)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한다. 송신된 차량상태정보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을 거쳐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로 전송된다.
차량정비정보 시각화부(476)는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441)를 통해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정비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그래픽을 생성하고, 그래픽 차량을 통해 차량정비정보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
정비소 검색부(475)는 디스플레이부(420) 및 입력부(430)를 통해 정비소 검색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비소 검색 정보를 원거리 무선통신부(441)를 통해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로 전송하고, 상기 정비소 검색 정보에 대응하는 정비소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
정비소 정비 평가부(480)는 정비소 정비 평가 등록 모드에서 활성화되어 상기 입력부(430) 및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정비소에서 정비받은 정비항목 및 해당 항목에 대한 수리비 및 친절도를 입력할 수 있는 정비소 정비 평가 사용자 입력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정비소 정비 평가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해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정비항목, 항목별 수리비 및 친절도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평가정보를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441)를 통해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의 차량정비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는 서버 저장부(510), 서버 통신부(520) 및 서버 저장부(530)를 포함한다.
서버 저장부(510)는 차량정비 관리서버(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수집된 차량 및 운저자 중 어느 하나별로 차량상태정보 및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를 저장하고, 정비소별 정비소정보 및 정비 수리비정보가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서버 통신부(52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에 접속하여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10)에 접속해 있는 정비소 서버(110) 및 모바일 단말기(400)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서버 제어부(530)는 정보 수집부(540), 정보 분석부(550), 검색부(560) 및 정보 제공부(570)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부(540)는 서버 통신부(52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400-1)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서버 저장부(510)에 저장하는 차량상태정보 수집부(541), 정비소 서버(110)로부터 정비 수리비정보를 수집하여 서버 저장부(510)에 저장하는 수리비정보 수집부(542) 및 모바일 단말기(400-2)로부터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를 수집하여 서버 저장부(510)에 저장하는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 수집부(543)를 포함한다.
정보 분석부(550)는 상기 수신된 차량상태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의 운전자 및 차량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누적 저장되어 있는 차량상태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각 차량 부품의 기준치들과 비교 분석하여 고장 발생 가능성 및 고장 여부를 분석하는 차량 상태 분석부(551), 상기 운전자 및 차량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누적 저장되어 있는 차량상태정보의 속도변화, 기어변화, 브레이크 구동 시점, 핸들 조작 등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분석하는 운전습관 분석부(552) 및 상기 수리비정보 수집부(542)를 통해 수집된 정비 수리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차량 상태 분석부(551)에 분석된 고장 발생 가능성 부분 및 고장 부분에 대한 정비 처리 비용을 분석하는 정비 처리 비용 분석부(553)를 포함한다.
검색부(560)는 분석된 수리비 분석 정보 및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 수집부(543)에 의해 수집된 정비소 정비 평가 정보에 의해 최적의 수리비 및 친절도가 높은 최적 정비소를 검색한다.
정보 제공부(570)는 상기 정보 분석부(550)를 통해 분석된 고장 가능성 부분 및 고장 부분의 존재여부, 고장 가능성 부분 및 고장 부분에 대한 정보, 상기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에 의해 분석된 최적 정비소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비정보를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송신한 모바일 단말기(400-1)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중 OBD 모듈의 차량상태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OBD 모듈(300)은 차량진단정보 수집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111). 상기 차량진단정보 수집 이벤트는 주기적, 차량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진단정보에 의해 이그니션이 온되는 경우, 시동이 온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400-1)로부터 차량상태정보 수집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차량진단정보 수집 이벤트가 발생되면 OBD 모듈(300)은 차량시스템(200)으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진단정보를 수집한(S113) 후 모바일 단말기(400-1)로 전송한다(S115).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중 차량정비 관리서버의 차량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차량상태 모니터링 모드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400-1)의 단말 제어부(460)의 차량상태 모니터링부(470)는 차량진단정보 수집 이벤트가 발생되는지(S211), OBD 모듈(300)로부터 차량진단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215). 모바일 단말기(400-1)의 차량진단정보 수집 이벤트는 주기적 또는 운전자, 즉 모바일 단말기(400-1) 사용자에 의해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차량진단정보 수집 이벤트가 발생되면 차량상태 모니터링부(470)는 차량진단정보 수집해줄 것을 OBD 모듈(300)로 요청한다(S213).
상기 차량진단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상태 모니터링부(470)는 차량진단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하고(S217),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한(S218) 후,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S219).
상기 차량상태정보의 전송 후 차량상태 모니터링부(470)는 차량정비정보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221), 차량정비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정비정보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S223).
상기 차량정비정보를 표시한 후 차량상태정보 모니터링부(470)는 운전자로부터 차량 고장 가능성 부분 및 고장 부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비 요청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225).
정비 요청이 발생되면 차량상태정보 모니터링부(470)는 최적 정비소 정보 요청 신호를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S227).
상기 최적 정비소 정보 요청 후 차량상태정보 모니터링부(470)는 최적 정비소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S229), 최적 정비소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S231). 이때, 정비소 정보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위치정보는 지도데이터에 맵핑되어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비소 서버(110)들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자신들이 정비할 수 있는 차량의 차량정보, 각 차량의 부품들에 대한 부품정보 및 수리비를 포함하는 정비 수리비 정보를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로 업로드한다(S311).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는 정비소 서버(110)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비 수리비 정보를 서버 저장부(510)에 저장하여 정비 수리비 빅데이터를 구성한다(S313).
정비소 정비 평가 모드로 동작하는 모바일 단말기(400-2)(이하 "제3자 모바일 단말기"라 함)는 모바일 단말기(400-2)는 사용자가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 입력 수단을 통해 이용한 정비소에 대한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를 입력하면 차량정비 관리 서버(500)로 전송한다(S315).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는 제3자 모바일 단말기(400-2)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정비소 정비 평가 빅데이터를 구성한다(S317).
모바일 단말기(400-1)는 수집된 차량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로 전송하며(S318).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는 모바일 단말기(400-1)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상태정보를 서버 저장부(510)에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별로 누적 저장하여 상기 차량 및 운전자에 대한 빅데이터를 구성한다(S319).
차량상태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는 차량 고장 가능성 및 고장 진단을 수행하고(S321), 고장 발생 가능성 및 고장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S323).
고장 가능성 및 고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으면 고장 발생 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비정보를 모바일 단말기(400-1)로 전송하고(S325), 고장 가능성 및 고장이 없으면 시스템 정상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비정보를 모바일 단말기(400-1)로 전송한다(S327).
모바일 단말기(400-1)는 차량정비정보의 수신 후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최적 정비소 정보 요청 신호를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S329).
상기 정비소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 차량정비 관리서버(500)는 최적 정비소를 검색한(S331) 후, 최적 정비소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400-1)로 전송한다(S333).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차량 10: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100: 정비소 정보 제공부 110: 정비소 서버
200: 차량 시스템 300: OBD 모듈
400: 모바일 단말기 410: 단말 저장부
420: 디스플레이부 430: 입력부
440: 통신부 441: 원거리 무선통신부
442: 근거리 무선통신부 450: GPS 모듈
460: 단말 제어부 470: 차량상태 모니터링부
471: 차량진단정보 수집부 472: 위치 계산부
473: 차량상태정보 생성부 474: 차량상태정보 전송부
475: 정비소 검색부 476: 차량정비정보 시각화부
480: 정비소 정비 평가부 500: 차량정비 관리서버
510: 서버 저장부 520: 서버 통신부
530: 서버 제어부 540: 정보 수집부
541: 차량상태정보 수집부 542: 수리비정보 수집부
543: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 수집부 550: 정보 분석부
551: 차량상태 분석부 552: 운전 습관 분석부
553: 정비처리 비용 분석부 560: 검색부
570: 정보 제공부

Claims (10)

  1. 전기자동차의 차량시스템에 연결되어 차량진단정보 수집 이벤트의 발생 시 차량진단정보를 수집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신하는 OBD 모듈;
    전기자동차의 차량 상태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OBD 모듈과 페어링되어 상기 OBD 모듈로부터 전기자동차 차량진단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고 자신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 위치정보,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차량 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무선으로 송신하고, 차량정비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모바일단말기;
    해당 정비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비소 정보를 전송하고, 차량 및 부품별 수리비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정비소 서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정비소 서버로부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비소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차량 및 부품별 정비 수리비 정보를 수신받아 정비소별로 갱신하며, 상기 수신되는 차량상태정보의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누적 관리되는 차량상태정보들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분석하고, 상기 차량상태정보 및 운전습관에 의해 차량의 고장 가능성 및 고장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된 고장 가능성 및 고장 여부 판단에 대한 해당 차량 부분의 차량정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정비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정비소 정비 평가 등록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정비소에서 정비받은 정비항목 및 해당 항목에 대한 수리비 및 친절도를 입력받아 상기 정비항목, 항목별 수리비 및 친절도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평가정보를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는, 임의의 정비소에서 수리받은 다수의 운전자들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정비 평가정보를 수신받아 정비소별로 분류하여 저장 관리하고, 상기 차량정비정보 생성 시 상기 차량정비정보가 고장 가능성이 있거나 고장이 있는 경우 고장 가능성 부분 및 고장 부분에 대한 정비평가정보가 좋은 정비소에 대한 정비소정보를 상기 차량정비정보에 더 포함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OBD 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및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부;
    차량정비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적어도 셋 이상의 GPS 위성들로부터 각각의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GPS 모듈;
    차량상태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OBD 모듈과 페어링되어 상기 OBD 모듈로부터 차량진단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고 상기 GPS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위치데이터들에 의해 자신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 위치정보,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차량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무선으로 송신하고, 정비소 정비 평가 등록 모드에서 상기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정비소에서 정비받은 정비항목 및 해당 항목에 대한 수리비 및 친절도를 입력받아 상기 정비항목, 항목별 수리비 및 친절도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평가정보를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차량상태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OBD 모듈과 페어링되어 상기 OBD 모듈로부터 차량진단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받아 출력하는 차량정보 수집부, 상기 GPS 모듈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입력받아 자신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위치 계산부, 상기 차량정보 수집부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상태정보 및 상기 위치 계산부에서 계산된 위치정보, 미리 저장하고 있는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차량상태정보 생성부,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차량정비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차량상태정보 전송부 및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차량정비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차량정비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그래픽을 생성하고, 그래픽 차량을 통해 차량정비정보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차량정비정보 시각화부를 포함하는 차량상태 모니터링부; 및
    정비소 정비 평가 등록 모드에서 상기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정비소에서 정비받은 정비항목 및 해당 항목에 대한 수리비 및 친절도를 입력받아 상기 정비항목, 항목별 수리비 및 친절도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평가정보를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정비소 정비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의 차량상태 모니터링부는,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를 통해 정비소 검색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비소 검색 정보를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차량정비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정비소 검색 정보에 대응하는 정비소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정비소 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상태정보 수집부,
    상기 정비소 서버로부터 차량 및 부품별 정비 수리비 정보를 수집하는 수리비정보 수집부, 및 다수의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을 정비받은 정비소에 대한 상기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를 수집하는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차량상태정보의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별로 관리되는 누적된 차량상태정보에 의해 해당 차량의 고장 가능성 여부 및 고장 여부를 분석 및 진단하는 차량 상태 분석부,
    상기 차량상태정보의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별로 관리되는 누적된 차량상태정보에 의해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분석하는 운전 습관 분석부, 및
    상기 차량상태 분석부를 통해 고장 가능성이 있거나 고장 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리비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비 수리비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고장 가능성 부분 또는 고장 부분의 수리비를 분석하는 정비처리 비용 분석부를 포함하는 정보 분석부;
    분석된 수리비 분석 정보 및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에 의해 최적의 수리비 및 친절도가 높은 최적 정비소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정보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고장 가능성 부분 및 고장 부분의 존재여부, 고장 가능성 부분 및 고장 부분에 대한 정보, 상기 정비소 정비 평가정보에 의해 분석된 최적 정비소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비정보를 상기 차량 상태정보를 송신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7. 모바일 단말기가 차량의 차량시스템에 연결되고 자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OBD 모듈을 통해 차량진단정보를 수집하고 자신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 위치정보,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차량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차량진단 관리서버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차량상태정보 제공 과정;
    정비소 서버가 정비소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비소 정보 및 차량 및 부품별 수리비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수리비정보 제공 과정;
    차량정비 관리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정비소 서버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차량 및 부품별 정비 수리비 정보를 수신받아 정비소별로 갱신하는 빅데이터 구성 과정; 및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가 상기 수신되는 차량상태정보의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누적관리되는 차량상태정보들에 근거하여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분석하고, 상기 차량상태정보 및 운전습관에 의해 차량의 고장 가능성 및 고장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된 고장 가능성 및 고장 여부 판단에 대한 해당 차량 부분의 차량정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정비 정보 제공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상태정보 제공 과정은, OBD 모듈이 차량진단정보 수집 이벤트의 발생 시 차량진단정보를 수집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진단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OBD 모듈로부터 차량진단정보가 수신되면 자신의 현재 위치를 측정한 위치정보, 차량정보 및 운전자 정보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차량진단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차량진단 관리서버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차량상태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진단정보 수집 이벤트는 일정 주기, 이그니션 온, 차량 시동 시, 차량 시동 오프 시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법.
  10. 제9항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가 정비소 정비 평가 등록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정비소에서 정비받은 정비항목 및 해당항목에 대한 수리비 및 친절도를 입력받아 상기 정비항목, 항목별 수리비 및 친절도 정보를 포함하는 정비 평가 정보를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정비소 평가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빅데이터 구성 과정은, 차량정비 관리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누적하여 저장하는 차량상태정보 빅데이터 구성 단계;
    상기 정비소 서버로부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비소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차량 및 부품별 정비 수리비 정보를 수신받아 정비소별로 갱신하는 정비소 정보 빅데이터 구성 단계; 및 임의의 정비소에서 수리받은 다수의 운전자들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정비 평가정보를 수신받아 정비소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정비소 평가 빅데이터 구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비소 제공 과정에서 상기 차량정비 관리서버가 상기 정비소 평가정보를 차량정비정보에 더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89068A 2021-12-27 2021-12-27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99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068A KR20230099574A (ko) 2021-12-27 2021-12-27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068A KR20230099574A (ko) 2021-12-27 2021-12-27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574A true KR20230099574A (ko) 2023-07-04

Family

ID=8715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068A KR20230099574A (ko) 2021-12-27 2021-12-27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전기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5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52978A (zh) * 2024-03-07 2024-04-09 山东北骏重工有限公司 基于数据采集分析的矿用运输车运行质量评估系统
CN117852978B (zh) * 2024-03-07 2024-06-07 山东北骏重工有限公司 基于数据采集分析的矿用运输车运行质量评估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52978A (zh) * 2024-03-07 2024-04-09 山东北骏重工有限公司 基于数据采集分析的矿用运输车运行质量评估系统
CN117852978B (zh) * 2024-03-07 2024-06-07 山东北骏重工有限公司 基于数据采集分析的矿用运输车运行质量评估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242B1 (ko) 차량 상태 진단 및 운전자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824073B1 (ko) 차량 연계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US11541899B2 (en) Vehicle diagnosis apparatus, vehicle diagnosis system, and vehicle diagnosis program
CN106406273B (zh) 车辆中故障原因的确定
CA283863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vehicle diagnostic trouble codes
KR20180105850A (ko) 차량 고장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100497128B1 (ko) 차량 성능의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50021200A1 (en) Vehicle information-communication method, vehicle information-communication system, vehicle and control center
JP6773024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886392B1 (en) Methods, devices, and mediums associated with managing vehicle maintenance activities
US20060247832A1 (en) Vehicular diagnostic method, vehicular diagnostic system, vehicle and center
KR20190105681A (ko) 빅데이터 및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인공지능 차량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10540831B2 (en) Real-time on-board diagnostics (OBD) output parameter-based commercial fleet maintenance alert system
EP2064106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rail system
KR20090049492A (ko) 차량 고장진단기기
CN103105846A (zh) 用于车辆检修的维修辅助系统
KR20190122298A (ko) 차량 진단 시스템
CN105469147B (zh) 用于诊断故障和/或诊断维修和/或维护需求的方法
KR20130025288A (ko) Obd를 이용한 차량 관리 장치
KR102184590B1 (ko) 차량 예방정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00122332A (ko) 모바일 차량 관리 시스템
Maalik et al. Intelligent Vehicle diagnostic system for service center using OBD-II and Iot
KR20190096842A (ko) 차량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네트워킹 시스템
KR102493559B1 (ko)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
KR20120026231A (ko) 주행중에도 안전하게 차량을 진단할 수 있는 자가 차량 진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