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559B1 -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559B1
KR102493559B1 KR1020190119705A KR20190119705A KR102493559B1 KR 102493559 B1 KR102493559 B1 KR 102493559B1 KR 1020190119705 A KR1020190119705 A KR 1020190119705A KR 20190119705 A KR20190119705 A KR 20190119705A KR 102493559 B1 KR102493559 B1 KR 102493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rver
maintenance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7276A (ko
Inventor
안창욱
Original Assignee
안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창욱 filed Critical 안창욱
Priority to KR102019011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55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하부를 촬영할 수 있는 일정 스팟을 구비하고 해당 스팟을 통과시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여 영상을 저장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동시에 차량 주행거리 기록부를 통해 차량의 현재 주행거리를 확인하여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전송하며, 전송된 차량번호, 영상, 주행거리를 매칭하여 정비소의 전문가가 현재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고 예방 정비와 긴급 정비 등 차량의 정비가 필요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에서 사용자의 휴대폰 또는 네비게이션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차량 점검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Smart Vehicle Maintenance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하부를 촬영할 수 있는 일정 스팟을 구비하고 해당 스팟을 통과시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여 영상을 저장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동시에 차량 주행거리 기록부를 통해 차량의 현재 주행거리를 확인하여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전송하며, 전송된 차량번호, 영상, 주행거리를 매칭하여 정비소의 전문가가 현재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고 예방 정비와 긴급 정비 등 차량의 정비가 필요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에서 사용자의 휴대폰 또는 네비게이션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차량 점검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안전운전을 위해 다양한 센서가 장치되어 계기판을 통해 자동차의 속도, 변속기어 위치, 엔진체크, 엔진오일 온도, 연료량, RPM, 타이어 압력, 도어 개폐, 안전벨트, 주차 브레이크 작동 관련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안전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서 계기판에 경고등이 들어오면 운전자가 자동차의 이상 상태를 인식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안전 운행이 이루어 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계기판에 경고등이 들어와도 운전자가 자동차에 대한 정비 지식이 많지 않을 경우 주유 경고와 같은 간단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다양한 안전관련 경고가 있어도 적절한 실시간 정비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자동차에는 상기 계기판에 나타나는 경고 뿐만 아니라 자동차 내부에 장치된 수많은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경고가 있는데, 이러한 경고가 있어도 운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적기에 필요한 정비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자동차 정비는 운전자가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정비업소에 들러 차량 정비를 받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정비 행태는 정비주기를 놓쳐 자동차의 내구성에 해를 미치거나 불필요한 과잉 정비를 받게 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정비관련 문제는 자동차 운전자쪽의 문제 뿐만 아니라 차량 정비업소 역시 해당 정비대상 자동차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한 것이 아니어서 신뢰성 있는 정비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즉, 해당 정비대상 자동차의 객관적인 누적 데이터를 통해 적절한 정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의 연식이나 주행거리를 바탕으로 정비사의 정비경험과 메뉴얼에 따른 소모품 교체 주기를 통한 정비가 대부분이어서 실제 자동차의 내부상태 변화 패턴과 운전자의 운전습관에 따른 정보를 통한 맞춤형 정비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운전자들 중에는 자동차 내부 차량 정보를 얻기 위해 외부에서 OBD(On Board Diagnosis)를 차량과 연결하여 보다 상세하고 전문적인 자동차 내부 정보에 접근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OBD는 원래는 차량 정비 공장 또는 A/S센터 등에 구비되어 입고된 차량의 이상유무를 진단하는데 사용하는 장치였는데 최근에는 구입비용이 저렴해지고, 블루투스가 결합되어 차량 정비 공장 또는 A/S센터의 진단장치 없이도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OBD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는 운전자가 자동차 정비에 대한 지식이 크지 않을 경우 아무리 많은 정보를 직접 얻어도 실제 정비를 위한 정보로 활용되지 못하고 대부분 앱을 통해 제공되는 일부 정보만을 활용할 수 있을 뿐이다. 즉, OBD와 연동되도록 휴대폰에 설치된 앱에서 제시하는 정보는 일상적인 정비 정보나 소모품 교체 주기 또는 평균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제공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자동차 및 이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맞는 맞춤형 정비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원격지의 차량 진단관리시스템 또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진단장치를 통해 OBD 정보를 가공 및 분석하여 제공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공개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기술들 역시 차량에 부착된 OBD에서 제공된 차량 정보를 주행 거리 및 시간을 기반으로 한 평균적인 정비 정보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해당 차량의 연속적인 주행 정보 또는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운전자의 선택에 따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8204호, 공개일 2007.04.10.(이하 [특허문헌1] 이라함)에서는 카메라폰 차량 사진을 이용한 차량정비 관리서비스 방법을 공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1]에서는 카메라폰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 사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진 정보를 이미지 처리하고 문자/숫자 인식 처리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외부기관으로부터 해당 차량의 차종, 연식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특성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취득한 차종 정보로 해당 차종에 대응된 세부정비항목 지침서를 파악한 후, 상기 차량의 연식 정보와 현재일을 이용하여 차량의 총 주행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차량의 총 주행거리에 대응하는 상기 파악한 세부정비항목 지침서의 정비항목이 있는지를 파악하여 정비 항목이 있으면, 해당 정비 항목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공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특허문헌1]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차량 번호와 총 주행거리를 직접 촬영하여 전송하여야 되며, 차량의 하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으며, 차량의 하부 상태의 점검을 위해서는 직접 정비소를 방문하여 리프트를 통하여 차량을 띄워서 점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정비 대상 물품을 사용자에 맞춰서 선택적으로 제공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8204호, 공개일 2007.04.1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별도의 정보입력을 하지 않고 특정 스팟 지점을 통과하는 것만으로 차량의 하부상태를 점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정비일 및 정비항목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정비대상 품목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고, 차량의 위치에 따른 가까운 정비소를 안내하거나, 자주 방문하는 정비소에 예약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에 있어서,차량이 이동하며 통과하는 스팟 지점을 구비하며,카메라를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부를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번호를 통해 차량정보(차종, 연식 등) 파악하며, 촬영부를 통해 자동차의 하부를 고속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와,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기록하는 장치인 주행거리기록부에서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전송하며, 서버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정비소에서 접속하여 차량정비 및 주행거리와 매칭하여 분석하고, 예방 점검 및 긴급 점검 품목을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분석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전문가의 분석 내용을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폰 또는 네비게이션으로 정보 제공하며, 사용자는 분석 데이터를 통한 점검 내역 정보를 확인하고 점검 품목에 대한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고 가까운 정비소 또는 자주 이용하는 정비소에 예약을 진행하고 방문하여 정비를 진행 한다.
정비 진행 후 정비 진행된 내역을 촬영하고, 데이터화 하여 갱신하여 서버에 저장 하고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추후 재이용시 갱신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석 및 정보 제공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의 하부를 촬영할 수 있는 일정 스팟을 구비하고 해당 스팟을 통과시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여 영상을 저장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동시에 차량 주행거리 기록부를 통해 차량의 현재 주행거리를 확인하여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전송하며, 전송된 차량번호, 영상, 주행거리를 매칭하여 정비소의 전문가가 현재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고 예방 정비와 긴급 정비 등 차량의 정비가 필요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에서 사용자의 휴대폰 또는 네비게이션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차량 점검 및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정비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의 휴대폰 또는 네비게이션을 통한 GPS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가까운 정비소를 안내해 주며, 정비 대상 품목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해당 선택 품목으로 차량의 부품을 교체 및 정비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첫째,차량의 하부 영상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차량 정비 안내를 제공받음으로써, 잊어버리고 정비하지 못하거나 어느 부위를 정비해야 하는지를 몰라 정비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운행을 가능하게 하고 차량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둘째, 차량 정비 및 자동차 부품을 제공하는 부품몰과 차량 튜닝업체를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수익의 일부를 차량 정비소의 분석 실적 및 평가가 좋은 업체에게 환급하여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으며, 셋째, 차량의 Big Data를 활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체크하여 체계적으로 차량을 관리할 수 있으며, 넷째, 기존의 차량 정비소에 공임료 과다 청구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한 부분의 정비업체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섯째, 차량 상태의 지식의 부족에도 전문가를 통해 쉽게 정밀 진단을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차계부를 작성하거나 기록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에 있어서,차량이 이동하며 통과하는 스팟 지점을 구비하며,카메라를 구비한 차량번호 인식부를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번호를 통해 차량정보(차종, 연식 등) 파악하며, 촬영부를 통해 자동차의 하부를 고속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와,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기록하는 장치인 주행거리기록부에서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전송하며, 서버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정비소에서 접속하여 차량정비 및 주행거리와 매칭하여 분석하고, 예방 점검 및 긴급 점검 품목을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분석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전문가의 분석 내용을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폰 또는 네비게이션으로 정보 제공하며, 사용자는 분석 데이터를 통한 점검 내역 정보를 확인하고 점검 품목에 대한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고 가까운 정비소 또는 자주 이용하는 정비소에 예약을 진행하고 방문하여 정비를 진행 한다.
정비 진행 후 정비 진행된 내역을 촬영하고, 데이터화 하여 갱신하여 서버에 저장 하고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추후 재이용시 갱신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석 및 정보 제공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의 하부를 촬영할 수 있는 일정 스팟을 구비하고 해당 스팟을 통과시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여 영상을 저장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동시에 차량 주행거리 기록부를 통해 차량의 현재 주행거리를 확인하여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전송하며, 전송된 차량번호, 영상, 주행거리를 매칭하여 정비소의 전문가가 현재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고 예방 정비와 긴급 정비 등 차량의 정비가 필요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에서 사용자의 휴대폰 또는 네비게이션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차량 점검 및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정비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의 휴대폰 또는 네비게이션을 통한 GPS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가까운 정비소를 안내해 주며, 정비 대상 품목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해당 선택 품목으로 차량의 부품을 교체 및 정비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하여, 차량의 하부 영상 촬영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차량 정비 안내를 제공받음으로써, 잊어버리고 정비하지 못하거나 어느 부위를 정비해야 하는지를 몰라 정비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운행을 가능하게 하고 차량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차량 정비 및 자동차 부품을 제공하는 부품몰과 차량 튜닝업체를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수익의 일부를 차량 정비소의 분석 실적 및 평가가 좋은 업체에게 환급하여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의 Big Data를 활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체크하여 체계적으로 차량을 관리할 수 있으며, 기존의 차량 정비소에 공임료 과다 청구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한 부분의 정비업체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 상태의 지식의 부족에도 전문가를 통해 쉽게 정밀 진단을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차계부를 작성하거나 기록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하부를 촬영할 수 있는 스팟(100)을 차량(200)이 통과하면, 통과하는 차량에 대하여 차량번호 인식 카메라(110)를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차량 하부 촬영 카메라(120)를 통하여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고, 스팟(100)의 통신부(130)를 통해 차량의 통신부(220)와 연결하여 차량의 주행거리 기록부(210)에서 차량의 주행거리 정보를 수신하고, 스팟(100)의 통신부(130)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와 촬영된 차량의 하부 영상과 차량의 주행거리를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버(400)로 전송하고 서버에서는 복수의 정비소(500,500-1,500-2)에 알림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복수의 정비소(500,500-1,500-2) 중 어느 하나의 정비소에서 해당 데이터를 선택하여 서버에 저장된 차량의 기존 정보와 실시간 촬영된 차량정보 및 주행거리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차량의 예방 정비 또는 긴급 정비 품목을 확인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가까운 정비소 또는 주로 이용하는 정비소를 선택하여 정비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정비소에서 서버로 전송된 정비 품목을 사용자는 서버에 연결된 복수의 부품몰(600,600-1,600-2) 중에 원하는 부품을 가격, 브랜드, 평가를 비교하여 선택하고 선택한 물품으로 정비소에서 정비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부품몰에서 선택한 정비 대상 부품을 사용자가 방문할 정비소를 예약하면, 정비소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부품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며, 정비소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부품을 배송받아 정비를 진행할 수 있으며, 기존에 정비소에 구비된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해당 부품으로 즉시 정비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부품몰에서 정비 대상 부품을 선택시, 선택한 부품을 배송을 받아 진행할 수 있는 것과 정비소에 구비된 부품으로 진행하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100: 스팟
110: 차량번호 인식 카메라
120: 차량 하부 촬영 카메라
130: 통신부
200: 차량
210: 주행거리 기록부
220: 통신부
300: 네트워크
400: 서버
500: 정비소
600: 부품몰

Claims (2)

  1. 차량이 통과 시 차량번호 인식부를 통해 통과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촬영부를 통해 차량의 하부를 촬영하는 스팟; 및
    상기 스팟에 차량 통과 시, 차량의 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현재 주행거리와 차량번호를 확인하여 수신하고 저장하며, 상기 스팟의 통신부를 통해 촬영된 차량의 하부 영상 정보와 차량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수신된 차량번호, 차량의 하부 영상 정보 및 주행거리를 매칭하여 복수의 정비소에 알림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정비소 중 어느 하나의 정비소에서 서버에 접속하여 확인하고 차량정비 상태와 주행거리 및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분석하고 예방 점검 및 긴급 점검 품목을 확인하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에서 차량을 운행하는 사용자에게 휴대폰 또는 네비게이션으로 차량 점검 품목 정보를 제공하며;
    정비 진행 시 정비소에서 정비된 내역을 촬영하고, 데이터화 하여 갱신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추후 재이용시 서버의 갱신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석 및 정보 제공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가까운 정비소 또는 주로 이용하는 정비소를 선택하여 정비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정비소에서 서버로 전송된 정비 품목을 사용자는 서버에 제공되는 복수의 부품몰 중에 원하는 부품을 가격, 브랜드, 평가를 비교하여 선택하고 선택한 물품으로 정비소에서 정비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가 부품몰에서 선택한 정비 대상 부품을 사용자가 방문할 정비소를 예약하면, 정비소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부품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며,
    상기 정비소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부품을 배송받아 정비를 진행하거나, 기존에 정비소에 구비된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해당 부품으로 즉시 정비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

KR1020190119705A 2019-09-27 2019-09-27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 KR102493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705A KR102493559B1 (ko) 2019-09-27 2019-09-27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705A KR102493559B1 (ko) 2019-09-27 2019-09-27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276A KR20210037276A (ko) 2021-04-06
KR102493559B1 true KR102493559B1 (ko) 2023-01-30

Family

ID=7547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705A KR102493559B1 (ko) 2019-09-27 2019-09-27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9291B (zh) * 2021-06-25 2022-12-06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试装自动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455444B1 (ko) 2022-07-10 2022-10-18 강내서비스기아오토큐 주식회사 차량 정비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714B1 (ko) * 2013-07-03 2014-12-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이어 편마모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98988B1 (ko) * 2017-07-12 2017-11-17 (주)잼시큐리티시스템 차량 하부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8204A (ko) 2005-10-05 2007-04-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카메라폰의 차량 사진을 이용한 차량정비 관리서비스 방법
KR20170094749A (ko) * 2016-12-26 2017-08-21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서버를 이용한 차량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714B1 (ko) * 2013-07-03 2014-12-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이어 편마모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98988B1 (ko) * 2017-07-12 2017-11-17 (주)잼시큐리티시스템 차량 하부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276A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9732B2 (en) Vehicle operator performance history recording, scoring and reporting systems
US104605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n initial loss report including repair information
JP4816992B2 (ja) 車両の遠隔故障診断用サーバ、車両の遠隔故障診断方法、遠隔故障診断用プログラム、及び、車載の遠隔故障診断装置
KR101683242B1 (ko) 차량 상태 진단 및 운전자 정보 제공 시스템
US20230070720A1 (en) Inspection facility
US20210110480A1 (en) Intelligent machine sensing and machine learning-based commercial vehicle insurance risk scoring system
JP3834463B2 (ja) 車載故障警報通報システム
US20150324924A1 (en) Streamlined Claims Processing
US201303255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providing vehicle maintenance
US20190213684A1 (en) Integrated vehicular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493559B1 (ko)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
WO2006137137A1 (ja) 顧客管理装置
JP2016529630A (ja) 検出システム
US20220027823A1 (en) Mobile vehicle inspection system
WO2022139409A1 (ko) 중고자동차의 지능형 성능점검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US202102722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otal Loss of a Vehicle Prior to a Crash
JP2022533183A (ja) 車両の運転者の責任を計算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556086B2 (ja) 車載の遠隔故障診断装置、車載の遠隔故障診断用プログラム、車両の遠隔故障診断方法、車両の故障診断装置、及び、車両の故障診断用プログラム
CN105469147B (zh) 用于诊断故障和/或诊断维修和/或维护需求的方法
US202203437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vehicle-specific educational content for a critical event
CN107526350A (zh) 用于车载诊断投影的车辆地面照明灯
KR20190096842A (ko) 차량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네트워킹 시스템
US202001111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rash event data analysis and cost/loss estimation
US11625962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pplication-based assistance with vehicle emission test compliance
KR102094883B1 (ko) 음향기반 자동차 비정상 징후 감지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