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147A -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147A
KR20230099147A KR1020210188264A KR20210188264A KR20230099147A KR 20230099147 A KR20230099147 A KR 20230099147A KR 1020210188264 A KR1020210188264 A KR 1020210188264A KR 20210188264 A KR20210188264 A KR 20210188264A KR 20230099147 A KR20230099147 A KR 20230099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high voltage
magnetic flux
controll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10188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147A/ko
Publication of KR2023009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2Means for rapidly discharging a capacitor of the converter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or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12Stator flux based control involving the use of rotor position or rotor speed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22Current control, e.g. using a current control lo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방전회로의 사이즈를 줄이면서도 가격을 낮출 수 있는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는, 배터리에 연결되는 연결소자,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고전압의 레벨과 상기 연결소자의 용량에 기반하여 동작 지령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 지령을 전력 변환부를 통해 모터에 인가하여 상기 연결소자에 있는 상기 고전압을 강제 방전하는 전류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charging high voltage forcibly}
본 발명은 고전압 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고전압을 강제 방전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이용하는 친환경 차량은 고전압을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친환경 차량은 주요 구성품의 하나인 전원 분배 유닛(Power Distribution Unit; PDU)을 이용하여, 차량의 에너지원인 고전압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고전압 유닛에 고전압을 분배하는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고전압을 이용하는 친환경 차량의 구동을 위한 전력 변환회로로 인버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버터를 이용하여 전기 모터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인버터의 내부에는 전원 전압의 급격한 전류 흐름을 조절하여 메인 릴레이의 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프리챠징(freecharging) 회로가 내장된다.
여기서 프리챠징 회로는 대부분 배터리팩 내부에 별도의 릴레이 박스에 구성하거나, 별도의 전원분배장치에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에서 사용되는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으로 인해 감전 등을 유발하여,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차량 시스템의 손상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MCU(Motor Control Unit) 방전 회로를 통해 DC(Direct Current) 링크(link) 커패시터에 고전압을 방전시킨다.
이 경우, 고전압 레벨(level)과 커패시터 용량에 따라 시멘트 저항이나 스위칭 소자의 용량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용량 증가에 따라 MCU의 사이즈가 커지고 가격이 증가한다.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102459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방전회로의 사이즈를 줄이면서도 가격을 낮출 수 있는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전압에 대한 운전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방전회로의 사이즈를 줄이면서도 가격을 낮출 수 있는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는,
배터리에 연결되는 연결소자;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고전압의 레벨과 상기 연결소자의 용량에 기반하여 동작 지령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 지령을 전력 변환부를 통해 모터에 인가하여 상기 연결소자에 있는 상기 고전압을 강제 방전하는 전류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류 제어는 시동키의 오프에 따른 상기 모터의 정지 상태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류 제어는 상기 모터에 대하여 토크는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자속만 발생시키는 자속축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속축 제어를 위한 상기 동작 지령은 미리 설정되는 방전시간, DC(Direct Current) 링크 전압, 상기 연결소자의 용량, 모터 상저항, 및 인버터 스위치 저항(Rds_on) 등의 모든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 및 상기 DC 링크 전압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전압 비교값과 미리 설정되는 기준 전압값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강제 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자속축 제어가 수행된 후, 상기 모터의 모터 속도와 기준 속도를 제 1 비교하여, 상기 제 1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자속축 제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비교 결과후, DC 링크 전압과 기준 방전 전압을 제 2 비교하여, 상기 제 2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자속축 제어를 유지하거나 상기 자속축 제어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제어기가 배터리로부터의 고전압의 레벨과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는 연결소자의 용량에 기반하여 동작 지령을 생성하는 지령 생성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동작 지령을 전력 변환부를 통해 모터에 인가하여 상기 연결소자에 있는 상기 고전압을 강제 방전하는 전류 제어를 실행하는 강제 방전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강제 방전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 및 상기 DC 링크 전압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전압 비교값과 미리 설정되는 기준 전압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강제 방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제 방전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자속축 제어가 수행된 후, 상기 모터의 모터 속도와 기준 속도를 제 1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 1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자속축 제어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제 방전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 1 비교 결과후, DC 링크 전압과 기준 방전 전압을 제 2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 2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자속축 제어를 유지하거나 상기 자속축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MCU(Motor Control Unit) 고전압을 3상 모터 권선을 통해 강제 방전하여 MCU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가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고전압에 대한 운전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의 일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강제 방전을 위한 연산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연산 과정에 이어 방전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1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100)는, 배터리(110), 연결 소자(120), 전력 변환부(140), 모터(150), 제어기(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10)는 모터(150)에 고전압의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배터리(110)는 배터리 셀(미도시)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구성되며, 이 배터리 셀은 니켈 메탈 배터리 셀, 리튬 이온 배터리 셀, 리튬 폴리머 배터리 셀, 리튬황 배터리셀, 나트륨황 배터리 셀, 전고체 배터리 셀 등의 전기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 셀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전압 배터리는 전기 차량을 움직이는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배터리로서 100V 이상의 고전압을 말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저전압 배터리도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110)에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이 구성될 수 있다. BMS는 친환경 차량용 배터리 관리를 최적화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전압, 전류 및 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과도한 충전 및 방전을 미연에 방지해 배터리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여준다.
연결 소자(120)는 입력 전원과 출력 부하 사이의 순간 전력 차이를 균형화하고, dc-link의 전압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전력 변환부(140)는 DC(Direct Current) 전원을 AC(Alternating Current) 전원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력 변환부(140)는 일반적으로 인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전압형 인버터인 PWM(Pulse Width Modulation) 인버터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부 구성요소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전류형 인버터의 적용도 가능하다.
PWM 인버터의 경우 정류된 직류 전압을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방식을 이용하여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제어한다.
모터(150)는 전력 변환부(14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 운동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터(150)는 3상 AC(Alternating Current) 모터 가 주로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상 DC 모터, 3상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등이 될 수 있다.
모터(150)는 고정자(미도시)와 이 고정자(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미도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터(150)에 리졸버 또는 엔코드가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160)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고전압 레벨(level)과 연결소자(120)의 용량에 따라 자속축 전류량을 산출하고, 이를 인가하여 고전압을 방전하는 고전압 방전시간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제어기(160)는 상위 제어기 및/또는 하위 제어기가 될 수 있다. 상위 제어기는 운전자의 명령을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운전자 명령으로는 예를 들면, 시동키 스위치의 온오프를 들 수 있다.
또한, 제어기(160)는 센싱을 통해 전압,전류,RPM(revolutions per minute)을 수집하는 센싱 모듈(미도시),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전류 지령을 연산하는 연산 모듈(미도시), 시동키 오프, 모터 구동을 판단하는 판단 모듈(미도시), 강제 방전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소프트웨어 구성 컴포넌트(요소),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컴포넌트, 클래스 구성 컴포넌트 및 작업 구성 컴포넌트, 프로세스, 기능, 속성, 절차, 서브 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배열 및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데이터 등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100)의 일부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 소자(120)는 DC(Direct Current) 링크 커패시터가 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40)는 전력 스위치(241)가 1개의 쌍으로 구성되어 상(A,B,C)별로 배치된다. 1개의 쌍의 전력 스위치(241)는 나란히 병렬로 연결된다.
전력용 파워 스위칭 소자로는 파워 릴레이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FET(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ET), IGBT(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파워 정류 다이오드 등과 같은 반도체 스위칭 소자, 사이리스터, GTO(Gate Turn-Off) 사이리스터, TRIAC(Triode for alternating current),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I.C(Integrated Circuit) 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반도체 소자의 경우 바이폴라, 전력 MOSFET(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or) 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력 MOSFET 소자는 고전압 고전류 동작으로 일반 MOSFET와 달리 DMOS(Double-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강제 방전을 위한 연산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기(160)가, 배터리 전압(Vbatt), DC 링크 전압(Vdclink), 모터 속도(Motor_Speed)를 획득한다(단계 S310).
이후, 배터리 전압과 DC 링크 전압간 전압 비교값(Voltage_diff)을 산출한다(단계 S320). 전압 비교값(Voltage_diff)은 다음식과 같다.
Figure pat00001
이후, 제어기(160)는 모터(150)의 구동을 위한 d축 전류 지령(id_ref)을 연산한다(단계 S330). 즉, 토크는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자속만 발생시키는 자속축 제어를 위한 전류 지령을 연산한다. 자속축 제어는 D-축 전류 제어 및 Q-축 전류 제어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D-축 및 Q-축은 다음과 같다.
D축 : D축은 통상 모터의 자속(flux)이 발생하는 축으로 고정자 U상 권선에서 발생한 자속의 방향으로 선정한다. 따라서 D축은 벡터 제어에서 기준이 되는 축이다.
Q축 : Q축은 D축과 직교를 이루는 축으로 벡터 제어에서 토크를 발생시키는 전류의 축이 된다.
전류 지령(id_ref)의 연산은 다음과 같다.
id_ref = func(discharging time, DC link voltage, Capacitor capacity, 모터 상저항, Rds_on)
여기서, discharging time은 방전시간, DC link voltage는 DC 링크 전압, Capacitor capacity는 커패시터 용량이다. 방전시간은 운전자 또는 제조시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커패시터 용량은 연결소자(120)의 용량이다. 특히, 연결소자(120)가 커패시터일 경우, 커패시터 용량이 된다. 모터 상저항은 모터의 상저항을 나타내고, Rds_on은 인버터 스위치 저항이다.
또한, func 함수는 매개 변수(discharging time, DC link voltage, Capacitor capacity) 모두를 이용하여 전류값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3의 연산 과정에 이어 방전 판단 및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도 4는 3에서 산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방전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기(160)는 정상 제어(Normal Control)를 수행한다(단계 S410).
이후, 제어기(160)는 차량이 시동중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420). 부연하면, 시동키가 오프(OFF)되는지를 확인한다. 즉, Vehicle KEYOFF == OFF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420에서, 판단결과, 차량이 시동중이면 정상 제어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달리, 단계 S420에서, 판단결과, 차량이 정지되면, 제어기(160)는 전압 비교값이 미리 설정되는 기준 전압값(Volt_Thrd)보다 큰지를 확인한다(단계 S430).
단계 S430에서, 판단결과, 전압 비교값이 기준 전압값보다 크면, 제어기(160)는 활성 방전 준비 상태에 진입한다(단계 S440).
이와 달리, 단계 S440에서, 판단결과, 전압 비교값이 기준 전압값보다 작으면, 단계 S410으로 진행된다.
이후, 제어기(160)는 축 전류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S450). 부연하면, D-축 전류 제어는 전류 지령(id_ref)에 따라 수행되고, Q-축 전류 제어는 영(zero)가 된다. 따라서, 토크는 발생되지 않는다.
이후, 축 전류 제어의 수행에 따라 강제 방전이 수행되나, 모터(150)가 여러 가지이유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속도(Motor_Speed)가 미리 설정되는 기준 속도(Speed_Thrd)보다 큰지를 확인하여 계속 축 전류 제어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제어기(160)가 모터 속도(Motor_Speed)와 기준 속도(Speed_Thrd)를 비교하여, 모터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작은 지를 확인한다(단계 S460).
단계 S460에서, 판단결과, 현재의 모터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크면, 단계 S440 내지 단계 S460가 다시 수행된다.
이와 달리, 단계 S460에서, 판단결과, 현재의 모터 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작으면, DC 링크 전압(Vdclink)와 미리 설정되는 기준 방전 전압(Vdicharge_Thrd)과 비교한다(단계 S470).
비교 결과에 따라, DC 링크 전압(Vdclink)이 기준 방전 전압(Vdicharge_Thrd)보다 크면, 단계 S440 내지 S470이 다시 진행된다.
이와 달리, 단계 S470에서, DC 링크 전압(Vdclink)이 기준 방전 전압(Vdicharge_Thrd)보다 작으면, 강제 방전 작동 메커니즘은 종료된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블루레이 등과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 코드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반도체 기억 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 코드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00: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110: 배터리
120: 연결 소자
140: 전력 변환부
150: 모터
160: 제어기
241: 전력 스위치

Claims (14)

  1. 배터리에 연결되는 연결소자;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고전압의 레벨과 상기 연결소자의 용량에 기반하여 동작 지령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 지령을 전력 변환부를 통해 모터에 인가하여 상기 연결소자에 있는 상기 고전압을 강제 방전하는 전류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는 시동키의 오프에 따른 상기 모터의 정지 상태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는 상기 모터에 대하여 토크는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자속만 발생시키는 자속축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축 제어를 위한 상기 동작 지령은 미리 설정되는 방전시간, DC(Direct Current) 링크 전압, 및 상기 연결소자의 용량을 포함하는 매개변수 모두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 및 상기 DC 링크 전압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전압 비교값과 미리 설정되는 기준 전압값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강제 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자속축 제어가 수행된 후, 상기 모터의 모터 속도와 기준 속도를 제 1 비교하여, 상기 제 1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자속축 제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비교 결과후, DC 링크 전압과 기준 방전 전압을 제 2 비교하여, 상기 제 2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자속축 제어를 유지하거나 상기 자속축 제어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8. 제어기가 배터리로부터의 고전압의 레벨과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는 연결소자의 용량에 기반하여 동작 지령을 생성하는 지령 생성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동작 지령을 전력 변환부를 통해 모터에 인가하여 상기 연결소자에 있는 상기 고전압을 강제 방전하는 전류 제어를 실행하는 강제 방전 실행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는 시동키의 오프에 따른 상기 모터의 정지 상태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는 상기 모터에 대하여 토크는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자속만 발생시키는 자속축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축 제어를 위한 상기 동작 지령은 미리 설정되는 방전시간, DC(Direct Current) 링크 전압, 상기 연결소자의 용량, 모터 상저항, 및 인버터 스위치 저항을 포함하는 매개변수 모두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방전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배터리의 배터리 전압 및 상기 DC 링크 전압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전압 비교값과 미리 설정되는 기준 전압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강제 방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방전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자속축 제어가 수행된 후, 상기 모터의 모터 속도와 기준 속도를 제 1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 1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자속축 제어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방전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 1 비교 결과후, DC 링크 전압(Vdclink)과 기준 방전 전압을 제 2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 2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자속축 제어를 유지하거나 상기 자속축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강제 방전 방법.
KR1020210188264A 2021-12-27 2021-12-27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및 방법 KR20230099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264A KR20230099147A (ko) 2021-12-27 2021-12-27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264A KR20230099147A (ko) 2021-12-27 2021-12-27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147A true KR20230099147A (ko) 2023-07-04

Family

ID=8715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264A KR20230099147A (ko) 2021-12-27 2021-12-27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1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459A (ko)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리버트론 배터리 연결 차단 장치 및 그 차단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459A (ko)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리버트론 배터리 연결 차단 장치 및 그 차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9203B1 (ja) 電動機制御装置および電動機制御方法
US8786238B2 (en) Drive system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US8415825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power conversion device, and vehicle with the same mounted thereon
JP5857394B2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インバータ制御方法
US9634586B2 (en) Fail-safe apparatus for inverter
US8878476B2 (en) Method for discharging charges remaining in capacitor in apparatus
CN103262408B (zh) 功率转换装置
JPH11308704A (ja) 電気車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10566923B2 (en) Motor drive device including PWM converter controlled in boosting ratio
JP6755388B2 (ja) 多群多相回転電機の駆動装置
JP4931105B2 (ja) 電気自動車用電力変換装置
US10693390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for controlling discharge of a capacitor
US11046191B2 (en) Drive system and drive control method
JP6289597B1 (ja) 車両用電源装置および車両用電源装置の制御方法
JP5082495B2 (ja) 電動回転機の電源制御装置
CN111907346B (zh) 电动车辆推进系统中的故障处理系统和方法
JP5354269B2 (ja) 交流機制御装置
KR20230099147A (ko) 고전압 강제 방전 장치 및 방법
CN116896258A (zh) 电力变换系统
JP6305495B1 (ja) インバータ制御装置及びインバータ制御方法
JP2012023901A (ja) 回転電機制御装置
KR20220045470A (ko) 멀티 충전 장치 및 방법
WO2024024428A1 (ja) 電力変換装置
JP7144197B2 (ja) 回転電機の制御装置
WO2023037823A1 (ja) 昇温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