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980A - 금속 절삭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절삭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980A
KR20230098980A KR1020210187996A KR20210187996A KR20230098980A KR 20230098980 A KR20230098980 A KR 20230098980A KR 1020210187996 A KR1020210187996 A KR 1020210187996A KR 20210187996 A KR20210187996 A KR 20210187996A KR 20230098980 A KR20230098980 A KR 20230098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aterial
cutting
moving
me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관
Original Assignee
수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8980A/ko
Publication of KR20230098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or the stock mounted on a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2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04Work clamping means using fluid means or a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절삭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면에 금속소재(M)가 위치되며, 개구된 공간이 구비된 제 1테이블(110)과, 상기 공간 전방에 마련되며 서로 이격된 공간에 상기 금속소재(M)가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금속소재(M)와 접촉되어 지지시키면서 상기 금속소재(M)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금속소재(M)의 이동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금속소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대(300)와, 상기 지지대(30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공간에 상기 금속소재(M)가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금속소재(M)를 고정하는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와, 상기 지지대(300)와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 사이에 배치되어 하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금속소재(M)를 사선방향으로 절단하는 제 1절삭부(510)와, 상기 제 1절삭부(510)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금속소재감지센서(46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를 상기 금속소재(M)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이동실린더 및 제 2이동실린더(62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가 상기 금속소재(M)와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제 1지지실린더 및 제 2지지실린더(720)와,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가 상기 금속소재(M)와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제 1고정실린더 및 제 2고정실린더(8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 절삭 가공 장치{METAL CUTTING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금속 절삭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막 형성 없이 금속소재를 특정 형상으로 용이하게 가공하여 다수개의 성형제품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공정효율을 높이고, 성형된 금속소재의 기계적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절삭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소재의 가공방법은 단조, 주조, 압출, 압연, 전조, 인발과 절삭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 압연공정은 금속을 세공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원기둥체인, 롤(roll) 사이의 틈에 금속소재를 투입하여 금속소재의 모습을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압연공정은 선행기술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8089호)와 같이 롤 사이로 금속소재가 통과되어 롤의 압력으로 금속 모재의 길이를 늘리고 단면적 두께를 축소시켜서 판재, 형재, 봉재 등의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는 가공방법이다.
압연공정은 크게 냉간압연과 열간압연으로 나눌 수 있다. 냉간압연은 상온에서 압연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열연 공정을 마친 금속 모재를 화학 처리해 표면의 녹을 제거하고 재결정 온도 이하인 상온에서 다시 한번 압연하는 것으로, 가공성이 우수하며 경도와 인장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냉간압연은 내부 응력이 크고 가공경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생산비용은 낮으며 초기 설치 비용이 높다.
열간압연은 금속소재를 고온으로 가열한 후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압연하는 것으로 압하율을 크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사다리꼴 등의 특정 형상을 갖도록 금속소재를 가공하는 경우, 주로 열간압연 공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열간압연은 가소성이 양호한 상태에서 압연하기 때문에 잔류응력이 발생되어 변형이 쉽게 일어나며, 산화가 일어나 표면에 검은 산화피막이 존재하게 된고 거칠기화 치수 정밀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열간압연은 그라인더 등으로 측면 피막을 제거하는 공정이 수반되고 있다.
이에, 열간압연공정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과, 선행기술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2179호)와 같이 금속소재를 다양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금속 절삭 가공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80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2179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소재 가공시 열처리 없이 가공하여 금속소재 표면의 피막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금속 절삭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다수개의 금속소재를 가공하여 생산성 및 가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절삭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공된 금속소재의 표면거칠기, 치수정밀도 및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절삭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에 금속소재(M)가 위치되며, 개구된 공간이 구비된 제 1테이블(110)과, 상기 공간 전방에 마련되며 서로 이격된 공간에 상기 금속소재(M)가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금속소재(M)와 접촉되어 지지시키면서 상기 금속소재(M)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금속소재(M)의 이동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금속소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대(300)와, 상기 지지대(30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공간에 상기 금속소재(M)가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금속소재(M)를 고정하는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와, 상기 지지대(300)와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 사이에 배치되어 하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금속소재(M)를 사선방향으로 절단하는 제 1절삭부(510)와, 상기 제 1절삭부(510)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금속소재감지센서(46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를 상기 금속소재(M)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이동실린더 및 제 2이동실린더(62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가 상기 금속소재(M)와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제 1지지실린더 및 제 2지지실린더(720)와,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가 상기 금속소재(M)와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제 1고정실린더 및 제 2고정실린더(8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절삭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절삭 가공장치는 내측으로 경사면을 가지며 관통된 제 1절삭홀(915)을 가지며 상면에 금속소재가 배치되도록 형성된 제 1절삭지지대(910)와, 상기 제 1절삭지지대(910)의 일단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금속소재를 상기 제 1절삭지지대(910)에 안착시키는 제2 절삭지지대(920)와, 상기 제 1절삭홀(915)에 안착되도록 하강하며 금속소재를 절삭하는 제 2절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는 금속소재를 용이하게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절삭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는 종래의 열간압연과 같이 별도의 열처리 없이 금속소재를 절삭함으로써 금속소재 표면의 피막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로 가공된 금속소재는 표면거칠기와 금속소재가 갖는 물성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으며, 열로 인한 변형이나 잔류응력이 없어 금속소재의 치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는 동시에 다수개의 금속소재를 가공할 수 있어 장치의 생산성 및 가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절삭 가공 장치의 일측(제 1가공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절삭 가공 장치의 일측(제 1가공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절삭 가공 장치의 타측(제 2가공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절삭 가공 장치의 타측(제 2가공부)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금속 절삭 가공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절삭 가공 장치의 일측(제 1가공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절삭 가공 장치의 일측(제 1가공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금속 절삭 가공 장치는 상면에 금속소재(M)가 위치되며, 개구된 공간이 구비된 제 1테이블(110)과, 상기 공간 전방에 마련되며 서로 이격된 공간에 상기 금속소재(M)가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금속소재(M)와 접촉되어 지지시키면서 상기 금속소재(M)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금속소재(M)의 이동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금속소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대(300)와, 상기 지지대(30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공간에 상기 금속소재(M)가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금속소재(M)를 고정하는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와, 상기 지지대(300)와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 사이에 배치되어 하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금속소재(M)를 사선방향으로 절단하는 제 1절삭부(510)와, 상기 제 1절삭부(510)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금속소재감지센서(46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를 상기 금속소재(M)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이동실린더 및 제 2이동실린더(62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가 상기 금속소재(M)와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제 1지지실린더 및 제 2지지실린더(720)와,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가 상기 금속소재(M)와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제 1고정실린더 및 제 2고정실린더(8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절삭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에는, 제 1테이블(11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테이블(110)은 본 발명인 금속 절삭 가공 장치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면에 금속소재(M)가 위치한다. 상기 제 1테이블(110)은 상면에 개구된 공간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테이블(110)에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에는, 상기 제 1테이블(110)의 개구된 공간 전방에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이동부(210)와 상기 제 2이동부(220)의 이격된 공간에 가공대상인 금속소재(M)가 위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이동부(210)와 상기 제 2이동부(220)는 상기 금속소재(M)의 양측벽에 접촉되어 상기 금속소재(M)를 지지시키면서, 상기 금속소재(M)가 절삭 가공될 수 있도록 상기 금속소재(M)를 일 방향,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제 1절삭부(51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에는,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의 일측에, 상기 금속소재(M)의 이동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금속소재(M)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대(300)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금속소재(M)는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지지대(300)에 닿게 되면 이동이 중지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에는, 상기 지지대(30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상기 제 2이동부(22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는 상기 개구된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에 의해 개구된 공간에 위치된 상기 금속소재(M)가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의 이격공간에 위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 후, 상기 금속소재(M)가 상기 지지대(30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멈추게 되면,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상기 제 2고정부(440)가 상기 금속소재(M)의 양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금속소재(M)를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에는, 상기 지지대(300)와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절삭부(510)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절삭부(510)는 통상의 금속의 절삭 가공시 사용하는 절삭칼일 수 있다. 상기 제 1절삭부(510)는 형성하고자하는 금속가공물 형상의 빗변 각도 설정값에 맞춘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절삭부(510)는 하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지지대(300)와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상기 제 2고정부(440) 사이의 이격공간에 수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제 1절삭부(510)는 상기 상기 지지대(300)와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상기 제 2고정부(440)에 의해 고정된 상기 금속소재(M)를 사선방향으로 절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에는, 상기 제 1절삭부(510)의 맞은편에 금속소재감지센서(460)가 구비된다. 상기 금속소재감지센서(460)는 상기 제 1절삭부(510)가 하방향으로 하강하기 전에 절삭 가공 대상인 금속소재가 상기 제 1절삭부(510)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에는, 다수개의 실린더가 상술한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상술한 구성요소가 각각의 기능에 맞게 동작하도록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에는,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를 상기 금속소재(M)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이동실린더(미도시)와 제 2이동실린더(620)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이동실린더 및 상기 제 2이동실린더(620)에 의해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는 일정 거리를 왕복운동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에는,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가 상기 금속모재(M)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를 이동시키는 제 1지지실린더(미도시)와 제 2지지실린더(720)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지지실린더 및 제 2지지실린더(720)는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가 상기 금속모재(M)와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가 상기 금속모재(M)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이동과정에서 상기 금속모재(M)는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에 효과적으로 지지되면서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에는,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가 상기 금속소재(M)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를 이동시키는 제 1고정실린더(미도시) 및 제 2고정실린더(840)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고정실린더 및 제 2고정실린더(840)는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를 상기 금속모재(M)와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가 상기 금속모재(M)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이동된 상기 금속모재(M)는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에 의해 효과적으로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들(제 1가공부)을 통해 금속소재(M)는 양측이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가공부를 통해 금속소재(M)는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가공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가공된 금속소재(M)를 사다리꼴 형상으로 가공하고자 하는 경우, 후술하는 제 2가공부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 2가공부는 상술한 제 1가공부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제 1가공부에서 가공된 금속소재(M)를 상기 제 2가공부로 이동시켜 제 2가공부를 동작시키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가공부와 상기 제 2가공부가 연결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절삭 가공 장치의 타측(제 2가공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절삭 가공 장치의 타측(제 2가공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절삭 가공장치는 내측으로 경사면을 가지며 관통된 제 1절삭홀(915)을 가지며 상면에 금속소재(M)가 배치되도록 형성된 제 1절삭지지대(910)와, 상기 제 1절삭지지대(910)의 일단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금속소재를 상기 제 1절삭지지대(910)에 안착시키는 제2 절삭지지대(920)와, 상기 제 1절삭홀(915)에 안착되도록 하강하며 금속소재를 절삭하는 제 2절삭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절삭지지대(910)와 상기 제 2절삭지지대(920)와 제 2절삭부는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의 타측에 배치된 또다른 제 2테이블(120) 상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2테이블(120)은 상면에 상기 제 2절삭부를 수용할 수 있는 개구된 공간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절삭지지대(910)는 상기 제 2테이블(120) 상에 구비되며, 내측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절삭지지대(910)의 경사면 일측에는 관통형성된 제 1절삭홀(915)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절삭홀(915)은 제 2절삭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절삭홀(915)은 상기 제 2테이블(120)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제 2절삭부에 의해 절단되는 평행사변형 형상의 금속소재(M)가 2개의 사다리꼴 형상의 금속소재로 가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2절삭지지대(920)는 상기 제 2테이블(120)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 1절삭지지대(910)의 일단에 상기 제 2테이블(120)과 수직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제 1절삭지지대(910)와 상기 제 2절삭지지대(920)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절삭 가공 대상인 금속소재(M)는 상기 제 1절삭지지대(910)와 상기 제 2절삭지지대(920) 사이에 안착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소재(M)는 상기 제 1절삭지지대(910)의 경사면에 일측면이 접촉되도록 지지되는 것일 수 있으며, 지지된 금속소재(M)의 단부가 상기 제 2절삭지지대(920)의 일단에 접촉되면서 고정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2절삭부는 하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제 1절삭지지대(910)와 상기 제 2절삭지지대(920) 사이로 위치되면서 상기 제 1절삭홀(915)에 수용되어 상기 금속소재(M)를 상기 제 2테이블(120)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제 1가공부에 의해 평행사변형으로 가공된 하나의 금속소재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금속소재 2개로 절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는 종래의 열간압연과 같이 별도의 열처리 없이 금속소재를 절삭함으로써 열로 인한 변형이나 잔류응력이 없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는 제 절삭부를 통해 절단함으로써 금속소재 표면의 피막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그라인더 등의 피막 제거 공정이 수반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금속 절삭 가공 장치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동시에 다수개의 금속소재를 가공할 수 있으며, 이동부와 고정부 및 다수개의 실린더를 통해 안전하게 절단 연속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장치를 이용한 제품 생산성 및 가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금속소재 110: 제 1테이블
120: 제 2테이블 210: 제 1이동부
220: 제 2이동부 300: 지지대
430: 제 1고정부 440: 제 2고정부
460: 금속소재감지센서 510: 절삭부
620: 제 2이동실린더 720: 제 2지지실린더
840: 제 2고정실린더 860: 제 4고정실린더
910: 제 1절삭지지대 915: 제 1절삭홀
920: 제 2절삭지지대

Claims (2)

  1. 상면에 금속소재(M)가 위치되며, 개구된 공간이 구비된 제 1테이블(110)과,
    상기 공간 전방에 마련되며 서로 이격된 공간에 상기 금속소재(M)가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금속소재(M)와 접촉되어 지지시키면서 상기 금속소재(M)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금속소재(M)의 이동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금속소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대(300)와,
    상기 지지대(30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공간에 상기 금속소재(M)가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금속소재(M)를 고정하는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와,
    상기 지지대(300)와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 사이에 배치되어 하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금속소재(M)를 사선방향으로 절단하는 제 1절삭부(510)와,
    상기 제 1절삭부(510)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금속소재감지센서(46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를 상기 금속소재(M)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이동실린더 및 제 2이동실린더(620)와,
    상기 제 1이동부(210) 및 제 2이동부(220)가 상기 금속소재(M)와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제 1지지실린더 및 제 2지지실린더(720)와,
    상기 제 1고정부(430) 및 제 2고정부(440)가 상기 금속소재(M)와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제 1고정실린더 및 제 2고정실린더(8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절삭 가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절삭 가공장치는 ,
    내측으로 경사면을 가지며 관통된 제 1절삭홀(915)을 가지며 상면에 금속소재가 배치되도록 형성된 제 1절삭지지대(910)와,
    상기 제 1절삭지지대(910)의 일단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금속소재를 상기 제 1절삭지지대(910)에 안착시키는 제2 절삭지지대(920)와,
    상기 제 1절삭홀(915)에 안착되도록 하강하며 금속소재를 절삭하는 제 2절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절삭 가공 장치.
KR1020210187996A 2021-12-27 2021-12-27 금속 절삭 가공 장치 KR20230098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996A KR20230098980A (ko) 2021-12-27 2021-12-27 금속 절삭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996A KR20230098980A (ko) 2021-12-27 2021-12-27 금속 절삭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980A true KR20230098980A (ko) 2023-07-04

Family

ID=8715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996A KR20230098980A (ko) 2021-12-27 2021-12-27 금속 절삭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898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089B1 (ko) 2003-05-01 2005-07-01 안영애 금속평판 다구멍중공부재의 압연가공장치 및 압연가공방법
KR102152179B1 (ko) 2020-03-05 2020-09-04 김석중 금속 제품 가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089B1 (ko) 2003-05-01 2005-07-01 안영애 금속평판 다구멍중공부재의 압연가공장치 및 압연가공방법
KR102152179B1 (ko) 2020-03-05 2020-09-04 김석중 금속 제품 가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30682A1 (en) Blank, formed article, die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blank
JP2019150882A (ja) せん断加工方法
JPWO2005097373A1 (ja) せん断加工装置
JP5328029B2 (ja) 金属板の円筒深絞り加工方法
KR100465135B1 (ko) 블록 및 벽돌 등 시멘트제품 성형용 철재 파렛트 제작 방법
KR20230098980A (ko) 금속 절삭 가공 장치
EP3254779B1 (en) Cutting and machining device and cutting and machining method
JP6319383B2 (ja) 伸びフランジ成形部品の製造方法
KR101581726B1 (ko) 판재 가공 장치 및 판재 가공 방법
KR101376339B1 (ko) 웜 샤프트 플러그 제작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장치 및 방법으로 제작된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의 웜 샤프트 플러그
US70439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lange corners
JP2567783B2 (ja) エンジンマニホールドフランジ製造方法
JP6319382B2 (ja) 伸びフランジ成形部品の製造方法
JP5286506B2 (ja) パイプの曲げ加工装置
JP5178129B2 (ja) 金属板の張出し加工方法
KR100666441B1 (ko) 워엄 전조 가공용 평판형 다이스
Dang et al. Multiple forming tools in incremental forming–Influence of the forming strategies on sheet contour
JP7338573B2 (ja) せん断刃、せん断金型、金属板のせん断加工方法、及びプレス部品の製造方法
JP2023022897A (ja) プレス装置及び差厚金属板の製造方法
JP2002144142A (ja) 棒材の走行剪断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25338A (ko) 트림작업과 플랜지성형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프레스 다이구조
KR20110067522A (ko) 원자재 절감 및 성형제품의 치수 정밀도가 향상되는 포밍금형장치
KR20110073934A (ko) 프레스 금형장치
SU1166990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фасок на листовых заготовках
SU130329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ломки прока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