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249A - 음료 추출 기기 및 그 관로 시스템과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 추출 기기 및 그 관로 시스템과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249A
KR20230098249A KR1020237017748A KR20237017748A KR20230098249A KR 20230098249 A KR20230098249 A KR 20230098249A KR 1020237017748 A KR1020237017748 A KR 1020237017748A KR 20237017748 A KR20237017748 A KR 20237017748A KR 20230098249 A KR20230098249 A KR 20230098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nduit
conduit
fluid
beverag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오리앙 왕
메이성 주
Original Assignee
수저우 인더스트리얼 파크 카럼 일렉트릭 아프리안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저우 인더스트리얼 파크 카럼 일렉트릭 아프리안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저우 인더스트리얼 파크 카럼 일렉트릭 아프리안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98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추출 기기 및 그 관로 시스템과 작동 방법으로서,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은 호스트 제어 유닛, 추출 유닛(3), 제1 유체 관로(1), 제어 컴포넌트 및 제2 유체 관로(2)를 포함하되, 제어 컴포넌트는 제1 유체 관로(1)와 제2 유체 관로(2)의 연통과 단절을 제어하여 관로를 비우거나 또는 액체를 배제하도록 구성된다. 음료 제조 완료 후에 또는 세척 후에 관로 중의 잔류된 음료 또는 세척액을 배출하여 관로를 비울 수 있어, 이러한 액체가 다음 번 음료 제조 시에 음료용기에 유입되어 음료의 풍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음료 추출 기기 및 그 관로 시스템과 작동 방법
본 발명은 음료 추출 기기의 기술 분야에 속하며, 특히 음료 추출 기기 및 그 관로 시스템과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출 방식을 통해 풍미가 풍부한 음료를 얻는 것은, 인류 역사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문화이자 사회생활의 일상으로 되었다. 이전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차나 커피를 손수로 우려냈지만, 이제는 기계 자동화의 발전과 생활 리듬의 빨라짐에 따라 음료 추출 기기의 적용이 점점 대중화되고 있으며 사무실아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음료 추출 기기로 만든 음료의 풍미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어, 이 분야의 기술 개선의 필요성도 더 절실해지고 있다. 본 출원은 커피 음료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나, 이는 다른 음료에 관한 보호범위를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 커피 음료(예로 들면 에스프레소, 카푸치노, 밀크 커피, 화이트 커피 또는 향미 증진 커피)는 매우 일반적이고 인기가 많다. 커피 음료는 다양한 방식, 특히 그 원료 혼합물과 음료 추출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커피 머신도 커피 머신으로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도 널리 알려져 있다. 통상의 커피 머신에서는, 호스트 제어 유닛에 의해 온도, 압력 등의 파라미터가 설정되고, 어느 정도의 온도의 온수가 어느 정도의 압력으로, 분쇄된 커피를 수용한 추출 유닛 또는 추출 용기에 도입되어, 추출 완료 후에는 음용되도록 관로을 통해 용기에 도입된다.
종래 기술에서, 커피 제조 완료 후에도, 추출 유닛으로부터 커피 출구까지의 관로 중에는 잔류된 액체(예를 들어 커피)가 남아 있고, 다음에 커피를 만들 때 이러한 잔류된 액체는 먼저 컵으로 흘러들어가, 커피의 품질에 영향을 미쳐 커피의 맛과 사용자 체험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예를 들어 커피 머신이 세척된 후와 같은 경우에, 추출 유닛이나 관로 중에는 세척용 액체(예를 들어 물)가 잔류된다. 다음에 커피를 만들 때 이러한 세척 액체가 음료 용기로 들어가 커피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므로 음료의 농도나 온도가 낮아지고 음료의 풍미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관로를 비우거나 액체를 배제하기 위하는, 음료 추출 기기에 적용 가능한 관로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부족에 비추어, 본 발명은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음료 제조 후나 세척 후와 같은, 관로를 비우거나 액체를 배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관로 내 유체의 연통과 단절을 제어함으로써 관로 내 잔류 음료나 액체를 배출하여, 다음 번 음료 제조 시에 잔류 음료나 액체가 음료 컵에 유입되어 음료의 맛이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으로서, 호스트 제어 유닛, 추출 유닛, 제1 유체 관로, 제어 컴포넌트 및 제2 유체 관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유체 관로는 일단이 상기 추출 유닛에 연결되어 음료를 추출 유닛으로부터 음료 배출구로 수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유체 관로의 일단은 제1 유체 관로에 연결되고, 접속점은 상기 추출 유닛과 상기 음료 배출구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유체 관로와 상기 제2 유체 관로의 연통과 단절을 제어함으로써 관로를 비우거나 엑체를 배제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호스트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유체 관로를 접속하고, 제1 유체 관로와 제2 유체 관로의 연통과 단절로 인한 제2 유체 관로의 제2 부분 관로 내 액체의 흐름방향의 변화를 제어함으로써, 관로 시스템에서 복수의 유체 통로(추출 유닛에서 제1 유체 관로까지의 통로, 추출 유닛에서 제2 유체 관로까지의 통로, 음료 배출구에서 제2 유체 관로까지의 통로, 제2 유체 관로에서 음료 배출구까지의 통로)를 형성하며, 제어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유체 통로의 개방과 차단을 제어함으로써 관로 내 액체의 흐름방향을 제어하여 관로를 비우거나 액체를 배제하는 것을 구현한다.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제2 유체 관로를 통해 제1 유체 관로의 제2 부분 관로를 비울 수 있다. 이때, 제어 컴포넌트는 음료 배출구로부터 제2 유체 관로까지의 유체 통로를 개방시킨다. 제2 유체 관로의 출구단의 위치는 음료 배출구의 위치보다 낮기에, 관로 내의 액체는 중력에 의해 제2 유체 관로로부터 유출된다.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 중의 액체를 배제하려는 경우, 또는 상기 추출 유닛 및 제1 유체 관로와 제1 부분 관로 중의 액체를 배제하려는 경우, 제어 컴포넌트는 상기 액체가 배출되도록 제2 유체 관로를 개방시킨다.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제1 유체 관로를 통해 제1 유체 관로의 제2 부분 관로를 비울 수 있다. 이때, 제어 컴포넌트는 음료 배출구로부터 제1 유체 관로까지의 유체 통로를 개방시킨다. 제2 유체 관로는 제1 유체 관로의 상단부에 접속되고, 그 출구단이 위로 향하거나 또는 출구단의 위치가 음료 배출구의 위치보다 높게 배치된다. 이로써 관로 중의 액체는 중력에 의해 제1 유체 관로로부터 유출된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추출 유닛에는 급액 유체 파이프 또는 외부와 직접적이나 간접적으로 연통되는 기체 파이프가 접속된다. 본 발명에서는 급액 유체 파이프를 제3 유체 관로로 정의한다. 추출 과정에서, 추출 유닛의 내벽에는 커피가루와 같은 잔사 또는 커피와 같은 액적이 부착되는 경우가 많고,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에도 액체가 잔류된다. 이러한 추출 유닛 내의 잔사 또는 액적,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 중에 잔류된 액체는 모두 이후에 제조되는 음료의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추출 유닛 및 제1 유체 관로의 세척에 이용되는 세척 액체을 제3 유체 관로를 통해 상기 추출 유닛 내로 공급하되, 상기 세척 액체가 세척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유체 관로를 통해 세척 액체를 공급함으로써,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 내에 존재했던 잔류 액체와, 추출 유닛 및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 중의 세척 액체를 제어 컴포넌트의 제어로 제1 유체 관로 또는 제2 유체 관로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또는, 제3 유체 관로를 통해 세척 액체를 공급함으로써 추출 유닛 및 제1 유체 관로의 전체 또는 일부를 세척할 수 있으며, 제1 유체 관로의 제2 부분 관로 내의 세척 액체는 제어 컴포넌트의 제어에 의해 제1 유체 관로 또는 제2 유체 관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추출 유닛의 기체 파이프를 이용하여 추출 유닛 및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를 외부 대기압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어 컴포넌트를 제어함으로써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 중의 액체가 제1 유체 관로 또는 제2 유체 관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유닛에 세척 액체를 공급하는 제3 유체 관로나 기체 파이프는 종래 기술에서의 급액 유체 파이프나 기체 파이프를 활용한 것으로서 구조의 간소화에 유리하며, 실시 시나리오에서는 별도의 관로를 연결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다음 중 어느 하나이다.
제어 컴포넌트는 배출 펌프이고, 상기 배출 펌프는 제2 유체 관로에 배치된다. 음료의 제조가 완료된 후, 배출 펌프를 작동시켜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제1 유체 관로중의 잔류 음료는 흡인력에 의해 음료 배출구로부터 제2 유체 관로로 들어가 수집용기에 배출된다. 추출 유닛의 세척 과정에서, 배출 펌프를 작동시켜 세척 액체를 제2 유체 관로로 주입하여 수집용기로 배출한다. 기체 파이프에 의해 추출 유닛 및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를 외부 대기압과 연통시킴으로써,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 중의 액체가 제2 유체 관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제어 컴포넌트는 양방향 밸브이고, 상기 양방향 밸브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1 유체 관로의 제2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2 유체 관로에 설치된다. 음료 제조 시, 제1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닫으며, 음료가 제1 유체 관로를 통해 음료용기로 유입된다. 제조 완료 후,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고 공기가 관로 중으로 유입되며, 제1 유체 관로의 제2 부분 관로 내의 잔류음료가 제1 유체 관로 또는 제2 유체 관로를 통해 유출된다.
제어 컴포넌트는 삼방향 밸브이고, 상기 삼방향 밸브는 제1 유체 관로와 제2 유체 관로 사이의 연결부에 설치된다. 삼방향 밸브의 3개의 밸브 포트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액류방향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삼방향 밸브는 두 위치 삼방향의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상시 개방 포트가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출구단에 연결된다. 음료 제조 시, 제2 유체 관로에 연결된 밸브 포트를 닫고, 추출 유닛 내의 음료가 제1 유체 관로를 통해 음료용기로 유입된다. 완료 후에 삼방향 밸브를 전환하여 추출 유닛에 연결된 밸브 포트를 닫고 제2 유체 관로에 연결된 밸브 포트를 열어, 공기가 관로 내로 유입되어 제1 유체 관로의 제2 부분 관로에 있는 잔류 음료가 제1 유체 관로 또는 제2 유체 관로를 통해 유출된다.
음료 추출 기기에 있어서, 상기의 어느 하나의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을 구비한다.
상기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S1, 음료 추출 기기의 지시에 따라 관로 시스템의 작동 모드가 선택된다.
S2, 호스트 제어 유닛이 선택에 따라 해당 작동 모드를 작동시킨다.
S3, 제어 컴포넌트가, 선택된 작동 모드의 설정에 따라 제1 유체 관로와 제2 유체 관로의 연통과 단절을 전환하여, 관로를 비우거나 액체를 배제하는 것을 구동한다.
S4, 제어 컴포넌트가, 설정 시간 후에 또는 음료 추출 기기가 다음 번 작동된 후에, 자동으로 리셋된다.
상기 작동 모드는 모드1, 모드2 및 모드3 중의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1에서는 제1 유체 관로의 제2 부분 관로를 비운다. 상기 모드2에서는 제1 유체 관로 전체를 비운다. 상기 모드3에서는 추출 유닛과 제1 유체 관로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해 세척 시의 세척액을 배제하고, 세척 후에 제1 유체 관로를 비운다.
상기 모드1은 S3a를 포함하며, S3a에서, 음료 배출구로부터 제2 유체 관로까지 개방되도록 전환하여, 제1 유체 관로의 제2 부분 관로 중의 액체를 비운다. 이때, 관로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제1 유체 관로의 제2 부분 관로 내의 액체가 제1 유체 관로 또는 제2 유체 관로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모드2는 단계 S3a+S3b를 포함하며, S3b에서,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를 외부 대기압과 연통시키며, 제어 컴포넌트는 제1 유체 관로 또는 제2 유체 관로 중의 하나가 개방되도록 전환하여,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 중의 액체가 제1 유체 관로 또는 제2 유체 관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모드3은 S3a+S3b+S3c를 포함하며, S3c에서, 제어 컴포넌트는 제1 유체 관로 또는 제2 유체 관로가 개방되도록 전환하고 세척액을 추출 유닛에 공급하며, 세척액은 제1 유체 관로 또는 제2 유체 관로를 통해 배출되어 추출 유닛 및 제1 유체 관로의 전체 또는 일부를 세척한다.
종래기술에 비해, 본 발명는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에 있어서는, 제1 유체 관로에 제2 유체 관로를 접속하되, 제어 컴포넌트에 의해 제1 유체 관로와 제2 유체 관로의 연통과 단절을 제어하여 음료 추출 완료된 후에 제1 유체 관로 중의 잔류 음료를 배출함으로써, 다음 번 음료 추출 시 잔류 음료가 음료용기로 진입되어 음료의 풍미와 품질을 영형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료의 풍미의 안정성과 일치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에 있어서는, 제어 컴포넌트를 추출 유닛, 제3 유체 관로에 결합시키고 음료 기기의 세척 및 세척후 추출 유닛, 제1 유체 관로 내의 세척액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수분이 관로 내에 장기간 존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관로의 청결과 건조를 유지하면서 다음 번 음료 제조 시 제1 유체 관로의 세척수가 음료 용기에 들어가 음료 농도가 저하해져 음료의 풍미와 품질이 영향을 받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한다. 아래에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창조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분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5에서의 삼방향 밸브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제 2 유체 관로가 수집용기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커피 머신에 접속된 것을 도시하는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음료 추출 기기가 커피 머신임을 예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온전히 설명하도록 한다. 분명한 것은,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전부의 실시예는 아니다. 당업자가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조적 노력 없이 획득한 다른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의 설명에서 명시되지 않는 관로는 추출 유닛, 제1 유체 관로 및 제2 유체 관로의 총칭이다. 제1 관로에서 추출 유닛의 출구로부터 제1 유체 관로와 제2 유체 관로 사이의 접속점까지의 부분을 제1 부분으로 정의한다. 제1 관로에서 음료 배출구로부터 제1 유체 관로와 제2 유체 관로 사이의 접속점까지의 부분을 제2 부분으로 정의한다. 관로 중의 액체를 배출하고 관로 내의 공간이 공기로 충전되도록 하는 과정을 '비우다'라고 정의한다. 관로 중의 기존 액체를 배출하고 관로가 새로운 액체로 충전되도록 하는 과정을 '배제하다'라고 정의한다. 비워거나 배제하는 과정에서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불가피하게 관로의 벽에 부착된 일부의 액체가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비운다'나 '배제한다'라는 기재는 완전하고 절대적으로 비워거나 배제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커피 머신의 관로 시스템은, 호스트 제어 유닛(미도시), 추출 유닛(3), 제 1 유체 관로(1), 제어 컴포넌트, 및 제 2 유체 관로(2)를 포함한다. 제1 유체 관로(1)는 일단이 추출 유닛(3)에 연결되어 커피를 추출 유닛(3)에서 음료 배출구(10)로 수송하도록 구성된다. 제2 유체 관로(2)는, 일단이 제1 유체 관로(1)에 연결되고 접속점(a)이 추출 유닛(3)과 음료 배출구(10) 사이에 위치되며, 타단의 출구 하방에 수집용기(7)가 설치된다. 수집용기(7)는, 비우는 것이나 액체를 배제하는 것을 수행할 때에 잔류된 커피나 세척액의 배출에 사용된다. 제1 유체 관로(1)의 출구단에는 음료용기(6)이 설치된다. 제2 유체 관로(2)는 고정구(20)에 의해 커피 기기 내에 장착된다.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배출 펌프(21)이고, 배출 펌프(21)는 호스트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어 작동 또는 정지된다. 배출 펌프(21)의 입력단 및 출력단은 모두 제2 유체 관로(2)에 연결되되, 출력단은 제2 유체 관로(2)의 출력하는 일단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 유닛(3)에서 음료 배출구(10)까지를 제1 통로로 정의하고, 추출 유닛(3)에서 수집용기(7)까지를 제2 통로로 정의하며, 음료 배출구(10)에서 수집용기(7)까지를 제3 통로로 정의한다. 호스트 제어 유닛에 의해 배출 펌프(21)가 제어되며, 배출 펌프(21)는 작동 시에 제1 유체 관로(1)와 추출 유닛(3) 중의 유체에 대해 흡력을 발생한다. 이로써 제1 유체 관로(1)와 제2 유체 관로(2) 내의 액체가 수집용기(7)을 향해 흐르도록 제어한다. 커피를 출력하려는 경우, 배출 펌프(21)를 정지시켜 상술한 제1 통로를 개방시킨다. 제1 유체 관로(1)의 제2 부분 내에 잔류된 커피를 배출하려는 경우, 배출 펌프(21)를 작동시켜 상술한 제3 통로를 개방시킨다. 추출 유닛(3) 내의 다른 액체 예를 들면 세척액을 배제하려는 경우, 배출 펌프(21)를 작동시켜 상술한 제2 통로를 개방시킨다.
추출 유닛(3)에는 제3 유체 관로(4)가 연결되며, 추출 유닛(3)은 밸브(5)를 통해 제1 유체 관로(1), 제 2 유체 관로(2)에 연통된다. 커피를 추출할 때, 배출 펌프(21)가 정지되어 추출된 커피가 제1 유체 관로(1)를 통해 음료용기(6)에 들어간다. 이때, 제1 유체 관로(1) 내에는 아직 잔류된 커피가 남아있다. 잔류된 커피를 배출하여 제1 유체 관로(1)를 비우려는 경우, 호스트 제어 유닛에 의해 배출 펌프(21)가 작동되며, 제1 유체 관로(1) 내의 잔류된 커피가 배출 펌프(21)에 의해 구동되어 제2 유체 관로(2)로 유입되어 수집용기(7)로 배출된다. 추출 유닛(3)을 세척하려는 경우, 배출 펌프(21)가 작동되며, 제3 유체 관로(4)로부터 세척액이 추출 유닛(3)으로 주입되고, 세척액이 제2 유체 관로(2)를 통해 수집용기(7)로 배출된다.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 내의 액체를 배제하려는 경우, 배출 펌프(21)가 작동되며,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가 기체 파이프를 통해 외부 대기압과 연통되어,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 내의 액체가 제2 유체 관로(2)를 통해 수집용기(7)로 배출된다.
상기 커피 머신의 관로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S1, 커피 머신의 지시에 따라 관로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선택한다.
S2, 호스트 제어 유닛이 선택에 따라 해당 작동 모드를 작동시킨다.
S3, 배출 펌프(21)가, 선택된 작동 모드의 설정에 따라 제1 유체 관로(1)와 제2 유체 관로(2)의 개폐를 전환하여, 관로의 전체 또는 일부를 비우거나 액체를 배제하도록 구동한다.
S4, 제어 컴포넌트가, 설정 시간 후에 또는 음료 추출 기기가 다음 번 작동된 후에, 자동으로 리셋된다.
상기 작동 모드는 모드1, 모드2 및 모드3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드1에서는 액체를 배출하여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를 비운다. 모드2에서는 액체를 배출하여 제1 유체 관로(1)의 전체를 비운다. 모드3에서는 추출 유닛(3),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의 세척 시의 세척액을 배제하고 세척 후에 제 1 유체 관로(1)를 비운다.
제1 유체 관로(1)의 제2 부분 관로만을 비우려하는 경우에는 모드1이 선택된다. 상기 모드1은 단계 S3a를 포함한다. 단계 S3a에서는, 배출 펌프(21)을 작동시켜 음료 배출구(10)에서 제2 유체 관로(2)까지의 통로를 개방지켜, 펌프(21)의 구동에 의해 잔류된 커피 또는 액체가 수집용기(7)로 배출된다.
제1 유체 관로(1) 전체에 대해 잔류된 커피를 배출하여 비우려는 경우에는 모드2가 선택된다. 모드2는 단계 S3a + S3b를 포함한다. 단계 S3b에서는,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를 외부 대기압과 연통시키며, 배출 펌프(21)을 작동시켜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 내의 액체가 제2 유체 관로(2)를 통해 수집용기(7)에 유입되도록 한다.
커피 머신의 관로를 세척하고 관로 중의 세척액을 배출하려는 경우에는 모드3가 선택된다. 모드3은 단계 S3c + S3a + S3b를 포함한다. 단계 S3c에서는, 배출 펌프(21)을 작동시켜 제2 유체 관로(2)를 개방시키며, 제3 유체 관로(4)를 통해 세척액체를 추출 유닛(3)에 주입하고, 세척액체가 제2 유체 관로(2)를 통해 배출되어 추출 유닛(3) 및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을 세척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의 차이로서, 도2에 도시된 커피 머신의 관로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어 컴포넌트가 양방향 밸브이다. 상기 양방향 밸브는 호스트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어 열리거나 닫힌다. 상기 양방향 밸브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를 포함하며,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는 제1 유체 관로(1)의 제2 부분에 장착되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는 제2 유체 관로(2)에 장착된다. 관로 내의 액체가 중력에 의해 제2 유체 관로의, 수집용기(7)의 일단에 있는 출구로부터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유체 관로(2)의 출구단 위치는 음료 배출구(10)의 위치보다 낮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기압의 유동과 관로의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유체 관로(2)는 상기 제1 유체 관로(1)의 하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 유닛(3)에서 음료 배출구(10)까지를 제1 통로로 정의하고, 추출 유닛(3)에서 수집용기(7)까지를 제2 통로로 정의하며, 음료 배출구(10)에서 수집용기(7)까지를 제3 통로로 정의한다.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를 호스트 제어 유닛으로 제어함으로써, 제1 유체 관로(1), 제2 유체 관로(2) 내의 액체의 연통과 차단을 제어한다. 커피를 출력하려는 경우,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를 열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를 닫아, 상술한 제1 통로를 개방시킨다. 제1 유체 관로(1)의 제2 부분 관로의 액체를 배출하려는 경우,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를 모두 열어, 상술한 제3 통로를 개방시킨다. 추출 유닛(3) 및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에서의 다른 액체(예를 들면 세척액)를 배출하려는 경우,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를 닫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를 열어, 상술한 제2 통로를 개방시킨다.
커피를 추출할 때,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를 열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를 닫으며, 추출된 커피가 제1 유체 관로(1)를 통해 음료용기(6)에 들어간다. 이때, 아직 제1 유체 관로(1)에는 남은 커피가 존재한다. 제1 유체 관로(1)의 제2 부분 관로에서의 잔류된 커피를 배출하려는 경우, 호스트 제어 유닛에 의해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를 열으며, 관로에 공기가 들어간다. 원래 제2 유체 관로(2)내에 충진되어 있던 액체는 중력에 의해 배출되고, 그와 함께 잔류된 커피도 수집용기(7)에 배출된다. 추출 유닛(3)을 세척하려는 경우,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를 닫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를 열으며, 제3 유체 관로(4)로부터 세척액을 추출 유닛(3) 내에 주입하고, 세척액은 제2 유체 관로(2)를 통해 수집용기(7)로 배출된다.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 내의 액체를 배출하려는 경우,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를 외부 대기압과 연통시켜 그 중의 액체가 제2 유체 관로(2)를 통해 수집용기(7)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커피 머신의 관로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S1, 커피 머신의 지시에 따라 관로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선택한다.
S2, 호스트 제어 유닛이 선택에 따라 해당 작동 모드를 작동시킨다.
S3,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가, 선택된 작동 모드의 설정에 따라 제1 유체 관로(1) 및 제2 유체 관로(2)의 개폐를 전환하여 관로의 전체 또는 일부를 비우거나 액체를 배제하도록 구동한다.
S4,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가, 설정 시간 후에 또는 음료 추출 기기가 다음 번 작동된 후에 자동적으로 리셋된다.
상기 작동 모드는 모드1, 모드2 및 모드3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드1에서는 제1 유체 관로(1)의 제2 부분 관로 내의 액체를 배출하여 비운다. 모드2에서는 제1 유체 관로(1)의 전체 내의 액체를 배출하여 비운다. 모드3에서는 추출 유닛(3),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의 세척 시의 세척액을 배제하고 세척 후에 제1 유체 관로(1)를 비운다.
제1 유체 관로(1)의 제2 부분 중의 액체만을 배출하려는 경우에는 모드1이 선택된다. 상기 모드1은 단계 S3a를 포함한다. 단계 S3a에서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를 열어, 음료 배출구(10)에서 제2 유체 관로(2)까지의 통로를 개방시키고 외부 대기압에 연통시키며, 잔류커피가 수집용기(7)에 배출된다.
제1 유체 관로(1) 전체 내의 잔류된 커피를 배출하려는 경우에는 모드2가 선택된다. 모드2는 단계 S3a+S3b를 포함한다. 단계 S3b에서는, 기체 관로에 의해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를 외부 대기압에 연통시키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를 열고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를 닫음으로써,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 내의 액체가 제2 유체 관로(2)를 통해 수집용기(7)로 유입되도록 한다.
커피 머신의 관로를 세척하고 관로 내의 세척액을 배출하려는 경우에는 모드3이 선택된다. 모드3은 단계 S3c + S3a + S3b를 포함한다. 단계 S3c에서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를 닫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를 열어, 제2 유체 관로(2)를 개방시키고, 추출 유닛(3)에 세척액을 주입하며, 세척액이 제2 유체 관로(2)를 통해 배출되고, 추출 유닛(3) 및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를 세척한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의 차이로서, 도3에 도시된 커피 머신의 관로 시스템에서, 제2 유체 관로(2)의 출구단은 위쪽을 향하고, 음료 배출구(10)의 하방에는 필요에 따라 음료용기(6) 또는 수집용기(7)가 설치되며, 세척 시에는 제1 유체 관로(1) 전체를 세척할 수 있다.
커피를 추출하는 경우, 음료 배출구(10)의 하방에 음료용기(6)가 설치되고,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가 열리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가 닫히며, 추출된 커피는 제1 유체 관로(1)를 통해 음료용기(6)로 들어간다. 이때 아직 제1 유체 관로(1)에는 남은 커피가 존재한다. 제1 유체 관로(1)의 제2 부분 관로 중의 잔류된 커피를 배출하려는 경우, 호스트 제어 유닛에 의해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가 열리며, 관로에 공기가 들어가, 잔류커피가 중력을 받아 계속하여 음료용기(6)에 배출된다. 추출 유닛(3)을 세척하려는 경우, 음료 배출구(10)의 하방에 수집용기(7)가 설치되고,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가 열리고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가 닫히며, 제3 유체 관로(4)로부터 세척액이 추출 유닛(3) 내에 주입되고, 세척액은 제1 유체 관로(1)로부터 수집용기(7)로 배출된다.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의 액체를 배출하려는 경우,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를 외부의 대기압과 연통시켜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 내의 액체가 제1 유체 관로(1)를 통해 수집용기(7)로 배출되도록 한다.
실시예 2에 따른 관로 시스템 작동 방법과의 차이로서, 상술한 커피 머신의 관로 시스템 작동 방법에서는, 배출되는 액체가 커피일 경우 음료 배출구(10)의 하방에는 음료용기(6)가 배치되고, 배출되는 액체가 세척액일 경우 음료 배출구(10)의 하방에는 수집용기(7)가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1 솔레노이드 밸브(11)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제2 솔레노이드 밸브(22)만을 제어하는 것으로 사용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2와의 차이로서, 도4 및 도6에 도시된 커피 머신의 관로 시스템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삼방향 밸브(12)이다. 제2 유체 관로(2)는 일단이 삼방향 밸브(12)를 통해 제1 유체 관로(1)에 연결되고, 타단에서의 출구의 하방에 수집용기(7)가 설치된다. 삼방향 밸브(12)는 추출 유닛(3)과 음료 배출구(10) 사이에 위치된다. 삼방향 밸브(12)는 호스트 제어 유닛에 의해 통전 또는 단전하도록 제어된다. 삼방향 밸브(12)는 두 위치 삼방향의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삼방향 밸브(12)의 밸브 포트는 각각 제1 밸브 포트(121), 제2 밸브 포트(122) 및 제3 포트(123)이며, 그 중의 상시 개방 포트는 제2 밸브(122)이다. 제2 밸브 포트(122)는 제1 유체 관로(1)의 제2 부분 관로에 연결되고, 제1 밸브 포트(121)는 추출 유닛(3)의 일단에 연결되며, 제3 밸브 포트(123)는 제2 유체 관로(2)에 연결된다. 제2 유체 관로(2)의 출구단 위치는 음료 배출구(10)의 위치보다 낮게 설치되어, 관로 중의 액체가 중력에 의해 제2 유체 관로(2)의 수집용기(7) 쪽의 출구로부터 스스로 유출 가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2 유체 관로(2)는 상기 제1 유체 관로(1)의 하방에 위치하여 기압의 흐름과 관로의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 유닛(3)으로부터 음료 배출구(10)까지를 제1 통로로 정의하고, 음료 배출구(10)로부터 수집용기(7)까지를 제2 통로로 정의한다. 호스트 제어 유닛에 의해 삼방향 밸브(12)를 제어함으로써, 제1 유체 관로(1), 제2 유체 관로(2)내의 액체의 통과 가능 여부를 제어한다. 추출 유닛(3) 내의 커피 또는 다른 액체를 출력하려는 경우, 삼방향 밸브는 통전되어 상기 제1 통로를 개방시킨다. 액체를 배출하여 제1 유체 관로(1)의 제2 부분 관로를 비우려는 경우, 삼방향 밸브(12)는 단전되어 상기 제2 통로를 개방시킨다.
커피를 추출 시, 음료 배출구(10)의 하방에 음료용기(6)가 설치되고, 삼방향 밸브(12)가 통전되며, 밸브체가 하강하고, 제3 밸브 포트(123)가 닫히고, 추출된 커피는 제1 유체 관로(1)를 통해 음료용기(6)에 들어간다. 이때 제1 유체 관로(1)에는 아직 잔류된 커피가 존재하고, 비우려는 경우, 삼방향 밸브(12)가 단전되고 밸브체가 상승하며, 제1 밸브 포트(121)가 닫히고, 제1 유체 관로(1)의 제2 부분 관로 내에 남은 커피는 제2 유체 관로(2)를 통해 수집용기(7)로 유입된다. 추출 유닛(3)을 세척하려는 경우, 상기 음료 배출구(10)의 하방에 수집용기가 설치되고, 삼방향 밸브(12)가 통전되며, 세척액은 제1 유체 관로(1)로부터 수집용기로 배출된다. 기체 파이프에 의해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을 외부 대기압과 연통시키고, 제1 유체 관로(1) 내의 세척액이 계속하여 배출되며, 삼방향 밸브(12)가 단전되고, 제1 유체 관로(1) 내에 남은 세척액은 제2 유체 관로(2)로부터 수집용기(7)로 배출된다.
상기 커피 머신의 관로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S1, 커피 머신의 지시에 따라 관로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선택한다.
S2, 호스트 제어 유닛이 선택에 따라 해당 작동 모드를 작동시킨다.
S3, 삼방향 밸브(12)가, 선택된 작동 모드의 설정에 따라 제1 유체 관로(1)와 제2 유체 관로(2) 사이의 연통과 단절을 전환함으로써, 관로의 전체 또는 일부를 비우거나 또는 액체를 배제하도록 구동한다.
S4, 삼방향 밸브(12)가, 설정 시간 후에, 또는 음료 추출 기기가 다음 번 작동되 후에, 자동으로 리셋된다.
상기 작동 모드는 모드1, 모드2 및 모드3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드1에서는 제1 유체 관로(1)의 제2 부분 관로 내의 액체이다. 모드2에서는 제1 유체 관로(1) 전체로부터 액체를 배출하여 비운다. 모드3에서는 추출 유닛(3) 및 제1 유체 관로(1)의 세척 시에 세척액을 배제하고 세척 후에 세척액을 배출하여 제1 유체 관로(1)를 비운다.
제1 유체 관로(1)의 제2 부분 관로만을 비우려는 경우에는, 모드1이 선택된다. 모드1은 단계 S3a를 포함하며, 단계 S3a에서는, 삼방향 밸브(12)가 단전되어, 음료 배출구(10)로부터 제2 유체 관로(2)까지의 통로를 개방시키고 외부 대기압과 연통시키며, 잔류된 커피가 제2 유체 관로를 통해 수집용기(7)로 배출된다.
제1 유체 관로(1) 전체로부터 잔류된 커피를 배출해여 비우려는 경우, 모드2가 선택된다. 모드2는 단계 S3a + 단계 S3b를 포함한다. 단계 S3b에서는,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를 외부 대기압과 연통시키고, 삼방향 밸브(12)가 통전되어, 제1 유체 관로(1)의 제1 부분 관로 내의 액체가 제1 유체 관로(1)을 통해 음료 배출구(10)의 하방에 있는 수집용기로 유입된다.
커피 머신의 관로를 세척하고 관로 중의 세척액을 배출하려는 경우에는 모드3이 선택된다. 모드3은 단계 S3c + 단계 S3a + 단계 S3b를 포함한다. 단계 S3c에서는, 삼방향 밸브(12)가 통전되고 추출 유닛(3)에 세척액이 주입되며, 세척액은 제1 유체 관로(1)을 통해 배출되어 추출 유닛(3) 및 제1 유체 관로(1)를 세척한다.
실시예 5:
실시예 4와의 차이로서, 도5 및 도6에 도시된 커피 머신의 관로 시스템을 참조하며, 제2 유체 관로(2)의 출구단은 위쪽을 향한다. 비움 과정에서는, 제2 유체 관로(2)에 의해 제1 유체 관로(1)의 제2 부분을 대기압과 연통시키고, 잔류된 커피 또는 청정액체는 모두 음료 배출구(10)에서 배출된다. 세척 과정에서는, 제1 유체 관로(1)를 개방시키고, 세척액은 음료 배출구(10)로부터 배출된다.
설명해야 할 점이라면, 실시예2 및 실시예4 모두 에서도, 제어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관로를 대기압과 연통시키고 또한 제2 유체 관로(2)의 출구단 위치를 음료 배출구(10)의 위치보다 낮게 설치하며, 잔류된 커피가 중력에 의해 음료용기(6) 또는 수집용기(7)에 낙하한다. 도2 및 도4에서 수평 설치되는 제1 유체 관로(1)와 수직 설치되는 제2 유체 관로(2)는 모두 이상적 상태이며, 실제 기기에서는 커피나 세척액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제1 유체 관로(1) 및 제2 유체 관로(2)의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2, 4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7)는 제2 유체 관로(2)의 출구단, 즉 음료 배출구 쪽의 일단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커피 머신으로서,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된 관로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조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방법 및 사상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 뿐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해 개량 및 수식를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개량 및 수식도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해야 한다.
1: 제1 유체 관로
10: 음료 배출구
11: 제1 솔레노이드 밸브
12: 삼방향 밸브
121: 제1 밸브 포트
122: 제2 밸브 포트
123: 제3 밸브 포트
2: 제2 유체 관로
20: 고정구
21: 배출 밸브
22: 제2 솔레노이드 밸브
3: 추출 유닛
4: 제3 유체 관로
5: 밸브
6: 음료용기
7: 수집용기
a: 제1 유체 관로와 제2 유체 관로 사이의 접속점

Claims (15)

  1.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으로서, 호스트 제어 유닛, 추출 유닛 및 제1 유체 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체 관로는 일단이 상기 추출 유닛에 연결되어 음료를 추출 유닛으로부터 음료 배출구로 수송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관로 시스템은 제어 컴포넌트와 제2 유체 관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체 관로의 일단은 상기 제1 유체 관로에 연결되고, 접속점은 상기 추출 유닛과 상기 음료 배출구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유체 관로와 상기 제2 유체 관로의 연통과 단절을 제어하여 관로를 비우거나 엑체를 배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상기 호스트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2 유체 관로에 의해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제2 부분 관로를 비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중의 액체, 또는 상기 추출 유닛 및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 중의 액체를 배제하려는 경우,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상기 액체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2 유체 관로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1 유체 관로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제2 부분 관로를 비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유닛,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를 외부 대기압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어 컴포넌트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유체 관로 또는 상기 제2 유체 관로를 개방시켜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 중의 액체가 중력에 의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배출 펌프이고, 상기 배출 펌프는 상기 제2 유체 관로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양방향 밸브이고, 상기 양방향 밸브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제2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제2 유체 관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삼방향 밸브이고, 상기 삼방향 밸브는 상기 제1 유체 관로와 상기 제2 유체 관로 사이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향 밸브는 두 위치 삼방향의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그 상시 개방 포트가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출구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의 작동 방법으로서,
    음료 추출 기기의 지시에 따라 관로 시스템의 작동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S1;
    호스트 제어 유닛이 선택에 따라 해당 작동 모드를 작동시키는 단계S2;
    제어 컴포넌트가, 선택된 작동 모드의 설정에 따라 제1 유체 관로와 제2 유체 관로의 연통과 단절을 전환하여 관로의 전체 또는 일부를 비우거나 또는 액체를 배제하도록 구동하는 단계S3; 및
    상기 제어 컴포넌트가, 설정 시간 후에 또는 음료 추출 기기가 다음 번 작동된 후에, 자동으로 리셋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의 작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모드1, 모드2 및 모드3 중의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1에서는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제2 부분 관로 중의 액체를 비우며, 상기 모드2에서는 상기 제1 유체 관로 전체 중의 액체를 비우고, 상기 모드3에서는 상기 추출 유닛 및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해 세척 시의 세척액을 배제하고 세척 후에 상기 제1 유체 관로를 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의 작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1은,
    상기 제어 컴포넌트가, 음료 배출구로부터 상기 제2 유체 관로까지가 개방되도록 전환하여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제2 부분 관로를 비우는 단계S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의 작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2는 상기 모드1의 단계 S3a 후에,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를 외부 대기압과 연통시키고, 상기 제어 컴포넌트는 전환하여 상기 제1 유체 관로 또는 상기 제2 유체 관로를 개방시켜,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제1 부분 관로 중의 액체가 상기 제1 유체 관로 또는 상기 제2 유체 관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S3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의 작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3은 상기 모드1 및 상기 모드2를 기반으로, 단계 S3a 전에,
    상기 제어 컴포넌트가 전환하여 상기 제1 유체 관로 또는 상기 제2 유체 관로를 개방시키며, 추출 유닛에 세척액이 주입되고, 세척액이 상기 제1 유체 관로 또는 상기 제2 유체 관로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추출 유닛 및 상기 제1 유체 관로의 전체 또는 일부를 세척하는 단계S3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 기기의 관로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237017748A 2021-05-07 2022-02-11 음료 추출 기기 및 그 관로 시스템과 작동 방법 KR20230098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497400.8 2021-05-07
CN202110497400.8A CN115299779B (zh) 2021-05-07 2021-05-07 一种饮品冲泡设备及其管路系统和工作方法
PCT/CN2022/076107 WO2022233167A1 (zh) 2021-05-07 2022-02-11 一种饮品冲泡设备及其管路系统和工作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249A true KR20230098249A (ko) 2023-07-03

Family

ID=83853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748A KR20230098249A (ko) 2021-05-07 2022-02-11 음료 추출 기기 및 그 관로 시스템과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26819A4 (ko)
JP (1) JP2023551263A (ko)
KR (1) KR20230098249A (ko)
CN (1) CN115299779B (ko)
WO (1) WO20222331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6354A (ja) * 1992-09-16 1994-04-08 Fuji Electric Co Ltd 飲料自動販売機のレギュラーコーヒー製造装置
EP1312291A1 (de) * 2001-11-20 2003-05-21 M. Schaerer AG Kaffeemaschine
ES2336270T3 (es) * 2007-11-22 2010-04-09 Gruppo Cimbali S.P.A. Aparato de preparacion y distribucion de bebidas a partir de productos solubles.
US9107538B2 (en) * 2011-11-01 2015-08-18 Pepsico, Inc. Cold plasma sanitation for a dispensing machine
DE202011107306U1 (de) * 2011-11-02 2012-01-11 Eugster/Frismag Ag Kaffemaschine, insbesondere Espressovollautomat
EP2702908A1 (de) * 2012-08-30 2014-03-05 Jura Elektroapparate AG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von Flüssigkeit für einen Getränkeautomaten und deren Verwendung
CN204561834U (zh) * 2015-02-05 2015-08-19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冲泡饮料的装置
DE102015117891A1 (de) * 2015-10-21 2017-04-27 Miele & Cie. Kg Schmutzwasserablauf für einen Heißgetränkeautomaten
CN205162813U (zh) * 2015-11-20 2016-04-20 宁波霍科电器有限公司 一种咖啡机水路系统
DE102016200419A1 (de) * 2016-01-15 2017-07-20 BSH Hausgeräte GmbH Hydraulischer Aktuator für ein Heißgetränke-Zubereitungsgerät
DE102017206767A1 (de) * 2017-04-21 2018-10-25 Wmf Group Gmbh Milchzufuh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Zuführen von Milch
CN108478012A (zh) * 2018-02-24 2018-09-04 东莞市天照饮品有限公司 一种冷热饮机及冷热饮制作方法
DE102018204685B4 (de) * 2018-03-27 2022-02-24 BSH Hausgeräte GmbH Heiß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CN210871092U (zh) * 2019-08-22 2020-06-30 深圳市西啡科技有限公司 一种胶囊咖啡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26819A1 (en) 2023-08-16
EP4226819A4 (en) 2024-05-22
JP2023551263A (ja) 2023-12-07
WO2022233167A1 (zh) 2022-11-10
CN115299779B (zh) 2024-05-31
CN115299779A (zh)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725B1 (ko) 음료 생성 기계를 위한 배수
US10806295B2 (en) Descaling hot-beverage producing machines
JP4922655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
US20130032036A1 (en) Nespresso
DK3345518T3 (en) CLEANING SYSTEM
CN101301166A (zh) 全自动泡茶桌
CN105433794B (zh) 多功能智能型饮水茶艺机及其泡茶工艺
CN208610615U (zh) 一种内置旋转接水台的泡茶机
KR20120121915A (ko) 가열 탱크로의 자동화된 물 전달을 통한 음료 제조용 장치 및 방법
CN107205580B (zh) 饮料供应装置
US20240148171A1 (en) Beverage brewing pot
JP2015039523A (ja) ミルク供給経路の自動洗浄性を高めたコーヒーマシン
CN210871092U (zh) 一种胶囊咖啡机
KR100796017B1 (ko) 에스프레소 커피추출 방법
KR20230098249A (ko) 음료 추출 기기 및 그 관로 시스템과 작동 방법
CN108697261B (zh) 用于连接自来水的饮品制备机以及自来水套件
CN210697232U (zh) 奶茶机
JP3188984B2 (ja) コーヒーの自動抽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3876801B1 (en) Autonomous rapid batch beverage maker, system and method
EP3796818A1 (en) Device for containing and preserving beverages and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comprising such device
JP2010082046A (ja) 飲料供給装置
CN215959395U (zh) 一种煮茶装置
CN216534931U (zh) 一种咖啡机饮品制作水路系统、咖啡机
CN209153192U (zh) 一种热饮现场制作设备
CN117500414A (zh) 饮料制备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