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723A -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723A
KR20230097723A KR1020210187491A KR20210187491A KR20230097723A KR 20230097723 A KR20230097723 A KR 20230097723A KR 1020210187491 A KR1020210187491 A KR 1020210187491A KR 20210187491 A KR20210187491 A KR 20210187491A KR 20230097723 A KR20230097723 A KR 20230097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otating body
beverage container
central ho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원희
설순욱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87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7723A/ko
Publication of KR20230097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having non-detachable members o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8Non-removable lids or covers pivoted for movement in plane of container mou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본체, 덮개, 마개 및 회전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원통형상을 지니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다. 덮개는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밀폐한다. 마개는 덮개 중 일부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절개되어 개방구를 형성한다. 회전체는 덮개의 중심에 중심공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당김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중심공을 중심으로 당김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가압부가 마개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한다. 그리고, 회전체는 중심공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방구를 폐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용기{BEVERAGE CAN}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은 힘으로도 쉽게 개봉할 수 있고, 개봉한 후에도 다시 닫아 보관할 수 있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는 그 본연의 맛을 유지하기 위해 밀폐된 용기에 보관한다. 음료 용기로는 플라스틱 병, 유리 병, 알루미늄 캔 과 같은 형태가 널리 실시되고 있다.
소량의 음료를 보관하는 형태로서 알루미늄 캔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알루미늄 캔은 밀폐력이 좋고 보관도 용이 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알루미늄 캔의 경우 마개를 개봉하기 위해 지렛대 원리가 적용된 팁을 손가락으로 당겨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손톱이 깨지거나, 손을 다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한번 개봉한 캔은 다시 닫을 수 없기에, 개봉된 캔은 그 내용물을 빠르게 마셔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음료가 넘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91520호(이하, '관련기술 1'이라 함.)는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를 개시한다.
관련기술 1은 음료수용 캔 뚜껑의 음료 토출구를 개봉한 후에도 다시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음료수용 캔 뚜껑의 구조를 개시한다.
하지만, 관련기술 1의 캔 뚜껑 구조는 제작이 어렵고, 내구성도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음료 토출구를 개방한 후 캔의 상부로 돌출되는 당김부의 부피가 커서, 음료수를 마시는데도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제안이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음료 캔의 개봉이 쉽지 않고, 손톱 파손의 위험도 있었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한번 개봉한 음료 캔을 다시 닫아 보관할 수 없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음료 캔의 상면에 점자를 표기할 충분한 공간이 부족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본체, 덮개, 마개 및 회전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원통형상을 지니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다. 덮개는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밀폐한다. 마개는 덮개 중 일부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절개되어 개방구를 형성한다. 회전체는 덮개의 중심에 중심공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당김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중심공을 중심으로 당김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가압부가 마개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한다. 그리고, 회전체는 중심공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방구를 폐쇄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서 회전체는 중심공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장공인 절개부 및 중심공을 중심으로 반원형태로 형성되는 당김부의 상면에 편평하게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절개부는 중심공을 기준으로 상기 당김부가 형성된 방향에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서 표시부에는 점자가 양각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서 회전체는 중심공으로부터 가압부의 끝단과의 거리가, 중심공으로부터 당김부 끝단과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서 덮개는 외측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하고, 회전체는 당김부의 외측둘레가 상부로 돌출되며, 당김부는 상기 걸림턱의 내측에 억지끼움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힘으로도 음료 용기의 마개를 쉽게 개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 개봉한 음료 용기도 다시 닫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 용기의 상면에 점자 표기를 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서 덮개의 결합돌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서 회전체를 이용해 마개가 개방되는 상태 및 개방된 개방구를 회전체를 통해 다시 닫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절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본체(100), 덮개(200) 및 회전체(3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원형의 바닥면(120)과 바닥면(120)의 외측둘레를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측벽(110)으로 이루어진다.
바닥면(120)은 음료 용기 내부의 압력에 저항하기 위해 중심부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면(120)의 외측둘레를 따라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적재하기 용이하게 한다.
덮개(200)는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된다. 덮개(200)의 외측둘레는 본체(100)의 상단과 심용접(seam welding)될 수 있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적절한 가공법으로 본체(100)와 덮개(200)가 결합될 수 있다.
덮개(200)는 얇은 원판으로 이루어지고, 테두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밀봉되며, 적어도 덮개(200)의 일부분에는 마개(230)가 가공된다. 마개(230)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미리 정해진 형상대로 절개되어 개방구(220)를 형성한다. 개방구(220)를 통해 음료가 용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200)의 외측둘레 중 일부는 윗쪽으로 돌출된 걸림턱(210)을 형성한다. 걸림턱(2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쌓는 경우에 본체(100) 바닥면(120)에 형성된 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을 지녀 적재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걸림턱(210)은 후술할 회전체(300)의 외곽에 형성되는 당김부(310)와 그 돌출된 형상이 연결될 수 있으며, 걸림턱(210) 내측에 회전체(300)의 당김부(310)가 억지끼움 될 수도 있다.
덮개(200)에는 회전체(300)가 결합된다. 회전체(300)는 원판 형상의 덮개(200) 중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체(300)의 부채꼴 형상에서 원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중심공(3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덮개(200)의 중심공(320)과 대응되는 위치로서 덮개(200)의 중심부에도 결합공(24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240) 및 중심공(320)을 통과하는 결합핀(400)을 통해 덮개(200)와 회전체(3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체(300)는 결합핀(400)에 결속된 중심공(3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체(300)는 중심공(320)을 기준으로 중심공(320)의 일측에는 가압부(330)가 형성된다. 가압부(330)는 당김부(310)와 반대편에 형성되고, 당김부(310)의 끝단과 중심공(320)의 길이보다 가압부(330)의 끝단과 중심공(320)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중심공(32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는 절개부(322)가 형성된다. 절개부(322)는 가압부(330)와 맞은편으로서 중심공(320)과 인접하게 구비되고, 이는 사용자가 당김부(310)를 위로 당겨 올릴 경우에 가압부(330)는 덮개(200)의 마개(230)를 향해 하강하지만, 중심공(320) 및 결합공(240)을 통과해 덮개(200) 및 회전체(300)를 결속하고 있는 결합핀(400)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절개부(322)는 중심공(320)과 인접하게 형성되고, 중심공(320)을 원점으로 하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절개부(322)는 중심공(320)을 기준으로 당김부(310)가 형성된 방향에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체(300)의 상면에는 점자가 돌출될 수 있는 표시면(312)이 구비된다. 표시면(312)은 편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점자가 양각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부(310)는 그 외측둘레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다. 당김부(310)의 외곽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은 덮개(200)의 걸림턱(210)과 연결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적층하여 쌓을 경우에 바닥면(120)의 아래로 돌출된 부분이 걸림턱(210) 및 당김부(31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330)는 마개(230)의 상부에 배치되고, 중심공(320)을 기준으로 가압부(330)의 반대편에 절개부(322)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당김부(310)의 외곽을 잡고 들어 올리면 가압부(330)는 중심공(320)을 받침점으로 한 지레의 원리를 통해 마개(230)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서 덮개(200)의 결합돌기(250)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서 덮개(200)는 결합돌기(250)를 포함한다. 결합돌기(250)는 덮개(200)의 중심부를 상부로 늘려서 성형한 후, 상부로 늘어난 부분을 양 옆으로 늘려서 형성한다.
즉, 덮개(200)에 구멍을 내지 않고, 덮개(200)의 중심부를 상부로 늘려서 회전체(300)의 중심공(320)과 결합된다. 결합돌기(250)는 중심공(320)을 통과하는 축부(254)와 중심공(320)의 상부에서 회전체(300)가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고정부(25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돌기(250)는 덮개(200)에 구멍을 내지 않아 밀폐력을 높이고, 자재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서 회전체(300)를 이용해 마개(230)가 개방되는 상태 및 개방된 개방구(220)를 회전체(300)를 통해 다시 닫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료 용기는 사용자가 회전체(300)의 당김부(310)를 위로 들어올림으로써 마개(230)를 개방해 개방구(220)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300)를 회전체(300)의 중심공(320)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한 후, 당김부(310)가 걸림턱(210)의 안쪽에 억지끼움 되도록 누르면 회전체(300)가 개방구(220)를 닫아 음료를 쏟아지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진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개시되는 내용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들까지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본체 110: 측벽
120: 바닥면 200: 덮개
210: 걸림턱 220: 개방구
230: 마개 240: 결합공
250: 결합돌기 252: 고정부
254: 축부 300: 회전체
310: 당김부 312: 표시면
320: 중심공 322: 절개부
330: 가압부 400: 결합핀

Claims (5)

  1. 원통형상을 지니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덮개;
    상기 덮개 중 일부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절개되어 개방구를 형성하는 마개; 및
    상기 덮개의 중심에 중심공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당김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중심공을 중심으로 당김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가압부가 상기 마개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중심공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방구를 폐쇄하는,
    음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중심공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장공인 절개부; 및
    상기 중심공을 중심으로 상기 반원형태로 형성되는 당김부의 상면에 편평하게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중심공을 기준으로 상기 당김부가 형성된 방향에 구비되는,
    음료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면에는 점자가 양각되는,
    음료 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중심공으로부터 상기 가압부의 끝단과의 거리가, 상기 중심공으로부터 상기 당김부 끝단과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음료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외측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당김부의 외측둘레가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당김부는 상기 걸림턱의 내측에 억지끼움되는,
    음료 용기.
KR1020210187491A 2021-12-24 2021-12-24 음료 용기 KR20230097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491A KR20230097723A (ko) 2021-12-24 2021-12-24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491A KR20230097723A (ko) 2021-12-24 2021-12-24 음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723A true KR20230097723A (ko) 2023-07-03

Family

ID=8715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491A KR20230097723A (ko) 2021-12-24 2021-12-24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77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273B1 (ko) 용기 뚜껑
KR101214055B1 (ko) 용기의 덮개
US5535908A (en) Receptacle combination for milk powder
US5273176A (en) Reclosable cover for a beverage can
US6588617B1 (en) Rotative closure for beverage containers
US3957179A (en) Bulk material container with pouring spout
MX2012011534A (es) Dispositivo de cierre de envase y envase teniendo semejante dispositivo de cierre de envase.
JP2006510553A (ja) 特に飲料缶における、再び閉じることのできる蓋
US3520464A (en) Lift and pull ring container
US201402379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of containers
CN108945774A (zh) 密闭容器
JP6865414B2 (ja) 包装用容器
KR20230097723A (ko) 음료 용기
US8727164B1 (en) Gas release resealable tab mechanism for a beverage container
US9938051B2 (en) Cover for an opening in a container
US20190283925A1 (en) Resealable beverage can lid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EA011000B1 (ru) Повторно закрываемый сливной элемент для комбинированных картонно-пластиковых упаковок
US10597192B2 (en) Resealable beverage can lid
KR200218672Y1 (ko)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KR100329127B1 (ko)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JP2006522721A (ja) 缶その他の容器の蓋開閉の為のワイヤー・オープナー
KR102237905B1 (ko) 개방이 용이한 음료 캔
KR200187668Y1 (ko) 포장용 깡통
KR20070103597A (ko)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