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127B1 -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 Google Patents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127B1
KR100329127B1 KR1020000067226A KR20000067226A KR100329127B1 KR 100329127 B1 KR100329127 B1 KR 100329127B1 KR 1020000067226 A KR1020000067226 A KR 1020000067226A KR 20000067226 A KR20000067226 A KR 20000067226A KR 100329127 B1 KR100329127 B1 KR 100329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lid
stopper
ope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144A (ko
Inventor
윤칠석
정재준
Original Assignee
윤칠석
(주)라이브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칠석, (주)라이브맥스 filed Critical 윤칠석
Priority to KR1020000067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12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144A/ko
Priority to EP01308082A priority patent/EP1190952A3/en
Priority to GB0122986A priority patent/GB23799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4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 B65D2517/0041Reclosable openings by means of an additional element in the form of a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72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 B65D2517/5075Hand grip with finger opening
    • B65D2517/5081Hand grip with finger opening the hand grip formed as an annular or U-shaped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알루미늄 혹은 스틸소재로 된 음료수 혹은 맥주 캔의 개봉 후 남은 내용물의 보관이 가능하고 쏟음을 방지 할 수 있는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캔뚜껑 및 마개용 탭의 형성구조를 개량하여 보다 단순한 구조를 갖고 사용상 보다 안전구조를 갖도록 하며, 캔뚜껑체에 형성된 개봉구를 마개용 탭이 밀봉함에 있어 보다 완전하게 하면서 위생적인 구조를 제공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는데, 개봉부(150)가 형성된 캔뚜껑체(100), 따개용 탭(210), 마개용 탭(220)와 리벳(RIVET)(300)로 구성되는 캔뚜껑에 있어서, 따개용 탭(210)과 상부가 막힌 얇은 원통상의 마개용 탭(220)이 서로 대향하여 연결되어 탭부(200)를 형성하고, 캔뚜껑체(100)의 표면에 원추형으로 돌출된 3개의 탭받침돌기(110, 120, 120')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된 개봉부(150)의 가장자리가 캔뚜껑체(100)의 다른 부분보다 약간돌출되어 형성된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BEVERAGE CAN LID PROVIDED WITH RECLOUSABLE TAB}
본 발명은 알루미늄 혹은 스틸소재로 된 음료수 혹은 맥주 캔의 개봉 후 남은 내용물의 보관이 가능하고 쏟음을 방지 할 수 있는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맥주 등의 주류 및 각종 음료수 캔은 보관과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우리는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실제로 캔에 들어있는 각종 내용물의 양도 인종, 지역의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데, 근래에 있어 개인별 식습관에 따라서 캔의 용량이 점차로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실제로 캔을 개봉하여 마실 경우 단 한번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모두 마시는 경우는 드물며, 남아있는 것을 여러 번에 걸쳐서 나누어 마시거나, 일시적으로 보관할 필요성도 존재하여 왔으며, 캔을 개봉 후 엎질러져서 낭패를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캔 뚜껑에 형성된 뚜껑판을 따는 경우 탭이 캔의 뚜껑에 밀착되어 있어 캔을 따기에 불편하였고 무리하게 탭에 힘을 가하다가 손톱부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현재 캔 뚜껑을 여는 방법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OT방식(stay on Tab)의 문제점인 캔뚜껑의 상부면과 탭의 사이간격을0.82∼1.05mm에서 1.52mm∼1.95mm로 늘림으로써 안전하게 뚜껑을 열 수 있는 방법 혹은 내용물을 다른 사람과 손쉽게 나누어 마실 수 있는 음료수 캔에 끼워지는 위생컵(한국실용실안 96-29543호)등의 발명이 소개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에 선공지된 다수의 발명이 있다.
즉 1992년 한국실용신안공고 제1142호는 캔용기의 개봉부의 반대편 아래쪽으로 합성수지재로 된 마개를 탭에 부착하여 180°회전한 후 다시 손가락으로 눌러 개봉부를 밀봉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미국특허번호 제5779087호(1998년)와 유사하게 개봉부를 막도록 하는 것으로 개봉부의 테두리와 마개의 테두리가 서로 맞물려서 캔의 안쪽으로 들어가므로 재개봉시 손톱을 다칠 우려가 있으며, 1992년 한국실용신안공고 제182058호는 개봉부의 반태편 위쪽으로 마개를 부착하고 있는데 마개가 부착된 몸체를 180°뒤집어 꺽은 후 눌러서 개봉부를 막도록 하는데 이것은 탭이 완전히 꺽이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미국특허번호 제5,779,087호(1998년)에서는 금속재 마개용 탭(metal opening tab )밑에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plastic) 소재로 된 충분한 크기의 마개용 탭(closing tab)과 이에 연결된 따개용 스트립탭(tab-opening strip)을 함께 장착하였는데(co-mounting), 사용 시 180도 회전하여 마개용 탭으로 개봉부가 막아지도록 발명하였다. 이 발명에서는 캔의 재활용 시 성질이 다른 이물질인 플라스틱 소재를 따로 분리하여야 하기에 자원재활용상 문제가 있고, 180°회전 후 따개용탭(closing tab)을 밑으로 눌러서 완전히 구멍이 막히도록 함에 있어 캔의 본체 뚜껑과 마개용 탭(closing tab)의 모서리가 서로 아래쪽으로 맞물려서 들어가므로 재개봉(reopening)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번호 제5,785,199호(1998)에서는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써 따개 및 마개용 프로텍터(opening and closing protector)를 발명하였으나, 만들기가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미국특허번호 제5,452,818호(1995)에서는 캔 밑부분에 컵(cup)을 부착하여 이 컵으로 개봉부를 닫는데(closing)에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캔(can)의 적재성(積載性, stackability) 및 운반에 문제점이 있으며, 미국특허 번호 제5,351,853호(1994)에서는 따로 'L'자형이 마개용 탭(closing tab)을 별도로 만들어 따개용 탭(opening tab) 밑에 끼워서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미국특허번호 제5,108,003호(1992)에서는 캔 뚜껑판의 저면에 마개를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발명하였으나 실제 사용이 불편하다. 또한 미국특허번호 제4,887,712호(1989), 미국특허번호 제4,842,159호(1989), 미국특허번호 제4,979,635호(1990), 미국특허번호 제4,834,258호(1989)등에서는 따개용 탭(opening tab)과 함께 마개용 탭(closing tab)을 부착한 후 이것을 회전시켜서 구멍이 막히도록 발명하였으나, 마개용 탭(closing tab)과 구멍이 밀착되도록 도와주는 기능이 없으므로, 타이트한 밀봉(tighted sealing)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살펴본 종래의 캔뚜껑 및 마개용 탭의 형성구조에 있어서 주요 문제점으로서는 ①제조시 노력과 비용이 많이 들고 ②현존하는 생산라인의 교체가 요구되고 ③캔 개봉부의 밀봉(closure)이 불완전 하며 또한 그 사용이 불편하고 ④캔의 마개용 탭(closing tab)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위생상 문제가 있고 ⑤캔의 전체적 형상이 변형되어 캔의 보관, 운송 및 적재공간의 비효율성, 즉 적재성(stacking)에 문제가 있다는 점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이 창안된 것인데 본 발명의 목적은 캔뚜껑 및 마개용 탭의 형성구조를 개량하여 보다 단순한 구조를 갖고 사용상 보다 안전구조를 갖도록 하며, 캔뚜껑체에 형성된 개봉부를 마개용 탭이 밀봉함에 있어 보다 완전하게 하면서 위생적인 구조를 제공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의 상부측 부분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의 상부측 분해사시도
도 3 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탭부의 초기상태 평면도
도 3 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탭부를 회전한 상태의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탭부의 초기상태의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캔이 따진후 마개용 탭으로 개봉부를 덮은 상태에서의 단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있어서 탭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캔뚜껑체 200 : 탭부 300 : 리벳
110, 120,120' : 탭받침돌기 140 : 리벳조립구
150 : 개봉부 151 : 개구벽 210 : 따개용 탭
220 : 마개용 탭 221 : 회전용 손잡이 222 : 둥근측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의 형성구조에 대하여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의 상부측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의 상부측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탭부의 초기상태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탭부를 회전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탭부의 초기상태의 단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캔이 따진후 마개용 탭으로 개봉부를 덮은 상태에서의 단면사시도이다.마지막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탭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의 형성구조를 갖는 캔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의 상부측에 캔뚜껑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캔뚜껑은 캔뚜껑체(100)와 탭부(200)와 리벳(RIVET, 300)로 구성되는데, 상기 캔뚜껑체(100)의 상부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외부로 돌출형성시킨 3개의 탭받침돌기(110, 120,120')와 리벳이 조립되는 구멍인 리벳조립구(140) 그리고 개봉되어 캔의 내용물을 쏟아내도록 하는 개봉부(150)가 원통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탭받침돌기(110, 120,120')와 개봉부(15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조립구(14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3개의 탭받침돌기(110, 120,120')는 캔뚜껑체(100)을 프레스가공하여 원추형으로 돌출시킨 것으로,탭받침돌기중 하나(110)은 다른 두 개의 받침돌기(120,120')보다 높게 돌출형성하여 후술하는 탭부(200)의 마개용 탭(220)을 받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며, 상기 개봉부(150)는 개구된 단면이 원(圓)형이며, 그 가장자리가 캔뚜껑체(100)에서 약간 들려올려져 형성되는 원통상의 개구벽(151)이 구성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구벽(151)의 상단측의 외측은 약간 둥글게되어 전체적으로 링상을 이루어 형성된다.(도 4 및 도 5 참조). 그리고 마개용 탭(220)의 상부면은 모양과 크기가 적절한 두께의 테트라팩 등의 종이 재질 및 실리콘 코팅된 알미늄 혹은 캔과 동일한 소재(알루미늄 등)로된 판상체로서 부착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탭받침돌기중 하나(110)의 높이는 1.5mm∼2mm정도, 다른 두 개의 받침돌기(120, 120')의 높이는 1mm∼1.5mm 정도로 목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돌출 시킨다.
상기 탭부(2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따개용 탭(210)과 마개용 탭(220)이 상호 대향하여 연결하여 형성되는데 따개용 탭(210)은 그 구조가 공지의 것과 다름이 없으나 마개용 탭(220)은 상부면이 막힌 얇은 원통상구조를 취하는데 마개용 탭(220)의 측면은 '⊂'자 형태로 둥글게 절곡 된 부분과 편평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자 형태로 둥글게 절곡된 부분을 둥근측면(222)이라고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기로 하며, 둥근측면(222)이 아닌 측면 즉 편평한 측면은 마개용 탭(220)의 회전진행 방향 쪽으로 형성하고 그 외 나머지 부분은 둥근측면(222)을 형성한다(도 6 참조). 마개용 탭(220)의 둥근측면(222)은 도 5 의 부분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부(150)를 형성하는 개구벽(151)과 치합되어 마개용 탭(220)이 개봉부(150)를 닫을 때 그 밀패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6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마개용 탭(220)의 측면의 전체를 둥근측면(222)으로 형성하지 않음은 마개용 탭(220)이 개봉부(150)를 닫거나 벗겨질 때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 원통의 모양과 직경은 상기 캔뚜껑체(100)에 형성된 개봉부(150)의 모양과 직경보다 약간더 큰 길이를 하며, 그 원통상의 높이는 실제 사용시 개봉부(150)를 막았을 때 캔뚜껑체(100)의 상부면에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용 탭(220)의 상부면 단부측 가장자리에 탭부(200)의 회전을 도울 수 있는 돌출부로써 높이는 1mm∼2mm정도인 회전용 손잡이(221)가 형성된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상기의 뚜껑체(100)와 탭부(200)는 리벳(300)으로 조립되면 도 1과 같아 캔을 사용하기 전상태에서는 탭부(200)의 따개용 탭(210)은 뚜껑체(100)의 개봉부(150)의 상부면위에 놓여지고, 마개용 탭(220)은 뚜껑체(100)의 3개의 탭받침돌기(110, 120,120')의 상단위에 놓여진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 본 발명의 뚜껑체(100)와 탭부(200)는 종래의 방법과 같이 캔 뚜껑 따개용 탭(210)를 사용하여 개봉부(150) 구멍을 딴 후 내용물을 마시고, 다시 개봉부(150)을 폐쇄하고 싶으면 탭부(200)의 회전용 손잡이(221)를 사용하여 회전용 축인 리벳(300)을 중심으로 180°회전시키면 따여진 개봉부(150)를 마개용 탭(220)으로 폐쇄되게 할수 있게 된다. 이때 세곳에 다른 높이로 형성된 3개의탭받침돌기(110, 120,120')는 따개용 탭(210)을 위로 들어주는 지렛대 역할을 하므로써 캔 뚜껑 마개용 탭(220)이 개봉부(150)의 개구(開口)에 밀착하여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단단히 눌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개봉부(150)의 및 마개용 탭(220)의 얇은 원통상 가장자리 둘레는 서로 대향하여 둥글게 맞물려 있으므로 개봉부(150)의 재개봉(reopening)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도 5의 부분확대 단면도 참조)
그리고 상기 캔뚜껑의 개봉부(150)의 개구벽(151) 과 마개용 탭(220)의 둥근측면(222)이 서로 반대되도록 둥글게 절곡하여, 그림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용캡(220)이 개봉부(150)를 닫게 될 때 개봉부(150)의 막힘이 완전하고, 또한 도6에 도시 된 것처럼 마개용 탭(220)의 편평한 측면은 회전진행 방향 쪽으로 형성하고 그 외 나머지 부분은 둥근측면(222)을 형성하여 마개용 탭(220)의 이동을용이하게 하여 개봉부(150)의 재개봉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캔뚜껑 따개용 탭(210)과 마개용 탭(220)이 함께 형성된 캔 뚜껑 마개용 탭(220)의 상부면에 적당한 높이의 회전도움용 돌출부인 회전용손잡이(221)를 형성시켜서 탭부(20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캔 뚜껑체(100)에서 따여지는 구멍인 개봉부(150)의 주위는 캔 뚜껑 바닥과는 약 1mm 정도의 높이로 돌출하여 형성시켰다.
실제사용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마개용 탭(220)부분이 위로 젖혀지면서 따개용 탭(210)이 뚜껑체(100)의 개봉부(150)의 원형 안쪽으로 약간 잘라놓은 캔뚜껑체(100)의 일부 즉 개봉부(150)의 상부면을 눌러 따게 되는데, 본 발명의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용 탭(220)의 아래쪽 캔뚜껑체(100)에 형성된 탭받침돌기(110, 120,120')로 인하여 마개용 탭(220)과 캔뚜껑체(100)의 평탄면과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2mm이상)이 확보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캔을 딸 때 손톱 등의 부상 염려 없이 쉽게 캔을 딸 수가 있다. 그후 다시 캔의 개봉부(150)를 폐쇄하고 싶으면 마개용 탭(220)의 회전용 손잡이(221)부분을 손톱(손끝)으로 돌려 탭부(200)를 180°회전시켜 마개용 탭(220)을 반대쪽의 따여진 개봉부(150)과 일치시키면 된다. 이때 탭받침돌기(110, 120,120')과 리벳(300)은 함께 어울려 따개용 탭(210)의 부분을 위쪽으로 밀어주는 지렛대의 역할을 수행하므로써 마개용 탭(220)와 따여진 개봉부(150)의 밀착을 돕게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 탭부(200)의 마개용 탭(220)의 개방된 저면을 비닐지나 은박지로서 포장 밀봉한 상태로 하여 제작하면 마개용 탭(220)이 보다 위생적인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도시 생략)
이 마개용 탭(220)의 저면을 밀봉한 비닐지 등은 캔의 내용물을 일부 먹고 일시 보관하기 위하여 개봉부(150)를 덮고자 할 때 비닐지등을 손으로 떼어내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의 구조는 그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마개용 탭이 형성되므로 그 제작이 용이하여 경제적이며, 그 제작공정도 기존의 공정을 변경하지 않고 제작할 수 있으며, 특히 캔을 딸 때 손톱등에 부상염려가 전혀 없을 뿐아니라 개봉부의 개패가 극히 용이하므로 매우편리하며, 종래의 마개용 탭을 갖는 캔뚜껑의 경우와 달리 본 발명의 캔뚜껑구조는 기존 캔의 형상과 크게 다름이 없기에 그 적재성에 지장이 없고 개봉부를 닫는 마개용 탭의 밀폐성이 극히 우수한 캔뚜껑 구조를 갖는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마개용 탭은 생산과정에서 그 개방된 저면이 비닐이나 은박지로서 밀봉하여 생산하도록 하므로 그 만큼 위생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상부면이 눌러지면 따여져 개구되는 개봉부가 형성된 캔뚜껑체, 따개용 탭이 마개용 탭이 일체로 연결된 탭부 및 리벳(RIVET)로 구성되며 마개용탭이 원통상으로 되어 개봉부를 막을 수 있도록 된 캔뚜껑에 있어서, 마개용 탭(220)의 측면은 '⊂'자 형태로 둥글게 절곡 된 둥근측면(222)부분과 편평한 부분으로 구성되고, 편평한 측면은 마개용 탭(220)의 회전진행 방향 쪽으로 형성하고 그 외 나머지 부분은 둥근측면(222)이 형성되고, 캔뚜껑체(100)의 표면에 원추형으로 돌출된 3개의 탭받침돌기(110, 120, 120')가 형성되고, 개봉부(150)는 상부측 외측이 둥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링상을 이루는 원통상으로 된 개구벽(151)이 구성되어 캔뚜껑체(100)의 다른 부분보다 약간융기되어 형성된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마개용 탭(220)의 상부면 일측 가장자리에 돌기되어 회전용손잡이(221)가 형성된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마개용 탭(220)의 개방된 저면을 비닐지나 은박지로서 포장 밀봉한 상태로 제작한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3개의 탭받침돌기(110, 120, 120') 중 하나(110)은 다른 두 개의 탭받침돌기(120, 120')보다 높이가 약간더 높게 형성한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KR1020000067226A 2000-09-25 2000-11-13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KR100329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226A KR100329127B1 (ko) 2000-09-25 2000-11-13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EP01308082A EP1190952A3 (en) 2000-09-25 2001-09-24 Can having can end wall provided with reclosing tab
GB0122986A GB2379917A (en) 2000-09-25 2001-09-25 A Reclosable Tab for Beverage C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238 2000-09-25
KR20000056238 2000-09-25
KR1020000067226A KR100329127B1 (ko) 2000-09-25 2000-11-13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144A KR20010016144A (ko) 2001-03-05
KR100329127B1 true KR100329127B1 (ko) 2002-03-21

Family

ID=2663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226A KR100329127B1 (ko) 2000-09-25 2000-11-13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29127B1 (ko)
GB (1) GB23799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02838B1 (de) 2010-07-19 2013-12-25 Red Bull GmbH Dichtungskonstruktion, insbesondere für wiederverschließbaren Gebindedeckel, wiederverschließbarer Gebindedeckel, enthaltend diese Dichtungskonstruktion, sowie Gebinde, enthaltend diesen Gebindedeckel
EP2557050B1 (de) 2011-08-10 2015-10-14 Red Bull GmbH Gebindedeckel und Gebinde, insbesondere Getränkedose, enthaltend diesen Gebindedeckel
DE102019004542A1 (de) 2019-06-24 2020-12-24 Gert Löwe Dosendeckel mit einer dicht wiederverschließbaren Trinköffnung
RU206870U1 (ru) * 2021-03-19 2021-09-30 Беслан Шудиевич Дадакаев Крышка дл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банок с открывающимся и закрывающимся отверстие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3866A (en) * 1983-03-11 1984-08-07 George Mandel Contamination protection member for opening and resealing device
US4880137A (en) * 1988-06-15 1989-11-14 Wells Robert A Reclosable self-opening can end
AU4041393A (en) * 1993-04-21 1994-11-08 Interlander Patermann, S.L. Tearable lid for opening of metal cans, reusable for the closing thereof
WO1998054058A1 (en) * 1997-05-29 1998-12-03 Maria Federica Bondesani Pull-open closure for lids of cans of dri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79917A (en) 2003-03-26
GB0122986D0 (en) 2001-11-14
KR20010016144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490B2 (en) Lid
US7484638B2 (en) Plastic drink-through cup lid with fold-back tab
US8864015B2 (en) Cup with integral closure flaps
US4210256A (en) Pour spout lid
US3952914A (en) Re-sealable container lid
US4609123A (en) Beverage can with sanitary reclosable lid
US20030218017A1 (en) Drink-through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RO120833B1 (ro) Recipient de formă conică şi capac
US5346088A (en) Reusable beverage can cap
KR100329127B1 (ko)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US4592483A (en) Container and separate co-operating lid
KR200218672Y1 (ko)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US20050051552A1 (en) Self-closing lid for beverage cups and the like
US7124909B1 (en) Hinged lid container
KR100302638B1 (ko) 오픈기능성 및 위생성이 개선된 캔 개봉수단을 가지는 캔뚜껑
KR20220128804A (ko) 종이뚜껑의 제조방법
EP1190952A2 (en) Can having can end wall provided with reclosing tab
JP2003512255A (ja) 再シール可能な飲料缶
WO2002092451A1 (en) Lid
JPS5933817Y2 (ja) 包装容器
KR200182113Y1 (ko) 빨대를 내장한 캔의 구조
JPH0624355Y2 (ja) 容器蓋
KR200174367Y1 (ko) 음료수 용기의 개방손잡이
KR200292047Y1 (ko) 마개를 구비한 캔
KR100320633B1 (ko)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