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672Y1 -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 Google Patents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672Y1
KR200218672Y1 KR2020000031703U KR20000031703U KR200218672Y1 KR 200218672 Y1 KR200218672 Y1 KR 200218672Y1 KR 2020000031703 U KR2020000031703 U KR 2020000031703U KR 20000031703 U KR20000031703 U KR 20000031703U KR 200218672 Y1 KR200218672 Y1 KR 200218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lid
stopper
opening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칠석
정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라이브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라이브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라이브맥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67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알루미늄 혹은 스틸소재로 된 음료수 혹은 맥주 캔의 개봉 후 남은 내용물의 보관이 가능하고 쏟음을 방지 할 수 있는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캔뚜껑 및 마개용 탭의 형성구조를 개량하여 보다 단순한 구조를 갖고 사용상 보다 안전구조를 갖도록 하며, 캔뚜껑체에 형성된 개봉구를 마개용 탭이 밀봉함에 있어 보다 완전하게 하면서 위생적인 구조를 제공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는데, 개봉부(150)가 형성된 캔뚜껑체(100), 따개용 탭(210), 마개용 탭(220)와 리벳(RIVET)(300)로 구성되는 캔뚜껑에 있어서, 따개용 탭(210)과 상부가 막힌 얇은 원통상의 마개용 탭(220)이 서로 대향하여 연결되어 탭부(200)를 형성하고, 캔뚜껑체(100)의 표면에 원추형으로 돌출된 3개의 탭받침돌기(110, 120, 120')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된 개봉부(150)의 가장자리가 캔뚜껑체(100)의 다른 부분보다 약간돌출되어 형성된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BEVERAGE CAN LID PROVIDED WITH RECLOUSABLE TAB}
본 고안은 알루미늄 혹은 스틸소재로 된 음료수 혹은 맥주 캔의 개봉 후 남은 내용물의 보관이 가능하고 쏟음을 방지 할 수 있는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맥주 등의 주류 및 각종 음료수 캔은 보관과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우리는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실제로 캔에 들어있는 각종 내용물의 양도 인종, 지역의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데, 근래에 있어 개인별 식습관에 따라서 캔의 용량이 점차로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실제로 캔을 개봉하여 마실 경우 단 한번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모두 마시는 경우는 드물며, 남아있는 것을 여러 번에 걸쳐서 나누어 마시거나, 일시적으로 보관할 필요성도 존재하여 왔으며, 캔을 개봉 후 엎질러져서 낭패를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캔 뚜껑에 형성된 뚜껑판을 따는 경우 탭이 캔의 뚜껑에 밀착되어 있어 캔을 따기에 불편하였고 무리하게 탭에 힘을 가하다가 손톱부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현재 캔 뚜껑을 여는 방법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OT방식(stay on Tab)의 문제점인 캔뚜껑의 상부면과 탭의 사이간격을0.82∼1.05mm에서 1.52mm∼1.95mm로 늘림으로써 안전하게 뚜껑을 열 수 있는 방법 혹은 내용물을 다른 사람과 손쉽게 나누어 마실 수 있는 음료수 캔에 끼워지는 위생컵(한국실용실안 96-29543호)등의 고안이 소개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에 선공지된 다수의 발명이 있다.
즉 1992년 한국실용신안공고 제1142호는 캔용기의 개봉부의 반대편 아래쪽으로 합성수지재로 된 마개를 탭에 부착하여 180°회전한 후 다시 손가락으로 눌러 개봉부를 밀봉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미국특허번호 제5779087호(1998년)와 유사하게 개봉부를 막도록 하는 것으로 개봉부의 테두리와 마개의 테두리가 서로 맞물려서 캔의 안쪽으로 들어가므로 재개봉시 손톱을 다칠 우려가 있으며, 1992년 한국실용신안공고 제182058호는 개봉부의 반태편 위쪽으로 마개를 부착하고 있는데 마개가 부착된 몸체를 180°뒤집어 꺽은 후 눌러서 개봉부를 막도록 하는데 이것은 탭이 완전히 꺽이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미국특허번호 제5,779,087호(1998년)에서는 금속재 마개용 탭(metal opening tab )밑에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plastic) 소재로 된 충분한 크기의 마개용 탭(closing tab)과 이에 연결된 따개용 스트립탭(tab-opening strip)을 함께 장착하였는데(co-mounting), 사용 시 180도 회전하여 마개용 탭으로 개봉부가 막아지도록 발명하였다. 이 발명에서는 캔의 재활용 시 성질이 다른 이물질인 플라스틱 소재를 따로 분리하여야 하기에 자원재활용상 문제가 있고, 180°회전 후 따개용 탭(closing tab)을 밑으로 눌러서 완전히 구멍이 막히도록 함에 있어 캔의 본체 뚜껑과 마개용 탭(closing tab)의 모서리가 서로 아래쪽으로 맞물려서 들어가므로 재개봉(reopening)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번호 제5,785,199호(1998)에서는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써 따개 및 마개용 프로텍터(opening and closing protector)를 발명하였으나, 만들기가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미국특허번호 제5,452,818호(1995)에서는 캔 밑부분에 컵(cup)을 부착하여 이 컵으로 개봉부를 닫는데(closing)에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캔(can)의 적재성(積載性, stackability) 및 운반에 문제점이 있으며, 미국특허 번호 제5,351,853호(1994)에서는 따로 'L'자형이 마개용 탭(closing tab)을 별도로 만들어 따개용 탭(opening tab) 밑에 끼워서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미국특허번호 제5,108,003호(1992)에서는 캔 뚜껑판의 저면에 마개를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발명하였으나 실제 사용이 불편하다. 또한 미국특허번호 제4,887,712호(1989), 미국특허번호 제4,842,159호(1989), 미국특허번호 제4,979,635호(1990), 미국특허번호 제4,834,258호(1989)등에서는 따개용 탭(opening tab)과 함께 마개용 탭(closing tab)을 부착한 후 이것을 회전시켜서 구멍이 막히도록 발명하였으나, 마개용 탭(closing tab)과 구멍이 밀착되도록 도와주는 기능이 없으므로, 타이트한 밀봉(tighted sealing)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살펴본 종래의 캔뚜껑 및 마개용 탭의 형성구조에 있어서 주요 문제점으로서는 ①제조시 노력과 비용이 많이 들고 ②현존하는 생산라인의 교체가 요구되고 ③캔 개봉부의 밀봉(closure)이 불완전 하며 또한 그 사용이 불편하고 ④캔의 마개용 탭(closing tab)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위생상 문제가 있고 ⑤캔의 전체적 형상이 변형되어 캔의 보관, 운송 및 적재공간의 비효율성, 즉 적재성(stacking)에 문제가 있다는 점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이 창안된 것인데 본 고안의 목적은 캔뚜껑 및 마개용 탭의 형성구조를 개량하여 보다 단순한 구조를 갖고 사용상 보다 안전구조를 갖도록 하며, 캔뚜껑체에 형성된 개봉부를 마개용 탭이 밀봉함에 있어 보다 완전하게 하면서 위생적인 구조를 제공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의 상부측 부분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의 상부측 분해사시도
도 3 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탭부의 초기상태 평면도
도 3 의 b는 본 고안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탭부를 회전한 상태의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탭부의 초기상태의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캔이 따진후 마개용 탭으로 개봉부를 덮은 상태에서의 단면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있어서 탭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캔뚜껑체 200 : 탭부 300 : 리벳
110, 120,120' : 탭받침돌기 140 : 리벳조립구
150 : 개봉부 151 : 개구벽 210 : 따개용 탭
220 : 마개용 탭 221 : 회전용 손잡이 222 : 둥근측면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의 형성구조에 대하여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의 상부측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의 상부측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탭부의 초기상태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본 고안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탭부를 회전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탭부의 초기상태의 단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캔뚜껑구조를 갖는 캔에 있어 캔이 따진후 마개용 탭으로 개봉부를 덮은 상태에서의 단면사시도이다.마지막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탭부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의 형성구조를 갖는 캔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의 상부측에 캔뚜껑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캔뚜껑은 캔뚜껑체(100)와 탭부(200)와 리벳(RIVET, 300)로 구성되는데, 상기 캔뚜껑체(100)의 상부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외부로 돌출형성시킨 3개의 탭받침돌기(110, 120,120')와 리벳이 조립되는 구멍인 리벳조립구(140) 그리고 개봉되어 캔의 내용물을 쏟아내도록 하는 개봉부(150)가 원통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탭받침돌기(110, 120,120')와 개봉부(15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조립구(14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3개의 탭받침돌기(110, 120,120')는 캔뚜껑체(100)을 프레스가공하여 원추형으로 돌출시킨 것으로,탭받침돌기중 하나(110)은 다른 두 개의 받침돌기(120,120')보다 높게 돌출형성하여 후술하는 탭부(200)의 마개용 탭(220)을 받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며, 상기 개봉부(150)는 개구된 단면이 원(圓)형이며, 그 가장자리가 캔뚜껑체(100)에서 약간 들려올려져 형성되는 원통상의 개구벽(151)이 구성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구벽(151)의 상단측의 외측은 약간 둥글게되어 전체적으로 링상을 이루어 형성된다.(도 4 및 도 5 참조). 그리고 마개용 탭(220)의 상부면은 모양과 크기가 적절한 두께의 테트라팩 등의 종이 재질 및 실리콘 코팅된 알미늄 혹은 캔과 동일한 소재(알루미늄 등)로된 판상체로서 부착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탭받침돌기중 하나(110)의 높이는 1.5mm∼2mm정도, 다른 두 개의 받침돌기(120, 120')의 높이는 1mm∼1.5mm 정도로 목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돌출 시킨다.
상기 탭부(2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따개용 탭(210)과 마개용 탭(220)이 상호 대향하여 연결하여 형성되는데 따개용 탭(210)은 그 구조가 공지의 것과 다름이 없으나 마개용 탭(220)은 상부면이 막힌 얇은 원통상구조를 취하는데 마개용 탭(220)의 측면은 둥글게 절곡 된 부분과 편평한 부분으로 구성되는 데 상기 둥글게 절곡된 부분을 둥근측면(222)이라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기로 하며, 둥근측면(222)이 아닌 측면 즉 편평한 측면은 마개용 탭(220)의 회전진행 방향 쪽으로 형성하고 그 외 나머지 부분은 둥근측면(222)을 형성한다(도 6 참조). 마개용 탭(220)의 둥근측면(222)은 도 5 의 부분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부(150)를 형성하는 개구벽(151)과 치합되어 마개용 탭(220)이 개봉부(150)를 닫을 때 그 밀패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6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마개용 탭(220)의 측면의 전체를 둥근측면(222)으로 형성하지 않음은 마개용 탭(220)이 개봉부(150)를 닫거나 벗겨질 때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 원통의 모양과 직경은 상기 캔뚜껑체(100)에 형성된 개봉부(150)의 모양과 직경보다 약간더 큰 길이를 하며, 그 원통상의 높이는 실제 사용시 개봉부(150)를 막았을 때 캔뚜껑체(100)의 상부면에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용 탭(220)의 상부면 단부측 가장자리에 탭부(200)의 회전을 도울 수 있는 돌출부로써 높이는 1mm∼2mm정도인 회전용 손잡이(221)가 형성된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상기의 뚜껑체(100)와 탭부(200)는 리벳(300)으로 조립되면 도 1과 같아 캔을 사용하기 전상태에서는 탭부(200)의 따개용 탭(210)은 뚜껑체(100)의 개봉부(150)의 상부면위에 놓여지고, 마개용 탭(220)은 뚜껑체(100)의 3개의 탭받침돌기(110, 120,120')의 상단위에 놓여진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 본 고안의 뚜껑체(100)와 탭부(200)는 종래의 방법과 같이 캔 뚜껑 따개용 탭(210)를 사용하여 개봉부(150) 구멍을 딴 후 내용물을 마시고, 다시 개봉부(150)을 폐쇄하고 싶으면 탭부(200)의 회전용 손잡이(221)를 사용하여 회전용 축인 리벳(300)을 중심으로 180°회전시키면 따여진 개봉부(150)를 마개용 탭(220)으로 폐쇄되게 할수 있게 된다. 이때 세곳에 다른 높이로 형성된 3개의탭받침돌기(110, 120,120')는 따개용 탭(210)을 위로 들어주는 지렛대 역할을 하므로써 캔 뚜껑 마개용 탭(220)이 개봉부(150)의 개구(開口)에 밀착하여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단단히 눌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개봉부(150)의 및 마개용 탭(220)의 얇은 원통상 가장자리 둘레는 서로 대향하여 둥글게 맞물려 있으므로 개봉부(150)의 재개봉(reopening)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도 5의 부분확대 단면도 참조)
그리고 상기 캔뚜껑의 개봉부(150)의 개구벽(151) 과 마개용 탭(220)의 둥근측면(222)이 서로 반대되도록 둥글게 절곡하여, 그림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용캡(220)이 개봉부(150)를 닫게 될 때 개봉부(150)의 막힘이 완전하고, 또한 도6에 도시 된 것처럼 마개용 탭(220)의 편평한 측면은 회전진행 방향 쪽으로 형성하고 그 외 나머지 부분은 둥근측면(222)을 형성하여 마개용 탭(22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개봉부(150)의 재개봉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 캔뚜껑 따개용 탭(210)과 마개용 탭(220)이 함께 형성된 캔 뚜껑 마개용 탭(220)의 상부면에 적당한 높이의 회전도움용 돌출부인 회전용손잡이(221)를 형성시켜서 탭부(20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캔 뚜껑체(100)에서 따여지는 구멍인 개봉부(150)의 주위는 캔 뚜껑 바닥과는 약 1mm 정도의 높이로 돌출하여 형성시켰다.
실제사용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마개용 탭(220)부분이 위로 젖혀지면서 따개용 탭(210)이 뚜껑체(100)의 개봉부(150)의 원형 안쪽으로 약간 잘라놓은 캔뚜껑체(100)의 일부 즉 개봉부(150)의 상부면을 눌러 따게 되는데, 본 고안의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용 탭(220)의 아래쪽 캔뚜껑체(100)에 형성된 탭받침돌기(110, 120,120')로 인하여 마개용 탭(220)과 캔뚜껑체(100)의 평탄면과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2mm이상)이 확보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캔을 딸 때 손톱 등의 부상 염려 없이 쉽게 캔을 딸 수가 있다. 그후 다시 캔의 개봉부(150)를 폐쇄하고 싶으면 마개용 탭(220)의 회전용 손잡이(221)부분을 손톱(손끝)으로 돌려 탭부(200)를 180°회전시켜 마개용 탭(220)을 반대쪽의 따여진 개봉부(150)과 일치시키면 된다. 이때 탭받침돌기(110, 120,120')과 리벳(300)은 함께 어울려 따개용 탭(210)의 부분을 위쪽으로 밀어주는 지렛대의 역할을 수행하므로써 마개용 탭(220)와 따여진 개봉부(150)의 밀착을 돕게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 탭부(200)의 마개용 탭(220)의 개방된 저면을 비닐지나 은박지로서 포장 밀봉한 상태로 하여 제작하면 마개용 탭(220)이 보다 위생적인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도시 생략)
이 마개용 탭(220)의 저면을 밀봉한 비닐지 등은 캔의 내용물을 일부 먹고 일시 보관하기 위하여 개봉부(150)를 덮고자 할 때 비닐지등을 손으로 떼어내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의 구조는 그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마개용 탭이 형성되므로 그 제작이 용이하여 경제적이며, 그 제작공정도 기존의 공정을 변경하지 않고 제작할 수 있으며, 특히 캔을 딸 때 손톱등에 부상염려가 전혀 없을 뿐아니라 개봉부의 개패가 극히 용이하므로 매우편리하며, 종래의 마개용 탭을 갖는 캔뚜껑의 경우와 달리 본 고안의 캔뚜껑구조는 기존 캔의 형상과 크게 다름이 없기에 그 적재성에 지장이 없고 개봉부를 닫는 마개용 탭의 밀폐성이 극히 우수한 캔뚜껑 구조를 갖는다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마개용 탭은 생산과정에서 그 개방된 저면이 비닐이나 은박지로서 밀봉하여 생산하도록 하므로 그 만큼 위생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상부면이 눌러지면 따여져 개구되는 개봉부가 형성된 캔뚜껑체, 따개용 탭, 마개용 탭과 리벳(RIVET)로 구성되는 캔뚜껑에 있어서, 따개용 탭(210)과 상부면 막히고 상부면 가장자리가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된 얇은 원통상의 마개용 탭(220)이 서로 대향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탭부(200)를 형성하고, 캔뚜껑체(100)의 표면에 원추형으로 돌출된 3개의 탭받침돌기(110, 120, 120')가 형성되고, 개봉부(150)는 상부측 외측이 둥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링상을 이루는 원통상으로 된 개구벽(151)이 구성되어 캔뚜껑체(100)의 다른 부분보다 약간돌출되어 형성된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마개용 탭(220)의 상부면 일측 가장자리에 돌기되어 회전용손잡이(221)가 형성된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마개용 탭(220)의 개방된 저면을 비닐지나 은박지로서 포장 밀봉한 상태로 제작한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3개의 탭받침돌기(110, 120, 120') 중 하나(110)은 다른 두 개의 탭받침돌기(120, 120')보다 높이가 약간더 높게 형성한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마개용 탭(220)의 측면은 둥글게 절곡 된 둥근측면(222)부분과 편평한 부분으로 구성되고, 편평한 측면은 마개용 탭(220)의 회전진행 방향 쪽으로 형성하고 그 외 나머지 부분은 둥근측면(222)이 형성되는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KR2020000031703U 2000-09-27 2000-11-13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21867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080 2000-09-27
KR20000027080 2000-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672Y1 true KR200218672Y1 (ko) 2001-04-02

Family

ID=7306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70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8672Y1 (ko) 2000-09-27 2000-11-13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67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558B1 (ko) * 2006-12-15 2008-02-11 대한민국 벼흑조위축병 바이러스, 벼오갈병 바이러스 및벼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및 이를이용한 동시진단 방법
KR101099322B1 (ko) 2009-07-21 2011-12-26 이상엽 음료수 캔 윗뚜껑 광고딱지
CN106428967A (zh) * 2016-10-13 2017-02-22 王熙凯 一种瓶盖易于开启的罐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558B1 (ko) * 2006-12-15 2008-02-11 대한민국 벼흑조위축병 바이러스, 벼오갈병 바이러스 및벼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및 이를이용한 동시진단 방법
KR101099322B1 (ko) 2009-07-21 2011-12-26 이상엽 음료수 캔 윗뚜껑 광고딱지
CN106428967A (zh) * 2016-10-13 2017-02-22 王熙凯 一种瓶盖易于开启的罐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490B2 (en) Lid
US6874649B2 (en) Lid
US7484638B2 (en) Plastic drink-through cup lid with fold-back tab
US8864015B2 (en) Cup with integral closure flaps
US4489848A (en) Beverage container cover
US4210256A (en) Pour spout lid
US5346088A (en) Reusable beverage can cap
US20030218017A1 (en) Drink-through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US4609123A (en) Beverage can with sanitary reclosable lid
RO120833B1 (ro) Recipient de formă conică şi capac
KR100329127B1 (ko)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KR200218672Y1 (ko)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US7124909B1 (en) Hinged lid container
US5221020A (en) Reusable beverage can cap
US20050051552A1 (en) Self-closing lid for beverage cups and the like
JP3916229B2 (ja) 密閉式重ね容器
EP1190952A2 (en) Can having can end wall provided with reclosing tab
KR20030016349A (ko) 밀폐용기
KR102699159B1 (ko) 음료 용기
WO2002092451A1 (en) Lid
JP2003512255A (ja) 再シール可能な飲料缶
JPS5933817Y2 (ja) 包装容器
KR200174367Y1 (ko) 음료수 용기의 개방손잡이
KR200318533Y1 (ko) 식품저장용기
KR200182113Y1 (ko) 빨대를 내장한 캔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11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1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1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