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182A -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터보차저 배열체 및 왕복 내연 엔진 - Google Patents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터보차저 배열체 및 왕복 내연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182A
KR20230097182A KR1020237018952A KR20237018952A KR20230097182A KR 20230097182 A KR20230097182 A KR 20230097182A KR 1020237018952 A KR1020237018952 A KR 1020237018952A KR 20237018952 A KR20237018952 A KR 20237018952A KR 20230097182 A KR20230097182 A KR 20230097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ounting unit
heat exchanger
turbocharger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떼로 라이끼오
유호 산드베리
Original Assignee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filed Critical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Publication of KR20230097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013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with exhaust-driven pump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06Layout of the intake air cooling or coolant circuit
    • F02B29/0412Multiple heat exchangers arranged in parallel or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144Connections of intake ducts to each other or to another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15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type
    • F02M35/10157Supercharged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4Manufacturing and assembling intake systems
    • F02M35/10354Joining multiple sections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왕복 내연 기관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1, 1') 은 적어도 장착 베이스 (6),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및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에 의해 형성된 단일의 강성 구조체로서 제공된다. 적어도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2a) 와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4a) 는 상기 장착 베이스 (6) 에 배열되어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8b) 와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10b) 는 각각 그에 직접 커플링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터보차저 (8, 10) 를 장착 유닛 (1) 에 물리적으로 동시에 장착시킨다. 터보차저 배열체 및 왕복 내연 엔진은 또한 관련된다.

Description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터보차저 배열체 및 왕복 내연 엔진
본 발명은 왕복 내연 피스톤 엔진과 관련된 터보차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터보차저를 위한 장착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장착 유닛을 이용하는 터보차저 배열체 및 왕복 내연 피스톤 엔진에 관한 것이다.
터보차저는 연소 실린더에서의 연소를 위해 사용가능한 흡입 공기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왕복 내연 피스톤 엔진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간단히 말하면, 터보차저는 배기 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이 흡입 공기 유동을 차지하기 위해 압축기를 구동시키도록 압축기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된 터빈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잇달아 커플링된 (즉, 일렬로) 하나 초과의 터보차지를 갖는 배열체는, 흡입 공기가 차지되는 압력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지되는 흡입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키도록 병렬로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터보차저를 사용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터보차저들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요구되는 덕팅 (ducting) 의 양을 증가시키며, 이는 종래에 더 복잡한 구조를 초래하여 터보차저들 및 그 연관된 덕팅 모두에 대해 조립 및 유지 보수 모두를 더 어렵게 만들었다. 더욱이, 터보차저들 및 그 연관된 덕팅 부근의 임의의 구성요소에 대한 액세스도 또한 더 제한되어, 연관된 엔진의 조립 및 유지를 추가로 방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을 완화하도록 장착 유닛, 이러한 장착 유닛을 구비한 터보차저 배열체 및 이러한 터보차저 배열체를 구비한 왕복 내연 피스톤 엔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 유닛, 터보차저 배열체 및 왕복 내연 피스톤 엔진에 의해 달성되며, 이는 독립항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에 설명된다.
본 개시는 적어도 장착 베이스, 고온 저압 공기 채널, 저온 저압 공기 채널, 고온 고압 공기 채널 및 저온 고압 공기 채널에 의해 형성된 단일의 강성 구조체로서 장착 유닛을 제공하는 사상에 기초된다. 또한, 적어도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와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는 상기 장착 베이스에 배열되어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와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는 각각 그에 직접 커플링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착 유닛에 저압 터보차저 및 고압 터보차저를 장착한다. 즉, 장착 유닛은, 고온 저압 공기 채널과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와, 고온 고압 공기 채널과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동시에 달성하면서 장착 유닛에의 저압 터보차저와 고압 터보차저의 견고한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로서, 더 적은 덕팅이 요구되기 때문에, 연관된 터보차저 배열체 및 엔진에 대한 더 간단한 구조가 달성된다. 이는 결국, 터보차저들에 대한 또는 그 근처에서의 개선된 액세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조립 및/또는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왕복 내연 기관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저압 및 고압은 서로에 대해 사용된다. 즉, 저압 엔티티는 대응하는 고압 엔티티보다 낮은 압력과 연관되도록 의도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용어 고온 및 저온은 또한 서로에 대해 사용된다. 즉, 저온 엔티티는 대응하는 고온 엔티티보다 낮은 온도와 연관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고온 저압 공기 채널은 저온 고압 공기 채널보다 비교적 더 높은 온도 및 더 낮은 압력의 공기유동과 연관되도록 의도된다.
장착 유닛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온 저압 공기 채널을 포함한다. 고온 저압 공기 채널은 차례로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와 고온 저압 공기 채널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고온 저압 공기 채널은 추가로 고온 저압 공기 채널과 저압 열 교환기 입구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저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및 저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연관된 공기 채널과 관련하여 각각의 플랜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장착 유닛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저온 저압 공기 채널을 더 포함한다. 저온 저압 공기 채널은 차례로 저압 열 교환기 출구와 저온 저압 공기 채널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저온 저압 공기 채널은 추가로 저온 저압 공기 채널과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입구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입구 포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및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입구 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연관된 공기 채널과 관련하여 플랜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장착 유닛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온 고압 공기 채널을 포함한다. 고온 고압 공기 채널은 차례로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와 고온 고압 공기 채널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고온 고압 공기 채널은 추가로 고온 고압 공기 채널과 고압 열 교환기 입구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고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및 고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연관된 공기 채널과 관련하여 플랜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장착 유닛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저온 고압 공기 채널을 포함한다. 저온 고압 공기 채널은 차례로 고압 열 교환기 출구와 저온 고압 공기 채널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고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저온 고압 공기 채널은 추가로 연관된 엔진의 차지 공기 입구 포트와 저온 고압 공기 채널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차지 공기 공급 포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포트를 위한 차지 공기 공급 포트 및 고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연관된 공기 채널과 관련하여 플랜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장착 유닛은 적어도 저압 터보차저와 고압 터보차저를 장착 유닛에, 가장 적합하게는 강성 방식으로 부착하기 위한 장착 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특히, 적어도 장착 베이스, 고온 저압 공기 채널, 저온 저압 공기 채널, 고온 고압 공기 채널 및 저온 고압 공기 채널은 단일의 강성 구조체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장착 유닛은 단일 피스로서 주조될 수 있고, 이는 그후 필요한 경우 평면형 표면들 (예를 들어, 장착 베이스 및 포트들) 을 얻도록 후속적으로 기계가공된다.
가장 적합하게는, 상기 공기 채널들은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제 1 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다. 장착 베이스는 차례로 종방향 및 제 1 측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제 2 횡방향으로 장착 유닛의 측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베이스는 사용 시에 장착 유닛의 상단 측면에 배열된다.
또한 적어도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및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는 장착 베이스에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압 터보차저와 고압 터보차저의 기계적 부착은 터보차저의 출구 포트와 그 각각의 공기 채널 사이의 유체 연통과 동시에 달성된다. 또한, 공기 채널이 장착 유닛에 통합됨에 따라, 보다 덜 복잡한 물리적 구조가 달성된다.
제 1 양태에 따른 실시예에서, 장착 유닛은 동일한 제 2 장착 유닛과 직접 커플링가능하여, 커플링 시에 제 2 장착 유닛과 장착 유닛의 대응하는 공기 채널들 사이의 유체 연통이 달성된다. 즉, 서로 커플링될 때에 제 1 장착 유닛 및 제 2 장착 유닛의 각각의 고온 저압용 공기 채널, 저온 저압 공기 채널, 고온 고압 공기 채널 및 저온 고압 공기 채널 사이에 유체 연통이 달성된다.
가장 적합하게는, 고온 저압 공기 채널, 저온 저압 공기 채널, 고온 고압 및 저온 고압 공기 채널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어서, 상기 공기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모두의 종방향 단부는 동일한 제 2 장착 유닛의 대응하는 공기 채널의 종방향 단부와 직접 커플링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배열체에서, 제 2 장착 유닛 및 장착 유닛의 대응하는 공기 채널들은 커플링될 때 연속적인 종방향 공기 채널들을 형성한다. 이는 요구되는 덕팅을 더 복잡하게 하지 않으면서 원하는 질량 유동을 달성하도록, 장착 유닛들이 잇달아 부착되어 원하는 길이의 공기 채널을 형성하고, 저압 터보차저와 고압 터보차저의 수를 증가시키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에 따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입구 포트 및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는 상기 공기 채널들에 대해 상기 장착 유닛의 동일한 측면에 배열된다. 그 결과로서, 고압 터보차저의 그 각각의 공기 채널들과의 커플링은 장착 유닛의 장착 베이스에 고압 터보차저를 물리적으로 장착함과 동시에 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에 따른 실시예에서, 저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고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및 고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모두는 그 연관된 공기 채널의 종방향 단부에 배열된다. 이는 저압 또는 고압 열 교환기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가 장착 유닛의 종방향 단부에서 그 연관된 공기 채널에 커플링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특히 유리한데, 왜냐하면 심지어 다수의 장착 유닛의 조립체도 열 교환기가 커플링될 수 있는 자유 단부를 항상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그러나 반드시 필수적이지 않게, 고온 저압 공기 채널과 저압 열 교환기 입구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저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가, 제 2 측방향으로 상기 공기 채널에 대해, 장착 베이스에 반대쪽에 장착 유닛의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가장 적합하게는, 그러한 추가적인 포트는 사용 시에 장착 유닛의 바닥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러나 반드시 필수적이지 않게, 저압 열 교환기 출구와 저온 저압 공기 채널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가, 제 2 측방향으로 상기 공기 채널에 대해 장착 베이스에 반대쪽에 장착 유닛의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가장 적합하게는, 그러한 추가적인 포트는 사용 시에 장착 유닛의 바닥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러나 반드시 필수적이지 않게, 고온 고압 공기 채널과 고압 열 교환기 입구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가, 제 2 측방향으로 상기 공기 채널에 대해, 장착 베이스에 반대쪽에 장착 유닛의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가장 적합하게는, 그러한 추가적인 포트는 사용 시에 장착 유닛의 바닥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러나 반드시 필수적이지 않게, 고압 열 교환기 출구와 저온 고압 공기 채널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가, 제 2 측방향으로 상기 공기 채널에 대해 장착 베이스에 반대쪽에 장착 유닛의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가장 적합하게는, 그러한 추가적인 포트는 사용 시에 장착 유닛의 바닥에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저압 고온 공기 채널과 저압 저온 공기 채널은 서로 바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한편, 고압 고온 공기 채널과 고압 저온 공기 채널은 서로 바로 인접하게 배열된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에 따른 실시예에서, 저압 고온 공기 채널과 고압 고온 공기 채널은 서로 바로 인접하게 배열된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에 따른 실시예에서, 고압 저온 공기 채널은 남아있는 공기 채널들에 대해 측방향으로 최외측에 배열된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실시예의 임의의 조합, 또는 이들의 변형들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가 제공된다. 터보차저 배열체는,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임의의 제 1 양태에 따른 장착 유닛인 제 1 장착 유닛을 포함한다.
터보차저 배열체는 제 1 저압 터보차저를 더 포함한다. 제 1 저압 터보차저는, 차례로, 공기 공급부에 커플링가능한 압축기 입구를 포함한다. 제 1 저압 터보차저는 제 1 장착 유닛의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에 직접 커플링되는 압축기 출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1 저압 터보차저는 그 장착 베이스에서 제 1 장착 유닛 상에 장착된다.
터보차저 배열체는 제 1 저압 열 교환기를 더 포함한다. 제 1 저압 열 교환기는 차례로 제 1 장착 유닛의 저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에 커플링되는 입구를 포함한다. 제 1 저압 열 교환기는 제 1 장착 유닛의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에 커플링되는 출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1 저압 열 교환기는 그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저압 공기유동을 저온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저압 열 교환기 입구 및 출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각각 제 1 장착 유닛의 저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및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에 직접 커플링될 수 있다. 또한, 저압 열 교환기 입구 및 출구 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제 1 장착 유닛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당연히 추가적인 저압 열 교환기가 제공될 수 있다.
터보차저 배열체는 제 1 고압 터보차저를 더 포함한다. 제 1 고압 터보차저는 차례로 제 1 장착 유닛의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입구 포트에 커플링된 압축기 입구를 포함한다. 제 1 고압 터보차저는 제 1 장착 유닛의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에 직접 커플링된 압축기 출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1 고압 터보차저는 그 장착 베이스에서 제 1 장착 유닛 상에 장착된다.
터보차저 배열체는 제 1 고압 열 교환기를 더 포함한다. 제 1 고압 열 교환기는 차례로 제 1 장착 유닛의 고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에 커플링되는 입구를 포함한다. 제 1 고압 열 교환기는 제 1 장착 유닛의 고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에 커플링되는 출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1 고압 열 교환기는 그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고압 공기유동을 저온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고압 열 교환기는 제 1 장착 유닛의 고압 열 교환기 입구 및 출구 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직접 커플링될 수 있다. 또한, 고압 열 교환기 입구 및 출구 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제 1 장착 유닛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당연히 추가적인 고압 열 교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실시예에서, 제 1 장착 유닛은 본 개시의 제 1 양태의 실시예 또는 그 임의의 변형예에 따른 장착 유닛으로서 제공되고, 여기서, 위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장착 유닛이 커플링될 때, 제 1 장착 유닛의 공기 채널들은 제 2 장착 유닛의 대응하는 공기 채널들과 함께 연속적인 종방향 공기 채널들을 형성한다.
터보차저 배열체는 또한 본 개시의 제 1 양태의 실시예 또는 그 임의의 변형예에 따른 장착 유닛으로서 제공된 제 2 장착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위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장착 유닛이 커플링될 때, 제 1 장착 유닛의 공기 채널들은 제 2 장착 유닛의 대응하는 공기 채널들과 함께 연속적인 종방향 공기 채널들을 형성한다.
특히, 제 2 장착 유닛은 각각 제 1 장착 유닛과 상기 제 2 장착 유닛의 대응하는 공기 채널의 종방향 단부들에 의해 제 1 장착 유닛에 커플링되어, 제 1 장착 유닛과 제 2 장착 유닛의 대응하는 공기 채널들은 연속적인 종방향 공기 채널들을 형성한다.
터보차저 배열체는 제 2 저압 터보차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저압 터보차저는, 차례로, 공기 공급부에 커플링가능한 압축기 입구를 포함한다. 제 2 저압 터보차저는 제 2 장착 유닛의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에 직접 커플링되는 압축기 출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2 저압 터보차저는 그 장착 베이스에서 제 2 장착 유닛 상에 장착된다.
터보차저 배열체는 제 2 고압 터보차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고압 터보차저는 차례로 제 2 장착 유닛의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입구 포트에 커플링된 압축기 입구를 포함한다. 제 2 고압 터보차저는 제 2 장착 유닛의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에 직접 커플링되는 압축기 출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2 고압 터보차저는 그 장착 베이스에서 제 2 장착 유닛 상에 장착된다.
터보차저 배열체는 적절하게 그러나 반드시 필수적이지 않게 제 2 저압 열 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저압 열 교환기는 차례로 제 2 장착 유닛의 저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에 커플링되는 입구를 포함한다. 제 2 저압 열 교환기는 제 2 장착 유닛의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에 커플링되는 출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2 저압 열 교환기는 그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저압 공기유동을 저온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2 저압 열 교환기는 제 2 장착 유닛의 저압 열 교환기 입구 및 출구 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직접 커플링될 수 있다. 또한, 저압 열 교환기 입구 및 출구 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제 2 장착 유닛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터보차저 배열체는 적절하게 그러나 반드시 필수적이지 않게 제 2 고압 열 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고압 열 교환기는 차례로 제 2 장착 유닛의 고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에 커플링되는 입구를 포함한다. 제 2 고압 열 교환기는 제 2 장착 유닛의 고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에 커플링되는 출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고압 열 교환기는 그 입구와 출구 사이에서 고압 공기유동을 저온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2 고압 열 교환기는 제 2 장착 유닛의 고압 열 교환기 입구 및 출구 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직접 커플링될 수 있다. 또한, 고압 열 교환기 입구 및 출구 포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제 2 장착 유닛의 종방향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양태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실시예의 임의의 조합, 또는 이들의 변형들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왕복 내연 엔진이 제공된다. 엔진은 본 개시의 제 2 양태에 따른 터보차저 배열체를 포함한다. 특히, 제 1 장착 유닛 및 제 2 장착 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차지 공기 공급 포트는 엔진의 차지 공기 입구에 커플링된다.
다음에서 본 개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장착 베이스를 갖는 측면으로부터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장착 유닛의 개략도를 예시하고,
도 2 는 장착 베이스를 갖는 측면으로부터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커플링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장착 유닛의 개략도를 예시하고,
도 3 은 장착 베이스에 반대쪽에 측면으로부터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 의 배열체를 예시하고,
도 4 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터보차져 배열체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1 에 예시된 장착 유닛 (1) 은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및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을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튜브형 단면 형상을 갖고 종방향으로 그리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공기 채널 (2, 3, 4, 5) 은,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제 1 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다. 장착 유닛은 적어도 저압 터보차저와 고압 터보차저를 상기 장착 유닛에 부착하기 위한 장착 베이스 (6)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착 베이스 (6) 는 종방향 및 제 1 측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제 2 횡방향으로 장착 유닛 (1) 의 측면에 배열된다.
특히, 장착 베이스 (6),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및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은 단일의 강성 구조체로서 제공된다. 공기 채널 (2, 3, 4, 5) 은,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제 1 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다. 장착 베이스 (6) 는 종방향 및 제 1 측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제 2 횡방향으로 장착 유닛 (1) 의 측면에 배열된다.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은 장착 베이스 (6) 에 제공된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2a) 를 갖는다.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은 또한 각각 플랜지형 환형 단부 표면을 갖는, 2개의 대향하는 종방향 단부 (2c, 2d) 를 가지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저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2b) 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은 또한 각각 플랜지형 환형 단부 표면을 갖는, 2개의 대향하는 종방향 단부 (3c, 3d) 를 가지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3a) 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은 또한 장착 베이스 (6) 와 장착 유닛 (1) 의 동일한 측면 상에 제공된, 그로부터 별개의,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입구 포트 (3b) 를 갖는다.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은 장착 베이스 (6) 에 제공된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4a) 를 갖는다.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은 또한 각각 플랜지형 환형 단부 표면을 갖는, 2개의 대향하는 종방향 단부 (4c, 4d) 를 가지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고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4b) 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은 각각 플랜지형 환형 단부 표면을 갖는, 2개의 대향하는 종방향 단부 (5c, 5d) 를 가지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고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5a) 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은 또한 상기 제 1 측방향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관된 공기 채널 (5) 로부터 제 1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차지 공기 공급 포트 (5b) 를 갖는다. 도 1 의 실시예에서, 고압 저온 공기 채널 (5) 은 남아있는 공기 채널 (2, 3, 4) 에 대해 측방향 최외측 (즉, 제 1 측방향으로) 에 배열되는 반면, 저압 고온 공기 채널 (2) 과 고압 고온 공기 채널 (4) 은 서로 바로 인접하게 배열된다.
도 2 는 차지 공기 공급 포트 (5b) 를 도시하는, 장착 베이스를 갖는 측면으로부터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커플링된 도 1 의 다수의 장착 유닛들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특히, 상기 배열체는 그 각각의 종방향 단부에서 동일한 장착 유닛 (1') 에 커플링되는 장착 유닛 (1) 을 갖는다.
특히,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은 연속적인 종방향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2, 2') 을 형성하도록, 그 종방향 단부 (2c, 2d) 모두에서 대응하는 저압 공기 채널 (2') 의 대응하는 종방향 단부 (2c', 2d') 에 커플링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은 연속적인 종방향 고온 저압 공기 채널 (3', 3, 3') 을 형성하도록, 그 종방향 단부 (3c, 3d) 모두에서 대응하는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의 대응하는 종방향 단부 (3c', 3d') 에 커플링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은 연속적인 종방향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4, 4') 을 형성하도록, 그 종방향 단부 (4c, 4d) 모두에서 대응하는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의 대응하는 종방향 단부 (4c', 4d') 에 커플링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은 연속적인 종방향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5, 5') 을 형성하도록, 그 종방향 단부 (5c, 5d) 모두에서 대응하는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의 대응하는 종방향 단부 (5c', 5d') 에 커플링된다.
도 3 은 장착 베이스 (6', 6, 6) 에 반대쪽에 장착 유닛 (1', 1, 1') 의 측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도 2 의 배열체를 도시한다. 특히, 도 3 은 또한 장착 베이스 (6', 6, 6') 에 반대쪽에 각각의 장착 유닛 (1', 1, 1') 의 측면 상에 제공된 추가적인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3e', 3e, 3e') 가 구비된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3, 3') 을 도시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5, 5') 에는 추가적인 고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5e', 5e, 5e') 가 구비된다. 그러한 추가적인 포트들은 또한, 서로 부착되지 않더라도, 단일 장착 유닛들 (1) 상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4 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터보차져 배열체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특히, 제 1 장착 유닛 (1) 및 제 2 장착 유닛 (1') 의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2') 이 균일한 공기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그 대응하는 종방향 단부 (2c, 2d') 에서 서로 커플링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3') 은 그 대응하는 종방향 단부 (3c, 3d') 에서 커플링되고, 고온 고압 채널 (4, 4') 은 그 대응하는 종방향 단부 (4c, 4d') 에 의해 커플링되고, 저온 저압 채널 (5, 5') 은 그 대응하는 종방향 단부 (5c, 5d') 에서 서로 커플링된다.
제 1 저압 터보차저 (8) 의 압축기 출구 (8b) 와 제 2 저압 터보차저 (8') 의 압축기 출구 (8b') 모두는 제 1 장착 유닛 (1) 의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2a) 와 제 1 장착 유닛 (1') 의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2a') 에 의해 균일한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2') 에 커플링된다. 즉, 제 1 및 제 2 저압 터보차저 모두는 균일한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2') 을 공급하고, 이는 그후 (제 2 장착 유닛 (1') 이 커플링되는 종방향 단부 (2c) 에 반대쪽에) 종방향 단부 (2d) 에 제공된 저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2b) 에서 공통 저압 열 교환기 (9) 의 저압 열 교환기 입구 (9a) 에 커플링된다.
공통 저압 열 교환기 (9) 의 저압 열 교환기 출구 (9b) 는 (제 2 장착 유닛 (1') 이 커플링되는 종방향 단부 (3c) 에 반대쪽에) 종방향 단부 (3d) 에 형성된,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3as) 에서 제 1 및 제 2 장착 유닛 (1, 1') 의 각각의 공기 채널 (3, 3') 에 의해 형성된 균일한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3') 에 커플링된다.
균일한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3') 은 제 1 및 제 2 장착 유닛 (1, 1') 의 고압 터보차저 입구 포트 (3b, 3b') 에서 제 1 고압 터보차저 (10) 및 제 2 고압 터보차저 (10') 모두의 압축기 입구 (10a, 10a') 에 각각 커플링된다.
고압 터보차저의 압축기 출구 (10b 및 10b') 는 고압 터보차저 출구 포트 (4a, 4a') 에서 균일한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4') 에 커플링된다. 또한, 공통 고압 열 교환기 (11) 의 입구 (11a) 는 (제 2 장착 유닛 (1') 이 커플링되는 종방향 단부 (4c) 에 반대쪽에) 종방향 단부 (4d) 에 형성된 고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4b) 에서 균일한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4') 에 커플링된다.
공통 고압 열 교환기 (11) 의 고압 열 교환기 출구 (11b) 는 (제 2 장착 유닛 (1') 이 커플링되는 종방향 단부 (5c) 에 반대쪽에) 종방향 단부 (5d) 에 형성된, 고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5a) 에서 균일한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5') 에 커플링된다.
고압 공기 채널 (5, 5') 의 차지 공기 공급 포트 (5b) 는 연관된 엔진의 차지 공기 입구에 추가로 커플링될 수 있다.

Claims (13)

  1.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1) 으로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온 (hot) 저압 공기 채널 (2) 로서:
    -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와 상기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2a), 및
    - 상기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과 저압 열 교환기 입구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저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2b) 를 갖는, 상기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저온 (cool) 저압 공기 채널 (3) 로서:
    - 저압 열 교환기 출구와 상기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3a), 및
    - 상기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과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입구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입구 포트 (3b) 를 갖는, 상기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로서:
    -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와 상기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4a), 및
    - 상기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과 고압 열 교환기 입구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고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4b) 를 갖는, 상기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및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로서:
    - 고압 열 교환기 출구와 상기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고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5a), 및
    - 연관된 엔진의 차지 공기 입구와 상기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차지 공기 공급 포트 (5b) 를 갖는, 상기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유닛 (1) 은 적어도 저압 터보차저와 고압 터보차저를 상기 장착 유닛 (1) 에 부착하기 위한 장착 베이스 (6)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 베이스 (6), 상기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및 상기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은 단일의 강성 구조체로서 제공되고,
    공기 채널들 (2, 3, 4, 5) 은,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제 1 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장착 베이스 (6) 는 상기 종방향 및 상기 제 1 측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제 2 횡방향으로 상기 장착 유닛 (1) 의 측면에 배열되고,
    적어도 상기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2a) 및 상기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4a) 는 상기 장착 베이스 (6) 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유닛 (1) 은 동일한 제 2 장착 유닛 (1') 과 직접 커플링가능하여, 커플링될 때에, 상기 제 2 장착 유닛 (1') 과 상기 장착 유닛 (1) 의 대응하는 공기 채널 (2,2'; 3,3'; 4,4'; 5,5') 사이의 유체 연통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채널들 (2, 3, 4, 5) 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공기 채널들 (2, 3, 4, 5) 의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종방향 단부 (2c, 2d,i 3c, 3d, 4c, 4d, 5c, 5d) 는 동일한 제 2 장착 유닛 (1') 의 대응하는 공기 채널 (2', 3', 4', 5') 의 종방향 단부 (2c' 2d', 3c' 3d', 4c' 4d', 5c' 5d') 와 직접 커플링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커플링될 때에, 상기 제 2 장착 유닛 (1') 및 상기 장착 유닛 (1) 의 대응하는 공기 채널 (2; 2', 3; 3', 4; 4', 5; 5') 은 연속적인 종방향 공기 채널들을 형성하는,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2a), 상기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입구 포트 (3b) 및 상기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4a) 는 상기 공기 채널 (2, 3, 4, 5) 에 대해 상기 장착 유닛의 동일한 측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2b), 상기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3a), 상기 고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4b) 및 상기 고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5a)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모두는 연관된 공기 채널 (2, 3, 4, 5) 의 종방향 단부 (2c, 2d, 3c, 3d, 4c, 4d, 5c, 5d) 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1).
  6. 제 5 항에 있어서,
    - 상기 고온 저압 공기 채널 (2) 과 저압 열 교환기 입구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저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 저압 열 교환기 출구와 상기 저온 저압 공기 채널 (3)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3e),
    - 상기 고온 고압 공기 채널 (4) 과 고압 열 교환기 입구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4e); 및
    - 고압 열 교환기 출구와 상기 저온 고압 공기 채널 (5)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고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5e)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모두는,
    상기 제 2 측방향으로 상기 공기 채널에 대해 상기 장착 베이스 (6) 에 반대쪽에 상기 장착 유닛의 측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고온 공기 채널 (2) 과 상기 저압 저온 공기 채널 (3) 은 서로 바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한편, 상기 고압 고온 공기 채널 (4) 과 상기 고압 저온 공기 채널 (5) 은 서로 바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고온 공기 채널 (2) 과 상기 고압 고온 공기 채널 (4) 은 서로 바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저온 공기 채널 (5) 은 남아있는 공기 채널들 (2, 3, 4) 에 대해 측방향으로 최외측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1).
  10.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 (7) 로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 1 장착 유닛 (1),
    제 1 저압 터보차저 (8) 로서;
    - 공기 공급부에 커플링가능한 압축기 입구 (8a), 및
    - 제 1 장착 유닛 (1) 의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2a) 에 직접 커플링되는 압축기 출구 (8b) 로서, 상기 제 1 저압 터보차저 (8) 는 상기 장착 베이스 (6) 에서 상기 제 1 장착 유닛 (1) 상에 장착되는, 상기 압축기 출구 (8b) 를 갖는, 상기 제 1 저압 터보차저 (8);
    제 1 저압 열 교환기 (9) 로서:
    - 상기 제 1 장착 유닛 (1) 의 저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2b) 에 커플링되는 입구 (9a), 및
    - 상기 제 1 장착 유닛의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3a) 에 커플링되는 출구 (9b) 로서, 상기 제 1 저압 열 교환기 (9) 는 상기 입구 (9a) 와 상기 출구 (9b) 사이에서 저압 공기유동을 냉각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출구 (9b) 를 갖는, 상기 제 1 저압 열 교환기 (9);
    제 1 고압 터보차저 (10) 로서;
    - 상기 제 1 장착 유닛 (1) 의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입구 포트 (3b) 에 커플링된 압축기 입구 (10a), 및
    - 상기 제 1 장착 유닛 (1) 의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4a) 에 직접 커플링되는 압축기 출구 (10b) 로서, 상기 제 1 고압 터보차저 (10) 는 상기 장착 베이스 (6) 에서 상기 제 1 장착 유닛 (1) 상에 장착되는, 상기 압축기 출구 (10b) 를 갖는, 상기 제 1 고압 터보차저 (10); 및
    제 1 고압 열 교환기 (11) 로서:
    - 상기 제 1 장착 유닛 (1) 의 고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4b) 에 커플링되는 입구 (11a), 및
    - 상기 제 1 장착 유닛의 고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5a) 에 커플링되는 출구 (11b) 로서, 상기 제 1 고압 열 교환기 (11) 는 상기 입구 (11a) 와 상기 출구 (11b) 사이에서 고압 공기유동을 냉각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출구 (11b) 를 갖는, 상기 제 1 고압 열 교환기 (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 유닛 (1) 은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착 유닛이고,
    상기 터보차저 배열체는 추가로: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 2 장착 유닛 (1') 으로서, 상기 제 2 장착 유닛 (1') 은 각각 상기 제 1 장착 유닛과 상기 제 2 장착 유닛 (1') 의 대응하는 공기 채널 (2; 2', 3, 3'; 4, 4'; 5, 5') 의 종방향 단부들 (2c; 2c', 2d; 2d', 3c; 3c', 3d; 3d', 4c; 4c', 4d; 4d', 5c; 5c', 5d; 4d') 에 의해 제 1 장착 유닛 (1) 에 커플링되어, 상기 제 1 장착 유닛 (1) 과 상기 제 2 장착 유닛 (1') 의 대응하는 공기 채널들 (2; 2', 3, 3'; 4, 4'; 5, 5') 은 연속적인 종방향 공기 채널들을 형성하는, 상기 제 2 장착 유닛 (1');
    제 2 저압 터보차저 (8') 로서;
    - 공기 공급부에 커플링가능한 압축기 입구 (8a'), 및
    - 제 2 장착 유닛 (1') 의 저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2a') 에 직접 커플링되는 압축기 출구 (8b') 로서, 상기 제 2 저압 터보차저 (8') 는 상기 장착 베이스 (6') 에서 상기 제 2 장착 유닛 (1') 상에 장착되는, 상기 압축기 출구 (8b') 를 갖는, 상기 제 2 저압 터보차저 (8'); 및
    제 2 고압 터보차저 (10') 로서;
    - 상기 제 2 장착 유닛 (1') 의 상기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입구 포트 (3b') 에 커플링된 압축기 입구 (10a'), 및
    - 제 2 장착 유닛 (1') 의 고압 터보차저 압축기 출구 포트 (4a') 에 직접 커플링되는 압축기 출구 (10b') 로서, 상기 제 2 고압 터보차저 (10') 는 상기 장착 베이스 (6') 에서 상기 제 2 장착 유닛 (1') 상에 장착되는, 상기 압축기 출구 (10b') 를 갖는, 상기 제 2 고압 터보차저 (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차저 배열체는 추가로:
    제 2 저압 열 교환기 (9') 로서:
    - 상기 제 2 장착 유닛 (1') 의 상기 저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2b') 에 커플링되는 입구 (9a'), 및
    - 상기 제 2 장착 유닛 (1') 의 상기 저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3a') 에 커플링되는 출구 (9b') 로서, 상기 제 2 저압 열 교환기 (9') 는 상기 입구 (9a') 와 상기 출구 (9b') 사이에서 저압 공기유동을 냉각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출구 (9b') 를 갖는, 상기 제 2 저압 열 교환기 (9'); 및
    제 2 고압 열 교환기 (11') 로서:
    - 상기 제 2 장착 유닛 (1') 의 상기 고압 열 교환기 입구 포트 (4b') 에 커플링되는 입구 (11a'), 및
    - 상기 제 2 장착 유닛 (1') 의 상기 고압 열 교환기 출구 포트 (5b') 에 커플링되는 출구 (11b') 로서, 상기 제 2 고압 열 교환기 (11') 는 상기 입구 (11a') 와 상기 출구 (11b') 사이에서 고압 공기유동을 냉각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출구 (11b') 를 갖는, 상기 제 2 고압 열 교환기 (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
  13. 왕복 내연 엔진으로서,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보차저 배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장착 유닛 (1) 및 상기 제 2 장착 유닛 (1')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차지 공기 공급 포트 (5b, 5b') 는 엔진의 차지 공기 입구에 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내연 엔진.
KR1020237018952A 2020-11-06 2020-11-06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터보차저 배열체 및 왕복 내연 엔진 KR202300971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I2020/050734 WO2022096770A1 (en) 2020-11-06 2020-11-06 A mounting unit for a turbocharger arrangement of a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a turbocharger arrangement and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182A true KR20230097182A (ko) 2023-06-30

Family

ID=7345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952A KR20230097182A (ko) 2020-11-06 2020-11-06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터보차저 배열체 및 왕복 내연 엔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240948A1 (ko)
JP (1) JP2023548521A (ko)
KR (1) KR20230097182A (ko)
CN (1) CN116490680A (ko)
WO (1) WO202209677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776A (ja) * 1992-06-26 1994-01-18 Honda Motor Co Ltd 排ガス再循環装置およびその製造法
AT501798B1 (de) * 2005-04-25 2006-11-15 Man Nutzfahrzeuge Oesterreich Aufgeladene brennkraftmaschine
FR2886340B1 (fr) * 2005-05-31 2010-11-12 Valeo Systemes Thermiques Refroidisseur d'air d'admission pour un moteur thermique turbocompresse a deux etages de suralimentation et circuit d'air correspondant
FI122882B (fi) * 2008-06-03 2012-08-15 Waertsilae Finland Oy Mäntämoottori
FI122963B (fi) * 2008-06-03 2012-09-14 Waertsilae Finland Oy Mäntämoottorin alusta
GB2576882B (en) * 2018-09-04 2021-06-16 Caterpillar Motoren Gmbh & Co Two-staged turbo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6770A1 (en) 2022-05-12
EP4240948A1 (en) 2023-09-13
JP2023548521A (ja) 2023-11-17
CN116490680A (zh)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6026A (en) Engine air intake manifold having built-in intercooler
RU2065526C1 (ru) Всасывающ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наддувом
US8186159B2 (en) Intake air cooler for dual-state turbocharging turbocompressed heat engine and corresponding air circuit
US4269158A (en) Intercoo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941104A (en) Multiple turbocharger apparatus and system
US4702079A (en) Air-cooled type intercooler for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538574A (en)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 cylinder head having four valves per cylinder
US20080087402A1 (en) Apparatus for cooling charge air for a combustion engine, system with an apparatus for cooling charge air
JP2010521619A (ja) 充填流体吸入モジュールおよび内燃機関
JP4580366B2 (ja) 内燃機関のインタークーラー
RU2541084C2 (ru) Двигатель с турбонаддувом и рециркуляцией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JPH033051B2 (ko)
US9133791B2 (en) Carrier housing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498650B1 (ko) 엔진 장치
US6966173B2 (en) Heat transfer apparatus
SE510224C2 (sv) Avgasgrenrör fär en turboladdad förbränningsmotor
JP6796944B2 (ja) エンジン装置
AU2010246385A1 (en) Engine with charge air-cooling system with water fumigation
US6185938B1 (en) Turbo-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976479B1 (en) Engine with optimized engine charge air-cooling system
EP2370680B1 (en) Charge air cooler for cooling air led to a supercharged combustion engine
KR20230097182A (ko) 왕복 내연 엔진의 터보차저 배열체를 위한 장착 유닛, 터보차저 배열체 및 왕복 내연 엔진
US7028679B2 (en) Engine air charge system with branch conduits
JPH10509225A (ja) 内燃エンジンの吸気マニホールドに設けられた装置
JPS627925A (ja) 多気筒エンジンの空気冷却器付き吸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