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974A - 작업 맵 작성 시스템, 작업 맵의 생성 방법 및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작업 맵 작성 시스템, 작업 맵의 생성 방법 및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974A
KR20230096974A KR1020237009503A KR20237009503A KR20230096974A KR 20230096974 A KR20230096974 A KR 20230096974A KR 1020237009503 A KR1020237009503 A KR 1020237009503A KR 20237009503 A KR20237009503 A KR 20237009503A KR 20230096974 A KR20230096974 A KR 20230096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ap
information
amount
pa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스케 고지마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9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Abstract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지정부 (11) 와, 작성 처리부 (12) 를 구비한다. 지정부 (11) 는, 2 이상의 포장을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 가능하다. 작성 처리부 (12) 는,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는 2 이상의 포장에 대해, 맵화 조건에 따라, 각각 작업 지수가 설정되는 복수의 구획을 갖고 2 이상의 포장의 각각에 대응하는 작업 맵을 일괄적으로 작성한다.

Description

작업 맵 작성 시스템, 작업 맵의 생성 방법 및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
본 발명은 포장에서의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맵을 작성하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작업 맵의 생성 방법 및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로서, 포장에 있어서의 살포물의 살포 계획을 작성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관련 기술에 관련된 시스템은, 포장 선택부에 표시된 복수의 포장 식별 정보 중에서, 1 개의 포장 식별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포장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포장 (선택 포장) 의 에어리어마다의 살포량을 포함하는 작업 맵 (살포 정보) 을 작성한다.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의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수량 맵 등의 농업 맵에 기초하여, 작업 맵을 작성하는 기능이 있다.
구체적으로, 관련 기술에서는, 포장을 나타낸 필드를 복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하고, 에어리어에 수확량의 데이터를 할당한 메시형의 수량 맵을 표시하고, 수량 맵과 동일 화면 상에, 에어리어마다의 살포량을 입력하기 위한 살포 입력부를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수량 맵을 보면서, 작업 맵을 작성할 수 있다. 혹은, 관련 기술에서는, 농업 맵에 있어서의 각 에어리어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에어리어마다의 살포량이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농업 맵이 생육 맵인 경우, 각 에어리어의 데이터의 값이 작은, 요컨대 작물의 생육이 지연되어 있으면 작물의 생육이 진행되도록, 데이터의 값에 대응하여, 각 에어리어의 살포물 (비료, 농약 등) 의 살포량이 많이 설정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187377호
상기 관련 기술의 구성에서는, 1 개의 포장이 선택되면, 당해 1 개의 포장에 대한 작업 맵 (살포 정보) 이 작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포장에 대한 작업 맵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포장의 선택 및 작업 맵의 작성을 포함하는 순서를, 포장의 수만큼 반복할 필요가 있어, 포장이 다수가 되면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맵의 작성에 관련된 사용자의 부담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작업 맵의 생성 방법 및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은, 지정부와, 작성 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정부는, 2 이상의 포장을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 가능하다. 상기 작성 처리부는, 상기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는 상기 2 이상의 포장에 대해, 맵화 조건에 따라, 각각 작업 지수가 설정되는 복수의 구획을 갖고 상기 2 이상의 포장의 각각에 대응하는 작업 맵을 일괄적으로 작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관련된 작업 맵의 생성 방법은, 대상 포장으로서 2 이상의 포장의 지정을 접수하는 것과, 상기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는 상기 2 이상의 포장에 대해, 맵화 조건에 따라, 각각 작업 지수가 설정되는 복수의 구획을 갖고 상기 2 이상의 포장의 각각에 대응하는 작업 맵을, 일괄적으로 작성하는 것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관련된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은, 대상 포장으로서 2 이상의 포장의 지정을 접수하는 것과, 상기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는 상기 2 이상의 포장에 대해, 맵화 조건에 따라, 각각 작업 지수가 설정되는 복수의 구획을 갖고 상기 2 이상의 포장의 각각에 대응하는 작업 맵을, 일괄적으로 작성하는 것을 1 이상의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 맵의 작성에 관련된 사용자의 부담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작업 맵의 생성 방법 및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으로부터 작업 기계로 정보를 옮기는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작업 맵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에 있어서의 화면 천이의 설명도이다.
도 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결과 일람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포장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우선 순위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파라미터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참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파라미터 설정 화면의 주요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결과 확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작성 처리에 관련된 일련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3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산출 관련 처리에 관련된 일련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제한 관련 처리에 관련된 일련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결과 비교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결과 수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결과 수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출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실시형태 1 의 변형예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결과 비교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실시형태 1)
[1] 전체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 (2) 와, 사용자 단말 (3) 을 구비하고 있다.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포장 (F1) (도 2 참조) 에서의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맵 (M1) (도 3 참조) 을 작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작업 맵 (M1) 은, 포장 (F1) 에서의 비료의 살포 작업 (요컨대 시비 작업) 에 사용되는 「시비 맵」 이다. 이와 같은 작업 맵 (M1) 은, 포장 (F1) 에서의 살포 작업 (시비 작업을 포함한다) 에 사용되는 작업 지원 정보 (D1) (도 2 참조) 의 1 종이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작업 지원 정보 (D1) 를 작성하는 작업 지원 정보 작성 시스템의 일례이다.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에서 작성되는 작업 맵 (M1) (작업 지원 정보 (D1)) 은, 예를 들어, 작업 기계 (4) 에 입력 가능한 형식으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으로부터 출력되고, 작업 기계 (4) 에서 사용된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작업 기계」 는, 포장 (F1) 을 이동하는 각종 작업용의 기계를 의미하고, 일례로서, 이앙기, 트랙터, 살포기, 분무기, 파종기, 이식기 및 콤바인 등의 작업 차량이다. 요컨대, 작업 기계는 작업 차량을 포함한다. 작업 기계 (4) 는, 이앙기 및 트랙터 등의 「차량」 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시비용 또는 농약 살포용의 드론 또는 멀티콥터 등의 작업 비상체 등이어도 된다. 또한, 작업 기계 (4) 는 농업 기계 (농기) 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건설 기계 (건기) 등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작업 기계 (4) 가 승용 타입의 이앙기로서, 적어도 살포물로서의 「비료」 의 살포 작업, 요컨대 시비 작업을 작업으로서 실행 가능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 본 개시에서 말하는 「포장」 은, 작업 기계 (4) 가 이동하면서, 예를 들어, 시비, 농약 살포, 파종, 식부 (모내기) 또는 수확 등의 각종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대상 영역으로서, 농산물을 육성하는 논, 밭, 과수원 및 목초지 등을 포함한다. 이 경우, 포장 (F1) 에서 육성되는 작물은 농산물이다. 또한, 식목밭에서 식목을 육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식목밭이 포장 (F1) 이 되고, 임업과 같이 삼림에서 목재가 되는 수목을 육성하는 경우에는 삼림이 포장 (F1) 이 된다. 이 경우, 포장 (F1) 에서 육성되는 작물은 식목 또는 수목 등이다. 이와 같은 포장 (F1) 은, 실공간 (실재하는 공간) 중의 특정한 장소이므로, 예를 들어, 지도 상의 주소, 또는 위도 및 경도 등을 가지고, 위치, 형상 및 크기 등이 나타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실공간 중에 있어서 작업 기계 (4) 가 이동하면서 각종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대상 영역이 포장 (F1) 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작업 대상 영역은, 포장 (F1) 이외여도 된다. 예를 들어, 작업 기계 (4) 가 건설 기계이면, 건설 기계가 작업을 실시하는 현장이 작업 대상 영역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포장 (F1) 이 옥외의 논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에서 작성되는 작업 맵 (M1) (작업 지원 정보 (D1)) 이 작업 기계 (4) 에서 사용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요컨대,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에서 작성되는 작업 맵 (M1) 에서 지원되는 작업은, 포장 (F1) 에서의 작물의 재배에 관련되는 작업이면 되고, 작업 기계 (4) 에서 실시되는 작업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람이 포장 (F1) 을 이동하면서 실시하는 작업과 같이, 포장 (F1) 에 있어서의 복수의 위치에서 사람에 의해 실시되는 작업에,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에서 작성되는 작업 맵 (M1) 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러한 종류의 작업의 일례로서, 사람이 비료 또는 약제 (농약) 등을 살포하는 살포 작업 (시비 작업을 포함한다)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살포 작업 등의 작업은, 작업 기계 (4) 로 실시해도 되지만, 사람에 의해 실시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사람이 살포 작업 등의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작업 맵 (M1) 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살포물 (비료 또는 약제 등) 의 살포량 등을 조정 가능하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작업 기계 (4) 에서 사용되는 작업 맵 (M1) (작업 지원 정보 (D1)) 을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에서 작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에서 작성되는 작업 맵 (M1) (작업 지원 정보 (D1)) 을 사용하는 작업 기계 (4) 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하지만, 작업 기계 (4) 가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단말 (3) 은,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지만, 사용자 단말 (3) 이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요컨대,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작업 기계 (4) 및 사용자 단말 (3) 의 적어도 일방을, 구성 요소에 포함해도 되고,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이 작업 기계 (4) 및 사용자 단말 (3) 의 양방을 구성 요소에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관리 서버 (2) 만을 구성 요소에 포함하게 된다.
관리 서버 (2) 및 사용자 단말 (3) 은 서로 통신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통신 가능」 이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전파 또는 광을 매체로 하는 통신) 의 적절한 통신 방식에 의해, 직접적, 또는 통신망 (네트워크) (N1) 혹은 중계기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정보를 수수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관리 서버 (2) 와 사용자 단말 (3) 은, 예를 들어, 인터넷, LAN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공중 전화 회선, 휴대 전화 회선망, 패킷 회선망 또는 무선 LAN 등을 통하여 통신 가능하다. 관리 서버 (2) 및 사용자 단말 (3) 간의 통신 수단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통신 수단에 의해 실현된다. 또, 관리 서버 (2) 및 사용자 단말 (3) 이 서로 통신 가능한 것은,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에 있어서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 (2) 와 사용자 단말 (3) 사이의 통신 기능이 없는 경우에도, 관리 서버 (2) 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고, 사용자 단말 (3) 에서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오프라인에서의 정보의 수수가 가능해진다.
한편, 사용자 단말 (3) 과 작업 기계 (4) 사이의 정보의 수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통신이 아니라 오프라인에서 실시된다. 요컨대, 사용자 단말 (3) 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고, 작업 기계 (4) 에서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오프라인에서의 정보의 수수가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 (3) 의 데이터 출력부 (36) 가, 사용자 단말 (3) 에 접속된 가반형의 기록 매체 (5) (도 2 참조) 에 작업 지원 정보 (D1) (작업 맵 (M1) 을 포함한다) 를 기입하고, 이 기록 매체 (5) 로부터 작업 기계 (4) 가 작업 지원 정보 (D1) 를 판독 출력한다. 이로써,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에서 작성된 작업 맵 (M1) (작업 지원 정보 (D1)) 을, 작업 기계 (4) 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3) 과 작업 기계 (4) 는 서로 통신 가능해도 되고, 이 경우, 사용자 단말 (3) 과 작업 기계 (4) 사이의 정보의 수수는 통신으로 실시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리 서버 (2) 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의 핵심이 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요컨대, 관리 서버 (2) 는, 작업 맵 (M1) (작업 지원 정보 (D1)) 을 작성 (생성)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 단말 (3) 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단말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3) 에서, 관리 서버 (2) 가 제공하는 작업 지원 서비스의 웹사이트 (일례로서 「작업 지원 사이트」) 에 액세스하여, 작업 맵 (M1) (작업 지원 정보 (D1)) 을 작성하기 위한 화면 (웹페이지) 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 (3) 은, 1 대여도 되고, 복수대여도 된다.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에서 작성되는 작업 맵 (M1) (작업 지원 정보 (D1)) 을 사용하는 작업 기계 (4) 에 대해서도, 1 대여도 되고, 복수대여도 된다. 복수대의 작업 기계 (4) 가 있는 경우, 이들 복수대의 작업 기계 (4) 는, 예를 들어, 1 또는 복수의 포장 (F1) 에 있어서, 살포물 (비료 또는 약제 등) 을 살포하는 살포 작업을 협동하여 실행한다. 또한, 작업 맵 (M1) (작업 지원 정보 (D1)) 을 사용하는 복수대의 작업 기계 (4) 는, 예를 들어, 이앙기, 트랙터 및 드론 등의, 서로 상이한 종류의 작업 기계 (4) 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2] 작업 기계
다음으로, 작업 기계 (4)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용 타입의 이앙기) 의 구성에 대해,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업 기계 (4) 는, 포장 (F1) 내를 이동하는 주행 블록 (41) 과, 작업을 실행하는 어태치먼트 블록 (42) 을 가지고 있다. 주행 블록 (41) 은, 동력원 (엔진, 모터 등), 변속 장치, 조타 장치, 조작 장치, 제어 장치 및 액추에이터 등을 가지고 있다. 주행 블록 (41) 은, 동력원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하여, 포장 (F1) 을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어태치먼트 블록 (42) 은, 주행 블록 (41) 에 연결 (장착, 탑재를 포함한다) 되고, 비료의 살포 (시비), 약제의 살포 (농약 살포) 등의 작업을 실시한다. 어태치먼트 블록 (42) 은, 예를 들어, 주행 블록 (41) 의 동력원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작업 기계 (4) 는, 자동 운전에 의해 동작 (자율 주행) 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기계 (4) 는, 예를 들어,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위성 측위 시스템을 사용하여 작업 기계 (4) 의 위치 (위도 및 경도) 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및 작업 기계 (4) 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 등을, 제어 장치에 포함하고 있다. 일례로서, 위치 검출부는, RKT (Real Time Kinematic) 측위와 같이, 비교적 고정밀도로 위치를 검출한다.
여기서, 작업 기계 (4) 의 제어 장치는, 1 이상의 프로세서와, 불휘발성 메모리 및 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의 1 이상의 기억 메모리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는, 가반형의 기록 매체 (5) 를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기록 매체 (5) 를 접속함으로써, 기록 매체 (5) 로부터 작업 지원 정보 (D1) (작업 맵 (M1) 을 포함한다) 를 판독 출력 가능하다. 제어 장치는, 현재의 작업 기계 (4) 의 위치 및 자세와,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작업 맵 (M1) 에 기초하여, 주행 블록 (41) 및 어태치먼트 블록 (42) 을 자동 제어한다. 이로써, 작업 기계 (4) 는, 작업 지원 정보 (D1) 에 따라, 자율적으로, 주행 경로를 따라 포장 (F1) 내를 주행하면서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기계 (4) 는, 적어도 비료의 살포 작업 (시비 작업) 을 실행한다. 그 때문에, 작업 기계 (4) 는, 작업 맵 (M1) 에서 지시되는 살포물 (비료) 의 살포량에 따라, 포장 (F1) 의 위치마다 살포량을 바꾸면서 살포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작업 맵 (M1) 에 따라 살포 작업 (시비 작업) 을 실행할 수 있다. 요컨대, 작업 맵 (M1) 에 있어서 포장 (F1) 의 각 위치의 살포량이 지시되어 있으면, 작업 기계 (4) 에 의해, 이 지시에 따른 분포로 살포물 (비료) 을 살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동일 포장 (F1) 중에서도, 위치마다 미세하게 살포량을 조정하면서의 살포 작업이, 자동적으로 실현 가능해진다.
단, 작업 기계 (4) 는, 자동 운전에 의해 동작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사람 (오퍼레이터) 의 조작 (원격 조작을 포함한다) 에 의해 동작해도 된다. 이 경우, 사람은, 예를 들어, 작업 기계 (4) 의 표시기 또는 사용자 단말 (3) 등에 표시되는 작업 맵 (M1) 을 보면서, 작업 맵 (M1) 에 따라 작업 기계 (4) 를 조작한다.
[3] 작업 맵
다음으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에서 작성되는 작업 맵 (M1) (작업 지원 정보 (D1)) 에 대해,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의 생성물인 작업 맵 (M1) 은, 살포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지원 정보 (D1) 의 1 종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지원 정보 (D1) 가 작업 맵 (M1) 을 포함한다. 작업 맵 (M1) 은, 복수의 구획 (K) (도 3 참조) 을 갖고, 또한 포장 (F1) 에 대응한다. 복수의 구획 (K) 은, 각각 살포물의 살포량을 나타내는 작업 지수가 설정된다. 이와 같이 살포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맵 (M1) 이며, 살포물의 살포량을 각 구획 (K) 의 작업 지수로 하는 작업 맵 (M1) 을, 「살포 맵」 이라고도 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살포 작업 중에서도 살포물로서 비료를 살포하는 시비 작업에 사용되고, 비료의 살포량 (시비량) 을 각 구획 (K) 의 작업 지수로 하는 작업 맵 (M1) 을, 「시비 맵」 이라고도 한다.
요컨대, 작업 지원 정보 (D1) 로서의 작업 맵 (M1) 은, 포장 (F1) 에 있어서의 복수의 구획 (K) 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서의 살포물의 살포량을 작업 지수로 하는 살포 맵을 포함한다. 또 말하자면, 작업 맵 (M1) 은, 포장 (F1) 에 있어서의 복수의 구획 (K) 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서의 시비량, 요컨대 살포물인 비료의 살포량을 작업 지수로 하는 시비 맵을 포함한다. 여기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작업 지수로서의 살포량은, 단위 면적당에 살포되는 살포물 (비료) 의 양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요컨대, 작업 지수로서의 살포량은, 각 구획 (K) 에 살포되는 살포물 (비료) 의 총량이 아니라, 각 구획 (K) 에 있어서의 살포물의 평균적인 양 (평균값) 이다. 일례로서, 단위 면적을 「10a」 로 하고, 살포물 (비료) 의 양을 중량 (㎏) 으로 나타낸다고 하면, 작업 지수로서의 살포량의 단위는 「㎏/10a」 가 된다. 단, 작업 지수는, 각 구획 (K) 에 있어서의 대표값이면 되고, 단위 면적당의 살포량과 같은 평균값에 한정되지 않고, 각 구획 (K) 에 있어서의 합계값, 중앙값, 최빈값, 최대값 또는 최소값 등의 대표값이어도 된다. 일례로서, 작업 지수로서의 살포량은, 각 구획 (K) 에 살포되는 살포물 (비료) 의 총량 (합계값) 등이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맵 (M1) 에 있어서의 복수의 구획 (K) 은, 포장 (F1) 그 자체가 아니고, 포장 (F1) 에 대응하는 작업 영역 (A1) (도 3 참조) 에 대해 설정된다. 작업 맵 (M1) 은, 이와 같이 작업 영역 (A1) 에 설정되는 복수의 구획 (K) 에, 각각 살포량 (시비량) 등의 작업 지수를 할당한 데이터이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작업 영역」 은, 포장 (F1) 에 대응하여 가상 공간에 설정되는 이차원 영역으로서, 작업 맵 (M1) 의 작성에 사용된다. 요컨대, 실공간 상에 존재하는 포장 (F1) 에 대응하여, 작업 맵 (M1) 의 작성용으로 가상 공간 상에 설정되는 영역이 작업 영역 (A1) 이다.
그 때문에, 본 개시에서 말하는 「구획」 은, 가상 공간 상의 작업 영역 (A1) 을 복수로 분할했을 때의,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분할 후의 개개의 영역을 의미한다. 복수의 구획 (K) 의 각각은, 예를 들어 정방형상 등의 미리 정해진 형상의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가상 공간 상에 작업 영역 (A1) 을 설정한 후에, 작업 영역 (A1) 에 복수의 구획 (K) 을 설정하고, 또한, 복수의 구획 (K) 에 작업 지수 (시비량) 를 할당함 (대응지음) 으로써, 작업 맵 (M1) 을 작성한다.
작업 맵 (M1) 은, 일례로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영역 (A1) 전체를 메시상으로 복수의 구획 (K) 으로 분할하고, 각 구획 (K) 에 작업 지수를 할당하여 작성된다. 도 3 에는, 작업 영역 (A1) 을 복수의 구획 (K) 으로 분할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각 구획 (K) 은, 대응하는 포장 (F1) 에 있어서의 실제 치수 환산으로 5 m × 5 m 의 정방형의 영역이다. 단, 각 구획 (K) 의 형상 및 크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의 좌측에는, 각 구획 (K) 의 식별 정보로서, X 좌표 (X 축) 및 Y 좌표 (Y 축) 의 좌표 정보 (구획 번호) 를 부여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맵 (M1) 은, 작업 영역 (A1) 의 구획 (K) 마다, 대응하는 「구획 번호」 및 「작업 지수」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맵 데이터이다. 구획 번호는, 구획 (K) 의 식별 정보이다. 이로써, 작업 지수 (살포량) 는, 구획 (K) 마다 등록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 맵 (M1) 은,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3) 에 표시됨으로써, 일례로서 도 3 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양태로 가시화된다. 도 3 의 예에서는, 작업 맵 (M1) 은, 작업 지수에 대해, 예를 들어, 다계조의 회색 농담 (그레이 스케일), 또는 각 색을 대응지은 양태를 채용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각 구획 (K) 에 대해, 색이 연할수록 살포량이 적고, 색이 진할수록 살포량이 많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작업 영역 (A1) 에 있어서의 구획 (K) 의 수 (분할수) 가 많아지면, 작업 맵 (M1) 은 보다 고정세가 된다. 작업 맵 (M1) 의 각 구획 (K) 에는, 작업 지수의 「수치」 를 표시하지 않아도 되고, 표시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작업 맵 (M1) 은, 작업 영역 (A1) 에 있어서의 작업 지수의 분포를 나타냄으로써, 이 작업 영역 (A1) 에 대응하는 포장 (F1) 전체에 있어서의 살포물 (비료) 의 살포량 (시비량) 의 분포를 나타내게 된다. 즉, 작업 맵 (M1) 에 따라 살포 작업이 실행됨으로써, 포장 (F1) 내에서의 살포물의 살포량을 각 구획 (K) 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 맵 (M1) 에 있어서의 작업 지수의 분포를, 실제의 포장 (F1) 에 대한 살포물 (비료) 의 살포량 (시비량) 의 분포에 반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작업 맵 (M1) 이 사용되는 작업은, 살포 작업 (시비 작업을 포함한다) 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작업 맵 (M1) 은, 일반화하면, 각각 작업 지수가 설정되는 복수의 구획 (K) 을 갖고, 또한 포장 (F1) 에 대응하는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지수는, 포장 (F1) 에 있어서의 각 구획 (K) 에 대응하는 위치마다에서의 작업에 관련된 어떠한 지수 (값) 로서, 예를 들어, 작업에 사용하는 자원량, 시간, 공정수, 작업 기계 (4) 의 각종 설정값 등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맵 (M1) 으로 나타내는 작업이 살포물의 살포 작업이므로, 포장에 있어서의 각 구획 (K) 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서의 살포물의 살포량, 보다 상세하게는 시비량, 요컨대 살포물인 비료의 살포량이 「작업 지수」 가 된다.
[4] 관리 서버
다음으로, 관리 서버 (2) 의 구성에 대해, 도 1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관리 서버 (2) 는, 정보 처리부 (1), 데이터 격납부 (21), 조작 접수부 (22) 및 (서버측) 통신부 (23) 등을 구비하는 서버이다. 관리 서버 (2) 는, 1 대의 컴퓨터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대의 컴퓨터가 협동하여 동작하는 컴퓨터 시스템이어도 된다. 또, 관리 서버 (2) 에서 실행되는 각종 처리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분산되어 실행되어도 된다.
데이터 격납부 (21) 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HDD (Hard Disk Drive) 또는 SSD (Solid State Drive) 등의 불휘발성의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데이터 격납부 (21) 에는, 정보 처리부 (1) 에 후술하는 작업 맵 (M1) 의 생성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 등의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 (기억) 되어 있다.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되고, 관리 서버 (2) 의 판독 장치에서 비일시적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어, 데이터 격납부 (21) 에 기억된다.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은, 관리 서버 (2) 이외의 서버로부터 전기 통신 회선 (통신망 (N1)) 을 통하여 관리 서버 (2) 에 제공 (다운로드) 되어, 데이터 격납부 (21) 에 기억되어도 된다.
또, 데이터 격납부 (21) 는, 작업 지원 정보 격납부 (211) 와 취득 정보 격납부 (212) 를 포함한다. 작업 지원 정보 격납부 (211) 는, 작업 맵 (M1) 을 포함하는 작업 지원 정보 (D1) 를 기억한다. 요컨대,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에서 작성 (생성) 되는 작업 지원 정보 (D1) (작업 맵 (M1) 을 포함한다) 는, 작업 지원 정보 격납부 (211) 에 기억된다. 취득 정보 격납부 (212) 는, 후술하는 정보 취득부 (13) 가 취득하는 여러 가지 정보를 기억한다.
조작 접수부 (22) 는, 사용자의 조작을 접수한다. 구체적으로는, 관리 서버 (2) 는 사용자 단말 (3) 과 통신 가능하므로, 조작 접수부 (22) 는, 후술하는 사용자 단말 (3) 의 조작부 (34) 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가 사용자 단말 (3) 로부터 송신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간접적으로 접수한다. 요컨대, 사용자 단말 (3) 을 사용자가 조작하면, 사용자 단말 (3) 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가 발생하고, 조작 신호가 사용자 단말 (3) 로부터 관리 서버 (2) 에 송신된다. 따라서, 조작 접수부 (22) 는, 관리 서버 (2) 가 사용자 단말 (3) 로부터 수신하는 조작 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을 접수할 수 있다. 또, 조작 접수부 (22) 는, 사용자 단말 (3) 의 조작부 (34) 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 (3) 이외의 조작부에 대한 사용자 (관리 서버 (2) 의 관리자 등) 의 조작을 접수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부는, 예를 들어, 관리 서버 (2) 에 형성되거나, 또는 관리 서버 (2) 에 부수하는, 터치 패널, 마우스 혹은 키보드 등으로 실현된다.
통신부 (23) 는, 사용자 단말 (3) 등의 외부 기기와의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부 (23) 는, 관리 서버 (2) 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망 (N1) 에 접속하고, 통신망 (N1) 을 통하여 1 이상의 사용자 단말 (3) 등과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정보 처리부 (1) 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1 이상의 프로세서와, ROM (Read Only Memory) 및 RAM 등의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여러 가지 처리 (정보 처리) 를 실행한다. 정보 처리부 (1) 는, 지정부 (11), 작성 처리부 (12), 정보 취득부 (13), 참고 정보 지정부 (14), 수정시 산출부 (15), 제시 처리부 (16), 산출부 (17) 및 제한부 (18) 등의 기능부를 갖는다. 정보 처리부 (1) 에 포함되는 이들 복수의 기능부는, 복수의 케이싱에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1 개의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지정부 (11) 는, 대상 포장으로서의 포장 (F1) 을 지정하는 지정 처리를 실행한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대상 포장」 은, 포장 (F1) 중, 작업 맵 (M1) 을 작성하는 대상이 되는 포장 (F1) 이다. 요컨대,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지정부 (11) 에서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된 포장 (F1) 에 대해, 작업 맵 (M1) 을 작성한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지정」 은, 사람에 의한 임의의 지정 뿐만 아니라, 디폴트로서의 값이 정해져 있는 등, 자동적으로 지정되는 양태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정부 (11) 에 의한 대상 포장으로서의 포장 (F1) 의 지정은, 사람에 의한 임의의 지정으로서, 특히, 사용자 단말 (3) 에 대한 사용자(사람) 의 조작에 따라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정부 (11) 는, 조작 접수부 (22) 가 접수하는, 사용자 단말 (3) 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어느 포장 (F1) 을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한다.
작성 처리부 (12) 는, 작업 지원 정보 (D1) 를 작성하는 작성 처리를 실행한다. 작업 지원 정보 (D1) 는 작업 맵 (M1) 을 포함하므로, 작성 처리부 (12) 는,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는 포장 (F1) 에 대해, 맵화 조건에 따라, 작업 맵 (M1) 을 작성한다. 여기서 말하는 「맵화 조건」 은, 작업 맵 (M1) 의 작성시에 정해진 조건 (룰) 으로서, 예를 들어,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에 포함시켜 데이터 격납부 (21) 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맵화 조건은 일례로서, 산출부 (17) 에서 산출되는 살포물의 살포량에 기초하여 작업 맵 (M1) 을 작성하는 것, 및 참고 맵 (M2) (도 15 참조) 에 기초하여 작업 맵 (M1) 을 작성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작성 처리부 (12) 는, 이와 같은 맵화 조건에 따름으로써, 자동적으로, 작업 맵 (M1) 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작성 처리부 (12) 는, 대상 포장에 대응하는 작업 영역 (A1) 을 설정하고, 맵화 조건에 따라, 작업 영역 (A1) 전체를 메시상으로 복수의 구획 (K) 으로 분할하고, 구획 (K) 마다 「구획 번호」 및 「작업 지수」 등의 정보를 할당함으로써, 작업 맵 (M1) 을 작성한다. 그리고, 작성 처리부 (12) 는, 작성한 작업 맵 (M1) 을 포함하는 작업 지원 정보 (D1) 를, 데이터 격납부 (21) 의 작업 지원 정보 격납부 (211) 에 기억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성 처리부 (12) 는, 신규 작성 모드 및 수정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를 가지고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들 모드를 전환 가능하다. 그리고, 작성 처리부 (12) 는, 신규 작성 모드에서는,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된 포장 (F1) 에 대해, 신규로 작업 지원 정보 (D1) (작업 맵 (M1)) 를 작성한다. 한편, 수정 모드에서는, 작성 처리부 (12) 는, 신규 작성 모드에서 작성된 작업 지원 정보 (D1) 에 대해, 수정을 가함으로써, 작업 지원 정보 (D1) 를 다시 작성한다. 요컨대, 본 개시에서는, 기존의 작업 지원 정보 (D1) (작업 맵 (M1)) 를 수정함으로써 새로운 작업 지원 정보 (D1) (작업 맵 (M1)) 로 하는 것도, 작업 지원 정보 (D1) (작업 맵 (M1)) 의 「작성」 에 포함시킨다. 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맵화 조건에 따른 작업 맵 (M1) 의 작성은 신규 작성 모드에서만 실행되고, 수정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수정 조작에 따라 작업 맵 (M1) 이 작성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접수부 (22) 가, 작성 처리부 (12) 에서 작성된 작업 맵 (M1) 에 대한 사용자의 수정 조작을 접수한다. 작성 처리부 (12) 는, 수정 조작에 따라, 작업 지수를 수정하여 작업 맵 (M1) 을 다시 작성한다. 일례로서, 작성 처리부 (12) 에서 작성된 작업 맵 (M1) 을 사용자 단말 (3) 에 표시시킨 상태에서, 당해 작업 맵 (M1) 에 대한 사용자의 수정 조작을 조작 접수부 (22) 가 접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성 처리부 (12) 는, 조건 판정부 (121) 와, 신규 작성부 (122) 와, 수정 처리부 (123) 를 가지고 있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조건 판정부 (121), 신규 작성부 (122) 및 수정 처리부 (123) 를 구비하고 있다. 조건 판정부 (121) 는, 맵화 조건의 판정을 실시한다. 신규 작성부 (122) 는, 신규 작성 모드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 (D1) (작업 맵 (M1)) 의 작성을 실시한다. 수정 처리부 (123) 는, 수정 모드에서의 작업 지원 정보 (D1) (작업 맵 (M1)) 의 작성을 실시한다.
그런데, 관련 기술로서, 예를 들어 수량 맵 등의 농업 맵에 기초하여, 포장 (F1) 에 대응하는 살포 맵 등의 작업 맵 (M1) 을 작성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상기 관련 기술의 구성에서는, 1 개의 포장 (F1) 이 선택되면, 당해 1 개의 포장 (F1) 에 대한 작업 맵 (M1) 이 작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포장 (F1) 에 대한 작업 맵 (M1) 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포장 (F1) 의 선택 (지정) 및 작업 맵 (M1) 의 작성을 포함하는 순서를, 포장 (F1) 의 수만큼 반복할 필요가 있어, 포장 (F1) 이 다수가 되면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작업 맵 (M1) 의 작성에 관련된 사용자의 부담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정부 (11) 는, 2 이상의 포장 (F1) 을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지정부 (11) 는, 1 개의 포장 (F1) 을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2 이상, 요컨대 복수의 포장 (F1) 에 대해서도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할 수 있다. 2 이상의 포장 (F1) 이 지정되는 경우, 대상 포장은, 이들 2 이상의 포장 (F1) 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작성 처리부 (12) 는,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는 2 이상의 포장 (F1) 에 대해, 맵화 조건에 따라, 2 이상의 포장 (F1) 의 각각에 대응하는 작업 맵 (M1) 을, 일괄적으로 작성한다. 각 작업 맵 (M1) 은, 각각 작업 지수가 설정되는 복수의 구획 (K) 을 갖는다. 여기서, 기본적으로는, 1 개의 포장 (F1) 에 대해 1 개의 작업 맵 (M1) 이 작성되므로,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는 포장 (F1) 과 동수의 작업 맵 (M1) 이 일괄적으로 작성된다. 요컨대, 예를 들어, 2 개의 포장 (F1) 이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어 있으면 2 개의 작업 맵 (M1) 이, 5 개의 포장 (F1) 이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어 있으면 5 개의 작업 맵 (M1) 이, 각각 일괄적으로 작성된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일괄적으로 작성」 은, 동시에 작성하는 것, 및 동시가 아니어도 하나로 통합하여 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서, 대상 포장으로서 2 개의 포장 (F1) 이 지정되는 경우, 2 개의 포장 (F1) 이 통합하여 지정된 상태에서, 포장 (F1) 을 다시 지정하는 일 없이 2 개의 포장 (F1) 에 대한 작업 맵 (M1) 이 작성되어 있으면, 작업 맵 (M1) 은 「일괄적으로 작성」 되어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대상 포장으로서의 2 이상의 포장 (F1) 에 대해, 1 개씩 포장 (F1) 을 지정하여, 작업 맵 (M1) 이 작성되는 경우, 작업 맵 (M1) 은 「일괄적으로 작성」 되어 있지 않게 된다. 요컨대, 작업 맵 (M1) 이 「일괄적으로 작성」 되는 경우에는, 2 이상의 포장 (F1) 에 대해, 통합하여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된 상태에서, 대상 포장을 다시 지정하는 일 없이, 모든 대상 포장의 작업 맵 (M1) 이 작성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2 이상의 포장 (F1) 에 대해 작업 맵 (M1) 을 작성하는 경우에도, 이들 2 이상의 포장 (F1) 을 대상 포장으로서 통합하여 지정하고, 이들 2 이상의 포장 (F1) 에 대해 작업 맵 (M1) 을 일괄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장 (F1) 의 선택 (지정) 및 작업 맵 (M1) 의 작성을 포함하는 순서를, 포장 (F1) 의 수만큼 반복할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에 의하면, 작업 맵 (M1) 의 작성에 관련된 사용자의 부담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동일한 사용자가, 수십, 수백에도 미치는, 다수의 포장 (F1) 을 관리하는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고, 이와 같은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작업 맵 (M1) 의 작성에 관련된 부담의 대폭적인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
정보 취득부 (13) 는, 여러 가지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처리를 실행한다. 정보 취득부 (13) 는, 관리 서버 (2) 의 내부로부터, 또는 관리 서버 (2) 의 외부로부터, 여러 가지 정보를 취득한다. 관리 서버 (2) 의 내부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 정보 취득부 (13) 는, 예를 들어, 조작 접수부 (22) 가 접수하는, 사용자 단말 (3) 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정보를, 조작 접수부 (22) 로부터 취득한다. 이로써, 정보 취득부 (13) 가 취득하는 정보를, 사람 (사용자) 이 임의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관리 서버 (2) 의 외부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는, 정보 취득부 (13) 는, 예를 들어, 통신부 (23) 에서의 통신을 사용하여 정보를 취득한다. 이 경우, 정보 취득부 (13) 는, 관리 서버 (2) 의 외부의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인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정보 취득부 (13) 는, 취득한 여러 가지 정보를, 데이터 격납부 (21) 의 취득 정보 격납부 (212) 에 기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취득부 (13) 는, 참고 정보 취득부 (131) 와, 종별 취득부 (132) 와, 특정량 취득부 (133) 와, 살포량 취득부 (134) 와, 작업 방법 취득부 (135) 를 가지고 있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참고 정보 취득부 (131), 종별 취득부 (132), 특정량 취득부 (133), 살포량 취득부 (134) 및 작업 방법 취득부 (135) 를 구비하고 있다.
참고 정보 취득부 (131) 는, 참고 정보를 취득한다. 참고 정보는, 작성 처리부 (12) 가 작업 지원 정보 (D1) (작업 맵 (M1)) 를 작성할 때에 참고로 하는 정보로서, 일례로서, 참고 맵 (M2) 등을 포함한다. 요컨대, 맵화 조건으로서, 참고 맵 (M2) 에 기초하여 작업 맵 (M1) 을 작성하는 것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참고 정보 취득부 (131) 가 취득하는 참고 맵 (M2) 에 기초하여, 작성 처리부 (12)가 작업 맵 (M1) 을 작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참고 정보에 대해서는, 관리 서버 (2) 의 외부로부터 취득된다.
종별 취득부 (132) 는, 종별 정보를 취득한다. 종별 정보는, 포장 (F1) 에 대한 살포 작업에 사용하는 살포물의 종별에 관한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살포 작업은 시비 작업이며, 살포물은 비료를 포함한다. 그 때문에, 종별 정보는 비료의 종별에 관한 정보이다. 종별 정보는, 일례로서, 비료명과 같이 비료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살포물 (비료) 에 있어서의 특정 성분의 함유율, 및 1 봉지당의 살포물 (비료) 의 중량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별 정보에 대해서는, 관리 서버 (2) 의 내부로부터 취득된다.
특정량 취득부 (133) 는, 특정량 정보를 취득한다. 특정량 정보는, 살포물의 특정 성분에 대해 포장 (F1) 의 단위 면적당의 분량인 특정량에 관한 정보이다. 여기서 말하는 「특정 성분」 은, 살포물에 포함되는 1 이상의 성분 중 1 이상의 성분이며, 기본적으로는, 포장 (F1) 에 대한 살포 작업에 있어서, 살포물의 주성분으로서 포장 (F1) 에 대한 효과가 기대되는 성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살포물이 비료이므로, 일례로서, 특정 성분은 질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특정 성분의 단위 면적당의 분량 (살포량) 이 「특정량」 이며, 이 특정량에 관한 특정량 정보가, 특정량 취득부 (133) 에서 취득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정량 정보에 대해서는, 관리 서버 (2) 의 내부로부터 취득된다.
살포량 취득부 (134) 는, 살포량 정보를 취득한다. 살포량 정보는, 포장 (F1) 의 단위 면적당의 살포물의 살포량에 관한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살포물이 비료이므로, 살포량 방법은, 포장 (F1) 의 단위 면적당의 비료의 살포량, 요컨대 시비량에 관한 정보이다. 일례로서, 살포량 정보는 표준 시비량을 포함한다. 여기서 말하는 「표준 시비량」 은, 어느 포장 (F1) 에 대해 규정되는 표준적인 단위 면적당의 시비량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살포량 정보에 대해서는, 관리 서버 (2) 의 내부로부터 취득된다.
작업 방법 취득부 (135) 는, 작업 방법 정보를 취득한다. 작업 방법 정보는, 포장 (F1) 에 대한 살포 작업의 방법에 관한 정보이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살포 작업의 방법」 은, 살포 작업의 종별, 순서, 시기 (계절 등을 포함한다), 사용하는 작업 기계 (4) 의 종별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살포 작업은 시비 작업이므로, 살포 작업의 방법은, 원비 (元肥) 와 추비를 포함한다. 그 때문에, 작업 방법 정보는, 살포 작업 (시비 작업) 이 「원비」 인지 「추비」 인지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원비」 는 「전층 시비」 와 「측조 시비」 를 포함한다. 요컨대, 작업 방법 정보는, 일례로서, 「원비」 와 「추비」 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 또한 「원비」 인 경우에는 「전층 시비」 와 「측조 시비」 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방법 정보에 대해서는, 관리 서버 (2) 의 내부로부터 취득된다.
참고 정보 지정부 (14) 는, 포장 (F1) 에 대응하여 참고 맵 (M2) 등의 참고 정보를 지정하는 참고 정보 지정 처리를 실행한다. 요컨대, 맵화 조건으로서, 참고 맵 (M2) 에 기초하여 작업 맵 (M1) 을 작성하는 것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참고 정보 지정부 (14) 가 지정하는 참고 맵 (M2) 에 기초하여, 작성 처리부 (12)가 작업 맵 (M1) 을 작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참고 정보 지정부 (14) 에 의한 참고 정보의 지정은, 사람에 의한 임의의 지정으로서, 특히, 사용자 단말 (3) 에 대한 사용자 (사람) 의 조작에 따라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참고 정보 지정부 (14) 는, 조작 접수부 (22) 가 접수하는, 사용자 단말 (3) 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참고 정보로서 사용하는 참고 맵 (M2) 을 지정한다.
수정시 산출부 (15) 는, 수정 후의 작업 맵 (M1) 에 기초하는 포장 (F1) 의 작업에 필요한 총 자원량을 산출하는 수정시 산출 처리를 실행한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총 자원량」 은, 작업에 필요한 특정한 자원의 총량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맵 (M1) 이 사용되는 포장 (F1) 에서의 작업은 살포 작업, 특히 시비 작업이므로, 「총 자원량」 은 일례로서, 총 시비량, 요컨대 작업 맵 (M1) 에 대응하는 포장 (F1) 전체에서의 시비 작업에 필요해지는 시비량 (비료의 양) 이다. 요컨대, 작성 처리부 (12) 가, 신규 작성 모드에서 작성된 작업 지원 정보 (D1) 에 대해, 수정 모드에서 수정을 실시했을 경우, 수정 후의 작업 맵 (M1) 에 기초하는 작업에서 필요하게 되는 총 자원량은 변화한다. 수정시 산출부 (15) 는, 이와 같이 수정에 의해 변화한 후 (요컨대 수정 후) 의 총 자원량을 재계산에 의해 구한다.
제시 처리부 (16) 는, 사용자에 대해 여러 가지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시 처리부 (16) 는, 적어도 총 자원량을 사용자에게 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수정시 산출부 (15) 에서 수정 후의 총 자원량이 산출된 경우에는, 이 총 자원량을 제시 처리부 (16) 에서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시 처리부 (16) 는, 표시 처리부 (161) 를 갖는다. 표시 처리부 (161) 는, 수정 후의 총 자원량 등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정보를 표시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처리부 (161) 는, 결과 일람 화면 (P1) (도 5 참조) 및 포장 설정 화면 (P2) (도 6 참조) 등의 각종 화면을 생성하고, 이들 화면을,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 표시시킨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결과 일람 화면 (P1) 등의 「화면」 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화상) 을 의미하고, 도상, 도형, 사진, 텍스트 및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그 때문에, 정보 처리부 (1) 는, 예를 들어, 조작 접수부 (22) 에 대한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데이터 격납부 (21) 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맵 (M1) 등을 표시 또는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출부 (17) 는,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량으로부터 살포물의 살포량을 산출하는 산출 처리를 실행한다. 요컨대, 산출부 (17) 에 의하면, 종별 취득부 (132) 에서 취득되는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량 취득부 (133) 에서 취득되는 특정량 정보로 나타내는 특정량으로부터, 살포물의 살포량이 산출된다. 구체적으로는, 산출부 (17) 는, 종별 정보에 포함되는 살포물 (비료) 에 있어서의 특정 성분의 함유율을 사용하여, 특정 성분의 단위 면적당의 분량 (살포량) 인 특정량으로부터, 살포물 전체의 살포량을 산출한다.
그런데, 관련 기술로서, 포장 (F1) 을 나타낸 필드를 복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하고, 에어리어에 수확량의 데이터를 할당한 메시형의 수량 맵을 표시하고, 수량 맵과 동일 화면 상에, 에어리어마다의 살포량을 입력하기 위한 살포 입력부를 표시하는 기술이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수량 맵을 보면서, 작업 맵 (M1) (살포 맵) 을 작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관련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에어리어마다의 살포량을 입력하는 경우, 살포물의 중량을 입력하지만, 사용자에 따라서는, 살포물의 중량을 하나하나 계산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작업 맵 (M1) 등의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작성이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에 따라서는, 살포물이 비료인 경우에 작물마다 비료의 특정 성분에 주목하여, 당해 특정 성분의 중량을 가지고 살포량을 정하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살포량의 입력이 매우 번거로워,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작성이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작업 지원 정보 작성 시스템) 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폭넓은 사용자에 대해,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작성에 관련된 사용자의 부담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성 처리부 (12) 는, 산출부 (17) 에서 산출되는 살포물의 살포량에 기초하여 작업 지원 정보 (D1) 를 작성한다. 요컨대, 작성 처리부 (12) 는, 포장 (F1) 의 단위 면적당의 살포물의 살포량에 관한 살포량 정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특정량 취득부 (133) 가 취득하는 특정량 정보로부터, 산출부 (17) 가 산출한 살포량을 사용하는 것으로도, 작업 지원 정보 (D1) 를 작성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살포물이 비료인 경우에 작물마다 비료의 특정 성분에 주목하여, 당해 특정 성분의 중량을 가지고 살포량을 결정하는 사용자라도, 비교적 간단하게,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작성이 가능해진다. 요컨대, 이와 같은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살포물 (비료) 의 살포량 (시비량) 대신에, 비료의 특정 성분에 대한 포장 (F1) 의 단위 면적당의 분량인 「특정량」 을 입력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따라서는,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작성에 필요한 살포물의 살포량을 직접적으로 입력하지 않고, 특정 성분에 대한 특정량을 입력함으로써,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작성에 필요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비료의 특정 성분에 주목하여, 당해 특정 성분의 중량을 가지고 살포량을 결정하는 사용자라도, 살포물의 중량을 하나하나 계산할 필요가 없어, 작업 맵 (M1) 등의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작성에 관련된 부담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작업 지원 정보 작성 시스템) 에 의하면, 폭넓은 사용자에 대해,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작성에 관련된 사용자의 부담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한부 (18) 는,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작성시에, 살포물의 살포량에 대해 입력되는 입력 설정값을 제한하는 제한 처리를 실행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성 처리부 (12) 가 살포물의 살포량에 기초하여 작업 지원 정보 (D1) 를 작성하는 바, 이 살포량에 대해 입력되는 입력 설정값은, 제한부 (18) 에서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작업 지원 정보 (D1) 는, 살포 작업을 지원하는 정보이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제한」 은, 입력 설정값의 입력을 적극적으로 제한하는 적극적인 제한과, 입력 설정값의 입력을 소극적으로 제한하는 소극적인 제한의 양방을 포함한다. 적극적인 제한은, 예를 들어, 입력 설정값의 입력을 무효화하거나, 또는 입력 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한 선택지 및 화면 등으로의 이행을 금지함으로써 구현화된다. 소극적인 제한은, 예를 들어, 입력 설정값의 입력시에 「상한은 100 ㎏/10a 입니다」 등의 주의문을 표시함으로써 구현화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 설정값에 대해, 상한, 하한 및 범위의 적어도 1 개를 제한함으로써 제한한다.
그런데, 상기 관련 기술의 구성에서는, 에어리어마다의 살포량은,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하거나, 또는 농업 맵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되지만, 살포 작업의 방법에 따라서는 부적절해지는 살포량이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살포물이 비료인 경우, 살포 작업의 방법 (시비 방법) 이 원비인지 추비인지에 의해 적절한 살포량이 대폭 상이하지만, 이와 같은 살포 작업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살포량의 판별을 잘못하는 등을 하여, 부적절한 살포량이 설정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작업 지원 정보 작성 시스템) 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살포물의 살포량을 적절히 설정하기 쉽게 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한부 (18) 는,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작성시에, 살포물의 살포량에 대해 입력되는 입력 설정값을, 작업 방법 정보에 기초하여 제한한다. 요컨대, 제한부 (18) 는, 살포물의 살포량에 대해 입력되는 값 (입력 설정값) 을 제한하는 경우, 작업 방법 취득부 (135) 가 취득하는 작업 방법 정보에 기초하여, 제한을 실시한다. 또, 제한부 (18) 에 의해 입력 설정값이 제한되는 타이밍은,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작성시이므로, 작성 처리부 (12) 가 신규 작성 모드에서 작업 맵 (M1) 을 작성할 때, 수정 모드에서 작업 맵 (M1) 을 작성할 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살포 작업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살포량이 입력되기 쉬워지도록, 제한부 (18) 가 입력 설정값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례로서, 살포물이 비료인 경우, 살포 작업의 방법 (시비 방법) 이 원비인지 추비인지에 의해 적절한 살포량이 대폭 상이하므로, 살포 작업의 방법에 관한 작업 방법 정보에 기초하여, 제한부 (18) 가 입력 설정값을 제한한다. 이로써, 가령 사용자가 살포 작업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살포량의 판별을 잘못하는 등을 했을 경우에도, 제한부 (18) 가 잘못된 살포량의 입력을 제한하고, 결과적으로, 적절한 살포량이 설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작업 지원 정보 작성 시스템) 에 의하면, 살포물의 살포량을 적절히 설정하기 쉬워진다.
정보 처리부 (1) 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로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에 따른 각종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종 기능부 (처리부) 로서 기능한다. 또, 정보 처리부 (1) 에 있어서의 상기 각종 기능부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은, 복수의 프로세서를 기능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각 기능부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는, 「[6] 작업 맵의 생성 방법」 의 란에서 설명한다.
[5] 사용자 단말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3) 의 구성에 대해, 도 1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 (3) 은, 제어부 (31), 기억부 (32), 표시부 (33), 조작부 (34), 통신부 (35) 및 데이터 출력부 (36) 등을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 (3) 은,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단말, 스마트폰 또는 휴대 전화 등의 정보 처리 장치 (통신 단말) 이다.
기억부 (32) 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HDD, SSD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부이다. 예를 들어, 기억부 (32) 에는, 브라우저 프로그램 등의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구체적으로, 브라우저 프로그램은,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관리 서버 (2)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 처리를 제어부 (31) 에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다. 또, 제어 프로그램은, 관리 서버 (2) 와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어도 된다.
표시부 (33) 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같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 (제시)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표시부 (33) 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해 각종 정보를 표시에 의해 제시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단말 (3) 은, 브라우저 기능을 가지고 있고, 표시부 (33) 에는, 각종 웹페이지 등의 정보를 표시 가능하다.
조작부 (34) 는, 터치 패널, 마우스 또는 키보드와 같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조작부 (34) 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각종 조작을 접수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단말 (3) 은, 브라우저 기능을 가지고 있고, 조작부 (34) 는,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웹페이지 상에서의 각종 조작을 접수 가능하다.
통신부 (35) 는, 관리 서버 (2) 등의 외부 기기와의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부 (35) 는, 사용자 단말 (3) 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망 (N1) 에 접속하고, 통신망 (N1) 을 통하여 관리 서버 (2) 등과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데이터 출력부 (36) 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3) 의 외부 장치에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데이터 출력부 (36) 는, 적어도 작업 지원 정보 (D1) (작업 맵 (M1) 을 포함한다) 를, 작업 기계 (4) 에 입력 가능한 형식으로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일례로서, 데이터 출력부 (36) 는, USB 메모리로 이루어지는 기록 매체 (5) 를 분리 가능하게 접속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고, 기록 매체 (5) 가 접속된 상태에서, 기록 매체 (5) 로의 데이터 (작업 지원 정보 (D1) 등) 의 기입을 실시한다.
제어부 (31) 는, CPU 등의 1 이상의 프로세서와, ROM 및 RAM 등의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CPU 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이다. ROM 은, CPU 에 각종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BIOS (Basic Input Output System) 및 OS (Operating System) 등의 제어 프로그램이 미리 기억된 불휘발성의 메모리이다. RAM 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의 메모리이고, CPU 가 실행하는 각종 처리의 일시 기억 메모리 (작업 영역) 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제어부 (31) 는, ROM 또는 기억부 (32) 에 미리 기억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CPU 로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 (3) 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31) 는, 기억부 (32) 에 기억되어 있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브라우저 처리부 (311) 로서 기능한다. 브라우저 처리부 (311) 는, 관리 서버 (2) 로부터 통신망 (N1) 을 통하여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표시부 (33) 에 표시시키고, 조작부 (34) 에 대한 조작을 관리 서버 (2) 에 입력하는 브라우저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 단말 (3) 은, 제어부 (31) 에 의해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관리 서버 (2) 의 조작용 단말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 (3) 에서는, 관리 서버 (2) 에서 제공되는 작업 지원 서비스의 웹 사이트 (작업 지원 사이트) 에 대응하는 소정의 URL 로의 액세스 요구를 실시하기 위한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실시됨으로써, 이하의 동작을 개시한다. 즉, 사용자 단말 (3) 은, 상기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 제어부 (31) 에서, 관리 서버 (2) 로부터 작업 지원 사이트의 웹페이지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때,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3) 에 표시되는 작업 지원 사이트에 있어서, 각종 화면 (결과 일람 화면 (P1) 및 포장 설정 화면 (P2) 등) 의 표시 지시를 실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 (3) 은, 지시된 각종 화면을 표시부 (33) 에 표시시킨다. 각종 화면은, 사용자 단말 (3) 에 있어서 작업 지원 사이트에 로그인함으로써 사용자 단말 (3) 에서 표시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URL 로의 액세스 요구를 위한 조작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미리 등록된 웹 사이트의 일람으로부터의 선택 조작, 또는 텍스트 입력 조작 등에 의해 실현된다. 또, 사용자 단말 (3) 에 관리 서버 (2) 에 대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소정의 URL 로의 액세스 요구가 이루어져, 표시부 (33) 에 작업 지원 사이트가 표시된다.
사용자 단말 (3) 이 관리 서버 (2) 와 통신 가능한 한, 사용자는, 어디에서나 사용자 단말 (3) 에서 작업 지원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어, 작업 지원 정보 (D1) (작업 맵 (M1)) 의 작성, 확인 및 출력 (기록 매체 (5) 로의 기입) 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3) 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작업 기계 (4) 를 조작 (운전) 하는 오퍼레이터와 동일인이어도 되고, 동일인이 아니어도 된다. 또, 사용자 단말 (3) 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관해, 예를 들어, 포장 (F1) 의 오너와 같이 1 개의 포장 (F1) 에 대해 단일의 사용자가 설정되어도 되고, 1 개의 포장 (F1) 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가 설정되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어, 1 개의 포장 (F1) 이어도, 작업마다 상이한 사용자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개인과 법인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개인 또는 법인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단체 (조직) 여도 된다. 또, 사용자 단말 (3) 은, 1 사용자에 대해 1 대 형성되어도 되고,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1 대 형성되어도 되고, 1 사용자에 대해 복수대 형성되어도 된다.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1 대의 사용자 단말 (3) 이 형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 ID 등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의 각각을 식별 가능하다.
[6] 작업 맵의 생성 방법
이하, 도 4 ∼ 도 18 을 참조하면서, 주로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 맵 (M1) 의 생성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포장 (F1) 에서의 비료의 살포 작업 (요컨대 시비 작업) 에 사용되는 시비 맵을, 작업 맵 (M1) 의 생성 방법에 의한 생성물 (작업 맵 (M1)) 의 예로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맵 (M1) 의 생성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을 주구성으로 하는 정보 처리부 (1) 에서 실행되므로, 바꿔 말하면,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으로 구현화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은, 작업 맵 (M1) 의 생성 방법에 관련된 각 처리를 1 이상의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이와 같은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및 사용자 단말 (3) 의 제어부 (31) 에 의해 협동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여기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미리 설정된 특정한 개시 조작이 사용자 단말 (3) 에 대해 실시된 경우에, 작업 맵 (M1) 의 생성 방법에 관련된 하기의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개시 조작은, 예를 들어, 관리 서버 (2) 에 대한 사용자 단말 (3) 의 접속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기동), 그리고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수반하는 작업 지원 사이트로의 로그인 등을 포함한다. 한편,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미리 설정된 특정한 종료 조작이 사용자 단말 (3) 에 대해 실시된 경우에, 작업 맵 (M1) 의 생성 방법에 관련된 하기의 각종 처리를 종료한다. 종료 조작은, 예를 들어, 로그아웃, 및 관리 서버 (2) 와 사용자 단말 (3) 사이의 접속 절단 등을 포함한다.
또, 작업 맵 (M1) 의 생성 방법은, 기본적으로, 표시 처리부 (161) 에 의한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 대한 각종 화면의 표시 처리를 수반한다.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주된 화면으로는, 결과 일람 화면 (P1), 포장 설정 화면 (P2),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도 8 참조), 결과 확인 화면 (P4) (도 11 참조), 결과 비교 화면 (P5) (도 15 참조), 결과 수정 화면 (P6) (도 16 참조) 및 출력 화면 (P7) (도 18 참조) 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표시 처리부 (161)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과 일람 화면 (P1) 을 홈 화면으로 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즉,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시 조작에 의해, 먼저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는, 홈 화면인 결과 일람 화면 (P1) 이 표시된다. 그리고, 결과 일람 화면 (P1) 중의 신규 작성 버튼 (B11) 이 조작되면, 결과 일람 화면 (P1) 으로부터 포장 설정 화면 (P2) 으로 천이한다. 또, 포장 설정 화면 (P2) 중의 파라미터 설정 버튼 (B21) 이 조작되면, 포장 설정 화면 (P2) 으로부터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으로 천이한다. 한편, 결과 일람 화면 (P1) 중의 결과 확인 버튼 (B12) 이 조작되면, 결과 일람 화면 (P1) 으로부터 결과 확인 화면 (P4) 으로 천이한다. 또, 결과 확인 화면 (P4) 중의 비교 버튼 (B41) 이 조작되면, 결과 확인 화면 (P4) 으로부터 결과 비교 화면 (P5) 으로 천이한다. 결과 확인 화면 (P4) 중의 수정 버튼 (B42) 이 조작되면, 결과 확인 화면 (P4) 으로부터 결과 수정 화면 (P6) 으로 천이한다. 또, 결과 일람 화면 (P1) 중의 출력 버튼 (B13) 이 조작되면, 결과 일람 화면 (P1) 으로부터 출력 화면 (P7) 으로 천이한다. 그리고, 출력 화면 (P7) 중의 기입 버튼 (B71) 이 조작되면, 작업 지원 정보 (D1) (작업 맵 (M1)) 가, 작업 기계 (4) 에서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기록 매체 (5) 에 기입된다.
신규 작성 버튼 (B11) 등의 화면 중의 「버튼」 은,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화면 중에 포함되는 오브젝트로서, 당해 버튼의 조작은, 당해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단말 (3) 의 조작부 (34) 에 대한 조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결과 일람 화면 (P1) 중의 신규 작성 버튼 (B11) 에 커서를 맞추어 클릭하거나, 또는 결과 일람 화면 (P1) 중의 신규 작성 버튼 (B11) 을 터치하는 등의 조작을 조작부 (34) 에서 실시함으로써, 신규 작성 버튼 (B11) 을 조작할 수 있다. 또, 도 5 등의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 영역을 나타내는 일점 쇄선, 인출선 및 참조 부호는, 모두 설명을 위해서 부여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실제로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6.1] 결과 일람 화면
먼저, 홈 화면인 결과 일람 화면 (P1) 에 대해 설명한다. 결과 일람 화면 (P1) 은, 시뮬레이션 결과의 일람을 표시하는 화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업 맵 (M1) 의 작성을 「시뮬레이션」 이라고도 부른다. 요컨대, 결과 일람 화면 (P1) 은,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작업 맵 (M1) 의 생성 방법으로 작성 (생성) 된 작업 맵 (M1) 의 일람을 표시한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성 처리부 (12)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 이상의 포장 (F1) 에 대해 일괄적으로 작업 맵 (M1) 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들 2 이상의 포장 (F1) 에 대응하는 2 이상의 작업 맵 (M1) 이 1 개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결과 일람 화면 (P1)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람 표시 영역 (R11) 과, 조작 영역 (R12) 을 포함한다. 일람 표시 영역 (R11) 에는, 시뮬레이션 결과, 요컨대 작성된 작업 맵 (M1) 에 관한 정보가 일람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일람 표시 영역 (R11) 은, 일례로서, 각 행이 개개의 시뮬레이션 결과 (작업 맵 (M1)) 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세로 방향 (상하 방향) 으로 나란히 표시한다. 그리고, 일람 표시 영역 (R11) 은, 가로 방향 (좌우 방향) 으로 복수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시뮬레이션 결과에 관한 정보가 복수의 항목으로 나누어져 표시된다. 도 5 의 예에서는, 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선택용의 체크 박스, 식별 번호, 년도, 그룹명, 시뮬레이션명, 시비 방법, 총 시비량, 실시일, 스테이터스의 항목이 표시되어 있다. 선택용의 체크 박스는, 어느 시뮬레이션 결과의 출력 (기록 매체 (5) 로의 기입) 또는 삭제시에, 당해 시뮬레이션 결과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룹명에는, 일례로서, 작물의 품종이 입력된다. 또, 스테이터스의 항목에는, 시뮬레이션 결과의 현재의 상황이 표시된다.
도 5 의 예에서는, 스테이터스로는, 「계산 중」, 「결과 확인」 또는 「결과 수정」 의 문자 (텍스트) 가 표시된다. 「계산 중」 은, 작업 맵 (M1) 을 작성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연산의 실행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결과 확인」 은, 작업 맵 (M1) 을 작성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연산이 완료되고, 시뮬레이션 결과로서의 작업 맵 (M1) 을 확인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결과 수정」 은, 작업 맵 (M1) 의 수정이 실시된 상태, 요컨대 작업 맵 (M1) 이 다시 작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계산 중」 이외의 상태, 요컨대 「결과 확인」 및 「결과 수정」 에 대해서는, 각각 조작 가능한 결과 확인 버튼 (B12) 의 오브젝트로서 겸용된다. 또, 「결과 확인」 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오브젝트 (결과 확인 버튼 (B12)) 표시색으로 다시 2 개의 상태로 구분되고, 일방의 색 (일례로서 적색) 이 미확인의 상태, 타방의 색 (일례로서 녹색) 이 확인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일람 표시 영역 (R11) 에는, 슬라이드 바 또는 커서가 표시되고, 일람 표시 영역 (R11) 의 표시 내용을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해도 된다.
조작 영역 (R12) 에는, 일례로서, 일람 표시 영역 (R11) 에 표시하는 시뮬레이션 결과 (작업 맵 (M1)) 에 대해, 여러 가지 검색 조건으로 검색을 실시하기 위한 입력란이 표시된다. 또한, 조작 영역 (R12) 에는, 신규 작성 버튼 (B11), 출력 버튼 (B13), 검색 버튼 (B14) 및 삭제 버튼 (B15) 등, 사용자의 조작 대상이 되는 복수의 버튼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입력란에는, 년도, 시비 방법 및 실시일 등의 검색 조건을 입력 가능하고, 이들 검색 조건이 입력된 상태에서, 검색 버튼 (B14) 이 조작되면,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시뮬레이션 결과가 일람 표시 영역 (R11) 에 표시된다. 실시일에 관해서는, 시뮬레이션의 실시 기간을 검색 조건으로서 지정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실시 기간의 개시 (실시 기간의 시기) 및 종료 (실시 기간의 종기) 를 입력 가능하다. 여기서, 정보 처리부 (1) 는, 데이터 격납부 (21) 의 작업 지원 정보 격납부 (211) 로부터, 일람 표시 영역 (R11) 에 표시하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검색한다. 삭제 버튼 (B15) 은, 일람 표시 영역 (R11) 에 표시되어 있는 시뮬레이션 결과 중, 체크 박스에서 선택 중인 시뮬레이션 결과를 삭제하기 위한 버튼이다.
[6.2] 지정 처리
다음으로, 작업 맵 (M1) 의 작성 대상이 되는 대상 포장으로서의 포장 (F1) 을 지정하기 위한 「지정 처리」 에 대해 설명한다. 지정 처리는, 작성 처리부 (12) 가 신규 작성 모드에서 작업 맵 (M1) 을 신규로 작성하는 작성 처리시에 실행된다.
지정 처리에서는, 표시 처리부 (161) 는, 포장 설정 화면 (P2) 을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 표시시킨다. 요컨대, 결과 일람 화면 (P1) 에 있어서, 신규 작성 버튼 (B11) 이 조작되는 것을 가지고, 지정 처리가 개시되고,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화면은, 결과 일람 화면 (P1) 으로부터 포장 설정 화면 (P2) 으로 천이한다.
포장 설정 화면 (P2) 은, 대상 포장으로서의 포장 (F1) 을 지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에게 대응지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등록 포장 중에서, 대상 포장으로서의 포장 (F1) 을 지정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등록 포장의 등록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작업 기계 (4) 의 가동 정보 (주행 경로를 포함한다) 등으로부터 포장 (F1) 을 자동적으로 특정 (추출) 하여 등록하는 자동 등록과, 지도 등에 있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포장 (F1) 을 선택하여 등록하는 수동 등록의 2 종류의 방법이 있다. 어느 방법이든, 등록 포장의 등록은, 포장 (F1) 에 관한 정보를, 예를 들어 데이터 격납부 (21) 에 기억하는 것을 가지고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포장명 및 주소 등의 포장 (F1) 을 식별하기 위한 포장 식별 정보, 그리고, 포장 (F1) 의 위치, 형상 및 크기 등을 특정하는 정보, 일례로서 포장 (F1) 의 외형선의 좌표 정보 등이, 등록 포장에 관한 정보로서 데이터 격납부 (21) 에 기억된다. 좌표 정보는, 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 등으로 나타낸다.
또한, 등록 포장에는, 등록 포장으로서의 포장 (F1) 에서 실시된 작업에 관한 작업 정보가 대응지어져 기억된다. 작업 정보는, 예를 들어, 작업의 종별 (파종, 모내기, 시비, 수확 등을 포함한다),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기계 (4) 의 가동 정보 (주행 경로를 포함한다), 작업 시간, 작업 효율 (면적/작업 시간), 시비량, 식부 깊이, 토양 특성 (토양 경도 및 경반 깊이 등을 포함한다), 경운 깊이 및 리프트각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작업의 결과, 포장 (F1) 에서 생육된 작물의 수확량 (수량), 작물의 식미 (단백질 함유량 또는 수분 함유량 등을 포함한다), 및 작물의 생육 상황 등의 정보에 대해서도, 작업 정보로서 등록 포장에 대응지어 기억된다. 이들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수량 맵, 식미 맵, 생육 맵, 토양 맵 및 실적 시비 맵 등의 각종 실적 맵도 또한, 작업 정보로서 등록 포장에 대응지어 기억된다.
수량 맵은, 포장 (F1) 을 복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했을 경우에, 에어리어마다의 수량 (단위 면적당의 평균 수확량 등) 이 각 에어리어에 할당된 맵 데이터이다. 식미 맵은, 포장 (F1) 을 복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했을 경우에, 에어리어마다의 단백질 함유량 또는 수분 함유량 등의 식미가 각 에어리어에 할당된 맵 데이터이다. 생육 맵은, 포장 (F1) 을 복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했을 경우에, 에어리어마다의 작물의 생육 상황이 각 에어리어에 할당된 맵 데이터이다. 작물의 생육 상황은, 일례로서, 작물을 작부한 포장 (F1) 을 드론 등으로 상공에서 촬상하고, 촬상한 촬상 화상을 NDVI, DVI, RVI, GNDVI, SAVI, TSAVI, CAI, MTCI, REP, PRI 또는 RSI 등의, 각종 식생 지표로 해석하여 얻어진다. 특히, 정규화 식생 지수 (NDVI :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에 의해 얻어지는 생육 맵을, 「NDVI 맵」 이라고도 한다. 토양 맵은, 포장 (F1) 을 복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했을 경우에, 에어리어마다의 토양 경도 및 경반 깊이 등을 포함하는 토양 특성이 각 에어리어에 할당된 맵 데이터이다. 실적 시비 맵은, 포장 (F1) 을 복수의 에어리어로 분할했을 경우에, 에어리어마다의 시비량 (비료의 살포량) 이 각 에어리어에 할당된 맵 데이터로서, 과거의 시비 작업에 사용된 맵 데이터, 요컨대 과거의 시비 작업의 실적을 나타내는 맵 데이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등록 포장으로서의 포장 (F1) 에 대응되어 있는 이들 실적 맵이, 참고 정보의 일례인 참고 맵 (M2) 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작업 정보는, 작업에 관한 시각 정보 (일례로서 개시 일시 및 종료 일시) 등도 포함하고 있다. 이로써, 수량 맵, 식미 맵 및 생육 맵 등의 실적 맵에 대해, 언제의 작업에 의한 실적인지를, 특정 가능한 양태로 작업 정보가 기억되게 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포장 (F1) 에 대해서도, 년도마다, 수량 맵, 식미 맵 및 생육 맵 등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포장 설정 화면 (P2) 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지정 영역 (R21) 과, 조작 영역 (R22) 을 포함한다. 포장 지정 영역 (R21) 에는, 대상 포장으로서의 포장 (F1) 을 지정하기 위한 정보가 표시된다. 요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포장 설정 화면 (P2) 의 포장 지정 영역 (R21) 에 있어서, 등록 포장으로서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포장 (F1) 중에서, 임의의 포장 (F1) 을 선택하여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포장 지정 영역 (R21) 은, 일례로서, 포장 (F1) 을 지정하기 위한 지도 또는 항공 사진 등의 화상 (Im2) 과,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된 포장 (F1) 의 일람을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지정부 (11) 는, 화상 (Im2) 상에서의 포장 (F1) 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대상 포장을 지정한다. 화상 (Im2) 은, 적어도 1 개의 포장 (F1) 을 포함하고 있고, 이 화상 (Im2) 상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커서 등에 의해 임의의 포장 (F1) 을 선택하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당해 임의의 포장 (F1) 을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한다.
도 6 의 예에서는, 화상 (Im2) 내에 5 개의 포장 (F11 ∼ F15) 이 표시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들 5 개의 포장 (F11 ∼ F15) 을 모두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포장 지정 영역 (R21) 에 있어서의 화상 (Im2) 의 우측에는, 포장 (F11) 인 「포장 6」, 포장 (F12) 인 「포장 10」, 포장 (F13) 인 「포장 3」, 포장 (F14) 인 「포장 4」, 포장 (F15) 인 「포장 8」 이 나란히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포장 설정 화면 (P2) 은, 각 행이 개개의 포장 (F1) 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대상 포장을 세로 방향 (상하 방향) 으로 나란히 표시한다.
그리고, 각 대상 포장에는, 지정되어 있는 참고 맵 (M2) 의 정보가 나란히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된 포장 (F1) 에, 복수의 실적 맵이 대응지어져 있는 경우에는, 참고 맵 (M2) 으로서 지정하는 실적 맵을, 다른 실적 맵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된 포장 (F1) 에 대해, 실적 맵이 대응지어져 있지 않은 등의 이유에서,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참고 맵 (M2) 의 정보는 「없음」 으로 표시된다. 도 6 의 예에서는, 「포장 6」 (포장 (F11)) 및 「포장 10」 (포장 (F12)) 에 대해서는, 참고 맵 (M2) 으로서 2019년 6월의 생육 맵 (NDVI 맵) 이 지정되어 있다. 그 밖의 포장 (F13 ∼ F15) 에 대해서는,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
또, 대상 포장으로서의 포장 (F1) 의 지정의 구체적인 수단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커서 등에 의해 화상 (Im2) 상에서 임의의 범위를 지정하는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당해 임의의 범위에 포함되는 포장 (F1) 을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임의의 범위에 복수의 포장 (F1) 이 포함되어 있으면, 이들 복수의 포장 (F1) 이 일괄적으로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된다. 또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포장명, 주소, 또는 위도 및 경도 등의 포장 (F1) 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대상 포장으로서의 포장 (F1) 을 지정해도 된다. 또한, 화상 (Im2) 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예를 들어, 지도/항공 사진의 전환, 스크롤, 확대/축소 및 페이지 전환 등의 동작도 가능하다.
조작 영역 (R22) 에는, 일례로서, 년도, 작물, 품종 및 그룹명 등, 여러 가지 검색 조건으로 등록 포장의 검색을 실시하기 위한 입력란이 표시된다. 이 입력란에서 입력된 년도 및 작물 등에 의해, 화상 (Im2) 에 표시되는 포장 (F1) 이 좁혀지게 된다. 또한, 조작 영역 (R22) 에는, 파라미터 설정 버튼 (B21), 포장수를 설정하기 위한 포장수 설정 버튼 (B22, B23), 시비 방법 (살포 작업의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설정 버튼 (B24), 되돌아가기 버튼 (B25) 등, 사용자의 조작 대상이 되는 복수의 버튼이 표시된다. 포장수 설정 버튼 (B22, B23) 은, 작업 맵 (M1) 의 작성을 실시하는 대상 포장으로서, 복수의 포장 (F1) 을 지정할지, 단일의 포장 (F1) 을 지정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라디오 버튼이다. 포장수 설정 버튼 (B22) 이 선택됨으로써, 대상 포장으로서 복수의 포장 (F1) 을 지정 가능해지고, 포장수 설정 버튼 (B23) 이 선택됨으로써, 대상 포장으로서 단일의 포장 (F1) 을 지정 가능해진다. 방법 설정 버튼 (B24) 은, 전층 시비, 측조 시비, 및 추비의 3 개 중에서, 어느 시비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라디오 버튼이다. 전층 시비 및 측조 시비는, 「원비」 에 포함된다. 되돌아가기 버튼 (B25) 은, 1 개 전의 화면, 요컨대 결과 일람 화면 (P1) 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이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참고 맵 (M2) 에 대해 우선 순위가 설정된다. 그리고, 복수의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는 포장 (F1) 에 대해서는, 이 우선 순위에 따라, 어느 참고 맵 (M2) 을 작업 맵 (M1) 의 작성에 사용할지가 결정된다. 그 때문에, 복수의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는 포장 (F1) 에 대해서는, 그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제 1 우선의) 참고 맵 (M2) 이, 포장 설정 화면 (P2) 에 있어서의 포장 지정 영역 (R21) 에 디폴트로 표시된다. 즉, 작성 처리부 (12) 는, 복수의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는 포장 (F1) 에 대해서는, 복수의 참고 맵 (M2) 중, 우선 순위에 따라 선택되는 1 이상의 참고 맵 (M2) 에 기초하여 작업 맵 (M1) 을 작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성 처리부 (12) 의 조건 판정부 (121) 가 우선 순위를 참조함으로써, 작업 맵 (M1) 의 작성에 사용하는 참고 맵 (M2) 을 결정한다. 이로써, 작성 처리부 (12) 는, 우선 순위가 높은 참고 맵 (M2) 으로부터 순서대로 사용하고, 우선 순위가 높은 참고 맵 (M2) 이 대응지어져 있지 않은 포장 (F1) 에 대해서는, 그 다음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참고 맵 (M2) 을 사용하여 작업 맵 (M1) 을 작성한다.
이와 같은 우선 순위는,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우선 순위 설정 화면 (P21)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다. 도 7 에서는 일례로서, 우선 순위 설정 화면 (P21) 은, 시비 방법 (살포 작업의 방법) 마다, 제 1 우선, 제 2 우선 및 제 3 우선으로서의 참고 맵 (M2) 을 설정 가능하다. 도 7 의 예에서는, 「전층 시비」 에 대해서는, 작년 가을의 생육 맵 (NDVI 맵) 이 제 1 우선으로, 작년의 수량 맵이 제 2 우선으로, 지력 맵이 제 3 우선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층 시비가 실시되는 포장 (F1) 에 있어서는, 작년 가을의 생육 맵이 대응지어져 있으면 당해 생육 맵이, 작년 가을의 생육 맵이 대응지어져 있지 않으면 작년의 수량 맵이, 각각 참고 맵 (M2) 으로서 작업 맵 (M1) 의 작성에 사용된다. 또, 제 1 우선, 제 2 우선 및 제 3 우선 중 어느 것에도 참고 맵 (M2) 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우선 순위는, 예를 들어, 사용자마다 설정된다.
[6.3] 파라미터 설정 처리
다음으로, 작업 맵 (M1) 의 작성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설정 처리」 에 대해 설명한다. 파라미터 설정 처리는, 작성 처리부 (12) 가 신규 작성 모드에서 작업 맵 (M1) 을 신규로 작성하는 작성 처리시에 실행된다.
파라미터 설정 처리에서는, 표시 처리부 (161) 는,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을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 표시시킨다. 요컨대, 포장 설정 화면 (P2) 에 있어서, 파라미터 설정 버튼 (B21) 이 조작되는 것을 가지고, 파라미터 설정 처리가 개시되고,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화면은, 포장 설정 화면 (P2) 으로부터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으로 천이한다.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은, 작업 맵 (M1) 의 작성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여기서 말하는 「파라미터」 는, 살포 작업으로 살포되는 살포물 (비료) 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일례로서 표준 시비량을 포함한다. 「표준 시비량」 은, 어느 포장 (F1) 에 대해 규정되는 표준적인 단위 면적당의 시비량으로서, 예를 들어, 「㎏/10a」 의 단위로 나타낸다. 요컨대,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에서 설정되는 파라미터는, 적어도 살포물의 살포량 (시비량) 을 포함하고 있다.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 영역 (R31) 과, 참조 영역 (R32) 을 포함한다. 설정 영역 (R31) 에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가 표시된다. 요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의 설정 영역 (R31) 에 있어서, 작업 맵 (M1) 의 작성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입력한다. 또, 참조 영역 (R32) 에는, 참조용으로,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어 있는 포장 (F1) 에 대한 NDVI 값의 「최대값」, 「최빈값」 및 「최소값」 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설정 영역 (R31) 은, 일례로서, 복수의 입력란 (C31 ∼ C38) 과, 작성 버튼 (B31), 되돌아가기 버튼 (B32) 및 참조 버튼 (B33) 등, 사용자의 조작 대상이 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있다. 입력란 (C31) 은 비료명을, 입력란 (C32) 은 질소 함유율을, 입력란 (C33) 은 1 봉지당의 중량을, 입력란 (C34) 는 표준 시비량을, 입력란 (C35) 은 질소 중량을, 예를 들어 각각 프리 텍스트로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다. 입력란 (C36) 에는, 표준 시비량으로서 입력 가능한 최대 시비량이 자동 삽입되고, 입력란 (C37) 에는, 표준 시비량으로서 입력 가능한 최소 시비량이 자동 삽입된다. 입력란 (C38) 은, 작업 맵 (M1) 의 메시 사이즈, 요컨대 구획 (K) 의 사이즈를, 예를 들어 선택 방식으로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다. 되돌아가기 버튼 (B32) 은, 1 개 전에 화면, 요컨대 포장 설정 화면 (P2) 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이다. 참조 버튼 (B33) 은, 과거의 파라미터의 입력 이력을 참조하여, 입력 이력으로부터 파라미터를 인용하기 위한 버튼이다.
예를 들어, 참조 버튼 (B33) 이 조작되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참조 화면 (P31) 이 표시부 (33) 에 표시된다. 참조 화면 (P31) 은,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에서의 입력 이력에 기초하는 화면으로서, 과거에 입력된 비료명, 질소 함유율, 및 1 봉지당의 중량 등의 항목이 표시되어 있다. 이 참조 화면 (P31) 에 있어서, 임의의 비료를 선택하고, 반영 버튼 (B311) 이 조작되면, 선택된 비료의 정보가, 입력란 (C31 ∼ C33) 에 자동 삽입된다. 참조 화면 (P31) 중의 삭제 버튼 (B312) 을 조작함으로써, 불필요한 입력 이력을 삭제할 수도 있다. 도 9 의 예에서는, 참조 화면 (P31) 은, 팝업 윈도우로서,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상에 겹쳐 표시되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으로부터 참조 화면 (P31) 으로 전환되어도 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의 표시 중에, 산출부 (17) 가 산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작성 처리부 (12) 는, 산출부 (17) 에서 산출되는 살포물의 살포량에 기초하여 작업 지원 정보 (D1) 를 작성하므로, 살포물의 살포량 (표준 시비량) 을 입력하는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의 표시 중에, 산출부 (17) 에 의한 산출 처리가 실행된다. 산출부 (17) 는, 종별 취득부 (132) 에서 취득되는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량 취득부 (133) 에서 취득되는 특정량 정보로 나타내는 특정량으로부터, 살포물의 살포량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산출부 (17) 는, 입력란 (C32) 에 입력되는 질소 함유율을 포함하는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란 (C35) 에 입력되는 질소 중량으로부터, 표준 시비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부 (17) 에서 산출되는 표준 시비량은, 입력란 (C34) 에 자동 삽입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도 10 의 상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란 (C35) 에 질소 중량을 입력하면, 도 10 의 하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란 (C34) 에 표준 시비량이 자동적으로 입력되게 된다. 도 10 의 예에서는, 질소 중량으로서 「33.00 ㎏/10a」 가 입력되어 있으므로, 산출부 (17) 는, 종별 정보 중의 질소 함유율로 「33.00」 을 나눔으로써, 살포물 (비료) 의 살포량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되는 살포량 (도 10 의 예에서는 「73.33 ㎏/10a」) 이, 표준 시비량으로서 입력란 (C34) 에 자동적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작물마다 비료의 특정 성분 (예를 들어 질소) 에 주목하여, 당해 특정 성분의 중량을 가지고 살포량을 결정하는 사용자라도, 비교적 간단하게, 표준 시비량을 입력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지원 정보 (D1) 는 복수의 구획 (K) 을 갖는 작업 맵 (M1) 을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산출부 (17) 에서 산출되는 표준 시비량은, 작업 맵 (M1) 에 있어서의 복수의 구획 (K) 의 작업 지수에 반영된다. 바꿔 말하면, 작성 처리부 (12) 는, 산출부 (17) 에서 산출되는 살포물의 살포량에 기초하여, 작업 맵 (M1) 에 있어서의 복수의 구획 (K) 의 각각의 작업 지수를 설정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는, 입력란 (C34) 에 대해 직접적으로 표준 시비량을 입력할 수도 있다. 입력란 (C34) 에 대해 직접적으로 표준 시비량이 입력되면, 이 표준 시비량이 살포량 취득부 (134) 에서 살포량 정보로서 취득된다. 그리고, 작성 처리부 (12) 는, 살포량 취득부 (134) 에서 살포량 정보가 취득되면, 산출부 (17) 에서 산출되는 살포물의 살포량 대신에, 살포량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지원 정보 (D1) 를 작성한다. 즉, 입력란 (C34) 에 대해 직접적으로 표준 시비량이 입력되면, 당해 표준 시비량이, 산출부 (17) 에서 산출되는 표준 시비량 대신에, 작업 맵 (M1) 의 작성에 사용된다. 이로써, 특정량이 아니라 시비량 (표준 시비량) 을 가지고 살포량을 정하는 사용자라도, 간단하게, 표준 시비량을 입력 가능해진다.
또한, 산출부 (17) 는, 살포량 취득부 (134) 에서 살포량 정보가 취득되면,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살포물의 살포량으로부터 특정량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산출부 (17) 는, 살포량 취득부 (134) 에서 취득된 살포량 (표준 시비량) 에, 정보 중의 질소 함유율을 곱함으로써, 특정량으로서의 질소 중량을 산출한다. 요컨대, 산출부 (17) 는, 특정량 (질소 중량) 으로부터 살포량 (표준 시비량) 을 산출할 뿐만 아니라, 반대로, 살포량 (표준 시비량) 으로부터 특정량 (질소 중량) 을 산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량 (질소 중량) 과 살포량 (표준 시비량) 은, 산출부 (17) 에서 서로 변환 가능한 관계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처리부 (161) 는, 특정량과 살포물의 살포량의 양방을 한 화면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중에 있어서, 입력란 (C35) 에는 특정량 (질소 중량), 입력란 (C34) 에는 살포물의 살포량 (표준 시비량) 이 표시된다. 이로써, 특정량과 살포물의 살포량을 육안으로 대비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의 표시 중에, 제한부 (18) 는 제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작성 처리부 (12) 는, 제한부 (18) 에서 입력 설정값이 제한되는 살포물의 살포량에 기초하여 작업 지원 정보 (D1) 를 작성하므로, 살포물의 살포량 (표준 시비량) 을 입력하는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의 표시 중에, 제한부 (18) 에 의한 제한 처리가 실행된다. 제한부 (18) 는,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작성시에, 살포물의 살포량에 대해 입력되는 입력 설정값을, 작업 방법 정보에 기초하여 제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한부 (18) 는, 포장 설정 화면 (P2) 에서 선택된 시비 방법 (전층 시비, 측조 시비 또는 추비) 에 기초하여, 입력란 (C34) 에 입력되는 표준 시비량의 입력 설정값을 제한한다. 따라서, 시비 방법의 종별에 의해 필요해지는 비료량에 차이가 있는 것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비료량의 입력을 사전에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제한부 (18) 는, 입력 설정값의 입력의 적극적인 제한과, 소극적인 제한의 양방을 실시한다. 적극적인 제한으로는, 제한부 (18) 는, 예를 들어, 입력 설정값의 상한값을 제한하는 경우, 입력란 (C34) 에 입력되는 표준 시비량에 대해, 그 상한값 이상의 값의 입력을 금지한다. 소극적인 제한으로는, 제한부 (18) 는, 예를 들어, 입력 설정값의 상한값을 제한하는 경우, 그 상한값을 입력란 (C36) 에 자동 삽입하고, 입력 설정값의 하한값을 제한하는 경우, 그 하한값을 입력란 (C37) 에 자동 삽입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입력란 (C36) 및 입력란 (C37) 의 표시에 의해, 입력 가능한 표준 시비량을 파악한 후에 표준 시비량을 입력할 수 있고, 또한, 입력을 잘못한 경우에는 당해 잘못된 입력이 금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산출부 (17) 에 의해 질소 중량으로부터 산출되는 표준 시비량이 입력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한부 (18) 는, 질소 중량의 입력 설정값을 제한함으로써, 표준 시비량의 입력 설정값을 간접적으로 제한한다. 또, 후술하는 가변 시비 맵에 있어서는, 상한값 및 하한값 뿐만 아니라, 그 시비량의 편차의 범위 등에 대해서도, 제한부 (18) 에서 입력 설정값을 제한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살포 작업의 방법 (시비 방법) 은, 원비와 추비를 포함하므로, 제한부 (18) 는, 시비 방법이 원비인지 추비인지에 의해, 입력 설정값의 제한을 변경한다. 특히, 제한부 (18) 는, 추비에 대해서는 원비의 경우에 비해, 입력 설정값의 상한값을 작게 제한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에 있어서 표준 시비량을 설정할 때, 시비 방법이 추비이면, 원비의 경우에 비해, 입력 가능한 표준 시비량의 상한값이 작게 제한된다. 따라서, 추비에서의 과도한 시비량의 설정이 자동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비는, 전층 시비와 측조 시비를 포함하므로, 제한부 (18) 는, 시비 방법이 전층 시비인지 측조 시비인지에 의해, 입력 설정값의 제한을 변경한다. 특히, 제한부 (18) 는, 측조 시비에 대해서는 전층 시비의 경우에 비해, 입력 설정값의 상한값을 작게 제한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에 있어서 표준 시비량을 설정할 때, 시비 방법이 측조 시비이면, 전층 시비의 경우에 비해, 입력 가능한 표준 시비량의 상한값이 작게 제한된다. 따라서, 원비 시비에서도, 필요한 시비량에 명확한 차이가 원리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 구별하여 과도한 시비량의 설정이 자동적으로 억제된다. 여기서, 추비의 경우에는, 측조 시비의 경우에 비해, 입력 설정값의 상한값은 더욱 작게 제한된다.
또, 작업 방법 정보는, 살포 작업에 사용하는 작업 기계 (4) 의 종별을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한부 (18) 는, 일례로서, 작업 기계 (4) 의 종별이 전층 시비용의 살포기인지 측조 시비용의 살포기인지에 의해, 입력 설정값의 제한을 변경해도 된다. 또한, 작업 기계 (4) 의 종별에는, 예를 들어, 이앙기, 트랙터, 드론과 같은 종별도 있으므로, 제한부 (18) 는, 일례로서, 작업 기계 (4) 의 종별이 이앙기인지 트랙터인지 드론인지에 의해, 입력 설정값의 제한을 변경해도 된다.
[6.4] 작성 처리
다음으로, 작업 맵 (M1) 을 작성하는 「작성 처리」 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먼저, 작성 처리부 (12) 가 신규 작성 모드에서 작업 맵 (M1) 을 신규로 작성하는 작성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작성 처리의 실행 중은, 표시 처리부 (161) 는, 결과 일람 화면 (P1) 을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에 있어서, 작성 버튼 (B31) 이 조작되는 것을 가지고, 작성 처리가 개시되고,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화면은,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으로부터 결과 일람 화면 (P1) 으로 천이한다. 그리고, 작성 처리의 실행 중에 있어서는, 결과 일람 화면 (P1) 의 스테이터스는 「계산 중」 이 된다. 작성 처리가 완료되면, 표시 처리부 (161) 는, 결과 확인 화면 (P4) 을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 표시 가능해진다. 요컨대, 결과 일람 화면 (P1) 의 스테이터스는 「결과 확인」 이 되고, 이 상태에서, 결과 확인 버튼 (B12) 이 조작되는 것을 가지고,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화면은, 결과 일람 화면 (P1) 으로부터 결과 확인 화면 (P4) 으로 천이한다.
결과 확인 화면 (P4) 은, 작성된 작업 맵 (M1) 을 확인하기 위한 화면이다. 결과 확인 화면 (P4) 은,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맵 (M1) 을 표시하기 위한 지도 또는 항공 사진 등의 화상 (Im4) 과, 비교 버튼 (B41), 수정 버튼 (B42), 되돌아가기 버튼 (B43) 및 보존 버튼 (B44) 등, 사용자의 조작 대상이 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결과 확인 화면 (P4) 은, 화상 (Im4) 의 하방에, 총 시비량 (총 자원량) 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란 (C41) 을 가지고 있다. 되돌아가기 버튼 (B43) 은, 결과 일람 화면 (P1) 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이다. 보존 버튼 (B44) 은, 시뮬레이션 결과 (작업 맵 (M1)) 를 보존하기 위한 버튼이다.
화상 (Im4) 은, 적어도 1 개의 작업 맵 (M1) 을 포함하고 있고, 이 화상 (Im4) 상에서, 사용자는, 작업 맵 (M1) 의 확인을 실시한다. 도 11 의 예에서는, 화상 (Im4) 내에 5 개의 포장 (F11 ∼ F15) 에 각각 대응하는 5 개의 작업 맵 (M11 ∼ M15) 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포장 (F11) 에 대응하는 작업 맵 (M11), 및 포장 (F12) 에 대응하는 작업 맵 (M12) 은, 가변 시비 맵이며, 그 밖의 작업 맵 (M13 ∼ M15) 은, 일정 시비 맵이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가변 시비 맵」 은, 포장 (F1) 에 대응하는 작업 영역 (A1) 에 설정되는 복수의 구획 (K) 사이에서, 작업 지수 (시비량) 에 편차를 갖는 작업 맵 (M1) 이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일정 시비 맵」 은, 포장 (F1) 에 대응하는 작업 영역 (A1) 에 설정되는 복수의 구획 (K) 사이에서, 작업 지수 (시비량) 에 편차를 갖지 않는, 요컨대 복수의 구획 (K) 에 대해 균일하게 작업 지수가 설정된 작업 맵 (M1) 이다. 그 때문에, 일정 시비 맵인 작업 맵 (M13 ∼ M15) 은, 작업 영역 (A1) 을 고르게 빈틈없이 칠한 「솔리드 도포」 로 표시된다.
가변 시비 맵과 일정 시비 맵은, 화상 (Im4) 상에서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지만, 보다 구별하기 쉬워지도록, 가변 시비 맵과 일정 시비 맵에서 표시 양태가 바뀌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 처리부 (161)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맵 (M1) 의 외주의 선종 또는 색 등을, 가변 시비 맵과 일정 시비 맵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양자를 보다 구별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여기에 있어서, 가변 시비 맵과, 일정 시비 맵 중 어느 것을 작성할지는, 맵화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포장 (F1) 에 대응하여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가변 시비 맵과 일정 시비 맵 중 어느 것이 선택적으로 작성된다. 그리고,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변 시비 맵이 작성되도록, 맵화 조건이 규정되어 있다. 요컨대, 맵화 조건은, 포장 (F1) 에 대응하여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으면, 참고 맵 (M2) 에 기초하여, 작업 지수를 복수의 구획 (K) 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작업 맵 (M1) (가변 시비 맵) 을 작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맵화 조건은, 포장 (F1) 에 대응하여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작업 지수를 복수의 구획 (K) 에 대해 균일하게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맵화 조건에 따름으로써,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는 포장 (F1) 에 대해서는, 가변 시비 맵이 작성되고,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포장 (F1) 에 대해서는, 일정 시비 맵이 작성된다. 따라서, 도 11 의 예에서는,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는 포장 (F11, F12) 에 대해서만, 가변 시비 맵이 작성되어 있다. 요컨대, 포장 (F11, F12) 은, 모두 참고 맵 (M2) 으로서 2019년 6월의 생육 맵 (NDVI 맵) 이 지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포장 (F11, F12) 의 작업 맵 (M11, M12) 에 대해서는, 생육 맵에 기초하여 작성된 가변 시비 맵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성 처리부 (12) 는, 생육 맵에 기초하여, 포장 (F1) 중에서도 작물의 생육이 지연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위치에 관해서는, 시비량을 많게 하여 생육을 촉진하도록, 작업 맵 (M1) 을 작성한다. 그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생육 맵을 반전시킨 것과 같은 작업 맵 (M1) 이 생성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수량 맵, 식미 맵, 생육 맵, 토양 맵 및 실적 시비 맵 등의 각종 실적 맵이, 참고 맵 (M2) 으로서 이용된다.
요컨대, 참고 맵 (M2) 은, 포장 (F1) 내에서의 작물의 생육 상황의 분포를 나타내는 생육 맵을 포함한다. 이로써, 작물의 생육이 지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생육을 촉진시키는, 작업 맵 (M1) 을 작성 가능해진다. 그리고, 생육 맵은, 포장 (F1) 에 있어서의 복수의 소영역 (에어리어) 마다의 생육 상황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생육 맵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작업 맵 (M1) 은, 복수의 소영역 (에어리어) 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획 (K) 을 갖는다. 이로써, 구획 (K) 마다의 생육 상황을 반영한 정치 (精緻) 한 작업 맵 (M1) 이 작성 가능해진다.
또, 참고 맵 (M2) 은, 포장 (F1) 내에서의 작물의 수확량의 분포를 나타내는 수량 맵을 포함한다. 이로써, 작물의 수확량이 적은 경우에는 생육을 촉진시키는, 작업 맵 (M1) 을 작성 가능해진다. 그리고, 수량 맵은, 포장 (F1) 에 있어서의 복수의 소영역 (에어리어) 마다의 수확량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수량 맵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작업 맵 (M1) 은, 복수의 소영역 (에어리어) 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획 (K) 을 갖는다. 이로써, 구획 (K) 마다의 수확량을 반영한 정치한 작업 맵 (M1) 이 작성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12 ∼ 도 14 를 참조하면서, 작성 처리에 관련된 관리 서버 (2) 의 처리의 순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중의 산출 관련 처리 (S7)는, 산출 처리에 관한 일련의 처리를 포함하는, 그 상세를 도 13 의 플로 차트에 나타낸다. 도 12 중의 제한 관련 처리 (S8) 는, 제한 처리에 관한 일련의 처리를 포함하는, 그 상세를 도 14 의 플로 차트에 나타낸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결과 일람 화면 (P1) 중의 신규 작성 버튼 (B11) 이 조작되면 (S1 : Yes), 지정 처리 (S2) 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 포장 설정 화면 (P2) 을 표시시킨다 (S3). 이 상태에서,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대상 포장으로서의 포장 (F1) 의 지정을 접수한다.
스텝 S4 에 있어서, 포장 설정 화면 (P2) 중의 파라미터 설정 버튼 (B21) 이 조작되면 (S4 : Yes),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파라미터 설정 처리 (S5) 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을 표시시킨다 (S6). 이 상태에서,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산출 관련 처리 (S7) 및 제한 관련 처리 (S8) 를 실행하면서, 작업 맵 (M1) 의 작성을 위한 파라미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스텝 S9 에 있어서,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중의 작성 버튼 (B31) 이 조작되면 (S9 : Yes),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대상 포장으로서의 포장 (F1) 에 대해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10).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는 포장 (F1) 에 대해서는 (S10 : Yes),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참고 맵 (M2) 에 관한 참고 정보를 취득하고 (S11), 참고 맵 (M2) 에 기초하여 가변 시비 맵을 작성한다 (S12). 한편, 참고 맵 (M2) 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포장 (F1) 에 대해서는 (S10 : No),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일정 시비 맵을 작성한다 (S13).
스텝 S14 에 있어서,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어 있는 모든 포장 (F1) 에 대해, 작업 맵 (M1) 의 작성 처리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요컨대, 지정 처리 (S2) 에 있어서, 2 이상의 포장 (F1) 이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어 있는 경우,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이들 2 이상의 포장 (F1) 모두에 대해, 스텝 S10 ∼ S14 를 실행한다. 이로써, 작성 처리부 (12) 는,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는 2 이상의 포장 (F1) 에 대해, 맵화 조건에 따라, 2 이상의 포장 (F1) 의 각각에 대응하는 작업 맵 (M1) 을, 일괄적으로 작성하게 된다.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어 있는 모든 포장 (F1) 에 대해, 작업 맵 (M1) 의 작성 처리가 종료되면 (S14 : Yes),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작업 맵 (M1) 을 등록하고 (S15), 작성 처리를 종료한다.
또, 산출 관련 처리에 있어서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71 에 있어서,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특정량의 입력의 유무를 판단한다. 이 때, 정보 처리부 (1) 는,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의 입력란 (C35) 에 데이터 (값) 가 입력되는 것을 가지고, 특정량으로서의 질소 중량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고 (S71 : Yes), 처리를 스텝 S72 로 이행시킨다.
스텝 S72 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부 (1) 의 종별 취득부 (132) 는, 종별 정보를 취득한다. 이 때, 종별 취득부 (132) 는, 입력란 (C32) 에 입력된 질소 함유율 등을 종별 정보로서 취득한다. 그리고, 스텝 S73 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부 (1) 의 특정량 취득부 (133) 는, 특정량 정보를 취득한다. 이 때, 특정량 취득부 (133) 는, 입력란 (C35) 에 입력된 질소 중량을 특정량 정보로서 취득한다.
스텝 S73 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부 (1) 의 산출부 (17) 는, 특정량으로부터 살포량을 산출하는 산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산출부 (17) 는, 특정량으로서의 질소 중량으로부터 살포량으로서의 표준 시비량을 산출한다. 산출부 (17) 에서 산출된 표준 시비량은, 입력란 (C34) 에 자동 삽입된다.
또, 제한 관련 처리에 있어서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81 에 있어서, 정보 처리부 (1) 의 작업 방법 취득부 (135) 는, 작업 방법 정보를 취득한다. 이 때, 작업 방법 취득부 (135) 는, 포장 설정 화면 (P2) 의 방법 설정 버튼 (B24) 으로, 전층 시비, 측조 시비, 및 추비의 3 개 중에서 선택된 시비 방법을, 작업 방법 정보로서 취득한다.
스텝 S82 에 있어서는,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작업 방법이 추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포장 설정 화면 (P2) 의 방법 설정 버튼 (B24) 에서 추비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정보 처리부 (1) 는, 작업 방법이 추비인 것 (S82 : Yes) 으로 판단하고, 제한부 (18) 가 입력 설정값의 상한값을 V1 로 설정한다 (S84). 한편, 포장 설정 화면 (P2) 의 방법 설정 버튼 (B24) 에서 원비 (전층 시비 또는 측조 시비) 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정보 처리부 (1) 는, 작업 방법이 추비가 아닌 것 (S82 : No) 으로 판단하고, 처리를 스텝 S83 으로 이행한다.
스텝 S83 에 있어서는, 관리 서버 (2) 의 정보 처리부 (1) 는, 작업 방법이 측조 시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포장 설정 화면 (P2) 의 방법 설정 버튼 (B24) 에서 측조 시비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정보 처리부 (1) 는, 작업 방법이 측조 시비인 것 (S83 : Yes) 으로 판단하고, 제한부 (18) 가 입력 설정값의 상한값을 V2 로 설정한다 (S85). 한편, 포장 설정 화면 (P2) 의 방법 설정 버튼 (B24) 에서 전층 시비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정보 처리부 (1) 는, 작업 방법이 측조 시비가 아닌 (S83 : No) 것으로 판단하고, 처리를 스텝 S86 으로 이행한다.
스텝 S86 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부 (1) 의 제한부 (18) 는, 입력 설정값의 상한값을 V3 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한값으로서의 「V1」, 「V2」, 「V3」 은, 「V1」 이 가장 작고 「V2」, 「V3」 의 순서로 커진다 (V1 < V2 < V3). 이와 같이 상한값이 설정되는 입력 설정값에 따라, 제한부 (18) 는, 파라미터 설정 화면 (P3) 의 입력란 (C34) 으로의 표준 시비량의 입력을 제한한다.
단, 도 12 ∼ 도 14 에 나타내는 플로 차트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처리가 적절히 추가 또는 생략되어도 되고, 처리의 순서가 적절히 교체되어도 된다.
그런데, 작성 처리에 의해 작업 맵 (M1) 이 작성되면, 도 15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결과 비교 화면 (P5) 이 표시 가능해진다. 요컨대, 결과 확인 화면 (P4) 에 있어서, 비교 버튼 (B41) 이 조작되면,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화면은, 결과 확인 화면 (P4) 으로부터 결과 비교 화면 (P5) 으로 천이한다.
결과 비교 화면 (P5) 은,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 영역 (R51) 과, 정보 영역 (R52) 을 가지고 있다. 정보 영역 (R52) 에는, 사용자 (오너), 포장 (F1), 및 시비 작업 등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가 표시된다. 비교 영역 (R51) 에는, 작성된 작업 맵 (M1) 과, 이 작업 맵 (M1) 의 작성에 사용된 참고 맵 (M2) 이 나란히 표시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결과 비교 화면 (P5) 상에서, 작업 맵 (M1) 과 함께, 작업 맵 (M1) 의 작성의 근거가 된 참고 맵 (M2) 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작업 맵 (M1) 의 평가를 하기 쉬워진다.
[6.5] 수정 처리
다음으로, 작업 맵 (M1) 을 수정하기 위한 「수정 처리」 에 대해 설명한다. 수정 처리는, 작성 처리부 (12) 가 수정 모드에서 작업 맵 (M1) 을 다시 작성하는 처리이며, 신규 작성 모드에서 작업 맵 (M1) 이 작성된 이후에 실행 가능해진다.
수정 처리에서는, 표시 처리부 (161) 는, 결과 수정 화면 (P6) 을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 표시시킨다. 요컨대, 결과 확인 화면 (P4) 에 있어서, 수정 버튼 (B42) 이 조작되는 것을 가지고,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화면은, 결과 확인 화면 (P4) 으로부터 결과 수정 화면 (P6) 으로 천이한다.
결과 수정 화면 (P6) 은,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맵 (M1) 을 포함하는 화상 (Im6) 과, 조작 영역 (R61) 을 포함한다. 조작 영역 (R61) 에는, 일례로서, 수정 방법 선택 버튼 (B61, B62), 슬라이드 바 (B63), 수정 버튼 (B64), 재계산 버튼 (B65) 및 보존 버튼 (B66) 등, 사용자의 조작 대상이 되는 복수의 버튼이 표시된다. 수정 방법 선택 버튼 (B61, B62) 은, 작업 맵 (M1) 의 수정을 실시하는 대상을, 포장 (F1) 전체로 할지, 결과 수정 화면 (P6) 상에서 지정되는 수정 범위 (Z61) 내로 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라디오 버튼이다. 수정 방법 선택 버튼 (B61) 이 선택됨으로써, 포장 (F1) 전체를 단위로 하여 수정 가능해지고, 수정 방법 선택 버튼 (B62) 이 선택됨으로써, 포장 (F1) 단위가 아니라 수정 범위 (Z61) 에서 수정 범위를 자유롭게 지정 가능해진다.
즉, 수정 방법 선택 버튼 (B62) 이 선택되면, 화상 (Im6) 에는,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정 범위 (Z61) 를 나타내는 프레임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수정 범위 (Z61) 를, 화상 (Im6) 상에 있어서 커서 등으로 임의의 형상 및 크기로 설정한다. 이로써, 작업 맵 (M1) 의 복수의 구획 (K) 중, 수정 범위 (Z61) 에 포함되는 구획 (K) 을 작업 지수의 수정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요컨대, 작성 처리부 (12) 는, 작업 맵 (M1) 을 포함하는 결과 수정 화면 (P6) 상에서 지정되는 수정 범위 (Z61) 에 대해 작업 지수의 수정을 실시한다.
작업 맵 (M1) 의 수정은, 작업 지수의 수정에 의해 실시된다. 요컨대, 작업 지수의 값을 변경함으로써, 작업 맵 (M1) 의 수정이 실시된다. 여기서, 작업 지수의 변경은, 슬라이드 바 (B63) 또는 수정 버튼 (B64) 의 조작에 의해 실시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변 시비 맵과 같이 작업 지수가 복수의 구획 (K) 에서 편차를 갖는 경우, 이 편차를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 지수의 수정이 실시된다. 도 16 의 예에서는, 수정 범위 (Z61) 내의 구획 (K) 의 작업 지수가, 분포를 유지한 채로, 일률적으로 변경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성 처리부 (12) 는, 복수의 구획 (K) 에 대해 개별적으로 작업 지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작업 지수의 분포를 유지하면서 작업 지수를 수정한다. 단, 이 구성은 필수는 아니며, 예를 들어, 가변 시비 맵이 수정에 의해, 일정 시비 맵과 같이 작업 지수의 분포를 갖지 않는 작업 맵 (M1) 으로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결과 수정 화면 (P6) 은, 화상 (Im6) 의 하방에, 총 시비량 (총 자원량) 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란 (C61) 을 가지고 있다. 이 표시란 (C61) 에는, 수정시 산출부 (15) 가, 수정 후의 작업 맵 (M1) 에 대한 총 자원량을 재계산한 결과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재계산 버튼 (B65) 이 조작되면, 수정시 산출부 (15) 가, 수정 후의 작업 맵 (M1) 에 기초하여 총 시비량 (총 자원량) 을 재계산하고, 표시란 (C61) 에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작업 맵 (M1) 의 수정에 의해, 사용 예정의 총 시비량이 당초의 상정량과 대폭 상이한 것을 용이하게 파악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접수부 (22) 가, 작성 처리부 (12) 에서 작성된 작업 맵 (M1) 에 대한 사용자의 수정 조작을 접수한다. 그리고, 작성 처리부 (12) 는, 수정 조작에 따라, 작업 지수를 수정하여 작업 맵 (M1) 을 다시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한부 (18) 는, 작성 처리부 (12) 가 작업 지수를 수정할 때의 작업 맵 (M1) 의 작성시에도, 입력 설정값을 제한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한부 (18) 는, 작성 처리부 (12) 가 작업 지원 정보 (D1) 를 다시 작성할 때의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작성시에, 입력 설정값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지수의 수정 가능한 범위를, 제한부 (18) 가 입력 설정값을 제한함으로써 제한한다. 이와 같이, 작성 처리부 (12) 가 신규 작성 모드와 수정 모드 중 어느 것이어도, 제한부 (18) 에 의한 파라미터 (표준 시비량) 의 입력 지원이 실시된다. 보존 버튼 (B66) 은, 수정 후의 시뮬레이션 결과 (작업 맵 (M1)) 를 보존하기 위한 버튼이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과 수정 화면 (P6) 에 있어서, 복수의 포장 (F1) 을 수정 대상으로서 선택하면, 이들 복수의 포장 (F1) 에 대해 일괄적으로 수정할 수도 있다. 즉,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정 범위 (Z61) 가 복수의 작업 맵 (M1) 에 걸쳐 설정됨으로써, 이들 복수의 작업 맵 (M1) 을 일괄적으로 수정 가능하다. 요컨대, 작성 처리부 (12) 는, 복수의 포장 (F1) 에 걸쳐 수정 범위 (Z61) 가 지정되는 경우, 복수의 포장 (F1) 에 대해 일괄적으로 작업 지수의 수정을 실시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복수의 포장 (F1) 에 대해, 북측의 범위에 대해 일률적으로 시비량을 증가시킨다고 하는, 복수의 포장 (F1) 에 걸치는 수정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부담이 대폭 경감된다.
[6.6] 출력 처리
다음으로, 작업 맵 (M1) 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 처리」 에 대해 설명한다.
출력 처리에서는, 표시 처리부 (161) 는, 출력 화면 (P7) 을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에 표시시킨다. 요컨대, 결과 일람 화면 (P1) 에 있어서, 출력 버튼 (B13) 이 조작되는 것을 가지고, 표시부 (33) 에 표시되는 화면은, 결과 일람 화면 (P1) 으로부터 출력 화면 (P7) 으로 천이한다.
출력 화면 (P7) 은,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의의 시뮬레이션 결과(작업 맵 (M1)) 를 검색하기 위한 입력란 등을 포함한다. 출력 화면 (P7) 은, 기입 버튼 (B71) 을 포함하고, 기입 버튼 (B71) 이 조작되면, 작업 지원 정보 (D1) (작업 맵 (M1)) 가, 작업 기계 (4) 에서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기록 매체 (5) 에 기입된다.
[7] 변형예
이하, 실시형태 1 의 변형예를 열거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 가능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하드웨어로서의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주구성으로 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에 있어서의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으로서의 기능이 실현된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미리 기록되어도 되고,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서 제공되어도 되고, 컴퓨터 시스템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 카드, 광학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되어도 된다.
또, 관리 서버 (2) 또는 사용자 단말 (3) 에 포함되는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부는 전자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이, 1 개의 케이싱 내에 집약되어 있는 것은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에 필수의 구성은 아니며,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의 구성 요소는, 복수의 케이싱에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부 (1) 중 일부의 기능이, 관리 서버 (2) 와는 다른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이 클라우드 (클라우드 컴퓨팅) 등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반대로, 실시형태 1 에 있어서, 복수의 장치에 분산되어 있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의 기능이, 1 개의 케이싱 내에 집약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 (2) 와 사용자 단말 (3) 에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가, 관리 서버 (2) 에 집약되어 있어도 되고, 사용자 단말 (3) 에 집약되어 있어도 된다.
그런데,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과 비교 화면 (P5) 은, 참고 맵 (M2) 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9 에 예시하는 결과 비교 화면 (P5) 은, 참고 맵 (M2) 을 변경하기 위한 맵 선택 버튼 (B51), 및 재계산 버튼 (B52) 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참고 맵 (M2) 을 생육 맵 (NDVI 맵) 으로부터 수량 맵 등의 다른 실적 맵으로 변경하여, 작업 맵 (M1) 을 재계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2 이상의 포장 (F1) 에 대해 일괄적으로 작업 맵 (M1) 을 작성하는 기능, 산출 처리에 관련된 기능, 및 제한 처리에 관련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의 구성에 대해서는, 각각 단독으로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수정 처리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의 구성에 대해서도, 그것 단독으로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작성 처리부 (12) 는, 2 이상의 포장 (F1) 에 대해 일괄적으로 작업 맵 (M1) 을 작성하는 기능을 채용하지 않고, 수정 조작에 따라, 작업 지수를 수정하여 작업 맵 (M1) 을 다시 작성하는 기능을 채용해도 된다.
또, 작업 맵 (M1) 의 복수의 구획 (K) 은, 메시 (정방형) 분할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도형 등으로 구획함으로써, 설정되어도 된다.
또, 사용자 단말 (3) 의 표시부 (33) 및 조작부 (34)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되고, 정보의 출력의 양태 및 정보의 입력 (조작) 의 양태는, 상기 서술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표시부 (33) 는, 정보의 출력의 양태로서, 프로젝터에 의한 투영, 음성 출력 또는 인쇄 등의 양태를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 각종 화면은, 예를 들어, 프로젝터에 의한 투영되어도 되고, 인쇄에 의해 시트에 표시되어도 된다. 또, 조작부 (34) 는, 정보의 입력의 양태로서, 음성 입력, 제스체 입력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의 입력 등의 양태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 (3) 이외의 조작부에 관해서도, 음성 입력, 제스체 입력 또는 다른 단말로부터의 조작 신호의 입력 등의 양태를 채용해도 된다.
또, 작업 지원 정보 (D1) 는, 포장에 대한 살포 작업을 지원하는 정보이면 되고, 작업 맵 (M1) 에 한정되지 않는다. 작업 지원 정보 (D1) 는, 포장 (F1) 전체에서 적용되는 살포량 (단위 면적당의 살포량) 등의 정보 (살포 정보) 등이어도 된다. 즉,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은 작업 지원 정보 작성 시스템의 일례이기 때문에, 그 생성물은, 작업 맵 (M1) 에 한정되지 않고, 넓은 의미의 작업 지원 정보 (D1) 이면 된다. 동일하게, 작업 맵 (M1) 의 생성 방법은 작업 지원 정보 (D1) 의 생성 방법의 일례로서,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은 작업 지원 정보 생성 프로그램의 일례이다.
또, 실시형태 1 에서는, 살포물이 비료이며, 살포물에 포함되는 특정 성분이 질소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특정 성분은 질소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살포물이 비료인 경우에, 비료의 3 요소로서 알려져 있는, 질소, 인산 및 칼륨 등이, 살포물의 특정 성분이 될 수 있다. 요컨대, 질소 이외에도, 예를 들어, 인산 또는 칼륨 등이 특정 성분으로서 사용되어도 되고, 이 경우, 질소 중량 대신에, 인산 또는 칼륨 등에 대해 포장 (F1) 의 단위 면적당의 분량이, 「특정량」 이 된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A) 은,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 (2) 에 더하여, 관리 서버 (2) 와 연휴 (連携) 하는 별도 서버 (6) 를 구비하는 점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과 상이하다. 이하,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 「별도 서버」 는, 관리 서버 (2) 와는 별도의 서버로서, 예를 들어, 별도 서버 (6) 의 운용 주체 (관리 주체) 가 관리 서버 (2) 와는 별개이다. 별도 서버 (6) 는, 통신망 (N1) 에 접속되고, 관리 서버 (2) 와는 통신망 (N1) 을 통하여 통신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성 처리부 (12) 중, 「수정 처리부」 의 기능이, 관리 서버 (2) 대신에 별도 서버 (6) 에 실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별도 서버 (6) 는,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를 가지고 있다. 별도 서버 (6) 는, 관리 서버 (2) 로부터 통신망 (N1) 을 통하여 API 가 호출됨으로써, 수정 처리부 (61) 의 기능을 관리 서버 (2) 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 (2) 는, 별도 서버 (6) 와 연휴하여,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A) 으로서의 기능을 구현화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별도 서버 (6) 는, 수정 처리부 (61) 와, 수정시 산출부 (62) 와, 제시 처리부 (63) 와, 관리 서버 (2) 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인터페이스부 (53) 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리 서버 (2) 로부터, 수정 처리부 (123) (도 1 참조) 및 수정시 산출부 (15) (도 1 참조) 가 생략되어 있다.
실시형태 2 의 변형예로서, 별도 서버 (6) 에 있어서의 복수의 기능이, 1 개의 케이싱 내에 집약되어 있는 것은 필수의 구성은 아니며, 별도 서버 (6) 의 구성 요소는, 복수의 케이싱에 분산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별도 서버 (6) 의 적어도 일부의 기능은, 클라우드 (클라우드 컴퓨팅) 등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Claims (15)

  1. 2 이상의 포장을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 가능한 지정부와,
    상기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는 상기 2 이상의 포장에 대해, 맵화 조건에 따라, 각각 작업 지수가 설정되는 복수의 구획을 갖고 상기 2 이상의 포장의 각각에 대응하는 작업 맵을, 일괄적으로 작성하는 작성 처리부를 구비하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맵은, 상기 포장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구획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서의 살포물의 살포량을 상기 작업 지수로 하는 살포 맵을 포함하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맵화 조건은, 상기 포장에 대응하여 참고 맵이 지정되어 있으면, 상기 참고 맵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지수를 상기 복수의 구획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상기 작업 맵을 작성하고, 상기 포장에 대응하여 상기 참고 맵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작업 지수를 상기 복수의 구획에 대해 균일하게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참고 맵은, 상기 포장 내에서의 작물의 생육 상황의 분포를 나타내는 생육 맵을 포함하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육 맵은, 상기 포장에 있어서의 복수의 소영역마다의 생육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작업 맵은, 상기 복수의 소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구획을 갖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참고 맵은, 상기 포장 내에서의 작물의 수확량의 분포를 나타내는 수량 맵을 포함하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 맵은, 상기 포장에 있어서의 복수의 소영역마다의 수확량을 나타내고,
    상기 작업 맵은, 상기 복수의 소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구획을 갖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처리부는, 복수의 상기 참고 맵이 지정되어 있는 상기 포장에 대해서는, 상기 복수의 상기 참고 맵 중, 우선 순위에 따라 선택되는 1 이상의 상기 참고 맵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맵을 작성하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처리부에서 작성된 상기 작업 맵에 대한 사용자의 수정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접수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작성 처리부는, 상기 수정 조작에 따라, 상기 작업 지수를 수정하여 상기 작업 맵을 다시 작성하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수정 후의 상기 작업 맵에 기초하는 상기 포장의 작업에 필요한 총 자원량을 산출하는 수정시 산출부와,
    상기 총 자원량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시 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처리부는, 상기 작업 맵을 포함하는 결과 수정 화면 상에서 지정되는 수정 범위에 대해 상기 작업 지수의 수정을 실시하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처리부는, 복수의 상기 포장에 걸쳐 상기 수정 범위가 지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상기 포장에 대해 일괄적으로 상기 작업 지수의 수정을 실시하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구획에 대해 개별적으로 상기 작업 지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작업 지수의 분포를 유지하면서 상기 작업 지수를 수정하는, 작업 맵 작성 시스템.
  14. 대상 포장으로서 2 이상의 포장의 지정을 접수하는 것과,
    상기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는 상기 2 이상의 포장에 대해, 맵화 조건에 따라, 각각 작업 지수가 설정되는 복수의 구획을 갖고 상기 2 이상의 포장의 각각에 대응하는 작업 맵을, 일괄적으로 작성하는 것을 갖는, 작업 맵의 생성 방법.
  15. 대상 포장으로서 2 이상의 포장의 지정을 접수하는 것과,
    상기 대상 포장으로서 지정되는 상기 2 이상의 포장에 대해, 맵화 조건에 따라, 각각 작업 지수가 설정되는 복수의 구획을 갖고 상기 2 이상의 포장의 각각에 대응하는 작업 맵을, 일괄적으로 작성하는 것을 1 이상의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
KR1020237009503A 2020-10-29 2021-09-13 작업 맵 작성 시스템, 작업 맵의 생성 방법 및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 KR202300969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81441A JP2022072148A (ja) 2020-10-29 2020-10-29 作業マップ作成システム、作業マップの生成方法及び作業マップ生成プログラム
JPJP-P-2020-181441 2020-10-29
PCT/JP2021/033449 WO2022091602A1 (ja) 2020-10-29 2021-09-13 作業マップ作成システム、作業マップの生成方法及び作業マップ生成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974A true KR20230096974A (ko) 2023-06-30

Family

ID=8138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503A KR20230096974A (ko) 2020-10-29 2021-09-13 작업 맵 작성 시스템, 작업 맵의 생성 방법 및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072148A (ko)
KR (1) KR20230096974A (ko)
CN (1) CN116419666A (ko)
WO (1) WO202209160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7377A (ja) 2018-04-27 2019-10-3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散布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6374B2 (ja) * 2013-03-28 2016-07-27 株式会社クボタ 営農システム
JP6909838B2 (ja) * 2016-10-24 2021-07-28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制御装置、農業機械、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14620B2 (ja) * 2018-01-23 2022-02-01 株式会社クボタ 営農システム
JP7158291B2 (ja) * 2019-01-15 2022-10-21 株式会社クボタ 営農システム
JP7081536B2 (ja) * 2019-03-12 2022-06-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作物の倒伏リスク診断に用いる生育パラメータの測定推奨スポット提示方法、倒伏リスク診断方法、および情報提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7377A (ja) 2018-04-27 2019-10-3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散布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1602A1 (ja) 2022-05-05
CN116419666A (zh) 2023-07-11
JP2022072148A (ja)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2931B2 (en) Methods for generating soil maps and application prescriptions
JP7375086B2 (ja) 農業支援システム、農業支援装置及び農業支援方法
CN113168577A (zh) 用于执行机器学习算法的方法和系统
KR102639478B1 (ko) 영농 시스템
KR20230096974A (ko) 작업 맵 작성 시스템, 작업 맵의 생성 방법 및 작업 맵 생성 프로그램
WO2022030272A1 (ja) 作業管理システム、作業管理方法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JP2022072146A (ja) 作業支援情報作成システム、作業支援情報の生成方法及び作業支援情報生成プログラム
JP2022072147A (ja) 作業支援情報作成システム、作業支援情報の生成方法及び作業支援情報生成プログラム
JP2022159110A (ja) 農業支援装置、プログラム、農業支援システム
JP2022036524A (ja) 作業管理システム、作業管理方法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JP2023500902A (ja) 緩衝地帯の自動管理方法
JP2021013339A (ja) 可変施肥機および施肥マップデータ転送装置
JP7189091B2 (ja) 適正施肥支援装置
JP7478062B2 (ja) 作業管理システム、作業管理方法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WO2022030273A1 (ja) 作業管理システム、作業管理方法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WO2023191111A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JP7318029B2 (ja) 営農システム
US20230161890A1 (en) Persona prediction for access to resources
JP2022030858A (ja) 作業管理システム、作業管理方法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JP2022036523A (ja) 作業管理システム、作業管理方法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
JP2022036522A (ja) 作業管理システム、作業管理方法及び作業管理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