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631A -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 - Google Patents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631A
KR20230095631A KR1020210185297A KR20210185297A KR20230095631A KR 20230095631 A KR20230095631 A KR 20230095631A KR 1020210185297 A KR1020210185297 A KR 1020210185297A KR 20210185297 A KR20210185297 A KR 20210185297A KR 20230095631 A KR20230095631 A KR 20230095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oor
driven
case
rack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식
Original Assignee
이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식 filed Critical 이진식
Priority to KR1020210185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5631A/ko
Publication of KR2023009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46Panic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2003/228Arrangements where the end of the closer arm is sliding in a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Planetary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는 패닉디바이스의 후단 부위에서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동랙기어가 상기 케이스 내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랙기어에 치합되는 구동기어가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힌지부재의 힌지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가 종동랙기어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종동랙기어가 상기 케이스 내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종동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수보다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수를 증가하는 유성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부재와 종동랙기어 사이에 연결되는 링크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링크의 내측면이 도어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힌지부재와 도어의 전면부와 평행하게 직선 운동하는 종동랙기어 사이에 하나의 링크를 결합하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도어의 각 부분으로부터 근접하게 되어 링크의 돌출로 인하여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DOOR CLOSER WITH PANIC DEVICE}
본 발명은 도어를 일방향으로 유도하는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때 쉽게 밀고나갈 수 있는 패닉디바이스(일명 '패닉바'라고 지칭됨)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용이하게 닫히도록 하는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빌딩, 관공서, 학교, 호텔, 공연장 등의 건축물에는 피난 계단이나 피난층 또는 외부와 직접 통하는 로비 등을 구획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화구획의 모든 장소에는 방화문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건축물에 설치된 방화문에는 도어의 자동폐쇄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패닉디바이스를 도어에 설치하여 도어의 일방향으로 대피자를 안내하는 장치가 있으며, 이에 따라 재해나 화재 등의 긴급사고가 발생했을 때 화재 현장인 실내에 있는 사람이 건축물 내의 피난 계단 등으로 신속하게 대피하게 한다.
예컨대 패닉디바이스는 특허출원 제10-2007-0082715호 등으로 출원된 기술이 많이 있으며, 이러한 패닉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스프링작용을 통해 압입/복원되는 터치바를 구비하며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바와; 상기 베이스바의 일단에 터치바와 연결된 상태로 결속되며 내부에 문틀의 스트라이크와 대응되는 랫치볼트가 구비된 도어락장치와; 상기 도어락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패닉디바이스에 도어클로저가 부설되어 있지 않고 도어클로저를 별도로 설치하게 된다.
더우기 종래의 도어클로저에는 두 개의 링크를 이용하여 도어클로저의 탄성력을 도어로 전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클로저의 위치와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힌지부재의 위치를 도어의 회전 중심측으로 근접하여 설치하기 어렵고, 특히 두 개의 링크가 돌출되는 형태이므로 도어의 중앙부에 위치한 패닉디바이스의 후단부에 설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종래의 다른 예로서 특허출원 제10-2018-0153500호로 출원된 발명이 개발되었는 바, 이는 하우징의 내부에 두 개의 스프링푸셔가 상호 마주보면서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두 개의 스프링푸셔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두 개의 스프링푸셔를 탄성 지지하고, 체인의 일부를 지지하는 체인지지체가 두 개의 스프링푸셔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스프링지지체를 지그잭으로 감싸는 상기 체인의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 내의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체인의 타측 단부가 문틀에 설치된 힌지부재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에 따라 상기 체인과 두 개의 스프링지지체와 스프링푸셔가 이동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도어를 개방할 때 도어와 체인 사이의 접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를 개방할 때 발생되는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인과 도어 사이에 체인이격지지체를 포함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오랫동안 방치할 경우, 외부에 노출된 체인과 체인이격지지체 사이의 접촉 부위 부식으로 인하여 체인과 체인이격지지체 사이의 마찰력이 도어의 폐쇄력을 현저하게 떨어뜨린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힌지부와 도어클로저부 사이에 하나의 링크를 연결하더라도 도어 개방시에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함과 아울러 도어사용하여 두 개의 링크를 사용하지 않고 도어를 용이하게 닫히게 하는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패닉디바이스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탄성력으로 닫히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에 있어서, 패닉디바이스의 후단 부위에서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동랙기어가 상기 케이스 내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랙기어에 치합되는 구동기어가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힌지부재의 힌지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가 종동랙기어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종동랙기어가 상기 케이스 내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종동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수보다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수를 증가하는 유성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를 제공한다.
더우기 상기 힌지부재와 종동랙기어 사이에 연결되는 링크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링크의 내측면이 도어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는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힌지부재와 도어의 전면부와 평행하게 직선 운동하는 종동랙기어 사이에 하나의 링크를 결합하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도어의 각 부분으로부터 근접하게 되어 링크의 돌출로 인하여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링크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링크의 길이를 직선 형상보다 길게 형성하더라도 도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링크가 도어의 각 부분에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도어와 링크 사이의 마찰을 고려하지 않아 도어의 폐쇄력을 오랜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유성기어의 선기어에 형성되는 홈부에 캐리어 또는 링기어의 돌출부가 삽입되기 때문에, 유성기어의 회전 중심과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를 동일 선상에 놓아두면 두 개의 베어링과 함께 유성기어 자체의 회전 중심을 원활하게 맞출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가 패닉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도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의 모델링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어클로저의 일 예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모델링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어클로저의 일 예의 케이스 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한 모델링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어클로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도어클로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어가 일부 개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도어클로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어클로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 9의 A - A선 부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클로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패닉디바이스(1)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도어(2)를 탄성력으로 닫히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패닉디바이스(1)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패닉디바이스(1)는 현재 공개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도어클로저는 패닉디바이스(1)의 후단부에 연장하여 형성되거나 설치되는 구조임과 아울러 도어(2)와 도어프레임(3)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어클로저는 도어프레임(3)에 설치되는 힌지부재(10)와 도어(2)에 설치되는 케이스(11) 내부의 각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 구성요소라 함은 탄성부재(12), 구동랙기어(13), 구동기어(14), 링크(15) 및 종동랙기어(16), 종동기어(17),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14)와 종동기어(17) 사이에 구성되는 유성기어(18)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1)는 상기 패닉디바이스(1)의 후단 부위에서 도어(2)에 고정 설치되며, 도어(2)의 개폐 과정에서 신축됨에 따라 탄성력으로 각 구성요소를 작동시키는 탄성부재(12)는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랙기어(13)는 상기 케이스(11) 내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12)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이어서 도어(2)의 개방할 때 탄성부재(12)를 압축하게 되고, 도어(2)를 자유 상태로 놓아둘 때 탄성부재(12)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랙기어(13)와 치합되는 구동기어(14)는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성기어(18)를 통하여 후술하는 종동기어(17)를 증속 회전하는데, 증속 회전하는 이유는 설계 치수와 길이 등의 한정으로 인하여 구동랙기어(13)의 행정거리보다 후술하는 종동랙기어(16)의 행정거리가 길기 때문이다.
아무튼 상기 종동랙기어(16)는 링크(15)와 힌지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링크(15)는 도어프레임(3)에 설치되는 힌지부재(10)의 힌지부(10a)의 단부에 연결되어, 도어(2)의 개폐할 경우에는 종동랙기어(16)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링크(15)가 힌지부(10a)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래서 상기 종동랙기어(16)는 상기 케이스(11) 내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종동랙기어(16)와 치합되는 종동기어(17)가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기어(14)의 회전수보다 상기 종동기어(17)의 회전수를 증가하는 유성기어(18)가 상기 구동기어(14)와 종동기어(17)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기어(14) 및 종동기어(17), 유성기어(18)의 중심부가 동일 선상에 놓이게 된다.
특히 링크(15)의 구조가 직선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13의 링크(15)와 나란하게 그려진 쇄선(가상선)과 같이 링크(15)가 도어(2)에 간섭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힌지부재(10)와 종동랙기어(16) 사이에 연결되는 링크(15)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힌지부재와 종동랙기어에 연결되는 양단부의 내부가 함몰된 형태가 되어 있어 링크와 도어의 간섭을 방지하게 되는 것인 바, 링크(15)의 내측면이 도어(2)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구조가 특징적이다.
한편 하나의 실시예로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성기어(18)는 선기어(18a) 및 링기어(18b), 다수의 피니언(18ca)을 구비한 캐리어(18c)로 구성되며, 상기 유성기어(18) 중에 상기 선기어((18a)는 상기 종동기어(17)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18c)는 상기 케이스(11)에 고정하고, 상기 링기어(18b)는 상기 구동기어(14)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구동기어(14) 및 종동기어(17), 유성기어(18)의 중심부가 동일 선상에 놓이게 되는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증대하기 위하여, 상기 선기어(18a)의 일측 중심에 홈부(18aa)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링기어(18b)의 일측면 중심에 돌출부(18ba)를 형성하여 상기 선기어(18a)의 홈부(18aa)에 상기 링기어(18b)의 돌출부(18ba)를 삽입하는 구조로 하여 동력전달경로의 일체화와 컴팩트화를 실현하여 더욱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성기어(18) 중에 상기 선기어(18a)는 상기 종동기어(17)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링기어(18b)는 상기 케이스(11)에 고정하고, 상기 캐리어(18c)는 상기 구동기어(14)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선기어(18a)의 일측 중심에 홈부(18aa)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캐리어(18c)의 일측면 중심에 돌출부(18cb)를 형성하여 상기 선기어(18a)의 홈부(18aa)에 상기 캐리어(18c)의 돌출부(18cb)를 삽입하게 된다.
물론 상기 홈부와 돌출부의 설치 위치를 상호 가변시킬 수 있으며, 종동기어와 구동기어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라고 기재하고 있으나, 종동기어와 구동기어를 별도로 형성하고 이와 결합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는 다음과 같이 작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두 가지 경우의 실시예의 작용이 같으므로, 하나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어클로저는 개방된 도어를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것이므로, 도 11과 도 12의 상태에서 도 13과 같이 회전되면서 도 9와 같이 도어를 닫히게 한다.
즉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가 개되면 케이스(11)가 도어(2)와 함께 회전되는 것이어서, 링크(15)의 한쪽 단부가 힌지부재(1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링크(15)의 다른쪽 단부가 도어(2)의 개방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종동랙기어(16)가 케이스(11)의 출구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종동랙기어(16)의 이동에 따라 종동기어(15)가 회전되면서 유성기어(18)의 선기어(18a)가 회전되고, 선기어(18a)와 회전에 따라 링기어(18b)와 구동기어(14)가 회전되어 구동랙기어(13)가 이동하여 탄성부재(12)를 압축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 도어를 자유 상태로 놓아두면 탄성부재(12)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구동랙기어(13)의 이동, 링기어(18b)와 구동기어(14)의 회전, 선기어(18a)와 종동기어(15)의 회전이 상호 연동하여, 종동랙기어(16)가 초기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서 도 13과 같이 도어(2)를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도어(2)가 계속해서 회전되면 도 9와 같이 도어의 완전 폐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링크를 이용하여 힌지부재와 종동랙기어 사이에 힌지 결합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구조가 되며, 도어의 개폐에 따라 링크가 도어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링크의 돌출이 발생되지 않아서 피난자의 허리와 가슴 사이의 위치에 있는 패닉바와 같은 위치에 설치되더라도 피난자의 행동에 따라 링크에 의해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패닉디바이스 2 : 도어
3 : 도어프레임 10 : 힌지부재
11 : 케이스 12 : 탄성부재
13 : 구동랙기어 14 : 구동기어
15 : 링크 16 : 종동랙기어
17 : 종동기어 18 : 유성기어

Claims (6)

  1. 패닉디바이스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탄성력으로 닫히게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에 있어서,
    패닉디바이스의 후단 부위에서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동랙기어가 상기 케이스 내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랙기어에 치합되는 구동기어가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힌지부재의 힌지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가 종동랙기어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종동랙기어가 상기 케이스 내의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종동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수보다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수를 증가하는 유성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와 종동랙기어 사이에 연결되는 링크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링크의 내측면이 도어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는 선기어 및 링기어, 다수의 피니언을 구비한 캐리어로 구성되며, 상기 유성기어 중에 상기 선기어는 상기 종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고, 상기 링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기어의 일측 중심에 홈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링기어의 일측면 중심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선기어의 홈부에 상기 링기어의 돌출부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는 선기어 및 링기어, 다수의 피니언을 구비한 캐리어로 구성되며, 상기 유성기어 중에 상기 선기어는 상기 종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링기어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고, 상기 캐리어는 상기 구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기어의 일측 중심에 홈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캐리어의 일측면 중심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선기어의 홈부에 상기 캐리어의 돌출부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
KR1020210185297A 2021-12-22 2021-12-22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 KR20230095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297A KR20230095631A (ko) 2021-12-22 2021-12-22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297A KR20230095631A (ko) 2021-12-22 2021-12-22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631A true KR20230095631A (ko) 2023-06-29

Family

ID=86946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297A KR20230095631A (ko) 2021-12-22 2021-12-22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56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571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RU2350731C2 (ru) Открывающее и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нимаемых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и окон
AU2017260678B2 (en) Seal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JPH037636A (ja) 蓋体の開閉装置
GB2519396A (en) Mechanism to facilitate cleaning of a closure
JP5660695B2 (ja) 気密式引戸装置
KR20230095631A (ko)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
KR10198513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NL2026142B1 (en) Shutter panel with an automatic louver closure assembly and related damping features
US20210324668A1 (en) Locking mechanism with additional damping mechanism
JP4907335B2 (ja) ダンパー装置
KR102124708B1 (ko) 도어 클로저
KR20070066831A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KR20200066859A (ko) 도어 클로저
KR102656813B1 (ko) 자동 개폐식 도어클로저 기능을 갖는 패닉바
JP2014189040A (ja) 可動扉装置
CN112963084A (zh) 一种具有童锁防盗网的铝合金窗
KR20230014981A (ko) 폴드업 전동창의 창틀-창문틀 틈새 및 기계구동개구부 차단 개폐를 위한 차단판장치
KR0130518Y1 (ko) 방화샤터의 폐쇄장치
JPH08193472A (ja) 電波暗室等の扉装置
JP7477871B2 (ja) 引戸ストッパ機構、並びに、引戸
JP5137137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ロック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シャッター装置
JPH01299981A (ja) 両開き扉の開閉装置
JP2668325B2 (ja) 引戸用開閉装置
CN101784737A (zh) 包括闩的闩壳体及其安装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