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981A - 폴드업 전동창의 창틀-창문틀 틈새 및 기계구동개구부 차단 개폐를 위한 차단판장치 - Google Patents

폴드업 전동창의 창틀-창문틀 틈새 및 기계구동개구부 차단 개폐를 위한 차단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981A
KR20230014981A KR1020210096199A KR20210096199A KR20230014981A KR 20230014981 A KR20230014981 A KR 20230014981A KR 1020210096199 A KR1020210096199 A KR 1020210096199A KR 20210096199 A KR20210096199 A KR 20210096199A KR 20230014981 A KR20230014981 A KR 20230014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blocking plate
window
gap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관
Original Assignee
정성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관 filed Critical 정성관
Priority to KR1020210096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981A/ko
Publication of KR20230014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06B3/483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folding upward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드업 전동창의 틈새 및 개구부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틀과, 상기 창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으로 접힐 수 있게 설치되는 두 개 또는 세개의 창문틀과, 상기 두 개 또는 세개의 창문틀 중 최하단 또는 중간 창문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고정되는 가이드공 브라켓 또는 돌출걸쇠와 상기 가이드공 브라켓 또는 돌출걸쇠와 결합되어 상기 창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록 및 상기 승강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폴드업 전동창에서 상기 창틀과 상기 창문틀 사이에 구조적으로 발생하는 틈새 및 창문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진 이후 창틀에 보기 흉하게 뚫려있는 기계구동 개구부들을 차단은폐 할 수 있도록 하는 폴드업 전동창의 틈새 및 개구부 차단장치로서, 상기 승강블록 또는 별도 모터와 연결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시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틈새 및 개구부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창틀의 일측 또는 양측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판을 포함하여 폴드업 전동창의 기밀성과, 단열성 및 미관과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드업 전동창의 틈새 및 개구부 차단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드업 전동창의 창틀-창문틀 틈새 및 기계구동개구부 차단 개폐를 위한 차단판장치 {Fold-Up Electric Window’s‘Window - Window Frame Gap’ and ‘Machine Operating Opening’ Blocking Plate Device}
본 발명은 폴드업 전동창의 구조적 문제인 창틀과 창문틀 사이의 틈새 차단과 창틀 기계구동개구부의 차단을 위한 차단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드업 전동창의 폐쇄시 창틀과 창문틀 사이에 발생하는 구조적 틈새를 차단하고 창문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진 이후 창틀에 보기 흉하게 뚫려있는 기계구동 개구부들을 차단은폐 할 수 있도록 하는 폴드업 전동창의 틈새 및 개구부 차단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 창이나 문을 의미한다. 이러한 창호는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는 용도 외에 건물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즉, 최근 카페, 레스토랑, 패스트푸드점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찾는 매장은 내부시설 뿐 아니라 건물의 외관에서부터 경쟁 업체와 차별화되어야 소비자의 주의를 끌 수 있으며,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건물의 외관을 구성하는 창호도 해당 매장을 차별화시킬 수 있는 미적 요소로서 고려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드업 전동창(10)은 창틀(11)과, 창틀(11)의 상단에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1창문틀(12)과, 제1창문틀(12)의 하단에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창문틀(13)과, 제2창문틀(13)의 적어도 일측(여기서는 양측)에 고정되는 가이드공브라켓(14)과, 가이드공 브라켓(14)과 결합되어 창틀(11)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록(15)과, 승강블록(15)이 결합되는 체인(16)과, 체인(16)과 연결되는 기어(17)(18) 및 기어(17)와 결합되는 모터(19)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19)가 작동하면 기어(17)의 회전으로 체인(16) 및 기어(18)가 회전함으로써 승강블록(15)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가이드공브라켓(14)을 상승시키고, 이로 인해 제1창문틀(12)과 제2창문틀(13)이 외측으로 접히면서 창문(W)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폴드업 전동창(10)은 창문(W)이 상방으로 접혀 개방되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통상의 창호에 비해 개방감이 우수하고, 개폐방식에 특이성이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보는 이로 하여금 주의를 집중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폴드업 전동창(10)의 경우 가이드공브라켓(14)이 제2창문틀(13)의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창문(W)이 닫혔을 때 창틀(11)과 창문틀(12)(13) 사이에 가이드공브라켓(14)의 두께만큼 틈새(G)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창틀(11)과 창문틀(12)(13) 사이에 틈새(G)가 발생하면 기밀성이 저하되어 단열 성능이 떨어지고, 구조적으로 풍압에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틈새(G)에 모헤어를 부착하기도 하나 모헤어는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만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을 뿐 건물의 외장재로서 요구되는 기밀성, 단열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폴드업 전동창은 이같은 창틀과 창문틀 사이 틈새 문제외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창문틀을 상승 하강 시키고 창문을 개폐키 위한 장치로서 가이드공브라켓(23)과 승강블럭(15)의 가이드공 샤프트(25) 돌출걸쇠(20) 제3창문틀 견인쇠(26) 제3창문틀 견인샤프트(26-1)등 창틀 또는 창문틀 밖으로 돌출된 기계구동부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이들이 상승 하강하기 위한 통로로서 기계구동 개구부(29)가 필요하다.
이같은 기계구동 개구부(29)는 외부로 돌출돼 기계구동개구부를 따라 이동하는 기계구동부 뿐 아니라 창틀 내부의 체인(16), 승강블럭(15)등 기계구동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므로써 미관은 물론 윤활유의 유출 오염, 소음, 안전과 고급 인테리어 창호로서의 폴드업 전동창의 가치를 크게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폴드업 전동창의 폐쇄시 창틀과 창문틀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 또는 창틀의 기계구동개구부를 각각 차단하여 기밀 단열과 미관 안전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폴드업 전동창의 차단판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본 발명은 창틀과, 상기 창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으로 접힐 수 있게 설치되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창문틀과, 상기 두 개 또는 세개의 창문틀 중 두 번째 또는 최하단 창문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고정되는 브라켓 또는 견인쇠와, 상기 브라켓 또는 견인쇠와 결합되어 상기 창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록 및 상기 승강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폴드업 전동창에서 상기 창틀과 상기 창문틀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 또는 창틀 기계구동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장치로서, 상기 승강블록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블록과 연결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창틀-창문틀 틈새 또는 기계구동개구부의 양측 또는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틈새 또는 기계구동개구부를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창틀의 일측 또는 양측 내부 에 설치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폴드업 전동창의 차단판장치를 제공한다.
차단판은 창틀-창문틀 틈새와 기계구동개구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창틀의 높이 만큼의 길이로 창틀 창문틀 틈새와 개구부를 막을수 있는 폭으로 설치되며 창틀 면을 따라 수평이동 해 창틀 창문틀 틈새 또는 기계구동개구부를 막을수 있도록 설치된다.(도 4, 도 5)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승강블록의 상.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래크기어 또는 견인기밀대 또는 유압압력장치; 와 래크기어 또는 견인기밀대와 연동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견인선; 유압압력장치와 연동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파이프장치; 및 이 유압파이프장치 또는 견인선을 통해 동력을 받아 차단판을 수평이동 시키는 유압실행장치 또는 견인장치; 그리고 유압 또는 견인 압력이 가해지거나 해제 되었을 때 유압장치와 견인장치를 원상회복 시켜 차단판을 원 위치로 수평이동 시키는 스프링 장치등; 을 포함한다.
이외 기타 동력장치와 연동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조립체:와 기어조립체의 동력을 전달받아 차단판을 수평이동 시키는 차단판에 부착된 래크기어; 또는 기어조립체의 동력을 전달받아 차단판을 수평이동 시키는 견인선 견인장치등:을 포함한다.(도6, 도 7, 도 8, 도 9, 도10)
이 경우, 상기 차단판이 맞 닿거나 창틀 또는 창문틀에 닿는 부분에는 일측 또는 양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요홈을 형성함 으로써 상기 차단판이 상기 틈새 또는 기계구동개구부를 차단할 때 상기 차단판의 일측단부가 상기 요홈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도 11)
본 발명에 따르면, 폴드업 전동창의 폐쇄 개방시 창문을 닫거나 열기 위한 동력을 이용하여 창틀 내부에 설치된 차단판을 이동시킴으로써 창틀과 창문틀 사이의 틈새 또는 기계구동개구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창틀과 창문틀 사이의 틈새 차단으로 기밀성이 확보되어 단열 성능과 풍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창문 폐쇄 및 개방 후 노출되던 기계구동개구부를 차단해 미관과 안전 오염방지 소음감소등 고급 인테리어창호로서의 폴드업 전동창의 가치를 제고할수 있다.
도 1 은 폴드업 전동창(가이드공브라켓형 폴드업전동창)의 정면 구조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가이드공 브라켓형 폴드업 전동창의 측면 구조도,
도 3 은 또다른 폴드업전동창인 돌출걸쇠형 폴드업전동창의 측면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부로서 새롭게 고안된 창틀 구조 및 동 창틀 구조에 창문틀-창틀간 틈새 차단판과 기계구동개구부 차단판이 부착되는 방법의 예를 보여주는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드업전동창의 창틀 창문틀 틈새 차단판 및 기계구동개구부 차단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조도,
도 5의 하단은 도 5 상단에 도시된 폴드업 전동창의 창틀-창문틀 틈새 차단판 및 기계구동개구부 차단판의 작동 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폴드업 전동창의 틈새 차단판과 기계구동개구부 차단판의 작동 방법중 견인기밀대형 견인선 차단판 작동장치의 바람직한 설치 예를 확대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폴드업 전동창의 틈새 차단판과 기계구동개구부 차단판의 작동 방법중 래크기어를 활용한 견인선 차단판 작동장치의 바람직한 설치 예를 확대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폴드업 전동창의 틈새 차단판과 기계구동개구부 차단판의 작동 방법중 유압장치 틈새 차단판 또는 유압장치 기계구동개구부 차단판의 바람직한 설치 예를 확대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폴드업 전동창의 차단판 작동방법의 또 다른 예로서 소형 모터등 별도 동력원을 활용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11은 창틀과 차단판이 맞 닿는 부위의 요홈 구조도
도 12는 동 발명의 중요 요소로서 가이드공 브라켓형 폴드업 전동창의 가이드공과 걸쇠형 폴드업전동창의 검림쇠 가이드홈의 바람직한 형태 및 변형 예를 도시한 각각의 정면도.
도 13은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의 일부로서 견인선 하우징을 포함한 견인선, 유압파이프, 기어 샤프트 등 동력 전달장치들이 창틀내에서 움직이는 기계구동부와 간섭 없이 창틀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별도 동력전달 통로(동력전달매체 연결구)를 갖는 고안된 창틀(금형 포함)의 요부사시도 및 단면도.
도 14는 폴드업 전동창 개방시 내측 창틀부(F2)와 외측창틀부(F!) 개구부 차단장치의 순시 작동 설명을 위한 정면도 및 이에 호응한 차단판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창틀-창문틀 틈새와 기계구동개구부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폴드업전동창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모두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드업 전동창의 창틀-창문틀 틈새 차단판과 창틀 기계구동개구부 차단판은 폴드업 전동창(10)에 설치되어 창문(W)의 폐쇄시 창틀(11)과 창문틀(12)(13)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와 창문틀 상승 하강시 외부 돌출 기계장치들이 움직이는 창틀 기계구동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한 것인 바 이하 폴드업 전동창(10)에 대해 먼저 설명한 후 차단판 장치들에 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폴드업 전동창(10)은 문을 폐쇄 개방하는 방법에 따라 일부 차이는 있으나 공통적으로 창틀(11)과, 제1창문틀(12)과, 제2창문틀(13)과, 일부의 경우 제3창문틀(14)과, 가이드공브라켓(23) 또는 제3창문틀 견인쇠(26) 승강블록(15) 및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창틀(11)은 사각형 형상의 금속 프레임으로 건물 벽체의 개구부에 고정 설치된다. 창틀(11)의 경우 창문틀(12)(13)과의 틈새차단 차단판의 설치를 위한 외측 창틀부(F1)와, 창문틀(12)(13)의 상승 하강 및 개폐수단과 차단판 장치의 구동수단 설치를 위한 내측 창틀부(F2)로 구획될 수 있다.
제1창문틀(12)은 창문(W)의 고정을 위한 사각형 형상의 금속 프레임으로 창틀(11)의 상단에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제2창문틀(13)은 제1창문틀(12)과 마찬가지로 창문(W)의 고정을 위한 사각형 형상의 금속 프레임으로 제1창문틀(12)의 하단에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가이드공브라켓(23)은 제2창문틀(13)을 승강블록(15)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2창문틀(13)의 일측 또는 양측에 고정되나 균형 구조상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는 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가이드공브라켓(23)의 경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공(24)(도 2 참조)을 포함하고, 이러한 가이드공(24)에 승강블록(15)의 가이드공 샤프트(2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승강블록(15)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가이드공(24)은 가이드공브라켓(23)의 설치 상태에서 상단이 외측으로 라운드진 형태를 가지는데, 이는 제2창문틀(13)의 개방시 승강블록(15)의 가이드공샤프트(25)가 제2창문틀(13)에 외측으로 힘을 가해 제2창문틀(13)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창문틀(13)의 폐쇄시 승강블록(15)의 가이드공샤프트(25)가 제2창문틀(13)에 내측 하방으로 힘을 가해 제2창문틀(13)이 완전히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이드공(24)의 하단 직선부(도 12, 24B 참조)는 이 발명의 중요 요소중 하나로 제2창문틀(13)이 가이드공의 라운드 구간에 의해 완전 폐쇄된 후에도 승강블록이 일정구간 아래로 이동 가능하게 해 구동수단 모터의 동력을 승강블록을 통해 상기 차단판 장치의 동력전달수단에 전달해 주기 위한 것이다.
승강블록(15)은 가이드공브라켓(23)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공브라켓(23)과 결합되는 가이드공샤프트(25)를 포함한다. 이러한 승강블록(15)은 창틀(11)의 양측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수단은 승강블록(15)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창틀(11)의 상단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19)와, 모터(19)의 양측에 결합되어 창틀(11)의 양측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기어(17)와, 기어(17)의 하방에 배치되는 기어(18)와, 기어(17)와 기어(18)를 연결하며, 일지점이 승강블록(15)과 결합되는 체인(1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9)가 작동하면 기어(17)가 회전하여 체인(16) 및 기어(18)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블록(15)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이드공브라켓(23)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제1창문틀(12)과 제2창문틀(13)이 접이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다만, 폴드업 전동창(10)의 구동수단 및 작동방식이 상술한 형태와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강블록(15)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창문을 개방 폐쇄 시킬 수 있다면 공지된 다른 형태와 구조의 구동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컨대, 폴드업 전동창의 창문 개폐 수단은 도 3 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 에 도시된 구동수단의 경우 앞서 설명한 구동수단과 동일하게 모터(19), 기어(17)(18)와 함께 설치된 체인(16)에 승강블록(15)이 고정되고, 승강블록(15)에 ㄴ자 형상을 가진 제3창문틀 견인쇠(26)의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창문틀견인쇠의 (26)의 타단은 제2창문틀(13)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3창문틀(14)에 고정된다. 또한, 승강블록(15)의 상단에는 돌출 걸쇠가(20)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걸쇠의(20)의 끝에는 걸쇠돌부(21)가 돌출 형성되며, 제2창문틀(13)의 일측에는 걸림쇠브라켓(22)이 설치된다.
따라서 창문(W)이 폐쇄된 상태에서 모터(19)를 작동시키면 돌출걸쇠의 걸쇠돌부(21)가 사선으로 형성된 걸림쇠브라켓(22)의 가이드 홈(22-1) 내면을 외측 상방으로 가압하여 제2창문틀(13)을 외측으로 회동시켜 열고, 이후 승강블록(15)이 더 상승하면 제3창문틀 견인쇠(26)가 제3창문틀(14)을 끌고 올라가며 제1창문틀(12)과 제2창문틀(13)이 외측으로 접혀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구동수단의 경우에도 걸림쇠 브라켓(22), 돌출걸쇠(20), 제3창문틀 견인쇠(26)가 창틀(11)과, 제2창문틀(13) 및 제3창문틀(14)의 측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창틀(11)과 창문틀(12)(13)(14)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며 이들 창틀 면 밖으로 돌출되는 기계장치들이 이동하는 기계구동개구부가 생기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이상으로 폴드업 전동창(10)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폴드업 전동창(10)에 적용되는 창틀 -창문틀 틈새 및 기계구동개구부의 차단판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폴드업 전동창에서 창틀-창문틀 틈새는 창문의 폐쇄시 발생한다. 또 창문이 닫혔을 때 내측 창틀의 기계기동개구부는 항상 그렇듯이 열려있게 된다. 반면 창문이 열려있을 때에는 틈새의 문제는 없는 대신 외측창틀과 내측 창틀의 기계기동개구부가 동시에 열려있게 된다.
따라서 창문이 닫혔을 때 창틀-창문틀 틈새와 내측창틀기계구동개구부가 동시에 닫히고 창문이 열렸을 때 외측창틀개구부와 내측창틀개구부가 동시에 닫히는 가장 바람직한 경우를 예로 들어 먼저 창문이 닫힐 때 틈새와 내측창틀 개구부를 차단하는 차단판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고 다음으로 창문이 열렸을 때 내.외측 창틀의 두 개의 기계구동개구부를 닫기 위한 차단판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단 폴드업전동창에 위와 같이 가장 바람직한 예의 차단판 장치를 구성했을 경우 창문이 닫힐때와 열릴 때 차단판장치의 작용은 순시작동 과정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작용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이후 설명에서 먼저 설명이 된 작용과정은 후에 다시 설명치 않고 ‘전술한 작용 과정과 같다’로 설명을 대신 하도록 한다.
그리고, 폴드업 전동창(10)의 구동수단은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첫 번째로 언급한 구동수단을 예로 들어 설명하되 필요한 경우 다른 형태의 폴드업 전동창에 대해 추가 설명한다.
폴드업 전동창 폐쇄시: 창틀-창문틀 틈새 차단장치 겸 내측 창틀부(F2) 개구부 차단 장치.
틈새 차단 및 내측창틀부 개구부 차단장치(도 5∼8)는 브라켓가이드공의 가이드공직선부(도12, 24B) 또는 걸림쇠 브라켓 가이드 홈의 직선부(도12, 22-1B), 동력전달수단과 동력실행 장치 및 스프링, 차단판 장치를 포함하며 동력전달수단의 주된 장치를 양쪽 창틀 하단에 설치한다.
동력전달수단과 동력실행수단의 예로는
첫째 래크기어(60)와 기어조립체(61,62), 견인선(50)및 견인선하우징(견인선 겉선, 51)으로 구성되는 견인선 장치 와 스프링(52)에 의해 항상 열림상태 또는 닫힘 상태로 원상 회복력을 갖고 있는 차단판(40)과 차단판을 끌고 풀어 틈새 또는 개구부를 차단하고 개방하는 스프링 차단판 장치
둘째, 동력 전달수단으로 위 첫째항 래크기어를 대체하는 견인기 밀대(56)와 왕복견인기(57)등 직접 견인장치와 견인선 및 견인선 하우징 등.
셋째 :승강블록의 유압 압력부(70),유압발생장치(71),유압 전달 파이프(73)와 ,유압파이프의 유압을 받아 가압과 감압에 의해 유압 실린더가 차단판을 밀거나 끌어, 닫거나 여는 유압실행실린더(74)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외, 하나의 견인선 장치 또는 유압발생장치에서 전달하는 동력을 분기된 견인선과 분기된 유압파이프 등으로 별개의 견인선 스프링 차단판 장치, 유압실행실린더(74)장치등으로 전달해 이들 장치들이 원래의 주된 동력전달 장치와 동시에 작동하는 분기장치를 포함한다.
이외 별도의 소형 모터를 이용해 모터의 동력을 기어조립체를 통해 차단판에 부착된 래크기어로 전달, 래크기어가 차단판을 수평이동 시키거나 모터의 동력을 기어조립체를 통해 상기 첫째항의 견인선장치로 연결해 차단판을 수평이동 시키는 모터 기어 장치를 포함한다.
첫째 래크기어 견인선 스프링 차단판 장치
래크기어(60)는 승강블록(15)의 상하 이동에 따른 동력을 기어조립체(61,62)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블록(15)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다. 래크기어(60)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블록(15)의 일부에 연장 형성되나, 승강블록(15)의 폭방향 전체에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기어조립체(61,62)는 래크기어(60)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이용하여 차단판을 개폐시키기 위해 견인선(50)을 효과적으로 당기고 풀기 위한 것으로 창틀(11)의 양측 하부 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어조립체(61,6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블럭 래크기어(60)와 치합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기어(61)와, 제1기어(61)와 치합되는 제2기어(62), 그리고 제2기어(62)에 부착돼 견인줄을 감고 풀기위한 원통기어(6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기어조립체가 상술한 제1기어(61), 제2기어(62) 및 원통기어(63)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래크기어(6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차단판(40)으로 전달할 수 있다면 기어의 종류, 크기, 개수, 조립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차단판(40)은 창문(W)의 폐쇄시 가이드공브라켓(23)등으로 인해 창틀(11)과 창문틀(12)(13)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G) 또는 내측 및 외측 창틀의 기계구동개구부(O)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창틀(11)의 양측 내부에 각각 필요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동 발명 내용의 일부로 창틀에 형성된 차단판 가이드 홈(도4, 41)에 설치될수 있다.
이상으로 틈새 및 개구부 차단판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틈새 및 개구부 차단판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틈새 및 개구부 차단판 장치가 차단판의 설치 위치만 상이할 뿐 장치의 구성,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틈새 차단 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개구부 차단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창문틀(12)(13)이 상방으로 폴딩되어 창문(W)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모터(19)를 작동시키면 기어(17)(18)와 체인(16)의 회전으로 승강블록(15)이 하강함으로써 창문틀(12)(13)이 펼쳐져 창틀(11)을 폐쇄하게 된다. 창틀의 폐쇄후에도 승강블록은 가이드공의 직선부(도12, 24B)를 따라 일정구간 더 하강한다. 이처럼 승강블록(15)이 창문 폐쇄후 추가로 하강함에 따라 창문 폐쇄후 순시적으로 승강블록(15)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래크기어(60)가 기어조립체의 제1기어(61)와 맞물려 제1기어(62)를 회전시키고, 제2기어(62)에 부착된 원통기어(63)가 순차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 원통기어(63)의 회전으로 원통기어(63)의 원통견인선고정돌부(64)에 고정된 견인선(50)이 원통기어(63)에 감기게 되면 견인선이 당겨져 견인선의 다른 한끝에 고정된 창틀 -창문틀 틈새차단판(40)과 이 견인선에서 분기된 견인선 끝에 고정된 내측창틀 개구부 차단판(40)이 동시에 힘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창틀-창문틀 틈새차단판(40)과 내측창틀 개구부 차단판(40)이 이동하여 창틀(11)과 창문틀(12)(13) 사이의 틈새(G)와 내측창틀 개구부(O)를 차단하게 된다.
차단판(40)이 틈새(G)를 차단할 때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제3창문틀(12,13,14)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요홈(90)을 형성하고, 이러한 요홈(90)에 차단판(40)의 일측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차단판(40)의 일측단부가 요홈(90)에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요홈(90)과 대응되는 단면 구조를 가져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창문(W)이 폐쇄된 상태에서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모터(19)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상술한 바와 반대로 승강블록(15)이 상승함으로써 래크기어(60)에 의해 제1기어(61), 제2기어(62) 및 원통기어(63)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해 견인줄을 풀어주고, 이에 따라 창틀-창문틀 틈새차단판(40)과 내측창틀 개구부 차단판(40)이 복원되는 스프링의 힘을 받아 다시 창틀(11)가이드 홈(41)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틈새(G) 및 개구부(O)가 노출되면서 창문(W)이 개방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력전달수단은 기어조립체와, 원통견인선고정 돌부(64)와, 견인선(50) 견인선하우징(51) 및 지지롤러(5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조립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 예컨대, 승강블록(15)의 래크기어(60)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기어(61)(62)를 포함하여 승강블록(15)의 승강으로 발생된 동력을 원통견인선고정돌부(64)로 전달한다.
원통견인선고정돌부(64)는 원통기어(63)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다.
견인선은 원통견인선고정돌부(64)에 일방을 감기도록 고정하고, 한쪽 끝은 고정구(54)를 이용하여 차단판(40)에 고정한다.
지지롤러(53) 한 개가 마련되어 견인선(50)의 내측에 차단판(4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다.
따라서 승강블록(15)이 하강하면 래크기어부(60)에 의해 기어(61)(62)가 순차적으로 회전하고, 이로 인해 원통견인선고정돌부(64)가 회전하여 견인선(50)을 수평방향으로 끌어 이동시킴으로써 견인선(50)에 고정된 차단판(40)이 창틀-창문틀 틈새(G)를 폐쇄하게 된다. 이 경우 차단판은 평소에는 스프링(52)에 의해열려있는 상태로 고정돼 승강블록의 하강시에만 견인선을 당겨 차단판이 틈새를 차단토록 하고 승강블록이 상승하면서 견인선을 풀어주면 스프링(52)의 복원력에 의해 차단판이 스스로 창틀 가이드홈속(41)으로 들어가며 창틀 -창문틀 틈새가 노출되면서 개방된다.
차단판(40)은 좁은 폭으로 긴 높이를 가지고 서 있는 구조여서 이를 창문틀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다시 원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단과 하단에서 동시에 같은 거리를 끌고 밀어야 안정성을 확보할수 있다. 이를 위해 양쪽 창틀(11) 상단에도 분기된 견인선(50)을 받아 차단판(40)을 개폐시키는 지지롤러(53) 가 설치되야 하며 견인선(50) 한끝이 고정구(54)에 의해 차단판(40)에 고정되고 차단판을 원상위치로 회복시키는 차단판개방스프링(5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에 설치되는 견인선(50) 및 지지롤러 및 차단판에 동력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견인선하우징(51)을 포함한 견인선(50)을 사용한다. 견인선(50)은 견인선 하우징(51,견인선 겉선)속에 넣어 연결하므로써 곡선등 자유로운형태로 배치가 가능하며 창틀 좁은 공간속에서 다른 기계구동부와 간섭없이 창틀 상단과 하단에 동시에 같은 견인력을 전달할수 있다. 이때 견인선하우징(51)을 포함한 견인선(50)을 다른 기계 구동에 간섭없이 상단까지 연장하기 위해 동 발명 내용의 하나로서 창틀 구조에 견인선 연결구(도13, 95 견인선 외 유압파이프 샤프트 등 동력전달매체연결구)를 포함시켜 제작할수 있다.
또 창틀-창문틀 틈새(G)를 여는 힘은 상시 열림상태에 고정된 차단판개방스프링(52)의 복원력을 이용하므로써 견인선(50)의 역할을 당김 기능에만 국한시켜 한줄의 견인선 만으로 차단판의 수평 이동이 가능토록 한다. 이때 두줄의 견인선을 배치해 견인선이 차단판을 밀고 당김으로써 스프링이 없이 견인선의 힘 만으로 차단판을 개폐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내측 창틀의 개구부 차단판의 구성과 작용 역시 전술한 창틀-창문틀 틈새 차단판 과 동일 하다.
둘째 ‘밀대 견인선 스프링 차단판 장치’
첫째항 ‘래크기어 견인선 스프링 차단판 장치’에서 승강블록에 연장 형성되는 래크기어 및 기어조합부 대신 승강블록에 연장 형성되는 견인기밀대가 견인선에 고정된 견인장치를 밀어 견인선 하우징 속의 견인선을 끌어당기는 견인장치로서 도 5의 예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이 장치는 승강블럭의 밀대가 견인선 연결 장치를 움직여 견인선을 끄는 형태라면 다양한 모양의 장치들이 포함될수 있다.
견인기밀대(56)는 승강블록(15)의 상하 이동에 따른 동력을 왕복견인기(57)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블록(15)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다.
왕복견인기(57)는 견인기밀대(56)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견인선(50)을 효과적으로 당기고 풀기 위한 것으로 창틀(11)의 양측 하부 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왕복견인기(56)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왕복견인기 가이드 홈(59)내에 설치될수 있으며 이로인해 왕복견인기(56)가 안정적으로 상하 운동을 할수있게 된다. 또 왕복견인기(56)에는 견인선(50)을 고정하는 견인기 견인선 고정돌부(58)를 설치해 여기에 견인선(50)을 고정할수 있게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견인기 밀대 견인장치’가 왕복견인기(56), 왕복견인기 가이드홈(59)의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강블록(15)의 상하 운동 동력을 차단판(40)으로 전달할 수 있다면 ‘견인기 밀대 견인장치’의 형태나 구성 조립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으로 ‘밀대 견인선 스프링 차단판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밀대 견인선 스프링 차단판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밀대 견인선 스프링 차단판 장치’가 차단판의 설치 위치만 상이할 뿐 장치의 구성, 작용이 동일 하므로 이하에서는 틈새 차단 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개구부 차단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창문틀(12)(13)이 상방으로 폴딩되어 창문(W)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모터(19)를 작동시키면 기어(17)(18)와 체인(16)의 회전으로 승강블록(15)이 하강함으로써 창문틀(12)(13)이 펼쳐져 창틀(11)을 폐쇄하게 된다. 창틀의 폐쇄후에도 승강블록은 가이드공의 직선부(도12, 24B)를 따라 일정구간 더 하강한다. 이처럼 승강블록(15)이 창문 폐쇄후 추가로 하강함에 따라 창문 폐쇄후 순시적으로 승강블록(15)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견인기 밀대(56)가 왕복견인기가이드홈(59)내의 왕복견인기(56)를 밀게 된다. 견인선은 왕복견인기의 견인기 견인선 고정돌부(58)에 끝이 고정되고 다시 견인기지지롤러(55)에 걸려 왕복견인기(56)가 밀리면 지지롤러(53)에 걸린 견인선이 끌어 당겨지게 된다. 견인선이 당겨지면 견인선의 다른 한끝에 고정된 창틀 -창문틀 차단판(40)과 이 견인선에서 분기된 견인선끝에 고정된 내측창틀 개구부 차단판(40)이 동시에 힘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창틀-창문틀 차단판(40)과 내측창틀 개구부 차단판(40)이 이동하여 창틀(11)과 창문틀(12)(13) 사이의 틈새(G)와 내측창틀 개구부(O)를 차단하게 된다.
차단판(40)이 틈새(G)를 차단할 때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제3창문틀(12,13,14)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요홈(90)을 형성하고, 이러한 요홈(90)에 차단판(40)의 일측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차단판(40)의 일측단부가 요홈(90)에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요홈(90)과 대응되는 단면 구조를 가져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창문(W)이 폐쇄된 상태에서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모터(19)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상술한 바와 반대로 승강블록(15)이 상승함으로써 견인기 밀대(56)가 상승하면서 왕복견인기(57)가 당겨 잡고 있던 견인줄을 풀어주고, 이에 따라 창틀-창문틀 차단판(40)과 내측창틀 개구부 차단판(40)이 복원되는 차단판개방스프링의 힘을 받아 다시 창틀(11)가이드 홈(41)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틈새(G) 및 개구부(O)가 노출되면서 창문(W)이 개방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력전달수단은 견인기 밀대(56)와 왕복견인기(56)왕복견인기 가이드 홈(59) 견인기 견인선 고정돌부(58) 견인선(50) 견인선하우징(51) 및 견인기지지롤러(55)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기밀대(56), 왕복 견인기(57), 왕복견인기 가이드 홈(59)등은 원통형 4각형등 모양에 상관없이 견인기 밀대(56)에 밀려 견인선을 당길수 있는 모든 형태가 가능하다. 견인기 밀대(56)에 밀려 왕복 견인기(57)가 움직이면 왕복견인기(57)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견인기 견인선 고정돌부(58)에 고정된 견인선(50)이 움직이며 이 움직임의 방향을 왕복견인기 가이드 홈의 일 끝에 형성된 견인선 지지롤러(53)가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된다.
견인선은 견인기 견인선 고정돌부(58)에 일방이 고정되고, 한쪽 끝은 고정구(54)를 이용하여 차단판(40)에 고정한다.
따라서 승강블록(15)이 하강하면 견인기 밀대(56)에 의해 왕복견인기 가이드 홈내(59)의 왕복견인기(57)가 순차적으로 움직이고 왕복견인기에 경인기 견인선 고정돌부(58)로 고정된 견인선(50)이 따라서 움직이며 이 견인선은 왕복견인기 가이드 홈(59)에 부착된 견인기 지지롤러(55)에 걸려 안정적으로 당김거리를 확보하면서 견인선 하우징(51)에 의해 직선 또는 곡선을 유지하며 차단판 장치에 도달하게 된다. 차단판 장치에 도착한 견인선 하우징(51)은 차단판장치 지지롤러(53)에 수평방향으로 고정해 견인선 하우징(51) 속의 견인선(50)을 수평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므로써 차단판개방스프링(52)에 의해 열린 상태로 견인선(50)에 고정된 차단판(40)을 당겨 창틀-창문틀 틈새(G)를 폐쇄하게 된다. 차단판은 평소에는 차단판개방스프링(52)에 의해 열려있는 상태로 고정돼 승강블록의 하강시에만 차단판이 틈새를 차단토록 하고 승강블록이 상승하면서 견인선을 풀어주면 차단판개방스프링(52)의 복원력에 의해 차단판이 스스로 창틀 가이드홈속(41)으로 들어가며 창틀 -창문틀 틈새가 노출되면서 개방된다.
차단판(40)은 좁은 폭으로 긴 높이를 가지고 서 있는 구조여서 이를 창문틀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다시 원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단과 하단에서 동시에 같은 거리를 끌고 밀어야 안정성을 확보할수 있다. 이를 위해 양쪽 창틀 상단에도 똑같은 견인선(50) 견인선하우징(51) 견인기지지롤러(55) 등 스프링 차단판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단에 설치되는 스프링차단판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견인선하우징(51)을 포함한 견인선(50)을 사용한다. 견인선은 견인선 하우징(51,견인선 겉선)속에 넣어 연결하므로써 곡선등 자유로운형태로 배치가 가능하며 창틀 좁은 공간속에서 다른 기계구동부와 간섭없이 창틀 상단과 하단에 동시에 같은 견인력을 전달할수 있다.
또 창틀-창문틀 틈새(G)를 여는 힘은 상시 열림상태에 고정된 스프링(52)의 복원력을 이용하므로써 견인선(50)의 역할을 당김 기능에만 국한시켜 한줄의 견인선 만으로 차단판(40)의 수평 이동이 가능토록 한다. 이때 두줄의 견인선을 배치해 견인선이 차단판을 밀고 당김으로써 스프링이 없이 견인선의 힘 만으로 차단판을 개폐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내측 창틀의 개구부 차단판의 구성과 작용 역시 전술한 창틀-창문틀 틈새 차단판 과 동일 하다.
다만 창틀 개구부 차단판의 형태에 있어 창문 폐쇄후 닫히는 차단판이 창문 폐쇄후 기계구동부의 돌출 부분에 걸리지 않도록 샤프트 등 돌출부분을 오려내 디자인할수 있다.
셋째 동력 전달 및 실행장치로서 유압장치를 사용하는 예
도 7을 참조하면 유압발생장치(71)는 유압장치 압력부(70)로부터 받은 압력을 유압으로 바꾸어 유압 파이프(73)를 통해 유압실행실린더(74)로 전달하고 전달된 유압이 유압실행 실린더(74)의 피스톤(75)을 밀고 당겨 피스톤에 피스톤 축(76)으로 연결된 차단판(40)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유압장치의 유압압력부(70)는 승강블록(15)의 상하 승강이동에 따른 동력을 유압발생장치(71)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블록(15)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다.
유압발생장치(71)에는 승강블록의 하강압력이 해소된 후 장치를 원상태로 되 돌리기 위한 유압회수스프링(72)이 설치된다.(도 9) 또 유압파이프(73)의 분기를 통해 동시에 차단판 개폐가 필요한 다수의 유압실행실린더(74)로 유압을 보낼수 있게 한다.
승강블록(15)이 하강해 유압발생장치(71)에 압력을 가하면 압력은 유압파이프(73)를 따라 유압실행실린더(74)로 전달되고 유압실행실린더(74)의 피스톤(75)이 피스톤 축(76)을 통해 차단판(40)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창틀-창문틀 틈새(G)를 차단한다. 또 유압발생장치(71)의 압력은 분기된 또다른 유압파이프(73)를 통해 내측 창틀개구부(O)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유압실행실린더에 전달돼 내측 창틀 개구부(O) 차단판(40)을 수평이동시켜 내측창틀개구부(O)를 폐쇄한다.
승강블록(15)이 상승을 시작하면 유압발생장치(71)에 가해졌던 압력이 해소되면서 유압장치의 유압부스프링(72)이 유압발생장치(71)를 원상태로 회복시키고 따라서 유압파이프(73)를 통해 유압실행실린더(74)에 가해졌던 압력을 회수하면서 유압실행실린더내의 피스톤(75)을 원 위치로 당긴다. 따라서 피스톤에 피스톤 축(76)으로 연결된 창틀-창문틀 틈새 차단판(40)과 내측창틀 개구부 차단판(40)이 원 위치로 끌어 당겨져 수평방향 차단판 가이드 홈(41) 속으로 이동하며 창틀-창문틀 틈새와 내측창틀 개구부가 개방된다.
넷째 ; 차단판 작동 동력원으로 별도 모터를 사용하는 예
차단판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블록(15)의 승강에 따른 동력을 이용하는 외에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것도 가능한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도5에 도시된 차단판의 수평이동을 위한 동력원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별도 모터 장치는 모터(80)와, 동력전달수단으로 기어(81,82) 및 차단판에 부착된 래크기어(83) 그리고 차단판(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판(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설치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모터(80)와 동력전달수단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모터(80)는 앞서 설명한 승강블록(15)의 승강을 위해 사용되는 모터(19)와 별개로 마련되는 모터로서 창틀(11)의 내측에 설치된다.
동력전달수단은 모터(80)의 동력을 차단판(4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기어(81,82)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력전달수단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80)에 결합되는 기어(81)와, 기어(81)와 치합되는 기어(82)그리고 기어(82)와 치합될 수 있도록 차단판(40)의 일면에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래크기어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80)가 작동하면 기어(81)(82)가 순차적으로 회전하여 래크기어부(83)에 힘을 가하고, 이로 인해 차단판(4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 모터의 동력 전달 수단으로 기어(81, 82)외에 상기 첫째항의 견인선 스프링 차단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폴드업 전동창 개방시 : 내측 창틀부(F2)와 외측창틀부(F!) 개구부 차단장치
창문 개방시 내측 창틀부와 외측창틀부 개구부 차단장치는 동력전달수단과 동력실행 장치 및 스프링, 차단판 장치를 포함하며 동력전달수단의 주된 장치를 양쪽 창틀 상단에 설치한다.
차단판은 창문 완전 개방후 창틀에 돌출돼 있는 기계구동부에 간섭받거나 걸리지 않도록 디자인 한다. 상세하게는 창문 완전 개방시 기계구동개구부에는 창문틀과 연결된 샤프트, 돌출걸쇠 등이 돌출돼 있는바 차단판이 닫히면서 이들 기계구동부에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판에 걸리는 부분을 오려내 차단판 천공부(도 14, 91)를 만드는 형태로 디자인한다.
폴드업전동창의 개방시 차단판(40)은 내측 및 외측 창틀의 기계구동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 및 외측 창틀(11)의 양측 내부 차단판 가이드 홈(41)에 각각 필요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도4)
먼저, 창문(W)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모터(19)를 작동시키면 승강블록(15)이 상승함으로써 창문틀(12)(13)이 접혀 창틀(11)을 개방하게 된다. 창틀을 개방하는 승강블록의 가이드공 샤프트(25) 또는 제3창문틀견인샤프트(26-1) 가 창문의 완전 개방위치로부터 아래로 차단판(40) 폭 만큼의 위치에 달했을 때 승강블록 상단에 연장형성된 래크기어(60) 또는 견인기 밀대(56) 또는 유압압력부(70)가 기어 및 원통기어(61,62,63) 또는 왕복 견인기(57) 또는 유압발생장치(71)등 동력전달창치를 작동시킨다. 승강블록(15)이 이 위치부터 창문의 완전 개방위치까지 상승하며 동력 전달장치를 작동시키면 동시에 차단판(40)이 기계구동개구부(O)를 순시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차단판은 승강블록에 부착된 가이드공 샤프트(25), 제3창문틀 견인 샤프트((26-1) 등 기계구동부에 걸리게 된다. 때문에 차단판(40)이 승강블록(15)의 각종 샤프트(25, 26-1)에 걸리는 간섭부분을 천공해 오려낸다.(도12) 차단판에 천공돼 오려낸 부분(91)은 창문틀(13) 또는 가이드공 브라켓(23)등 기계구동부에 의해 가려져 천공이 되더라도 차단의 목적을 달성할수 있다.(도14)
개방된 창문을 다시 닫을 경우 리모콘 등으로 모터(19)를 돌려 승강블록(15)을 하강 시키면 승강블록 상단에 연장형성된 래크기어(60) 또는 견인기 밀대(56) 또는 유압압력부(70)등에 의해 기어 및 원통기어(61,62,63) 또는 왕복 견인기(57) 또는 유압발생장치(71)등 동력전달창치에 가해지던 압력이 풀리면서 차단판개방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차단판(40)이 즉각 열리고 열린 개구부(O)를 통해 기계구동부가 하강하며 창문틀(12, 13,14)을 하강시키고 최종적으로 창문을 폐쇄하게 된다. 창문이 폐쇄된후 계속 하강하는 승강블록(15)에 연장형성된 래크기어(60) 또는 견인기 밀대(56) 또는 유압압력부(70)가 외측창틀 하단의 기어 및 원통기어(61,62,63) 또는 왕복 견인기(57) 또는 유압발생장치(71)등 동력전달창치를 작동해 창틀-창문틀 틈새(G)와 내측창틀부(F2)의 차단판(40)을 닫게 된다.
이중 순시 차단 과정을 도 14를 참조하여 견인기 밀대형 차단판 장치를 예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터(19)의 회전으로 승강블록(15)이 상승하여 제2창문틀(13)이 창문의 완전 개방위치에서 차단판 폭 만큼거리 직전인 도 14, 13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승강블록에 연장형성된 견인기 밀대(60)가 왕복견인기(57)를 밀기 시작하도록 장치를 구성한다. 승강블록이 나머지 차단판 폭 만큼의 거리를 마저 상승해 제2창문틀(13)을 도14, 13”의 위치까지 올려 창문을 완전개방하고 정지하면 승강블록에 연장형성된 견인기 밀대(60)는 도14 의 60의 위치에서 도 14, 60”위치까지 이동하고 왕복견인기는 도14, 60에서 도14, 60”거리만큼 견인선을 당기게 된다. 이렇게 당겨진 견인선(50)은 차단판(40)을 도14의 60에서 도 14, 60”까지의 거리만큼 수평이동 시켜 기계구동개구부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차단판의 천공부(91)는 제2창문틀 폭 내에 감춰져 보이지 않음으로 천공부가 있더라도 창틀의 개구부 차단 목적을 달성할수 있다.
이상 폴드업전동창의 폐쇄시 창틀-창문틀 틈새(G)와 내측창틀 개구부(O) 차단 은 양쪽 내측 창틀 하부 각각 한 개씩의 동력전달장치에서 나온 동력을 분기장치에 의해 분기해 외측 창틀 상.하 단의 창틀-창문틀 틈새 차단판 장치와 내측창틀 상.하단의 개구부 차단판 장치에 동시에 전달하므로써 동시에 네 개의 차단판 장치를 가동할 수 있다.
폴드업전동창의 개방시 창틀의 개구부 차단 역시 내측 양쪽 창틀 상부 각각 한 개의 동력전달장치에서 나온 동력을 분기장치에 의해 분기해 각각 내.외측 창틀 개구부 4개의 차단판 장치에 모두 사용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장치구성에서는 창틀 창문틀 틈새와 창틀 기계구동개구부의 스프링 장치가 평소 차단판을 개방하도록 하는 위치에 있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창문의 용도, 예를 들어 주로 닫아 놓는 창인가 아니면 열어 놓는 창인가 등에 따라 평소 스프링장치가 차단판을 폐쇄하도록 하는 위치로 설치하고 차단판을 끌거나 미는 방향을 달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별도 모터의 동력을 사용하는 예의 경우 창틀의 상단과 하단등 차단판이 필요한 곳에서 차단판이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데 필요한 위치에 각각 모터 및 차단판장치를 설치하거나 모터의 동력을 견인선으로 전달하면서 분기장치를 이용해 필요한 부분의 복수의 차단판을 동시 개폐할수 있다.
위 차단판 장치들은 필요에 따라 창틀-창문틀 틈새만 차단하거나 내.외측창틀의 기계구동개구부만 차단하거나 둘다 차단하거나 본 특허 출원자에 의해 특허 출원된 단일개구부 단축 창틀의 경우 창틀-창문틀 틈새와 하나뿐인 개구부를 동시.각각 차단하는 등 다양한 조합 예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가이드공브라켓형 폴드업전동창
11 : 창틀 12 : 제1창문틀
13 : 제2창문틀 14 : 제3 창문틀
15 : 승강블록 16 : 체인
17, 18 : 기어 19 : 모터
20 : 돌출걸쇠 21:걸쇠돌부
22 : 걸림쇠 브라켓 22-1 가이드 홈
22-1B 가이드홈 직선부 23 :가이드공 브라켓
24 : 가이드공 24B: 가이드공 직선부
24-1 가이드공 브라켓의 변형 예 24-2: 걸림쇠 브라켓의 변형 예
25 : 가이드공 샤프트 26. 제3창문틀 견인쇠
26-1 : 제3창문틀 견인 샤프트
40: 차단판 41 : 차단판 가이드 홈
50 : 견인선 51 : 견인선 하우징
52 : 차단판 개방스프링 53 : 지지롤러
54 : 고정구 55 : 견인기 지지 롤러
56 : 견인기 밀대 57 : 왕복견인기
58 : 견인기 견인선 고정돌부 59 : 왕복견인기 가이드 홈
60 : 래크기어 61,62 : 기어
63 : 원통기어 64 : 원통 견인선 고정돌부
70 : 유압 압력부 71 : 유압 발생장치
72 : 유압 회수 스프링 73 : 유압 파이프
74 : 유압실행 실린더 75 ; 피스톤
76 ; 피스톤 축 80 : 모터
81,82 : 기어 83 : 차단판 래크기어
90 : 요홈 91 : 차단판 천공부
95 ; 동력 전달매체 연결구 O : 기계구동개구부
G : 창틀 창문틀 틈새
F1 : 외측 창틀부 F2 : 내측 창틀부
W : 창문

Claims (15)

  1. 창틀과, 상기 창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으로 접힐 수 있게 설치되는 두 개 또는 세개의 창문틀과, 상기 두 개 또는 세개의 창문틀 중 최하단 또는 중간 창문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고정되는 가이드공 브라켓 또는 돌출걸쇠와 상기 가이드공 브라켓 또는 돌출걸쇠와 결합되어 상기 창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록 및 상기 승강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폴드업 전동창에서 상기 창틀과 상기 창문틀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 및 창문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진 이후 창틀에 보기 흉하게 뚫려있는 기계구동 개구부들을 차단은폐 할 수 있도록 하는 폴드업 전동창의 틈새 및 개구부 차단장치로서,
    상기 승강블록이 창문의 폐쇄 이후에도 계속 하방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창틀과 평행으로 직선화된 말단 구간을 갖는 가이드공브라켓의 가이드공과 걸림쇠브라켓의 가이드 홈; 및 상기 승강블록과 연결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시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틈새 또는 개구부를 동시 또는 별개로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창틀에 설치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폴드업 전동창의 틈새 및 개구부 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래크기어와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조립체;와 상기 기어조립체의 기어의 일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일단이 감기도록 고정되며, 다른 일단이 상기 차단판에 고정되는 견인선; 과 견인선이 감겼을 때 상기 차단판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견인선을 가이드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업 전동창의 차단판장치.
  3. 제 1항에 있어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견인기밀대; 와 이의 압력을 받아 가이드 홈을 따라 움직이는 왕복 견인기;, 왕복견인기의 일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차단판에 고정되는 견인선; 과 왕복견인기의 이동으로 견인선이 당겨졌을 때 상기 차단판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견인선을 가이드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업 전동창의 차단판장치.
  4. 제 1항에 있어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유압장치 압력부와 유압발생장치, 유압파이프;, 유압실행실린더와 실린더내의 피스톤 및 피스톤 축에 연결된 차단판을 특징으로 폴드업전동창의 차단판 장치
  5. 창틀과, 상기 창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으로 접힐 수 있게 설치되는 두 개 또는 세개의 창문틀과, 상기 두 개 또는 세개의 창문틀 중 최하단 또는 중간 창문틀의 일측 또는 양측에 고정되는 가이드공 브라켓 또는 돌출걸쇠와 상기 가이드공 브라켓 또는 돌출걸쇠와 결합되어 상기 창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록 및 상기 승강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폴드업 전동창에서 상기 창틀과 상기 창문틀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 및 창문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진 이후 창틀에 보기 흉하게 뚫려있는 기계구동 개구부들을 차단은폐 할 수 있도록 하는 폴드업 전동창의 틈새 및 개구부 차단장치로서,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작동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틈새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창틀의 일측 또는 양측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판; 을 포함하는 폴드업 전동창의 틈새 및 개구부 차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조립체; 와 상기 기어조립체의 기어의 일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일단이 감기도록 고정되며, 다른 일단이 상기 차단판에 고정되는 견인선; 과 견인선이 감겼을 때 상기 차단판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견인선을 가이드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업 전동창의 틈새 및 개구부 차단장치
  7. 제 2항 및 3항 및 6항에 있어 2항 및 6항의 기어의 회전 또는 3항 왕복복견인기의 운동이 견인선을 당겨 차단판을 수평 이동시켜 틈새를 차단할 때 수축되면서 차단판의 틈새 차단을 허용하고 기어의 반대회전으로 견인선이 풀릴 때 이완되면서 이완되는 힘으로 차단판을 원 위치 시켜 차단판 가이드 홈으로 밀어 넣는 차단판개방스프링 ;
  8. 제 6항에 있어
    7항과 반대로 차단판이 스프링의 힘으로 항상 닫혀있는 차단판 폐쇄스프링 창틀에서 일끝이 차단판에 고정된 견인선이 모터 및 기어조립체 또는 상기 1항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당겨질 때 개구부가 열리고 반대로 모터 및 기어조립체 또는 상기 1항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견인선 당김이 풀릴 때 스프링의 힘으로 개구부가 닫히는 반대의 장치 구성 등에서 모터 또는 상기 1항 동력전달수단의 비 작동시 항상 닫힘 상태로 작용하는 차단판 폐쇄 스프링;

  9. 제 4항에 있어
    상기 유압발생장치에 부착돼 있으면서 유압장치 압력부가 유압발생장치를 압박해 유압을 발생시켜 차단판을 이동시켜 틈새를 차단할 때 압축 되면서 차단판의 틈새 차단을 허용하고 승강블록의 이동으로 유압장치 압력부의 압력이 해제되면 스스로 이완되면서 유압발생장치에서 발생한 유압을 회수하는 유압회수 스프링);
  10. 상기 2항 및 3항, 6항에 있어
    상기 견인선 ; 및 견인선 외부를 싸고 있으면서 견인선이 곡선을 이루더라도 항상 같은 견인 거리를 유지토록 하는 견인선 하우징(견인선 겉선);
  11. 상기 1항, 2항, 3항, 6항 및 10항에 있어
    동력전달 장치중 견인선 및 견인선 하우징과 관련해 한 개의 래크기어, 견인선 밀대, 모터등 동력전달수단에서 비롯된 동력을 차단판으로 전달할 때 한 개의 견인선 당김작용을 여러개의 견인선 당김작용으로 분기해 견인선 당김이 필요한 여러개의 장치로 동력을 보내는 견인선 및 견인선 하우징 분기장치;
  12. 상기 4항에 있어
    동력전달장치중 유압파이프와 관련해 상기 유압장치 압력부와 유압발생장치에서 발생한 유압을 유압파이프를 통해 유압실행실린더로 보낼 때 한 개의 유압파이프 유압을 여러개의 유압파이프 유압으로 분기해 유압이 필요한 여러개의 유압실행실린더로 보내는 유압파이프 분기 장치;
  13. 상기 1항에 있어
    상기 차단판이 안정적으로 수평이동하도록 창틀의 일부로 형성되는 차단판 가이드 홈
  14. 상기 1항에 있어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의 일부로서 견인선 하우징을 포함한 견인선, 유압파이프, 기어 샤프트 등 동력 전달장치들이 창틀내에서 움직이는 기계구동부와 간섭 없이 창틀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별도 동력전달 통로(동력전달매체 연결구)를 갖는 고안된 창틀(금형 포함)
  15.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단판이 상기 틈새를 차단할 때 상기 차단판의 일측단부가 상기 요홈에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드업 전동창의 틈새 및 개구부 차단장치
KR1020210096199A 2021-07-22 2021-07-22 폴드업 전동창의 창틀-창문틀 틈새 및 기계구동개구부 차단 개폐를 위한 차단판장치 KR20230014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199A KR20230014981A (ko) 2021-07-22 2021-07-22 폴드업 전동창의 창틀-창문틀 틈새 및 기계구동개구부 차단 개폐를 위한 차단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199A KR20230014981A (ko) 2021-07-22 2021-07-22 폴드업 전동창의 창틀-창문틀 틈새 및 기계구동개구부 차단 개폐를 위한 차단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981A true KR20230014981A (ko) 2023-01-31

Family

ID=8510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199A KR20230014981A (ko) 2021-07-22 2021-07-22 폴드업 전동창의 창틀-창문틀 틈새 및 기계구동개구부 차단 개폐를 위한 차단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49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538B2 (en) Lateral restraint for a movable partition, movable partitions incorporating same and related methods
KR100721455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KR100753571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KR100851284B1 (ko) 다기능 다목적 기능을 구비하는 방범창문의 개폐 장치
WO2006062584A3 (en) Vertical door locking system with solenoid released latch
GB2519396A (en) Mechanism to facilitate cleaning of a closure
AU2013362827A1 (en) Latch mechanism
US20210025225A1 (en) Air tight door
JP2015527511A (ja) ドロップダウンシール及び建物部分
KR20230014981A (ko) 폴드업 전동창의 창틀-창문틀 틈새 및 기계구동개구부 차단 개폐를 위한 차단판장치
JP5660695B2 (ja) 気密式引戸装置
KR20180106308A (ko) 창짝의 개폐가 용이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KR101066430B1 (ko) 방범기능을 갖는 창문장치
KR100753579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US20220307260A1 (en) System for Reversibly Dividing a Space
KR100859527B1 (ko)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JP2009013648A (ja) 自重降下式シャッターにおけるブレーキ解放・復帰装置
JP7195138B2 (ja) 避難扉
JP3189401U (ja) 電動昇降ゲート
KR970004548Y1 (ko) 방화 및 방범용 셔터
CN113047732A (zh) 一种防火窗的安装结构
KR102475027B1 (ko) 폴드업 전동창의 기밀유지장치
KR20230095631A (ko) 패닉디바이스에 부설되는 도어클로저
CN115450548B (zh) 一种可拆分式防火卷帘构造
JP3896414B2 (ja) 建築用シャッタ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