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374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374A
KR20230095374A KR1020210184788A KR20210184788A KR20230095374A KR 20230095374 A KR20230095374 A KR 20230095374A KR 1020210184788 A KR1020210184788 A KR 1020210184788A KR 20210184788 A KR20210184788 A KR 20210184788A KR 20230095374 A KR20230095374 A KR 20230095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detection sensor
sensor unit
vehicle
lam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형
최경호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4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5374A/ko
Publication of KR2023009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Cover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2Forced coo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기능이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 하우징에 결합되어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렌즈를 포함하는 램프 조립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램프 조립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램프 조립체에 장착되어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기능이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 주행시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램프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최근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에 각종 센서와 전자 장치가 구비되고 있으며, 특히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차량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일환으로, ADAS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램프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2116호 (2013.10.1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 주변의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습기가 제거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 하우징에 결합되어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렌즈를 포함하는 램프 조립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램프 조립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램프 조립체에 장착되어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램프 하우징 및 상기 커버 렌즈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부의 장착을 위하여 상기 램프 조립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커버 렌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감지 센서부의 설치 또는 분리를 위한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게 상기 램프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램프 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와 마주보는 상기 커버의 일면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램프 하우징에 형성되는 장착 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부와 결합되어 상기 감지 센서부를 지지하고, 상기 장착 홀에 장착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감지 센서부와 상기 지지 브라켓 사이가 밀폐되도록 하는 제1 실링 부재와, 상기 지지 브라켓과 상기 램프 하우징 사이가 밀폐되도록 하는 제2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램프 하우징과 체결되는 체결 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램프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지지 브라켓에 형성되는 결합 홈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단부가 통과하는 결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의 장착 홀 주변에 형성되는 체결 홈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의 단부가 통과하는 체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방출된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상기 램프 조립체 내부에 토출되도록 하는 방열부를 더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감지 센서부의 열이 방출되도록 하는 방열 팬; 및 상기 방열 팬에 의해 방출되는 열에 의한 온도가 상승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부는, 상기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상기 커버 렌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부는,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물체에 의해 반사된 전자파를 수신하여 상기 물체를 감지하는 레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차량의 주변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부가 램프 하우징이나 커버 렌즈에 장착되기 때문에 감지 센서부의 장착을 위한 공간이 생략되어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지 센서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램프 조립체 내부 공간에 토출시켜 커버 렌즈에 발생되는 습기나 빙결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빔 패턴의 배광 특성 저하와 감지 센서부의 감지 성능 저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렌즈에 장착되는 감지 센서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단면도.
도 13은 도 13의 B의 확대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램프 조립체(1100), 감지 센서부(1200) 및 방열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 뿐만 아니라,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주간 주행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그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램프 조립체(1100)는 램프 하우징(1110) 및 커버 렌즈(1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램프 하우징(1110) 및 커버 렌즈(1120)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광원을 비롯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하여 필요한 각종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커버 렌즈(1120)는 차량의 바디 라인 중 일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차량의 바디 라인 형상에 따라 커버 렌즈(1120)의 외측면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커버 렌즈(1120)를 통해 차량 외부로 조사되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램프 조립체(1100)의 내부 공간은 일부가 다른 일부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큰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 조립체(1100)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램프 조립체(1100)의 내부 공간의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램프 하우징(1110) 및 커버 렌즈(1120)의 형상도 달라질 수 있다.
감지 센서부(1200)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지 센서부(1200)는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에 의해 반사되는 전자파를 수신하여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와의 거리, 방향, 고도 등을 감지하는 레이더 센서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지 센서부(1200)는 레이더 센서 뿐만 아니라, 전자파, 초음파, 빛 등과 같이 다양한 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지 센서부(1200)는 도 7과 같이 커버 렌즈(1120)에 결합되는 장착부(1121)에 고정 브라켓(1210)을 통해 장착될 수 있으며, 고정 브라켓(1210)에는 장착부(1121)에 형성되는 고정 홈(1121a)에 삽입되는 고정 부재(1121b)의 단부가 통과하는 고정 홀(1211)이 형성되어 장착부(1121)에 감지 센서부(12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210)은 감지 센서부(120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1220)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1212)이 형성되어 감지 센서부(1200)와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지 센서부(1200) 및 고정 브라켓(1210)은 나사 결합, 후크 결합, 접착제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 브라켓(1210)은 장착부(1121)에 나사 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브라켓(1210)은 나사 결합, 후크 결합, 접착제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해 장착부(112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버 렌즈(1120)에 장착부(1121)가 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착부(1121)는 램프 하우징(1110) 및 커버 렌즈(11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고, 램프 하우징(1110) 및 커버 렌즈(1120)와 별도로 제조되어 램프 하우징(1110) 및 커버 렌즈(11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도 있다.
방열부(1300)는 감지 센서부(1200)의 동작 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신속하게 방출되도록 하여 고온의 열로 인한 감지 센서부(1200)의 고장이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방열부(1300)는 방열 팬(1310) 및 덕트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 팬(1310)은 감지 센서부(1200)의 일측에 열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방열 팬(1310)은 감지 센서부(1200)의 일측에 직접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도 있고, 히트 패드 등의 열 전달 매체를 통해 감지 센서부(1200)의 일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덕트부(1320)는 방열 팬(1310)에 의해 방출되는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덕트부(1320)는 일단부가 방열 팬(1310)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타단부가 커버 렌즈(1120) 주변에 위치하여 감지 센서부(1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커버 렌즈(1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커버 렌즈(1120) 주변에 존재하는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커버 렌즈(1120)에 습기가 발생하거나 커버 렌즈(1120)의 빙결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감지 센서부(1200)의 감지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밝기, 크기, 형상 등과 같은 배광 특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감지 센서부(1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커버 렌즈(1120) 주변에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커버 렌즈(1120) 주변에 존재하는 습기가 제거되도록 하여 커버 렌즈(1120)에 습기가 발생하거나, 커버 렌즈(1120)의 빙결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덕트부(1320)가 단일의 유로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토출될 위치에 따라 덕트부(1320)는 둘 이상의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램프 하우징(1110)에는 감지 센서부(1200)의 교체나 수리를 위한 커버(1130)가 장착되는 개구부(1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1130)는 개구부(1111)의 주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1111a)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부재(1111b)의 단부가 통과하는 삽입 홀(1131)이 형성되어 개구부(1111)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감지 센서부(1200)의 교체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 램프 하우징(1110)으로부터 커버(1130)를 분리한 다음, 개구부(1111)를 통해 감지 센서부(1200)의 교체나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램프 하우징(1110)은 개구부(1111)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11c)는 개구부(1111)가 차폐되도록 커버(1130)가 램프 하우징(1110)에 결합되는 경우 램프 하우징(1110) 및 커버(1130)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램프 조립체(110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11c)는 고무 등과 같이 외부 힘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11c)는 커버(1130)가 램프 하우징(1110)에 결합되는 경우 커버(1130)에 의해 단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그에 따른 복원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1c)와 마주보는 커버(1130)의 일면과 밀착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커버(1130)와 개구부(1111) 사이의 틈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커버 렌즈(1120)에 구비되는 장착부(1121)에 감지 센서부(1200)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지 센서부(1200)는 램프 하우징(1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B의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램프 조립체(2100), 감지 센서부(2200) 및 방열부(2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램프 조립체(2100), 감지 센서부(2200) 및 방열부(2300)는 전술한 실시예의 램프 조립체(1100), 감지 센서부(1200) 및 방열부(1300)와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고, 그 역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램프 조립체(2100)는 램프 하우징(2110) 및 커버 렌즈(2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 센서부(2200)는 램프 하우징(2110)에 형성되는 장착 홀(211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램프 조립체(2100)에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감지 센서부(2200)는 지지 브라켓(22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 브라켓(2210)은 감지 센서부(2200)와 지지 브라켓(2210) 사이가 밀폐되도록 하는 제1 실링 부재(2211) 및 지지 브라켓(2210)과 램프 하우징(2110) 사이가 밀폐되도록 하는 제2 실링 부재(22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감지 센서부(2200)와 지지 브라켓(2210) 사이에 틈이 발생하거나, 지지 브라켓(2210)과 램프 하우징(2110)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경우, 램프 조립체(2100) 외부로부터 습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고, 램프 조립체(21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램프 조립체(2100) 내부에 수용되는 감지 센서부(2200)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의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지 브라켓(2210)은 램프 하우징(2110)에 체결되는 체결 브라켓(2220)과 결합되어 램프 하우징(2110)에 고정되도록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체결 브라켓(2220)은 지지 브라켓(2210)에 형성되는 결합 홈(2213)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2213a)의 단부가 통과하는 결합 홀(2221)이 형성되고, 램프 하우징(2110)의 장착 홀(2111) 주변 테두리에 형성되는 체결 홈(2112)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2112a)의 단부가 통과하는 체결 홀(2222)이 형성되어 지지 브라켓(2210)이 램프 하우징(22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체결 브라켓(2220)에 의해 지지 브라켓(2210)이 램프 하우징(2110)에 고정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 브라켓(2210)이 체결 홈(2112)에 직접 체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체결 브라켓(2220)은 생략되고 지지 브라켓(2210)에 체결 홀(2222)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방열부(2300)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방열 팬(2310)과 덕트부(2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덕트부(2320)는 방열 팬(2310)에 의해 방출되는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커버 렌즈(2120)의 주변에 토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램프 하우징(2110)에는 덕트부(23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부 영역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감지 센서부(1200)가 커버 렌즈(1120)에 설치되는 경우와 감지 센서부(2200)가 램프 하우징(2110)에 설치되는 경우를 각각 별도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지 센서부는 커버 렌즈와 램프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부(1200, 2200)가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과 함께 램프 조립체(1100, 2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감지 센서부(1200, 2200)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지 센서부(1200, 2200)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공기를 커버 렌즈(1120, 2120) 주변에 토출되도록 하여 커버 렌즈(1120, 2120) 주변의 수분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커버 렌즈(1120, 2120)에 습기가 빙결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히터가 생략되어 비용이 절감되고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0, 2100: 램프 조립체
1110, 2110: 램프 하우징
1120, 2120: 커버 렌즈
1200, 2200: 감지 센서부
1300, 2300: 방열부
1310, 2310: 방열 팬
1320, 2320: 덕트부

Claims (14)

  1. 램프 하우징과, 상기 램프 하우징에 결합되어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렌즈를 포함하는 램프 조립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램프 조립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램프 조립체에 장착되어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램프 하우징 및 상기 커버 렌즈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의 장착을 위하여 상기 램프 조립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커버 렌즈에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감지 센서부의 장착 또는 분리를 위한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게 상기 램프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램프 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와 마주보는 상기 커버의 일면과 밀착되는 차량용 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램프 하우징에 형성되는 장착 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와 결합되어 상기 감지 센서부를 지지하고, 상기 장착 홀에 장착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감지 센서부와 상기 지지 브라켓 사이가 밀폐되도록 하는 제1 실링 부재와, 상기 지지 브라켓과 상기 램프 하우징 사이가 밀폐되도록 하는 제2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램프 하우징과 체결되는 체결 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램프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지지 브라켓에 형성되는 결합 홈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의 단부가 통과하는 결합 홀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의 장착 홀 주변에 형성되는 체결 홈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의 단부가 통과하는 체결 홀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방출된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상기 램프 조립체 내부에 토출되도록 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감지 센서부의 열이 방출되도록 하는 방열 팬; 및
    상기 방열 팬에 의해 방출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상기 커버 렌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토출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물체에 의해 반사된 전자파를 수신하여 상기 물체를 감지하는 레이더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210184788A 2021-12-22 2021-12-22 차량용 램프 KR20230095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788A KR20230095374A (ko) 2021-12-22 2021-12-22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788A KR20230095374A (ko) 2021-12-22 2021-12-22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374A true KR20230095374A (ko) 2023-06-29

Family

ID=8694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788A KR20230095374A (ko) 2021-12-22 2021-12-22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53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116A (ko) 2012-04-03 2013-10-14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116A (ko) 2012-04-03 2013-10-14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380B2 (en) Heat-dissipating apparatus for vehicle lamp
KR101935312B1 (ko) 차량용 도어 미러
US20100232174A1 (en) Front Grill
JP2008251536A (ja) 隔絶された光チャンバを有するヘッドランプ組立体
CN107631277B (zh) 用于车灯组件的一体成形的散热器和灯壳体
KR20030000251A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착 구조
JP2022128266A (ja) 車両用前照灯
KR101405385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1344427B1 (ko) 차량용 램프
US9879841B2 (en) Ventilation apparatus of lamp module for vehicles
CA2297530C (en) Lamp assembly with heat transfer system
KR101937971B1 (ko) 차량용 램프
EP2602538B1 (en) Lighting unit mounting for a vehicle
KR20230095374A (ko) 차량용 램프
KR101063381B1 (ko) 차량용 헤드램프 파단기구
US9810395B2 (en) Ventilation apparatus of lamp module for vehicles
CN113811716A (zh) 车辆组件,车辆和方法
US11118748B1 (en) Reflector-less single lens vehicle lamp
MXPA06013498A (es) Pestaña de montaje de lampara reflectorizada.
KR20180098980A (ko) 차량용 램프
WO2024122453A1 (ja) 発音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
KR200494307Y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64700A (ko) 헤드램프의 습기 제거장치
KR200406661Y1 (ko) 자동차용 적외광 램프
JP2015069788A (ja) 車両用ランプ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