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774A - 배플장치 및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플장치 및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774A
KR20230094774A KR1020210184177A KR20210184177A KR20230094774A KR 20230094774 A KR20230094774 A KR 20230094774A KR 1020210184177 A KR1020210184177 A KR 1020210184177A KR 20210184177 A KR20210184177 A KR 20210184177A KR 20230094774 A KR20230094774 A KR 20230094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edge
coated steel
conta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국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18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774A/ko
Publication of KR2023009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5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 C23C2/52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with means for measuring or sen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플장치 및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장치는 폭방향을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배플장치로서, 고정부에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정위치로 위치되도록 상기 이동부에 일체로 이동되게 결합되는 배플 플레이트;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상기 정위치로 위치시켜야 할 경우 상기 이동부와 일체로 이동되어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를 감지하는 접촉위치 및 상기 배플 플레이트가 상기 정위치로 위치된 경우 상기 이동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와 분리되는 비접촉위치를 갖도록, 상기 이동부에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엣지부 감지부; 및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 및 엣지부 감지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장치를 통해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및 엣지부 결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플장치 및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BAFFLE DEVICE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DGE AREA OF PLATE FROM BEING OVERCOATED}
본 발명은 배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강판 제조 과정에서 고온 용탕을 통과한 도금강판은 도금강판의 양측에 위치하는 에어 나이프를 통해 고압의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도금강판의 도금량을 제어하는데, 양측의 에어 나이프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의 와류 현상으로 인해 도금강판의 엣지부에서는 과도금이나 도금품질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도금강판의 엣지부에서의 과도금 현상이나 도금품질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강판 제조 시 에어나이프 분사 유체의 상호 충돌을 차단하고, 분사 유체의 강판 충돌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배플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통해 배플을 도금강판의 엣지부에 근접 위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배플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은 일반적으로 접촉식 터치롤이 도금강판의 엣지부와 맞닿는 위치까지 이동되어 배플이 강판의 엣지부에 근접 위치하며, 이후 접촉식 터치롤이 강판 엣지에 상시 맞닿은 상태로 도금강판 제조공정이 진행된다. 이 경우, 접촉식 터치롤 표면과 강판의 엣지부의 접촉시 미응고 도금액이 접촉식 터치롤의 표면에 응착되고 나아가 응착량이 점차 증가됨에 따라 도금강판의 엣지부에도 응착 잔상 결함(톱귀)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제거하기 위한 도금강판의 엣지부를 일부 절단하는 차공정 추가 및 접촉식 터치롤 표면의 오염에 따른 주기적 교체는 제조 원가 증가의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에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도금강판의 엣지부를 감지하여 배플을 이동시키는 비접촉식 배플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미세 비산 먼지가 레이저 센서의 수광부 표면에 응착되기 때문에, 수시 정비에 따른 작업자 피로도가 증가되고, 고온의 조업 환경으로 인해 센서 내구성 및 오작동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기존 터치롤 방식 대비 고가의 장비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및 엣지부 결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31536호(2009.12.04)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및 엣지부 결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배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및 엣지부 결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폭방향을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배플장치로서, 고정부에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정위치로 위치되도록 상기 이동부에 일체로 이동되게 결합되는 배플 플레이트;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상기 정위치로 위치시켜야 할 경우 상기 이동부와 일체로 이동되어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를 감지하는 접촉위치 및 상기 배플 플레이트가 상기 정위치로 위치된 경우 상기 이동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와 분리되는 비접촉위치를 갖도록, 상기 이동부에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엣지부 감지부; 및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 및 엣지부 감지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배플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인 에어 나이프 지지대; 상기 에어 나이프 지지대에 도금강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금강판의 양 표면으로 각각 가스를 분사하는 에어 나이프; 및 상기 에어 나이프 사이에 위치하며, 도금강판의 양 엣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플장치;를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가 추가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장치를 통해 도금강판의 폭이 변하더라도 용이하게 도금강판의 도금량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절하여 엣지부에서의 과도금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배플 플레이트가 도금강판의 엣지부에 근접하는 정위치로 위치된 경우, 구동모터의 역회전에 의해 후진하는 스크류 너트에 의해 스크류 너트에 결합된 엣지부 감지부가 도금강판의 엣지부와 분리되는 비접촉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기존의 도금강판의 엣지부와 엣지부 감지부의 접촉으로 인한 엣지부 톱귀 등 결함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장치를 포함한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장치의 배플 플레이트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엣지부 감지부의 감지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에서 배플장치의 배플 플레이트를 이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장치를 포함한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의 정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장치의 배플 플레이트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엣지부 감지부의 감지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에서 배플장치의 배플 플레이트를 이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아래에서,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장치(200) 및 도금강판(P)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P)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는 에어 나이프(100) 및 배플장치(200)를 포함한다.
에어 나이프(100)는 에어 나이프 지지대(S)에 장착되어 도금강판(P)의 양 표면으로 각각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배플장치(200)는 도금강판(P)의 양 표면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양측의 에어 나이프(100) 사이에 위치하며 도금강판(P)의 양 엣지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에어 나이프(100)로부터 분사되는 에어 간의 상호 충돌을 차단하고, 에어의 강판 충돌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장치(200)를 통해, 도금강판(P)의 폭이 변하더라도 용이하게 도금강판(P)의 도금량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절하여 엣지부에서의 과도금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엣지부 결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P)의 과도금 방지장치(100)에 적용되는 배플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플장치(200)는 도금강판(P)의 폭방향(W)을 따른 엣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이동부(210), 배플 플레이트(220), 엣지부 감지부(230) 및 구동부(240)를 포함한다.
이동부(210)는 고정부에 도금강판(P)의 폭방향(W)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이동부(210)는 고정부로서 에어 나이프 지지대(S)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로서 에어 나이프 지지대(S)와 별도인 다른 지지부재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일 예로 도 1 및 도 2에서 에어 나이프 지지대(S))에는 이동부(210)가 도금강판(P)의 폭방향(W)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250)이 배치되고, 이동부(210)의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250)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결합홈(214)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210)는 구동부(240)의 다양한 구동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210)는 배플 플레이트(220)를 도금강판(P)의 폭방향(W)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배플 플레이트(220)는 이동부(210)에 일체로 이동되게 결합되어,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정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플 플레이트(220)는 구동부(240)의 구동에 의해 이동부(210)가 이동됨에 따라 일체로 이동되어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근접되는 정위치로 위치됨으로,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서 나이프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의 상호 충돌을 방지하도록 막는 역할을 작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배플 플레이트(220)는 이동부(210)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플 플레이트(220)는 결합부(221)에 의해 이동부(2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221)는 배플 플레이트(220)가 하부에 연결된 본체(222) 및 본체(222)의 측면에 연결된 걸림돌기(22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223)에 대응되는 이동부(210)의 측면에는 결합부(221)의 걸림돌기(223)가 걸림 또는 이탈 가능하게 걸려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220)가 이동부(210)의 측면에 결합 시 이탈 방지를 구현하기 위해 이동부(210)의 걸림홈 내면에는 배플 플레이트(220)의 걸림돌기(223)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223)와 걸림홈의 결합구조에 의해 배플 플레이트(220)를 필요에 따라 이동부(210)의 측면으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배플 플레이트(220)와 이동부(210)의 착탈 가능한 결합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일 예로, 배플 플레이트(220)에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동부(210)의 측면에 상기 걸림홈이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엣지부 감지부(230)는 이동부(210)에 도금강판(P)의 폭방향(W)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배플 플레이트(220)를 정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접촉하는 접촉위치(P1) 및 배플 플레이트(220)를 정위치로 위치시킨 후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위치(P2)를 갖는다.
엣지부 감지부(230)의 접촉위치(P1)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220)를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근접하는 정위치로 위치시켜야 할 경우, 엣지부 감지부(230)가 이동부(210)와 일체로 이동되어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의 접촉에 의해 도금강판(P)의 엣지부를 감지하는 위치이다.
엣지부 감지부(230)의 비접촉위치(P2)는 배플 플레이트(220)가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근접하는 정위치로 위치된 경우, 이동부(210)에 대해 상대적으로 도금강판(P)의 폭방향(W)을 따라 이동되어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분리되는 위치이다.
구동부(240)는 고정부에 배치되며 이동부(210) 및 엣지부 감지부(230)를 이동시킨다. 구동부(240)는 이동부(210)와 마찬가지로 고정부로서 에어 나이프 지지대(S)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로서 에어 나이프 지지대(S)와 별도인 다른 지지부재에 장착될 수도 있다.
구동부(240)는 이동부(210)를 도금강판(P)의 폭방향(W)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부(240)는 구동모터(241), 스크류 로드(242) 및 스크류 너트(24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241)는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관한 엣지부 감지부(230)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241)는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관한 엣지부 감지부(230)의 감지신호에 따라 회전방향을 역회전으로 방향 전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스크류 로드(242)는 구동모터(241)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도금강판(P)의 폭방향(W)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스크류 너트(243)에는 엣지부 감지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류 너트(243)의 상부에 엣지부 감지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 너트(243)는 스크류 로드(242)에 도금강판(P)의 폭방향(W)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크류 너트(243)는 이동부(210)에 가압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통해, 이동부(210)가 도금강판(P)의 폭방향(W)을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연동되거나 연동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스크류 너트(243)는 구동모터(24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스크류 로드(242)를 따라 도금강판(P)의 폭방향(W)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스크류 너트(243)는 구동모터(241)의 정회전에 의해 도금강판(P)의 폭방향(W)에서 도금강판(P)의 엣지부를 향하는 전진방향(도 3a에서 도 3b로의 이동방향 즉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플 플레이트(220)를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근접하는 정위치로 위치시켜야 할 경우, 구동모터(241)의 정회전에 의해 스크류 너트(243)가 전진방향 즉 우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엣지부 감지부(230)가 이동부(210)와 일체로 이동되어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접촉시켜 도금강판(P)의 엣지부를 감지함으로써 배플 플레이트(220)를 접촉위치(P1)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류 너트(243)는 구동모터(241)의 역회전에 의해 도금강판(P)의 폭방향(W)에서 도금강판(P)의 엣지부를 배향하는 후진방향(도 3b에서 도 3c로의 이동방향 즉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플 플레이트(220)가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근접하는 정위치로 위치된 경우, 구동모터(241)의 역회전에 의해 스크류 너트(243)가 후진방향 즉 좌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너트(243)에 결합된 엣지부 감지부(230)가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분리되는 비접촉위치(P2)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241)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 너트(243)가 스크류 로드(242)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통해 이동부(210)도 함께 이동되어 접촉위치(P1) 또는 비접촉위치(P2)에 위치될 때나, 스크류 너트(243)에 결합된 엣지부 감지부(230)가 접촉위치(P1)에서 비접촉위치(P2)로 이동할 때 이동부(210)가 함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위치(P1) 및 비접촉위치(P2)에서 이동부(210)를 위치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수단은 자성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고정부(일 예로 도 1 및 도 2에서 에어 나이프 지지대(S))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250) 및 이동부(210)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 결합홈(214)에 흡착력을 제공하는 자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P1) 및 비접촉위치(P2)에서 자성부재에 의해 이동부(210)가 고정부에 대해 위치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크류 너트(243)의 이동에 따라 이동부(210)가 움직이지 않고 엣지부 감지부(230)만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접촉위치(P1)에서 가이드 레일(250)에서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인접하는 단부에 자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나아가, 자성부재가 아닌 다른 위치 한정부재라도 가능하다.
또한, 이동부(210)의 편리한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이동부(210)에는 도금강판(P)의 폭방향(W)에서 서로 대향되며 스크류 너트(243)의 단부가 접촉 가능한 접촉 가능한 제1 접촉면(212) 및 제2 접촉면(213)을 구비하는 수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홈(211)의 제1 접촉면(212)과 제2 접촉면(213) 사이의 폭방향(W)을 따른 거리는 스크류 너트(243)의 폭방향(W)을 따른 양단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스크류 너트(243)가 수용홈(211)의 제1 접촉면(212)과 제2 접촉면(213) 사이에서 도금강판(P)의 폭방향(W)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홈(211)에 수용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41)의 구동하에 제1 접촉면(212) 또는 제2 접촉면(213)에 대한 스크류 너트(243)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부(210)가 도금강판(P)의 폭방향(W)을 따라 스크류 너트(243)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40)의 이중구동방식을 통해, 도금강판(P)의 폭이 변하더라도 용이하게 도금강판(P)의 도금량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절하여 엣지부에서의 과도금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배플 플레이트(220)가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근접하는 정위치로 위치된 경우, 구동모터(241)의 역회전에 의해 후진하는 스크류 너트(243)에 의해 스크류 너트(243)에 결합된 엣지부 감지부(230)가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분리되는 비접촉위치(P2)에 위치시킴으로써, 기존의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엣지부 감지부(230)의 접촉으로 인한 엣지부 톱귀 등 결함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접촉되어 엣지부를 감지하는 접촉위치(P1)와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분리되는 비접촉위치(P2)를 갖는 엣지부 감지부(2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엣지부 감지부(230)는 지지 플레이트(231), 접촉 센서(232), 감지 로드(233) 및 탄성부재(23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31)는 구동부(240)의 스크류 너트(243)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상부에 접촉 센서(232) 및 지지축(2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감지 로드(233)가 배치된다.
접촉 센서(232)는 지지 플레이트(231)에 배치되며 구동모터(2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 로드(233)와의 접촉 여부에 의해 구동모터(241)로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관한 엣지부 감지부(230)의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감지 로드(233)는 지지축(235)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2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감지 로드(233)의 일단부(236)에는 도금강판(P)의 이동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감지롤(238)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P1)에서 감지 로드(233)의 일단부(236)에 배치된 감지롤(238)이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며 감지 로드(233)의 타단부(237)가 접촉 센서(232)와 분리된다. 또한, 비접촉위치(P2)에서 감지 로드(233)의 일단부(236)에 배치된 감지롤(238)은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분리되고 감지 로드(233)의 타단부(237)가 접촉 센서(232)에 접촉된다.
나아가, 구동부(240)의 스크류 너트(243)가 이동부(210)의 수용홈(211)의 제1 접촉면(212)에 접촉한 상태에서, 도금강판(P)의 폭방향(W)에서 감지 로드(233)의 일단부(236)와 도금강판(P)의 엣지부 사이의 간격이 배플 플레이트(220)와 도금강판(P)의 엣지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금강판(P)의 폭방향(W)에서 감지 로드(233)의 일단부(236)에 배치된 감지롤(238)과 도금강판(P)의 엣지부 사이의 간격이 배플 플레이트(220)와 도금강판(P)의 엣지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40)의 정회전에 의해 스크류 너트(243)가 전진방향 즉 우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엣지부 감지부(230)가 이동부(210)와 일체로 이동되어 감지롤(238)이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접촉시켜 도금강판(P)의 엣지부를 감지함으로써 배플 플레이트(220)를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접촉이 아닌 근접하는 접촉위치(P1)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234)는 지지축(235)에 배치되어 감지 로드(233)의 타단부(237)가 접촉 센서(232)와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감지 로드(233)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40)의 구동에 의해 이동부(210) 및 엣지부 감지부(230)가 함께 도금강판(P)의 엣지부를 향해 이동하여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로드(233)의 일단부(236)가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접촉되어 탄성부재(234)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지지축(235)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 같이 감지 로드(233)의 타단부(237)가 접촉 센서(232)와 분리된다. 이때 구동모터(241)의 역회전에 의해 후진하는 스크류 너트(243)에 의해 엣지부 감지부(230)가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분리되는 비접촉위치(P2)에 위치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2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감지 로드(233)의 타단부(237)가 접촉 센서(232)와 다시 접촉하게 되면 구동모터(241)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엣지부 감지부(230)의 감지동작 및 구동부(240)의 제어동작을 더욱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엣지부 감지부(230)의 간단한 구조를 통해 저렴한 원가비용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배플 플레이트(220)를 위치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만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접촉시키고 그 외의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분리시킴으로써, 엣지부 감지부(230)의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배플장치(200)를 포함한 도금강판(P)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초기위치에서 배플 플레이트(220)를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근접하는 정위치로 위치시켜야 할 경우, 구동모터(241)의 정회전에 의해 스크류 너트(243)는 엣지부 감지부(230)와 함께 스크류 로드(342)에서 도금강판(P)의 폭방향(W)을 따라 전진방향 즉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크류 너트(243)는 이동부(210)의 제1 접촉면(212)에 맞닿게 되어 가압력을 제공하여 이동부(210)도 엣지부 감지부(230) 및 스크류 너트(243)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엣지부 감지부(230)가 접촉위치(P1)에 도달하게 되면, 배플 플레이트(220)는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고, 감지 로드(233)의 감지롤(238)이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접촉되어 탄성부재(234)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지지축(235)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감지 로드(233)의 타단부(237)가 접촉 센서(232)로부터 분리되어 구동모터(241)로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관한 엣지부 감지부(230)의 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 경우, 구동모터(241)는 접촉 센서(232)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에 따라 역회전하게 된다. 구동모터(241)의 역회전에 의해 스크류 너트(243)는 엣지부 감지부(230)와 함게 스크류 로드(242)에서 도금강판(P)의 폭방향(W)을 따라 후진방향 즉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크류 너트(243)는 제2 접촉면(213)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부(210)는 스크류 너트(243)와 함께 이동하지 않고 배플 플레이트(220)를 정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이기 때문에 배플 플레이트(220)가 에어 나이프(100)로부터 분사되는 에어 간의 상호 충돌을 차단하고, 에어의 강판 충돌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엣지부 감지부(230)가 스크류 너트(243)에 의해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분리되는 비접촉위치(P2)에 위치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2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감지 로드(233)의 타단부(237)가 접촉 센서(232)와 다시 접촉하게 되면 구동모터(241)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배플장치(200)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경우, 구동모터(24)를 역회전시켜 스크류 너트가 이동부(210)의 수용홈(211)의 제2 접촉면(213)과 맞닿게 되어 스크류 너트(543), 엣지부 감지부(231) 및 이동부(210)가 일체로 후진방향 즉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40)의 이중구동방식을 통해, 도금강판(P)의 폭이 변하더라도 용이하게 도금강판(P)의 도금량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절하여 엣지부에서의 과도금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배플 플레이트(220)가 도금강판(P)의 엣지부에 근접하는 정위치로 위치된 경우, 구동모터(241)의 역회전에 의해 후진하는 스크류 너트(243)에 의해 스크류 너트(243)에 결합된 엣지부 감지부(230)가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분리되는 비접촉위치(P2)에 위치시킴으로써, 기존의 도금강판(P)의 엣지부와 엣지부 감지부(230)의 접촉으로 인한 엣지부 톱귀 등 결함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스크류 너트와 스크류 로드를 제외한 구성은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에 대해 아래에서 중복 설명하지 않고 스크류 너트와 스크류 로드를 이용한 구동방식과 다른 구동부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스크류 너트와 스크류 로드의 구동방식과 달리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동부 및 엣지부 감지부를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에 고정되어 컨베이어와 함께 이동하는 구동 블록은 상기 엣지부 감지부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의 이중구동방식과 이동부의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포함한 수용홈에 상기 구동 블록을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사이에서 도금강판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은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에어 나이프 200 배플장치
210 이동부 211 수용홈
212 제1 접촉면 213 제2 접촉면
214 가이드 레일 결합홈 220 배플 플레이트
221 결합부 222 본체
223 걸림돌기 230 엣지부 감지부
231 지지 플레이트 232 접촉 센서
233 감지 로드 234 탄성부재
235 지지축 236 일단부
237 타단부 238 감지롤
240 구동부 241 구동모터
242 스크류 로드 243 스크류 너트
250 가이드 레일 P 도금강판
P1 접촉위치 P2 비접촉위치
S 에어 나이프 지지대 W 폭방향

Claims (10)

  1. 폭방향을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배플장치로서,
    고정부에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정위치로 위치되도록 상기 이동부에 일체로 이동되게 결합되는 배플 플레이트;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상기 정위치로 위치시켜야 할 경우 상기 이동부와 일체로 이동되어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를 감지하는 접촉위치 및 상기 배플 플레이트가 상기 정위치로 위치된 경우 상기 이동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와 분리되는 비접촉위치를 갖도록, 상기 이동부에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엣지부 감지부; 및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 및 엣지부 감지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배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에 관한 상기 엣지부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크류 로드; 및 상기 엣지부 감지부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 로드에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폭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연동되거나 연동해제되도록 상기 이동부에 가압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스크류 너트;를 포함하는, 배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너트는, 상기 구동모터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폭방향에서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를 향하는 전진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구동모터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폭방향에서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를 배향하는 후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배플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는 상기 폭방향에서 서로 대향되며 상기 스크류 너트의 단부가 접촉 가능한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구비하여 상기 스크류 너트가 상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사이에서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폭방향에서, 상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스크류 너트의 양단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하에 상기 제1 접촉면 또는 제2 접촉면에 대한 상기 스크류 너트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상기 스크류 너트와 함께 이동되는, 배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부 감지부는,
    상기 스크류 너트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센서;
    지지축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접촉위치에서 일단부가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에 접촉되며 타단부가 상기 접촉 센서와 분리되고, 상기 비접촉위치에서 상기 일단부가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와 분리되고 상기 타단부가 상기 접촉 센서에 접촉되는 감지 로드; 및
    상기 지지축에 배치되어 상기 감지 로드의 타단부가 상기 접촉 센서와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상기 감지 로드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배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너트가 제1 접촉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폭방향에서 상기 감지 로드의 일단부와 도금강판의 엣지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배플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로드의 일단부에는 상기 도금강판의 이동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감지롤이 배치되는, 배플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결합홈이 설치되는, 배플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위치 및 비접촉위치에서 상기 이동부를 위치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배플장치.
  10. 고정부인 에어 나이프 지지대;
    상기 에어 나이프 지지대에 도금강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금강판의 양 표면으로 각각 가스를 분사하는 에어 나이프; 및
    상기 에어 나이프 사이에 위치하며, 도금강판의 양 엣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플장치;를 포함하는,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KR1020210184177A 2021-12-21 2021-12-21 배플장치 및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KR20230094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177A KR20230094774A (ko) 2021-12-21 2021-12-21 배플장치 및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177A KR20230094774A (ko) 2021-12-21 2021-12-21 배플장치 및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774A true KR20230094774A (ko) 2023-06-28

Family

ID=8699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177A KR20230094774A (ko) 2021-12-21 2021-12-21 배플장치 및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47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36B1 (ko) 2002-12-23 2009-12-14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나이프용 배플 플레이트 자동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36B1 (ko) 2002-12-23 2009-12-14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나이프용 배플 플레이트 자동정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02805B (zh) 移动机器人的缓冲器组件
KR101389895B1 (ko) 이재장치 및 공작물 재치장치
CN104870033A (zh) 盒体夹持机构
CN111746112B (zh) 打印设备和输送设备
KR20230094774A (ko) 배플장치 및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US4461936A (en) Contact sensing device
WO2005079253A2 (en) Edge cleaner device for coating process
CN217806697U (zh) 对位装置及搬运装置
KR20090045598A (ko) 클리닝 설비의 스트립 에지 검출장치
JPH08288356A (ja) 薄型基板搬送装置におけるハンド保護装置
JP5344966B2 (ja) 仕分装置
US11124001B2 (en) Printer carriage with sensor
JP6834827B2 (ja) ガラス基板の位置決め装置及び位置決め方法、並びにガラス基板の加工機
CN106483926B (zh) 一种用于钢轨铣磨装置侧向定位的自适应跟随装置
CN220641428U (zh) 一种切割平台
CN113840736B (zh) 双向切割模块
JP5904029B2 (ja) ワーク整列搬送装置
KR20140069394A (ko) 트리퍼카용 주행장치
KR100863056B1 (ko) 프레스판넬 이송용 핑거툴 장치
KR960003720Y1 (ko) 조립용로보트의 그리퍼보상장치
JP3867942B2 (ja) 自走式搬送装置の受電装置に対する検査装置
CN211689643U (zh) 横刀组件以及裁切机
KR102213979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EP1197287B1 (en) Apparatus for laser welding longitudinal reinforcing members onto aluminium panels
JP2023077402A (ja) 記録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