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728A - 헤어 케어 조성물 - Google Patents

헤어 케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728A
KR20230094728A KR1020210184096A KR20210184096A KR20230094728A KR 20230094728 A KR20230094728 A KR 20230094728A KR 1020210184096 A KR1020210184096 A KR 1020210184096A KR 20210184096 A KR20210184096 A KR 20210184096A KR 20230094728 A KR20230094728 A KR 20230094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loss
composition
scalp
car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우
송상훈
손성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1018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728A/ko
Priority to JP2022071481A priority patent/JP2023092422A/ja
Priority to CN202210605789.8A priority patent/CN116270638A/zh
Publication of KR2023009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3Amines having hydroxy groups, e.g. sphingo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55Nicotinic acids, e.g. niacin;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모발 빠짐을 저감하는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니아신 및 딘올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여 입모근을 수축시킴으로써 모발 빠짐을 저감하며, 이를 통해 현저하게 우수한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헤어 케어 조성물{Hair care composition}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및/또는 탈모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시대가 변하면서 미용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가는 과정에 모발은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모발은 피부 표면에서 생산된 가늘고 각질화된 구조다. 이것은 외부충격에 대한 쿠션 역할과 더불어 직사광선, 한랭, 마찰, 위험 등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신체에 유해한 비소, 수은, 아연 등의 중금속이 체 외로 배출되는 기능을 하며, 현대에 와서는 장식의 미용 측면도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식생활 변화나 내외적 스트레스 증가를 비롯하여 여러 원인에 의해 탈모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탈모는 유전적 요인이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사회적 스트레스의 증가, 환경오염, 잦은 파마와 염색, 및 잘못된 두피 관리들도 탈모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인체 두피의 모발은 약 10만-15만 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독립적인 성장주기를 가진다. 발생 초기 모낭에서는 베타-카테닌의 작용으로 기저층 표피세포에 의해 플라코드(placode)가 형성된다. 형성된 플라코드로부터 신호를 받은 진피 섬유아세포가 피부 응축체(dermal condensate)를 형성한다. 동시에 플라코드는 진피 방향으로 성장, 함입하여 피부 응축체와 합쳐 일차 모발 배종(primary hair germ)을 형성한다. 모발 배종을 형성한 표피 세포는 발생하는 진피 방향으로 길게 성장하고, 다층으로 이루어진 긴 기둥형태의 구조물인 헤어 페그(hair peg)를 형성하는 동시에 피부 응축체는 구형의 모유두(dermal papilla)로 형성된다. 헤어 페그의 끝쪽은 점점 두꺼워져 모구(hair bulb)가 형성되는데 모구는 모유두를 감싼 형태가 되어 모낭이 완성되고 모낭 내부의 표피 세포가 분화하여 모발이 생성된다.
모발 성장 주기는 3단계로 구성되는데, 모발이 가장 활발하게 성장하는 성장기(anagen stage), 모발의 퇴화가 시작되는 퇴화기(catagen stage), 및 모발의 성장이 멈추거나 휴식에 접어드는 휴지기(telogen stage)로 분류된다. 구체적으로, 성장기는 3~6년, 퇴행기는 2~3주, 휴지기는 3~4개월 정도의 기간을 가지며, 전체 모발 중 각각의 비중은 약 88%, 1%, 11%로 대체로 유지 기간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인다. 성장기는 모유두의 모모세포가 신속하게 유사분열을 하는 시기로 케라틴이 생성되어 모발이 성장한다. 그 다음 퇴행기가 되면 성장 속도가 느려지고, 세포 분열이 정지된다. 또한 퇴행기에는 모낭이 차츰 수축되고 모유두가 위축되어 모근이 밀려 올라가 모발의 탈락이 일어난다. 퇴행기에 새로운 모발이 자라는 경우, 새로 자라난 모발이 기존의 모발을 밀어내고 휴지기와 겹쳐 새로운 발생기(new anagen)가 시작되기도 한다.
탈모에는 여러 양상이 있으나, 생체 주기를 두고 구분하면 성장기 탈모증 및 휴지기 탈모증으로 구분된다. 성장기 탈모증(Anagen Effluvium)은 성장기에 빠르게 대사하고 분열하는 모유두의 세포들이 항암제와 같은 세포독성 제제에 의해 영향을 받아 발생될 수 있다. 항암제들은 암세포와 같이 빠르게 대사하는 세포들을 사멸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성장기의 모모세포와 같이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들도 함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대사가 느려진 휴지기의 모발이 그대로 남아 전체 모발 중 약 10%의 모발만 남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장기 탈모증은 외부 독성 자극원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간다.
휴지기 탈모증은 외부 자극에 의해 성장기의 모발이 휴지기로 전환되어 원래 약 11% 정도인 휴지기의 모발의 비율이 늘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휴지기 탈모증은 출산, 질병, 심한 머리 손질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특히, 일상 생활에서 머리 손질과 같은 외력에 의해 성장기의 모발이 휴지기로 전환되어 유발되는 탈모는 머리 숱이 줄어드는 것을 느끼는 다수의 중장년 성인들이 겪고 있는 문제이다.
일상적으로 빠지는 모발은 하루에 50~150개 정도이지만, 이러한 모발들은 하루 동안 천천히 빠지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머리를 감고 손질하는 과정에서 가해진 외력에 의해 탈락된다. 이렇게 일상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모발 빠짐을 저감하는 것으로도 탈모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탈모 방지 제품에는 유효성분으로 혈행 촉진, 모근 기능 강화, 두피 보습 효과, 비듬 방지 효과, 항산화 효과, 모발성장기 연장 효과, 또는 남성호르몬 작용 억제 등을 목적으로 하는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즉, 탈모를 개선하기 위한 기존의 방식은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거나, 모발 생체 주기를 조절하는 등의 방식으로 모발을 다시 자라나게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발모에 초점이 맞추어진 기존의 탈모 방지 제품들은 외력에 의한 모발 빠짐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모발의 빠짐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헤어 케어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입모근 수축으로 모발 빠짐을 저감시키고, 이를 통해 탈모를 방지 및/또는 개선할 수 있는 헤어 케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탈모 치료제가 외부 환경 또는 스트레스 등에 의한 일시적인 모발 빠짐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니아신(niacin) 및 딘올(deanol)을 포함하는 헤어 케어 조성물을 두피에 처리하면, 놀랍게도 입모근(arrector pili muscle)이 수축되어 우수한 모발 빠짐 저감 효과가 발생하며, 이를 통해 탁월한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개시는 니아신 및 딘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니아신 및 딘올의 조합에 의해 모발 빠짐 저감에 현저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한다. 더 나아가 모발 빠짐 저감 효과는 장기적 사용으로 현저하게 우수한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 효과를 보인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니아신은 NIACR1(niacin receptor 1), NIACR2와 같은 G 단백질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입모근의 수축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딘올은 아세틸콜린의 전구체로서 말초 조직의 혈중 아세틸콜린 농도를 증가시켜 입모근을 수축시킬 수 있다. 상기 니아신과 딘올은 수용체가 상이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입모근을 수축시켜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니아신의 수축 효과가 직접적이고 순간적이며, 상기 딘올의 수축 효과는 간접적이고 장기적이기 때문에, 시너지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본 개시의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에 포함되는 니아신과 딘올을 포함하는 유효성분의 총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2 중량%, 바람직하게 0.01 내지 7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의 총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12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니아신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 0.0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1 내지 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딘올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 0.0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1 내지 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니아신 또는 딘올이 각각 상기 함량 범위일 때, 모발 빠짐 저감 효능이 현저하게 우수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니아신 및 딘올의 중량비는 1:0.1~10, 바람직하게 1:0.5~8, 더욱 바람직하게 1:0.8~5(니아신:딘올)일 수 있다. 상기 니아신 및 딘올의 혼합물이 상기 특정한 중량비로 조합될 경우, 모발 빠짐 저감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은 니아신 및 딘올을 포함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모발 빠짐 저감 효과가 20% 이상, 바람직하게 2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25% 이상 더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은 기존의 탈모 완화 유효성분과 조합하여 사용시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 효과를 보다 상승시킬 수 있다. 기존의 탈모 완화 유효성분의 작용 메커니즘에 추가적으로 상기 니아신 및 딘올은 입모근을 수축시킴으로써,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에 상승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기존의 탈모 완화 유효성분은 덱스판테놀, 살리실산, 아데노신, 미녹시딜, 나이아신아마이드, 에스신, L-멘톨, 하수오 추출물, 인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카페인, 비오틴, 징크피리치온, 및 토코페롤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은 의약 조성물, 의약외품용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피부에 적용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제형화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피부 외용제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 등 피부에 적용시킬 수 있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형이 액상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스프레이 제형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 등과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조성물에는 상기 유효성분 외에 피부에 적용시킬 수 있는 외용제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킬레이트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색소 및 향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 또는 두피용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헤어 또는 두피용 제품은 발모제, 두피클리닉제, 두피스케일링제, 두피마사지제, 두피케어제, 세정제, 샴푸, 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젤, 팩, 크림, 에센스, 파우더, 스프레이, 오일, 비누, 연고, 헤어스타일링제, 염모제, 및 펌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서, 상기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은 샴푸 또는 트리트먼트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실시예 1 내지 4).
또한, 본 개시는 니아신 및 딘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가려움증 완화용 헤어 케어 조성물, 두피 트러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 두피 피지감소용 헤어 케어 조성물, 또는 두피 자극 완화용 헤어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험예 3의 관능 평가 결과를 볼 때, 본 개시의 헤어 케어 조성물은 탈모 방지 효과뿐만 아니라, 두피 가려움증 완화, 두피 트러블 개선, 두피 피지 감소, 및 두피 자극 완화 효과도 현저하게 우수하다.
본 개시의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등의 경피 투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니아신 및 딘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을 탈모 예방 및/또는 개선이 필요한 환자(subject)에게 투여하거나, 환자의 두피 또는 모발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본 개시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피 투여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국소 도포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조성물의 적용 횟수는 처방, 필요 또는 원하는 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병변의 정도 등의 개인 차이나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통상 1일 1회 내지 수회 적당량을 두피에 도포시켜 1주일 내지 수개월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실험예 1~4에서는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용 샴푸 및 트리트먼트 조성물을 도포 시점부터 3분 이후에 헹구어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개시에 기재된 모든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한국, 중국,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관련 법규, 규범 (예를 들어, 화장품 안전 기준 등에 관한 규정(한국), 화장품 안전 기술 규범(중국), 식품공전(한국), 식품첨가물공전(한국), 또는 건강기능식품공전(한국)) 등에서 규정한 최대 사용치를 초과하지 않는다. 즉, 바람직하게, 본 개시에 따른 의약 조성물, 의약외품용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각국의 관련 법규, 규범에서 허용되는 함량 한도로 본 개시에 따른 성분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탈모 방지 및/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은 두피에 도포시 입모근을 수축시켜 모발 빠짐을 저감하고, 이를 통해 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도 1은 실험예 2에서 실시예 4의 모발 빠짐 감소율을 기성제품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개시된 샴푸 처방 및 표 2에 개시된 트리트먼트 처방을 베이스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샴푸 조성물 및 컨디셔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및 실시예 1~4의 유효성분은 하기 표 3에 개시된 처방에 따라 각각 달리 포함되었다. 또한, 비교예 1~4 및 실시예 1~4은 각각의 유효성분을 해당 함량으로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및 트리트먼트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리머를 첨가한 후 계면활성제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용해시키고, EDTA·4Na 및 함수구연산을 첨가하여 pH를 중화시켰다. 기타 성분으로 방부제, 향료, 분산제, 점도조절제, 및 pH 조절제를 첨가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
폴리머 및/또는 오일 1
라우레스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SLS) 8
코카미도프로필베테인(Cocamidopropyl betaine) 4.5
EDTA 4Na, 함수구연산 0.1
기타 성분 16
정제수 잔량 (to 100)
배합성분 중량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1
세테아릴알코올 5
베헨트리모늄크롤라이드 2
기타 성분 8
정제수 잔량 (to 100)
실험예 1: 실시예 조성물의 모발 빠짐 저감 효과 검증
탈모 또는 모발 빠짐을 고민하는 20명의 피험자를 모집하여, 샴푸와 스타일링에서 탈락된 모발을 집계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정해진 평가실의 배수구에 거름망을 설치하고, 샴푸 및 트리트먼트를 사용하여 각자 평소에 머리를 감는 방식으로 감도록 하였다. 다만 유효성분이 전달되는 시간을 통일하기 위해 도포 시점부터 3분 이후에 헹구어 내도록 하였으며, 이는 샴푸와 트리트먼트에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샴푸와 트리트먼트를 모두 마친 후 거름망에 모인 모발 개수를 집계하였다. 이후 수건과 드라이어를 사용해 젖은 모발을 말리고, 빗질을 30회 시행하여, 이 과정에서 탈락된 모발 또한 모두 수거한 후 총 집계된 모발 수를 비교하였다. 평가는 각 실험군 당 3회를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상기 표 1 및 2의 조성으로 제조된 샴푸 및 트리트먼트를 사용하였으며, 실시예의 유효성분은 하기 표 3에 개시된 조성과 같다. 하기 표 3에서 각 실시예의 모발 빠짐 저감율은 대조군과 비교해 모발 빠짐이 저감된 비율을 백분율(%)로 표기하였다.
니아신 및 딘올이 조합된 경우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콜비(Colby)식을 적용하여 예측값(콜비값)과 실측값을 비교하여 표 3에 정리하였다.
콜비식: E=(A+B)-(A*B/100), E: 예측값, A: 유효성분 A의 약효, B: 유효성분 B의 약효, A+B: 상가 효과, 실측값이 예측값보다 크면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함.
성분 및 조성 모발 빠짐 저감율
니아신 딘올 예측값(콜비값) 실측값
비교예1 0 2% - 10.5%
비교예2 0 1% - 4.7%
비교예3 1% 0 - 21.7%
비교예4 0.5% 0 - 16.8%
실시예1 1% 2% 29.9% 33.6%
실시예2 0.5% 2% 25.5% 29.9%
실시예3 1% 1% 25.38% 30.7%
실시예4 0.5% 1% 20.71% 27.9%
상기 표 3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비교예 1~4로부터 니아신 또는 딘올은 입모근을 수축시킴으로써 모발 빠짐을 저감하는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 1~4로부터 니아신 및 딘올의 조합에 의해 모발 빠짐 저감 효과가 각각을 단독 사용했을 때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하여 시너지 효과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모발 빠짐 저감 효과의 비교 평가
기존의 모발 빠짐 저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기성제품 대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4를 기성제품과 비교하여 모발 빠짐 감소율을 비교하였다(도 1). 상기 기성제품은 탈모 증상 완화 샴푸로서, 탈모 완화 유효성분으로 카페인, 소듐살리실레이트, 멘톨, 바이오틴, 인삼전초추출물, 토코페롤, 판테놀,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베타-카로틴을 포함한다.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모 또는 모발 빠짐을 고민하는 20명의 피험자를 모집하여, 샴푸와 스타일링에서 탈락된 모발 모두를 집계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도 1에 개시된 평가 결과를 볼 때, 실시예 4의 모발 빠짐 정도는 기성제품에 비해 현저하게 낮아, 실시예 4의 모발 빠짐 저감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실시예 4의 모발 빠짐 관능 평가
탈모 또는 모발 빠짐을 고민하는 30명의 피험자를 모집하여, 실시예 4의 샴푸 및 트리트먼트 조성물을 사용히 모발 빠짐 저감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지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설문에 대한 답변은 하기 표 5에 개시된 기준에 따라 점수화되었다. 상기 답변으로 '전혀 그렇지 않다'와 '그렇지 않다'를 부정적인 답변으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를 긍정적인 답변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비율을 계산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실시예 4의 샴푸 및 트리트먼트 조성물의 사용시, 탈모 완화, 가려움증 완화, 트러블 개선, 피지 감소, 및 두피 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순번 항목 설문 내용 1 2 3 4 평균 긍정률 부정률
1 탈모완화 샴푸시 모발 빠짐이 적게 느껴짐 2 6 12 10 3.00 73.3% 26.7%
2 스타일링할때 모발 빠짐이 적게 느껴짐 2 4 13 11 3.10 80.0% 20.0%
3 가려움증 완화 두피의 가려움 정도가 적게 느껴짐 2 8 14 6 2.80 66.7% 33.3%
4 트러블 개선 두피 트러블(가려움, 뾰루지, 따가움, 붉어짐 등)이 줄어듬 2 7 13 8 2.90 70.0% 30.0%
5 피지감소 두피 및 모발에 기름짐이 적게 느껴짐 3 7 15 5 2.73 66.7% 33.3%
6 두피자극 헹굼시 두피 자극이 적게 느껴짐 2 8 14 6 2.80 66.7% 33.3%
점수 평가기준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2점 그렇지 않다
3점 대체로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실험예 4: 기존의 탈모 완화 성분과 조합시 탈모 방지 관능 평가
본 발명의 헤어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들을 기존의 탈모 완화 유효성분들과 조합하여 사용할 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존의 탈모 완화 유효성분은 식약처에서 인증된 탈모 완화용 기능성 화장품의 유효성분 조합인 덱스판테놀 0.2%, 살리실산 0.25%, 및 L-멘톨 0.3%를 사용하였다. 조합 사용예는 실시예 4의 유효성분들에 추가로 상기 기존의 탈모 완화 유효성분을 조합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본 실험예에서 유효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제형을 대조군으로 제조하였다.
실험군 조성
실시예 4 니아신 0.5%, 딘올 1%
조합 사용예 니아신 0.5%, 딘올 1%, 덱스판테놀 0.2%, 살리실산 0.25%, L-멘톨 0.3%
탈모 또는 모발 빠짐을 고민하는 45명의 남녀 피험자를 모집하여, 각 그룹 당 15명씩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샴푸 및 트리트먼트를 3개월간 사용하였다. 상기 피험자들로부터 하기 표 7에 개시된 항목에 따른 응답을 집계하였으며, 표 8에 집계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목 질문 내용 평가 척도
샴푸시 모발 빠짐 저감 샴푸시 모발 빠짐이 적어짐 0점: 개선 없음
10: 매우 개선
스타일링시 모발 빠짐 저감 스타일링시 모발 빠짐이 적어짐
탈모 증상 완화 자각 모발이 풍성해졌음을 느낌
구분 실시예 4 조합 사용예 대조군
샴푸시 모발 빠짐 개선 7.4 8.7 6.5
스타일링시 모발 빠짐 개선 7.8 7.9 5.7
탈모 증상 완화 자각 7 8.2 5.4
종합 개선 7.4 8.3 5.9
상기 표 8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실시예 4에 비해 상기 조합 사용예에서 모발 빠짐 저감 및 탈모 방지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볼 때, 기존의 탈모 방지 유효성분들에 니아신 및 딘올을 조합하여 입모근을 수축시킴으로써 탈모 방지 효과가 더욱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2)

  1. 니아신 및 딘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2 중량%인 탈모 방지 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아신 및 딘올의 중량비는 1:0.1~10(니아신:딘올)인 탈모 방지 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입모근을 수축시킴으로써 모발 빠짐을 저감하는 탈모 방지 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의약 조성물, 의약외품용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탈모 방지 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
  6.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덱스판테놀, 살리실산, 아데노신, 미녹시딜, 나이아신아마이드, 에스신, L-멘톨, 하수오 추출물, 인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카페인, 비오틴, 징크피리치온,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
  7. 제1항의 탈모 방지 또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 또는 두피용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 또는 두피용 제품은 발모제, 두피클리닉제, 두피스케일링제, 두피마사지제, 두피케어제, 세정제, 샴푸, 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젤, 팩, 크림, 에센스, 파우더, 스프레이, 오일, 비누, 연고, 헤어스타일링제, 염모제 및 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어 또는 두피용 제품
  9. 니아신 및 딘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가려움증 완화용 헤어 케어 조성물.
  10. 니아신 및 딘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트러블 개선용 헤어 케어 조성물.
  11. 니아신 및 딘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피지 감소용 헤어 케어 조성물.
  12. 니아신 및 딘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자극 완화용 헤어 케어 조성물.
KR1020210184096A 2021-12-21 2021-12-21 헤어 케어 조성물 KR20230094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096A KR20230094728A (ko) 2021-12-21 2021-12-21 헤어 케어 조성물
JP2022071481A JP2023092422A (ja) 2021-12-21 2022-04-25 毛髪ケア組成物
CN202210605789.8A CN116270638A (zh) 2021-12-21 2022-05-31 头发护理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096A KR20230094728A (ko) 2021-12-21 2021-12-21 헤어 케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728A true KR20230094728A (ko) 2023-06-28

Family

ID=8677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096A KR20230094728A (ko) 2021-12-21 2021-12-21 헤어 케어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092422A (ko)
KR (1) KR20230094728A (ko)
CN (1) CN11627063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70638A (zh) 2023-06-23
JP2023092422A (ja)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608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643525B1 (ko) 헤어 로숀
JP4603192B2 (ja) 毛髪頭皮用組成物
KR101503922B1 (ko) 검은 곡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조성물
US8394395B2 (en) Use of a cosmetic composition for the care of fatty skin
KR20090095359A (ko) 그리포니아 추출물과 편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모발용 조성물
KR20130069512A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693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US10420962B2 (en) Organic hair formulation and treatment
KR20130134856A (ko) 퍼머넌트웨이브 및 스트레이트 볼륨을 갖는 모발 스타일링 개선용 조성물
CN109620758B (zh) 一种双层头皮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H05255044A (ja) 養毛料
JPH0826942A (ja) 養毛化粧料
JP3505200B2 (ja) 育毛剤
KR20120051199A (ko) 탈모방지 및 양모를 위한 모발 또는 두피 화장료 조성물
KR20230094728A (ko) 헤어 케어 조성물
KR100738434B1 (ko)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429344B1 (ko)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1059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의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20046564A (ko)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KR102571226B1 (ko) 글루코노락톤 및 클림바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656427B1 (ko) 두피 자극을 감소시키고 상쾌함을 개선하는 모발용 조성물
KR102513124B1 (ko) 두피 환경 개선, 두피 냄새 완화 및 비듬 억제용 조성물
JP3542700B2 (ja) 頭部用組成物
KR0154210B1 (ko) 두발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