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654A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654A
KR20230093654A KR1020210182468A KR20210182468A KR20230093654A KR 20230093654 A KR20230093654 A KR 20230093654A KR 1020210182468 A KR1020210182468 A KR 1020210182468A KR 20210182468 A KR20210182468 A KR 20210182468A KR 20230093654 A KR20230093654 A KR 20230093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ood waste
catalyst
deodorizing device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원
방대철
Original Assignee
(주) 지엘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엘플러스 filed Critical (주) 지엘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182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3654A/ko
Publication of KR20230093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자외선, 오존, 히터 및 촉매제 등에 의해 중화 및 제거하기 위한,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교반통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의 배출구에 연통되어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관이 형성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정화공기배출관이 형성되는 제2챔버와,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되고,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자외선 및 오존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자외선램프;
상기 제2챔버의 상류측에 수용되고, 유입되는 악취가스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히터;
상기 제2챔버의 하류측에 수용되고, 상기 히터를 통과하는 악취가스 중의 냄새를 중화시키기 위한 촉매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deodorization apparatus in garbage disposal}
본 명세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자외선, 오존, 히터 및 촉매제 등에 의해 중화 및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 가정과 음식점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증가되는 음식물쓰레기 량을 조절하기란 쉽지않고, 이를 매립할 경우 매립장소가 한정됨은 물론 악취와 침출수로 인한 환경 파괴를 초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정부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건조 또는 소멸방식 등을 유도할 수 있는 처리장치를 단체급식장소, 또는 아파트 건물 신축시 의무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정화하고 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부피를 줄이기 위해 분쇄 및 압축시 배출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성탄 흡착법, 약액 세정법, 미생물 탈취법, 오존 산화법 등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등록번호 제10-1461608호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는
광 산화, 오존 산화로 악취를 산화 분해하는 1차 챔버와, 1차 챔버의 후부에 연결되어 산성가스를 촉매 산화 및 중화시키는 2차 챔버와, 2차 챔버의 후부에 연결되어 잔여 악취 및 오존을 처리하는 3차 챔버와, 3차 챔버의 후부에 연결되는 블로워로 구성된다.
전술한 1차 챔버는 UV램프를 구성하고, 2차 챔버는 은나노, 산화구리가 첨가되는 알카리 촉매와 히터로 구성되며, 3차 챔버는 내부에 이산화 망간을 포함하는 촉매를 충진시켜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며, 2차 챔버의 온도를 3-6시간 주기로 100-600℃로 10-15분 동안 가열하여 내부의 수증기 및 촉매독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특허등록번호 제1461608호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는 2차 챔버에서 주기적으로 1-3시간에 걸쳐 100-600℃로 히팅하여 수증기와 촉매독을 제거하게 되므로 과도한 에너지 소비로 인해 많은 유지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교반통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탈취하기 위한 바디(1)와, 바디(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교반통으로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제1연결구(3)와, 정화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연결구(4)가 형성되는 상부커버(5) 및 하부커버(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디(1)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교반통으로부터 흡입되는 악취가스를 자외선램프(7)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제1탈취부(8)와,
제1탈취부(8)의 배출구에 U자 형태의 제3연결구(9)에 의해 연통되고, 제1탈취부(8)를 통과하는 악취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히터(10)가 수용되는 가열부(11)와, 가열부(11)의 배출구에 ∩자 형태의 제4연결구(12)에 의해 연통되고, 히터(10)를 통과하는 악취가스를 탈취하기 위한 촉매제(13)가 수용되는 촉매제챔버(14)로 이루어지는 제2탈취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2와 16은 가열부(11) 상부에 수용되는 금속촉매와, 촉매제챔버(14)에 수용되는 세라믹촉매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구이다.
종래 기술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전술한 바디(1)를 압출성형함에 따라 바디(1)의 상부 및 하부에 상부커버(5) 및 하부커버(6)를 장착하게 되어부품들을 조립하는 조립성 및 작업성이 떨어지고, 바디(1) 내부가 제1,2연결구(3,4)에 의해 연통되도록 3공간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어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탈취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61608호(2014.12.15.공고)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가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탈취장치의 부품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며, 다이캐스팅으로 성형된 몸체가 다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부품수를 줄여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교반통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의 배출구에 연통되어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관이 형성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정화공기배출관이 형성되는 제2챔버와,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되고,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자외선 및 오존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자외선램프;
상기 제2챔버의 상류측에 수용되고, 유입되는 악취가스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히터;
상기 제2챔버의 하류측에 수용되고, 상기 히터를 통과하는 악취가스 중의 냄새를 중화시키기 위한 촉매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탈취장치의 부품들의 상호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고, 다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몸체를 다이캐스팅으로 성형하여 해당 부품수를 줄여 원가비용을 절감하며, 부품들의 조합이 간단하여 공기 흐름속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탈취장치의 가동시간을 최소화시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의 분리사시도 및 결합도
도 3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탈취장치의 결합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기 등에 의해 압축시켜 감량하거나, 미생물 등에 의해 소멸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교반통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통상적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있어서,
교반통의 배출구(미 도시)에 연통되어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관(50)이 형성되는 제1챔버(51)와, 제1챔버(51)와 연통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정화공기 배출관(52)이 형성되는 제2챔버(53)와,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54)를 포함하는 바디(55);
제1챔버(51)에 수용되고,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자외선 및 오존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자외선램프(56);
제2챔버(53)의 상류측에 수용되고, 유입되는 악취가스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히터(heater)(57);
제2챔버(53)의 하류측에 수용되고, 히터(57)를 통과하는 악취가스 중의 냄새를 중화시키기 위한 촉매제(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커버(54) 내측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미 도시)과, 안착홈에 장착되는 제1기밀용 패킹(59);을 포함하여, 바디(55)의 개구부와 접촉되는 커버(54)의 접촉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바디(55)로부터 악취가스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커버(54)는
제1챔버(51)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커버(60);
제2챔버(53)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커버(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자외선램프(56)를 교체시, 바디(55)로부터 커버중 제1커버(60)만을 분리시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이때, 제2커버(61)는 바디(55)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제1챔버(51)의 상부에 형성되는 V자형 결합홈(62)과, 자외선램프(56)의 상단 외측면에 형성되어 결합홈(62)에 장착되는 제2기밀용 패킹(63);을 포함하여, 자외선램프(56)의 점등시 생성되는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 빛과 오존이 바디(55)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2챔버(53)는
히터(57) 하류측에 형성되는 제1촉매실(64)에 수용되는 금속촉매(65);
제1촉매실(64) 하류측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촉매실(66)에 수용되는 세라믹촉매(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디(55)는
전술한 제2챔버(53)의 내측면 중간측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1고정레일(68);
공기가 통과되도록 천공되고(또는 촉매제가 통과되지않는 크기의 격자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레일(68)에 바디(55)의 개구부를 향하여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제1촉매실(64)에 수용된 금속촉매(65)가 히터(57)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격리판(69);
제1,2촉매실(64,66)의 경계부의 제2챔버(53)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고정레일(70);
공기가 통과되도록 천공되고(또는 촉매제가 통과되지않는 크기의 격자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레일(70)에 바디(55)의 개구부를 향하여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금속촉매(65)가 세라믹촉매(67)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격리판(71);
제2촉매실(66) 하부의 제2챔버(53)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3고정레일(72);
공기가 통과되도록 천공되고(또는 촉매제가 통과되지않는 크기의 격자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3고정레일(72)에 바디(55)의 개구부를 향하여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세라믹촉매(67)가 정화공기배출관(52)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격리판(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디(55)는 다이캐스팅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전술한 바디(55)를 다이캐스팅성형에 의해 제작하되, 바디(55)를 자외선램프(56)가 형성되는 제1챔버(51)와, 제1챔버(51)와 연통되고 히터(57), 금속촉매(65) 및 세락믹촉매(67)가 수용되는 제2챔버(53)로 분리형성하며, 제1챔버(51)의 개구부에 제1커버(60)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제2챔버(53)의 개구부에 제2커버(54)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며, 제2챔버(53) 내측면에 형성된 제1,2,3고정레일(68,70,72)에 대해 제1,2,3격리판(69,71,73)을 바디(55)의 개구부쪽으로 슬라이딩이동시켜 조립함에 따라 탈취장치의 부품들을 조립하는 작업성 및 탈취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미 도시)로부터 배출되는 악취가스가 바디(55)에 유입될 경우, 단일체로 이루어진 바디(55)의 제1,2챔버(51,53) 내부에서 자외선램프(56), 히터(57), 금속촉매(65) 및 세라믹촉매(67)에 의한 촉매반응에 의해 탈취처리되므로 탈취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의하면,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포함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스가 엘보우 형태의 악취가스 유입관(50)을 통과하여 제1챔버(51)에 유입된다.
제1챔버(51)에 유입된 악취가스는 제1챔버(5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자외선램프(56)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인 UVc에 의해 생성된 오존과 반응하게 된다.
즉, 제1챔버(51)에 유입된 악취가스는 자외선램프(56)에 의해 생성된 오존과 반응하게 되고, 오존 반응으로 생성된 혼합가스는 제1챔버(51)와 제2챔버(53)의 하부를 연통시킨 통로를 통과하여 제2챔버(53)로 이동된다.
즉, 제2챔버(53) 상류측에 이동된 악취가스는 임의온도를 유지하는 히터(57) 가열에 의해 악취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제거하여 제습하고, 악취가스를 연소처리하게 된다.
히터(57)를 통과한 악취가스는 제2챔버(53)의 제1촉매실(64)에 수용된 금속촉매(65)(일 예로서, 이산화망간이 사용될 수 있다)에 흡착되어진다.
즉, 히터(57)의 가열에 의해 제1촉매실(64)의 금속촉매(65)를 임의온도(약120℃정도를 말함)로 가열하여 고온처리하게 되므로 금속촉매(65)에 흡착된 악취성분을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챔버(53)에 이동된 악취가스는 제1촉매실(64)에 수용된 금속촉매(65)와, 제1촉매실(64)과 연통된 제2촉매실(66)에 수용된 세라믹촉매(67)의 상호 촉매반응에 의해 탈취처리된다.
즉, 제1챔버(51)에 유입된 악취가스를 내부의 자외선램프(56)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 및 오존에 의해 1차 탈취처리하고, 제2챔버(53)에서 히터(57) 및 금속촉매(65) 및 세라믹촉매(67)에 의해 2차 탈취처리하여 중화시킨 청정상태의 공기는 엘보우 형태의 정화공기 배출관(5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제1챔버(51)에 유입된 악취가스를 내부의 자외선램프(56)에 의해 생성된 오존에 의해 탈취처리하고, 제1챔버(51)와 연통된 제2챔버(53)에 이동된 악취가스를 히터(57)에 의해 제습 및 연소처리하며, 금속촉매(650) 및 세라믹촉매(67)의 촉매반응에 의해 중화시켜 탈취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 악취가스 유입관
51; 제1챔버
52; 정화공기 배출관
53; 제2챔버
54; 커버
55; 바디
56; 자외선램픈
57; 히터
58; 촉매제
59; 제1기밀용 패킹
60; 제1커버
61; 제2커버
62; 결합홈
63; 제2기밀용 패킹
64; 제1촉매실
65; 금속촉매
66; 제2촉매실
67; 세라믹촉매
68; 제1고정레일
69; 제1격리판
70; 제2고정레일
71; 제2격리판
72; 제3고정레일
73; 제3격리판

Claims (7)

  1.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교반통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의 배출구에 연통되어 악취가스가 유입되는 악취가스 유입관이 형성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정화공기배출관이 형성되는 제2챔버와,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제1챔버에 수용되고,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자외선 및 오존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자외선램프;
    상기 제2챔버의 상류측에 수용되고, 유입되는 악취가스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히터;
    상기 제2챔버의 하류측에 수용되고, 상기 히터를 통과하는 악취가스 중의 냄새를 중화시키기 위한 촉매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내측면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장착되는 제1기밀용 패킹;을 더 포함하여, 상기 바디의 개구부와 접촉되는 상기 커버의 접촉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악취가스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챔버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제1커버;
    상기 제2챔버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자외선램프의 상단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장착되는 제2기밀용 패킹;을 더 포함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등시 생성되는 자외선 빛과 오존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는
    상기 히터 하류측에 형성되는 제1촉매실에 수용되는 금속촉매;
    상기 제1촉매실 하류측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촉매실에 수용되는 세라믹촉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제2챔버의 내측면 중간측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1고정레일;
    공기가 통과되도록 천공되고, 상기 제1고정레일에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향하여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촉매실에 수용된 금속촉매가 상기 히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격리판;
    상기 제1,2촉매실의 경계부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고정레일;
    공기가 통과되도록 천공되고, 상기 제2고정레일에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향하여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금속촉매가 상기 세라믹촉매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격리판;
    상기 제2촉매실 하부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3고정레일;
    공기가 통과되도록 천공되고, 상기 제3고정레일에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향하여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세라믹촉매가 상기 정화공기배출관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격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다이캐스팅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20210182468A 2021-12-20 2021-12-20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20230093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468A KR20230093654A (ko) 2021-12-20 2021-12-20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468A KR20230093654A (ko) 2021-12-20 2021-12-20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654A true KR20230093654A (ko) 2023-06-27

Family

ID=8694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468A KR20230093654A (ko) 2021-12-20 2021-12-20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36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097B1 (ko) * 2023-09-08 2024-02-23 (주) 지엘플러스 Ptc 히터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097B1 (ko) * 2023-09-08 2024-02-23 (주) 지엘플러스 Ptc 히터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562B1 (ko) 친환경 환풍기
KR200439060Y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CN101322852B (zh) 厕卫空气净化装置
WO2015053426A1 (ko) 타원관 형상의 광촉매모듈 및 이온클러스터 발생모듈을 갖는 공기살균정화장치
JPH0687890B2 (ja) 殺菌・脱臭装置
KR101046214B1 (ko) 살균 탈취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7830Y1 (ko)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KR2023009365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20070046281A (ko) 산업용 병합식 공기정화기
CN210729105U (zh) 挥发性有机废气净化系统
CN209663038U (zh) 一种uv光解机
WO20191529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ir treatment
KR100949164B1 (ko) 이온화 믹싱셀을 갖는 다단 광촉매 산화와 환원 반응기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냄새제거장치
KR100684924B1 (ko) 플라즈마 공기정화 살균 탈취기
KR101708220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책상
KR102573980B1 (ko) 탈취 및 살균의 기능을 갖는 유기물 처리시스템
KR101806404B1 (ko) 공기정화 및 악취제거 시스템
CN108844113B (zh) 一种流化床式油烟处理设备及其用途
CN215216595U (zh) 具有紫外线杀菌功能的空气净化器
KR200321858Y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고효율 대용량 살균 및 정화장치
KR20210091959A (ko) 볼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102537371B1 (ko) 열 효율성을 향상시킨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2639097B1 (ko) Ptc 히터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0799106B1 (ko) 보조 살균정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0475276B1 (ko) 공기 정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