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867B1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867B1
KR102456867B1 KR1020200073509A KR20200073509A KR102456867B1 KR 102456867 B1 KR102456867 B1 KR 102456867B1 KR 1020200073509 A KR1020200073509 A KR 1020200073509A KR 20200073509 A KR20200073509 A KR 20200073509A KR 102456867 B1 KR102456867 B1 KR 102456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izing
unit
food waste
heater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363A (ko
Inventor
김완재
문병조
권순홍
Original Assignee
(주) 지엘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엘플러스 filed Critical (주) 지엘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73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8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7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6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12Fan arrangements for providing forced dr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소멸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촉매제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교반통에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소멸시 배출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교반통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흡입되는 악취가스를 자외선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제1 탈취부;
상기 제1 탈취부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탈취부를 통과하는 악취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히터가 수용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연결되고 상기 히터를 통과하는 악취가스를 탈취하기 위한 촉매제가 수용되는 탈취부와, 상기 가열부와 탈취부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히터 열에 의해 상기 촉매제를 임의온도로 가열시 동시에 가열되는 보온재가 충진되고, 상기 히터 가동을 오프시킬 경우 상기 보온재의 축열에 의해 상기 촉매제를 재생시키기 위한 보온부를 포함하는 병렬식 카트리지형태의 제2 탈취부;
상기 제2 탈취부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블로워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a apparatus for filtering malodor for food waste treaters}
본 명세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과 융합하여 분해 및 소멸시 배출되는 악취가스를 촉매제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 가정과 음식점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증가되는 음식물쓰레기 량을 조절하기란 쉽지않고, 이를 매립할 경우 매립장소가 한정됨은 물론 악취와 침출수로 인한 환경 파괴를 초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정부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건조 또는 소멸방식 등을 유도할 수 있는 처리장치를 단체급식장소, 또는 아파트 건물 신축시 의무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정화하고 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부피를 줄이기 위해 분쇄 및 압축시 배출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성탄 흡착법, 약액 세정법, 미생물 탈취법, 오존 산화법 등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등록번호 제10-1461608호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는
광 산화, 오존 산화로 악취를 산화 분해하는 1차 챔버와, 1차 챔버의 후부에 연결되어 산성가스를 촉매 산화 및 중화시키는 2차 챔버와, 2차 챔버의 후부에 연결되어 잔여 악취 및 오존을 처리하는 3차 챔버와, 3차 챔버의 후부에 연결되는 블로워로 구성된다.
전술한 1차 챔버는 UV램프를 구성하고, 2차 챔버는 은나노, 산화구리가 첨가되는 알카리 촉매와 히터로 구성되며, 3차 챔버는 내부에 이산화 망간을 포함하는 촉매를 충진시켜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며, 2차 챔버의 온도를 3-6시간 주기로 100-600℃로 10-15분 동안 가열하여 내부의 수증기 및 촉매독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특허등록번호 제1461608호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는 2차 챔버에서 주기적으로 1-3시간에 걸쳐 100-600℃로 히팅하여 수증기와 촉매독을 제거하게 되므로 과도한 에너지 소비로 인해 많은 유지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61608호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과 융합하여 분해 및 소멸시 배출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이산화망간을 포함하는 촉매제를 재생시키도록 히터 가열에 따른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반통에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및 소멸시 배출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교반통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흡입되는 악취가스를 자외선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제1 탈취부;
상기 제1 탈취부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탈취부를 통과하는 악취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히터가 수용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연결되고 상기 히터를 통과하는 악취가스를 탈취하기 위한 촉매제가 수용되는 탈취부와, 상기 가열부와 탈취부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히터 열에 의해 상기 촉매제를 임의온도로 가열시 동시에 가열되는 보온재가 충진되고, 상기 히터 가동을 오프시킬 경우 상기 보온재의 축열에 의해 상기 촉매제를 재생시키기 위한 보온부를 포함하는 병렬식 카트리지형태의 제2 탈취부;
상기 제2 탈취부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블로워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과 융합하여 분해 및 소멸시 배출되는 악취가스를 오존에 의해 1차로 탈취처리한 후, 촉매제를 주기적으로 설정시간동안 히터에 의해 고온처리함에 따라 잔류 오존과 악취 성분을 탈취처리하는 2차 탈취처리기와, 악취성분을 탈취제에 의해 탈취처리하는 3차 탈취처리기를 병렬식 카트리지형태로 일체화시킴에 따라, 2차 탈취처리기의 히터 가동 시간을 줄여 전기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취장치에서, 본체 뒤쪽에 장착되는 탈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탈취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탈취장치의 요부발췌확대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2 탈취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교반통에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한 미생물융합에 의해 분해시 배출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A)에 적용되고,
교반통(10)의 악취가스 배출구에 연결되는 엘보우형태의 유입관(11)을 통해 UV램프통(13)에 흡입되는 악취가스를 내부의 자외선램프(12)(일 예로서, 악취가스를 자외선 및 오존에 의해 광산화 및 오존산화로 산화 분해시킬 수 있도록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UVc램프(즉, 100∼280㎚파장을 갖는 UV-C 대역의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램프를 말함)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제1 탈취부(B);
제1 탈취부(B)의 배출구에 ∪형태의 연결관(14)을 통해 유입구가 연결되고, 제1 탈취부(B)를 통과하는 악취가스 및 잔류 오존성분을 임의온도(일 예로서, 약 60-70℃정도를 말함)에서 주기적(일 예로서, 약 4-5시간을 말함)으로 임의시간(일 예로서, 약 10-30분을 말함)동안 가열하기 위한 히터(15)가 수용되는 가열부(16)와, 가열부(16)의 배출구에 ∩형태의 연결관(17)을 통해 유입구가 연결되고 히터(15)를 통과하는 악취가스를 촉매반응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촉매제(18)(일 예로서, 이산화망간 등이 사용될 수 있다)가 수용되는 탈취부(19)와, 가열부(16)와 탈취부(19)사이에 형성되고, 히터(15)에 의해 촉매제(18)를 임의온도로 가열시 동시에 가열되어 축열되는 보온재(23)가 충진되고, 히터(15)의 가동 오프(off)시 보온재(23)의 축열에 의해 촉매제(18)를 재생시키기 위한 보온부(24);를 포함하는 병렬식 카트리지형태의 제2 탈취부(C);
제2 탈취부(C)의 배출구에 L자 형태의 연결관(21)을 통해 연결되는 블로워팬(22)(blower fan);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병렬식 카트리지형태의 제2 탈취부(C)는 U형태의 연결관(14)의 배출구 및 L형태의 연결관(21)의 유입구가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연결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부캡(20a)과, 하부캡(20a)에 장착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는 바디(20b)와, ∩형태의 연결관(17)의 유입구 및 배출구가 연통되도록 윗면에 연결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상부캡(20c)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UV램프통(13)의 유입구 및 배출구는 자외선램프(12)에 의해 가열된 열이 UV램프통(13) 내부에서 최대한 지체된 후 제2 탈취부(C)로 이동되고, 탈취통(19)의 유입구와 배출구는 히터(15)에 의해 가열된 열이 탈취통(19) 내에서 최대한 지체된 후 배출되도록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보온재(23)는
보온부(24)에 교체가능하게 수용되고, 히터(15)의 가동 정지(off)시 촉매제(18)를 축열된 보온열에 의해 재생시킬 수 있도록, 열을 축열시킬 수 있는 재료(일 예로서, 축열재)를 가열부(16)와 탈취통(19)사이에 투입시켜 병렬식 일체형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2 탈취부(C)의 탈취통(19)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히터(15) 구동부에 전송하기 위한 온도센서(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탈취통(19) 내의 온도를 온도센서(30)에 의해 감지하되, 감지된 온도가 미리설정된 임의온도를 초과할 경우 히터(15)를 가동시키는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1 및 32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A)의 상부 및 하부를 본체(25)에 장착하기 위한 상부브라킷 및 하부브라킷 이고, 40은 블로워팬 토출구가 장착되는 마운팅부(39)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되고 블로워팬(22) 구동에 의한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흡음재(일 예로서, 스펀지,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다)이며, 50은 흡음재(40)의 윗면 또는 바닥면에 교체가능하게 형성되고, 블로워팬 토출구를 통과하는 정화공기의 잔류악취를 희석시켜 배기덕트(미 도시됨)로 이동되도록 하는 방향제(일 예로서, 젤형태, 고체형태의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수분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교반통(10)이 수용되고, 뚜껑(28)이 상부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25)와, 본체(25)를 양측으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축(26)과, 교반축(26)을 동력전달수단(미 도시된 구동스프로킷, 연결체인 및 피동스프로킷이 사용될 수 있다)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해 정,역 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27)와, 구동모터(27)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 도시됨)(PCB)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A)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내용에 속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전술한 교반통(10)에 투입된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에 투입한 미생물을 교반봉(29)에 의해 배합하여 분해 또는 소멸시킬 경우 배출되는 수분이 포함된 악취가스는 블로워팬(22)의 흡입력에 의해 교반통(10)의 배출구에 엘보우형태의 유입관(11)이 연결된 제1 탈취부(B)의 UV램프통(13)에 이동된다.
교반통(10)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포함된 악취가스가 내부가 빈 원통형태의 제1 탈취부(B)의 UV램프통(13)에 흡입될 경우, 제1 탈취부(B)의 UV램프통(13)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자외선램프(12)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인 UVc에 의해 생성된 오존과 반응하게 된다.
즉, 제1 탈취부(B)의 UV램프통(13) 내에 유입된 악취가스는 자외선램프(12)에 의해 생성된 오존과 반응하고, 오존 반응으로 생성된 혼합가스는 제1 탈취부(B)로부터 U형태의 연결관(17)을 통과하여 병렬식 카트리지형태의 제2 탈취부(C)로 이동된다.
즉, 병렬식 카트리지형태의 제2 탈취부(C)에 유입된 악취가스는 제2 탈취부(C)를 이루는 가열부(16)에 수용된 임의온도를 유지하는 히터(15) 가열에 의해 악취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제거하고, 악취가스를 연소처리하게 된다.
전술한 가열부(16)의 히터(15)를 통과한 후, ∩형태의 연결관(17)을 통과한 악취가스는 촉매제(18)(일 예로서, 이산화망간이 사용될 수 있다)가 수용된 탈취통(19)에 이동된다.
즉, 히터(15)의 가열에 의해 탈취통(19)의 촉매제(18)를 120℃정도로 가열하여 고온처리하게 되므로 촉매제(18)에 흡착된 악취성분을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병력식 카트리지형태의 제2 탈취부(C)의 히터(15) 및 촉매제(18)에 의해 악취성분이 제거된 정화된 공기를 L형 연결관(2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병력식 카트리지형태의 제2 탈취부(C)를 이루는 가열부(16)의 히터(15)에 의해 탈취통(19)에 수용된 촉매제(18)를 임의온도로 가열할 경우, 이와 동시에 가열부(16)와 탈취통(19) 사이에 형성된 보온부(24)에 수용된 보온재(23)를 임의온도로 가열하여 축열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임의온도(일 예로서, 약 60-70℃정도를 말함)에서 주기적(일 예로서, 약 4-5시간을 말함)로 임의시간(일 예로서, 약 10-30분을 말함)동안 작동되는 히터(15) 가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경우에도, 보온부(24)에 수용되고 임의온도로 축열된 보온재(23)로부터 전달된 보온력에 의해 탈취통(19)의 촉매제(18)를 재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히터(15) 가동을 일시적으로 정지(off)시킬 경우에도, 탈취통(19)에 수용된 촉매제(18)를 보온부(24)에 수용되어 보온력이 유지된 보온재(23)에 의해 임의온도로 재생시킴에 따라 히터(15)를 가동시키는 가동시간을 줄일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중, 히터(15) 가동시간을 줄여 전기세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A)에 의하면,
교반통(10)에 투입되는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에 투입된 미생물을 교반봉(29)에 의해 배합시켜 분해 및 소멸시 배출되는 악취가스는 제1 탈취부(B)의 UV램프통(13)에 흡입된 후, UV램프통(13)의 자외선램프(12)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에 의해 1차로 탈취처리된다.
제1 탈취부(B)를 통과한 후 병렬식 카트리지형태의 제2 탈취부(C)에 이동된 수분이 포함된 악취가스 및 오존잔류성분을 제2 탈취부(C)의 가열부(16)에 수용된 히터(15)에 의해 연소처리한 후, 제2 탈취부(C)의 탈취통(19)에 수용된 촉매제(18)를 히터(15) 가동으로 가열시킴에 따라 촉매작용에 의해 2차로 탈취처리된다.
이때, 주기적으로 가동되는 히터(15) 가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경우에도, 가열부(16)와 탈취통(19) 사이에 형성된 보온부(24)에 채워져 축열된 보온재(23)의 보온력에 의해 탈취통(19)의 촉매재(18)를 임의온도로 재생시킴에 따라 히터(15) 가동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탈취부(B)의 UV램프통(13)에 흡입된 악취가스를 내부의 자외선램프(12)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에 의해 탈취처리하고, 병력식 카트리지형태의 제2 탈취부(C)의 가열부(16)에 이동된 악취가스를 히터(15)에 의해 연소처리하며, 탈취통(19)에 충진되며 히터(15)의 주기적인 가열로 고온처리함에 따라 재생되는 촉매제(18)의 촉매 반응에 의해 촉매제(18)에 흡착된 수분 및 반응물질을 탈취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교반통
11; 유입관
12; 자외선램프
13; UV램프통
14; 연결관
15; 히터
16; 가열부
17; 연결관
18; 촉매제
19; 탈취통
21; 연결관
22; 블로워팬
23; 보온재
24; 보온부
25; 본체
26; 교반축
27; 구동모터
28; 뚜껑
29; 교반봉
30; 온도센서
B; 제1 탈취부
C; 제2 탈취부

Claims (5)

  1. 교반통에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소멸시 배출되는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A)에 적용되고,
    상기 교반통(10)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엘보우형태의 유입관(11)을 통해 UV램프통(13)에 흡입되는 악취가스를 자외선램프(12)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제1 탈취부(B);
    상기 제1 탈취부(B)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탈취부(B)를 통과하는 악취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히터(15)가 수용되는 가열부(16)와, 상기 가열부(16)에 연결되고 상기 히터(15)를 통과하는 악취가스를 탈취하기 위한 촉매제(18)가 수용되는 탈취부(19)를 포함하는 병렬식 카트리지형태의 제2탈취부(C);
    상기 제2 탈취부(C)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블로워팬(22);을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탈취부(C)는
    상기 가열부(16)와 탈취부(19)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히터(15) 열에 의해 상기 촉매제(18)를 임의온도로 가열시 동시에 가열되는 보온재(23)가 충진되고, 상기 히터(15) 가동을 오프시킬 경우 상기 보온재(23)의 축열에 의해 상기 촉매제(18)를 재생시키기 위한 보온부(24)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온재(23)는
    상기 보온부(24)에 교체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히터(15)의 가동을 오프시킬 경우 상기 촉매제(18)를 축열에 의해 재생시키도록 축열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73509A 2020-06-17 2020-06-17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2456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509A KR102456867B1 (ko) 2020-06-17 2020-06-17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509A KR102456867B1 (ko) 2020-06-17 2020-06-17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363A KR20210156363A (ko) 2021-12-27
KR102456867B1 true KR102456867B1 (ko) 2022-10-24

Family

ID=79177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509A KR102456867B1 (ko) 2020-06-17 2020-06-17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123B1 (ko) * 2022-01-05 2024-02-14 (주) 지엘플러스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측면 장착형 보조 탈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597B1 (ko) * 1997-08-02 1999-11-15 이규형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461608B1 (ko) * 2012-07-25 2014-12-15 주식회사 미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363A (ko)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60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
KR101046214B1 (ko) 살균 탈취 장치 및 그 방법
KR1013914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5686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JP5310791B2 (ja) 空気清浄装置
KR2021015636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정화공기 배출장치
KR20180015909A (ko) 음식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AU17982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appliance exhaust and removing contaminants from objects
KR101099776B1 (ko) 음식물 쓰레기처리기의 오존 및 지방산 처리장치
JP2002238981A (ja) 空気浄化装置
JPH11276563A (ja) 空気清浄化装置
JP2008183326A (ja) 脱臭装置
KR102537371B1 (ko) 열 효율성을 향상시킨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JP2001239239A (ja) 脱臭装置、生ゴミ処理機および脱臭方法
KR101052855B1 (ko) 음식물 처리기 하이브리드 살균 탈취 장치
KR10263612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측면 장착형 보조 탈취장치
KR2023009365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JP3551278B2 (ja) 厨芥処理装置の脱臭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442651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유기산 탈취장치
JP3622184B2 (ja) 生ゴミ発酵処理装置における脱臭分解方法
KR20230125927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
KR2023010679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저면 장착형 보조 탈취장치
JPH0814750A (ja) 生ゴミ処理装置
JPH09170783A (ja) 空気調和機
JPH05185060A (ja) 厨芥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