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927A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927A
KR20230125927A KR1020220022773A KR20220022773A KR20230125927A KR 20230125927 A KR20230125927 A KR 20230125927A KR 1020220022773 A KR1020220022773 A KR 1020220022773A KR 20220022773 A KR20220022773 A KR 20220022773A KR 20230125927 A KR20230125927 A KR 20230125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air
fan motor
food waste
deodo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원
방대철
Original Assignee
(주) 지엘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엘플러스 filed Critical (주) 지엘플러스
Priority to KR1020220022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927A/ko
Publication of KR20230125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가정, 단체급식장소(학교, 군부대 등), 영업용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자외선, 오존, 히터 및 촉매제 등에 의해 악취 중의 수분 제거 및 악취를 중화시키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는
수분이 포함되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교반통이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교반통에서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내부의 자외선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제1탈취부;
상기 제1탈취부에 연통되고, 유입되는 공기중의 악취를 내부의 히터 및 제1촉매제에 의해 연소 및 중화처리하는 제2탈취부;
상기 제2탈취부에 연통되고, 유입되는 공기중의 악취를 제2촉매제에 의해 중화시킨 공기를 팬모터 구동에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3탈취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탈취부의 연결관에 연통되는 공기 유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팬모터 하우징에 내설되는 엑시얼 타입의 팬모터;
상기 팬모터 하우징의 타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팬모터를 통과하는 정화공기를 상기 바디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이송용 덕트;
상기 공기이송용 덕트를 통과하는 정화공기 중에 잔류되는 악취를 제3촉매제에 의해 중화시켜 제거하며, 입구측 및 출구측에 타공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형태의 보조 탈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assistance deodorization apparatus in garbage disposal}
본 명세서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정, 단체급식장소(학교, 군부대 등), 영업용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자외선, 오존, 히터 및 촉매제 등에 의해 악취 중의 수분 제거 및 악취를 중화시키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 가정과 음식점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음식물쓰레기 량을 조절하기란 쉽지않고, 이를 매립할 경우 매립장소가 한정됨은 물론 악취와 침출수로 인한 환경 파괴를 초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정부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건조 또는 소멸방식 등을 유도할 수 있는 처리장치를 단체급식장소, 또는 아파트 건물 신축시 의무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정화하고 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부피를 줄이기 위해 분쇄 및 압축시 배출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성탄 흡착법, 약액 세정법, 미생물 탈취법, 오존 산화법 등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교반통(1)이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2)와,
교반통(1)에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또는 분해시) 발생되어 엘보우형태의 연결관(3)을 통해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자외선램프(4)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제1탈취부(5)와,
제1탈취부(5)에 연결관(6)을 통해 연통되고, 제1탈취부(5)를 통과하는 악취가스를 내부의 히터(미 도시)에 의해 연소시키며, 제1촉매제(미 도시)에 의해 악취를 중화처리하는 제2탈취부(7)와,
제2탈취부(7)에 연결관(8)을 통해 연통되고, 제2탈취부(7)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2촉매제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거한 후, 정화된 공기를 팬모터(9) 구동에 연결관(1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3탈취부(11)를 포함하게 된다.
종래 기술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교반통(1)으로부터 음식물쓰레기 처리시 배출되는 악취가스를 팬모터(9)의 구동에 의해 제1,2,3탈취부(5,7,11)를 차례로 통과시켜 오존, 히터 및 소정의 촉매제의 촉매반응에 의해 탈취, 연소, 중화시켜 정화시키고 있으나,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악취가스를 모두 제거하지 못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소비자로부터 상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정화된 공기는 블로어(blower)타입의 팬모터(9) 구동시, 연결관(10)을 통과하여 팬모터(9)의 흡입구(9a)에 흡입된 후, 흡입구(9a)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배출구(9b)를 통과하여 베이스커버(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전술한 흡입구(9a)와 배출구(9b)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므로, 팬모터(9)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간섭하게 되어 유속이 느리고 풍량이 적어 팬모터(9)의 회전수를 높임에 따라 전력 소모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61608호(2014.12.15.공고)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가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팬모터를 전력 소모량이 적고 풍량이 많은 액시얼(axial) 타입으로 변경하여 탈취성능을 개선시키고,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보조 탈취장치를 추가 장착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모두 제거시킨 정화된 청정상태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특성상, 협소한 공간에 보조 탈취장치를 용이하게 조립 및 교체할 수 있고, 용이하게 사후관리(A/S)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분이 포함되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교반통이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교반통에서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내부의 자외선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제1탈취부;
상기 제1탈취부에 연통되고, 유입되는 공기의 악취를 내부의 히터 및 제1촉매제에 의해 연소 및 중화처리하는 제2탈취부;
상기 제2탈취부에 연통되고, 유입되는 공기중의 악취를 제2촉매제에 의해 중화시킨 정화공기를 팬모터 구동에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3탈취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탈취부의 연결관에 연통되는 공기 유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팬모터 하우징에 내설되는 엑시얼 타입의 팬모터;
상기 팬모터 하우징의 타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팬모터를 통과하는 정화공기를 상기 바디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이송용 덕트;
상기 공기이송용 덕트를 통과하는 정화공기 중에 잔류되는 악취를 제3촉매제에 의해 중화시켜 제거하며, 입구측 및 출구측에 타공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형태의 보조 탈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팬모터를 전력 소모량이 적고 풍량이 많은 액시얼 타입으로 변경하여 탈취성능을 개선시키고,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보조 탈취장치를 추가 장착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모두 제거시킨 정화된 청정상태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소비자로부터 상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기기 특성상, 내부공간이 협소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외부에서 보조 탈취장치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사후관리(A/S)함에 따라 품질 및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팬모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팬모터 및 보조 탈취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사이드커버에 장착되는 개폐커버의 도면,
도 6은 도 3에 보조 탈취장치의 교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팬모터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는
가정, 단체급식장소, 영업용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포함되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교반통(1)이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2),
교반통(1)에서 연결관(3)을 통해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내부의 자외선램프(4)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 반응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제1탈취부(5),
제1탈취부(5)에 연결관(6)을 통해 연통되고, 유입되는 공기중의 악취를 내부의 히터(미 도시) 및 제1촉매제(미 도시)의 촉매반응에 의해 연소 및 중화처리하는 제2탈취부(7),
제2탈취부(7)에 연결관(8)을 통해 연통되고, 유입되는 악취가스가 잔류된 공기를 제2촉매제(미 도시)의 촉매반응에 의해 중화시킨 정화공기를 팬모터(9) 구동에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3탈취부(11)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있어서,
제3탈취부(11)의 연결관(10)에 연통되는 공기 유입구(13)가 일측(유입구측)에 형성되는 팬모터 하우징(14)에 내설되는 통상의 엑시얼(axial) 타입의 팬모터(15),
팬모터 하우징(14)의 타측(배출구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팬모터(15)를 통과하는 정화공기를 바디(2)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이송용 덕트(16),
공기이송용 덕트(16)를 통과하는 정화공기 중에 잔류되는 악취를 제3촉매제(미 도시)에 의해 중화시켜 제거하며, 입구측 및 출구측에 타공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형태의 보조 탈취기(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 외부에서 보조 탈취기(17)를 교체할 수 있도록
바디(2)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커버(18)에 형성되는 절개부(19),
절개부(19)에 장착되고, 도어(20)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프레임(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보조 탈취기(17)를 교체시 슬라이딩이동을 가이드하고, 공기이송용 덕트(1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 탈취기(17)가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상부 지지판(22) 및 하부 지지판(23)을 대향되게 형성하되, 상부 지지판(22) 및 하부 지지판(23)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보조 탈취기(17)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보조 탈취기(17)를 공기이송용 덕트(16)에 수납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3탈취부(11)로부터 배출되어 보조 탈취기(17)로 이동되는 공기 흐름이 일직선을 유지하게 하여 유속 감속되는 것을 방지하고,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팬모터하우징(14)의 공기 유입구(13), 팬모터(15), 공기이송용 덕트(16), 보조 탈취기(17)는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측면 장착형 보조 탈취장치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가정, 영업용 식당, 단체급식장소(군부대, 학교) 등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포함한 음식물쓰레기가 교반통(1)에 투입되어 처리될 경우, 발생되는 악취가스가 엘보우 형태의 연결관(3)을 통과하여 제1탈취부(5)에 유입된다.
제1탈취부(5)에 유입된 악취가스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자외선램프(4)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인 UVc에 의해 생성된 오존과 반응하게 된다.
즉, 제1탈취부(5)에 유입된 악취가스는 통상의 자외선램프(4)에 의해 생성된 오존과 반응하게 되고, 오존 반응으로 생성된 혼합가스는 엘보우 형태의 연결관(6)을 통과하여 제2탈취부(7)로 이동된다.
제1탈취부(5)에서 연결관(6)을 통해 제2탈취부(7)에 이동된 악취가스는 통상의 히터(미 도시) 가열에 의해 악취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제거하여 제습하고 악취가스를 연소처리한 후, 통상의 제1촉매제(미 도시)의 촉매반응에 의해 흡착되어진다.
제2탈취부(7)에서 엘보우 형태의 연결관(8)을 통해 제3탈취부(11)로 이동된 공기는 통상의 제2촉매제(미 도시)의 촉매반응에 의해 중화처리되고, 정화처리된 공기는 팬모터(15) 구동에 베이스커버(12)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공(미 도시)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팬모터(15) 구동에 의해 제3탈취부(11)로부터 배출되는 악취 일부가 포함된 공기는 연결관(10)에 공기 유입구(13)를 통해 연통된 팬모터하우징(14)에 유입된다.
팬모터하우징(14)에 유입된 악취 일부가 잔류된 공기는 팬모터하우징(14)에 연통된 공기이송용 덕트(16)를 통과한 후, 공기이송용 덕트(16)의 출구측에 형성된 보조 탈취기(17)에 수용된 통상의 제3촉매제(미 도시)의 촉매반응에 의해 중화처리된다.
즉, 보조 탈취기(17)에서 중화처리된 후 배출되는 청정상태의 공기는 베이스커버(12)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공(미 도시)을 통해 바디(2)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공기이송용 덕트(16)의 출구측에 형성되는 카트리지 형태의 보조 탈취기(17)에 수용된 통상의 제3촉매제(미 도시)의 사용수명이 다한 경우, 바디 (2) 전체를 분해시키지않은 상태에서도 바디(2) 외부에서 보조 탈취기(17)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사이드커버(18)의 절개부(19)에 장착된 개폐프레임(21)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도어(20)를 개방시킨 후, 공기이송용 덕트(16)의 출구측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카트리지 형태의 보조 탈취기(17)의 손잡이(25)를 파지하여 절개부(19)쪽으로 이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탈취기(17)를 바디(2)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되므로 바디(2) 내부에 수용된 통상의 제3탈취제(미 도시)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공기이송용 덕트(16)의 출구측에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된 상부 지지판(22) 및 하부 지지판(23)의 난간에 형성된 이탈방지턱(24)에 의해 보조 탈취기(17)가 공기이송용 덕트(1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딩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에 의하면, 전술한 교반통(1)에 유입된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통상의 제1탈취부(5) - 제2탈취부(7) - 제3탈취부(11)를 차례로 통과시키면서 악취가스를 오존, 히터, 및 촉매제의 촉매반응에 의해 중화처리하여 탈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3탈취부(11)를 통과한 공기 중에 잔류된 악취가스 일부를 제3탈취부(11)에 연통된 보조 탈취기(17)에 수용된 통상의 제3촉매제(미 도시)의 촉매반응에 의해 다시한 번 탈취처리 과정을 거쳐 청정상태로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보조 탈취기(17) 내부에서 제3촉매제의 촉매반응에 의해 공기 중의 악취가스를 중화처리시켜 정화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교반통(1)에 투입되는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또는 소멸방식 등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량을 줄이고, 제1탈취부(5)에 유입된 악취가스를 내부의 자외선램프(4)에 의해 생성된 오존에 의해 탈취처리하고, 제2탈취부(7)에 이동된 악취가스를 히터에 의해 제습 및 연소처리하며 제1촉매제의 촉매반응에 의해 중화시켜 탈취시키며, 제3탈취부(11)에 이동된 공기를 제2촉매제의 촉매반응에 의해 중화시켜 탈취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교반통
2; 바디
3; 연결관
4; 자외선램프
5; 제1탈취부
6; 연결관
7; 제2탈취부
8; 연결관
9; 팬모터
10; 연결관
11; 제3탈취부
12; 베이스커버
13; 공기 유입구
14; 팬모터 하우징
15; 팬모터
16; 공기이송용 덕트
17; 보조 탈취기
18; 사이드커버
19; 절개부
20; 도어
21; 개폐프레임
22; 상부 지지판
23; 하부 지지판
24; 이탈방지턱
25; 손잡이

Claims (5)

  1. 수분이 포함되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교반통이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교반통에서 유입되는 악취가스를 내부의 자외선램프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에 의해 탈취하기 위한 제1탈취부;
    상기 제1탈취부에 연통되고, 유입되는 공기중의 악취를 내부의 히터 및 제1촉매제에 의해 연소 및 중화처리하는 제2탈취부;
    상기 제2탈취부에 연통되고, 유입되는 공기중의 악취를 제2촉매제에 의해 중화시킨 정화공기를 팬모터 구동에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3탈취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탈취부의 연결관에 연통되는 공기 유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팬모터 하우징에 내설되는 엑시얼 타입의 팬모터;
    상기 팬모터 하우징의 타측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팬모터를 통과하는 정화공기를 상기 바디 내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이송용 덕트;
    상기 공기이송용 덕트를 통과하는 정화공기 중에 잔류되는 악취를 제3촉매제에 의해 중화시켜 제거하며, 입구측 및 출구측에 타공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형태의 보조 탈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외부에서 상기 카트리지 형태의 보조 탈취기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커버에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에 장착되고,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탈취기를 교체시 슬라이딩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공기이송용 덕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탈취기가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을 대향되게 형성하되, 상기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의 대향면 난간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탈취기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 탈취기를 상기 공기이송용 덕트에 수납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탈취부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보조 탈취기로 이송되는 공기 흐름이 일직선을 유지하게 하여 유속 감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팬모터하우징의 공기유입구, 팬모터, 공기이송용 덕트, 보조 탈취기는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


















KR1020220022773A 2022-02-22 2022-02-22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 KR20230125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773A KR20230125927A (ko) 2022-02-22 2022-02-22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773A KR20230125927A (ko) 2022-02-22 2022-02-22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927A true KR20230125927A (ko) 2023-08-29

Family

ID=8780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773A KR20230125927A (ko) 2022-02-22 2022-02-22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59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291B1 (ko) 살균기능을 겸하는 악취제거 탈취탑 및 이의 이용방법
EP14611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ing air in a ventillation system
KR201301071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5310791B2 (ja) 空気清浄装置
KR100684924B1 (ko) 플라즈마 공기정화 살균 탈취기
KR2021015636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정화공기 배출장치
KR10067557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0332232U (zh) 家用厨余处理设备的废气处理系统及家用厨余处理设备
KR102573980B1 (ko) 탈취 및 살균의 기능을 갖는 유기물 처리시스템
KR20230125927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보조 탈취장치
KR20100107794A (ko)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3009365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245686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JP2008183326A (ja) 脱臭装置
KR10263612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측면 장착형 보조 탈취장치
KR101052855B1 (ko) 음식물 처리기 하이브리드 살균 탈취 장치
KR101308156B1 (ko)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2537371B1 (ko) 열 효율성을 향상시킨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0799106B1 (ko) 보조 살균정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23010679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저면 장착형 보조 탈취장치
KR102639097B1 (ko) Ptc 히터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248478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장치
JPH07309401A (ja) 厨芥の処理方法および厨芥処理機
KR19980056659U (ko) 광화학 탈취장치가 설치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H05185060A (ja) 厨芥処理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