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608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608B1
KR101461608B1 KR1020120081191A KR20120081191A KR101461608B1 KR 101461608 B1 KR101461608 B1 KR 101461608B1 KR 1020120081191 A KR1020120081191 A KR 1020120081191A KR 20120081191 A KR20120081191 A KR 20120081191A KR 101461608 B1 KR101461608 B1 KR 10146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ood waste
lamp
disposal apparatus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580A (ko
Inventor
이순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2639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616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랜
Priority to KR102012008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60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6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75Other waste gases from food processing plants or kitchens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설치되어, 호기성 미생물을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분해하는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악취 제거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광산화, 오존산화로 악취를 산화 분해하는 1차챔버와, 상기 1차챔버의 후부에 연결되어 산성가스를 촉매산화 및 중화시키는 2차챔버와, 상기 2차챔버의 후부에 연결되어 잔여 악취 및 오존을 처리하는 3차챔버와, 상기 3차챔버의 후부에 연결되는 블로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deodorazing device for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설치되어, 호기성 미생물을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의 주요 발생원은 음식점과 집단 급식소 및 가정으로 전체 발생량의 약 90% 이상을 차지하며, 성상별로는 채소류가 약 53%로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버려지는 전체 쓰레기의 약 1/3을 차지할 정도로 많은 양일 뿐 아니라 이를 처리하는 데에도 엄청난 비용이 소요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약 90%가 매립방식으로 처리되고 있으며, 전체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의 약 2% 정도가 가죽사료 및 퇴비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주요 문제점으로는 그 특성상 수분 함량이 약 80% 이상으로 비교적 무거운데다 쉽게 부패되므로 자체 냄새와 부패에 따른 심한 악취와 오수까지 발생하므로 장시간 보관할 수 없고,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버리거나 처리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 아니라, 악취 등에 의해 벌레들이 모여들어 비위생적이다.
그래서,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발되어, 다수의 가정에서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들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전술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때, 미생물 등을 사용하여 분해하게 되는데, 이렇게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악취가 발생되게 된다.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는 필수적으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데, 이러한 악취제거장치는 주로 오존을 많이 사용하고, 이렇게 사용되는 오존은 강한 산화력을 가지므로 악취성분들을 효과적으로 분해, 제거할 수 있어 악취제거수단으로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오존은 농도가 높아지면 호흡기나 눈을 자극하여 통증을 유발하기도 하며, 심각한 경우에는 호흡곤란이나 폐기능 저하, 폐혈증 등을 유발시키기도 하고, 오존의 농도가 높을 경우 오존 특유의 비릿한 냄새로 인해 오히려 불쾌감이 유발되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2651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음식물쓰레기가 건조 또는 분해되는 처리조(10)와, 상기 처리조(10)에 연결되며 상기 처리조(10)의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 중의 산소를 오존으로 합성시키기 위한 자외선램프(2)가 내장된 탈취챔버(20)와, 상기 탈취챔버(20)에서 처리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탈취챔버(20)의 후단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구(34)가 형성된 오존분해챔버(30)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오존분해챔버(30) 내부에 상부로부터 히터(55)와 열촉매제(50) 및 오존분해 촉매(40)를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히터(30)와 오존분해촉매(40)를 분리형성하고, 상기 열촉매제(50)와 오존분해촉매(40)사이에는 상기 열촉매제(50)의 열이 오존분해촉매(40)로 직접 전달되지 않아 오존분해촉매(40)의 이산화망간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며 오존분해를 빠르게 하도록 좁은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2651호에 기재된 기술은 악취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오존을 분해하여, 환경 및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주위에 다공성 충전재를 구비하여 자외선램프(2)를 사용하여, 자외선램프(2)의 열에 의하여 다공성 충전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고, 히터(55)를 이용한 열촉매제(50)를 구비하여 악취를 보다 잘 분해할 수 있으나, 사용 후에 촉매에 의해 생성되는 촉매독을 제거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설치되는 악취제거장치의 1차챔버에 UV램프를 구비하여, 자외선 및 오존에 의하여 악취를 자외선에 의해 광산화 및 오존산화로 산화 분해시키게 되며, 이때, UV램프의 주위에 금속섬유를 매쉬 형태로 충전시켜 UV램프의 열을 잘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을 잘 전도시켜 줌으로써 내부의 악취를 보다 용이하게 분해 제거할 수 있게 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산화 및 자외선 산화로 악취를 제거하는 1차챔버의 후부에 2차챔버를 연결하고, 2차챔버의 내부에 은나노, 산화구리 등의 알카리 촉매와 카트리지 히터를 구비함으로써, 알카리 촉매에 의해 1차챔버에서 제거되지 않은 산성가스를 촉매산화 및 중화 분해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촉매독을 상기 카트리지 히터를 사용하여 일정간격으로 제거하여 줌으로써, 악취뿐만 아니라, 악취를 제거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유해한 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분해하는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악취 제거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광산화, 오존산화로 악취를 산화 분해하는 1차챔버와, 상기 1차챔버의 후부에 연결되어 산성가스를 촉매산화 및 중화시키는 2차챔버와, 상기 2차챔버의 후부에 연결되어 잔여 악취 및 오존을 처리하는 3차챔버와, 상기 3차챔버의 후부에 연결되는 블로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1차챔버는 중심부에 구비되는 UV램프와, UV램프를 보호하는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 외측에 매쉬 형태로 충전되는 금속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2차챔버는 은나노, 산화구리가 첨가되는 알카리 촉매와, 카트리지 히터와,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차챔버는 내부에 이산화 망간을 포함하는 촉매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 히터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구비된 제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가동시간 및 가동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 히터는 2챔버의 온도를 3시간 ~ 6시간 주기로 100℃ ~ 600℃로 10 ~ 15분 동안 가열하여, 내부의 수증기 및 촉매독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많아 별도로 탈취운전을 시행할 경우, 상기 카트리지 히터는 1시간에 15분씩 동작하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설치되는 악취제거장치의 1차챔버에 UV램프를 구비하여, 자외선 및 오존에 의하여 악취를 자외선에 의해 광산화 및 오존산화로 산화 분해시키게 되며, 이때, UV램프의 주위에 금속섬유를 매쉬 형태로 충전시켜 UV램프의 열을 잘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을 잘 전도시켜 줌으로써 내부의 악취를 보다 용이하게 분해 제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광산화 및 자외선 산화로 악취를 제거하는 1차챔버의 후부에 2차챔버를 연결하고, 2차챔버의 내부에 은나노, 산화구리 등의 알카리 촉매와 카트리지 히터를 구비함으로써, 알카리 촉매에 의해 1차챔버에서 제거되지 않은 산성가스를 촉매산화 및 중화 분해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촉매독을 상기 카트리지 히터를 사용하여 일정간격으로 제거하여줌으로써, 악취뿐만 아니라, 악취를 제거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유해한 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가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가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가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가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몸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가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상부몸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가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가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가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가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몸체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가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상부몸체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부(102)가 구비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를 양측으로 관통하는 교반축(130)과 상기 교반축(130)을 회전시키는 교반모터(120)와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 메인기판(18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0)의 후면에는 악취제거장치(300)가 구비된다.
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의 양측에는 각각 측면프레임(154)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154)의 내측에는 내부측판(152)가 구비되는데, 상기 교반축(130)은 상기 내부측판(152) 및 측면프레임(154)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축(130)은 수용부(102)에 위치하는 부분에 일정간격으로 교반날개(132)가 형성되는데, 상기 교반날개(132)는 교반축(130)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130)의 일측 단부에는 종동 스프라켓(134)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종동 스프라켓(134)이 위치하는 측면 프레임(154)에는 몸체(100) 방향으로 교반모터(120)가 설치되고, 교반모터(120)의 회전축(부호 미도시)이 측면 프레임(154)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단부에 구동 스프라켓(122)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122)과 종동 스프라켓(134)은 체인(124)으로 연결되어, 교반모터(120)의 회전력을 교반축(130)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프레임(154)의 외측에는 고정브라켓(136)이 구비되어, 상기 교반축(13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드럼히터(110)에는 제1온도센서(112)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온도센서(112)에서 감지된 온도는 메인기판(180)에 설치된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어, 상기 제어부에서는 드럼히터(110)를 제어하여, 수용부(102)의 온도를 호기성 미생물은 활발히 활동할 수 있지만, 유해성 미생물은 살 수 없는 온도인 45~65℃로 유지하게 한다.
그래서,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온도를 만들어 줌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빠른 시간에 분해할 수 있으며, 다른 유해성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여, 불쾌한 악취나 유해한 물질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히터(110)의 외측에는 단열부재(114)를 구비하여 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높여주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교반모터(120)를 제어하여 교반축(130)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동작할 때에는 정방향으로 1분30초 ~ 5분 회전시키고, 5초 ~ 30초 후, 역방향으로 1분30초 ~ 5분 회전시킨 후, 7분 ~ 30분을 휴지한 후, 다시 전술한 순서대로 교반축(130)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교반모터(120)에는 토크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되어, 교반모터(120)에 걸리는 부하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어, 상기 교반축(130)을 회전시킬 때, 토크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토크가 교반모터(120)의 최대 토크보다 클 경우에는 정,역방향으로 각 2~5회 회전시킨 후 정지하도록 하여, 교반모터(120)가 과부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는 상부몸체(2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상부몸체(200)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21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200)의 상부에는 힌지축(202)과 토션스프링(204)를 사용하여 도어(230)가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도어(230)는 도어하판(231)과 도어상판(239)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부몸체(200)의 일측 가장자리 상면에는 제1열림감지 마그네트(214)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하판(231)에는 상기 제1열림감지 마그네트(214)에 대응되는 제2열림감지 마그네트(236)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230)의 열림을 감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1열림감지 마그네트(214)와 제2열림감지 마그네트(236)의 접촉 및 비접촉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도어(230)의 열림을 감지하게 되므로, 도어(230)가 열리게 되면 교반모터(120)의 동작을 멈추게 하여, 사용자가 완전히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때 부상을 입는 등의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200)의 투입구(210)에는 사각판 형상의 악취배출 방지판넬(220)이 구비되는데, 상기 악취배출 방지판넬(220)의 가장자리에는 제2패킹(222)이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관통공(224)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도어(230)를 개방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때, 상기 악취배출 방지판넬(22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230)의 하부에는 밀폐돌부(232)가 돌출 형성되어, 도어(230)를 닫을 때, 상기 밀폐돌부(232)가 관통공(224)를 밀폐하게 되는데, 상기 밀폐돌부(232)의 가장자리에는 제1패킹(234)이 구비되어, 관통공(224)과의 밀폐력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는 전면커버(170)가 구비되고, 몸체의 후면에는 후면커버(160)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에는 측면프레임(154)의 외측에 측면커버(150)가 설치되게 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후면, 후면커버(160)의 내측에는 악취제거장치(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악취제거장치(300)는 내부에 UV램프(312)가 구비되는 1차챔버(310)와 내부에 알카리 촉매가 구비되는 2차챔버(320)와 내부에 촉매가 구비되는 3차챔버(330)로 이루어지고, 상기 3차챔버(330)의 단부에는 블로워(340)가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1차챔버(310)의 상단에는 "ㄱ"자 형상의 제1연결관(311)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몸체(200)에 형성된 투입구(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212)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1차챔버(310)의 하단에는 "U"자 형상의 제2연결관(321)이 구비되어 2차챔버(320)와 연결되며, 상기 2차챔버(320)의 상단에는 "U"자 형상의 제3연결관(331)이 구비되어 3차챔버(330)와 연결되고, 3차챔버(330)의 하단에는 "L"자 형상의 제4연결관(341)이 구비되어 상기 블로워(340)와 연결되고, 상기 블로워(340)는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제2배출구(142)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블로워(340)에 의해 수용부(102)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악취 및 해로운 물질을 악취 제거 장치(300)를 통하여 깨끗하게 정화한 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40)의 하면 모서리에는 각각 지지대(146)가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챔버(310)에는 제1고정밴드(318)가 구비되어, 몸체(100)의 후면에 부착설치되고, 제3연결관(331)에는 제2고정밴드(미도시)가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140)에 고정되어, 악취제거장치(3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1,2,3차챔버(310,320,330)의 양단부에는 각각 밀폐부(부호 미도시)가 형성되어 내부를 밀폐하게 되는데, 상기 1차챔버(310)의 내부에는 금속섬유(316)를 매쉬 형상으로 충전하고, 내부에는 램프커버(314)를 구비하여, 상기 램프커버(314)의 내부로 UV램프(312)를 삽입 설치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금속섬유(316)는 내부로 유입되는 악취 및 해로운 물질을 어느 정도 걸러주게 되고, 상기 UV램프(312)는 자외선을 방출하고, 특유의 파장에 의해 오존을 생성하게 되어, 오존에 의한 오존산화,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 반응 및 OH 라디칼 반응을 통하여 악취를 산화 분해하게 된다.
또한, UV램프(312)의 주위에 금속섬유(316)를 매쉬 형태로 충전시켜 UV램프(312)의 열을 잘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의 산란을 촉진시켜 내부의 악취를 보다 용이하게 분해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UV램프(312)는 일반적인 UV b 램프가 아니라,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UV c 램프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2차챔버(320)에서는 1차챔버(310)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산성가스를 내부에 구비되는 은나노, 산화구리 등이 첨가된 알카리촉매에 의해 촉매산화 및 중화 분해하게 되며, 상기 3차챔버(330)에서는 내부에 이산화 망간 등으로 구성된 촉매를 통하여 2차챔버(320)에서 미처 제거하지 못한, 잔여 악취와 잔여 오존을 처리하여 완벽하게 악취를 정화시켜, 외부로 신선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2차챔버(320) 내부에는 카트리지히터(322)가 구비되어, 알카리 촉매로 미처 제거하지 못한, 수증기를 증발시키고, 알카리촉매에 생성되는 촉매독을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2차챔버(320)에는 제2온도센서(324)가 구비되어,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며, 상기 카트리지히터(322)는 항상 작동하는 것이 아니고, 메인기판(180)에 구비된 제어부에서 설정한 데이터에 의해 3시간 ~ 6시간 주기로 가동되며, 한번 가동될 때에는 10분 ~ 15분 동안 100℃ ~ 600 ℃의 온도로 가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2차챔버(320)와 3차챔버(33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매쉬필터(326,332)가 구비되어, 내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걸러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배출구(212)에는 내부필터(216)가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유해물질을 일차적으로 걸러주게 되며, 상기 내부필터(216)는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수명이 다하게 되면, 용이하게 교체할 수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02)에는 습도센서(104)가 구비되어, 내부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는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습도(40~60%)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블로워(340)에 설치된 블로워모터(342)를 제어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즉, 수용부(102)의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블로워모터(342)의 회전속도를 높여, 내부의 수분을 빨리 배출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추게 되고, 내부의 습도가 낮을 경우에는 블로워모터(342)의 회전속도를 줄여주어 수분을 천천히 배출하도록 하여, 내부의 습도를 높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기판(180)에는 컨트롤기판(18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컨트롤기판(182)에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버튼(미도시), 내부의 습도가 높을 경우 제습운전을 하는 제습버튼(미도시), 악취가 많이 발생될 경우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버튼(미도시)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각 버튼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기판(182)이 설치되는 전면커버(170)에는 컨트롤부(172)가 형성되어, 상기 각 버튼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기판(182)에는 상태표시등(미도시)이 구비되어, 현재 어떠한 동작을 하고 있으며, 내부에 이상이 없는 지를 보여주며, 이상이 발생시에는 상태표시등이 깜박이면서, 내부에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음식물 쓰레기를 많이 투여하여, 내부의 습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70% 이상)에는 제어부의 판단 또는 사용자가 메인기판(180)에 연결된 컨트롤기판(182)의 제습버튼을 조작하여 제습운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드럼히터(110)를 제어하여 내부의 습도를 빨리 증발시킬 수 있도록 내부의 온도를 45 ~70℃로 유지하도록 하고, 블로워모터(342)의 회전속도를 최대로 하여 내부의 습기를 최대한 빨리 제거하게 하고, 교반모터(120)의 교반주기를 빠르게 하여 습기를 빠르게 배출할 수 있게 하여,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신속하게 만들어 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사용되는 호기성 미생물은 일반적인 미생물보다 활동하는 온도(45~65℃)가 높아, 일반적인 미생물이 살 수 없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 따른 악취 역시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기성 미생물을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때, 최적의 습도는 40%~60%인데, 상기 습도센서(104)에서 감지된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감지되는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투여된 것으로 판단하고, 습도가 40%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에는 음식물의 분해가 끝나 미생물의 활동량이 줄어드는 것이므로, 분해가 끝난 것으로 판단하여, 교반모터(120)의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1일 1회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전력의 낭비를 줄이며, 악취제거장치(300)는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하여,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또한, 사용중에 악취가 외부로 배출될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기판(182)에 구비된 탈취버튼을 작동시켜, 탈취운전을 시행하게 되면,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기존 3 ~ 6시간 간격으로 10 ~ 15분 동안 동작하던 카트리지히터(322)를 1시간 간격에 15분 동안 동작하도록 하고, 블로워(340)의 가동속도를 높여 보다 빠르게 악취를 제거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블로워모터(342)에는 회전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블로워(342)의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에서 블로워모터(342)의 회전속도를 상황에 따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블로워모터(342)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풍량과 풍속은 수용부(102)에 수용할 수 있는 용량에 따라 변화되므로, 이는 상기 메인기판(180)에 구비된 제어부에서 적절하게 설정하여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설치되어, 호기성 미생물을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몸체 102 : 수용부
104 : 습도센서 110 : 드럼히터
112 : 제1온도센서 114 : 단열부재
120 : 교반모터 130 : 교반축
140 : 베이스프레임 150 : 측면커버
160 : 후면커버 170 : 전면커버
180 : 메인기판 182 : 컨트롤기판
200 : 상부몸체 210 : 투입구
212 : 제1배출구 214 : 제1열림감지 마그네트
220 : 악취배출 방지판넬 230 : 내측 도어
236 : 제2열림감지 마그네트 240 : 외측 도어
300 : 악취제거장치 310 : 1차챔버
312 : UV램프 314 : 램프커버
316 : 금속섬유 320 : 2차챔버
322 : 카트리지히터 324 : 제2온도센서
326, 332 : 매쉬필터
330 : 3차챔버 340 : 블로워
342 : 블로워모터

Claims (7)

  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분해하는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악취 제거장치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광산화, 오존산화로 악취를 산화 분해하는 1차챔버와,
    상기 1차챔버의 후부에 연결되어 산성가스를 촉매산화 및 중화시키는 2차챔버와,
    상기 2차챔버의 후부에 연결되어 잔여 악취 및 오존을 처리하는 3차챔버와,
    상기 3차챔버의 후부에 연결되는 블로워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챔버는 중심부에 구비되는 UV c 램프와, UV c 램프를 보호하는 램프커버와, 상기 램프커버 외측에 매쉬 형태로 충전되는 금속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2차챔버는 은나노, 산화구리가 첨가되는 알카리 촉매와, 카트리지 히터와,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카트리지 히터는 2차챔버의 온도를 3시간 ~ 6시간 주기로 100℃ ~ 600℃로 10 ~ 15분 동안 가열하여, 내부의 수증기 및 촉매독을 제거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많아 별도로 탈취운전을 시행할 경우, 상기 카트리지 히터는 1시간에 15분씩 동작하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챔버는 내부에 이산화 망간을 포함하는 촉매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히터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구비된 제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가동시간 및 가동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20081191A 2012-07-25 2012-07-25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 KR101461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191A KR101461608B1 (ko) 2012-07-25 2012-07-25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191A KR101461608B1 (ko) 2012-07-25 2012-07-25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580A KR20140013580A (ko) 2014-02-05
KR101461608B1 true KR101461608B1 (ko) 2014-12-15

Family

ID=5026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191A KR101461608B1 (ko) 2012-07-25 2012-07-25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6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880B1 (ko) * 2017-08-28 2019-02-25 마이크로맥스 영농조합법인 미생물의 서식환경 전환을 통한 악취발생시설의 악취저감방법과 이를 이용한 악취저감장치
WO2020225767A1 (en) * 2019-05-07 2020-11-12 Food Cycle Science Corporation A system and method for infusion and desiccation of foodstuffs
KR102484783B1 (ko) 2022-07-07 2023-01-06 이남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장치
US11680025B2 (en) 2021-09-01 2023-06-20 Chewie Labs Llc Organic matter processing apparatus for promoting net reduction of methane and other greenhouse gas emissions
KR20230105794A (ko) * 2022-01-05 2023-07-12 (주) 지엘플러스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측면 장착형 보조 탈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103Y1 (ko) * 2016-08-05 2016-12-14 신윤익 동일축상에서 정회전, 역회전이 동시에 실행되는 분쇄날과 uv모듈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963178B1 (ko) 2017-11-30 2019-03-28 주식회사 지엘인터내셔날 대용량 음식폐기물 처리용 악취 제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대용량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101855489B1 (ko) * 2017-11-30 2018-05-08 주식회사 다토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456867B1 (ko) * 2020-06-17 2022-10-24 (주) 지엘플러스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2639097B1 (ko) * 2023-09-08 2024-02-23 (주) 지엘플러스 Ptc 히터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877Y1 (ko) * 2005-05-18 2005-08-09 김춘재 환경친화적인 탈취시스템
KR100775907B1 (ko) * 2006-11-23 2007-11-15 원제군 음식물 쓰레기용 탈취장치
KR200442651Y1 (ko) * 2008-05-10 2008-12-03 송경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유기산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877Y1 (ko) * 2005-05-18 2005-08-09 김춘재 환경친화적인 탈취시스템
KR100775907B1 (ko) * 2006-11-23 2007-11-15 원제군 음식물 쓰레기용 탈취장치
KR200442651Y1 (ko) * 2008-05-10 2008-12-03 송경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유기산 탈취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880B1 (ko) * 2017-08-28 2019-02-25 마이크로맥스 영농조합법인 미생물의 서식환경 전환을 통한 악취발생시설의 악취저감방법과 이를 이용한 악취저감장치
US11389804B2 (en) 2019-05-07 2022-07-19 Food Cycle Scien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olumetric efficiency in a food recycling unit
GB2599291B (en) * 2019-05-07 2024-02-21 Food Cycle Science Corp A system and method for infusion and desiccation of foodstuffs
US11241694B2 (en) 2019-05-07 2022-02-08 Food Cycle Scien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fusion and desiccation of foodstuffs
US11278908B2 (en) 2019-05-07 2022-03-22 Food Cycle Scien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fusion and desiccation of foodstuffs
GB2599291A (en) * 2019-05-07 2022-03-30 Food Cycle Science Corp A system and method for infusion and desiccation of foodstuffs
WO2020225767A1 (en) * 2019-05-07 2020-11-12 Food Cycle Science Corporation A system and method for infusion and desiccation of foodstuffs
US11541397B2 (en) 2019-05-07 2023-01-03 Food Cycle Scien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food recycler
US11969735B2 (en) 2019-05-07 2024-04-30 Food Cycle Scien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olumetric efficiency in a food recycling unit
US11944977B2 (en) 2019-05-07 2024-04-02 Food Cycle Scien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food recycler
US10906046B2 (en) 2019-05-07 2021-02-02 Food Cycle Scien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fusion and desiccation of foodstuffs
US11680025B2 (en) 2021-09-01 2023-06-20 Chewie Labs Llc Organic matter processing apparatus for promoting net reduction of methane and other greenhouse gas emissions
KR102636123B1 (ko) 2022-01-05 2024-02-14 (주) 지엘플러스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측면 장착형 보조 탈취장치
KR20230105794A (ko) * 2022-01-05 2023-07-12 (주) 지엘플러스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측면 장착형 보조 탈취장치
KR102484783B1 (ko) 2022-07-07 2023-01-06 이남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580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60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제거장치
KR1013914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4202B1 (ko) 드럼형 고효율 자외선 음식물쓰레기 살균 및 감량 장치
KR100891968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067557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0332232U (zh) 家用厨余处理设备的废气处理系统及家用厨余处理设备
KR10086100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의 처리방법
KR20200002508A (ko)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 제거 장치
KR10245686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20180015909A (ko) 음식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JP2008183326A (ja) 脱臭装置
KR2021015636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정화공기 배출장치
KR20070002404A (ko) 음식물쓰레기 소멸기
KR102537371B1 (ko) 열 효율성을 향상시킨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0643671B1 (ko) 신발내 정화방법 및 장치 및 혼합촉매 및 그것을 사용한허니콤
JPH11244830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CN213316775U (zh) 一种带除臭功能的厨余垃圾处理机
CN211141843U (zh) 一种厨余垃圾自动处理机
KR10248478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장치
CN210980181U (zh) 一种用于厕所净化的杀菌消毒装置
KR10263612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측면 장착형 보조 탈취장치
KR100789811B1 (ko) 냉장고용 탈취장치
KR100609922B1 (ko) 냉장고용 탈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7325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JP4610456B2 (ja) 有機物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