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169A -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169A
KR20100021169A KR1020080079931A KR20080079931A KR20100021169A KR 20100021169 A KR20100021169 A KR 20100021169A KR 1020080079931 A KR1020080079931 A KR 1020080079931A KR 20080079931 A KR20080079931 A KR 20080079931A KR 20100021169 A KR20100021169 A KR 20100021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odor
mixing chamber
pipe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102008007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1169A/ko
Publication of KR20100021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6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18Employing electrical discharges or the generation of a plasm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상부 일측에 연결배관된 제1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과 연결 설치되고, 플라즈마 처리된 공기를 일시 체류시켜 혼합되게 안내하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와 이격설치되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오존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오존제거기와; 상기 혼합챔버와 상기 오존제거기를 서로 연통시키도록 연결배관된 제2연결관과; 일단은 상기 오존제거기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음식물 처리기의 상단면과 연결되며, 길이 일부에는 순환팬이 설치된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과 혼합챔버을 연결하며,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플라즈마 발생기가 설치된 인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 용이하면서 고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대기오염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79931
음식물 쓰레기, 플라즈마, 악취, 오존, 습식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STINK REMOVING UNITS FOR TREAT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 용이하면서 고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대기오염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을 비롯한 음식점 등 각종 산업분야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들은 장기간 방치되게 되면 썩으면서 악취와 동시에 오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들은 보통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전용 차량을 이용하여 수거된 후 매립 혹은 소각되는 형태로 처리되고 있지만 음식물 쓰레기 수거에 따른 인건비, 차량유지비, 이동중 오염수 배출, 악취 배출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또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때에도 매립 방식의 경우에는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고, 소각시에는 비용이 급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단지 아파트 등과 같은 고밀도 주거지역이나 상가 밀집지역에서는 하루에도 엄청난 양의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고 있으며, 이를 수거하여 처리(소각,매립 등)하는 것도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크류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처리하거나, 혹은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시켜 처리하거나 또는 발효제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제안 기술로는 이를 테면, 국내 등록실용 제366488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국내 공개특허 제2005-12883호 "음식물쓰레기 자동 건조장치", 국내 공개특허 제2006-73051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팬 동작상태에 의한 히터 제어방법 및 장치"를 포함한 다수의 기술들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예시 기술들을 사용하더라도 악취는 그대로 대기로 방출됨으로써 대기오염의 문제가 남아 있고; 완전 건조방식의 경우에는 비용이 과대하게 소요되므로 경제적 타당성의 문제가 남아 있음은 물론 악취 제거는 또 다른 차원의 문제로서 건조만을 통해 악취가 제거될 수는 없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일환으로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제, 은나노 등을 이용한 촉매제 등을 활용하여 탈취를 행하고 있기는 하지만 효율이 낮고, 사용기간이 짧아 잦은 교체에 따른 불편과 관리상의 어려움은 물론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상승이 또다른 문제점으로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과 한계점들을 고려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대기압 플라즈마 발생시 생기는 오존과 음이온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이들 오존중 인체에 유해한 오존은 물을 이용한 습식으로 제거함으로써 간편 용이하면서도 고효율적이고 사용기간이 길어 관리 유지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며, 처리비용이 저렴하여 생활환경 개선 및 대기오염 방지 효과도 일거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상부 일측에 연결배관된 제1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과 연결 설치되고, 플라즈마 처리된 공기를 일시 체류시켜 혼합되게 안내하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와 이격설치되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오존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오존제거기와; 상기 혼합챔버와 상기 오존제거기를 서로 연통시키도록 연결배관된 제2연결관과; 일단은 상기 오존제거기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음식물 처리기의 상단면과 연결되며, 길이 일부에는 순환팬이 설치된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과 혼합챔버을 연결하며,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플라즈마 발생기가 설치된 인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음식물 처리기의 내부 천정면에는 상기 제1연결관의 입구보다 낮게 경사배치된 공기유도판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관의 내부에는 공기흡입팬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는 16-20kV의 전압과, 18-22k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혼합챔버의 내부 천정면에는 상기 제1연결관이 연결된 지점 반대쪽으로 경사지게 와류유도판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와류유도판은 상기 천정면에 대해 30-60°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류유도판은 제1연결관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혼합챔버의 내부에는 180-400nm의 살균선을 방사하는 자외선램프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혼합챔버의 내벽면에는 상기 자외선램프로부터 방사된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반응을 일으키는 광촉매가 더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관은 상기 제1연결관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연결관의 직경은 상기 제1연결관의 직경 대비 1/2~2/3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존제거기의 내부에는 다수의 격판이 상하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격판은 일정한 방향으로 경사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존제거기의 하단 일측과 상단면에는 회수관이 연결배관되고, 상기 회수관의 길이 일부에는 펌프가 설치되며, 상기 회수관의 상단에는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오존제거기에 저수된 물을 재활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저렴한 비용으로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며, 고효율적인 악취 제거가 가능하고, 그에 따라 생활환경 개선은 물론 대기오염 방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의 전체 설비를 보인 예시적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혼합챔버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는 종래 개시된 여러 형태의 음식물 처리기(100)에 부설되어 이 음식물 처리기(100)를 통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간단하고 저렴하면서도 고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1에 예시된 음식물 처리기(100)는 히터(110)를 이용한 건조방식을 보인 것으로, 상기 음식물 처리기(100)의 상단 일측에 제1연결관(200)이 배관된다.
상기 제1연결관(200)의 관로 상에는 공기흡입팬(210)이 설치되는데, 이는 음식물 처리기(100)에서 발생된 악취를 정화시키기 위한 장소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관(200)의 타단에는 혼합챔버(300)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혼합챔버(300)는 내부가 빈 대략 사각 형상의 부재로서, 플라즈마 발생기(200) 내부에서 1차적으로 처리된 악취가 플라즈마 발생시 생긴 오존 및 음이온과 함께 유입되기 때문에 혼합챔버(300) 내부에서 충분히 교반시켜 혼합되게 함으로써 오존에 의한 완벽한 탈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더블어 음이온에 의한 순화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악취를 완전히 분해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연결관(200)의 상기 혼합챔버(300)의 상단 일측에 연결배관되고, 상기 제1연결관(200)이 배관되어 연통된 인접측 전방 위치의 혼합챔버(300) 내부에는 와류유도판(31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와류유도판(310)은 그 일단이 상기 혼합챔버(300)의 천정면에 고정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배열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다.
특히, 상기 와류유도판(310)는 상기 혼합챔버(300)의 천정면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30-60°의 각도를 갖고 경사 배치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30°이하를 유지하게 되면 와류 발생효과가 없고, 60°를 넘어서게 되면 유입(토출)되는 공기와의 간섭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와류유도판(310)은 적어도 상기 제1연결관(20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그 길이가 제1연결관(200)의 직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게 되면 와류를 충분히 발생시키기 못하기 때문이다.
덧붙여,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챔버(300)의 내부 적소에는 자외선램프(320)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자외선램프(320)는 180-400nm의 파장대역을 갖는 자외선을 발하는 램프가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파장대역의 살균선이 대장균, 박테리아 등의 DNA를 손상시켜 악취 중에 혹여 포함되어 있을지도 모를 세균들을 완벽하게 살균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더 안전한 공기 정화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자외선램프(320)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에 반응하는 광촉매를 상기 혼합챔버(300)의 내벽면 전체 혹은 일부에 도포해 둠으로써 자외선램프(320) 발광시 광산화반응에 의한 광촉매작용을 일으켜 살균, 멸균 혹은 공기정화 기능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함이 또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혼합챔버(300)의 상단과 후술되는 순환관(500) 사이에는 인출관(510)이 연결되어 서로 연통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관(510)의 내부에는 플라즈마 발생기(220)가 설치된다.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220)는 대기압 플라즈마 발생기로서, 대략 원통형상으 로 형성되고, 유전체(미도시)를 사이에 두고 반경방향으로 각각 내부전극(미도시)과 외부전극(미도시)이 구비되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방전을 일으켜 그 내부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220)를 통해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조건은, 전압 16-20kV, 주파수 18-22kHz의 구형파가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18kV, 20kHz이다.
여기에서,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220)의 전압과 주파수 조건을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이유는 처리대상과 처리용량에 맞춘 것으로 전압이 16kV 이하가 되면 고전계 코로나 방전을 유도하기 어렵고, 20kV를 넘게 되면 균일한 코로나 방전을 유도하기 어렵기 때문이며, 주파수 대역폭의 경우에도 균일한 코로나 방전과 원활한 구형파 유도를 위해 상기 범위가 가장 적당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220)의 위치를 제1연결관(200)의 관로상에 설치하지 아니하고 상기와 같은 위치로 특정하는 이유는 제1연결관(200)에 설치할 경우 히터(110)의 열이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가열된 공기를 플라즈마 분해시킬 경우 오존 발생량이 줄어들므로 이를 피하여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혼합챔버(300)와 간격을 두고 오존제거기(4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오존제거기(400)는 제2연결관(230)을 통해 상기 혼합챔버(300)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연결관(230)은 피처리물이 기체임을 감안하여 혼합챔버(300)와 오존제거기(400)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통되게 배관됨이 바람직하며, 피 처리물이 이동되는 통로를 구성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제2연결관(230)은 상기 제1연결관(200)의 직경보다 작게,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연결관(200) 직경의 1/2~2/3의 범위내 직경을 갖도록 함이 좋은데, 이는 상기 제2연결관(230)의 직경을 제1연결관(200) 보다 작게 함으로써 혼합챔버(3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많게 하고, 제2연결관(23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적게 하여 악취를 포함한 공기가 상기 혼합챔버(300)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범위로 한정하는 이유또한 같은 맥락으로서 1/2보다 작게 되면 부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혼합챔버(300)내 압력이 급증하고, 2/3보다 크게 되면 혼합챔버(300)내 체류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오존제거기(400)는 플라즈마 발생시 생성된 오존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기체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설비로, 대략 내부가 빈 원통형 혹은 사각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상기 오존제거기(400)에 통과시키는 이유는 오존과 같은 유해한 기체가 대기중으로 리크(Leak)되었을 때 인체의 호흡기관에 장애를 일으키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오존(Ozone)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3개의 산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온 대기압에서는 푸른빛을 띄는 기체이고, 영하 112℃ 이하에서는 검푸른 액체이며, 영하 193℃ 이하로 내려가면 고체가 되는데, 기체상태에서는 매우 불안정하여 이원자의 산소로 분해되려는 경향이 매우 강하며, 이때 강력한 산화력을 갖게 되는 바, 이러한 분해 경향은 온도가 올라갈수록 그리고 압력이 낮을수록 강하다.
그리고, 상기 오존제거기(400)의 내부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다수 적층되는 격판(410)이 설치된다.
상기 격판(410)은 시트형 부재로서,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다수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격판(410)은 필요한 경우 효율증대를 위해 일정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존제거기(400)의 상하 길이 중간 부분에는 순환관(500)의 일단이 연결되는데, 상기 순환관(500)의 타단은 음식물 처리기(100)의 상단과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순환관(500)의 길이 일부에는 순환팬(120)이 설치되어 악취가 제거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다시 음식물 처리기(100)로 회수시켜 음식물 처리기(100)에서 발생된 악취와 혼합된 다음 반복적으로 재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악취의 외부 유출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환경 구축에 일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순환팬(120)이 순환관(500)의 길이 중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 설명하였으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또한 도시와 같이 1개로 한정되지도 않고 다수개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음식물 처리기(100)의 내부 일측에는 악취가 오버플로우되는 형태로 배출처리될 수 있도록 공기유도판(13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도판(130)은 상기 음식물 처리기(100)의 내부 천정면에 고정된 채 약간의 경사를 가지고 하향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제1연결관(200)과 가까운 쪽에 설치되되 제1연결관(200)의 공기 입구(흡입구) 보다 더 낮게 하향연장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순환팬(120)과 공기흡입팬(210)의 작용에 의해 음식물 처리기(100) 내부의 공기는 당연히 제1연결관(200) 쪽으로 흘러가기 때문에 악취가 공기중에 편중되지 않고 가능하면 골고루 혼합되면서 분산되도록 하여 추후 플라즈마 처리시 그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음식물 처리기(100)는 공지된 모든 형태의 음식물 처리기가 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측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 처리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오존제거기(400)에는 물이 채워진다.
상기 오존제거기(400)에 채워지는 물은 회수관(420)을 통해 반복 순환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물은 상기 오존제거기(400)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격판(410)중 최하단의 것과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채워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수관(420)의 일단은 상기 오존제거기(400)의 일측 최하단에 연통되게 연결배관되고, 타단은 상기 오존제거기(400)의 상단에 연결 배관된다.
아울러, 상기 회수관(420)의 길이 일부에는 펌프(430)가 설치되며, 특히 상 기 오존제거기(400)의 상단에 연결배관된 회수관(420)의 단부에는 분사노즐(440)이 설치되어 상기 펌프(430)에 의해 펌핑된 물이 상기 분사노즐(440)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넓게 분산되는 방식으로 분사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분사되는 물이 격판(410)의 전영역에 걸쳐 스프레이될 수 있도록 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먼저,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음식물 처리기(100)로 장입되어 히터(110)와 같은 발열수단에 의해 건조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되게 되면, 발생된 악취는 공기흡입팬(210)의 흡입압에 의해 제1연결관(20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악취를 포함한 공기는 공기유도판(130)에 의해 차단되게 되므로 곧바로 제1연결관(200) 쪽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공기유도판(130)의 길이방향으로 이를 따라 일정길이 하향이동된 후 공기유도판(130)을 오버플로우 한 다음 제1연결관(200)으로 흡입되게 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악취를 포함한 공기는 충분히 더 혼합되게 되고, 이는 나중에 설명되는 플라즈마 처리시 그 처리효율(악취 제거효율)을 더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이렇게 하여, 제1연결관(200)으로 유입된 악취를 포함한 공기는 상기 제1연결관(200)을 통해 혼합챔버(300)로 흘러가게 된다.
동시에, 상기 인출관(510)에 설치된 플라즈마 발생기(220)에서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내부전극와 외부전극 사이에 전계가 형성 되고, 어느 순간 방전이 일어나면서 대기압 상태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플라즈마 방전은 내부 공기를 이온상태, 라디칼 상태로 분해하게 되고, 또한 다량의 오존과 음이온을 발생시키게 되며, 다량의 오존을 포함한 이들은 혼합챔버(300)로 악취와 함께 흘러들어 가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악취 성분중 라디칼에 의해 분해 제거되는 성분도 생기게 되고, 오존의 산화력에 의해 분해 제거되는 성분도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악취를 포함한 공기는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220)를 통해 발생된 오존, 라디칼 등에 의해 혼합챔버(300)내에서 서로 혼합되면서 정화되게 된다.
이 경우, 혼합챔버(300)로 유입되는 악취를 포함한 공기 및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이온, 오존, 라디칼 등은 혼합챔버(300)로 유입되는 순간 그 전방에 설치된 와류유도판(310)과의 접촉에 의해 속도차를 발생시키게 되며, 그 결과 혼합챔버(300) 내부에서는 심한 와류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결국, 상기 혼합챔버(300)에서 일어나는 와류현상은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골고루 섞어 줌으로써 분해 제거되지 못했던 악취 성분들이 공존하는 오존이나 이온 및 라디칼과의 반응을 촉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악취 성분들 대부분이 상기 혼합챔버(300) 내부에서 완전히 분해 제거되게 된다.
이후, 악취성분이 완전히 분해 제거된 공기는 남아 있는 오존, 이온, 라디칼 등과 함께 제2연결관(230)을 통해 오존제거기(400)로 유입되게 된다.
이어, 유입된 공기를 향해 오존제거기(400)의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440) 로부터 물이 스프레이되면서 공기중에 잔류된 오존을 포집하게 된다.
이렇게 포집된 오존은 다수의 격판(410)을 타고 흘러내려 오존제거기(400)의 하부로 집수되게 되고, 집수된 물은 다시 회수관(420)을 타고 펌핑되어 오존제거에 재활용되게 된다.
따라서, 악취가 제거된 공기중에는 오존이 거의 남아 있지 않게 되고, 정화된 공기는 오존제거기(400)의 중단에 연결된 순환관(500)을 타고 음식물 처리기(100)의 상부로 이동되어 다시 악취와 혼합된 후 동일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중 혼합챔버(300) 내부에서는 자외선램프(320)를 이용한 살균, 광촉매를 이용한 광촉매반응을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살균 기능까지 담당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히터(330)를 통한 가열작용에 의해 오존의 활성을 더욱 극대화시킴으로써 악취 제거효율을 더욱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의 전체 설비를 보인 예시적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혼합챔버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음식물 처리기 120....순환팬
130....공기유도판 200....제1연결관
210....공기흡입팬 220....플라즈마 발생기
230....제2연결관 300....혼합챔버
310....와류유도판 320....자외선램프
330....히터 400....오존제거기
410....격판 420....회수관
430....펌프 440....분사노즐
500....순환관

Claims (14)

  1.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처리기(100)의 상부 일측에 연결배관된 제1연결관(200)과;
    상기 제1연결관(200)과 연결 설치되고, 유입된 공기를 일시 체류시켜 혼합되게 안내하는 혼합챔버(300)와;
    상기 혼합챔버(300)와 이격설치되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물을 분사하여 오존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오존제거기(400)와;
    상기 혼합챔버(300)와 상기 오존제거기(400)를 서로 연통시키도록 연결배관된 제2연결관(230)과;
    일단은 상기 오존제거기(400)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음식물 처리기(100)의 상단면과 연결되며, 길이 일부에는 순환팬(120)이 설치된 순환관(500)과;
    상기 순환관(500)과 혼합챔버(300)의 선단을 연결하며, 내부에 원통형상의 플라즈마 발생기(220)가 설치된 인출관(5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처리기(100)의 내부 천정면에는 상기 제1연결관(200)의 입구보다 낮게 경사배치된 공기유도판(13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 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100)의 내부에는 공기흡입팬(21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220)는 16-20kV의 전압과, 18-22k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챔버(300)의 내부 천정면에는 상기 제1연결관(200)이 연결된 지점 반대쪽으로 경사지게 와류유도판(31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와류유도판(310)은 상기 천정면에 대해 30-60°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와류유도판(310)은 제1연결관(20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챔버(300)의 내부에는 180-400nm의 살균선을 방사하는 자외선램프(32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혼합챔버(300)의 내벽면에는 상기 자외선램프(320)로부터 방사된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반응을 일으키는 광촉매가 더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230)은 상기 제1연결관(200)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230)의 직경은 상기 제1연결관(200)의 직경 대비 1/2~2/3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존제거기(400)의 내부에는 다수의 격판(410)이 상하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격판(410)은 일정한 방향으로 경사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존제거기(400)의 하단 일측과 상단면에는 회수관(420)이 연결배관되고, 상기 회수관(420)의 길이 일부에는 펌프(430)가 설치되며, 상기 회수관(420)의 상단에는 분사노즐(4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KR1020080079931A 2008-08-14 2008-08-14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KR20100021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931A KR20100021169A (ko) 2008-08-14 2008-08-14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931A KR20100021169A (ko) 2008-08-14 2008-08-14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169A true KR20100021169A (ko) 2010-02-24

Family

ID=4209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931A KR20100021169A (ko) 2008-08-14 2008-08-14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1169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614B1 (ko) * 2012-08-10 2013-02-27 주식회사 이피텍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악취제거장치
KR101315933B1 (ko) * 2012-01-18 2013-10-18 엠엔테크(주) 쓰레기 자동 집하설비용 악취 제거장치
CN107648992A (zh) * 2017-10-19 2018-02-02 成都工业学院 一种景观式臭氧清除器
KR101993636B1 (ko) * 2018-04-30 2019-06-27 이충규 공기 정화 및 탈취장치
KR20200003473A (ko) *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페스텐 플라즈마 발생기의 오존 및 슬러지 처리 시스템
KR102173889B1 (ko) * 2020-05-11 2020-11-04 (주)태림이엔티 자외선 배오존설비를 활용한 간접 플라즈마방식의 악취저감장치
KR20210044511A (ko) * 2019-10-15 2021-04-23 (주) 휴엔 음식물 쓰레기 제습 및 탈취장치
KR20220160191A (ko)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조은환경 플라즈마 탈취기
KR20220161814A (ko) * 2021-05-31 2022-12-07 고두수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에너지 절감형 악취저감시스템
WO2024063256A1 (ko) * 2022-09-20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933B1 (ko) * 2012-01-18 2013-10-18 엠엔테크(주) 쓰레기 자동 집하설비용 악취 제거장치
KR101236614B1 (ko) * 2012-08-10 2013-02-27 주식회사 이피텍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악취제거장치
CN107648992A (zh) * 2017-10-19 2018-02-02 成都工业学院 一种景观式臭氧清除器
CN107648992B (zh) * 2017-10-19 2023-11-17 成都工业学院 一种景观式臭氧清除器
KR101993636B1 (ko) * 2018-04-30 2019-06-27 이충규 공기 정화 및 탈취장치
KR20200003473A (ko) *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페스텐 플라즈마 발생기의 오존 및 슬러지 처리 시스템
KR20210044511A (ko) * 2019-10-15 2021-04-23 (주) 휴엔 음식물 쓰레기 제습 및 탈취장치
KR102173889B1 (ko) * 2020-05-11 2020-11-04 (주)태림이엔티 자외선 배오존설비를 활용한 간접 플라즈마방식의 악취저감장치
KR20220160191A (ko)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조은환경 플라즈마 탈취기
KR20220161814A (ko) * 2021-05-31 2022-12-07 고두수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에너지 절감형 악취저감시스템
WO2024063256A1 (ko) * 2022-09-20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116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KR200468971Y1 (ko) 복합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20190067633A (ko) 플라즈마와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살균탈취장치
KR101785093B1 (ko) 살균 장치
US20140328720A1 (en) Purification device and purification method
CN206474012U (zh) 一种微波催化uv光解废气净化设备
KR20120138500A (ko) 매립형 플라즈마 공기청정기
CN103623452A (zh) 一种空气循环净化装置及方法
KR101793497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KR101303832B1 (ko) 스컴 제거를 위한 고전압 방전 시스템
KR20090012594A (ko) 고농도 이온 에어커튼을 활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의악취제거 장치
KR20210078379A (ko)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CN109827215A (zh) 一种全自动烟气处理装置
CN207413002U (zh) 等离子光解活性炭废气净化一体机
CN205627559U (zh) 一种集成管式气体净化系统
JP2005205094A (ja) 空気浄化システム
CN106000098A (zh) 智能自体再生VOCs气体处理系统
KR20130035435A (ko) 악취제거장치
KR101968679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CN210085171U (zh) 一种微波紫外污水处理装置
CN209706170U (zh) 全自动烟气处理装置
RU2728711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рециркулято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от вредоносных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CN206198933U (zh) 离子除臭成套设备
KR101759617B1 (ko) Uv-led모듈을 이용한 오존발생장치
CN216716458U (zh) 一种负压新风离子除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