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572A -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572A
KR20230093572A KR1020210182318A KR20210182318A KR20230093572A KR 20230093572 A KR20230093572 A KR 20230093572A KR 1020210182318 A KR1020210182318 A KR 1020210182318A KR 20210182318 A KR20210182318 A KR 20210182318A KR 20230093572 A KR20230093572 A KR 20230093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re
bobbin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곤
장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코블라인드
장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코블라인드, 장창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코블라인드
Priority to KR102021018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3572A/ko
Publication of KR2023009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2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광부재; 상기 차광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 상기 차광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을 구조물에 현수 지지하는 제1와이어;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구조물에 현수 지지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며, 상기 제1프레임을 상기 구조물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제1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구조물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라인드{BLIND}
본 발명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쉐이드 또는 블라인드는, 창밖에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거나 내부의 모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창문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크게 베네치안 블라인드, 롤러 쉐이드 및 허니콤 블라인드로 구분된다.
허니콤 블라인드는 설치장소에 고정되는 블라인드 하우징과 상기 블라인드 하우징에 상단이 구속되며 허니콤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허니콤 블라인드막, 상기 블라인드막의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바 및 상기 블라인드 하우징에 구비된 권취장치에 의하여 권취 및 권해되어 블라인드막을 승강시키는 견인줄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허니콤 쉐이드는 허니콤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단위 허니콤 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좌우로 신축하는 형태의 블라인드를 의미한다.
이러한 허니콤 쉐이드의 경우 전동식으로 작동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허니콤 블라인드막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8023호(2018.07.0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광부재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블라인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광부재의 상하 위치 조절시, 차광부재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블라인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차광부재; 상기 차광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 상기 차광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을 구조물에 현수 지지하는 제1와이어;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구조물에 현수 지지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며, 상기 제1프레임을 상기 구조물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제1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구조물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권취부는, 상기 제1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제1보빈; 및 상기 제1보빈을 정역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보빈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1보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제1보빈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권취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는 제3보빈; 상기 제3보빈을 정역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프레임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을 상기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나사 결합하는 제1스크류 축; 및 상기 제1하우징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스크류축과 나사 결합하며, 자전시, 상기 제1스크류 축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보빈에 상기 제1와이어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태엽 스프링, 또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며,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제2권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권취부는, 상기 제2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제2보빈; 및 상기 제2보빈을 정역회전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와이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2보빈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2보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제2보빈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권취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는 제4보빈; 상기 제4보빈을 정역회전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제2프레임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을 상기 제2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제2하우징과 나사 결합하는 제2스크류 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스크류축과 나사 결합하며, 상기 제2스크류 축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보빈에 상기 제2와이어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태엽 스프링, 또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 보다 더 큰 자중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차광부재; 상기 차광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 상기 차광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구조물에 현수 지지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상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에 저항을 부여하여 상기 구조물과 상기 제1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와이어 저항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저항부는, 상기 와이어가 교호적으로 관통하는 한 쌍 이상의 와이어 관통공, 또는 상기 와이어가 마찰 이동하는 한 쌍 이상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며, 상기 제1프레임을 상기 구조물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단일 권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일 권취부는, 상기 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빈에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태엽 스프링, 또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상기 와이어는 상기 보빈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보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보빈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 보다 더 큰 자중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차광부재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차광부재의 상하 위치 조절시, 차광부재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의 제1프레임의 하강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의 제2프레임의 하강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제1보빈, 제2보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의 제1프레임의 하강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의 제1프레임의 하강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제2하우징), 제3보빈(제4보빈), 제1이송부(제2이송부) 및 제1너트부(제2너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제2하우징), 제3보빈(제4보빈), 제1이송부(제2이송부) 및 제1너트부(제2너트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제2하우징), 제3보빈(제4보빈), 제1이송부(제2이송부) 및 제1너트부(제2너트부)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단일 하우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의 제1프레임(20)의 하강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의 제2프레임(30)의 하강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제1보빈, 제2보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차광부재(10), 제1프레임(20), 제2프레임(30), 제1와이어(50), 제2와이어(60) 및 제1권취부(70)를 포함한다.
차광부재(10)는 유리창을 통해 입사하는 직사광을 막고, 불필요한 외부 시선을 차단하며, 광량을 조절하여 실내 분위기를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차광부재(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단일 스크린이 구비된 롤(Roll)형과 로만쉐이드(Roman shade)형, 복수의 스크린이 구비된 콤비(Combi)형, 복수의 차광 날개가 구비된 버티컬(Vertical)형 또는 복수의 차광 날개가 일렬로 배열된 트리플(Triple)형이 사용될 수 있다.
제1프레임(20)은 구조물(1)과 제2프레임(30) 사이에 배치되며, 차광부재(1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1프레임(20)은 구조물(1)의 하측에 배치되며, 차광부재(1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1)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창틀 또는 벽체일 수 있다.
제2프레임(30)은 차광부재(1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2프레임(30)은 차광부재(1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프레임(20)과 제2프레임(30)은 전체적으로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20)의 양단부와 제2프레임(30)의 양단부는 각각 엔드캡(40)이 둘러쌀 수 있다. 이러한, 엔드캡(40)은 제1프레임(20)의 양단부와 제2프레임(30)의 양단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엔드캡(40)은 소프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들면, 소프트 재질은 고무 또는 실리콘 일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프레임(20)은 제1와이어(50)를 통해 구조물(1)에 현수 지지될 수 있고, 제2프레임(30)은 제2와이어(60)를 통해 구조물(1)에 현수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2프레임(30)은 제1프레임(20)보다 더 큰 자중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차광부재(10)는 제2프레임(30)의 자중에 의해 전개될 수 있다.
제1와이어(50)는 제1프레임(20)을 구조물(1)에 현수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50)의 상단부는 구조물(1)에 결합되고, 제1와이어(50)의 하단부는 후술할 제1보빈(72)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와이어(50)가 제1보빈(72)에 권취되면, 제1프레임(20)은 상승되고 차광부재(10)는 상승 또는 전개된다. 또한, 제1와이어(50)가 제1보빈(72)에 권취해제되면, 제1프레임(20)은 하강되고 차광부재(10)는 하강 또는 접힌다. 즉, 제1보빈(72)에서의 제1와이어(50)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에 의해 제1프레임(20)과 차광부재(10)의 상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제2와이어(60)는 제2프레임(30)을 구조물(1)에 현수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60)의 상단부는 구조물(1)에 결합되고, 제2와이어(60)의 중앙부는 제1프레임(20)과 차광부재(10)를 관통하며, 제2와이어(60)의 하단부는 후술할 제2보빈(82)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와이어(60)가 제2보빈(82)에 권취되면, 제2프레임(30)은 상승되고 차광부재(10)는 접힌다. 또한, 제2와이어(60)가 제2보빈(82)에 권취해제되면, 제2프레임(30)은 하강되고 차광부재(10)는 전개된다. 즉, 제2보빈(82)에서의 제2와이어(60)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에 의해, 차광부재(10)가 접히거나 전개될 수 있다.
제1권취부(70)는 제1와이어(50)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며, 제1프레임(20)을 구조물(1)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권취부(70)는 제1보빈(72) 및 제1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빈(72)은 제1와이어(50)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된다. 예를들면, 제1보빈(72)은 스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부는 제1보빈(72)을 정역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구동부는 제1보빈(72)에 제1와이어(50)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태엽스프링(130) 또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구동부가 태엽스프링(130)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1보빈(72)과 제1구동부는 제1케이스(74)에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제1와이어(5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제1와이어(50)는 제1보빈(72)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제1보빈(72)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제1보빈(72)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1와이어(50)는 구조물(1)의 수평방향 양측과 제1프레임(20)의 수평방향 양측을 각각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1와이어(50)가 제1보빈(72)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됨에 따라, 제1보빈(72)의 정역회전시, 한 쌍의 제1와이어(50)가 제1보빈(72)에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길이가 상호 동일하므로, 제1프레임(20)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한편, 제1보빈(72)은 중앙에 마련된 제1격벽에 의해 한 쌍의 제1권취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와이어(50)는 각각 한 쌍의 제1권취영역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제2권취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권취부(80)는 제2보빈(82) 및 제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보빈(82)은 제2와이어(60)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된다. 예를들면, 제2보빈(82)은 스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부는 제2보빈(82)을 정역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구동부는 제2보빈(82)에 제2와이어(60)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태엽스프링(130) 또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구동부가 태엽스프링(130)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2보빈(82)과 제2구동부는 제2케이스(84)에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제2와이어(6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제2와이어(60)는 제2보빈(82)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제2보빈(82)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제2보빈(82)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2와이어(60)는 구조물(1)의 수평방향 양측과 제2프레임(30)의 수평방향 양측을 각각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2와이어(60)가 제2보빈(82)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됨에 따라, 제2보빈(82)의 정역회전시, 한 쌍의 제2와이어(60)가 제2보빈(82)에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길이가 상호 동일하므로, 제2프레임(30)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한편, 제2보빈(82)은 중앙에 마련된 제2격벽에 의해 한 쌍의 제2권취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와이어(60)는 각각 한 쌍의 제2권취영역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의 작동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에 제1와이어(50)와 제2와이어(60)를 통해 제1프레임(20)과 제2프레임(30)을 현수 지지시킨다.
다음으로, 제1권취부(70)가 제1와이어(50)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한다. 이때, 제1권취부(70)가 제1와이어(50)를 권취하면, 제1프레임(20)은 상승하고 차광부재(10)는 상승 또는 전개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권취부(70)가 제1와이어(50)를 권취해제하면, 제1프레임(20)은 하강되고 차광부재(10)는 하강 또는 접힌다. 즉, 제1권취부(70)가 제1와이어(50)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면, 제1프레임(20)과 차광부재(10)의 상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어서, 제2권취부(80)가 제2와이어(60)를 권취 또는 권취해재한다. 이 때, 제2권취부(80)가 제2와이어(60)를 권취하면, 제2프레임(30)은 상승하고 차광부재(10)는 접힌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권취부(80)가 제2와이어(60)를 권취해제하면, 제2프레임(30)은 하강되고 차광부재(10)는 전개된다. 즉, 제2권취부(80)가 제2와이어(60)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면, 차광부재(10)가 접히거나 전개될 수 있다.
본 작동예에서는 제1권취부(70)가 제1와이어(50)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한 후, 제2권취부(80)가 제2와이어(60)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권취부(80)가 제2와이어(60)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한 후, 제1권취부(70)가 제1와이어(50)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1권취부(70)와 제2권취부(80)가 각각 제1와이어(50)와 제2와이어(60)를 동시에 권취 또는 권취해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의 제1프레임(20)의 하강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제1실시예의 제1와이어(50), 제2와이어(60), 제1권취부(70), 제2권취부(80)가 제외되고, 와이어(90) 및 와이어 저항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90)는 제1프레임(20)과 제2프레임(30)을 구조물(1)에 현수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와이어(90)의 상단부는 구조물(1)에 결합되고, 와이어(90)의 중앙부는 제1프레임(20)과 차광부재(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제2와이어(60)의 하단부는 후술할 보빈(112)에 결합된다.
와이어 저항부(100)는 와이어(90)의 이동 경로상에 마련되어, 와이어(90)에 저항을 부여하여 구조물(1)과 제1프레임(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조물(1)과 제1프레임(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면, 제1프레임(20)과 차광부재(10)의 상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와이어 저항부(100)는 와이어(90)가 교호적으로 관통하는 한 쌍 이상의 와이어 관통공(102a, 102b, 102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 이상의 와이어 관통공(102a, 102b, 102c)은 제1프레임(20) 상에 형성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 이상의 와이어 관통공(102a, 102b, 102c)은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3개의 와이어 관통공(102a, 102b, 102c)을 제1와이어 관통공(102a), 제2와이어 관통공(102b) 및 제3와이어 관통공(102c)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1와이어 관통공(102a) 내지 제3와이어 관통공(102c)은 제1프레임(20)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90)는 제1와이어 관통공(102a)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한 후, 제2와이어 관통공(102b)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관통한 후, 제3와이어 관통공(102c)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90)가 제1와이어 관통공(102a) 내지 제3와이어 관통공(102c)에 교호적으로 관통함에 따라, 제1와이어 관통공(102a) 내지 제3와이어 관통공(102c) 및 제1와이어(50) 간의 마찰에 의해 와이어(90)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단일 권취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일 권취부(110)는 보빈(112) 및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112)은 와이어(90)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된다. 예를들면, 보빈(112)은 스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는 보빈(112)을 정역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동부는 보빈(112)에 와이어(90)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태엽스프링(130) 또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가 태엽스프링(130)으로 구성되는 경우, 보빈(112)과 구동부는 케이스(114)에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9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와이어(90)는 보빈(112)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보빈(112)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보빈(112)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와이어(90)는 구조물(1)의 수평방향 양측과 제2프레임(30)의 수평방향 양측을 각각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와이어(90)가 보빈(112)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됨에 따라, 보빈(112)의 정역회전시, 한 쌍의 와이어(90)가 보빈(112)에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길이가 상호 동일하므로, 제2프레임(30)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한편, 보빈(112)은 중앙에 마련된 격벽에 의해 한 쌍의 권취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고, 한 쌍의 와이어(90)는 각각 한 쌍의 권취영역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에 와이어(90)를 통해 제1프레임(20)과 제2프레임(30)을 현수 지지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저항부(100)가 와이어(90)의 특정 부위에 저항을 부여하여, 와이어 저항부(100)에 와이어(90)의 특정 부위를 고정한다. 그 결과, 구조물(1)과 와이어 저항부(100) 사이의 와이어(90)의 길이가 결정됨에 따라, 구조물(1)과 제1프레임(20) 사이의 간격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저항부(100)가 와이어(90)의 특정 부위에 저항을 부여하면, 구조물(1)과 제1프레임(20) 사이의 간격이 결정되는데, 이러한 구조물(1)과 제1프레임(20) 사이의 간격이 제1프레임(20)과 차광부재(10)의 상하 위치로 결정된다.
이어서, 단일 권취부(110)가 와이어(90)를 권취 또는 권취해재한다. 이 때, 단일 권취부(110)가 와이어(90)를 권취하면, 제2프레임(30)은 상승하고 차광부재(10)는 접힌다. 또한, 단일 권취부(110)가 와이어(90)를 권취해제하면, 제2프레임(30)은 하강되고 차광부재(10)는 전개된다. 즉, 단일 권취부(110)가 와이어(90)를 권취 또는 권취해재하면, 차광부재(10)가 접히거나 전개된다.
본 작동예에서는 와이어 저항부(100)가 와이어(90)에 저항을 부여한 후, 단일 권취부(110)가 와이어(90)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일 권취부(110)가 와이어(90)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한 후, 와이어 저항부(100)가 와이어(90)에 저항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저항부(100)가 와이어(90)에 저항을 부여하는 것과 단일 권취부(110)가 와이어(90)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는 것이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의 제1프레임의 하강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는 제2실시예와 달리, 한 쌍 이상의 와이어 관통공(102d, 102e)이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2개의 와이어 관통공(102d, 102e)을 제4와이어 관통공(102d, 102e) 및 제5와이어 관통공(102d, 102e)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4와이어 관통공(102d, 102e) 및 제5와이어 관통공(102d, 102e)은 제1프레임(20)에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90)는 제4와이어 관통공(102d)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한 후, 제5와이어 관통공(102e)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관통한 후, 제4와이어 관통공(102d,)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90)가 제4와이어 관통공(102d) 내지 제5와이어 관통공(102e)에 교호적으로 관통함에 따라, 제4와이어 관통공(102d) 내지 제5와이어 관통공(102e) 및 와이어(90) 간의 마찰에 의해 와이어(9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에에 따른 블라인드는 제2실시예와 달리, 와이어 저항부(100)가 한 쌍 이상의 롤러(104)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 이상의 롤러(104)는 제1프레임(20)에 내장될 수 있다. 단, 한 쌍 이상의 롤러(104)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한 쌍 이상의 롤러(104)에 와이어(90)가 교호적으로 권취됨에 따라, 한 쌍 이상의 롤러(104) 및 와이어(90) 간에 마찰에 의해, 와이어(9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제2하우징), 제3보빈(제4보빈), 제1이송부(제2이송부) 및 제1너트부(제2너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제2하우징), 제3보빈(제4보빈), 제1이송부(제2이송부) 및 제1너트부(제2너트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제2하우징), 제3보빈(제4보빈), 제1이송부(제2이송부) 및 제1너트부(제2너트부)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제1실시예와 달리, 제1권취부(70)가 제1하우징(75), 제3보빈(76), 제1구동부 및 제1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75)은 제1프레임(2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예를들어, 제1하우징(75)은 제1프레임(20)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하우징(75)을 제1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프레임(20)의 무게 균형을 맞춰주면, 제1프레임(20)이 수평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하우징(75)의 내부에는 제3보빈(76), 제1구동부 및 제1이송부가 내장될 수 있다.
제3보빈(76)은 제1하우징(75)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와이어(50)가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3보빈(76)은 스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하우징(75)의 내부에는 제1회전축(77)이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러한 제1회전축(77)에 제3보빈(76)이 결합됨에 따라, 제3보빈(76)이 제1하우징(75)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3보빈(76)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제3보빈(76)은 각각 제1회전축(77)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구동부는 제3보빈(76)을 정역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구동부는 제1회전축(77)에 제1와이어(50)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태엽스프링(130) 또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구동부가 태엽스프링(130)으로 구성되는 경우, 태엽스프링(130)의 일측은 제1하우징(75)의 내부에 마련된 제1고정축(78)에 권취되고, 태엽스프링(130)의 타측은 제1회전축(77)에 권취될 수 있다.
제1이송부는 제1프레임(20)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제1하우징(75)을 제1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이송부는 제1스크류 축(79) 및 제1너트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크류 축(79)은 제1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하우징(75)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1스크류 축(79)에는 제1너트부(142)가 나사 결합되고, 제1프레임(20)에는 제1너트부(142)의 일 영역이 노출되는 제1노출홀(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너트부(142)는 제1하우징(20)의 제1노출홀(24)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스크류 축(79)과 나사 결합하며, 자전시, 제1스크류 축(7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노출홀(24)에 노출된 제1너트부(142)를 회전시켜서, 제1스크류 축(79)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제1실시예와 달리, 제2권취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권취부(80)는 제2하우징(85), 제4보빈(86), 제2구동부 및 제2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85)은 제2프레임(3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예를들어, 제2하우징(85)은 제2프레임(30)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하우징(85)을 제2프레임(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2프레임(30)의 무게 균형을 맞춰주면, 제2프레임(30)이 수평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하우징(85)의 내부에는 제4보빈(86), 제2구동부 및 제2이송부가 내장될 수 있다.
제4보빈(86)은 제2하우징(85)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와이어(60)가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4보빈(86)은 스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하우징(85)의 내부에는 제2회전축(87)이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러한 제2회전축(87)에 제4보빈(86)이 결합됨에 따라, 제4보빈(86)이 제2하우징(85)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4보빈(86)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제4보빈(86)은 각각 제2회전축(87)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구동부는 제4보빈(86)을 정역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구동부는 제2회전축(87)에 제2와이어(60)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태엽스프링(130) 또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구동부가 태엽스프링(130)으로 구성되는 경우, 태엽스프링(130)의 일측은 제2하우징(85)의 내부에 마련된 제2고정축(88)에 권취되고, 태엽스프링(130)의 타측은 제2회전축(87)에 권취될 수 있다.
제2이송부는 제2프레임(30)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제2하우징(85)을 제2프레임(3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이송부는 제2스크류 축(89) 및 제2너트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크류 축(89)은 제2프레임(3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하우징(85)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2스크류 축(89)에는 제2너트부(144)가 나사 결합되고, 제2프레임(30)에는 제2너트부(144)의 일 영역이 노출되는 제2노출홀(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너트부(144)는 제2하우징(30)의 제2노출홀(34)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스크류 축(89)과 나사 결합하며, 자전시, 제2스크류 축(89)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노출홀(24)에 노출된 제2너트부(142)를 회전시켜서, 제2스크류 축(89)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구조물에 제1와이어(50)와 제2와이어(60)를 통해 제1프레임(20)과 제2프레임(30)을 현수 지지시킨다.
다음으로, 제3보빈(76)이 제1와이어(50)를 권취 또는 권취해재하고, 제4보빈(86)이 제2와이어(60)를 권취 또는 권취해재한다. 이‹š, 제3보빈(76)이 제1와이어(50)를 권취하면 제1프레임(20)은 상승하고 차광부재(10)는 상승 또는 전개한다. 또한, 제4보빈(86)이 제2와이어(60)를 권취하면 제2프레임(30)을 상승하고 차광부재(10)는 하강 또는 접힌다.
이어서, 제1프레임(20)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제1이송부가 제1하우징(75)을 제1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제2프레임(30)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제2이송부가 제2하우징(85)을 제2프레임(3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 때, 제1하우징(75)은 제1너트부(142)의 자전에 의해 제1스크류 축(79)과 제1프레임(20)이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85)은 제2너트부(144)의 자전에 의해 제2스크류 축(89)과 제2프레임(30)이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제1프레임(20)에서의 제1하우징(75)의 위치와 제2프레임(30)에서의 제2하우징(85)의 위치를 가변 조절하여, 제1프레임(20)과 제2프레임(30)가 수평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의 제1권취부(70)와 제2권취부(80)는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프레임(20)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트랙이 형성되고, 제1하우징(75)의 하면에는 제1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제1트랙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프레임(30)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2트랙이 형성되고, 제2하우징(85)의 하면에는 제2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제2트랙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프레임(20)에는 파지를 위한 손잡이(12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120)를 이용하여, 제1프레임(20)을 구조물에 접근 또는 이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차광부재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차광부재의 상하 위치 조절시, 차광부재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와 달리, 제1권취부(80) 및 제2권취부(90)가 구조물(1)에 높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와이어(50)는 제1프레임(20)과 제1권취부(8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와이어(60)는 제2프레임(30)과 제2권취부(9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단일 하우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제6실시예와 달리, 제1권취부(70)와 제2권취부(80)가 수평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으며, 단일 하우징(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권취부(70)의 제3보빈(76)은 단일 하우징(15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고, 제2권취부(80)의 제4보빈(86)은 단일 하우징(150)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와이어(50)는 제3보빈(76)과 제1프레임(20)을 연결할 수 있고 제2와이어(60)는 제4보빈(86)과 제2프레임(30)을 연결할 수 있다.
단일 하우징(150)은 구조물(1)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예를들어, 단일 하우징(150)은 구조물(1)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하우징(150)을 구조물(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프레임(20)과 제2프레임(30)의 수평을 맞춰줄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하우징(150)의 양측면에는 각각 제1와이어(50)가 인출입되는 한 쌍의 제1와이어 통로(152)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와이어 통로(152)는 제3보빈(76)의 중심축선과 제4보빈(86)의 중심축선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일 하우징(150)의 양측면에는 각각 제2와이어(60)가 인출되는 한 쌍의 제2와이어 통로(154)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와이어 통로(154)는 단일 하우징(150)의 후단부를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와이어(50) 및 제2와이어(60)가 각각 제1와이어 통로(152) 및 제2와이어 통로(154)에 인출입되며 상호 이격됨에 따라, 제1와이어(50) 및 제2와이어(6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하우징(150)의 바닥면에 자성부재(170)가 마련될 수 있고, 제1프레임(20)의 천장면에 금속부재(18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하우징(150)과 제1프레임(20)이 접촉될 때, 자성부재(170)와 금속부재(180)의 자력 결합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는 구조물(1)의 하단부에 차광부재(10)가 결합되고, 차광부재(10)의 하단부에 보조 차광부재(15)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와이어(50)는 제3보빈(76)과 차광부재(10)의 하단부를 연결할 수 있고 제2와이어(60)는 제4보빈(86)과 보조 차광부재(15)의 하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부재(10)의 하단부는 고정부재(160)를 통해 다른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60)는 후크, 피스, 벨크로, 자석 양면 테이프 등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구조물
10: 차광부재
15: 보조 차광부재
20: 제1프레임
24: 제1노출홀
30: 제2프레임
34: 제2노출홀
40: 엔드캡
50: 제1와이어
60: 제2와이어
70: 제1권취부
72: 제1보빈
74: 제1케이스
75: 제1하우징
76: 제3보빈
77: 제1회전축
78: 제1고정축
79: 제1스크류 축
80: 제2권취부
82: 제2보빈
84: 제2케이스
85: 제2하우징
86: 제4보빈
87: 제2회전축
88: 제2고정축
89: 제2스크류 축
90: 와이어
100: 와이어 저항부
102a, 102b, 102c, 102d, 102e: 와이어 관통공
104: 롤러
110: 단일 권취부
112: 보빈
112a: 격벽
114: 케이스
120: 손잡이
130: 태엽스프링
142: 제1너트부
144: 제2너트부
150: 단일 하우징
152: 제1와이어 통로
154: 제2와이어 통로
160: 고정부재170: 자성부재
180: 금속부재

Claims (20)

  1. 차광부재;
    상기 차광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
    상기 차광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을 구조물에 현수 지지하는 제1와이어;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구조물에 현수 지지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며, 상기 제1프레임을 상기 구조물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제1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구조물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취부는,
    상기 제1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제1보빈; 및
    상기 제1보빈을 정역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제1보빈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1보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제1보빈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블라인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취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는 제3보빈;
    상기 제3보빈을 정역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프레임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을 상기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나사 결합하는 제1스크류 축; 및
    상기 제1하우징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스크류축과 나사 결합하며, 자전시, 상기 제1스크류 축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너트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보빈에 상기 제1와이어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태엽 스프링,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며, 상기 제2프레임을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제2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권취부는,
    상기 제2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제2보빈; 및
    상기 제2보빈을 정역회전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제2보빈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2보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제2보빈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블라인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권취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는 제4보빈;
    상기 제4보빈을 정역회전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제2프레임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을 상기 제2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제2하우징과 나사 결합하는 제2스크류 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스크류축과 나사 결합하며, 자전시, 상기 제2스크류 축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너트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12.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보빈에 상기 제2와이어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태엽 스프링,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 보다 더 큰 자중을 갖는, 블라인드.
  14. 차광부재;
    상기 차광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
    상기 차광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구조물에 현수 지지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이동 경로상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에 저항을 부여하여 상기 구조물과 상기 제1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와이어 저항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저항부는, 상기 와이어가 교호적으로 관통하는 한 쌍 이상의 와이어 관통공, 또는 상기 와이어가 마찰 이동하는 한 쌍 이상의 롤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취해제하며, 상기 제1프레임을 상기 구조물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단일 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블라인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권취부는,
    상기 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18. 제17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빈에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태엽 스프링,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상기 와이어는 상기 보빈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고, 상기 보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보빈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블라인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 보다 더 큰 자중을 갖는, 블라인드.
KR1020210182318A 2021-12-20 2021-12-20 블라인드 KR20230093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318A KR20230093572A (ko) 2021-12-20 2021-12-20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318A KR20230093572A (ko) 2021-12-20 2021-12-20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572A true KR20230093572A (ko) 2023-06-27

Family

ID=8694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318A KR20230093572A (ko) 2021-12-20 2021-12-20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35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023A (ko) 2016-12-29 2018-07-09 김필립 착탈이 용이한 허니콤 쉐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023A (ko) 2016-12-29 2018-07-09 김필립 착탈이 용이한 허니콤 쉐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0063A (en) Roller curtain
US9765565B2 (en) Cordless shade automatic lift regulator
US4326577A (en) Vertically positioning window shading system
JP2005533948A (ja) 格納式自動回転ブラインド
US20130087296A1 (en) Automatic releasable top down shade system and method
JPH05321543A (ja) 二重シェード
US20060151126A1 (en) Systems and mechanisms for use with double blinds and double shades
KR20130065519A (ko)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WO2020091290A1 (ko) 발전효율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형 롤 블라인드
US20190093426A1 (en) Window shade and spring drive system thereof
KR20230093572A (ko) 블라인드
ITPD990052A1 (it) Struttura di vetrocamera internamente dotata di tenda oscurante.
JP2016069828A (ja) 遮光装置
JP4642339B2 (ja) 断熱空間形成部材
KR101687696B1 (ko) 채광효율이 개선된 롤 블라인드
WO2015003474A1 (zh) 一种室外遮阳窗帘
JP3060502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内蔵型複層パネル
KR101792567B1 (ko)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
KR20200143932A (ko) 전동 롤 블라인드
KR102074922B1 (ko) 듀얼 블라인드 장치
KR102546192B1 (ko) 직렬형 다중 롤 블라인드
KR101897094B1 (ko)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
KR200249676Y1 (ko) 건물 창문용 스크린 장치
KR102669195B1 (ko) 패브릭 텐션 장치
JPH02159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