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094B1 -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 - Google Patents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094B1
KR101897094B1 KR1020180026898A KR20180026898A KR101897094B1 KR 101897094 B1 KR101897094 B1 KR 101897094B1 KR 1020180026898 A KR1020180026898 A KR 1020180026898A KR 20180026898 A KR20180026898 A KR 20180026898A KR 101897094 B1 KR101897094 B1 KR 101897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ing
windows
winding roll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원
Original Assignee
김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원 filed Critical 김창원
Priority to KR102018002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for wings which lift during movement, operated by their own w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8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s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sliding bars, rod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2Ribb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 프레임 내에 설치된 한 쌍의 창문들이 상호 연동하여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여서, 창틀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통기공간을 동시에 형성하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Double open type window structure having Ascent and Descent type structure}
본 발명은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 프레임 내에 설치된 한 쌍의 창문들이 상호 연동하여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여서, 창틀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통기공간을 동시에 형성하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축물에는 시야 확보를 위한 창문 구조체가 설치되며, 상기 창문 구조체의 창틀 프레임 내에는 창틀 프레임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창문이 배치되어 창문의 개폐를 통하여 통기상태를 설정하게 된다.
상기 창틀 프레임과 창문을 포함하는 창문구조체는, 창문을 승강구조로 배치한 승강 개폐형, 창문을 좌우 이송구조로 설치한 수평 개폐형, 창문을 밀고 당김으로써 개폐되는 여닫이 개폐형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승강 개폐형 창문구조체는 창문 프레임과, 상기 창틀 프레임 내에 승강구조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창문을 포함하여, 창문의 승강에 의해 창문 프레임의 개폐상태가 설정된다.
그런데, 상기 창틀프레임 내에 배치된 창문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려는 성향을 갖는 관계로, 사용자가 창문을 상승시켜 창틀 프레임을 개방한 다음 창문을 승강된 상태로 고정하는 스토퍼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개폐형의 창문구조체는 개방하기 위해 창문의 중량 이상의 힘을 가하여 창문을 상승시켜야 하므로, 수평으로 창문을 진퇴시켜 개방하는 형태의 창문 구조체와 대비하여 개방과정에 많은 힘이 요구된다.
또한, 상승된 창문이 자중에 의해 하강할 경우에 창문이 파손될 수도 있고, 또 창틀 프레임과 하강하는 창문 사이에 손 등 사용자의 신체가 끼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다.
특히, 최근 창문 내구성과 단열성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두께운 유리창을 구비하거나, 창문에 다른 부품을 다량 장착한 경우에는 창문의 중량이 과대하게 증가되어, 이러한 문제점들은 더욱 심화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별도의 구동모터, 동력전달부 및 제어부 등을 포함하는 창문 개폐기를 구비하여 창문이 전동에 의해 승강하여 개폐되도록 한 승강 개폐형 창문구조체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승강 개폐형 창문구조체는 그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별도의 전원 공급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시공 가능한 장소가 한정될 수 밖에 없다.
[특허문헌 1] KR 10-1150783 B1 [특허문헌 2] KR 10-2003-0069610 A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창문을 승강레일을 따라 승강함에 있어, 상기 한 쌍의 창문이 상호 연동하여 개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개방된 창문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개방된 통기공간을 형성하여 환기효율을 배가하고, 개방된 창문은 상호간의 자중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한편, 적은 힘으로도 창문의 개방이 가능한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는,
건축물의 개구부에 배치되며, 양측 내벽에 한 쌍의 승강레일이 형성된 창틀 프레임과;
양측에 형성된 레일홈에 승강레일을 삽입하여, 창틀 프레임 내에 상호 교차하는 하부창문과 상부창문을 포함하는 한 쌍의 창문과;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에 권취구간을 권취하며 권취구간의 일단부를 한 쌍의 창문 중 어느 하나의 창문에 연결하고 권취구간의 타단부를 나머지 창문에 연결하는 견인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동형 자중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동형 자중 고정부에는, 권취롤러를 회동구조로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권취롤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권취되어 권취롤러에 권취에 의한 역방향 회전력을 탄력적으로 제공하는 태엽부재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브라켓은,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에 삽입하여 설치되는 지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태엽부재의 외측단은 권취롤러에 고정되고, 내측단은 지지축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에는 복수의 견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견착홈에 견착되는 견착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창문과 창틀 프레임의 하부 사이에는 탄성 댐퍼부가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부창과 하부창 사이에 연동형의 자중 고정부를 마련하여, 하부창문의 승강에 의해 상부창문이 반대방향으로 승강하여 창틀 프레임 내에 배치된 상부창문과 하부창문은 상하 교차되어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하부창문의 개폐에 의해 상부창문도 함께 연동하여 개폐가 가능하고, 또 상기 하부창문과 상부창문의 상호간의 자중에 의해 무게의 균형을 형성하여 개방 및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창문과 상부창문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하여 교차된 상태로 개방되므로, 창틀 프레임 내부에는 하부 통기공간과 상부 통기공간이 각각 개방되고, 결과적으로 상하 구획된 상부 통기공간과 상부 통기공간에 의해 공기의 순환 및 통기효율이 향상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에 있어, 연동형 자중 고정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에 있어, 탄성댐퍼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에 있어, 창문의 연동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에 있어, 연동형 자중 고정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에 있어, 탄성댐퍼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에 있어, 창문의 연동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개구부에 배치되며, 양측 내벽에 한 쌍의 승강레일(11)이 형성된 창틀 프레임(10)과; 양측에 형성된 레일홈(21, 31)에 승강레일(11)을 삽입하여 창틀 프레임(10) 내에 상호 교차하는 하부창문(20)과 상부창문(30)을 포함하는 한 쌍의 창문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창틀 프레임(10)의 하부바와 상부바에 각각 상부창과 하부창을 고정하는 롤형 방충망(60)을 고정하며, 상기 롤형 방충망(60)의 방충시트(61) 단부는 하부창문(20), 또는 상부창문(30)에 고정된다.
따라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부창문(30)과 하부창문(20)이 상호 역방향으로 승강하여 창틀 프레임(10) 내에 상부 통기공간(10b)과 하부 통기공간(10a)이 형성되면, 상기 통기공간(10a, 10b)들은 전개된 방충시트(61)에 의해 망상의 통기구조를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창문 구조체(10)에 하부창문(20)과 상부창문(30)의 자중을 이용하여 위치 고정되며 하부창문(20)과 상부창문(30)의 개폐가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연동형의 자중 고정부(40)를 마련하여, 하부창문(20)의 개폐에 의해 상부창문(30)도 함께 연동하여 개폐되고, 또 상기 개방된 하부창문(20)과 상부창문(30)은 상호 무게의 균형을 형성하면서 위치 고정되어 개폐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연동형 자중 고정부(4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창틀 프레임(10)에 고정 브라켓(43)을 통해 회동구조로 고정되는 권취롤러(41)와, 권취부(42a)를 권취롤러(41)에 권취하며 권취부(42a)의 일단부(42b)를 하부창문(20)에 연결하고 권취부(42a)의 타단부(42c)를 상부창문(30)에 연결한 견인 와이어(42)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창문(20)의 상승에 의해 견인 와이어(42)의 일단부(42b)가 권취롤러(41)에 와인딩되면 견인 와이어(42)의 타단부(42c)는 언와인딩되고, 또 하부창문(20)의 하강에 의해 견인 와이어(42)의 일단부(42b)가 권취롤러(41)에 언와인딩되면 견인 와이어(42)의 타단부(42c)는 와인딩되므로, 이를 통해 하부창문(20)의 개폐에 의해 상부창문(30)도 함께 연동하여 개폐된다.
이때, 상기 하부창문(20)과 상부창문(30)은 동일하거나 비등한 중량으로 제작되고, 권취롤러(41)에 권취된 견인 와이어(42)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호 간의 자중에 의해 중립상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창문(20)은 상부창문(30)의 자중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상부창문(30)은 하부창문(20)의 자중에 의해 위치 고정되므로, 창틀 프레임(10) 내에 승강구조로 배치된 상부창문(30)과 하부창문(20)은 상호 간의 자중에 의해 위치 고정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동형 자중 고정부(40)를 좌우 양편에 각각 대칭되게 마련하여, 한 쌍의 연동형 자중 고정부(40)에 의해 하부창문(20)과 상부창문(30)은 상호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창문들을 좌우 대칭되게 상향 견인하는 한 쌍의 견인 와이어(42) 중 어느 하나가 끊어지면 창문(20, 30)들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져 창틀 프레임(10)과 마찰이 증가되어 제동상태가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창문(20, 30)들이 하향 이동하여 파손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창문 프레임(10)에, 개방된 하부창문(20)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안전바(13)를 힌지구조로 배치하여, 도 6과 같이 하부창문(20)이 상승하여 창문의 개방상태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안전바(13)를 직립시켜 개방된 하부창문(20)이 안전바(1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창문 프레임(10)의 하부바에 수납홈(12)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12)에 안전바(13)를 힌지구조로 배치함으로써, 안전바(13)는 평상시에는 수납홈(12)에 수납되어 하부창문(20)과의 물리적인 간섭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연동형 자중 고정부(40)에 의해 하부창문(20)과 상부창문(30)이 상호 연동하여 개폐되고 자중에 의해 개폐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함에 있어, 창문(20, 30)의 개방과정에 개방력이 보조되어 적은 힘으로도 창문(20, 30)을 손쉽게 개방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과 같이 상기 권취롤러(41)에 권취롤러(41)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권취되어 권취에 의한 탄발력에 의해 권취롤러(41)에 역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부재(45)를 부가한다.
상기 태엽부재(45)는, 상기 고정 브라켓(43)에 형성된 지지축(44)에 내측단(45a)을 고정하고 권취롤러(41)에 외측단(45b)을 고정하여서, 권취롤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권취되어 탄발력을 생성한다.
따라서, 창문(20, 30)들이 폐쇄되면 권취롤러(41)는 일방향 회전하면서 태엽부재(45)를 권취하여 개방력을 생성하고, 창문(20, 30)의 개방과정에서는 권취된 태엽부재(45)를 통해 제공되는 개방력과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작용력에 의해 창문(20, 30)의 손쉬운 개방이 가능하다.
즉, 상기 태엽부재(45)는 하부창문(20)의 하강과정에 권취롤러(41)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권취되며 이러한 과정에 하부창문(20)은 서서히 하강하여 폐쇄되므로 창문의 닫힘에 따른 소음 발생과 손끼임 발생을 최소화하고, 또 창문의 개방과정에서는 권취된 태엽부재(45)는 탄력적으로 전개되면서 하부창문(20, 30)을 거상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창문을 개방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브라켓(43)에 지지축(44)을 일체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43)에 복수의 견착홈(43a-a)들이 형성된 지지관(43a)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관(43a)에 견착돌기(44a)가 형성된 지지축(44)을 삽입하여서, 지지축(44)은 지지관(43a)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또 견착돌기(44a)와 견착홈(43a-a)의 견착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축(44)을 정역으로 회전시켜 태엽부재(45)의 권취량을 임의 변경함으로써, 태엽부재(45)에 의한 창문(20, 30)의 개방력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창문(20)과 창틀 프레임(10)의 하부 사이에 탄성 댐퍼부(50)를 배치하여, 도 5와 같이 창문(20, 30)의 폐쇄시 폐쇄속도를 감속하고 또 도 6과 같이 개방시에 개방력을 보조적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 댐퍼부(50)는, 도 4와 같이 하부창문(20)의 외벽에 형성된 랙기어(51)와; 상기 창틀 프레임(10)에 고정 브라켓(43)을 통해 회동구조로 고정되어, 랙기어(51)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52), 및 상기 피니언 기어(52)에 형성되어 하부창문(20)의 하강에 의한 피니언 기어(52)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권취되는 태엽부재(55)를 포함한다.
상기 태엽부재(55)는, 상기 고정 브라켓(53)에 형성된 지지축(54)에 내측단(55a)을 고정하고 피니언 기어(52)에 외측단(55b)을 고정하여서, 피니언 기어(52)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권취되면서 하강하는 하부창문(20)의 하강속도를 감속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브라켓(53)에 지지축(54)을 일체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53)에 복수의 견착홈(53a-a)들이 형성된 지지관(53a)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관(53a)에 견착돌기(54a)가 형성된 지지축(54)을 삽입하여서, 지지축(54)은 지지관(53a)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또 견착돌기(54a)와 견착홈(53a-a)의 견착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지지축(54)의 회전에 의해 태엽부재(55)의 권취량은 조절되고, 결과적으로 도 5와 같이 태엽부재(55)에 의한 하부창문(20)의 하강속도를 조절과, 도 6과 같이 하부창문(20)의 상승과정에 제공되는 보조 개방력의 조절이 가능하다.
1.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
10. 창틀 프레임 10a. 하부 통기공간
10b. 상부 통기공간 11. 승강레일
12. 수납홈 13. 안전바
20. 하부창문 21. 레일홈
30. 상부창문 31. 레일홈
40. 연동형의 자중 고정부
41. 권취롤러 42. 견인 와이어
42a. 권취부 42b. 일단부
42c. 타단부 43. 고정 브라켓
43a. 지지관 43b. 견착공
44. 지지축 44a. 견착돌기
45. 태엽부재 45a. 내측단
45b. 외측단
50. 탄성 댐퍼부 51. 랙기어
52. 피니언 기어 53. 고정 브라켓
53a. 지지관 53b. 견착공
54. 지지축 54a. 견착돌기
55. 태엽부재 55a. 내측단
55b. 외측단
60. 롤형 방충망 61. 방충시트

Claims (5)

  1. 건축물의 개구부에 배치되며, 양측 내벽에 한 쌍의 승강레일이 형성된 창틀 프레임과;
    양측에 형성된 레일홈에 승강레일을 삽입하여, 창틀 프레임 내에 상호 교차하는 하부창문과 상부창문을 포함하는 한 쌍의 창문과;
    권취롤러와, 상기 권취롤러에 권취구간을 권취하며 권취구간의 일단부를 한 쌍의 창문 중 어느 하나의 창문에 연결하고 권취구간의 타단부를 나머지 창문에 연결하는 견인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동형 자중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동형 자중 고정부에는,
    권취롤러를 회동구조로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권취롤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권취되어, 권취롤러에 권취에 의한 역방향 회전력을 탄력적으로 제공하는 태엽부재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에 삽입 설치되는 지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태엽부재의 외측단은 권취롤러에 고정되고, 내측단은 지지축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에는 복수의 견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에는 견착홈에 견착되는 견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창문과 창틀 프레임 사이에는 하부창문을 탄력적으로 상향 지지하는 탄성 댐퍼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
KR1020180026898A 2018-03-07 2018-03-07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 KR101897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98A KR101897094B1 (ko) 2018-03-07 2018-03-07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898A KR101897094B1 (ko) 2018-03-07 2018-03-07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094B1 true KR101897094B1 (ko) 2018-09-10

Family

ID=6359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898A KR101897094B1 (ko) 2018-03-07 2018-03-07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0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610A (ko) 2002-02-22 2003-08-27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문의 개폐장치
JP2007332717A (ja) * 2006-06-16 2007-12-27 Shimodaira:Kk 上下スライド扉装置
KR20080027085A (ko) * 2006-09-22 2008-03-26 박성근 건물 창문의 상하 이동 개폐 장치 및 개폐 방법
KR20100034360A (ko) * 2008-09-23 2010-04-01 이종오 중간 유리창을 유동하여 햇빛 투과량이 조절되는 3중 유리창
KR101150783B1 (ko) 2009-12-23 2012-06-08 현대로템 주식회사 승강 개폐형 창문구조체
KR20160146417A (ko) * 2015-06-12 2016-12-21 진광복 창문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610A (ko) 2002-02-22 2003-08-27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문의 개폐장치
JP2007332717A (ja) * 2006-06-16 2007-12-27 Shimodaira:Kk 上下スライド扉装置
KR20080027085A (ko) * 2006-09-22 2008-03-26 박성근 건물 창문의 상하 이동 개폐 장치 및 개폐 방법
KR20100034360A (ko) * 2008-09-23 2010-04-01 이종오 중간 유리창을 유동하여 햇빛 투과량이 조절되는 3중 유리창
KR101150783B1 (ko) 2009-12-23 2012-06-08 현대로템 주식회사 승강 개폐형 창문구조체
KR20160146417A (ko) * 2015-06-12 2016-12-21 진광복 창문의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688B2 (en) Motorized operating device intended for operating a movable screen with a windable canvas of a window covering device or a projection screen device
US20060118250A1 (en) Blind assembly for insulated window
WO1993007353A1 (en) Double layer shade
US20060151126A1 (en) Systems and mechanisms for use with double blinds and double shades
KR100859269B1 (ko) 브라인더형 커텐장치
US20170254143A1 (en) Window covering
KR101897093B1 (ko) 승강 개폐형 창문 구조체
KR101897094B1 (ko) 승강 개폐구조를 갖는 양개형 창문 구조체
KR102055581B1 (ko) 장력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롤 블라인드
JP2019039136A (ja) シェード構造体への着脱が自在な電動昇降装置
US20220162906A1 (en) Stackable coverings with overpowered lift systems and related systems with hold-down brackets
KR20200143932A (ko) 전동 롤 블라인드
KR102311220B1 (ko) 전동 롤 블라인드
JPH10205249A (ja) 遮光膜装置
KR101133450B1 (ko) 블라인드형 차광장치
KR102475027B1 (ko) 폴드업 전동창의 기밀유지장치
KR102669195B1 (ko) 패브릭 텐션 장치
KR102637917B1 (ko) 블라인드가 포함된 이중창
KR102669666B1 (ko) 수직, 수평, 경사각으로 설치 가능한 전동식 롤 블라인드
CN209761289U (zh) 一种百叶窗收纳盒
JP6110083B2 (ja) 日射遮蔽装置
KR101854052B1 (ko) 블라인드용 스토퍼
CN217924514U (zh) 一种阳光房
JP6766304B2 (ja) 手動式シェード構造体用の後付電動昇降装置
US20220161074A1 (en) Automated fire or smoke curtai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