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189A -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Google Patents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189A
KR20230093189A KR1020230073200A KR20230073200A KR20230093189A KR 20230093189 A KR20230093189 A KR 20230093189A KR 1020230073200 A KR1020230073200 A KR 1020230073200A KR 20230073200 A KR20230073200 A KR 20230073200A KR 20230093189 A KR20230093189 A KR 20230093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housing
driving unit
stopp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택
한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73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3189A/ko
Publication of KR2023009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넷을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넷과 대향하는 제1코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상기 마그넷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코일; 상기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을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측방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제1면과,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3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제2면, 및 제3면 각각은 상기 홈부의 내측면과 평행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3면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면과 상기 제3면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인 렌즈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보빈이 주변 구성을 타격하는 경우에도 보빈 및 주변 구성에 발생되는 충격이 최소화되므로 기구적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본 실시예는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있다.
최근에는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가진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하는 일례로서,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 모듈이 고정된 보빈이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서는 보빈의 이동 가능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의 이동 가능 거리를 불균형적으로 제한하여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의 방향에 따라 보빈에 큰 충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서는 보빈에 틸트가 유발될 때 보빈이 커버 부재를 타격하는 속도가 커서 보빈에 큰 충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 10-2015-0008662 A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보빈의 이동 가능 거리를 일방향 내지 타방향 모두에서 최소화한 렌즈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보빈의 이동 가능 거리를 x축 방향, y축 방향, 및 대각 방향(x축 및 y축 사이)으로 상응하게 제한하는 렌즈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보빈의 틸트 가능 각도를 작아지도록 하여 보빈의 틸트시 보빈이 커버 부재를 타격하는 속도를 감소시킨 렌즈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렌즈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는, 마그넷을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넷과 대향하는 제1코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상기 마그넷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코일; 상기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을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측방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제1면과,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3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제2면, 및 제3면 각각은 상기 홈부의 내측면과 평행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3면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면과 상기 제3면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상기 홈부는,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1대향면, 상기 제2면과 대향하는 제2대향면, 및 상기 제3면과 대향하는 제3대향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대향면과 상기 제3대향면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대향면과 상기 제3대향면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상기 제1면, 제2면, 및 제3면 각각과 상기 홈부의 내측면과의 거리는 70 내지 90 ㎛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4개로 구비되며, 4개의 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제1측면, 상기 제1측면과 이웃하는 제2측면, 및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이 만나는 부분인 코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코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면과 상기 제3면이 이루는 각도는 135°일 수 있다.
상기 제1면과 상기 제3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2면과 상기 제3면이 이루는 각도와 상응할 수 있다.
상기 제1면이 연장된 제1가상면과 제2면이 연장된 제2가상면이 이루는 각도는 90°일 수 있다.
상기 홈부는,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1대향면, 상기 제2면과 대향하는 제2대향면, 상기 제3면과 대향하는 제3대향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1대향면 사이의 거리, 상기 제2면과 상기 제2대향면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3면과 상기 제3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상응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내측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외측부, 및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의 일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연결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돌출부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측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측 스토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을 내측에 수용하는 커버 부재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는, 하우징; 내측에 렌즈 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위치하는 스토퍼; 및 상기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보빈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보빈의 이동 가능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의 이동 가능 거리는, 상기 렌즈 모듈의 광축 방향과 수직한 적어도 3개의 방향으로 상응하도록 제한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방향은, 상기 광축 방향인 z축 방향과 수직한 x축 방향, 상기 z축 방향 및 상기 x축 방향과 수직한 y축 방향, 및 상기 z축 방향과 수직하고 상기 x축 방향 및 상기 y축 방향과 예각을 형성하는 대각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축 방향과 상기 대각 방향이 형성하는 예각은 45°일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수용부는 상기 스토퍼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보빈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 하한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보빈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마그넷을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넷과 대향하는 제1코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상기 마그넷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코일; 상기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을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측방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제1면과,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3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제2면, 및 제3면 각각은 상기 홈부의 내측면과 평행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3면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면과 상기 제3면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마그넷을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넷과 대향하는 제1코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하우징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상기 마그넷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코일; 상기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을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측방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제1면과, 제2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3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제2면, 및 제3면 각각은 상기 홈부의 내측면과 평행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3면이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제2면과 상기 제3면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보빈이 주변 구성을 타격하는 경우에도 보빈 및 주변 구성에 발생되는 충격이 최소화되므로 기구적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비교예(a)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b)를 비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보빈이 커버 부재에 대하여 정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하며, 도 6은 보빈이 커버 부재에 대하여 틸트되어 보빈이 커버 부재를 타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구동장치에 결합된 상태의 렌즈 모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은, 외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에 발생되는 진동(움직임)을 상쇄하도록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손떨림 보정"은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본체(미도시)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며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갖는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구동장치(10), 렌즈 모듈(미도시),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이미지 센서(미도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와,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렌즈 모듈의 일 구성이 렌즈 배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렌즈 모듈은, 렌즈구동장치(10)에 결합되어 렌즈구동장치(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일례로서 렌즈구동장치(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일례로서 렌즈구동장치(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일례로서 렌즈구동장치(10)와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일례로서 렌즈 모듈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베이스(500)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홀더 부재(미도시)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적외선 필터는 베이스(5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공홀(5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일례로서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필터는, 일례로서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와 같은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렌즈구동장치(10)를 지지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에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 일례로서,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내측에는 이미지 센서가 위치하고,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외측에는 센서홀더(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센서홀더의 상측에는 렌즈구동장치(10)가 위치할 있다. 또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외측에 렌즈구동장치(10)가 위치하고,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내측에 이미지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렌즈구동장치(10)의 내측에 수용된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렌즈구동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에는 렌즈구동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 모듈과 광축이 일치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센서는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조사되는 광을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일례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구동장치(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는 렌즈구동장치(10)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렌즈구동장치(10)를 이루는 구성 각각에 대하여 공급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진폭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구동장치(10)를 제어하여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렌즈구동장치(10)를 제어하여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tilt) 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의 피드백(Feedback)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어부는 센서부(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보빈(210) 또는 하우징(310)의 위치를 수신하여 제1구동부(220) 내지 제3구동부(420)에 인가하는 전원 또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렌즈구동장치(1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10)는, 커버 부재(100),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고정자(400), 베이스(500), 지지부재(600) 및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10)에서는 커버 부재(100),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고정자(400), 베이스(500), 지지부재(600) 및 센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특히, 센서부는, 오토 포커스 피드백 기능 및/또는 손떨림 보정 피드백 기능을 위한 구성으로 생략가능하다.
커버 부재(100)는, 렌즈구동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부재(100)는, 상판(101)과, 상판(101)의 외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판(10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커버 부재(100)의 측판(102)의 하단은, 베이스(500)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 부재(100)와 베이스(5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고정자(400) 및 지지부재(60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00)는, 내측면이 베이스(500)의 측면 일부 또는 전부와 밀착하여 베이스(5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커버 부재(10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 침투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커버 부재(100)는, 일례로서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커버 부재(100)는, 금속의 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100)는 전파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커버 부재(100)는, 렌즈구동장치(1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전파가 커버 부재(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100)는, 커버 부재(100) 내부에서 발생된 전파가 커버 부재(100) 외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커버 부재(100)의 재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부재(100)는 상판(101)에 형성되어 렌즈 모듈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10)는, 렌즈 모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110)의 크기는, 렌즈 모듈이 개구부(110)를 통해 조립될 수 있도록 렌즈 모듈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10)를 통해 유입된 광이 렌즈 모듈을 통과할 수 있다. 한편,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로 전달될 수 있다.
제1가동자(200)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요소인 렌즈 모듈(단, 렌즈 모듈은 렌즈구동장치(10)의 구성요소로 설명될 수도 있다)과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제1가동자(20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가동자(200)의 내주면에 렌즈 모듈의 외주면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가동자(200)는, 제2가동자(30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렌즈 모듈과 일체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제1가동자(200)는 렌즈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1가동자(200)는, 보빈(210)과 제1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자(200)는, 렌즈 모듈과 결합하는 보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자(200)는, 보빈(210)에 위치하며 제2구동부(32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이동하는 제1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210)은 렌즈 모듈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보빈(210)의 내주면에는 렌즈 모듈의 외주면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보빈(210)에는 제1구동부(2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빈(210)의 하부는 하측 지지부재(620)와 결합되고, 보빈(210)의 상부는 상측 지지부재(61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우징(3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우징(310)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보빈(210)은, 내측에 형성되는 렌즈 결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결합부(211)에는 렌즈 모듈이 결합될 수 있다. 렌즈 결합부(211)의 내주면에는 렌즈 모듈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렌즈 결합부(211)의 내주면에 렌즈 모듈의 외주면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렌즈 모듈과 보빈(210) 사이에는 접착제가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는 자외선(UV)에 의해 경화되는 에폭시일 수 있다. 즉, 렌즈 모듈과 보빈(210)은 자외선 경화 에폭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과 보빈(210)은 열에 의해 경화되는 에폭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보빈(210)은, 제1구동부(220)가 권선되거나 장착되는 제1구동부 결합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 결합부(212)는, 보빈(210)의 외측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부 결합부(212)는, 보빈(2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부 결합부(212)는, 보빈(210)의 외측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에는 제1구동부(22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제1구동부(220)는 제1구동부 결합부(2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빈(210)은, 상측 지지부재(610)와 결합되는 상측 결합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결합부(213)는, 상측 지지부재(610)의 내측부(612)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측 결합부(213)의 돌기(미도시)는 내측부(612)의 홈 또는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측 지지부재(610)에 돌기가 구비되고 보빈(210)에 홈 또는 홀이 구비되어 양자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보빈(210)은, 하측 지지부재(620)와 결합되는 하측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측 결합부는 하측 지지부재(620)의 내측부(622)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측 결합부의 돌기(미도시)는 내측부(622)의 홈 또는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측 지지부재(620)에 돌기가 구비되고 보빈(210)에 홈 또는 홀이 구비되어 양자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측 결합부(213)는, 일례로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측 스토퍼(81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보빈(210)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측 스토퍼(810)가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에 안착하여 보빈(210)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나아가, 하측 스토퍼(810)와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는 하측 외에 추가 방향으로의 이동 가능 거리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보빈(210)의 이동 가능 거리는, 광축 방향과 수직한 적어도 3개의 방향으로 상응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3개의 방향은, 광축 방향인 z축 방향과 수직한 x축 방향, z축 방향 및 x축 방향과 수직한 y축 방향, z축 방향과 수직하고 x축 방향 및 y축 방향과 예각을 형성하는 대각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x축 방향과 대각 방향이 형성하는 예각은 45도 일 수 있다.
보빈(210)은 상측 스토퍼(81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보빈(210)이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틸트되는 경우, 상측 스토퍼(810)가 커버 부재(100)에 부딪혀 보빈(21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보빈(210)은, 하우징(310)의 제1측면(316)과 대향하는 제1면(216), 제2측면(317)과 대향하는 제2면(217), 제1면(216)과 제2면(217) 사이에 위치하는 제3면(21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측 스토퍼(900)는, 보빈(210)의 제3면(218)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면(216), 제3면(218), 및 제2면(217)은 연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1구동부(220)는, 제2가동자(300)의 제2구동부(320)와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구동부(220)는, 제2구동부(32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보빈(210)을 하우징(310)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제1구동부(22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은, 제1구동부 결합부(212)에 가이드되어 보빈(210)의 외측면에 권선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코일은 4 개의 코일이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이웃하는 2 개의 코일이 상호간 90°를 이루도록 보빈(21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구동부(220)가 코일을 포함하는 경우,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은 하측 지지부재(62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하측 지지부재(620)는, 코일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해 한 쌍으로 분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구동부(220)는 전원 공급을 위한 한 쌍의 인출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구동부(220)의 한 쌍의 인출선 각각은 한 쌍의 하측 지지부재(620) 각각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1구동부(220)는, 상측 지지부재(6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코일로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 주변에는 전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구동부(220)가 마그넷을 포함하고, 제2구동부(320)가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제1가동자(200)의 외측에 제1가동자(200)와 대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하측에 위치하는 베이스(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고정 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는, 베이스(500)와 고정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가동자(300)는, 베이스(500) 및/또는 회로기판(4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커버 부재(10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하우징(310) 및 제2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보빈(210)의 외측에 위치하는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가동자(300)는, 제1구동부(220)와 대향되게 위치하며 하우징(310)에 고정되는 제2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의 적어도 일부는 커버 부재(10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310)의 외측면은, 커버 부재(100)의 측판(102)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0)의 외측면 및 커버 부재(100)의 측판(102)의 내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하우징(310)이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 하우징(310)의 외측면과 커버 부재(100)의 측판(102)의 내측면은 평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310)이 커버 부재(100) 측으로 최대한 이동하면, 하우징(310)의 외측면과 커버 부재(100)의 측판(102)의 내측면이 면접하므로 하우징(310) 및/또는 커버 부재(100)에 발생되는 충격이 분산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일례로서 4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하우징(310)의 형상은, 커버 부재(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생산성을 고려하여 사출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310)은 OIS 구동을 위해 움직이는 부분으로써 커버 부재(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AF 모델에서는 하우징(310)이 베이스(5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AF 모델에서는, 하우징(310)이 생략되고 제2구동부(320)로서 구비되는 마그넷이 커버 부재(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어 제1가동자(2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내측에 상하 개방형의 내측 공간(311)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공간(311)에는 보빈(210)이 이동가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내측 공간(311)은 보빈(21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내측 공간(311)을 형성하는 하우징(310)의 내주면은 보빈(21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측면에 제2구동부(3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구동부(320)을 수용하는 제2구동부 결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구동부 결합부(312)는 제2구동부(320)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2구동부(320)는, 제2구동부 결합부(312)에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구동부 결합부(312)는 하우징(310)의 내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구동부(3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구동부(22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2구동부 결합부(312)는, 일례로서 하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구동부(3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구동부(420)와 제2구동부(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일례로서, 제2구동부(320)의 하단은 하우징(310)의 하단 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구동부 결합부(312)는, 일례로서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4개의 제2구동부 결합부(312) 각각에는 제2구동부(32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10)의 상부에는 상측 지지부재(610)가 결합되고, 하우징(310)의 하부에는 하측 지지부재(62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상측 지지부재(610)와 결합되는 상측 결합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결합부(313)는, 상측 지지부재(610)의 외측부(611)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측 결합부(313)의 돌기는 외측부(611)의 홈 또는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변형예로서 상측 지지부재(610)에 돌기가 구비되고 하우징(310)에 홈 또는 홀이 구비되어 양자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310)은, 하측 지지부재(620)와 결합되는 하측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측 결합부는 하측 지지부재(620)의 외측부(621)와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측 결합부의 돌기는 외측부(621)의 홈 또는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변형예로서 하측 지지부재(620)에 돌기가 구비되고 하우징(310)에 홈 또는 홀이 구비되어 양자가 결합될 수도 있다.
하우징(310)은, 제1측면과, 제1측면과 이웃하는 제2측면과, 제1측면 및 제2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코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의 코너부에는 상측 스토퍼(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상측 스토퍼는 커버 부재(100)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외부 충격에 의해 하우징(310)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측 스토퍼는 커버 부재(100)와 접촉하여 하우징(31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제1측면(316)과, 제1측면(316)과 이웃하는 제2측면(317)과, 제1측면(316) 및 제2측면(317)이 만나는 부분인 코너부(3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면(316)은 보빈(210)의 제1면(216)과 대향하고, 제2측면(317)은 보빈(210)의 제2면(217)과 대향하고, 코너부(318)는 보빈(210)의 제3면(218)과 대향할 수 있다. 한편, 제1측면(316)은 하측 스토퍼(810)의 제1면(811)과 대향하고, 제2측면(317)은 하측 스토퍼(810)의 제2면(812)과 대향하고, 코너부(318)는 하측 스토퍼(810)의 제3면(813)과 대향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우징(310)은 4개의 측면과 4개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4개의 코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측 스토퍼(900)는 4개의 코너부 측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구동부(320)는, 제1가동자(200)의 제1구동부(220)와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구동부(320)는, 제1구동부(22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1구동부(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320)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은 하우징(310)의 제2구동부 결합부(3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구동부(320)는,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마그넷이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이웃하는 2 개의 마그넷이 상호간 90°를 이루도록 하우징(31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구동부(320)는, 하우징(310)의 4 개의 측면에 등 간격으로 장착되어 내부 체적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구동부(320)은 하우징(310)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구동부(220)가 마그넷을 포함하고 제2구동부(320)가 코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고정자(400)는 제2가동자(300)의 하측에 대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고정자(400)는 제2가동자(30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고정자(400)는, 제2가동자(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자(400)의 중앙에는 렌즈 모듈과 대응되는 관통홀(411, 421)이 위치할 수 있다.
고정자(400)는, 일례로서 회로기판(410)과 제3구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400)는, 제3구동부(420)와 베이스(500) 사이에 위치하는 회로기판(4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400)는, 제2구동부(320)의 하측에 대향되게 위치되는 제3구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410)은, 연성의 회로기판인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410)은, 제3구동부(420)와 베이스(5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410)은 제3구동부(4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410)은 제1구동부(220) 또는 제2구동부(3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서, 회로기판(410)은, 측방 지지부재(630) 및 상측 지지부재(610)를 통해 제1구동부(2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회로기판(410)은, 일례로서 관통홀(411) 및 단자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410)은,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통과시키는 관통홀(411)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410)은 절곡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412)는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로기판(41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제3구동부(420)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2구동부(3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3구동부(42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구동부(420)의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2구동부(32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2구동부(320) 및 제2구동부(320)가 고정된 하우징(310)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제3구동부(420)는, 회로기판(410)에 실장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3구동부(420)는, 렌즈 모듈의 광을 통과시키는 관통홀(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렌즈구동장치(10)의 소형화(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를 고려할 때, 제3구동부(420)는 FP(Fine Pattern) 코일로 형성되어 회로기판(410)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다. FP 코일은, 일례로서 하측에 위치하는 제2센서부(720)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FP 코일은, 제2센서부(720)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대향하는 FP 코일은 상호간 비대칭일 수 있다.
베이스(500)는, 제2가동자(300)를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500)의 하측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보빈(210)의 렌즈 결합부(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5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500)의 관통홀(510)에는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500) 하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센서홀더에 적외선 필터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500)는, 일례로서 커버 부재(1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포집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포집부(520)는, 베이스(500)의 상면 상에 위치하며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여 커버 부재(100)와 베이스(500)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 상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제2센서부(720)가 결합되는 센서 장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센서부(720)는, 센서 장착부(53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2센서부(720)는, 하우징(310)에 결합된 제2구동부(320)를 감지하여 하우징(310)의 수평방향 움직임 또는 틸트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장착부(530)는, 일례로서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센서 장착부(530) 각각에는 제2센서부(7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센서부(720)는, 하우징(310)의 x축 및 y축 방향 움직임 모두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및 베이스(500) 중 어느 2개 이상을 연결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및 베이스(500) 중 어느 2개 이상을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각 구성요소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일례로서 상측 지지부재(610), 하측 지지부재(620), 및 측방 지지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600)는, 측방 지지부재(630)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각 지지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610)는, 일례로서 외측부(611), 내측부(612), 연결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610)는, 하우징(310)과 결합되는 외측부(611), 보빈(210)과 결합되는 내측부(612), 및 외측부(611)와 내측부(612)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610)는, 제1가동자(200)의 상부와 제2가동자(3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측 지지부재(610)는 보빈(210)의 상부와 하우징(3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610)의 내측부(612)는 보빈(210)의 상측 결합부(213)와 결합하고, 상측 지지부재(610)의 외측부(611)는 하우징(310)의 상측 결합부(313)와 결합할 수 있다.
내측부(612)는, 상측 스토퍼(9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측 스토퍼(900)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부(612)는, 일례로서 상측 스토퍼(900)의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세 개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지지부재(610)는, 일례로서 한 쌍의 상측 지지부재(610a, 61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측 지지부재(610)는, 제1상측 지지부재(610a) 및 제2상측 지지부재(6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측 지지부재(610a)와 제2상측 지지부재(610b) 각각은 코일로 구비되는 제1구동부(220)의 한 쌍의 인출선 각각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상측 지지부재(610a, 610b)는 회로기판(410)과 측방 지지부재(63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상측 지지부재(610)는 회로기판(4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1구동부(220)에 제공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620)는, 일례로서 외측부(621), 내측부(622), 연결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620)는, 하우징(310)과 결합되는 외측부(621), 보빈(210)과 결합되는 내측부(622), 및 외측부(621)와 내측부(622)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620)는, 제1가동자(200)의 하부와 제2가동자(3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하측 지지부재(620)는 보빈(210)의 하부와 하우징(3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재(620)의 내측부(622)에는 보빈(210)의 하측 결합부가 결합되고, 하측 지지부재(620)의 외측부(621)에는 하우징(310)의 하측 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다.
측방 지지부재(630)는, 고정자(400) 및/또는 베이스(500)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측 지지부재(610) 및/또는 제2가동자(300)에 타측이 결합될 수 있다. 측방 지지부재(630)는, 일례로서 고정자(400)에 일측이 결합되고 하우징(310)에 타측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측방 지지부재(630)는, 베이스(500)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측 지지부재(610)에 타측이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측방 지지부재(630)는, 제2가동자(3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제2가동자(30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틸트(tilt)될 수 있도록 한다.
측방 지지부재(630)는, 복수의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측방 지지부재(630)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 지지부재(630)는, 일례로서 대칭성을 고려하여 개수가 정해질 수 있다. 측방 지지부재(630)는, 일례로서 하우징(310)의 4개의 측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4개의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측방 지지부재(630) 또는 상측 지지부재(610)는, 일례로서 충격흡수를 위한 충격흡수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는, 측방 지지부재(630)와 상측 지지부재(6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는, 댐퍼와 같은 별도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는, 측방 지지부재(630)와 상측 지지부재(6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일부에 대한 형상 변경을 통해 실현될 수도 있다.
센서부(미도시)는, 오토 포커스 피드백(Feedback) 및 손떨림 보정 피드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는,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는, 일례로서 제1센서부(미도시) 및 제2센서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부는, 하우징(310)에 대한 보빈(210)의 상대적인 상하 유동을 센싱하여 AF 피드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센서부(720)는, 제2가동자(300)의 수평방향 움직임 내지는 틸트를 감지하여 OIS 피드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센서부는, 제1가동자(20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센서부는, 보빈(21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센서부는, 보빈(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센서 가이드홈(미도시)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센서부는, 보빈(210)의 움직임 또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1센서부는, 하우징(310)에 장착된 제2구동부(3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1센서부는 일례로서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센서부는, 제2구동부(3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을 감지하여 보빈(210)과 하우징(31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센서부(720)는, 고정자(400)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센서부(720)는, 회로기판(4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센서부(720)는, 일례로서 회로기판(410)의 하면에 배치되어 베이스(500)에 형성되는 센서 장착부(530)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센서부(720)는 일례로서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구동부(320)의 자기장을 센싱하여 고정자(400)에 대한 제2가동자(30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제2센서부(720)는, 일례로서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제2가동자(300)의 x축, y축 움직임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2센서부(720)는, 제3구동부(420)의 FP 코일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는 하측 스토퍼(810) 및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하측 스토퍼(810)는 '돌출부'로 호칭될 수 있으며,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는 '홈부' 또는 '홈'으로 호칭될 수 있다.
하측 스토퍼(810)는 보빈(210)에 위치할 수 있다. 하측 스토퍼(810)는, 보빈(2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스토퍼(810)는, 보빈(210)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하측 스토퍼(81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310)과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하측 스토퍼(810)는 보빈(210)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하우징(31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보빈(210)의 하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하측 스토퍼(810)는,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에 선택적으로 안착함으로써 하우징(310)에 대한 보빈(210)의 하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하측 스토퍼(810)는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하측 스토퍼(810)는 보빈(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하측 스토퍼(810) 중 대각 방향으로 마주보는 2개의 하측 스토퍼(810)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보빈(210)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이처럼 4개의 하측 스토퍼(810)를 2개씩 연결하는 2개의 가상의 선은 보빈(210)의 중심에서 직교할 수 있다. 하측 스토퍼(810)가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하측 스토퍼(810)가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에 안착할 때 하측 스토퍼(810)와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에 발생되는 충격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하측 스토퍼(810)는 하우징(310)의 코너부(318)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스토퍼(810)는 하우징(310)의 4개의 코너부에 대응되는 위치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스토퍼(810)는, 연결부(613)의 위치와 대응되는 하측 스토퍼(810)의 상면의 일부에 위치하는 경사면(815)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815)의 일부는, 상측 지지부재(610)의 연결부(613)와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경사면(815)은, 보빈(210)의 이동에 따라 연결부(613)와 하측 스토퍼(810)가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경사면(815)은, 보빈(210)의 이동에 따라 연결부(613)와 하측 스토퍼(810)의 상면이 접촉되더라도 연결부(613)가 가압되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측 스토퍼(810)는, 연결부(613, 623)와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하측 스토퍼(810)는 보빈(210)의 상하방향 이동에도 불구하고 연결부(613,623)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하측 스토퍼(810)는,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의 내측면과 대향하며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면(811), 제3면(813), 제2면(8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측 스토퍼(810)는, 제1면(811)과, 제1면(811)에 이웃하는 제3면(813)과, 제3면(813)에 이웃하는 제2면(8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면(811)은 하우징(310)의 제1측면(316)과 대향하고, 제3면(813)은 코너부(318)와 대향하고, 제2면(812)은 제2측면(317)과 대향할 수 있다. 제1면(811), 제3면(813), 제2면(812) 각각은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의 내측면과 평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면(811)은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의 제1대향면(821)과 대향하고, 제3면(813)은 제3대향면(823)과 대향하고, 제2면(812)은 제2대향면(822)과 대향할 수 있다.
제1면(811)과 제3면(813)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이때, 제1면(811)과 제3면(813)의 내측의 각도가 둔각일 수 있다. 제1면(811)과 제3면(813)이 이루는 각도는 130° 내지 140°일 수 있다. 일례로서, 제1면(811)과 제3면(813)이 이루는 각도는 135°일 수 있다. 이때, 제1면(811)과 제3면(813)이 이루는 각도 중 180°가 넘지 않는 측의 각도가 135°이며, 반대측의 각도는 225°일 수 있다. 제1면(811)과 제3면(813)이 이루는 각도는, 제2면(812)과 제3면(813)이 이루는 각도와 상응할 수 있다. 제1면(811)이 연장된 제1가상면과 제2면(812)이 연장된 제2가상면이 이루는 각도는 90°일 수 있다.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는, 하우징(310)에 위치할 수 있다.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는, 하우징(31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는, 하우징(31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는 하우징(310)의 상면 일부가 하측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는, 하측 스토퍼(810)와 대응되며 하측 스토퍼(810)가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는, 보빈(210)의 이동에 따라 하측 스토퍼(81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하우징(310)에 대한 보빈(210)의 이동 가능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는, 하측 스토퍼(810)와의 선택적인 접촉을 통해 하우징(310)에 대한 보빈(210)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 하한을 제한할 수 있다.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는, 하측 스토퍼(810)를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보빈(210)의 하우징(310)에 대한 이동 하한을 제공할 수 있다.
하측 스토퍼 수용부(820)는, 제1면(811)과 대향하는 제1대향면(821), 제2면(812)과 대향하는 제2대향면(822), 제3면(813)과 대향하는 제3대향면(8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면(811)과 제1대향면(821) 사이의 거리, 제2면(812)과 제2대향면(822) 사이의 거리, 제3면(813)과 제3대향면(823) 사이의 거리는 상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보빈(210)은 제1면(811)이 바라보는 x축 방향, 제2면(812)이 바라보는 y축 방향, 제3면(813)이 바라보는 대각 방향으로 상응한 거리만큼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1면(811)과 제1대향면(821) 사이의 거리, 제2면(812)과 제2대향면(822) 사이의 거리, 및 제3면(813)과 제3대향면(823) 사이의 거리는, 일례로서 70 내지 90μm일 수 있다. 또한, 제1면(811)과 제1대향면(821) 사이의 거리, 제2면(812)과 제2대향면(822) 사이의 거리, 및 제3면(813)과 제3대향면(823) 사이의 거리는, 일례로서 80μ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x축 방향, y축 방향, 대각 방향에 대하여 같은 거리 만큼 이동이 제한되므로 보빈(210)이 하우징(310)을 타격하는 경우에 x축 방향, y축 방향, 대각 방향 모두에서 동일한 충격량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제1면(811)과 제3면(813)이 이루는 각도 및 제2면(812)과 제3면(813)이 이루는 각도가 90°라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대각 방향 보다 루트 2배 만큼 더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더 큰 가속력으로 보빈(210)이 하우징(310)을 타격할 수 있게 되므로 보빈(210)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하우징(310)을 타격하면 충격량이 더 커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는 상측 스토퍼(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스토퍼(900)는 '돌기'로 호칭될 수 있다.
상측 스토퍼(900)는, 보빈(21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측 스토퍼(900)는, 커버 부재(100)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보빈(21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측 스토퍼(900)는, 보빈(210)의 최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보빈(210)에 틸트가 유도되더라도 틸트 최대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만, 상측 스토퍼(900)의 위치가 보빈(210)의 최외측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측 스토퍼(900)는 보빈(210)의 틸트 최대각을 허용 범위 내로 유지시킬 수 있는 어떠한 위치에도 위치할 수 있다.
상측 스토퍼(9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측 스토퍼(810)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하측 스토퍼(810)는 보빈(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 스토퍼(900)는 하측 스토퍼(8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측 스토퍼(900)가 보빈(210)의 최외측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측 스토퍼(90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310)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보빈(210)에 형성되는 상측 스토퍼(900)가 하우징(310)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기 위해서는 상측 스토퍼(900)가 보빈(210)의 외주면 보다도 외측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이 경우 보빈(210)의 틸트 최대각은 상측 스토퍼(900)에 의해 허용 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다.
상측 스토퍼(90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면(905)이 커버 부재(100)의 상판(101)과 평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보빈(210)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커버 부재(100)를 타격하는 경우 상측 스토퍼(900)의 상면(905)과 커버 부재(100)의 상판(101)의 내면이 면접하여 충격이 분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측 스토퍼(900)의 상면(905)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보빈(210)이 틸트되는 때에 상측 스토퍼(900)의 상면(905)이 커버 부재(100)의 상판(101)의 내면에 면접하도록 상측 스토퍼(900)의 상면(905)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스토퍼(900)는, 하우징(310)의 코너부(318)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측 스토퍼(900)는, 보빈(210)의 중심과 코너부(318)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위치할 수 있다. 상측 스토퍼(900)는, 하우징(310)의 코너부(318)에 대향하는 보빈(210)의 제3면(218)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측 스토퍼(900)는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고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보빈(210)의 중심으로부터 보다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측 스토퍼(900)는 하우징(310)의 4개의 코너부 측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4개의 코너부 측 각각에 위치하는 상측 스토퍼(900)는, 보빈(210)의 중심으로부터 상호간 상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즉, 상측 스토퍼(900)는 보빈(210)의 중심으로부터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측 스토퍼(900)는 내측부(612) 및 연결부(6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측 스토퍼(900)는 내측부(612) 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내측부(612)의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측 스토퍼(900)는, 일례로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부(612)는 육면체 형상의 상측 스토퍼(900)의 연속된 3개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스토퍼(900)는, 일례로서 내측면(901)과, 외측면(902)과, 내측면(901)과 외측면(902) 사이에 위치하는 제1측면(903)과, 제1측면(903)과 대향하는 제2측면(9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측부(612)는 내측면(901), 제1측면(903), 제2측면(904)을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측 스토퍼(900)는, 복수의 상측 결합부(2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측 스토퍼(900)를 기준으로 2개의 상측 결합부(213)가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2개의 상측 결합부(213)는 상측 스토퍼(900)로부터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서, 보빈(210)에 상측 스토퍼(900)는 4개, 상측 결합부(213)는 8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의 (a)와 도 6의 (a)는 비교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b)와 도 6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비교예의 상측 스토퍼(900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상측 스토퍼(900)와 비교하여 내측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상측 스토퍼(900)는 비교예의 상측 스토퍼(900a) 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보빈(210)이 커버 부재(100)에 대하여 정위치에 위치하는 도 5에서는 비교예(a) 및 본 실시예(b) 모두에서 차이가 없으나, 보빈(210)이 커버 부재(100)에 대하여 최대로 틸트된 도 6에서는 비교예(a)에서 보빈(210)이 틸트된 각도(α)와 본 실시예(b)에서 보빈(210)이 틸트된 각도(β)가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비교예(a)의 보빈(210)의 최대 틸트각(α)가 본 실시예(b)의 보빈(210)의 최대 틸트각(β) 보다 큼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b)의 보빈(210)의 최대 틸트각(β)이 비교예(a)의 보빈(210)의 최대 틸트각(α) 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b)는 비교예(a) 보다 보빈(210)이 틸트에 의해 커버 부재(100)를 타격하는 경우에도 보빈(210) 및/또는 커버 부재(100)에 발생되는 충격량이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을 설명한다. 제1구동부(220)의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1구동부(220)와 제2구동부(320)의 마그넷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구동부(220)가 제2구동부(320)에 대하여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1구동부(220)가 결합된 보빈(210)은 제1구동부(220)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즉, 렌즈 모듈이 내측에 결합된 보빈(210)이 하우징(3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보빈(210)의 이와 같은 이동은,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렌즈 모듈이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결과가 되므로 피사체에 대한 포커스 조절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의 보다 정밀한 실현을 위해 오토 포커스 피드백이 적용될 수 있다. 보빈(210)에 장착되며 홀센서로 구비되는 제1센서는, 하우징(310)에 고정된 제2가동부(320)의 마그넷의 자기장을 감지한다. 한편, 보빈(210)이 하우징(310)에 대하여 상대적인 이동을 수행하면, 제1센서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양이 변화하게 된다. 제1센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빈(210)의 z축 방향의 이동량 또는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값을 제어부로 송신한다. 제어부는 수신한 감지값을 통해 보빈(210)에 대한 추가적인 이동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실시간으로 발생되므로 오토 포커스 피드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은 보다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기능을 설명한다. 제3구동부(420)의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3구동부(420)와 제2구동부(320)의 마그넷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2구동부(320)가 제3구동부(420)에 대하여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2구동부(320)가 결합된 하우징(310)은 제2구동부(320)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즉, 하우징(310)이 베이스(50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때 하우징(310)이 베이스(500)에 대하여 틸트(tilt)가 유도될 수도 있다. 하우징(310)의 이와 같은 이동은,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렌즈 모듈이 이미지 센서가 놓여있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결과가 되므로 손떨림 보정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기능의 보다 정밀한 실현을 위해 손떨림 보정 피드백이 적용될 수 있다. 베이스(500)에 장착되며 홀센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센서부(720)는, 하우징(310)에 고정된 제2구동부(320)의 마그넷의 자기장을 감지한다. 한편, 하우징(310)이 베이스(50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수행하면, 제2센서부(720)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양이 변화하게 된다. 한 쌍의 제2센서부(72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우징(310)의 수평방향(x축 및 y축 방향)의 이동량 또는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값을 제어부로 송신한다. 제어부는 수신한 감지값을 통해 하우징(310)에 대한 추가적인 이동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실시간으로 발생되므로 손떨림 보정 피드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기능은 보다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버부재 200: 제1가동자
300: 제2가동자 400: 고정자
500: 베이스 600: 지지부재
810: 하측 스토퍼 820: 하측 스토퍼 수용부
900: 상측 스토퍼

Claims (1)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넷;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보빈을 연결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외측면에서 광축 방향과 수직한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외측부와,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와 오버랩 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사다리꼴 형상에 대응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는 상기 커버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보빈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보빈의 상기 돌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
KR1020230073200A 2015-08-18 2023-06-07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093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200A KR20230093189A (ko) 2015-08-18 2023-06-07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215A KR102542645B1 (ko) 2015-08-18 2015-08-18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0230073200A KR20230093189A (ko) 2015-08-18 2023-06-07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215A Division KR102542645B1 (ko) 2015-08-18 2015-08-18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189A true KR20230093189A (ko) 2023-06-27

Family

ID=581582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215A KR102542645B1 (ko) 2015-08-18 2015-08-18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0230073200A KR20230093189A (ko) 2015-08-18 2023-06-07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215A KR102542645B1 (ko) 2015-08-18 2015-08-18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9829673B2 (ko)
KR (2) KR102542645B1 (ko)
CN (2) CN1123632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107B1 (ko) * 2013-07-12 2020-05-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5900006B (zh) * 2014-01-10 2018-05-25 夏普株式会社 摄像机组件
KR102542645B1 (ko) * 2015-08-18 2023-06-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10901171B2 (en) * 2016-11-14 2021-01-26 Tdk Taiwan Corp. Lens driving mechanism
CN114895509B (zh) * 2017-02-24 2024-03-19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器具
KR102407884B1 (ko) * 2017-08-31 2022-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463864B1 (ko) * 2017-11-27 2022-1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EP4372453A3 (en) * 2017-06-30 2024-06-05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CN114760397B (zh) * 2017-07-04 2023-11-17 Lg伊诺特有限公司 摄像头模块
JP6731657B2 (ja) * 2017-10-17 2020-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メラ
USD902980S1 (en) * 2018-01-12 2020-11-24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USD902982S1 (en) * 2018-01-12 2020-11-24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USD891504S1 (en) * 2018-01-12 2020-07-28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KR102602757B1 (ko) * 2018-04-05 2023-11-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KR102609149B1 (ko) * 2018-10-15 2023-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CN112929520B (zh) * 2019-12-06 2022-08-09 华为技术有限公司 摄像头马达、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CN113890963A (zh) * 2020-07-03 2022-01-04 晋城三赢精密电子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具有所述摄像头模组的电子装置
KR20220109674A (ko) * 2021-01-29 2022-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8337A (ja) * 2001-04-20 2002-10-31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ム機構及びレンズ装置
KR100486246B1 (ko) * 2002-02-26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이를 채용한 광기록/재생 장치
JP2005017404A (ja) * 2003-06-23 2005-01-20 Olympus Corp ファインダ装置
JP2005195845A (ja) * 2004-01-07 2005-07-21 Alps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TWI254293B (en) * 2004-07-02 2006-05-01 Ind Tech Res Inst Optical read-write head
KR20060071251A (ko) * 2004-12-21 2006-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렌즈홀더 방열 구조
KR100759510B1 (ko) * 2006-03-08 2007-09-18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체 렌즈
US7580209B2 (en) * 2006-09-15 2009-08-25 Flextronics Ap, Llc Auto-focus and zoom module with vibrational actuator and position sensing method
JP5338025B2 (ja) * 2006-10-27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5008414B2 (ja) * 2007-02-13 2012-08-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08268475A (ja) * 2007-04-19 2008-11-06 Tricore Corp ボイスコイル型のレンズ駆動装置
JP4543072B2 (ja) * 2007-10-24 2010-09-15 シャープ株式会社 ケース部材、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情報機器
JP5207746B2 (ja) * 2008-01-17 201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4424424B2 (ja) * 2008-01-31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5071680B2 (ja) * 2008-07-07 2012-11-1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20110181740A1 (en) * 2008-09-30 2011-07-28 Hiroyuki Watanabe Image blur correction device, imaging lens unit, and camera unit
CN101752974B (zh) * 2008-12-02 2012-1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平板弹片
KR101058679B1 (ko) * 2009-02-16 2011-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WO2010095853A2 (en) * 2009-02-17 2010-08-26 Lg Innotek Co., Ltd. Motor for driving lens
JP2010224306A (ja) * 2009-03-24 2010-10-07 Sony Corp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KR101594320B1 (ko) * 2009-05-21 201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EP2280213B1 (en) * 2009-07-28 2016-04-06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KR101591954B1 (ko) * 2009-12-21 2016-02-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06560B1 (ko) * 2010-01-05 2012-11-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177185B1 (ko) * 2010-02-22 2012-08-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셔터 장치
CN105048760B (zh) * 2010-07-06 2018-02-09 Lg伊诺特有限公司 音圈电机、线圈组件及其制造方法
KR101741817B1 (ko) * 2010-07-19 2017-05-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US8836177B2 (en) * 2010-07-30 2014-09-16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KR101776085B1 (ko) * 2010-12-13 2017-09-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US8912690B2 (en) * 2010-12-13 2014-12-16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US9035502B2 (en) * 2011-02-07 2015-05-19 Lg Innotek Co., Ltd. Multifunctional voice coil motor
TWI493838B (zh) * 2011-06-03 2015-07-21 Hon Hai Prec Ind Co Ltd 音圈馬達及取像模組
JP2012255972A (ja) * 2011-06-10 2012-12-27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
US8929005B2 (en) * 2011-11-16 2015-01-06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KR101971639B1 (ko) * 2011-11-30 2019-08-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CN103163621B (zh) * 2011-12-16 2015-07-15 佳能企业股份有限公司 镜头机构
TWI537627B (zh) * 2011-12-29 2016-06-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音圈馬達及鏡頭模組
CN102426404B (zh) * 2011-12-29 2013-07-03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用于切换组件的精确定位机构
EP2816403A4 (en) * 2012-02-14 2015-11-04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CONTROL DEVICE AND CAMERA
WO2013136053A1 (en) * 2012-03-10 2013-09-19 Digitaloptics Corporation Miniature camera module with mems-actuated autofocus
KR20130127780A (ko) * 2012-05-15 2013-11-2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202748519U (zh) * 2012-08-01 2013-02-20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镜头对焦装置
JP2014066935A (ja) * 2012-09-26 2014-04-17 Iwatani Internatl Corp レンズ駆動装置
WO2014076959A1 (ja) * 2012-11-16 2014-05-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メラ駆動装置
KR102079758B1 (ko) * 2012-12-14 2020-0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CN103901581A (zh) * 2012-12-28 2014-07-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支架及具有该支架的镜头模组
CN114967028A (zh) * 2013-05-29 2022-08-30 Lg伊诺特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照相机模块和移动电话
KR102128839B1 (ko) * 2013-07-15 2020-07-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117107B1 (ko) * 2013-07-12 2020-05-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3501402B (zh) * 2013-08-13 2017-10-13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摄像头模组的控制方法及摄像头模组
KR102214331B1 (ko) * 2013-11-05 2021-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720204B2 (en) * 2013-12-04 2017-08-01 Lg Innotek Co., Ltd.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131420B1 (ko) * 2013-12-04 2020-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KR102209118B1 (ko) * 2013-12-04 2021-0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모터
JP6391433B2 (ja) * 2013-12-17 2018-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部材を光路から退避可能な光学装置
EP3713062A1 (en) * 2013-12-23 2020-09-23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JP6441368B2 (ja) * 2014-01-02 2018-12-19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210725B1 (ko) * 2014-01-07 2021-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5166849A (ja) * 2014-01-06 2015-09-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ンズ鏡筒
US9451167B2 (en) * 2014-01-28 2016-09-20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EP2916153B1 (en) * 2014-03-05 2021-04-0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9195026B1 (en) * 2014-08-08 2015-11-24 Topray Mems Inc. Step response suppression structure of lens driving apparatus
KR102305996B1 (ko) * 2014-08-14 2021-09-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451891B2 (en) * 2014-10-17 2019-10-22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EP3413119A1 (en) * 2014-12-17 2018-12-12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CN105744125B (zh) * 2014-12-24 2020-06-26 Lg伊诺特有限公司 摄像头模块
CN112114467B (zh) * 2015-01-20 2022-06-14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摄影机模块及光学设备
CN112782906B (zh) * 2015-01-28 2022-11-22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摄像头模块和光学装置
EP3088931A1 (en) * 2015-04-30 2016-11-02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42645B1 (ko) * 2015-08-18 2023-06-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11294172B2 (en) * 2017-01-03 2022-04-05 Tdk Taiwan Corp.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CN114895509B (zh) * 2017-02-24 2024-03-19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29673B2 (en) 2017-11-28
CN112363293A (zh) 2021-02-12
US20170052342A1 (en) 2017-02-23
CN106468812A (zh) 2017-03-01
US10386596B2 (en) 2019-08-20
US10845567B2 (en) 2020-11-24
KR20170021610A (ko) 2017-02-28
KR102542645B1 (ko) 2023-06-14
US20180059358A1 (en) 2018-03-01
CN112363293B (zh) 2022-10-25
CN106468812B (zh) 2020-11-24
US20190339481A1 (en)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2645B1 (ko)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96541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41438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13041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102607892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113716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040314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047070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106547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09414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40063834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56055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70034640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71260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73465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51233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87238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84439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06545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90115B1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65481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19129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