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902A - 공공 및 비공공 건물 구역들을 서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설치물 - Google Patents

공공 및 비공공 건물 구역들을 서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설치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902A
KR20230092902A KR1020237013193A KR20237013193A KR20230092902A KR 20230092902 A KR20230092902 A KR 20230092902A KR 1020237013193 A KR1020237013193 A KR 1020237013193A KR 20237013193 A KR20237013193 A KR 20237013193A KR 20230092902 A KR20230092902 A KR 20230092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public
controll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카스 핀쉬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9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a single car or c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07Setting or modification of parameters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Abstract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18) 내의 건물 (2) 의 층들 (L0, L, L1, Ln)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의해 제어하에서 이동가능하고, 제 1 카 벽 (10d) 상의 제 1 카 도어 (10a) 및 제 2 카 벽 (10c) 상의 제 2 카 도어 (10b) 의 2 개의 카 도어들 (10a, 10b) 을 갖는 엘리베이터 카 (10) 를 가진다. 샤프트 도어들 (6, 6a) 의 제 1 그룹은 건물 (2) 의 공공 구역들 (Zp1, Zp2) 에 배열되고, 샤프트 도어들 (7, 7a) 의 제 2 그룹은 건물 (2) 의 비공공 구역들 (Zs1, Zs2) 내에 배열된다.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공공 구역들 (Zp1, Zp2) 이 서빙되는 제 1 작동 모드를 가지며, 이에 따라 공공 구역 (Zp1, Zp2) 에 대한 카 도어 (10a) 및 샤프트 도어 (6) 만이 작동된다. 제 2 작동 모드에서, 비공공 구역들 (Zs1, Zs2) 이 서빙되고, 이에 따라, 비공공 구역들 (Zs1, Zs2) 에 대한 카 도어 (10b) 및 샤프트 도어 (7, 7a) 만이 활성화된다.

Description

공공 및 비공공 건물 구역들을 서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설치물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은 일반적으로 건물에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특히 접근 제어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치물 및 이러한 엘리베이터 설치물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대한 접근 또는 건물 내의 접근 제한 구역에 대한 접근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키, 접근 코드 (PIN, 광학 코드 (바코드, QR 코드, 컬러 코드)) 와 같은 접근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술에 따라, 사용자가 유효한 자격을 갖는 경우, 물리적 장벽 (예를 들어, 문, 장벽 또는 잠금들) 을 잠금해제하고 사용자를 위해 그것을 해제할 수 있다. EP 2 588 399 B1 에는 엘리베이터 설치물과 관련하여 접근 제어 기능이 또한 수행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전술한 접근법들은 건물 또는 그의 접근 제한 구역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지만, 그에 의해 건물 또는 그의 기반시설에 복잡한 변경들을 제공하지 않고 건물에서 추가적인 제어 기능에 대한 요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들을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족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의 일 양태는 엘리베이터 제어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및 다수의 샤프트 도어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치물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제어기에 의해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건물의 층들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2 개의 카 도어들, 즉 제 1 카 벽에 제 1 카 도어 및 제 2 카 벽에 제 2 카 도어를 갖는다. 샤프트 도어들은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층들로부터 분리시키고, 샤프트 도어들의 제 1 그룹은 건물의 공공 구역에 배열되고, 샤프트 도어들의 제 2 그룹은 건물의 비공공 구역에 배열된다. 엘리베이터 제어기는 제 1 작동 모드 및 제 2 작동 모드를 갖는다. 제 1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는 층들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고 공공 구역들을 서빙하도록 구성된다. 서빙될 층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는, 서빙될 층에서 거기에서 공공 구역에 배열된 샤프트 도어의 개방을 야기하는, 카 도어의 개방을 제어한다. 제 2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는 층들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고 공공 구역들을 서빙하도록 구성된다. 서빙될 층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는, 서빙될 층에서 거기에서 비공공 구역에 배열된 샤프트 도어의 개방을 야기하는, 카 도어의 개방을 제어한다.
여기에 기재된 본 기술의 다른 양태는 엘리베이터 설치물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 승강기 설치물은 선행하는 문단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본 방법은 제 1 작동 모드 또는 제 2 작동 모드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카는 공공 구역들을 서빙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 방식으로 층들 사이에서 이동되고, 서빙될 층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는 서빙될 층에서, 거기에서 공공 구역에 배열된 샤프트 도어의 개방을 야기하는 카 도어의 개방을 제어한다. 제 2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카는 비공공 구역들을 서빙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 방식으로 층들 사이에서 이동되고, 서빙될 층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는 서빙될 층에서, 거기에서 비공공 구역에 배열된 샤프트 도어의 개방을 야기하는 카 도어의 개방을 제어한다.
여기에 기재된 기술은 엘리베이터 설치물에 선행 기술의 대안인 접근 제어 기능을 구비할 수 있게 한다. 엘리베이터 제어기는 제 1 작동 모드 및 제 2 작동 모드를 가지며, 이들 2 개의 작동 모드들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제 1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는 공공 구역들을 갖는 층들로부터만 그리고 층들로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고, 제 2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는 비공공 구역들을 갖는 층들로부터만 그리고 층들로부터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근 제어 층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건물 내에 층을 규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회사의 리셉션 영역 또는 호텔 리셉션이 그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공공 구역을 통해 건물에 진입하고 거기에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하는 승객은, 초기에 엘리베이터 설치물에 의해 다른 공공 건물 구역, 특히 접근 제어 층으로만 운반될 수 있다. 리셉션 구역 또는 리셉션에서 감지된 후, 그들은 거기에서 건물 내의 원하는 활용 층까지 이송하기 위해 접근 제어 층 상의 비공공 구역에 진입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기술은 또한 공공 구역이 있는 층들만을 서빙하는 추가적인 셔틀 엘리베이터가 요구되지 않고 접근 제어 층이 전술한 방식으로 서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2 개의 작동 모드들은 동일한 엘리베이터 (따라서, 예를 들어, 또한 동일한 엘리베이터 샤프트) 가 공공 구역들이 있는 층들 사이의 트립들에 대해 뿐만 아니라 비공공 구역들이 있는 층들 사이의 트립들에 대해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셔틀 엘리베이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건물 내에 엘리베이터 설치물을 위한 공간이 더 적게 필요하다. 그 다음, 건물은, 예를 들어, 더 작은 풋프린트로 계획 및 구성될 수 있거나,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공간은 상이한 용도를 위해 이용가능할 것이다. 엘리베이터 설치물의 더 작은 공간 요건은, 예를 들어 건축가들이 건물의 계획 및 설계에 더 많은 자유를 가질 수 있게 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접근 제어 기능은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상태 신호가 엘리베이터 카에 승객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낼 때만 2 개의 작동 모드들 사이의 전환이 가능하다는 사실에 의해 지원된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작동 모드의 변경 전에, 엘리베이터 카가 비어 있는지 여부가 체크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엘리베이터 카에 배열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정보 유닛이 엘리베이터 카에 배열된다. 엘리베이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정보 유닛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가 목적지 층에 도착하고 엘리베이터 제어기가 작동 모드를 변경해야 할 때, 승객이 엘리베이터 카를 떠나도록 촉구하는 통지, 특히 시청각 통지를 생성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보 유닛은 공공 구역들이 있는 층들, 특히 접근 제어 층만이 서빙될 것임을 승객에게 알리는 통지를 생성한다. 그러한 통지는, 예를 들어 승객이 공공 구역에서 엘리베이터 카에 진입할 때 이루어진다. 통지는 또한 승객에게 리셉션으로 가도록 알려주거나 요청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에서의 승객의 통지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승객의 통지는 이미 층의 공공 구역에서 실시할 수 있다. 승객에게 통지하기 위한 전술한 가능성들로 인해, 승객은 엘리베이터 설치물을 사용하고 그리고 건물 내에서 자신들을 배향시키는데 도움을 받는다.
여기서 기술되는 기술은 단일 엘리베이터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치물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엘리베이터 그룹 또는 여러 개의 엘리베이터 그룹들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설치물은 엘리베이터들의 그룹을 포함하며, 이 엘리베이터 그룹 내의 하나의 엘리베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고, 그룹 내의 다른 엘리베이터들은 각각 제 1 카 도어 및 제 2 카 도어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를 갖는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는 따라서 각각 2 개의 카 벽들 상에 카 도어를 갖는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건물 내의 엘리베이터 그룹의 엘리베이터들은 일렬로 서로 옆에 배열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 그룹의 모든 엘리베이터 카들이 이러한 2 개의 카 도어들을 구비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기술되는 기술은 이와 관련하여 설계 자유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 기술이 제공하는 접근 제어 기능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엘리베이터 그룹에서, 엘리베이터들의 배열은 일렬로 전술한 배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서브-그룹은 단일 카 도어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를 각각 갖는 엘리베이터들을 갖는다. 엘리베이터 그룹의 나머지 부분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들) 에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는 2 개의 카 도어들을 갖는다. 엘리베이터 그룹의 엘리베이터들은, 접근 제어 층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의 제 2 카 도어 및 엘리베이터 서브-그룹의 단일 카 도어들이 제 1 비공공 구역 상으로 개방되도록 건물 내에 배열된다. 따라서, 비공공 구역은 엘리베이터 서브-그룹과 엘리베이터 그룹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다.
개선된 기술의 다양한 양태들이 도면들과 함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도 1 은 다수의 층들을 갖는 건물에서의 예시적인 상황 및 예시적인 엘리베이터 설치물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4 개의 엘리베이터들을 갖는 예시적인 엘리베이터 설치물을 갖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건물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접근 제어 층의 레벨에서 도 2 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물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접근 제어 층의 레벨에서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물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엘리베이터 설치물을 작동시키는 방법의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 은 엘리베이터 설치물을 작동시키는 방법의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 은 엘리베이터 설치물을 작동시키는 방법의 제 3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 은,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에 의해 서빙되는 복수의 층들 (L0, L, Ln) 을 갖는 건물 (2) 에서 예시적인 상황의 개략도이다. 여기서 기술되는 기술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건물-내부 접근 제어는 층 (L) 에서 수행되고; 이하에서, 층 (L) 은 또한 접근 제어 층 (L) 으로 지칭된다. 도 1 에 도시된 상황에서, 건물 (2) 은 접근 제어 층 (L)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층 (L0) 및 접근 제어 층 (L) 위에 여러 개의 층들 (Ln) 을 갖는다. 사람은 특정 목적을 위해 층들 (Ln)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층 (L0) 에서 건물 (2) 에 진입할 수 있다. 층 (L0) 은 또한 아래에서 접근 층 (L0) 으로 지칭되고, 층 (Ln) 은 또한 이용 층 (Ln) 으로 지칭된다. 당업자는 "접근 제어 층", "접근 층" 및 "이용 층" 이라는 명칭이 예로서 존재하고 층들 (L0, L, Ln) 의 보다 양호한 구별을 위해 여기에서 선택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는 또한 층들 (L0, L, Ln) 의 배열 및/또는 구성이 건물 (2) 에 맞추어지고 이에 따라 도 1 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설명을 위해, 도 1 은,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중,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구동 기계 (14), 서스펜션 수단 (16) (예를 들어, 강철 케이블 또는 플랫 벨트들), 및 엘리베이터 카 (10) (이하, 카 (10) 라고도 함) 만을 도시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서스펜션 수단 (16) 상에 현가되고 그리고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및 다수의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들 (4) 의 제어하에서 샤프트 (18) 내에서 이동가능하다. 당업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이 또한 그룹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들 (18) 에서 복수의 카들 (10) 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견인식 엘리베이터 대신,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은 또한 하나 이상의 유압식 엘리베이터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카 (10) 는 제 1 캐빈 벽 (10d) 상에 제 1 카 도어 (10a) 및 제 2 캐빈 벽 (10c) 상에 제 2 카 도어 (10b) 를 갖는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24) 및 정보 디바이스 (25) 가 카 (10) 에 배열된다. 모니터링 디바이스 (24) 는 승객 (P) 이 엘리베이터 카 (10) 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모니터링 디바이스 (24) 는, 예를 들어 연관된 이미지 처리 디바이스를 갖는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승객 (P) 의 존재가 검출될 수 있다. 당업자는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이 자율적으로 이동가능한 물체 (로봇) 또는 다른 물체를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고; 따라서 "승객" 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물체도 포함한다.
도 1 은 또한 엘리베이터 샤프트 (18) 를 층들 (L0, L, Ln) 로부터 분리하는 다수의 샤프트 도어들 (6a, 6b, 7, 7a) 을 도시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샤프트 도어 (6a, 6b, 7, 7a) 는 엘리베이터 카 (10) 가 층 (L0, L, Ln) 에 위치될 때 카 도어들 (10a, 10b) 중 하나에 결합되어 개폐되고, 이에 의해 카 도어 (10a, 10b) 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도 1 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접근 제어 층 (L) 상에서, 제 1 샤프트 도어 (6) 는 건물 (2) 의 제 1 공공 구역 (Zp1) 에 배열되고, 제 2 샤프트 도어 (7) 는 건물 (2) 의 제 1 비공공 구역 (Zs1) 에 배열된다. 접근 층 (L0) 상에는 제 3 샤프트 도어 (6a) 가 건물의 제 2 공공 구역 (Zp2) 에 배열된다. 이용 층 (Ln) 상에는 제 4 샤프트 도어 (7a) 가 제 2 비공공 구역 (Zs2) 에 배열된다. 당업자는 추가 공공 구역 및 비공공 구역 (Zp, Zs) 이 건물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통신 네트워크 (22) 는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들 (4) 을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연결하고, 이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와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들 (4) 사이에서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통신을 위해,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들 (4) 및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통신 네트워크 (22) 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통신 네트워크 (22) 는 통신 버스 시스템, 개별 데이터 라인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 (22) 의 구현에 의존하여, 개별 어드레스들 및/또는 식별자들이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및 각각의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 (4) 에 할당될 수도 있어서,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가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 (4) 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은 유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예를 들어,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들 (4) 에는 통신 네트워크 (22) (PoE) 를 통해 전기 에너지가 공급된다.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 (4) 가 카 (10) 에 배열되는 경우, 통신 라인 (20) 은 통신을 위해 그리고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 (4) 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사용된다.
도 1 에 도시된 상황에서 그리고 엘리베이터 설치물 (1) 및 그 작동 모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을 사용하여 건물 (2) 에 제어 기능이 제공된다. 간략하게 그리고 예로서 요약하면, 여기서 기술되는 기술에 따라서 2 개의 작동 모드들이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에 제공된다. 제 1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층들 (L, L0)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카 (10) 를 이동시키고 공공 구역들 (Zp1, Zp2) 을 서빙한다. 서빙될 층들 (L, L0) 중 하나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서빙될 층 (L, L0) 에서 거기에서 공공 구역 (Zp1, Zp2) 에 배열된 샤프트 도어 (6, 6a) 의 개방을 야기하는, 카 도어 (10a, 10b) 의 개방을 제어한다. 제 2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층들 (L, Ln)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카 (10) 를 이동시키고 비공공 구역들 (Zs1, Zs2) 을 서빙한다. 이 경우에,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서빙될 층들 (L, Ln) 중 하나상의 카 도어 (10a, 10b) 의 개방을 제어하고, 이는 서빙될 층 (L, Ln) 상에서 거기에서 비공공 구역 (Zp1, Zp2) 에 배열된 샤프트 도어 (7, 7a) 의 개방을 야기한다. 본 설명의 다른 곳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작동 모드는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어 있을 때만 변경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승객 (P) 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접근 층 (L0) 상의 공공 구역 (Zp2) 으로부터 이용 층 (Ln) 으로 그리고 거기에서 비공공 구역 (Zs2) 으로 이동하기를 원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 (10) 는 먼저 이들을 접근 제어 층 (L) 으로 운반할 것이다.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은 제 1 작동 모드에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엘리베이터 카 (10) 는 공공 구역들 (Zp1, Zp2) 이 있는 층들 (L0, L) 로부터 그리고 층들로만 이동할 것이다. 승객 (P) 이 접근 제어 층 (L) 상에서 카 (10) 를 떠나 공공 구역 (Zp1) 에 진입할 때, 그 곳에서 승객 (P) 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여지고, 인식되며, 인사되고 그리고/또는 등록됨).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카 (10) 는 이어서 비어 있고, 제 1 작동 모드로부터 제 2 작동 모드로의 변경이 발생할 수 있다. 제 2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카 (10) 는 비공공 구역들 (Zs1, Zs2) 이 있는 층들 (L0, Ln) 로부터 그리고 층들로만 이동된다. 접근 제어 층 (L) 상에서,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승객 (P) 이 공공 구역 (Zp1) 으로부터 비공공 구역 (Zp1) 으로 진입하면, 그들은 원하는 이용 층 (Ln) 으로 운반되도록 그곳으로부터 카 (10) 에 진입할 수 있다.
접근 제어 층 (L) 은, 예를 들어 회사의 리셉션 영역 또는 호텔 리셉션을 포함할 수 있고, 회사의 룸 또는 호텔 룸은 적어도 하나의 이용 층 (Ln) 상에 위치된다. 회사 또는 호텔의 경우에는, 모든 승객 (P) 이 그 곳의 직원에 의해 등록되도록, 이들이 정기적으로 또는 최초에 인지/등록 또는 비인지되는지 또는 건물 (2) 에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리셉션 영역 또는 리셉션 데스크를 통과해야한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접근 제어 층 (L) 상의, 리셉션 영역 또는 리셉션 데스크, 또는 그 직원은 건물 (2) 내의 접근 제어 기능을 구현하는데 기여한다.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은 건물 (2) 의 유형, 크기 및 그의 운반 요건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도 2, 도 3 및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4 개의 엘리베이터들 (E1, E2, E3, E4) 의 그룹을 갖는 예시적인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을 갖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건물 (2) 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이들 각각은 2 개의 카 도어들 (10a, 10b) 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 (10) 를 갖는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들 (E1 ~ E4) 은 층들 (L0, L, L1, L2, Ln) 을 서빙한다. 접근 제어 층 (L) 상에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E1 ~ E4) 에 대해 공공 구역 (Zp1) 으로부터 그리고 거기로 및 비공공 구역 (Zs1) 으로부터 그리고 거기로 접근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접근 층 (L0) 상에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E1 ~ E4) 에 대해 공공 구역 (Zp2) 으로부터 그리고 거기로 접근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이용 층들 (L1 ~ Ln) 상에서, 비공공 구역 (Zs, Zs2) 으로부터만 그리고 거기로만 접근이 가능하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그룹의 모든 엘리베이터들 (E1 ~ E4) 은 2 개의 카 도어들 (10a, 10b) 을 갖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들 (E1, E2) 은 각각 2 개의 카 도어들 (10a, 10b) 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엘리베이터들 (E3, E4) 은 각각 하나의 카 도어 (10a, 10b) 만을 갖는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들 (E3, E4) 은 층들 (L, L1, L2, Ln) 만을 서빙하는 반면, 엘리베이터들 (E1, E2) 은, 선행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모든 층들 (L0, L, L1, L2, Ln) 을 서빙한다. 당업자는 일반적으로 그룹 내의 모든 엘리베이터들 (E1 ~ E4) 이 각각 2 개의 카 도어들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2 에서,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접근 층 (L0) 상에서, 공공 구역들에 대한 해칭된 영역들은 엘리베이터들 (E3 및 E4) 의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도 3 은 접근 제어 층 (L) 의 레벨에 대한 도 2 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은 엘리베이터들 (E1 ~ E4) 의 그룹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E1) 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10) (도 1) 를 포함하고, 그룹 내의 다른 엘리베이터들 (E2 내지 E4) 은 각각 제 1 카 도어 및 제 2 카 도어 (10a, 10b) 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 (10) 를 갖는다. 이 평면도에서, 엘리베이터들 (E1 ~ E4) 은 서로 옆에 (본질적으로 일렬로 서로 옆에) 배열된다. 승객 (P) 의 관점에서, 엘리베이터들 (E1 ~ E4) 은 마찬가지로 일렬로 서로 옆에 배열된다. 접근 제어 층 (L) 상에서, 카 도어 (10a) 는 층 도어 (6) (공공 구역 (Zp1) 에 대응함) 에 결합되고, 카 도어 (10b) 는 층 도어 (7) (비공공 구역 (Zs1) 에 대응함) 에 결합된다. 화살표 (26) 는 접근 제어 층 (L) 상의 가능한 이동 방향들을 나타낸다. 작동 모드에 의존하여, 승객들 (P) 은 엘리베이터들 (E1 ~ E4) 을 공공 구역 (Zp1) 또는 비공공 구역 (Zs1) 의 방향으로 떠나거나 그로부터 진입할 수 있다.
도 4 는 접근 제어 층 (L) 의 레벨에 대한 추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은 엘리베이터들 (E1 ~ E4) 의 그룹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E1) 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10) (도 1) 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서브-그룹은 그룹의 엘리베이터들 (E2 ~ E4) 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단일 카 도어 (10b) 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 (10) 를 갖는다. 엘리베이터들 (E1 ~ E4) 은, 접근 제어 층 (L)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10) 의 제 2 카 도어 (10b) 및 엘리베이터 서브-그룹의 단일 카 도어들 (10b) 이 제 1 비공공 구역 (Zs1) 상으로 개방되도록 건물 (2) 내에 배열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들 (E1, E2) 은 서로 옆에 배열되고, 각각은 엘리베이터 카 (10) 및 캡 도어들 (10a, 10b) 을 갖는다. 접근 제어 층 (L) 상에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E1, E2) 에 대해서, 카 도어 (10a) 는 층 도어 (6) (공공 구역 (Zp1) 에 대응함) 에 결합되고, 카 도어 (10b) 는 층 도어 (7) (비공공 구역 (Zs1) 에 대응함) 에 결합된다. 엘리베이터들 (E3 및 E4) 은 또한 이 평면도에서 서로 옆에 배열되고, 각각은 엘리베이터 카 (10) 를 가지며; 이들 엘리베이터 카들 (10) 각각은, 다른 한편, 접근 제어 층 (L) 상에서 층 도어 (7) (비공공 구역 (Zs1) 에 대응함) 에 결합될 수 있는 단지 하나의 카 도어 (10b) 를 갖는다. 도 4 에서, 엘리베이터들 (E1, E2) 은 엘리베이터들 (E3, E4) 과 대향하여 배열되고, 비공공 구역 (Zs1) 은 엘리베이터들 (E1, E2) 과 엘리베이터들 (E3, E4) 사이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도 4 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들 (E1, E2) 만이 공공 구역 (Zp1) 내의 승객 (P) 의 관점에서 인지가능하다. 화살표 (28) 는 접근 제어 층 (L) 상의 가능한 이동 방향들을 나타낸다. 작동 모드에 의존하여, 승객 (P) 은 엘리베이터들 (E1, E2) 을 공공 구역 (Zp1) 또는 비공공 구역 (Zs1) 의 방향으로 떠나거나 그로부터 진입할 수 있는 한편, 엘리베이터들 (E3, E3) 은 비공공 구역 (Zs1) 의 방향으로만 떠나거나 진입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에는, 예를 들어 상/하 제어기 또는 목적지 호출 제어기가 장착될 수 있다. 당업자는 다른 엘리베이터 제어기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갖는 제어기들 또는 전술한 제어기들의 혼합된 형태들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이 상/하 제어기를 갖춘 경우,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들 (4) 은,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들에서 승객 (P) 이 원하는 이동 방향을 입력할 수 있는 층들 (L, L0, Ln) 에 배열될 것이다. 진입 층은 이동 방향 (즉, 엘리베이터 호출) 이 입력되는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 (4) 의 위치로부터 결정된다. 그 후, 원하는 목적지 층은 거기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 (도 1 에 도시되지 않음) 에서 카 (10) 에 입력된다. 통신 라인 (20) 은 (카 측)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를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연결한다.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이 목적지 호출 제어기를 갖춘 경우,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들 (4) 은 승객 (P) 이 원하는 목적지 층을 입력할 수 있는 층들 (L, L0, Ln) 에 배열될 것이고; 목적지 층이 승객 (P) 에 의해 입력된 후에 (즉, 목적지 호출의 입력), 진입 층 및 목적지 층에 대한 정보가 이용가능할 것이다. 진입 층은, 목적지 층이 입력되는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 (6) 의 위치에 의해 규정된다. 목적지 호출 제어 디바이스 (12) 는 입력된 목적지 호출에 엘리베이터 카 (10) 를 할당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디바이스 (8) 는 목적지 호출에 따른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 (10) 의 이동을 제어한다.
전술한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의 기본 시스템 구성요소들 및 이들의 기능들의 이해와 함께, 도 5,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을 작동시키는 예시적인 방법들의 설명이 아래에 뒤따른다.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고; 다수의 엘리베이터들 (E1 ~ E4) 은 도 2 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될 수 있다. 방법들은 예시적인 흐름도들 및 이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에 의해 설명된다. 당업자는, 이들 단계들로의 분할이 예시에 의한 것이고 이들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이 하나 이상의 서브-단계들로 분할될 수도 있거나 또는 수개의 단계들이 하나의 단계로 결합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 5 는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을 작동시키는 방법의 제 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플로우차트 도면이다. 방법은 단계 S1 으로 시작하여 단계 S8 으로 종료된다. 단계 S2 에서,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의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제 1 작동 모드 또는 제 2 작동 모드에 따라 작동된다. 이러한 작동은 단계 S3 에서의 결정에 의해 도시된 2 개의 작동 모드들 중 하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제 1 작동 모드에 따라 작동이 발생하면, 방법은 "1" 분기부를 따라 제 1 작동 모드가 작동 모드로서 특정되는 단계 S4 로 진행한다. 제 2 작동 모드에 따라 작동이 발생하면, 방법은 "2" 분기부를 따라 제 2 작동 모드가 작동 모드로서 특정되는 단계 S6 로 진행한다.
제 1 작동 모드가 단계 S4 에서 특정되었다면,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단계 S5 에서 엘리베이터 카 (10) 를 제어하여, 층들 (L, L0) 과 공공 구역들 (Zp1, Zp2) 사이에서 이동된다. 이는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가 작동 또는 실행을 위해 공공 구역들 (Zp1, Zp2) 이 있는 층들 (L, L0) 로부터 및 층들로의 엘리베이터 호출들만을 수락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빙될 층 (L, L0) 상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서빙될 층 (L, L0) 에서 거기에서 공공 구역 (Zp1, Zp2) 에 배열된 샤프트 도어 (6, 6a) 의 개방을 개시하는, 카 도어 (10a) 의 개방을 제어한다. 본 설명의 다른 곳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카 도어 (10a) 는 서빙될 층 (L, L0) 상의 대응하는 샤프트 도어 (6) 를 그와 함께 취한다.
제 2 작동 모드가 단계 S6 에서 특정되었다면, 단계 S7 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층들 (L, Ln) 과 비공공 구역들 (Zs1, Zs2)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엘리베이터 카 (10) 를 제어한다. 이는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가 작동 또는 실행을 위해 비공공 구역들 (Zs1, Zs2) 이 있는 층들 (L, Ln) 로부터 및 층들로의 엘리베이터 호출들만을 수락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빙될 층 (L, Ln) 상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서빙될 층 (L, Ln) 에서 거기에서 비공공 구역 (Zs1, Zs2) 에 배열된 샤프트 도어 (7, 7a) 의 개방을 개시하는, 카 도어 (10b) 의 개방을 제어한다. 서빙될 층 (L, L0) 상의 카 도어 (10b) 는 또한 대응하는 샤프트 도어 (7, 7a) 를 그와 함께 취한다.
도 5 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단계 S5 또는 단계 S7 이후에 단계 S8 에서 종료된다.
도 6 은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을 작동시키는 방법의 제 2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플로우차트 도면을 도시한다. 방법은 단계 A1 으로 시작하여 단계 A16 으로 종료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은 도 1 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어 있고, 모니터링 디바이스 (24) 에 의해 검출되고, 엘리베이터 호출이 서빙되지 않는 상황에 기초하며; 단계 A2 는 이 상황을 나타낸다.
단계 A3 에서, 승객 (P) 의 엘리베이터 호출이 수신된다. 엘리베이터 호출은 목적지 호출이거나 이동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단계 A4 에서, 진입 층이 결정된다. 진입 층은 층 (L, L0, Ln) 으로부터 유도되고, 이 층 상에 승객 (P) 이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하는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 (4) 가 배열된다. 승객 (P) 은 공공 구역 (Zp) 또는 비공공 구역 (Zs) 에 있을 수 있다. 단계 A4 에서, 승객 (P) 이 위치되는 구역 (Zp, Zs) 의 유형이 또한 결정되고, 그로부터 승객 (P) 이 엘리베이터 카 (10) 에 진입해야 한다. 따라서 구역 유형의 결정은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들 (10a, 10b) 중 어느 것이 진입 층에서 개방되어야 하는지를 포함한다. 승객 (P) 에 의해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 (4) 는 마찬가지로 2 개의 구역들 (Zp, Zs) 중 어느 하나에 배열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따라서 구역의 유형은 이 엘리베이터 호출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A5 에서, 구역이 공공 구역 (Zp1, Zp2) 인지가 점검된다. 이 경우, 방법은 "예" 분기부를 따라 단계 A6 로 진행한다. 한편, 구역이 비공공 구역 (Zs1, Zs2) 이면, 방법은 "아니오" 분기부를 따라 단계 A11 로 진행한다.
단계 A6 에서, 제 1 작동 모드는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대해 특정된다.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어 있기 때문에 (단계 A2), 여기에 설명된 기술에 따르면, 하나의 작동 모드로부터 다른 작동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단계 A6 다음의 단계 A7 에서, 엘리베이터 호출은 제 1 작동 모드에 따라 취급된다. 제 1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공공 구역들 (Zp1, Zp2) 이 있는 층들 (L, L0) 로부터의 및 층들로의 엘리베이터 호출들만을 수용하고, 공공 구역들 (Zp1, Zp2) 로의 도어들만이 개방될 것이다 (도 5 의 단계 S5 를 또한 참조).
단계 A8 에서, 승객 (P) 의 엘리베이터 호출 및 (제 1 작동 모드에서 취급될 수 있는) 다른 승객들로부터 존재하는 모든 가능한 엘리베이터 호출들이 취급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 (10) 는 비어 있어야 한다.
단계 A9 에서,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어 있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디바이스 (24) 의 신호가 평가된다.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어 있는 경우, 방법은 "예" 분기부를 따라 단계 A16 로 진행하고, 여기서 방법은 종료되거나 단계 A1 에서 시작으로 복귀한다.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어 있지 않으면, 방법은 "아니오" 분기부를 따라 단계 A10 로 진행한다. 단계 A10 에서, 경보가 생성되는데, 이는 예를 들어, 특히 엘리베이터의 무단 사용이 있음을 건물 직원에게 통지하고 그리고/또는 엘리베이터 카 (10) 에서 정보 유닛 (25) 을 활성화시켜 승객이 엘리베이터 카 (10) 를 떠나도록 요청하는 시청각 통지를 생성한다.
단계 A10 에서 경보가 생성된 후, 방법은 단계 A9 에서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어 있는지 여부를 다시 점검하기 위해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대기할 수 있다. 이러한 쿼리는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워질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A5 에서, 방법은 비공공 구역 (Zs1, Zs2) 이 관련되는 경우 "아니오" 분기부를 따라 단계 A11 로 진행한다. 단계 A11 에서, 제 2 작동 모드는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대해 특정된다.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어 있기 때문에 (단계 A2), 여기에 설명된 기술에 따르면, 하나의 작동 모드로부터 다른 작동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단계 A12 에서, 엘리베이터 호출은 제 2 작동 모드에 따라 취급된다. 이 작동 모드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비공공 구역들 (Zs1, Zs2) 이 있는 층들 (L, Ln) 로부터의 및 층들로의 엘리베이터 호출들만을 수용하고, 비공공 구역들 (Zs1, Zs2) 로의 도어들만이 개방될 것이다 (도 5 의 단계 S7 를 또한 참조).
이 분기부의 나머지 단계 A13 ~ 단계 A15 는 단계 A8 ~ 단계 A1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특히, 단계 A8 ~ 단계 A10 및 단계 A13 ~ 단계 A15 는, 작동 모드가 다른 작동 모드로 전환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어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단계 A2, A6, 및 A1 을 참조).
도 7 은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을 작동시키는 방법의 제 3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방법은 단계 B1 에서 시작하여 루프들을 통해 진행하며, 이는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단계 B2 로 되돌아간다.
단계 B2 에서,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어 있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디바이스 (24) 의 신호가 평가된다.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어 있는 경우, 방법은 "예" 분기부를 따라 작동 모드가 제 1 작동 모드 또는 제 2 작동 모드일 수 있다고 결정되는 단계 B3 으로 진행한다. 다른 한편,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어 있지 않으면, 방법은 "아니오" 분기부를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의 현재 작동 모드가 유지되는 단계 B4 로 진행한다.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설명된 기술에 따르면, (단계 B2 의 실행 시의) 작동 모드는 변경될 수 없다.
단계 B3 및 단계 B4 는 단계 B5 가 이어진다. 단계 B5 에서, 둘 모두의 작동 모드들이 가능한 단계 B3 (제 1 작동 모드 또는 제 2 작동 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단계 B4 (현재 작동 모드가 유지됨) 에서 특정된 작동 모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호출이 존재하는지를 점검한다. 그러한 엘리베이터 호출이 존재하면, 방법은 "예" 분기부를 따라 단계 B6 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아니오" 분기부를 따라 단계 B9 로 진행한다.
단계 B6 에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가 엘리베이터 카 (10) 의 요구되는 다음 스톱을 계획하기 위해 존재하는 엘리베이터 호출이 분석된다. 여기서, 서빙될 층 및 엘리베이터 호출 및 작동 모드에 따라 서빙될 층상에서의 스톱시 개방되어야 하는 카 도어 (10a, 10b) 가 선택된다.
단계 B7 에서, 엘리베이터 호출을 위해 단계 B6 에서 선택된 스톱에 따라 작동 모드가 설정된다. 작동 모드는 제 1 작동 모드 또는 제 2 작동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 2 가지 경우가 있다: 작동 모드가 이미 설정되었다면 (즉, 제 1 작동 모드 또는 제 2 작동 모드로), 엘리베이터 호출은 작동 모드와 확실히 일치할 것이고, 작동 모드는 유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 다시 말해서, (단계 B3 에 따른) 작동 모드가 여전히 선택될 수 있는 경우 - 작동 모드는 엘리베이터 호출에 따라 단계 B7 에서 결정될 것이며, 이는 공공 구역들 (Zp) 단독 (제 1 작동 모드) 또는 비공공 구역들 (Zs) (제 2 작동 모드) 에 관한 것이다.
단계 B8 에서, 엘리베이터 카 (10) 는 스톱하기 위해 서빙될 층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단계 B6 에서 선택된 카 도어 (10a, 10b) 는 다시 개폐되며, 카 도어 (10a, 10b) 에 의해 해당 층 도어 (6, 6a, 7, 7a) 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호출에 응답하고 방법은 단계 B2 로 다시 진행한다.
단계 B9 에서, 단계 B5 에서 단계 B3 또는 단계 B4 에서 규정된 작동 모드에 따라 더 이상의 엘리베이터 호출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검이 이루어지면, 다른 작동 모드를 요구하는 추가 엘리베이터 호출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점검을 요구하는 추가 엘리베이터 호출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점검된다. 그러한 엘리베이터 호출이 존재하지 않으면, 방법은 "아니오" 분기부를 따라 단계 B2 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예" 분기부를 따라 단계 B10 로 진행한다.
단계 B10 에서, 경보는 도 6 의 단계 A10 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생성된다. 추가로, 카 도어 (10a, 10b) 및 대응하는 층 도어 (6, 6a, 7, 7a) 는 엘리베이터 카 (10) 가 비워질 때까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알람을 종료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그 후 단계 B2 로 다시 진행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그리고 도 1 에 도시된 상황에 기초하여, 승객 (P) 은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 (4) (목적지 호출 디바이스로 도시됨) 에서 엘리베이터 호출을 입력한다. 엘리베이터 카 (10) 가 탑승할 준비가 되면, 즉 샤프트 도어 (6b) 및 카 도어 (10a) 가 개방되면, 승객 (P) 은 카 (10) 로 진입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카 (10) 에 배열된 정보 유닛 (25) 은 승객 (P) 에게 카 (10) 가 접근 제어 층 (L) 까지 주행 중이고 그곳을 나가야 함을 알린다. 캐빈 (10) 이 접근 제어 층 (L) 에 있을 때, 승객 (P) 은 개방된 카 도어 (10a) 및 개방된 샤프트 도어 (6a) 를 통해 제 1 공공 구역 (Zp1) 내로 통과한다. 모니터링 디바이스 (24) 는 그 후 카 (10) 가 비어 있는지를 점검한다. 직원에 의한 그들의 검출 후에 원하는 이용 층 (Ln) 으로의 여정을 시작하기 위해, 승객 (P) 은 접근 제어 층 (L) 상의 제 1 비공공 구역 (Zs1) 에 진입한다. 거기에 배열된 엘리베이터 작동 디바이스 (4) 에서, 승객 (P) 은 원하는 이용 층 (Ln) (목적지 호출) 을 입력한다. 모니터링 디바이스 (24) 에 의한 점검이 카 (10) 가 비어 있음을 나타내면,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제 2 작동 모드로 전환할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 (10) 가 탑승할 준비가 되면, 즉 샤프트 도어 (7) 및 카 도어 (10b) 가 개방되면, 승객 (P) 은 카 (10) 에 진입하여 원하는 이용 층 (Ln) 으로 운반된다.

Claims (9)

  1. 엘리베이터 설치물 (1) 로서,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엘리베이터 샤프트 (18) 에서 건물 (2) 의 층들 (L0, L, L1, Ln) 사이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의한 제어하에서 이동가능하고, 제 1 캐빈 벽 (10d) 상의 제 1 카 도어 (10a) 및 제 2 캐빈 벽 (10c) 상의 제 2 카 도어 (10b) 의 2 개의 카 도어들 (10a, 10b) 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10), 및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18) 를 상기 층들 (L0, L, L1, Ln) 로부터 분리하는 다수의 샤프트 도어들 (6, 6a, 7, 7a) 로서, 샤프트 도어들 (6, 6a) 의 제 1 그룹은 상기 건물 (2) 의 공공 구역들 (Zp1, Zp2) 에 배열되고, 샤프트 도어들 (7, 7a) 의 제 2 그룹은 상기 건물 (2) 의 비공공 구역들 (Zs1, Zs2) 에 배열되는, 상기 다수의 샤프트 도어들 (6, 6a, 7, 7a)
    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가 상기 층들 (L, L0) 사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 를 이동시키고 상기 공공 구역들 (Zp1, Zp2) 을 서빙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작동 모드로서, 서빙될 층 (L, L0) 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상기 서빙될 층 (L, L0) 에서 상기 공공 구역 (Zp1, Zp2) 에 배열된 상기 샤프트 도어 (6) 의 개방을 개시하는 상기 카 도어 (10a) 의 개방을 제어하는, 상기 제 1 작동 모드, 및
    -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가 상기 비공공 구역들 (Zs1, Zs2) 을 서빙하도록 상기 층들 (L, Ln) 사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 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2 작동 모드로서, 서빙될 층 (L, Ln) 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상기 서빙될 층 (L, Ln) 에서 상기 비공공 구역 (Zs1, Zs2) 에 배열된 상기 샤프트 도어 (7, 7a) 의 개방을 개시하는 상기 카 도어 (10b) 의 개방을 제어하는, 상기 제 2 작동 모드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물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물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객 (P) 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 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24)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24) 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상태 신호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 에 승객 (P) 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낼 때 상기 제 1 작동 모드와 상기 제 2 작동 모드 사이에서만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설치물 (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물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 에 정보 유닛 (25)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유닛 (25) 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의한 제어하에서 상기 승객 (P) 에게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 를 떠나도록 요청하는 통지, 특히 시청각 통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설치물 (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들 (E1 ~ E4) 의 그룹이 존재하고, 엘리베이터 (E1)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10) 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내의 다른 엘리베이터들 (E2 ~ E4) 은 각각 제 1 카 도어 및 제 2 카 도어 (10a, 10b) 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 (10) 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들 (E1 ~ E4) 은 상기 건물 (2) 내에서 일렬로 서로 옆에 배열되는, 엘리베이터 설치물 (1).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들 (E1 ~ E4) 의 그룹이 존재하고, 엘리베이터 (E1)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10) 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내의 다른 엘리베이터들 (E2 ~ E4) 은 각각 엘리베이터 카 (10) 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들 (E1 ~ E4) 은 상기 건물 (2) 내에서 서로 옆에 배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10) 또는 다른 엘리베이터 카 (10) 는 제 1 카 도어 및 제 2 카 도어 (10a, 10b) 를 가져서, 상기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E1 ~ E4) 는 하나의 카 도어만을 갖는 엘리베이터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치물 (1).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들 (E1 ~ E4) 의 그룹이 존재하고, 엘리베이터 (E1)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10) 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서브-그룹은 단일 카 도어 (10b) 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 (10) 를 각각 가지는 상기 그룹의 엘리베이터들 (E2 ~ E4) 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들 (E1 ~ E4) 은 상기 건물 (2) 내에 배열되어, 접근 제어 층 (L)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10) 의 상기 제 2 카 도어 (10b) 및 상기 엘리베이터 서브-그룹의 단일 카 도어들 (10b) 이 제 1 비공공 구역 (Zs1) 으로 개방되는, 엘리베이터 설치물 (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을 작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은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의한 제어하에서 건물 (2) 의 층들 (L0, L, L1, Ln)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18) 내에서 이동가능하고 제 1 카 벽 (10d) 상에 제 1 카 도어 (10a) 및 제 2 카 벽 (10c) 상에 제 2 카 도어 (10b) 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 (10), 및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18) 를 상기 층들 (L0, L, L1, Ln) 로부터 분리하는 다수의 샤프트 도어들 (6a, 6b, 7) 을 포함하고,
    샤프트 도어들 (6, 6a) 의 제 1 그룹은 상기 건물 (2) 의 공공 구역들 (Zp1, Zp2) 에 배열되고, 샤프트 도어들 (7, 7a) 의 제 2 그룹은 상기 건물 (2) 의 비공공 구역들 (Zs1, Zs2) 에 배열되며, 상기 방법은:
    제 1 작동 모드 또는 제 2 작동 모드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기 디바이스 (13) 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작동 모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 는 상기 공공 구역들 (Zp1, Zp2) 을 서빙하기 위해 상기 층들 (L, L0) 사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의한 제어하에서 이동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서빙될 층 (L, L0) 상의 상기 카 도어 (10a) 의 개방을 제어하고, 상기 서빙될 층 (L, L0) 상의 상기 카 도어는 상기 공공 구역 (Zp1, Zp2) 에 배열된 상기 샤프트 도어 (6) 의 개방을 개시하고,
    상기 제 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 는 상기 비공공 구역들 (Zs1, Zs2) 을 서빙하기 위해 상기 층들 (L, Ln) 사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의한 제어하에서 이동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서빙될 층 (L, Ln) 상의 상기 카 도어 (10a) 의 개방을 제어하고, 상기 서빙될 층 (L, Ln) 상의 상기 카 도어는 상기 비공공 구역 (Zs1, Zs2) 에 배열된 상기 샤프트 도어 (7, 7a) 의 개방을 개시하는,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을 작동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24) 에 의해 생성되고 승객 (P) 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 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는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24) 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상태 신호가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 에 승객 (P) 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낼 때 상기 제 1 작동 모드와 상기 제 2 작동 모드 사이에서만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을 작동하는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 내의 정보 유닛 (25) 에 의해 통지, 특히 시청각 통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유닛 (25) 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 (13) 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통지는 상기 승객 (P) 에게 상기 엘리베이터 카 (10) 를 떠나도록 요청하는, 엘리베이터 설치물 (1) 을 작동하는 방법.
KR1020237013193A 2020-10-21 2021-10-05 공공 및 비공공 건물 구역들을 서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설치물 KR20230092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3012 2020-10-21
EP20203012.8 2020-10-21
PCT/EP2021/077328 WO2022084018A1 (de) 2020-10-21 2021-10-05 Aufzugsanlage zur bedienung von öffentlichen und nicht öffentlichen gebäudezon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902A true KR20230092902A (ko) 2023-06-26

Family

ID=7300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193A KR20230092902A (ko) 2020-10-21 2021-10-05 공공 및 비공공 건물 구역들을 서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설치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82688A1 (ko)
EP (1) EP4232390A1 (ko)
JP (1) JP2023549458A (ko)
KR (1) KR20230092902A (ko)
CN (1) CN116507573A (ko)
AU (1) AU2021365356A1 (ko)
WO (1) WO2022084018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34035T3 (es) * 2005-09-30 2015-04-16 Inventio Ag Instalación de ascensor para el transporte de usuarios del ascensor en un área edificada
KR20090019620A (ko) * 2007-08-21 2009-02-25 신현수 단일 피트를 이용하여 전용구역과 일반구역을 동시에운행하는 역사용 엘리베이터 장치
EP2402275A1 (en) 2010-06-30 2012-01-04 Inventio AG Elevator access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4018A1 (de) 2022-04-28
JP2023549458A (ja) 2023-11-27
US20230382688A1 (en) 2023-11-30
EP4232390A1 (de) 2023-08-30
CN116507573A (zh) 2023-07-28
AU2021365356A1 (en)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7184B (zh) 用于多轿厢井道系统的组外操作
US6793044B2 (en) Travel sequence planning for elevators
KR100979419B1 (ko) 탑승자 안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000076382A (ko) 엘리베이터의 관리제어장치
CN102015503A (zh) 电梯设备和应用在电梯设备中的呼叫控制装置
EP3539913B1 (en) Automatic rescue operation in an elevator system
WO2005102893A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EP3722238B1 (en) Management of elevator service
JP200225546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運行制御方法および運行制御装置
JPS6320744B2 (ko)
KR20230092902A (ko) 공공 및 비공공 건물 구역들을 서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설치물
EP3800151A1 (en) Elevator system
JP5870750B2 (ja) エレベータの運行システムおよび運行方法
WO2000034170A1 (en) Wireless transport system stop fixtures
JPH0539173A (ja) 自走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方法
JP7116707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及び方法
JP7377466B2 (ja) エレベータ
JP7359282B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2313387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361662B1 (ko) 하이브리드 행선층 예약시스템의 카콜 제어장치
JPH10182022A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
WO2021070329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の制御方法
Unger Electrical Controls and Control Modes
CN117842797A (zh) 一种电梯系统的轿厢停靠方法
JP2005112524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