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709A -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709A
KR20230092709A KR1020220101726A KR20220101726A KR20230092709A KR 20230092709 A KR20230092709 A KR 20230092709A KR 1020220101726 A KR1020220101726 A KR 1020220101726A KR 20220101726 A KR20220101726 A KR 20220101726A KR 20230092709 A KR20230092709 A KR 20230092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wire rope
clamp element
safety wir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346B1 (ko
Inventor
이경희
이강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리온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리온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리온스틸
Publication of KR2023009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8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구조물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으로 놓이는 채널의 수평부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채널의 수평부의 단부와 맞닿는 제1 부분, 제1 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채널의 수평부의 내측 표면에 맞닿는 제2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3 부분을 갖추는 것인 제1 클램프 요소, 수직으로 놓이는 채널의 수직부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채널의 수직부의 단부와 맞닿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어 채널의 수직부의 내측 표면 또는 외측 표면에 맞닿는 제2 부분을 갖추는 것인 제2 클램프 요소, 및 굴곡 형성되어 채널의 외측 표면과 맞닿은 상태로 채널의 외측 표면을 따라 연장되고 양 단부가 각각 제1 클램프 요소과 제2 클램프 요소의 제1 부분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 수단를 포함하고, 체결 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의 제1 부분이 각각 채널의 단부에 맞닿아 가압되고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의 제2 부분이 각각 채널의 표면에 압박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Device for Fixing a Safety Wire Rope to a Structure}
이 발명은 안전 와이어 로프를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송전탑과 같은 구조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을 구조물을 이루는 채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을 전송하는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을 높은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송전탑은 철제 채널을 가로, 세로 및 대각선으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구조물이고, 이 구조물의 상단측에는 송전선 등이 지지된다.
송전탑이나 송전선 등의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송전탑의 높은 위치에 올라가 작업을 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송전탑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설치하고, 작업자와 안전 와이어 로프 사이에 안전 죔줄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이러한 안전 와이어 로프는 송전탑에서 수직 및 수평으로 설치되는데,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 장치들이 송전탑을 이루는 채널에 고정 결합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는 양 단부가 각각 고정 장치에 결합되어 송전탑에 설치된다.
작업자가 송전탑으로부터 추락하는 경우에, 추락에 따른 하중은 안전 와이어 로프를 통하여 고정 장치에 전달되므로, 고정 장치는 작업자의 추락에 따른 충격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고, 충격이나 진동 등의 요인에 의해 송전탑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와 안정성을 가지고 송전탑의 채널에 고정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39623호(문헌 1)에서는 철탑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그러한 장치에는 추락 방지용 와이어 로프를 가이드하는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문헌 1에서 개시하는 가이드 장치는 철탑을 이루는 수평 부분과 수직 부분을 갖춘 'ㄱ'자 채널의 양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클램프 및 클램프 사이에서 클램프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볼트를 갖추고, 볼트의 양단은 각각의 클램프의 외측면에서 너트가 체졀되어 한쌍의 클램프에 인장력을 가하여 클램프를 채널에 고정하여 준다.
일측의 클램프의 단부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와이어 로프가 관통하는 고리가 부착되어 있어서, 와이어 로프가 철탑의 채널의 위치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가이드된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202866호(문헌 2)에서는 철탑의 트러스 구조를 이루는 'ㄱ'자 채널의 양단에 장착되는 와이어 클램프를 개시하고 있다.
문헌 2에서 개시하는 와이어 클램프는 문헌 1의 가이드 장치의 구조를 그대로 차용하여 채널의 양 단부에 맞닿아 놓이는 한 쌍의 클램프 및 볼트를 구비하고, 하나의 클램프에는 와이어 로프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리를 갖춘 부재가 고정된다.
이러한 문헌 1 및 문헌 2에 따른 가이드 장치나 고정 장치는 서로 동일한 형상의 클램프 요소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볼트에 의해 철탑의 채널에 결합되므로 조립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들 장치에서는 클램프 요소가 채널의 양 단부에만 접촉하여 지지되므로 클램프 요소 및 채널에는 충격 하중 등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므로, 채널이나 클램프 요소가 높은 강도와 강성을 갖도록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39623호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202866호
이 발명은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해 송전탑과 같은 구조물 설치되는 안전 와이어 로프를 송전탑에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을 구조물을 이루는 채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구조물을 이루는 요소로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수평 부분의 단부에서 수직 하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ㄱ'자 채널에 손쉽게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높은 강도와 강성을 가지고 채널에 결합되어 확실하게 지지되면서도 저렴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구성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이 발명의 해결 과제는 구조물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것인 이 발명에 따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 발명의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는,
수평으로 놓이는 채널의 수평부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채널의 수평부의 단부와 맞닿는 제1 부분, 제1 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채널의 수평부의 내측 표면에 맞닿는 제2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3 부분을 갖추는 것인 제1 클램프 요소,
수직으로 놓이는 채널의 수직부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채널의 수직부의 단부와 맞닿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어 채널의 수직부의 내측 표면 또는 외측 표면을 지지하는 제2 부분을 갖추는 것인 제2 클램프 요소, 및
굴곡 형성되어 채널의 외측 표면과 맞닿은 상태로 채널의 외측 표면을 따라 연장되고 양 단부가 각각 제1 클램프 요소과 제2 클램프 요소의 제1 부분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 수단
를 포함하고,
체결 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 사이에 인장력이 인가되고,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가 각각 채널의 수평부 및 수직부에 맞닿아 압박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클램프 요소는 채널의 수평부에 배치되고 제2 클램프 요소는 채널의 수직부에 배치되며, 체결 수단을 체결하면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에서 채널의 수평부 및 수직부에 대해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부분들이 서로 당겨지면서 제1 부분들은 각각 채널의 수평부와 수직부의 단부에 압박되고 제2 부분들은 각각 채널의 수직부에 압박되며 체결 수단은 채널의 외측 표면에 맞닿은 상태로 압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1 클램프 요소과 체결 수단은 채널의 수평부를 둘러싸게 되고, 제2 클램프 요소과 체결 수단은 채널의 수직부를 둘러싸게 되며,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호 결합된 상태가 되며, 채널에 결합되어 이탈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의 고정 장치에서는 편평한 패널 형태의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과 체결 수단이 구조물을 이루는 채널의 표면을 둘러싼 상태로 배치되므로, 고정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이 채널의 표면에 의해 폭넓게 지지된다.
체결 수단이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를 관통하므로, 체결 수단의 체결에 따라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가 채널의 수평부와 수직부 단부에 맞닿아 고정되므로 또한, 채널의 규격이 달라져서 수평부 또는 수직부의 길이나 두께가 변경되어도 같은 고정 장치로 서로 다른 규격의 채널에 사용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양태로서,
제1 클램프 요소의 제3 부분의 선단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의 단부가 관통하는 홀이 마련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안전 와이어 로프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면, 제1 클램프 요소의 제3 부분의 선단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사용하고, 여기에 형성한 홀에 안전 와이어 로프의 단부를 통과시켜 결합함으로써 손쉽게 안전 와이어 로프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고, 안전 와이어 로프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고정 장치가 높은 강성과 강도를 갖게 된다.
또한, 안전 와이어 로프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이면, 제1 클램프 요소의 제3 부분의 선단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을 사용하고, 여기에 형성한 홀에 안전 와이어 로프의 단부를 통과시켜 결합함으로써 손쉽게 안전 와이어 로프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고, 안전 와이어 로프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고정 장치가 높은 강성과 강도를 갖게 된다.
이 발명의 추가의 특징으로서,
체결 수단은 채널의 형태에 맞추어 'ㄱ'로 굴곡되고 양단부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볼트 및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의 제1 부분의 외측에서 볼트의 양단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 수단을 양단에 나사가 형성되고 'ㄱ'자로 굴곡되는 볼트로 형성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제1 및 제2 클램프 사이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지지하기가 용이하다.
특히, 작용 하중에 따라 볼트를 복수 개로 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클램프 사이에 작용하는 인장력과 안전 와이어 로프를 통하여 인가되는 하중을 복수 개의 볼트가 함께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고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발명의 추가의 특징으로서, 제1 클램프 요소의 강도와 강성을 보강하는 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그러한 보강 수단의 일 실시 양태로서, 제1 클램프 요소의 제1 내지 제3 부분의 표면 일부에 걸쳐 수직으로 결합되는 보강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추가의 특징으로서, 제1 클램프 요소에 결합되어 채널의 수평부를 제1 클램프 요소의 제2 부분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 기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한 가압 기구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 클램프 요소는 채널의 수평부를 사이에 두고 제1 클램프 요소의 제2 부분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4 부분을 더 포함하며, 가입 기구로서의 볼트는 제4 부분에 나사 결합되면서 관통하여 선단이 채널의 수평부의 표면에 맞닿아 채널의 수평부를 제1 클램프 요소의 제2 부분에 대해 가압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압 기구로서의 볼트를 체결하면 볼트의 선단이 채널의 수평부에 대해 수직으로 맞닿아서 채널의 수평부를 제1 클램프 요소의 제2 부분에 대해 가압하여 채널과 제1 클램프 요소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하여, 충격 하중 등에 의해 채널이 제1 클램프 요소로부터 이탈하거나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한 실시 양태로서,
제1 클램프 요소의 제4 부분은 제1 부분에 맞닿아 고정되는 수직부 및 수직부로부터 제2 부분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수평부를 포함하고, 수평부에는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홀이 마련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정 장치가 송전탑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설치된 상태를 아래측으로부터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정 장치가 송전탑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설치된 상태를 좌측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고정 장치가 송전탑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설치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가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고정 장치가 송전탑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설치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가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고정 장치가 송전탑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설치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고정 장치가 송전탑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및 안전 와이어 로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고정 장치가 송전탑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및 안전 와이어 로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이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안전 와이어 로프를 송전탑에 고정하는 고정 장치의 구성과 작동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 명세서 전방에서 '내측' 및 '외측'이라는 용어는 채널의 형태를 기준으로 한다. 'ㄱ'자로 형성된 채널에서 채널의 수평부와 수직부가 예각을 이루는 쪽을 '내측'으로, 둔각을 이루는 쪽을 '외측'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또한, '수직' 및 '수평'이라는 용어는 이 발명의 고정 장치가 설치되는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수평'으로, 수직인 방향을 '수직'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제1 실시예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 발명에 따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고정 장치(100)는 송전탑을 이루는 'ㄱ'자형 채널(1)에 고정된다.
채널(1)은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부(2)와 수평부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굴곡되어 하측으로 배치되는 수직부(3)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를 갖고 배치된다.
고정 장치(100)는 채널의 수평부(1)의 외측 표면에 맞닿아 놓이는 제1 클램프 요소(10)과 수직부(2)의 외측 표면에 맞닿아 놓이는 제2 클램프 요소(20) 및 제1 클램프 요소(10)과 제2 클램프 요소(20) 사이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서 채널(1)에 고정되게 해주는 체결 수단으로서 2개의 볼트(31) 및 볼트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너트(32)로 이루어져 있다.
제1 클램프 요소(10)은 하나의 편평한 패널을 굴곡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및 제3 부분(11, 13) 및 하나의 편평한 패널로 이루어지고 용접에 의해 제1 부분(11)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제2 부분(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클램프 요소(10)에서 제1 부분(11)은 채널의 수평부(2)의 선단에 맞닿아 수직으로 배치되고 볼트(31)가 관통하는 2개의 홀이 나란히 이격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1 부분(11)의 하단으로부터 제3 부분(13)이 연장되어 있다. 제3 부분(13)은 제1 부분(1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외측으로 굴곡져 연장되는 수평부(131) 및 수평부의 선단으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굴곡되는 수직부(132)로 이루어지고, 수직부(132)에는 안전 와이어 로프(도 4의 4)의 단부가 통과하여 고정되는 홀(14)이 마련되어 있다.
제2 부분(12)은 제1 부분(11)의 내측면에서 볼트(31)가 관통하는 홀의 아래쪽에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제2 부분(12)은 채널(1)의 수평부(2)의 내측 표면에 맞닿게 된다.
제2 클램프 요소(20)은 편평한 패널을 굴곡하여 형성되고, 굴곡 위치를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2개의 부분으로 구별된다.
제2 클램프 요소(20)의 제1 부분(21)은 채널의 수직부(3)의 선단과 맞닿아 채널의 수직부(3)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볼트(31)가 관통하는 2개의 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21)의 선단으로부터 수직으로 굴곡되어 수직부(3)의 내측 표면과 맞닿게 연장되어 있다.
2개의 볼트(31)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볼트는 채널의 외측에서 수평부(2)와 수직부(3)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ㄱ'자 형태로 굴곡되게 형성되어 각각 채널의 수평부(2)와 수직부(3)와 맞닿는 수평부(312) 및 수직부(131)를 갖추고 있다.
또한, 볼트(31)는 볼트 머리를 가지지 않고 양 단부에 나사가 가공되어 양 단부가 각각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10, 20)의 제1 부분(11, 21)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10, 20)의 제1 부분(11, 21)의 외측면에서 너트(32)가 볼트(31) 선단의 나사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볼트(31)는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10, 20)의 제1 부분(11, 21) 사이에서 체결되고, 채널(1)의 외측 표면에 맞닿은 상태로 놓인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클램프 요소(10)의 제1 부분(11)은 채널 수평부(2)의 단부 표면, 제2 부분(12)은 채널 수평부(2)의 내측면, 볼트(31)의 수평부(312) 채널 수평부(2)의 외측면과 맞닿아 채널 수평부(2)를 둘러싸게 된다.
또한, 제2 클램프 요소(20)의 제1 부분(21)은 채널 수직부(3)의 단부 표면, 제2 부분(22)은 채널 수직부(2)의 내측면, 볼트(31)의 수직부(131)은 채널 수직부(2)의 외측면과 맞닿아 채널 수직부(3)를 둘러싸게 된다.
너트(32)를 더 체결하면,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10, 20)의 제1 부분(11, 21)를 서로 당기는 인장력이 인가되고, 이 인장력에 의해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10, 20)이 서로에 대해 당겨진다.
이러한 인장력에 의해, 제1 클램프 요소(10)의 제1 부분(11)은 채널 수평부(2)의 단부에 압박되고 제2 부분(12)은 채널 수평부(2)의 내측면에 압박되며 볼트(31)는 채널 수평부(2)의 외측면에 압박된다.
또한, 제2 클램프 요소(20)의 제1 부분(21)은 채널 수직부(2)의 단부에 압박되고 제2 부분(22)은 채널 수직부(2)의 내측면에 압박되며 볼트(31)는 채널 수직부(2)의 외측면에 압박된다.
이러한 작용에 따라,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10, 20)가 볼트(31)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10, 20) 및 볼트(31)가 채널(1)을 둘러싸 압박되는 상태로 서로 결합되어 제1 실시예의 고정 장치가 구조물을 이루는 채널(1)에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도 4에서는 제1 실시예의 고정 장치(100)가 채널(1)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장치에 구조물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안전 와이어 로프(4)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안전 와이어 로프(4)는 단부(5)가 홀(14)을 통하여 제1 클램프 요소의 제3 부분(13)를 통과하는 고리(6)를 형성하고, 단부(5)는 3개의 U 볼트(7)에 의해 안전 와이어 로프(4)의 다른 부분과 결합되어 풀리지 않게 된다. 이로써 안전 와이어 로프(4)는 일측 단부가 실시예의 고정 장치(100)에 의해 채널(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1 실시예의 고정 장치(100)는 물론이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이 발명의 실시예들의 고정 장치는 구성이나 크기의 변경 없이 다양한 규격의 채널(1)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램핑 요소(10, 20)의 제1 부분(11, 21)의 폭을 초과하지 않는 이상, 어떠한 두께의 채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클램핑 요소(10, 20)의 제1 부분(11, 21)에 채널(1)의 단부가 맞닿을 때가지 너트(32)를 체결하면 되므로, 채널(1)의 길이에 맞추어 제1 및 제2 클램핑 요소(10, 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및 제2 클램핑 요소(10, 20)의 제1 부분(11, 21)에서 볼트(31)가 관통하는 홀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채널(1)의 수직부(3)와 수평부(2)의 길이에 따라 제1 및 제2 클램핑 요소(10, 20)의 제1 부분(11, 21)을 볼트(31)가 관통하는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수용한다.
즉, 제1 클램핑 요소(10)의 제1 부분(11)의 홀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이고, 제2 클램핑 요소(20)의 제2 부분(21)의 홀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이다.
제2 실시예
도 5에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고정 장치(200)에 안전 와이어 로프(4)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예의 고정 장치(200)는 볼트(31)가 1개만 마련되고,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10', 20')의 제1 부분(11', 21')에는 1개의 볼트(31)만이 통과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10', 20')을 결합하는 볼트(31)의 개수는 고정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에 상대적으로 작은 하중을 작용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의 두께 또는 폭을 작게 하고 체결 수단으로서의 볼트를 1개만 설치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의 두께 또는 폭을 크게 하고 볼트를 2개 또는 2개를 초과하는 개수로 설치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3 실시예의 고정 장치(300)는 제1 클램프 요소(10")의 제3 부분(13")이 제1 부분(11)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되지만, 단부가 수직으로 굴곡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의 고정 장치(100)와 차이점을 갖는다. 제1 클램프 요소(10")의 제3 부분(13")이 수평으로 연장되고, 여기에 수직으로 홀(14")이 형성되어, 홀(14")은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클램프 요소(10")에는 제3 부분(13")의 하면으로부터 제1 부분(11")의 하면을 거쳐 제2 부분(12")의 하면까지 연장되는 보강 패널(15)이 마련되어 있다.
보강 패널(15)은 제1 내지 제3 부분(11" ~ 13")의 하면에서 폭방향 중심에 놓이고 수직으로 연장되어 제1 클램프 요소(10")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제1 클램프 요소(10")의 강도와 강성을 높여준다. 특히 보강 패널(15)은 수직 방향 작용 하중에 대한 지지 성능을 높인다.
제1 클램프 요소(10")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제3 부분(13")에 수직 방향으로 안전 와이어 로프(4)가 결합되어도 보강 패널(15)에 의해 수직 하중이 높은 수준으로 지지되고, 이러한 하중에 의해 제1 클램프 요소(10")이 휘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제3 실시예의 고정 장치(300)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 와이어 로프(4)가 수직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 와이어 로프(4)가 수평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제3 실시예의 고정 장치(300)도 제2 실시예의 고정 장치(200)와 마찬가지로 작용하는 하중 수준 등에 따라 볼트(13)가 1개만 사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4 실시예의 고정 장치(400)는, 제3 실시예의 고정 장치(100)에 대비하여, 제3 실시예의 제1 클램핑 요소(10)에서 제2 부분(12)과 보강 패널(15)의 기능을 하는 요소가 하나의 지지 패널(12")로 이루어진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지지 패널(12")은 제1 클램핑 요소의 제3 부분(13")에 맞닿는 제3부분(123"), 제3 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굴곡되어 제1 클램핑 요소의 제1 부분(11")에 맞닿는 제1 부분(121") 및 제1 부분(121")으로부터 굴곡되어 채널의 수평부(2)의 내측 표면에 맞닿게 되는 제2 부분(1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 패널(12")은 하나의 패널을 굴곡하여 형성되어, 제1 클램핑 요소의 제1 부분(11") 및 제3 부분(13")과 맞닿아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및 제3 부분(121", 123")이 제3 실시예의 보강 패널(15)과 같이 제1 클램핑 요소(10-4)의 강성과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로서 기능하고, 제2 부분(122")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제1 클램핑 요소의 제2 부분(12, 12')과 마찬가지로 채널의 수평부(3)를 지지하면서 둘러싸는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4 고정 장치(400)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고정 장치(100, 200, 300)에 대비하여, 제2 클램핑 요소(20')에서 제2 부분(22)이 외측, 즉 채널(1)의 외측에서 볼트(31)에 맞닿도록 제1 부분(21)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측으로는 제3 부분(23)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제2 클램핑 요소의 제3 부분(23)은 설치 과정에서 채널(1)의 단부에 제2 클램핑 요소(20')가 배치되는 것을 도와주고, 설치 후에는 우발적으로 채널(1)로부터 제2 클램핑 요소(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제5 실시예
다음으로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5 실시예의 고정 장치(500)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고정 장치에 대비하여, 채널(1)을 제1 클램핑 요소(10-5)에 압박하는 추가의 가압 수단(16, 41, 42)을 더 갖춘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제5 실시예에서 제1 클램핑 요소(10-5)는 제4 실시예의 제1 클램핑 요소(10-4)에 제4 부분으로서 장착 패널(16)이 더 갖추어져 있다.
장착 패널(16)은 하나의 패널을 굴곡하여 형성되며, 수직으로 배치되어 제1 부분(11")의 외측 표면에 고정되는 수직부(161) 및 수직부로부터 내측으로 굴곡 되어 연장되는 수평부(162)가 마련되어 있다.
수평부(162)에는 암나사가 가공된 관통홀이 마련되어 있고 이 관통홀에 볼트(41)가 체결되어 있다. 볼트(41)는 수직으로 제1 클램핑 요소(10-5)에 설치되고 선단이 장착 패널(16)을 관통하고 볼트(31)의 옆으로 통과하여 채널의 수평부(2)의 외측 표면에 맞닿게 된다.
볼트(41)의 헤드와 장착 패널(16)의 상면 사이에는 볼트(41)에 2개의 너트(42)가 체결되어 있어서, 볼트(41)를 체결하여 채널(1)을 가압한 상태에서 너트(42)를 체결하면 볼트(41)가 풀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볼트(41)를 계속 체결하면 볼트의 선단이 채널의 수평부(3)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채널의 수평부(3)가 제1 클램핑 요소의 지지 패널(12")에 대하여 압박된다.
이에 따라, 채널의 수평부(3)와 제1 클램핑 요소의 지지 패널(12") 사이에 마찰력이 증대하여 채널(1)이 충격 하중이나 비틀림에 의해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일이 방지된다.
장착 패널(16)은 제1 클램핑 패널(10-5)의 다른 요소에 비해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볼트(16)는 제1 및 제1 클램핑 패널을 서로 체결하는 볼트(31)의 양측으로 하나씩, 총2개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고정 장치가 지지할 수 있는 충격 하중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추가의 가압 수단으로서 하나의 볼트(16)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채널(1)을 제1 클램핑 요소(10-5)에 압박하는 추가의 수단(16, 41, 42)을 더 포함하고 있지만, 이 수단과 동일한 구성을 추가의 가압 수단으로서 제2 클램핑 요소(20')에도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이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작동을 설명하였는바, 이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한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 및 구성 요소의 부가가 가능하다.
1: 채널 4: 안전 와이어 로프
100, 200, 300: 고정 장치 10: 제1 클램프 요소
20: 제2 클램프 요소 31: 볼트

Claims (9)

  1. 구조물을 이루는 'ㄱ'자 채널에 결합되어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 장치로서,
    수평으로 놓이는 채널의 수평부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채널의 수평부의 단부와 맞닿는 제1 부분, 제1 부분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채널의 수평부의 내측 표면에 맞닿는 제2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3 부분을 갖추는 것인 제1 클램프 요소,
    수직으로 놓이는 채널의 수직부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고 채널의 수직부의 단부와 맞닿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어 채널의 수직부의 내측 표면 또는 외측 표면을 지지하는 제2 부분을 갖추는 것인 제2 클램프 요소, 및
    굴곡 형성되어 채널의 외측 표면과 맞닿은 상태로 채널의 외측 표면을 따라 연장되고 양 단부가 각각 제1 클램프 요소과 제2 클램프 요소의 제1 부분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 수단
    를 포함하고,
    체결 수단을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 사이에 인장력이 인가되고,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가 각각 채널의 수평부 및 수직부에 맞닿아 압박되는 것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클램프 요소의 제3 부분의 선단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안전 와이어 로프의 단부가 관통하는 홀이 마련되는 것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클램프 요소의 제1 내지 제3 부분의 표면 일부에 걸쳐 수직으로 결합되는 보강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클램프 요소에 결합되어 채널의 수평부를 제1 클램프 요소의 제2 부분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가압 기구는 볼트로 구성되고, 제1 클램프 요소는 채널의 수평부를 사이에 두고 제1 클램프 요소의 제2 부분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4 부분을 더 포함하며, 가입 기구로서의 볼트는 제4 부분에 나사 결합되면서 관통하여 선단이 채널의 수평부의 표면에 맞닿아 채널의 수평부를 제1 클램프 요소의 제2 부분에 대해 가압하는 것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 클램프 요소의 제4 부분은 제1 부분에 맞닿아 고정되는 수직부 및 수직부로부터 제2 부분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수평부를 포함하고, 수평부에는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홀이 마련되는 것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체결 수단은 'ㄱ'로 굴곡되고 양 단부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볼트 및 제1 및 제2 클램프 요소의 제1 부분의 외측에서 볼트의 양단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체결 수단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볼트를 포함하는 것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제1 클램프 요소과 제2 클램프 요소의 제1 부분에는 체결 수단의 단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1 클램프 요소의 관통홀은 수직 방향으로, 제2 클램프 요소의 관통홀을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인 것인, 안전 와이어 로프의 고정 장치.
KR1020220101726A 2021-12-17 2022-08-15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KR102548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913 2021-12-17
KR20210187913 2021-12-17
KR1020220034385A KR102461818B1 (ko) 2021-12-17 2022-03-20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385A Division KR102461818B1 (ko) 2021-12-17 2022-03-20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709A true KR20230092709A (ko) 2023-06-26
KR102548346B1 KR102548346B1 (ko) 2023-06-27

Family

ID=840424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385A KR102461818B1 (ko) 2021-12-17 2022-03-20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KR1020220101726A KR102548346B1 (ko) 2021-12-17 2022-08-15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385A KR102461818B1 (ko) 2021-12-17 2022-03-20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61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3395B (zh) * 2022-04-20 2024-01-12 广东新海马电力设计有限公司 一种高压输电线的拉线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4040U (ko) * 1979-04-20 1980-11-06
JP2007075351A (ja) * 2005-09-14 2007-03-29 Heiwa Technos Kk 安全帯用ロープ掛止具
KR102202866B1 (ko) 2020-11-11 2021-01-14 제룡산업 주식회사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KR20210039623A (ko) 2019-10-02 2021-04-12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4040U (ko) * 1979-04-20 1980-11-06
JP2007075351A (ja) * 2005-09-14 2007-03-29 Heiwa Technos Kk 安全帯用ロープ掛止具
KR20210039623A (ko) 2019-10-02 2021-04-12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장치
KR102202866B1 (ko) 2020-11-11 2021-01-14 제룡산업 주식회사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346B1 (ko) 2023-06-27
KR102461818B1 (ko)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0453B2 (ja) アングル鉄塔用の支線取付金具
KR102548346B1 (ko)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RU2383487C2 (ru) Соединение конца ремня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конца ремня в лифте и способ защиты и проверки соединения конца ремня в лифте
KR102202866B1 (ko)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CN108602656B (zh) 起重卷筒与具有起重卷筒的纤维绳索驱动装置
KR102021359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EP2984245B1 (en) Aseismic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panel to a beam
CN110475935A (zh) 用于连接两个竖直部件的装置
KR20130103451A (ko) 빔 클램프
CN110980557B (zh) 一种塔吊附墙用安装结构
KR20230098935A (ko)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JP4592609B2 (ja) 通信ケーブル固定具
KR200418395Y1 (ko) 안전난간
KR20230098933A (ko)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KR102459431B1 (ko) 사다리용 추락방지장치 고정부재
KR200417902Y1 (ko)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JP2000064225A (ja) 吊構造物のケーブル取り付け方法
KR100671248B1 (ko) 안전난간
JP2018186440A (ja) アンテナ設置用の支持金具
JP5476738B2 (ja) スレート屋根用安全設備
KR101746753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230098934A (ko) 구조물에서 안전 와이어 로프를 가이드하는 장치
KR20220064182A (ko) 배전선로 인장 클램프
KR100668593B1 (ko) 타워 크레인의 앵커 프레임 조립체
JP6407062B2 (ja) ゴンドラ用ガイドレールの取付金具および同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