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248B1 - 안전난간 - Google Patents
안전난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1248B1 KR100671248B1 KR1020060022986A KR20060022986A KR100671248B1 KR 100671248 B1 KR100671248 B1 KR 100671248B1 KR 1020060022986 A KR1020060022986 A KR 1020060022986A KR 20060022986 A KR20060022986 A KR 20060022986A KR 100671248 B1 KR100671248 B1 KR 1006712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wire
- tension
- support
- fastening member
- fast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9—Wire cables or the like fill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04H17/1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the wire being placed in slots, groov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선이 이용되어 제작된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강선의 단부가 체결부재에 직접 체결되고, 간주를 통과하는 강선과, 지주를 통과하는 체결부재에는 다수의 인장보조캡이 설치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강선과 체결부재 사이에 개재되었던 고정구가 제거되고, 장시간의 설치로 인한 전체적 및 설치 부위별 강선의 인장력 저하를 억제하게 되며, 또한 저하된 강선의 인장력이 인장너트 및 인장보조캡에 의해 조정되어 항상 일정한 강선의 인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강선, 와이어, 안전난간, 난간, 인장보조캡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안전난간의 일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난간의 일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위가 확대 도시된 분해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난간의 일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지주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측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제2인장보조캡이 도시된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8은 도4에 도시된 간주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측단면도,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제3a인장보조캡이 도시된 사시도,
도 9b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제3 및 3a인장보조캡이 도시된 측단면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보호부재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안전난간 110...지주,
120...강선 130...체결부재,
140...인장너트 150...제1인장보호캡,
160...제2인장보호캡 170...제3인장보호캡,
180...제3a인장보호캡 190...보호부재.
본 고안은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강선(鋼線)이 이용되면서 그 설치가 단순해지고, 강선의 인장력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도록 된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계단 및 베란다의 난간, 그리고 건설현장의 추락 방지용 난간 등과 같이 아주 다양한 장소에 안전난간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난간은 철과 같은 금속 및 알루미늄과 같은 비금속 등이 이용되어 지주(支柱) 및 간주(間柱)가 제작되고 상기 지주가 적소에 배치되어 고정되면 이 지주들 사이에 다수의 간주가 설치되어 이루어지기도 하였고, 이와 같은 금속 및 비금속으로 설치시 소용되는 비용을 저감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다수 가닥의 철사를 길이방향으로 꼬아 만든 와이어 즉, 강선이 이용되기도 하였다.
상기 강선이 이용된 종래의 안전난간(10)의 경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선(12)의 일단부에 장착구(14)의 일단부가 고착되었고, 이 장착구(14)의 타단부가 체결부재(16)의 일단부와 나사결합으로 견고히 체결되었으며, 상기 체결부재(16)의 타단부는 지주(20)를 통과하여 반대측 외부로 표출되어 인장너트(18)가 체결되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안전난간(10)은 상기 인장너트(18)가 회전되면서 체결부재(16)를 당기면 이 체결부재(16) 및 장착구(14)에 의해 강선(12)이 인장됨으로써 상기 강선(12)에 대해 소정의 인장력(引張力)이 제공되었다.
또한, 상기 강선(12)이 길이가 긴 경우에는 지주(20)들 사이에 간주(미도시)가 설치되면서 강선(12)이 통과되도록 설치되었다.
그러나, 상기 강선(12)이 일정한 인장력이 제공되면서 설치되기 위해서는 강선(12)의 단부와 체결부재(16) 사이에 장착구(14)가 반드시 설치되어 설치 공정 수 및 부품 수가 증가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면서 작업비용이 상승되었고, 또한 상기 강선(12)이 단순히 간주를 통과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장기간의 설치등에 따라 그 인장력이 저하되어 느슨해 지면서 강선(120)의 중간부위와 말단부의 인장력에 차이가 발생되었으며, 이 인장력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주(20)에 설치된 인장너트(18)를 조정하지만 강선(12) 자체의 노후에 따른 설치 부위별 인장력 차이에 대한 극복이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강선의 단부에 체 결부재가 직접 체결되고, 지주 및 간주에 인장보조캡이 설치됨으로써, 종래의 강선과 체결부재 사이에 개재되었던 고정구가 제거되고, 인장보조캡이 인장너트의 해지 및 강선의 최초 위치 변화를 억제하여 강선의 길이에 따른 인장력 변화가 최소화되도록 하면서 설치 부위별 인장력의 차이가 극복되도록 된 안전난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된 지주에 형성된 관통홀에 일정한 인장력을 갖도록 강선이 통과되도록 설치된 안전난간에 있어서, 상기 강선의 단부에 체결부재의 일단부가 직접 고정되고, 이 체결부재의 타단부가 지주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지주의 양측에서 각각 인장너트와 체결되면서 인장너트의 회전에 의해 강선의 인장력이 조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재는 강선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고착되도록 일단부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인장너트와 체결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며, 체결부와 나사부 사이에 중간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에 통과되어 표출된 체결부재의 나사부 및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된 간주를 통과하는 강선과 체결되면서 상기 지주 및 간주의 관통홀에 설치된 보호부재의 일부를 수용하게 형성되고, 상기 인장너트 및 강선를 가압하여 인장너트 및 강선의 위치변경을 억제하여 강선의 인장력 저하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인장보조캡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상기 인장보조캡은 대략 4종류로, 제1인장보조캡은 지주에 통과되어 표출된 체결부재의 나사부가 수용되도록 본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과 나사부가 나사결합되면서 일단면이 인장너트를 가압하여 인장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제2인장보조캡은 지주에 통과되어 표출된 체결부재의 나사부와 인장너트가 수용되도록 본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나사부의 수용홈 내면에 나사부와 마찰이 형성되도록 내향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기와 나사부의 마찰로 인장너트의 수용홈과 인장너트의 밀착이 유지되도록 하여 인장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3 및 제3a인장보조캡은 강선의 인장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필요에 따라 강선에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보호부재의 외측단부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간주에 설치된 강선 및 체결부재를 감쌀 수 있도록 양단부에 형성된 톱니부가 상호 결합되며, 이 톱니부가 결합되면서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홀이 동심을 이루면 체결볼트가 볼팅체결되어 강선 및 체결부재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a인장보조캡의 내면에는 강선의 외면과 밀착되는 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인장보조캡의 내면에는 체결부재의 외면과 마찰이 발생되도록 내향 돌출된 마찰돌기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에는 통과되는 강선과의 마찰 및 관통홀과 강선과의 간극이 제거되도록 외부에서 끼워져 결합되고, 체결홀의 내면과 접촉되는 중간부위가 양단부보 다 직경이 작은 대략 아령형상이면서 강선이 통과되게 중공이 형성된 보호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주 및 간주로부터 외부에 표출된 보호부재의 일단부는 인장너트와 지주 및 간주 사이에 개재되어 와셔기능을 갖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난간을 참조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난간의 일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주요부위가 확대 도시된 분해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난간(100)은 지면 또는 바닥에 고착된 지주(110)에 다수의 강선(120)이 설치되고, 이 강선(120)은 단부에 체결부재(130)의 일단부가 직접 고착되며, 이 체결부재(130)의 타단부가 지주(110)를 통과하여 외부로 표출된 부위에 인장너트(140)가 체결되면서 상기 체결부재(130)의 표출된 부위 말단에 제1인장보조캡(150)이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재(130)는 강선(110)과 고착되는 체결부(132)와, 지주(110)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표출되어 인장너트(140) 및 제1인장보조캡(150)과 체결되는 나사부(134)로 이루어진다. 이 체결부재(130)는 후술될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체결부(132)와 나사부(134)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중간부(136)가 형성되도록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30)와 강선(120)의 결합은 체결부재(130)의 체결부(132)에 강선(120)이 삽입된 상태에서 견고히 물림상태를 갖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용접이 병행되어 결합되거나 용접만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주(110)의 양측 외부, 도면상 좌ㆍ우 외측에 각각 인장너트(140)가 설치되어 강선(120)의 인장력 변화를 방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인장보조캡(150)과 더불어 이중으로 강선(120)의 인장력 변화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인장보조캡(150)은 인장너트(140)와 체결된 상태에서의 잔여 나사부(134)를 수용하면서 나사체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134)와 체결되면서 인장너트(140)를 지주(110)측으로 가압하여 인장너트(140)의 풀림현상을 방지하면서 강선(120)의 인장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먼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난간(200)의 일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를 보면, 상기 강선(120) 자체가 간주(112)를 통과하면서 일단부가 체결부재(130a)에 체결되고, 이 체결부재(130a)가 지주(110a)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주(110a)의 양측 외부, 도면상 좌ㆍ우외측에 각각 체결부재(130a)와 결합되는 제2인장보조캡(160)과 제3인장보조캡(170)이 설치되고, 간주(112)의 양측 외부, 도면상 좌ㆍ우외측에 각각 강선(120)과 결합되는 제3a인장보조캡(180)이 설치되며, 상기 지주(110a)를 통과한 체결부재(130a)의 일단부에 강선(110)의 인장력을 형성하기 위한 인장너트(140)가 설치된다.
상기 지주(110a) 및 간주(112)에는 각각 체결부재(130a)와 강선(120)이 통과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에 강선(120) 및 체결부재(130a)와 관통홀 간의 간극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호부재(190)가 장착된다.
상기 체결부재(130a)는 도 5에서 보듯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체결부재(130)의 변형된 예로서, 강선(120)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고착되는 체결부(132)와, 이 체결부(132)로부터 연장되어 지주(110a)를 통과하는 중간부(136)와, 이 중간부(136)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인장너트(14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34)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부재(19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가 관통홀에 결합되도록 양단부보다 직경이 다소 작은 대략 아령형상이고, 강선(120) 및 체결부재(130a)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에 보호부재(190)가 결합되면서 지주(110a) 및 간주(112)의 외부에 위치되는 보호부재(190)의 일단부는 인장볼트(140)의 외면 및 제2,3,3a인장보조캡(160,170,170a)의 내면과 면접촉되면서 상기 인장볼트(140) 및 제2,3,3a인장보조캡(160,170,170a)의 결합에 대해 와셔(washer)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b에서와 같이, 강선(120)의 일단부가 고착되면서 지주(110a)의 관통홀에 설치된 보호부재(190)를 통과하도록 체결부재(130a)가 설치되고, 지주(110a)의 양측 외부, 도면상 좌ㆍ우외측에 각각 체결부재(130a)와 결합되는 제2인장보조캡(160)과 제3인장보조캡(170)이 설치된다.
상기 제2인장보조캡(160)은 체결부재(130a)의 말단부 즉, 도면상의 우측부위에 인장너트(140)와 체결된 상태에서의 잔여 나사부(134) 및 보호부재(190)의 표출부위를 수용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인장보조캡(160)의 내면에는 보호부재(190)의 외부 표출부위와 인장너트(140) 및 잔여 나사부(134)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62,164,166)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134)의 수용홈(166)에는 나사부(134)와 마찰이 형성되도록 내향돌출되게 걸림돌기(168)가 형성된다.
이 걸림돌기(168)는 체결부재(130)의 해제방향과 역방향으로 돌출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인장보조캡(160)은 보호부재(190) 및 인장너트(140)의 수용홈(162,164)이 보호부재(190)와 특히 인장너트(140)를 지주(110a)측으로 가압하여 인장너트(140)의 풀림현상을 방지하면서 강선(120)의 인장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3인장보조캡(170)은 후술될 제3a인장보조캡(180)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8 내지 도 9b에서와 같이, 강선(120)이 간주(112)에 장착된 보호부재(190)를 통과하여 위치되고, 간주(112)의 양측 외부 즉, 도면상 좌ㆍ우측에 각각 강선(120)과 결합되는 제3a인장보조캡(180)이 설치된다.
상기 제3a인장보조캡(180)은 강선(120)의 인장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필요에 따라 강선(120)에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재로서, 보호부재(190) 의 외측단부가 수용되도록 수용홈(181)이 형성되고, 간주(112)에 설치된 강선(120)을 감쌀 수 있도록 양단부가 형성된 톱니부(182)가 상호 결합되며, 이 톱니부(182)가 결합되면서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홀(183)이 동심을 이루면 이 체결홀(183)에 체결볼트(184)가 볼팅체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3a인장보조캡(180)과 제3인장보조캡(170)의 형상은 동일하고, 단지 내면의 형상만이 다른 것으로, 상기 제3a인장보조캡(180)의 내면에는 강선(120)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부(185)가 형성되어 강선(120)과 밀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3인장보조캡(170)의 내면에는 체결부재(130)의 외면과 밀착 또는 마찰이 발생되도록 평평하게 이루어지거나 마찰돌기(172)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183)에 체결된 체결볼트(184)의 끝단면은 강선(120) 또는 체결부재(130)의 외표면을 가압하여 강선(120) 또는 체결부재(130)의 위치가 체결볼트(184)의 외압에 의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강선(120)의 인장력이 유지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3a인장보조캡(180)의 결합부(185)는 강선(120)의 외면과 밀착되어 그 인장력 유지를 위한 보조기능을 하면서 필요에 따라 도구가 이용되어 회전되면 강선(120)에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길이가 긴 강선(120)이 장시간 설치되어 전체적 또는 설치 부위별로 그 인장력이 저하되면 강선(120)의 전체적인 인장력은 상기 지주(110a)측에 설치되는 인장볼트(140)에 의해 조정되고, 강선(120)의 설치 부위의 부분적인 인장력 은 각 간주(112)측에 설치되는 제3a인장보조캡(180)에 의해 조정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을 작업순서에 의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강선(120)이 간주(112)에 설치된 보호부재(190)를 통과하여 양단부가 지주(110,110a)에 근접되게 위치되면 강선(120)의 단부가 체결부재(130,130a)에 죄임 또는 용접 등으로 직접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130,130a)가 지주(110,110a)에 설치된 보호부재(190)를 통과하여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130)의 나사부(134)에 인장너트(140)가 체결되면서 회전하여 강선(120)에 소정의 인장력이 제공되면 제1인장보조캡(150) 또는 제2인장보조캡(160)이 인장너트(140) 및 보호부재(190)를 외면밀착 또는 수용하면서 장착되고, 지주(110,110a) 및 간주(112)를 통과하는 체결부재(130,130a)와 강선(120)과의 결합 위치에 따라 제3 및 제3a인장보조캡(170,180)이 설치된다.
상기 강선(120)이 장시간 설치되어 그 인장력이 저하되면 전체적으로는 인장너트(140)에 의해 강선(120)의 인장력이 조정되고, 설치 부위별로는 제3a인장보조캡(180)에 의해 강선(120)의 인장력이 조정됨으로써 강선(120)의 단부 및 중간부위의 인장력이 항상 일정한 인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강선이 체결부재에 직접 고착되어 종래의 강선과 체결부재 사이에 개재되었던 고정구가 제거되고, 다수의 인장보조캡이 설치되 어 장시간의 설치로 인한 전체적 및 설치 부위별 강선의 인장력 저하를 억제하게 되며, 또한 저하된 강선의 인장력이 강선의 부위에 따라 인장너트 및 인장보조캡에 의해 조정되어 항상 일정한 강선의 인장력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 고정된 지주에 형성된 관통홀에 강선이 통과되면서 인장너트에 의해 일정한 인장력을 갖도록 이루어진 안전난간에 있어서,상기 강선의 단부에 체결부재의 일단부가 직접 고정되고, 이 체결부재가 지주에 통과되어 표출된 체결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 및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된 간주를 통과하는 강선과 체결되면서 상기 지주 및 간주의 관통홀에 설치된 보호부재의 일부를 수용하게 형성되고, 상기 인장너트 및 강선를 가압하여 인장너트 및 강선의 위치변경을 억제하여 강선의 인장력 저하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인장보조캡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체결부재는 강선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고착되도록 일단부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이 체결부에서 나사부까지 형성되어 지주를 통과하는 중간부가 선택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인장보조캡은 지주에 통과되어 표출된 체결부재의 나사부가 수용되도록 하면서 나사부와 나사결합되고, 일단면이 인장너트를 가압하여 인장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인장보조캡은 지주에 통과되어 표출된 체결부재의 나사부와 인장너트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나사부의 수용홈 내면에 나사부와 마찰이 형성되도록 내향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와 나사부의 마찰로 인장너트의 수용홈과 인장너트의 밀착이 유지되도록 하여 인장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인장보조캡은 강선의 인장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필요에 따라 강선에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보호부재의 외측단부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간주에 설치된 강선 및 체겨부재를 감쌀 수 있도록 양단부에 형성된 톱니부가 상호 결합되며, 이 톱니부가 결합되면서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홀이 동심을 이루면 체결볼트가 볼팅체결되어 강선 및 체결부재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인장보조캡의 내면에는 강선의 외면과 밀착되는 형상의 결합부와, 체결부재의 외면과 마찰이 발생되도록 내향 돌출된 마찰돌기가 인장보조캡의 설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보호부재는 관통홀을 통과하는 강선과의 마찰 및 관통홀과 강선과의 간극이 제거되도록 외부에서 끼워져 결합되고, 체결홀의 내면과 접촉되는 중간부위가 양단부보다 직경이 작은 대략 아령형상이면서 강선이 통과되게 중공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지주로부터 외부에 표출된 보호부재의 일단부는 인장너트와 지주 및 간주 사이에 개재되어 와셔기능을 갖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2986A KR100671248B1 (ko) | 2006-03-13 | 2006-03-13 | 안전난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2986A KR100671248B1 (ko) | 2006-03-13 | 2006-03-13 | 안전난간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6645U Division KR200418395Y1 (ko) | 2006-03-13 | 2006-03-13 | 안전난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1248B1 true KR100671248B1 (ko) | 2007-01-19 |
Family
ID=3801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2986A KR100671248B1 (ko) | 2006-03-13 | 2006-03-13 | 안전난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124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3241U (ko) * | 2017-05-10 | 2018-11-20 | 최정화 | 건설현장 계단용 난간대 |
KR20210100343A (ko) * | 2020-02-06 | 2021-08-17 | 매크로드 주식회사 | 핑거플레이트 이탈 방지 장치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
WO2022053702A1 (en) * | 2020-09-14 | 2022-03-17 | Kompan A/S | A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 rope to a tubular fram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8945A (ja) * | 1992-02-07 | 1994-04-12 | Yukio Yokozuka | 安全ロープの係留方法及びその取付け器具 |
JPH06108588A (ja) * | 1992-09-21 | 1994-04-19 | Sekisui House Ltd | 鉄筋の接合装置とそれに使用する接合具 |
KR200190081Y1 (ko) | 2000-03-03 | 2000-07-15 | 주식회사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 건축구조물의 현장 난간 안전지지대 |
KR200337452Y1 (ko) | 2003-08-27 | 2004-01-07 | 구기승 | 이중 수납구조의 마른 휴지 포장팩 |
KR20050037543A (ko) * | 2005-04-01 | 2005-04-22 | 박중석 |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인장장치 |
-
2006
- 2006-03-13 KR KR1020060022986A patent/KR10067124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8945A (ja) * | 1992-02-07 | 1994-04-12 | Yukio Yokozuka | 安全ロープの係留方法及びその取付け器具 |
JPH06108588A (ja) * | 1992-09-21 | 1994-04-19 | Sekisui House Ltd | 鉄筋の接合装置とそれに使用する接合具 |
KR200190081Y1 (ko) | 2000-03-03 | 2000-07-15 | 주식회사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 건축구조물의 현장 난간 안전지지대 |
KR200337452Y1 (ko) | 2003-08-27 | 2004-01-07 | 구기승 | 이중 수납구조의 마른 휴지 포장팩 |
KR20050037543A (ko) * | 2005-04-01 | 2005-04-22 | 박중석 |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인장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3241U (ko) * | 2017-05-10 | 2018-11-20 | 최정화 | 건설현장 계단용 난간대 |
KR200489666Y1 (ko) * | 2017-05-10 | 2019-07-19 | 최정화 | 건설현장 계단용 난간대 |
KR20210100343A (ko) * | 2020-02-06 | 2021-08-17 | 매크로드 주식회사 | 핑거플레이트 이탈 방지 장치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
KR102399670B1 (ko) | 2020-02-06 | 2022-05-19 | 매크로드 주식회사 | 핑거플레이트 이탈 방지 장치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
WO2022053702A1 (en) * | 2020-09-14 | 2022-03-17 | Kompan A/S | A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 rope to a tubular fr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49577B2 (en) | Cable railing | |
KR200418395Y1 (ko) | 안전난간 | |
US6715176B2 (en) |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together a construction element and structural cable | |
US7198253B2 (en) | Wire rope connectors and tensioners for deck railing systems | |
KR100671248B1 (ko) | 안전난간 | |
US12054952B2 (en) | Cable railing with tensioning device | |
KR102548346B1 (ko) |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 |
JP2008025786A (ja) | ワイヤ緊張装置 | |
KR100635645B1 (ko) | 낙석방지책의 와이어로프 인장장치 | |
JP2011043025A (ja) | 緊張材を用いた構造物の補強方法 | |
KR20230099363A (ko) | 철탑 작업용 발판형 스텝볼트의 구조 | |
KR20190097436A (ko) | 교량의 박스거더용 발판현가시스템 | |
JPH0882347A (ja) | 索道ワイヤーの固定具 | |
JP2017031667A (ja) | 土砂崩壊抑止構造および土砂崩壊抑止工法 | |
KR101143676B1 (ko) |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 |
KR20100004685U (ko) | 풀림 방지용 볼트 | |
JP3118626U (ja) | 剛体電車線用の架台および剛体電車線 | |
KR102203294B1 (ko) | 난간용 로프의 고정장치 | |
KR200410319Y1 (ko) |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고정장치 | |
KR100602871B1 (ko) | 타이바 고정구조 | |
KR20120063957A (ko) | 풀림 방지 장치 | |
JP4606621B2 (ja) | ロープ把持装置 | |
JP7164429B2 (ja) | 落下物防止柵の構築方法 | |
KR102679874B1 (ko) | 안전 와이어 로프의 가이드 장치 | |
KR102167163B1 (ko) | 그라운드 앵커의 보강을 통한 재긴장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03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