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677A - 스펙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펙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677A
KR20230092677A KR1020220026751A KR20220026751A KR20230092677A KR 20230092677 A KR20230092677 A KR 20230092677A KR 1020220026751 A KR1020220026751 A KR 1020220026751A KR 20220026751 A KR20220026751 A KR 20220026751A KR 20230092677 A KR20230092677 A KR 20230092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spx
spex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의균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92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펙신(Spex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골세포 분화 또는 골 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스펙신(Spexin)이 무기질 침착 형성을 증가시키고, 조골세포 전사 조절자, 골형성 분화 마커 및 기질 소포 매개 광물화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키며 골세포 분화 관여 신호전달 분자의 인산화를 유도하는 등 조골세포 분화 및 골 재생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골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펙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s comprising spexin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스펙신(Spex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뼈의 신진대사는 복잡한 복합적 요인에 의해 정교하게 제어된다. 신경계는 골량, 리모델링 및 복구의 중요한 조절자 중 하나로 인식된다. 감각신경과 교감신경이 뼈와 골막을 자극한다는 증거가 계속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신경은 신경 펩티드, 신경 전달 물질, 단백질,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를 통해 뼈와 상호 작용한다. 특히, 골세포가 상호 작용 및 신호 전달을 위한 각각의 수용체를 발현하므로 신경 펩티드는 뼈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경 펩티드 중 일부는 조골세포 분화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키는 반면, 다른 신경 펩티드는 혈관신생을 자극하여 골 형성을 간접적으로 보조한다. 예를 들어, 신경 펩티드 Y,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 물질 P 및 혈관활성 장 펩티드는 조골세포 분화를 자극하고 뼈 재생을 유도하는 반면, 세크레토뉴린은 혈관신생 활성을 통해 새로운 뼈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뼈와 신경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 상황이다.
한편, 신경 펩티드 Q라고도 불리는 스펙신(Spexin; SPX)은 12번 염색체에 위치한 C12ORF39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새로운 분비 내인성 신경 펩티드이다. C12ORF39 유전자의 프리프로펩티드 산물은 11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프리프로펩티드의 순차적 처리는 14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성숙한 SPX 펩티드를 생산한다. SPX의 아미노산 서열인 NWTPQAMLYLKGAQG는 인간, 마우스 및 쥐에서와 같이 척추동물 종에 걸쳐 고도로 보존되어 있다. SPX은 중추 및 말초 신경계 및 뇌, 삼차 및 상경부 신경절, 장 신경계의 피하 신경총, 피부, 간 및 신장과 같은 조직뿐만 아니라, 뼈 세포, 조골세포 및 파골 세포에서도 관찰된다. SPX은 갈라닌 수용체 유형 2 및 3(GALR2 및 GALR3)을 통해 작용한다. 상기 수용체는 해마, 시상하부, 폐 및 신장을 비롯한 다양한 조직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또한, Galr2는 골수 간엽줄기세포에서 풍부하게 발현되고 Galr3은 그보다 적은 양으로 발현된다. SPX의 넓은 분포는 여러 생물학적 기능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SPX은 위 수축 또는 장 운동성을 자극하고, 알도스테론과 코르티코스테론의 약간의 자극으로 부신피질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심혈관 기능, 소변 유량 및 통각에 영향을 미친다. Spx 녹아웃(knockout) 제브라피쉬는 높은 식욕과 혈청 내 포도당, 트리아실글리세롤 및 콜레스테롤의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 비만인 사람의 경우, 대망 및 피하 지방에서 SPX mRNA 발현이 증가하고 혈청 수준은 렙틴 호르몬 수준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임상 연구에 따르면 SPX의 순환 수준은 비만 아동과 당뇨병 성인에서 낮다. 최근 비만 및 당뇨병 환자에서 장기간의 운동이 SPX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SPX의 말초 투여는 식이 유발 비만 마우스와 쥐의 체중을 감소시켰다. 콜로지에이스키 등(Kolodziejski et al.)은 SPX이 3T3-E1 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생성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킨다고 보고했다. 특히, 조골세포와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반비례한다는 사실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SPX의 조골세포 분화, 골재생 등을 통한 골 질환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5241호(2018.06.0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펙신(Spex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펙신(Spex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펙신(Spex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펙신(Spex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골세포 분화 또는 골재생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펙신(Spexin)이 무기질 침착 형성을 증가시키고, 조골세포 전사 조절자, 골형성 분화 마커 및 기질 소포 매개 광물화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키며 골세포 분화 관여 신호전달 분자의 인산화를 유도하는 등 조골세포 분화 및 골 재생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골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골형성 분화 동안의 Spx, Galr2, 및 Galr3의 발현 및 MC3T3-E1 세포의 증식에 대한 스펙신(SPX)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MC3T3-E1 세포를 3, 7, 14 및 21일 동안 OSM으로 처리하고, Spx, Galr2 및 Galr3의 mRNA 발현 수준을 RT-qPCR을 사용하여 평가했다. 그 결과, SPX은 MC3T3-E1 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았고, 증식 분석을 위해 세포를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 동안 다양한 농도의 스펙신(대조군, 100ng/ml, 250ng/ml 및 500ng/ml)으로 처리했다. 세포 증식은 CCK-8 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P < 0.5, **P < 0.01).
도 2는 MC3T3-E1 세포의 골형성 분화 및 광물화 촉진에 있어서, 스펙신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2a는 7일째에 ALP 염색 후, 현미경 이미지는 저배율(6.3배) 및 고배율(40배)에서 촬영한 결과이고(축척 막대=각각 4mm 및 250μm), 도 2b는 21일째에 ARS 염색 후, 현미경 이미지는 저배율(6.3배) 및 고배율(20배)에서 촬영한 결과이다(축척 막대=각각 4mm 및 1mm). 10% CPC 용해 및 분광 광도계 측정에 의한 ARS 염색의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 3a 및 3b는 농도별 스펙신 처리를 통한 골형성 분화 마커(Runx2, Alp, Cola1, OC 및 Bsp) 및 기질 소포 매개 광물화 유전자(Enpp1, Ank, Tnap 및 Pit1) 각각의 발현을 3, 7, 14 및 21일째에 RT-qPCR을 통해 평가한 결과이다. Gapdh를 참조로 사용했고, 세포를 농도별 스펙신(대조군, 100ng/ml, 250ng/ml 및 500ng/ml)에 OSM으로 처리하였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P < 0.5, **P < 0.01.
도 4는 인산화 분석을 위한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이다. 인산화 신호전달 분석을 위해, MC3T3-E1 세포를 24시간 동안 혈청 결핍시킨 후 스펙신(500ng/ml)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OSM으로 처리했고, MEK1/2, ERK1/2, P38 및 JNK의 인산화 및 비인산화 형태를 평가했다. β-액틴을 로딩 대조군(loading control)으로 사용하였다. 상대적 폴드 발현 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P < 0.05, **P < 0.01).
도 5 는 스펙신의 생체 내 두개골 재생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수술 후 10일째 두개골 결손의 Micro-CT 스캐닝 및 정량적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처리 그룹은 대조군, 콜라겐 스폰지+0.5μg/ml 및 콜라겐 스폰지+1μg/ml으로 구성된다.
도 5a는 수술 후 10일째 두개골 결손 부위에서 새로 형성된 뼈의 3차원 재구성된 마이크로 CT 이미지이다.
도 5b는 새로 형성된 뼈에서 뼈 형태 측정 파라미터, BV, BV/TV, Tb.N, Tb.Th 및 Tb.Sp의 정량화 분석 결과이다. BV는 뼈 부피, BV/TV는 결손 조직 부피에 대한 광물화된 골 부피의 비율, Tb.N는 소주 수, Tb.Th는 소주 두께, Tb.Sp는 새로 형성된 뼈의 소주 분리를 의미한다.
도 5c는 수술 후 10일째 두개골 결손 영역의 H&E 염색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상부 패널(저배율, 50×; 스케일 바=250 μm) 및 하부 패널(박스 영역의 고배율, 200×; 스케일 바=75μm)). 처리군은 대조군, 콜라겐 스폰지+0.5μg/μl 및 콜라겐 스폰지+1 μg/μl이다.
도 5d는 결손 부위에서 새로운 뼈의 면적 백분율을 나타낸다(대조군과 비교하여 *P < 0.5, **P < 0.01).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펙신(Spex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무기질 침착의 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조골세포 전사 조절자인 Runx2 또는 기질 소포 매개 광물화 유전자인 Tnap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Alp, Col1a1, Oc 및 Bs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골형성 분화 마커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MEK1(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1), MEK2(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2), ERK1(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 및 ERK2(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조골세포 분화 관여 신호전달 분자의 인산화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 질환은 골다공증, 골연화증, 구루병, 골감소증, 칼슘조절이상, 전이성 암 또는 임플란트의 피로잔해에 의한 골용해, 염증성 골소실, 내분비 질환 또는 약물에 의한 이차성 골손실(secondary bone loss), 파젯병(Paget disease), 류마티스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및 치조골의 파괴가 동반되는 치주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제제화에 사용되는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정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제형화를 위해 추가로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전분, 당 및 만니톨과 같은 부형제, 칼슘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충전제 및 증량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젤라틴, 알긴산염,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과 같은 결합제, 활석, 스테아린산 칼슘, 수소화 피마자유 및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윤활제, 포비돈 및 크로스포비돈과 같은 붕해제, 폴리소르베이트, 세틸알코올, 글리세롤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대상체에게 생물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친화적인 것일 수 있다. 희석제의 예로는 염수, 수용성 완충액, 용매 및/또는 분산제(dispersion media)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일 경우, 정제,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엘릭시르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일 경우, 주사액,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연고, 도포용 파우더, 오일, 크림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체질 특이성, 제제의 성질, 질병의 정도, 조성물의 투여시간, 투여방법, 투여기간 또는 간격, 배설율 및 약물 형태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으며, 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약 0.1 내지 10,000mg/kg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으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면, 정맥 내, 피하 내,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및 유효 투여량은 약학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펙신(Spex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품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 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 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 식품 중 경질 캡슐제는 통상의 경질 캡슐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 및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캡슐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고 젤라틴 등 캡슐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캡슐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거나 섭취시켜 질환의 나쁜 상태를 좋게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펙신(Spex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골세포 분화 또는 골재생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MC3T3-E1 세포 배양
MC3T3-E1 세포는 10% 소태아혈청(FBS, Gibco, Grand Island, NY, USA) 및 1% 항생제(100U/mL 페니실린, 100μg/mL 스트렙토마이신)를 함유하고 아스코르빈산(Welgene, 한국 경산)이 없는 α-최소 필수 배지(α-MEM)에서 유지되었고 ≤5% CO2의 존재 하에 37℃에서 배양했다. 골 형성 분화를 위해 세포를 골 형성 배지(이하 OSM이라 함)(10% FBS, 10mM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및 50μg/mL 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α-MEM)로 배양하였다. 스펙신(Spexin; 이하 SPX라 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OSM에서 표시된 농도의 SPX으로 세포를 처리했다. 배지는 3일마다 교체하였다. SPX 펩타이드는 Anygen(한국 광주)에서 합성했다. HPLC 분석을 통해 측정한 바와 같이, 순도 펩타이드는 98% 이상이었다. 인산완충식염수(이하 PBS라 함)에 녹인 다음 원하는 작업 농도로 배지에 희석했다. 대조군으로 PBS를 사용하였다. Human SPX의 전구체 전체 아미노산 서열 및 본 실험에서 사용한 SPX 서열(Mature SPX)은 표 1과 같다.
Human SPX 전구체 MKGLRSLAATTLALFLVFVFLGNSSCAPQRLLERRNWTPQAMLYLKGAQGRRFISDQSRRKDLSDRPLPERRSPNPQLLTIPEAATILLASLQKSPEDEEKNFDQTRFLEDSLLNW
Mature SPX NWTPQAMLYLKGAQG
[ 실험예 2] MC3T3 -E1 세포 증식 분석
MC3T3-E1 세포의 증식은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Cell Counting Kit-8 assay(CCK-8; Dojindo Molecular Technologies, Inc., Kumamoto, Japan)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MC3T3-E1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2 × 103 세포/웰의 밀도로 플레이팅하고 5% CO2가 있는 가습 인큐베이터에서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했다. 이어서, 세포를 농도별로 SPX을 처리했다(대조군, 100ng/ml, 250ng/ml 및 500ng/ml). 샘플당 3개의 복제된 웰을 준비했다. 24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 인큐베이션 후, 조정된 배지를 10% CCK-8 용액을 포함하는 새로운 성장 배지로 교체하고 37℃에서 추가로 2시간 동안 배양했다. 흡광도는 450nm의 파장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BioRad,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ALP 염색, ARS 염색, RT-qPCR 및 웨스턴 블롯 분석을 위해 세포를 처리하는데 사용된 SPX의 농도는 CCK-8 분석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였다.
[실험예 3] ALP 염색 분석
MC3T3-E1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5 × 104 세포/웰의 밀도로 접종했다. 하루 경과 후, 농도별 SPX 처리된 세포를 OSM으로 처리하였다(대조군, 100ng/ml, 250ng/ml 및 500ng/ml). 7일째에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2회 세척한 후 구연산-아세톤-포름알데히드 용액으로 상온에서 30초간 고정하였다. 고정된 세포를 ALP 염색 용액에서 실온에서 15분 동안 배양했다. ALP 염색 용액은 아질산나트륨, FRV-알칼리성 용액, 증류수 및 나프톨 AS-BI 알칼리성 용액(1:1:45:1)으로 이루어진 디아조늄 용액(Sigma Aldrich, St Louis, MO, USA)을 사용하였다. 플레이트를 증류수(DW)로 헹구고 건조시켰다. 마지막으로 ALP 염색 영역을 현미경(Olympus SZX-TR30, Tokyo, Japan)을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실험예 4] 광물화 분석
SPX의 미네랄 형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를 배양하였다. 21일째에 배지를 제거하고 ARS 용액으로 염색하였다. 세포를 PBS로 2회 헹구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70% 에틸 알코올에 고정시켰다. 그런 다음 세포를 DW로 두 번 세척하고 37℃에서 10분 동안 2% ARS 염색 용액(pH 4.2)으로 염색했다. 결합되지 않은 염료는 DW로 3회 세척하여 제거했다. 광물 침전물은 현미경(Olympus SZX-TR30, Tokyo, Japan)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ARS 염색을 정량화하기 위해 매트릭스 광물 침전물을 실온에서 30분간, 암실에서 10%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PC;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에 용해시켰다. 또한, 200μl의 상기 용액을 96 웰 플레이트로 옮겼다. 흡광도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570nm에서 측정하였다.
[실험예 5] RT-qPCR
MC3T3-E1 세포의 조골세포 분화 동안 Spx, GAlr2 및 Galr3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 세포를 5 × 104 세포/웰의 밀도로 24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다음날, 세포를 OSM으로 처리하고 3, 7, 14 및 21일에 수확했다. 배지는 3일마다 교체되었다. Runx2, Alp, Col1a1, Oc 및 Bsp를 포함하는 골형성 분화 마커와 Enpp1, 아킬로시스(ankylosis; Ank), 조직 비특이적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Tissue-Nalkaline phosphatase; Tnap) 및 인산염 수송체 1(phosphate transporter 1; Pit1)과 같은 기질 소포-매개 광물화 유전자의 발현을 정량화하기 위해, 세포에 OSM 및 농도별 SPX(대조군, 100ng/ml, 250ng/ml 및 500ng/ml)을 처리했다. 또한, 세포를 3, 7, 14 및 2l일에 수확했다. 총 RNA는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TRI-Solution(BSK-BIO, 한국 대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cDNA는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Superscript II Reverse Transcriptase(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사용하여 총 RNA 1μg으로부터 제작했다. 그 다음,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SYBR® Premix Ex Taq™(Takara Bio Inc., Shiga, Japan)를 사용하여 Light Cycler 1.5 System(Roche Diagnostics, Rotkreuz, Switzerland)에서 RT-qPCR을 수행했다. 글리세르알데히드 3-포스페이트 탈수소효소(Gapdh)를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했다. 표 2는 RT-qPCR을 위한 프라이머의 서열을 보여준다.
Gene Forward sequence (5′-3′) Reverse sequence (5′-3′)
Runx2 GCAGTTCCCAAGCATTTCAT CACTCTGGCTTTGGGAAGAG
Alp AACCCAGACACAAGCATTCC GAGAGCGAAGGGTCAGTCAG
Col1a1 CCTAATGCTGCCTTTTCTGC ATGTCCCAGCAGGATTTGAG
Oc AAGCAGGAG GGCAATAAGGT TTTGTAGGCGGTCTTCAAGC
Bsp AAAGTGAAGGAAAGCGACGA GTTCCT TCTGCACCTGCTTC
Enpp1 ACCCTCAGTGGCAACTTGCGTT TGCTTGAAGGCAGGTCCATAGC
Ank CGTGGACTCATGCTGGCATTCT GTTCTCGGCATTCCAGGTGACT
Tnap CCAGAAAGACACCTTGACTGTGG TCTTGTCCGTGTCGCTCACCAT
Pit1 GCAAATGGGCAGAAGGGTGTCA CTTACGGAGGATGAACGCACGA
Gapdh ATG ACA TCA AGA AGG TGG TG CAT ACC AGG AAA TGA GCT TG
[실험예 6] 신호전달 분자에 대한 웨스턴 블롯 분석 및 인산화 분석
MC3T3-E1 세포를 성장 배지에서 100mm 접시에 접종했다. 세포가 컨플루언스(confluence)에 도달하면 배지를 0.3% FBS를 함유하는 배지로 교체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는 5, 10, 30 및 60분 동안 0.3% FBS를 함유하는 OSM 배지에서 SPX(500ng/ml) 또는 SPX 없이 자극하였다. 빙냉(ice-cold) PBS로 2회 세척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세포를 수확하고 PRO-PREP 단백질 추출 용액(iNtRON Biotechnology, 한국 성남)으로 용해하고, 용해물을 30초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추출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제거하고 BCA 단백질 분석 키트(Thermo Fisher Scientific, Inc., MA, USA)로 측정하였다. 단백질 샘플(15μg)을 10%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폴리아크릴아미드(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겔 전기영동으로 분리한 다음 전기영동으로 니트로셀룰로오스 막(Whatman, Florham Park, NJ, USA)으로 옮겼다. 막을 30분 동안 1 × TBS-T(25mM Tris-HCl, pH 7.4, 150mM NaCl 및 0.1% Tween 20)에 3% 탈지유(BD life sciences, MD, USA)를 포함하는 용액으로 차단한 다음, 4℃에서 1차 항체와 함께 밤새 배양했다. 그 다음,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을 서양고추냉이 과산화효소 결합(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이차 항체와 함께 배양하고 단백질 밴드를 WesternBrightTM ECL Chemiluminescent HRP Substrate(Advansta, San Jose, CA, USA)로 시각화했다. 밴드 이미지는 Azure c600 이미징 시스템(Azure Biosystems, Dublin, CA, USA)을 사용하여 촬영했다. ImageJ 소프트웨어(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USA)를 사용하여 상대적 밴드 강도를 정량화했다. 내부 로딩 대조군으로 β-액틴을 사용하였다. 단백질 수준은 상대적인 단백질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β-액틴 수준으로 정규화했다. 항체로 MEK1(AbFrontier, 한국 서울), p-MEK1/2, ERK1/2, p-ERK1/2, phospho-c-Jun N-terminal kinase(p-JNK), JNK, phospho-P38 미토겐(mitogen)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p-P38), P-38(Cell Signaling Technology, MA, USA), β-액틴(Bioworld Technology, Inc., MN, USA), goat anti-rabbit 2차 항체 및 goat anti-mouse 2차 항체(Thermo Fisher Scientific, MA, USA)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7] 생체 내 두개골 결손 모델 및 뼈 재생
동물 실험에 대한 윤리적 승인은 경북대학교에서 승인(KNU 2021-0071) 받았다. 6주령 ICR 수컷 마우스 15마리를 무작위로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1) 콜라겐 스폰지 + PBS 처리군(대조군, n=5)
2) 콜라겐 스폰지 + 0.5μg/μl SPX 처리군(n=5)
3) 콜라겐 스폰지 + 1μg/μl SPX 처리군(n=5)
멸균된 2mm 직경의 흡수성 콜라겐 스폰지(ColaTape®, Integra Lifesciences Corporation, NJ, USA)를 실험을 위해 준비했다. 트리브로모에탄올(Avertin)과 2-메틸-2-부탄올(22μl/g)을 함유한 혼합물을 복강내 주사하여 동물들을 마취시켰다. 정수리 털을 면도하고, 그 아래 피부를 포비돈/베타딘 스크럽을 사용하여 무균적으로 준비했다. 그 다음, 두피에 시상 피부 절개를 하였고, 골막을 포함하는 피부를 늘어뜨렸다. 치과용 핸드피스(Surgic XT, Nakanishi, Japan)와 trephine burr(MCTBIO, 한국 용인)를 사용하여 직경 2mm의 두개골 결손을 왼쪽 정수리 뼈에 제작했다. 버링(burring) 과정 동안, 두개골 결손 부위는 차가운 PBS로 지속적으로 관개되어 뼈 조각을 씻어 내고 천공기 끝을 냉각시켰다. 천공된 두개골 디스크를 제거한 후, 콜라겐 스폰지를 PBS, 0.5μg/μl SPX 또는 1μg/μl SPX에 담그고 결손 부위에 붙였다. 마지막으로 골막과 피부를 닫고 surgift 5-0(AILEE Co., 한국 부산)으로 봉합하였다. 실험이 끝날 때까지 하루에 한 번 마우스를 질병이나 고통의 징후에 대해 모니터링했다.
[실험예 8] 골 결손의 Micro-CT 평가
SPX의 골 재생 효능은 micro-CT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간단히 말해서, 모든 마우스는 수술 후 10일에 희생(사용)되었다. 두개골을 수확하고 밤새 실온에서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했다. 그 다음, 두개골을 PBS로 옮기고 micro-CT 분석까지 4℃에서 보관했다. Skyscan 1272 Scanner(Bruker-microCT, Konich, Belgium)(70kV X-ray 전압, 142μA 양극 전류, 1mm 알루미늄 필터, 6μm 픽셀 크기, 537ms 노출 시간 및 0.3 회전 각도)를 사용하여 시료를 스캔했다. 스캔한 데이터는 CTvol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재구성하고 CTAn 소프트웨어(Bruker-microCT, Kontich, 벨기에)를 사용하여 분석했다. 관심 영역은 두개골 결손 부위에서의 새로운 뼈 형성을 포함하기 위해 직경 2mm 및 높이 0.3mm로 정의되었다.
[실험예 9] 조직학적 평가
micro-CT 분석의 마지막 스캔 후, 샘플은 1주일 동안 0.5M EDTA를 사용하여 석회를 제거했다. 그런 다음 샘플을 등급이 매겨진 에탄올 시리즈(70%, 80%, 95%, 및 100%)로 탈수하고 파라핀을 삽입했다. 마이크로톰(Leica, Nussloch, Germany)을 사용하여 샘플의 5μm 섹션을 절단했다. 선택한 섹션을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으로 염색했다. 염색된 부분은 현미경(Leica, Wetzlar, Germany)을 사용하여 저배율(50x) 및 고배율(400x)로 관찰하였고, 디지털 현미경 카메라(DFC-450, Leica)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마지막으로 iSolution 소프트웨어(한국 대전)를 사용하여 신생골 형성 면적의 백분율을 정량화했다.
[실험예 10] 통계 분석
모든 결과는 평균±표준편차(SD)로 표현하였으며, 두 그룹 간의 통계적 비교는 스튜던트 t-테스트(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0.05 또는 <0.01의 확률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모든 시험관 내 실험을 3회 반복하였다.
[ 실시예 1] 골형성 동안 MC3T3 -E1 세포에서 내인성 Spx , Galr2 Galr3 발현 분석
3일, 7일, 14일 및 21일에 MC3T3-E1 세포의 골형성 유도 시 Spx, Galr2 및 Galr3 발현 수준을 분석한 결과, 3일부터 21일까지 조골세포 분화 동안 Spx의 발현은 유의하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고, Galr2의 발현은 3일에 비해 7일(P <0.01), 14일(P<0.01) 및 21일(P<0.01)에 유의하게 상향 조절되어 21일에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Galr3 발현은 매우 낮았으나, 14일에 점차적으로 유도되었고 21일에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5)(도 1). 이는 SPX과 GALR2가 조골세포 분화 동안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2] MC3T3-E1 세포 증식 분석
MC3T3-E1 세포의 증식에 대한 SPX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CCK8 분석을 수행한 결과, 서로 다른 배양 시간(24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에 있어서 대조군과 SPX 처리군(100ng/ml, 250ng/ml 또는 500ng/ml)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1). 이 결과는 SPX이 MC3T3-E1 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3] MC3T3-E1 세포에서 골형성 분화 및 광물화 촉진 분석
대조군과 비교하여 SPX 처리군에서 보다 현저한 ALP 염색이 관찰되었다(도 2a). 또한, ARS 염색은 SPX이 농도 의존적으로 광물 침착의 형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10% CPC 용출 및 분광광도법으로 광물화를 정량화한 결과, 250ng/ml(P<0.05) 및 500ng/ml(P<0.01) SPX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흡광도가 각각 7.1%, 11.2%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b). 이러한 결과는 조골세포 분화의 초기 및 후기 단계에서 SPX에 의해 분화가 촉진되었음을 시사한다.
[ 실시예 4] 골형성 분화 마커 및 기질 소포 매개 광물화 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
RT-qPCR은 SPX이 조골세포 전사 조절자인 Runx2와 골형성 분화 마커인 Alp, Col1a1, Oc 및 Bsp의 mRNA 발현을 용량 의존적으로 상향 조절함을 보여주었다(도 3a). Runx2 발현은 조기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7일째에 최대값에 도달한 다음 14일과 21일째에 감소했다. SPX 처리군(250 및 500ng/ml)은 3일 및 7일에 대조군에 비해 Runx2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보여주었고, 500ng/ml SPX 처리군은 14일과 21일에 발현을 유의하게 상향 조절하는 것을 지속했다. 초기 단계의 골형성 분화 마커인 Alp 및 Col1a1의 발현도 3일과 7일에 250 및 500ng/ml SPX 처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했고, 14일째에 Col1a1의 발현을 계속 상향 조절했다. SPX 처리(250 및 500ng/ml)에 의해 후기 골형성 분화 마커인 Oc 및 Bsp가 대조군에 비해 분화 기간 내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골형성 분화 마커 외에도, Enpp1, Ank, Tanp 및 Pit1을 포함하는 기질 소포 매개 광물화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SPX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250 및 500ng/ml SPX 처리군에서 Enpp1의 발현은 14일 및 21일에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하향 조절된 반면, Tnap은 3일 및 7일에 동일한 처리군에서 유의하게 상향 조절되었다. 그러나 대조군과 달리 Ank와 Pit1의 발현은 전체 분화시간 동안 SPX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도 3b).
[실시예 5] MEK1/2 및 ERK1/2 인산화 분석
SPX에 의한 조골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조사하기 위해, 웨스턴 블랏 분석을 통해 신호전달 분자의 인산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SPX(500 ng/ml)은 MEK1/2 및 ERK1/2의 인산화를 유도하여 5분과 10분에 최고조에 달하고 30분과 60분에 감소했다(도 4). 밴드의 ImageJ 정량화는 SPX이 대조군에 비해 5분 및 10분에 p-MEK1/2 및 p-ERK1/2를 유의하게 증가시킴을 나타냈다. 그러나 MEK1, ERK1/2, JNK 및 P38의 인산화되지 않은 형태와 JNK 및 P38의 인산화된 형태는 SPX에 의해 변경되지 않았다. 이는 SPX이 MEK/ERK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함으로써 골 형성 분화를 유도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6] 두개골 결손 모델에서 골 재생 분석
마우스 두개골 결손 모델을 통해 SPX의 골 재생 효과를 분석했다. 수술 10일 후 마이크로 CT를 이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미지는 대조군에 비해 0.5 및 1μg/μl SPX 처리군에서 더 많은 골 형성이 검출되었음을 보여주었고, 1μg/ml SPX 처리군은 0.5μg/μl SPX 처리군에 비해 더 높은 골 재생을 나타내었다. 골 부피(BV), BV/조직 부피(TV), 소주(trabecular) 두께(Tb.Th), 소주 수(Tb.N) 및 소주 분리(Tb.Sp)를 포함하는, 결손 부위의 골 형태 측정 파라미터를 분석했다. 대조군에 비해 BV, BV/TV, Tb.Th 및 Tb.N의 유의한 증가가 SPX 처리군에서 관찰되었다(p < 0.01). 그러나 SPX 처리군과 비처리군 사이에 Tb.Sp의 현저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BV, BV/TV, Tb.Th 및 Tb.N 값들은 다른 그룹에 비해 1μg/μl SPX 처리군에서 가장 높았다(도 5a 및 5b).
결손 부위의 골 재생도 조직학적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H&E 염색은 대조군에서 새로운 골 형성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영역이 섬유 조직으로 덮여 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SPX 처리군은 결손부의 가장자리에서 더 많은 새로운 골 형성을 보였다. 1μg/μl SPX 처리군은 다른 군들보다 훨씬 더 높은 신생골 형성을 보였다. 새로 형성된 뼈의 비율을 정량화한 결과, 1μg/μl SPX 처리군은 신생골 형성 비율이 가장 높았고(30.1%), 0.5μg/μl SPX 처리군은 10.4%의 신생골 형성을 보였으며, 대조군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가장 낮은 신생골 형성 비율(1.6%)을 보였다(도 5c 및 5d). 이는 SPX이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생체 내에서 골 재생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moting osteoblast differentiation or bone regeneration comprising spexin as an active ingredient <130> ADP-2022-0007 <150> KR 10-2021-0181380 <151> 2021-12-17 <160> 2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16 <212> PRT <213> Unknown <220> <223> Precursor of human Spexin <400> 1 Met Lys Gly Leu Arg Ser Leu Ala Ala Thr Thr Leu Ala Leu Phe Leu 1 5 10 15 Val Phe Val Phe Leu Gly Asn Ser Ser Cys Ala Pro Gln Arg Leu Leu 20 25 30 Glu Arg Arg Asn Trp Thr Pro Gln Ala Met Leu Tyr Leu Lys Gly Ala 35 40 45 Gln Gly Arg Arg Phe Ile Ser Asp Gln Ser Arg Arg Lys Asp Leu Ser 50 55 60 Asp Arg Pro Leu Pro Glu Arg Arg Ser Pro Asn Pro Gln Leu Leu Thr 65 70 75 80 Ile Pro Glu Ala Ala Thr Ile Leu Leu Ala Ser Leu Gln Lys Ser Pro 85 90 95 Glu Asp Glu Glu Lys Asn Phe Asp Gln Thr Arg Phe Leu Glu Asp Ser 100 105 110 Leu Leu Asn Trp 115 <210> 2 <211> 15 <212> PRT <213> Unknown <220> <223> Mature Spexin <400> 2 Asn Trp Thr Pro Gln Ala Met Leu Tyr Leu Lys Gly Ala Gln Gly 1 5 10 15 <210> 3 <211> 2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Runx2(forward seqence) <400> 3 gcagttccca agcatttcat 20 <210> 4 <211> 2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Runx2(reverse seqence) <400> 4 cactctggct ttgggaagag 20 <210> 5 <211> 2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Alp(forward seqence) <400> 5 aacccagaca caagcattcc 20 <210> 6 <211> 2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Alp(reverse seqence) <400> 6 gagagcgaag ggtcagtcag 20 <210> 7 <211> 2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Col1a1(forward seqence) <400> 7 cctaatgctg ccttttctgc 20 <210> 8 <211> 2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Col1a1(reverse seqence) <400> 8 atgtcccagc aggatttgag 20 <210> 9 <211> 2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Oc(forward seqence) <400> 9 aagcaggagg gcaataaggt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Oc(reverse seqence) <400> 10 tttgtaggcg gtcttcaagc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Bsp(forward seqence) <400> 11 aaagtgaagg aaagcgacga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Bsp(reverse seqence) <400> 12 gttccttctg cacctgcttc 20 <210> 13 <211> 22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Enpp1(forward seqence) <400> 13 accctcagtg gcaacttgcg tt 22 <210> 14 <211> 22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Enpp1(reverse seqence) <400> 14 tgcttgaagg caggtccata gc 22 <210> 15 <211> 22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Ank(forward seqence) <400> 15 cgtggactca tgctggcatt ct 22 <210> 16 <211> 22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Ank(reverse seqence) <400> 16 gttctcggca ttccaggtga ct 22 <210> 17 <211> 23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Tnap(forward seqence) <400> 17 ccagaaagac accttgactg tgg 23 <210> 18 <211> 22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Tnap(reverse seqence) <400> 18 tcttgtccgt gtcgctcacc at 22 <210> 19 <211> 22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Pitl(forward seqence) <400> 19 gcaaatgggc agaagggtgt ca 22 <210> 20 <211> 22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Pitl(reverse seqence) <400> 20 cttacggagg atgaacgcac ga 22 <210> 21 <211> 2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Gapdh(forward seqence) <400> 21 atgacatcaa gaaggtggtg 20 <210> 22 <211> 20 <212> DNA <213> Unknown <220> <223> DNA primer of Gapdh(reverse seqence) <400> 22 cataccagga aatgagcttg 20

Claims (9)

  1. 스펙신(Spex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펙신은 무기질 침착의 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펙신은 조골세포 전사 조절자인 Runx2 또는 기질 소포 매개 광물화 유전자인 Tnap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펙신은 Alp, Col1a1, Oc 및 Bs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골형성 분화 마커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펙신은 MEK1(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1), MEK2(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2), ERK1(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 및 ERK2(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조골세포 분화 관여 신호전달 분자의 인산화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 질환은 골다공증, 골연화증, 구루병, 골감소증, 칼슘조절이상, 전이성 암 또는 임플란트의 피로잔해에 의한 골용해, 염증성 골소실, 내분비 질환 또는 약물에 의한 이차성 골손실(secondary bone loss), 파젯병(Paget disease), 류마티스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및 치조골의 파괴가 동반되는 치주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스펙신(Spex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스펙신(Spex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9. 스펙신(Spex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0220026751A 2021-12-17 2022-03-02 스펙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0926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380 2021-12-17
KR20210181380 2021-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677A true KR20230092677A (ko) 2023-06-26

Family

ID=8694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751A KR20230092677A (ko) 2021-12-17 2022-03-02 스펙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26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241B1 (ko) 2018-05-30 2018-08-03 주식회사 뉴라클사이언스 스펙신 기반 갈라닌 2형 수용체의 효현제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241B1 (ko) 2018-05-30 2018-08-03 주식회사 뉴라클사이언스 스펙신 기반 갈라닌 2형 수용체의 효현제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ang et al. Early effects of parathyroid hormone on vascularized bone regeneration and implant osseointegration in aged rats
AU2013260059B2 (en) Oxysterol analogue Oxy133 induces osteogenesis and hedgehog signaling and inhibits adipogenesis
US9060991B2 (en) Use of GLP-1 analogues for the treatment of disorders associated with dysfunctional synaptic transmission
KR101772449B1 (ko) 신규한 펩타이드
KR20080110852A (ko) 대사질환 치료용 엔도테린 및 엔도테린 수용체 작용제
JP2009502782A (ja) 硬組織形成を促進するためのタンパク質製剤
JP2008540328A (ja) 脱灰骨基質(demineralizedbonematrix)の活性化抽出
KR20090132506A (ko) 골형성촉진용 합성펩타이드, 상기 합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배지조성물
JP2020504713A (ja) 神経疾患の治療
Schneider et al. The anabolic effects of vitamin D-binding protein-macrophage activating factor (DBP-MAF) and a novel small peptide on bone
KR20230092677A (ko) 스펙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220096600A1 (en) Periosteal skeletal stem cells in bone repair
KR101793138B1 (ko) 알로이리트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근력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im et al. Stimulatory effects of KPR-A148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regeneration
JP5116041B2 (ja) 骨形成促進用合成ペプチド、この合成ペプチドを含む薬学組成物および培地組成物
Wang et al. GDNF promotes the proliferation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jaw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via the Nr4a1/PI3K/Akt pathway
KR20230154336A (ko) 글라이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재생 또는 골 형성 촉진용 약학 조성물
US20110014180A1 (en) Preparations for tissue restoration containing atrial diuretic hormone and family molecules as active ingredients; method of restoring tissue using the preparation; agents for growing, restoring, promoting growth of hair and agents for promoting restoration of skin tissue and cardiac muscle tissue containing atrial diuretic hormone family molecules as active ingredients; method of growing, restoring, promoting growth of hair by using the agents; and method of promoting restoration of skin tissue and cardiac muscle tissue
KR100463263B1 (ko) 골길이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가시오가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KR20210060983A (ko)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풀무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용도
JPH07252166A (ja) 徐放性製剤
KR20230110922A (ko) Usp17l2를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21511328A (ja) 脱毛の予防または軽減のための、有効成分としてダンニオンを含む組成物
CN109789186A (zh) 用于治疗分泌性疾病的方法和组合物
KR100766431B1 (ko) 올레아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조직 재생 촉진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