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058A - 광학 투명 레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투명 레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058A
KR20230092058A KR1020210180420A KR20210180420A KR20230092058A KR 20230092058 A KR20230092058 A KR 20230092058A KR 1020210180420 A KR1020210180420 A KR 1020210180420A KR 20210180420 A KR20210180420 A KR 20210180420A KR 20230092058 A KR20230092058 A KR 20230092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resin
optically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rylate
tetrahydrofur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인
기부간
변호연
이동현
이세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0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2058A/ko
Priority to US17/815,492 priority patent/US11891467B2/en
Priority to CN202211607821.2A priority patent/CN116265493A/zh
Publication of KR20230092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1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only one oxygen, e.g. furfuryl (meth)acrylate or 2-methoxy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ethers, polyoxymethylenes or polyac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0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henols, e.g. 2-hydroxyethyl (meth)acrylate or glycerol mono-(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00/0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 C08F2800/2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as weight or mass percent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광학 투명 레진은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인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HF)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모노머, 및 광 개시제를 포함한다. 광학 투명 레진이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를 포함함에 따라, 광학 투명 레진의 경화 시간이 단축되고, 모듈러스가 낮아진다.

Description

광학 투명 레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OPTICAL CLEAR RESI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투명 레진 및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윈도우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에는 화소들이 배치되며, 상기 화소들을 이용하여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영상은 상기 윈도우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인된다.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는 점착층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층은 광학 투명 레진일 수 있다.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은 점착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이며, 잉크젯 공정을 통해 액상으로 토출된 후, 경화 공정을 통해 경화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광학 투명 레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은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인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HF)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모노머, 및 광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대략 -7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대략 20,00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대략 13,00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중량비는 대략 5 wt% 내지 대략 10 wt%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THF-A), 및 2-에틸헥실 디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EHDG-AT)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중량비는 대략 70 wt% 내지 대략 90 wt%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의 중량비는 대략 5 wt% 내지 대략 10 wt% 이고,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의 중량비는 대략 50 wt% 내지 대략 60 wt% 이며, 상기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THF-A)의 중량비는 대략 10 wt% 내지 대략 20 wt% 이고, 상기 2-에틸헥실 디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EHDG-AT)의 중량비는 대략 5 wt% 내지 대략 10 wt%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광 개시제는 에틸-(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TPO-L) 및 비스-(2,4,6-트리메티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Irgacure819)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계 올리고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광학 투명 레진을 포함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은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인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HF)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모노머, 및 광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점착층의 모듈러스는 대략 -20℃ 에서 대략 0.13 MPa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대략 -35℃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대략 -7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대략 20,00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대략 13,00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중량비는 대략 5 wt% 내지 대략 10 wt%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편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편광층과 상기 윈도우를 접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 및 상기 완충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광학 투명 레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은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HF)계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이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광학 투명 레진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 및 높은 광량을 가진 UV가 조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이 경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경화 공정 중의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의 형상이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고,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이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의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의 모듈러스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의 저온에서의 모듈러스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착층의 복원율(recovery)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표시 장치의 폴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비교예의 성분과 실시예의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5는 비교예와 실시예의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6은 도 3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400), 점착층(예를 들어, 도 3의 점착층(500), 및 윈도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400)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화소들 각각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400)은 상기 화소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600)는 상기 표시 패널(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영상은 상기 윈도우(6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FA) 및 적어도 하나의 평탄 영역(PA)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폴딩 영역(FA) 및 상기 폴딩 영역(FA)과 인접하는 평탄 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폴딩 영역(FA)에서 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400)은 상기 폴딩 영역(FA) 및 상기 평탄 영역(PA)과 중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폴딩 영역(FA) 및 상기 평탄 영역(PA)에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폴딩 영역(FA)에서 폴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인폴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윈도우(600)가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아웃폴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윈도우(6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폴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복수의 폴딩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일부 폴딩 영역들에서는 인폴딩되고, 다른 폴딩 영역들에서는 아웃폴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평탄 영역들의 면적들이 서로 상이한 비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표시 패널(400), 제1 점착층(AD1), 보호 필름(300), 완충 부재(200), 지지 부재(100), 제2 점착층(AD2), 편광층(500), 제3 점착층(AD3), 상기 윈도우(600), 및 보호층(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점착층(AD1)은 상기 표시 패널(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점착층(AD1)은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압감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점착층(AD1)은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300)은 상기 제1 점착층(AD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300)은 상기 제1 점착층(AD1)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40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300)은 상기 표시 패널(400)로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 필름(30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300)에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의 예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poly(arylene ethersulfo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200)는 상기 보호 필름(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200)는 외부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부재(200)는 쿠션(cushion), 스펀지(sponge) 등 공기를 함유하여 완충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 부재(200)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라텍스, 폴리우레탄 폼, 폴리스타이렌 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00)는 상기 완충 부재(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00)는 상기 표시 패널(400)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100)는 금속 물질, 비금속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00)로 사용될 수 있는 금속 물질의 예로는 니켈(Ni)과 철(Fe)의 합금인 인바(invar), 스테인리스 스틸(SUS),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00)로 사용될 수 있는 비금속 물질의 예로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100)에는 상기 폴딩 영역(FA)과 중첩하는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점착층(AD2)은 상기 표시 패널(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점착층(AD2)은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압감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점착층(AD2)은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편광층(500)은 상기 제2 점착층(AD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층(500)은 상기 제2 점착층(AD2)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40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편광층(500)이 상기 표시 패널(400)로 입사되는 외광을 편광시킴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400)의 색 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3 점착층(AD3)은 상기 편광층(5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점착층(AD3)은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압감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점착층(AD3)은 광학 투명 레진일 수 있다.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은 액상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3 점착층(AD3)은 상기 편광층(500) 및/또는 상기 윈도우(600)의 단차를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점착층(AD3)에 포함된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은 올리고머(oligomer), 모노머(monomer), 및 광 개시제(photoiniti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은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인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etrahydrofuran, THF)계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은 폴리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PTHF)계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etrahydrofuran, THF)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대략 -7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etrahydrofuran, THF)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됨에 따라, 상기 제3 점착층(AD3)의 유리 전이 온도도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점착층(AD3)의 유리 전이 온도는 대략 -35℃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etrahydrofuran, THF)계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대략 20,000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etrahydrofuran, THF)계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대략 13,00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은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THF-A), 2-에틸헥실 디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EHDG-A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학 투명 레진에 포함된 광 개시제는 에틸-(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TPO-L), 비스-(2,4,6-트리메티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Irgacure8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계 올리고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etrahydrofuran, THF)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 및 분자량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비교예의 성분과 실시예의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고, 도 5는 비교예와 실시예에 대한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교예는 폴리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PTHF)계 올리고머를 포함하지 않는 광학 투명 레진이며, 실시예는 폴리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PTHF)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레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예는 24.6 wt%의 4-HBA, 63.9 wt%의 2-EHA, 0.2 wt%의 1,9-노난디올 디아크릴레이트(1,9-nonandiol diacrylate), 2.5 wt%의 PPG1, 및 7.4 wt%의 PPG3로 제조된 광학 투명 레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은 대략 5 wt% 내지 대략 20 wt% 의 PTHF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은 대략 70 wt% 내지 대략 90 wt%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의 중량비는 대략 5 wt% 내지 대략 15 wt% 이고,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의 중량비는 대략 50 wt% 내지 대략 65 wt% 이며, 상기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THF-A)의 중량비는 대략 10 wt% 내지 대략 20 wt% 이고, 상기 2-에틸헥실 디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EHDG-AT)의 중량비는 대략 5 wt% 내지 대략 15 wt% 일 수 있다.
실험에 사용된 실시예는 6.78 wt%의 4-HBA, 53.05 wt%의 2-EHA, 14.35 wt%의 THF-A, 11.79 wt%의 EHDG-AT, 9.69 wt%의 PTHF, 및 4.36 wt%의 PPG2로 제조된 광학 투명 레진이다.
상기 PPG1, 상기 PPG2, 및 상기 PPG3는 모두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계 올리고머를 의미한다. 상기 PPG1의 분자량은 대략 10,000 이고, 유리 전이 온도는 대략 -44℃ 이다. 상기 PPG2의 분자량은 대략 27,000 이고, 유리 전이 온도는 대략 -59℃ 이다. 상기 PPG3의 분자량은 대략 38,000 이고, 유리 전이 온도는 대략 -6℃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점착층(AD3)의 두께를 50um로 설정하고, 상기 비교예 및 상기 실시예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전경화(pre-cure) 공정에서, 365nm의 파장을 갖는 UV를 비교예와 실시예로 각기 조사하였다. 전경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비교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으로 100 mW/cm2 의 출력과 200 mJ/cm2 의 광량을 가진 UV를 조사하였다. 반면, 전경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으로 1000 mW/cm2 의 출력과 1200 mJ/cm2의 광량을 가진 UV를 조사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 및 높은 광량을 가진 UV가 조사될 수 있었다. 그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의 경화 속도가 증가될 수 있고, 경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경화 공정 중의 광학 투명 레진의 형상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제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2) 후경화(post-cure) 공정에서, 395nm의 파장을 갖는 UV를 비교예와 실시예로 각기 조사하였다. 후경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비교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으로 580 mW/cm2 의 출력과 2000 mJ/cm2 의 광량을 가진 UV를 조사하였다. 반면, 후경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으로 580 mW/cm2 의 출력과 6000 mJ/cm2의 광량을 가진 UV를 조사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광량을 가진 UV가 조사될 수 있었다. 그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의 경화 속도가 증가될 수 있고, 경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의 형상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제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3) 광학 투명 레진의 모듈러스를 측정한 결과, 비교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의 모듈러스는 대략 -20℃에서 대략 0.198MPa로 측정되었다. 반면,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의 모듈러스는 대략 -20℃에서 대략 0.099MPa로 측정되었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은 저온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모듈러스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은 대략 -20℃에서 대략 0.13 MPa 보다 낮은 모듈러스를 유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1000)가 용이하게 폴딩될 수 있다. 또한, 비교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의 모듈러스는 대략 25℃에서 대략 0.046MPa로 측정되었고, 대략 60℃에서 대략 0.023MPa로 측정되었다. 반면,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의 모듈러스는 대략 25℃에서 대략 0.034MPa로 측정되었고, 대략 60℃에서 대략 0.025MPa로 측정되었다.
4) 광학 투명 레진의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한 결과, 비교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의 유리 전이 온도는 대략 -35.1℃로 측정되었다. 반면,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의 유리 전이 온도는 대략 -40.1℃로 측정되었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의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상술한 광학 투명 레진의 모듈러스가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광학 투명 레진의 유리 전이 온도는 대략 -35℃ 이하일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윈도우(600)는 상기 제3 점착층(AD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600)는 상기 제3 점착층(AD3)을 통해 상기 편광판(50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600)는 상기 표시 패널(400)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윈도우(600)는 투명 폴리이미드(colorless polyimide), 초박막 강화 유리(UTG),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에테르술폰(PS), 폴리아크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카보네이트(PC)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700)은 상기 윈도우(6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700)은 상기 윈도우(600)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층(70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700)으로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의 예로는 투명 폴리이미드(colorless polyim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카보네이트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400)은 기판(410), 버퍼층(420), 액티브 패턴(430), 제1 절연층(ILD1), 게이트 전극(440), 제2 절연층(ILD2), 소스 전극(451), 드레인 전극(452), 비아 절연층(VIA), 제1 전극(461), 발광층(462), 제2 전극(463), 화소 정의막(PDL), 제1 무기층(471), 유기층(472) 및 제2 무기층(4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410)은 유리, 석영,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410)은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으며,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4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리이미드 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리어층이 번갈아 가며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버퍼층(420)은 상기 기판(4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420)은 불순물이 상기 액티브 패턴(430)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패턴(430)은 상기 버퍼층(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티브 패턴(430)은 실리콘 반도체, 산화물 반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반도체는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패턴(430)은 상기 게이트 전극(440)으로 제공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전류를 통과시키거나 또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ILD1)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액티브 패턴(430)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층(ILD1)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티타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ILD1)은 상기 액티브 패턴(430) 및 상기 게이트 전극(44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440)은 금속, 합금, 도전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연층(ILD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전극(440)은 은(Ag), 은을 함유하는 합금, 몰리브데늄(Mo),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 질화물(AlN),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 구리(Cu), 니켈(Ni), 크롬(Cr), 크롬 질화물(CrN), 티타늄(Ti), 탄탈륨(Ta), 백금(Pt), 스칸듐(Sc),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ILD2)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전극(440)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층(ILD2)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티타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ILD2)은 상기 게이트 전극(440)을 상기 소스 전극(451)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상기 게이트 전극(440)을 상기 드레인 전극(452)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451) 및 상기 드레인 전극(452)은 금속, 합금, 도전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절연층(ILD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들(451, 452)은 은(Ag), 은을 함유하는 합금, 몰리브데늄(Mo),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 질화물(AlN),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 구리(Cu), 니켈(Ni), 크롬(Cr), 크롬 질화물(CrN), 티타늄(Ti), 탄탈륨(Ta), 백금(Pt), 스칸듐(Sc),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들(451, 452)을 커버하며,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아 절연층(VIA)은 포토레지스트,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461)은 상기 비아 절연층(VI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461)은 금속, 합금, 도전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461)은 은(Ag), 은을 함유하는 합금, 몰리브데늄(Mo),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 질화물(AlN),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 구리(Cu), 니켈(Ni), 크롬(Cr), 크롬 질화물(CrN), 티타늄(Ti), 탄탈륨(Ta), 백금(Pt), 스칸듐(Sc),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461)은 상기 드레인 전극(452)으로부터 제1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상기 비아 절연층(VIA) 상에 배치되며, 상기 화소 정의막(PDL)에는 상기 제1 전극(461)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폴리이미드계 수지(예를 들어, 감광성 폴리이미드계 수지(PSPI)), 포토레지스트, 폴리아크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의 유기 물질이나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 등의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462)은 상기 제1 전극(46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462)은 유기 발광층,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등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463)은 상기 발광층(462) 상에 배치되고, 제2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463)은 금속, 합금, 도전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463)은 은(Ag), 은을 함유하는 합금, 몰리브데늄(Mo),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 질화물(AlN), 텅스텐(W), 텅스텐 질화물(WN), 구리(Cu), 니켈(Ni), 크롬(Cr), 크롬 질화물(CrN), 티타늄(Ti), 탄탈륨(Ta), 백금(Pt), 스칸듐(Sc),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의 전압차에 의해, 상기 발광층(462)은 광을 생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전극(461), 상기 발광층(462) 및 상기 제2 전극(463)은 유기 발광 소자로 정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은 상기 제2 전극(46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층은 외부로부터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제1 무기층(471), 상기 유기층(472) 및 상기 제2 무기층(473)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시 장치(1000)는 상기 제3 점착층(AD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점착층(AD3)은 광학 투명 레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은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HF)계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이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HF)계 올리고머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광학 투명 레진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 및 높은 광량을 가진 UV가 조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이 경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경화 공정 중의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의 형상이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고, 상기 표시 장치(1000)의 제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이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HF)계 올리고머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의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의 모듈러스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의 저온에서의 모듈러스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점착층(AD3)의 복원율(recovery)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표시 장치(1000)의 폴딩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고해상도 스마트폰, 휴대폰, 스마트패드,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표시 장치 100: 지지 부재
200: 완충 부재 300: 보호 필름
400: 표시 패널 500: 편광층
600: 윈도우 700: 보호층
AD1: 제1 점착층 AD2: 제2 점착층
AD3: 제3 점착층

Claims (19)

  1.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인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HF)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모노머; 및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레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투명 레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2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투명 레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13,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투명 레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중량비는 5 wt% 내지 2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투명 레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THF-A), 및 2-에틸헥실 디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EHDG-AT)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투명 레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중량비는 70 wt% 내지 9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투명 레진.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의 중량비는 5 wt% 내지 15 wt% 이고,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의 중량비는 50 wt% 내지 65 wt% 이며,
    상기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THF-A)의 중량비는 10 wt% 내지 20 wt% 이고,
    상기 2-에틸헥실 디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EHDG-AT)의 중량비는 5 wt% 내지 15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투명 레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는
    에틸-(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피네이트(TPO-L) 및 비스-(2,4,6-트리메티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Irgacure819)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투명 레진.
  10. 제1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계 올리고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투명 레진.
  11.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광학 투명 레진을 포함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투명 레진은,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인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THF)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모노머; 및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모듈러스는 -20℃ 에서 0.13 M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2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분자량은 13,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 하이드로 퓨란계 올리고머의 중량비는 5 wt% 내지 2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편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편광층과 상기 윈도우를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 및
    상기 완충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180420A 2021-12-16 2021-12-16 광학 투명 레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092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420A KR20230092058A (ko) 2021-12-16 2021-12-16 광학 투명 레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7/815,492 US11891467B2 (en) 2021-12-16 2022-07-27 Optical clear resi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211607821.2A CN116265493A (zh) 2021-12-16 2022-12-14 光学透明树脂及包含光学透明树脂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420A KR20230092058A (ko) 2021-12-16 2021-12-16 광학 투명 레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058A true KR20230092058A (ko) 2023-06-26

Family

ID=8674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420A KR20230092058A (ko) 2021-12-16 2021-12-16 광학 투명 레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91467B2 (ko)
KR (1) KR20230092058A (ko)
CN (1) CN116265493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2383A1 (en) * 2000-11-22 2002-05-30 Dsm N.V. Radiation curable compositions
KR100838973B1 (ko) 2005-06-08 2008-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20080062674A (ko) 2006-12-29 2008-07-03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광학 필름 및 광학 필름용충격흡수층 조성물
KR101914815B1 (ko) 2013-09-30 2018-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69480B1 (ko) 2016-02-19 2020-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KR102117068B1 (ko) 2018-01-30 2020-05-29 (주)에스티아이 잉크젯 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KR102375405B1 (ko) 2018-04-13 2022-03-1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곡면 디스플레이용 광학투명접착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91467B2 (en) 2024-02-06
CN116265493A (zh) 2023-06-20
US20230192927A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52941B (zh) 一种显示面板、制作方法及电子设备
CN106257680B (zh) 显示设备
US10527878B2 (en)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550413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col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8482836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581944B1 (ko) 표시장치
US20140307378A1 (en) Flexible device
KR101481826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73348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0474260B2 (en) Display device
US10153461B1 (en)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983425B2 (en) Display device
CN106873827B (zh) 触控偏光单元、可挠性触控显示设备以及可挠性触控显示设备的制造方法
JP2018081186A (ja) 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210048918A1 (en) Touch sensor module, window stack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92058A (ko) 광학 투명 레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101602B2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555286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CN112018258A (zh) 显示设备和制造显示设备的方法
KR20160141343A (ko) 유기 발광 표시 패널
CN111883683A (zh) 显示装置
CN111490067A (zh) 一种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230203346A1 (en) Adhesive material and display apparatus
US11256353B2 (en) Touch sensor, and window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985843B2 (en) Window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