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286B1 -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286B1
KR102555286B1 KR1020160130531A KR20160130531A KR102555286B1 KR 102555286 B1 KR102555286 B1 KR 102555286B1 KR 1020160130531 A KR1020160130531 A KR 1020160130531A KR 20160130531 A KR20160130531 A KR 20160130531A KR 102555286 B1 KR102555286 B1 KR 102555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aterial
cover window
layer
area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346A (ko
Inventor
송켈리수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2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는 전도성 물질층을 포함하고 전기의 인가에 따라 모듈러스가 변화하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 양측의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제1 영역은 제2 영역보다 낮은 모듈러스를 가진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의 손상 없이 폴딩이 가능하고, 경계가 시인되지 않아 표시 품질의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표면 경도의 차이가 없어 터치 감도의 차이가 없다.

Description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Cover window for foldable display devic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품질이 우수하고 균일한 터치 감도를 가질 수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과 같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 중, 액정표시장치는 액정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을 필수 구성 요소로 포함하며,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액정층이 구동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필수 구성 요소로 포함하며, 양극과 음극 각각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유기발광층에서 결합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하여 제조된 폴더블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폴더블 표시장치는 접힌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고 펼쳐진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대화면 표시가 가능하면서 휴대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폴더블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과, 백 플레이트(20)와, 커버 윈도우(3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0)이 발광다이오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패널(10)은 플렉서블 기판(미도시)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는 발광다이오드(미도시)와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양극(anode)과, 상기 양극 상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과,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음극(cathod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덮어 외부의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인캡슐레이션 필름(encapsulation film)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패널(10)이 액정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패널(10)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마주하는 대향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또는 상기 대향 기판에 형성되는 공통 전극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10) 하부에는 플렉서블 백라이트 유닛이 포함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 하부에 캐리어 기판(미도시)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구성 요소를 형성하고 캐리어 기판을 박리(release)시킴으로써, 플렉서블한 표시패널(10)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표시패널(10)에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이 너무 얇기 때문에, 표시패널(10)을 지지할 수 있는 백 플레이트(20)를 상기 표시패널(10) 하부에 부착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30)는 표시패널(1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표시패널(10)의 상부에 부착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커버 윈도우(30)는 접착층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10)에 부착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장치(10)는 접고 펼치는 폴딩 동작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커버 윈도우(30)는 비교적 얇은 필름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얇은 필름 형태의 커버 윈도우(30)는 외부 충격에 의해 커버 윈도우(30)가 손상되어 표시 품질이 저하되고, 연질(soft) 커버 윈도우(30)를 이용하면 외부 충격이 커버 윈도우(30) 하부의 구성,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에 전달되어 발광다이오드가 손상된다.
한편, 폴딩 동작을 위해 비교적 두꺼운 두 필름을 폴딩 영역의 양 측에 부착하여 커버 윈도우(30)를 형성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커버 윈도우(30)가 부착된 폴더블 표시장치에서는, 커버 윈도우(30)의 연결 영역이 시인되어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커버 윈도우(30) 표면의 경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표면에 대한 물성이 달라 터치 감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폴더블 표시장치의 표시품질 저하 및 터치 감도 차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도성 물질층을 포함하고 전기의 인가에 따라 모듈러스가 변화하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 양측의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제1 영역은 제2 영역보다 낮은 모듈러스를 가지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는 전도성 물질층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을 더 포함하며, 한 쌍의 전극은 블랙 매트릭스와 중첩한다.
이때, 전도성 물질층은 전기를 통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며, 전도성 물질층은 제1 영역의 일면 또는 제1 영역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폴딩되는 부분에 전도성 물질층을 형성함으로써, 전기 인가에 따라 폴딩되는 부분의 모듈러스를 변화시켜 커버 윈도우의 손상 없이 폴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버 윈도우의 폴딩되는 부분과 나머지 부분은 실질적으로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경계가 시인되지 않아 표시 품질의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표면 경도의 차이가 없어 터치 감도의 차이가 없다.
한편,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전도성 물질층에 전기를 인가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전극은 블랙 매트릭스와 중첩되므로, 외부로 시인되지 않아 표시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폴더블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를 접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물질층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조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조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는, 전도성 물질층을 포함하고, 전기의 인가에 따라 모듈러스가 변화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양측의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낮은 모듈러스를 가진다.
상기 전도성 물질층은 전기를 통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물질층은 상기 제1 영역의 일면 또는 상기 제1 영역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전도성 물질층은 상기 제1 영역의 전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영역의 일부에 패턴 형태로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는, 전도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양측의 제2 영역과, 상기 전도성 물질층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전극은 상기 제1 영역의 일면 양 가장자리 또는 상기 제1 영역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한다.
본 발명의 커버 윈도우는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극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와 중첩한다.
상기 전도성 물질층은 전기를 통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커버 윈도우 하부의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평면도와 단면도이며,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10)과, 상기 표시패널(110) 하부에 위치하는 백 플레이트(120)와, 상기 표시패널(110) 상부에 위치하고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130)를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은 발광다이오드 패널일 수 있다.
즉, 상기 표시패널(110)은 플렉서블 기판(140)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 상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Tr)와,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D)와, 상기 발광다이오드(D)를 덮는 인캡슐레이션 필름(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와 같은 구성 요소의 형성 공정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 기판과 같은 캐리어 기판(미도시)에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와 같은 구성 요소의 형성 공정이 진행된다. 이후, 상기 캐리어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표시패널(110)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 상에는 버퍼층(142)이 형성되고, 상기 버퍼층(142)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된다. 상기 버퍼층(142)은 산화 실리콘 또는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퍼층(142)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42) 상에는 반도체층(144)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층(144)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144)이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반도체층(144) 하부에는 차광패턴(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광패턴은 반도체층(144)으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도체층(144)이 빛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반도체층(144)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반도체층(144)의 양 가장자리에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층(144)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46)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46)은 산화 실리콘 또는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46)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150)이 반도체층(144)의 중앙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 4a에서는, 게이트 절연막(146)이 플렉서블 기판(140)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게이트 절연막(146)은 게이트 전극(15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5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52)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52)은 산화 실리콘이나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형성되거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이나 포토 아크릴(photo-acryl)과 같은 유기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52)은 상기 반도체층(144)의 양측을 노출하는 제1 및 제2 콘택홀(154, 156)을 갖는다. 제1 및 제2 콘택홀(154, 156)은 게이트 전극(150)의 양측에 게이트 전극(15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콘택홀(154, 156)은 게이트 절연막(146) 내에도 형성된다. 이와 달리, 게이트 절연막(146)이 게이트 전극(15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될 경우, 제1 및 제2 콘택홀(154, 156)은 층간 절연막(152) 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52) 상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소스 전극(160)과 드레인 전극(162)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160)과 드레인 전극(162)은 상기 게이트 전극(150)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콘택홀(154, 156)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144)의 양측과 접촉한다.
상기 반도체층(144)과, 상기 게이트 전극(150), 상기 소스 전극(160), 상기 드레인 전극(162)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이루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구동 소자(driving element)로 기능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상기 반도체층(144)의 상부에 상기 게이트 전극(150), 상기 소스 전극(160) 및 상기 드레인 전극(162)이 위치하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를 가진다.
이와 달리, 박막트랜지스터(Tr)는 반도체층의 하부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고 반도체층의 상부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위치하는 역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가 더 형성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구동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다.
또한, 파워 배선이 상기 게이트 배선 또는 상기 데이터 배선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일 프레임(frame) 동안 구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상기 드레인 전극(162)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166)을 갖는 보호층(164)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덮으며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164) 상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166)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상기 드레인 전극(162)에 연결되는 제1 전극(170)이 각 화소 영역 별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전극(170)은 애노드(anode)일 수 있으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170)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zinc-oxide, I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표시패널(110)이 상부 발광 방식(top-emission type)인 경우, 상기 제1 전극(170) 하부에는 반사전극 또는 반사층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전극 또는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팔라듐-구리(aluminum-paladium-copper: APC)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164) 상에는 상기 제1 전극(170)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176)이 형성된다. 상기 뱅크층(176)은 상기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극(170)의 중앙을 노출한다.
상기 제1 전극(170) 상에는 유기 발광층(172)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 발광층(172)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지는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의 단일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유기 발광층(172)은 상기 제1 전극(170) 상에 순차 적층되는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물질층,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172)이 형성된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 상부로 제2 전극(17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전극(174)은 표시영역의 전면에 위치하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캐소드(cathode)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174)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AlMg)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70), 상기 유기 발광층(172) 및 상기 제2 전극(174)은 발광다이오드(D)를 이룬다.
상기 제2 전극(174) 상에는, 외부 수분이 상기 발광다이오드(D)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캡슐레이션 필름(encapsulation film, 180)이 형성된다.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180)은 제1 무기 절연층(182)과, 유기 절연층(184)과 제2 무기 절연층(186)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180) 상에는 외부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편광판(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판은 원형 편광판일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은 액정패널일 수 있다.
즉, 표시패널(110)은,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플렉서블 기판(212, 250)과, 상기 제1 및 제2 플렉서블 기판(212, 250) 사이에 개재되며 액정분자(262)를 포함하는 액정층(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212) 상에는 제1 버퍼층(2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버퍼층(22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버퍼층(220)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퍼층(220) 상에는 게이트 전극(222)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222)을 덮으며 게이트 절연막(2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퍼층(220) 상에는 상기 게이트 전극(222)과 연결되는 게이트 배선(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24) 상에는 반도체층(226)이 상기 게이트 전극(222)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층(226)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도체층(226)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액티브층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오믹 콘택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226) 상에는 서로 이격하는 소스 전극(230)과 드레인 전극(2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스 전극(230)과 연결되는 데이터 배선(미도시)이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222), 상기 반도체층(226), 상기 소스 전극(230) 및 상기 드레인 전극(232)은 박막트랜지스터(Tr)를 구성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 상에는, 상기 드레인 전극(232)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236)을 갖는 보호층(234)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234) 상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236)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232)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240)과, 상기 화소 전극(240)과 교대로 배열되는 공통 전극(242)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플렉서블 기판(250) 상에는 제2 버퍼층(25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버퍼층(252) 상에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 상기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 등 비표시영역을 가리는 블랙매트릭스(254)가 형성된다. 또한,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컬러필터층(256)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버퍼층(252)과 상기 블랙매트릭스(254)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플렉서블 기판(212, 250)은 액정층(260)을 사이에 두고 합착되며, 상기 화소 전극(240)과 상기 공통 전극(242)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에 의해 상기 액정층(260)의 액정분자(262)가 구동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액정층(260)과 접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플렉서블 기판(212, 250) 각각의 상부에는 배향막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플렉서블 기판(212, 250) 각각의 외측에는 서로 수직한 투과축을 갖는 편광판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1 플렉서블 기판(212) 하부에 빛을 공급하는 플렉서블 타입 백라이트 유닛이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2와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면, 상기 백 플레이트(120)는 상기 표시패널(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패널(110)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백 플레이트(120)는 접착층(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110)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윈도우(130)는 상기 표시패널(110) 상부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윈도우(130)는 접착층(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1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30)는 제1 영역(A1)과 제1 영역(A1) 양측의 제2 영역(A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A1)에는 전도성 물질층(132)이 위치한다.
즉, 상기 커버 윈도우(130)는 폴딩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제1 영역(A1)에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전도성 물질층(1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 윈도우(130)의 상기 제1 영역(A1)과 상기 제2 영역(A2)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성 물질층(132)의 바인더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A1, A2)의 물질과 동일하다.
상기 커버 윈도우(130)는 광경화성 수지나 자연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 윈도우(130)는 우레탄(urethane), 에폭시(epoxy),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에스테르우레탄(polyester urethane), 폴리비닐(polyvinyl)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커버 윈도우(130)가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질 경우, 열경화 온도는 상기 전도성 물질층(132)에 의해 발생하는 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로 섭씨 10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열경화제로는 아민(amine) 계열이나 산무수물(acid anhydride) 계열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아민 계열로는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amine: DETA),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triethylenetetramine: TETA),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traethylenepentamine: TEPA)의 지방족 물질이나, 디아미노디페닐메탄(diaminodiphenylmethane: DDM), 디아미노디페닐술폰(diaminodiphenylsulfone: DDS)의 방향족 물질, 또는 폴리아미드 아민(polyamide amine) 계열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산무수물 계열로는 프탈 무수물(phthalic anhydride: PA), 테트라하이드로프탈 무수물(tetrahydrophthalic anhydride: THPA),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 무수물(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 MTHPA), 헥사하이드로프탈 무수물 (Hexahydrophthalic anhydride: HHPA), 메틸 나딕 무수물(methyl nadic anhydride: MNA)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성 물질은 전기가 통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전도성 물질로는 전이 금속(transition metal),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또는 그래핀(graphene)과 같은 탄소동소체, 전도성 폴리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성 물질층(132)에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열이 발생되고, 열에 의해 상기 제1 영역(A1)의 모듈러스(modulus)가 달라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A1)은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2 영역(A2)에 비해 낮은 모듈러스를 가진다. 다시 말해,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 영역(A1)은 상기 제2 영역(A2)보다 낮은 강성(stiffness)을 가진다. 일례로,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 영역(A1)의 모듈러스는 1300 MPa 내지 1600 MPa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영역(A1)의 모듈러스는 2000 MPa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도성 물질층(132)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매우 작아 상기 커버 윈도우(130)의 광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커버 윈도우(130)의 두께는 0.2mm 내지 3mm, 바람직하게는 0.3mm 내지 1mm일 수 있으며, 상기 커버 윈도우(130)에 대한 전도성 물질층(132)의 두께는 30:1 내지 1.5:1, 바람직하게는 20:1 내지 2:1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물질층(132)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크면 상기 커버 윈도우(130)의 광특성, 즉, 투과율 등을 저하시킬 수 있고, 상기 전도성 물질층(132)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전기가 원활하게 통하지 못해 충분한 열을 발생시키지 못하고, 이에 따라 원하는 모듈러스를 얻지 못한다.
한편, 상기 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제1 영역(A1)의 모듈러스가 작아져 낮은 강성을 가진다. 또한,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제1 영역(A1)의 모듈러스가 작아져 낮은 강성을 가진다. 상기 전도성 물질의 함량은 상기 전도성 물질층(132)의 바인더 함량의 10 내지 20 wt%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섭씨 60 내지 70도에서, 상기 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10 wt%일 때, 상기 제1 영역(A1)은 약 1500 내지 1600 MPa의 모듈러스를 갖고, 상기 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20 wt%일 때, 상기 제1 영역(A1)은 약 1400 내지 1500 MPa의 모듈러스를 가진다. 상기 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 모듈러스가 커지게 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130)를 접었을 때 원하는 곡률을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클 경우, 모듈러스가 작아지게 되어 원하는 상기 커버 윈도우(130)의 강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섭씨 70도에서 상기 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10 wt%일 때, 상기 제1 영역(A1)의 투과율은 약 90 내지 92%이고, 섭씨 70도에서 상기 전도성 물질의 함량이 20 wt%일 때, 상기 제1 영역(A1)의 투과율은 약 88 내지 91%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도성 물질에 따른 투과율 저하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은(Ag), 니켈(Ni),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의 입자(particle) 형태이거나 탄소 나노튜브와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계열의 시트(sheet)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입자 형태의 전도성 물질은 300 n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물질은 엑스레이(X-ray)를 이용한 EDS(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나 WAXS(Wide Angle X-ray Scattering)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물질층(132)은 상기 커버 윈도우(13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물질층(132)이 위치하는 상기 커버 윈도우(130)의 면은 평탄한 것이 터치 감도 차이를 유발하지 않아 바람직하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를 접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30)를 접었을 때, 전도성 물질층(132)은 폴딩되는 안쪽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패널(도 2의 110)은 상기 커버 윈도우(130)의 폴딩되는 안쪽 면과 접하거나 폴딩되는 바깥 쪽 면과 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30)를 접었을 때, 전도성 물질층(132)은 폴딩되는 바깥쪽 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패널(도 2의 110)은 상기 커버 윈도우(130)의 폴딩되는 안쪽 면과 접하거나 폴딩되는 바깥 쪽 면과 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윈도우(130)의 폴딩되는 부분의 곡률은 폴딩되는 안쪽 면에 접하는 원의 지름(R)과 관련이 있으며, 상기 표시패널(도 2의 110) 및 상기 백플레이트(도 2의 120)와 함께 접히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지름(R)은 2.5 내지 3.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름(R)은 상기 전도성 물질층(132)의 폭 및 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물질층(132)의 폭 및 면적이 커질수록 상기 지름(R)도 커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130)는 폴딩되는 제1 영역(A1)에 전기를 통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도성 물질층(132)을 형성함으로써, 전기 인가에 따라 제1 영역(A1)의 모듈러스를 변화시켜 커버 윈도우(130)의 손상 없이 폴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전도성 물질층(132)을 포함하는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은 실질적으로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경계가 시인되지 않아 표시 품질의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표면 경도의 차이가 없어 터치 감도의 차이가 없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물질층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물질층(132)은 제1 영역(A1)의 전면에 도포된 사각 형태일 수 있으며, 도 6b 내지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물질층(132)은 제1 영역(A1)의 일부에 도포된 패턴 형태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도성 물질층(132)은, 도 6b에서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이거나, 도 6c에서와 같이 직각파 형태이거나, 도 6d에서와 같이 사각 틀 형태이거나, 도 6e에서와 같이 사다리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조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310)을 준비하고, 상기 제1 기판(310) 상에 사각형의 틀(320)을 배치한다. 상기 제1 기판(310)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다음,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분자를 예비중합(prepolymerization)하고 용해시킨 후, 상기 제1 기판(310) 상부의 상기 틀(320) 내에 상기 용해된 고분자를 주입(injection)하여 고분자층(130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분자층(130a)은 반경화 상태가 된다.
다음,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팅 장비(330)를 이용하여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부분적으로 코팅함으로써, 상기 고분자층(130a) 상부에 전도성 용액층(132a)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용액층(132a)은 스프레이 코팅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판(340)을 상기 전도성 용액층(132a)이 형성된 고분자층(130a) 상부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전도성 용액층(132a)은 상기 제2 기판(340)에 의해 눌려 반경화 상태의 상기 고분자층(130a) 내로 침투하게 되고, 상기 전도성 용액층(132a)을 포함하는 상기 고분자층(130a)의 표면은 평탄하게 된다. 상기 제2 기판(340)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층(130a)의 두께는 상기 틀(32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제2 기판(340)은 상기 틀(320)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분자층(130a)의 표면과 접한다.
이와 달리, 상기 고분자층(130a)의 두께가 상기 틀(32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기판(340)은 상기 틀(320) 내에 위치하여 상기 고분자층(130a)의 표면과 접할 수도 있다.
다음,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 340) 사이의 상기 전도성 용액층(132a)을 포함하는 상기 고분자층(130a)을 오븐에 넣어 완전히 경화시킨다.
이어, 도 7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기판(도 7e의 310, 340)을 제거하여, 전도성 물질층(132)을 갖는 제1 영역(A1)과 상기 제1 영역(A1) 양측의 제2 영역(A2)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130)를 완성한다.
한편, 이러한 커버 윈도우(130)를 단위 표시장치용으로 절단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제조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410)을 준비하고, 상기 제1 기판(410) 상에 사각형의 틀(420)을 배치한다. 상기 제1 기판(410)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다음,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분자를 예비중합(prepolymerization)하고 용해시킨 후, 상기 제1 기판(410) 상부의 상기 틀(420) 내에 상기 용해된 고분자를 주입(injection)하여 고분자층(130b)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분자층(130b)은 반경화 상태가 된다.
다음,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전도성 전사층(132b)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전사 필름(430)을 상기 고분자층(130b) 상부에 배치하고, 상기 전사 필름(430)의 배면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전사 필름(430)과 상기 고분자층(130b)을 접촉시킴으로써,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분자층(130b) 상에 상기 전도성 전사층(132b)을 형성하고, 상기 전사 필름(430)을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전사 필름(430)이 상기 고분자층(130b)과 동일 굴절률을 가질 경우, 상기 전사 필름(430)은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어,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판(440)을 상기 전도성 전사층(132b)이 형성된 고분자층(130b) 상부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전도성 전사층(132b)은 상기 제2 기판(440)에 의해 눌려 반경화 상태의 상기 고분자층(130b) 내로 침투하게 되고, 상기 전도성 전사층(132b)을 포함하는 상기 고분자층(130b)의 표면은 평탄하게 된다. 상기 제2 기판(440)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층(130b)의 두께는 상기 틀(42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제2 기판(440)은 상기 틀(420)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분자층(130b)의 표면과 접한다.
이와 달리, 상기 고분자층(130b)의 두께가 상기 틀(42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기판(440)은 상기 틀(420) 내에 위치하여 상기 고분자층(130b)의 표면과 접할 수도 있다.
다음, 도 8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기판(410, 440) 사이의 상기 전도성 전사층(132b)을 포함하는 상기 고분자층(130b)을 오븐에 넣어 완전히 경화시킨다.
이어, 도 8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기판(도 8f의 410, 440)을 제거하여, 전도성 물질층(132)을 갖는 제1 영역(A1)과 상기 제1 영역(A1) 양측의 제2 영역(A2)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130)를 완성한다.
한편, 이러한 커버 윈도우(130)를 단위 표시장치용으로 절단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버 윈도우(130)는 제1 영역(A1)과 제1 영역(A1) 양측의 제2 영역(A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A1)에는 전도성 물질층(132)이 위치한다.
즉, 상기 커버 윈도우(130)는 폴딩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제1 영역(A1)에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전도성 물질층(1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도성 물질층(132)은 제1 영역(A1)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130)는, 반경화 상태의 제1 고분자 물질층을 형성 후, 전도성 용액층이나 전도성 전사층을 형성하고 반경화 상태의 제2 고분자 물질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물질층과 상기 전도성 용액층이나 전도성 전사층을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물질층 간에도 중합이 일어나므로, 상기 커버 윈도우(130)는 상기 전도성 물질층(132)을 내부에 포함하는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a와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버 윈도우(530)는 제1 영역(A1)과 제1 영역(A1) 양측의 제2 영역(A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A1)에는 전도성 물질층(532)이 위치한다.
또한, 상기 커버 윈도우(530)는 블랙 매트릭스(534)와 한 쌍의 전극(536)을 더 포함한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534)는 상기 커버 윈도우(530)의 일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가장자리에서의 빛샘을 방지한다. 상기 한 쌍의 전극(536)은 제1 영역(A1)에서 상기 전도성 물질층(532)에 연결되며, 외부의 연성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와 연결되어 상기 전도성 물질층(532)에 전기를 인가한다. 상기 한 쌍의 전극(536)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534)와 중첩하여 상기 블랙 매트릭스(534)에 의해 가려지므로, 외부로 시인되지 않는다.
상기 한 쌍의 전극(536)은 상기 커버 윈도우(530)의 측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커버 윈도우(53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0a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전극(536)은 상기 커버 윈도우(530)의 제1 영역(A1)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도성 물질층(53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도성 물질층(532)은 상기 커버 윈도우(530)의 일면 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A1)은 측면에 상기 한 쌍의 전극(536)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전극(536)이 위치하는 상기 제1 영역(A1)의 측면은 평탄할 수 있다.
한편, 도 10b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전극(536)은 상기 커버 윈도우(530)의 상기 제1 영역(A1)의 일면 양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도성 물질층(53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도성 물질층(532)은 상기 커버 윈도우(53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전극(536)은 상기 전도성 물질층(532)과 동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534)는 상기 전도성 물질층(532)과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 윈도우(530)의 측면이나 일면에 상기 전도성 물질층(532)에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전극(536)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전극(536)을 통해 전기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커버 윈도우(530)의 모듈러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전극(536)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534)와 중첩하여 상기 블랙 매트릭스(534)에 의해 가려지므로, 외부로 시인되지 않아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커버 윈도우(530)와 상기 표시패널(도 2의 110)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전극(536)과 연결되며 상기 블랙 매트릭스(534)와 중첩하는 배선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530)의 일측에서 상기 배선을 연성인쇄회로와 연결시킴으로써 전기를 인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배선은 은 나노 와이어(silver nanowire)의 형태로 상기 커버 윈도우(530)와 상기 표시패널(도 2의 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배선은 상기 커버 윈도우(530)의 일면 또는 상기 표시패널(도 2의 110)의 일면에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표시패널 120: 백플레이트
130, 530: 커버 윈도우 132, 532: 전도성 물질층
A1: 제1 영역 A2: 제2 영역
534: 블랙 매트릭스 536: 전극

Claims (12)

  1. 전도성 물질층을 포함하고, 전기의 인가에 따라 모듈러스가 변화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양측의 제2 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물질층은 바인더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상기 제2 영역의 물질과 동일한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낮은 모듈러스를 가지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층의 상기 전도성 물질은 전기를 통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층은 상기 제1 영역의 일면 또는 상기 제1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층은 상기 제1 영역의 전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영역의 일부에 패턴 형태로 위치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6. 전도성 물질층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양측의 제2 영역과;
    상기 전도성 물질층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
    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물질층은 바인더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상기 제2 영역의 물질과 동일한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은 상기 제1 영역의 일면 양 가장자리 또는 상기 제1 영역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8. 제6항에 있어서,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극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와 중첩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층의 상기 전도성 물질은 전기를 통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버 윈도우와;
    상기 커버 윈도우 하부의 표시패널
    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11.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전이 금속, 탄소 나노튜브 또는 그래핀과 같은 탄소동소체, 그리고 전도성 폴리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12.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바인더 함량의 10 내지 20 wt%인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KR1020160130531A 2016-10-10 2016-10-10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555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531A KR102555286B1 (ko) 2016-10-10 2016-10-10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531A KR102555286B1 (ko) 2016-10-10 2016-10-10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46A KR20180039346A (ko) 2018-04-18
KR102555286B1 true KR102555286B1 (ko) 2023-07-12

Family

ID=62082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531A KR102555286B1 (ko) 2016-10-10 2016-10-10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2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4315B (zh) * 2019-06-05 2020-12-1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屏及其制作方法、盖板和显示装置
KR20200143620A (ko) 2019-06-14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윈도우 부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13539071A (zh) * 2020-04-16 2021-10-22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7955A (zh) * 2014-12-26 2015-04-22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弯折单元、柔性显示屏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081B1 (ko) * 2014-02-05 2021-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7955A (zh) * 2014-12-26 2015-04-22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弯折单元、柔性显示屏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46A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2631B2 (en) Cover plat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983424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2022023883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524358B2 (en) Backplate for foldable display devic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598983B2 (en) Display device
TWI419094B (zh) 可撓性顯示面板
KR100597153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605803B2 (en) Stretchable display device
KR101127585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55286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US1082602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70023231A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US11487054B2 (en) Viewing angle adjusting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23644A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83104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631006B1 (ko) 플렉서블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69522A (ko) 플렉서블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5056B1 (ko) 곡면 액정표시장치
US20230375872A1 (en) Electronic device
KR102667076B1 (ko) 플라스틱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12337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80073298A (ko) 플라스틱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23097436A (ja) 表示装置
KR20230102471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