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922A - 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922A
KR20230091922A KR1020237015785A KR20237015785A KR20230091922A KR 20230091922 A KR20230091922 A KR 20230091922A KR 1020237015785 A KR1020237015785 A KR 1020237015785A KR 20237015785 A KR20237015785 A KR 20237015785A KR 20230091922 A KR20230091922 A KR 20230091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eiling
floor
members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유키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쟈판 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쟈판 츠쇼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쟈판 츠쇼
Publication of KR20230091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07Base structures; Ce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6Stationary floating buildings for human use, e.g. floating dwellings or floating restau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2Fibre reinforced plastics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05Structures with a longitudinal horizontal axis, e.g. cylindrical or prismatic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52Cove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7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comprised of a number of panels or blocs connected together forming a self-support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7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comprised of a number of panels or blocs connected together forming a self-supporting structure
    • E04B2001/3276Panel 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103/00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 E04B2103/04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of plastics, fibrous material or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조체(100)는, 2개의 천장부재(110a, 110b)와, 4개의 벽부재(120a~120d)와, 2개의 바닥부재(130a, 130b)를 구비하고, 4개의 벽부재의 각각은, 2개의 천장부재에 접합된 제1 접합가장자리와, 2개의 바닥부재에 접합된 제2 접합가장자리와, 4개의 벽부재 중, 4개의 벽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1개에 접합된 제3 접합가장자리와, 4개의 벽부재 중, 4개의 벽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다른 1개에 접합된 제4 접합가장자리를 가지며, 2개의 천장부재, 4개의 벽부재, 및 2개의 바닥부재의 각각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구조체, 및 복수의 부재의 접합에 의하여 그와 같은 구조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거주공간을 제공하는 구조체로서, 발포스티롤 또는 섬유강화 플라스틱(FRP)으로 만들어진 부품을 조합함으로써 조립 가능하게 한 구조물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이와 같은 구조물로서, 토간(土間) 콘크리트의 기초 상에 세워 설치되는 조립식 돔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공보 제2004/005633호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구조체로서 수상 부유 가능한 구조체를 얻는 것, 및 이와 같은 구조체의 제작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이하의 항목을 제공한다.
(항목 1)
구조체로서,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와,
적어도 4개의 벽부재와,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은,
상기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에 접합된 제1 접합가장자리와,
상기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에 접합된 제2 접합가장자리와,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 중,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1개에 접합된 제3 접합가장자리와,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 중,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다른 1개에 접합된 제4 접합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 및 상기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의 각각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는, 제1 천장부재 및 제2 천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천장부재 및 상기 제2 천장부재는 각각, 제1 접합가장자리, 제2 접합가장자리, 제3 접합가장자리 및 제4 접합가장자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는, 제1 벽부재, 제2 벽부재, 제3 벽부재, 및 제4 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는, 제1 바닥부재 및 제2 바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닥부재 및 상기 제2 바닥부재는 각각, 제1 접합가장자리, 제2 접합가장자리, 제3 접합가장자리 및 제4 접합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1 천장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며, 상기 제1 벽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1 바닥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고, 상기 제1 벽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3 벽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며, 상기 제1 벽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4 벽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고,
상기 제2 벽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2 천장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며, 상기 제2 벽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2 바닥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고, 상기 제2 벽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4 벽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며, 상기 제2 벽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3 벽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고,
상기 제3 벽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1 천장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 및 상기 제2 천장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며, 상기 제3 벽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1 바닥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 및 상기 제2 바닥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고,
상기 제4 벽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1 천장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 및 상기 제2 천장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며, 상기 제4 벽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1 바닥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 및 상기 제2 바닥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고,
상기 제1 천장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2 천장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며,
상기 제1 바닥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2 바닥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어 있는, 구조체.
(항목 3)
확장 가능 구조체로서,
복수의 천장부재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와,
복수의 벽부재와,
복수의 바닥부재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가 상기 복수의 천장부재 중 2개 사이에 접합됨으로써, 확장된 천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가 상기 복수의 바닥부재 중 2개 사이에 접합됨으로써, 확장된 바닥부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된 천장부는, 상기 복수의 벽부재에 의하여, 상기 확장된 바닥부에 접합되며,
각 부재는,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항목 4)
항목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닥부재의 각각은,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바닥부재의 각각은, 상기 4개의 접합가장자리 중 3개가 상기 복수의 벽부재에 접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의 각각은,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의 각각은, 상기 4개의 접합가장자리 중 2개가 상기 복수의 벽부재에 접합되는 형상을 가지는, 구조체.
(항목 5)
항목 3 또는 항목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천장부재의 각각은,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천장부재의 각각은, 상기 4개의 접합가장자리 중 3개가 상기 복수의 벽부재에 접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의 각각은,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의 각각은, 상기 4개의 접합가장자리 중 2개가 상기 복수의 벽부재에 접합되는 형상을 가지는, 구조체.
(항목 6)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바닥면적(m2)과 상기 구조체의 자중(kg)과의 비는, 1:30~1:80인, 구조체.
(항목 7)
항목 1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팅을 더 구비하고, 상기 코팅은, 적어도, 상기 구조체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부재의 각각의 접합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조체.
(항목 8)
항목 7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상기 구조체의 외표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조체.
(항목 9)
항목 1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부재의 각각은, 각각을 덮는 코팅을 구비하는, 구조체.
(항목 10)
항목 7 내지 항목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의 재료는, 적어도 방수성을 가지는, 구조체.
(항목 11)
항목 1 내지 항목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구조체의 바닥을 구성하는 제1 부분과, 상기 구조체의 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일체 성형되어 있는, 구조체.
(항목 12)
항목 11에 있어서,
상기 벽은, 제1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천장부재와, 상기 벽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구조체.
(항목 13)
항목 11 또는 항목 12에 있어서,
상기 벽은, 제2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천장부재와, 상기 벽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구조체.
(항목 14)
항목 1 내지 항목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의 상기 바닥부재의 외측에 외부의 덱을 구성하는 외부용 바닥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부용 바닥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에 접합되어 있는, 구조체.
(항목 15)
항목 1 내지 항목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부재는, 제1 발포배율을 가지는 제1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부재는, 제2 발포배율을 가지는 제2 발포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재는, 제3 발포배율을 가지는 제3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발포배율은, 상기 제1 발포배율 및 상기 제2 발포배율보다 작은, 구조체.
(항목 16)
항목 1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는, 발포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구조체.
(항목 17)
구조체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와, 적어도 4개의 벽부재와,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각 부재는,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를 상기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와 상기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에 접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은, 적어도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4개의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에 접합된 제1 접합가장자리와, 상기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에 접합된 제2 접합가장자리와,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 중,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1개에 접합된 제3 접합가장자리와,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 중,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다른 1개에 접합된 제4 접합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것과,
적어도, 접합된 각 부재의 접합부를 덮도록 코팅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18)
구조체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천장부재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와, 복수의 벽부재와, 복수의 바닥부재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각 부재는,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를 상기 복수의 천장부재 중 2개 사이에 접합함으로써, 확장된 천장부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를 상기 복수의 바닥부재 중 2개 사이에 접합함으로써, 확장된 바닥부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복수의 벽부재를 상기 확장된 천장부 및 바닥부에 접합하는 것과,
적어도, 접합된 각 부재의 접합부를 덮도록 코팅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구조체로서 수상 부유 가능한 구조체를 얻는 것, 및 이와 같은 구조체의 제작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2개의 천장부재, 4개의 벽부재, 및 2개의 바닥부재의 배치, 그리고 각 부재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4 접합가장자리의 위치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구조체(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전후의 벽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좌우의 벽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전후의 천장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전후의 바닥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러한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도 2의 Z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구조 및 도 2의 X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러한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도 2의 Y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변형예 1인 구조체(100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를 조립하는 방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조립한 상태와, 구조체(100)의 구성부재를 콤팩트하게 중합한 상태를 대비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구조체(100)의 구성부재를 콤팩트하게 중합하여서 트레일러 상에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변형예 2인 구조체(100b)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이러한 구조체(100b)의 조립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조립한 구조체(100b)를 수상주택으로서 이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구조체(2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체(200)의 좌우의 벽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체(200)의 확장용 천장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체(200)의 확장용 바닥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체(2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구조체(200)에 있어서의 도 13의 Z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구조 및 도 13의 X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8은,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체(2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구조체(200)에 있어서의 도 13의 Y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9는,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체(200)의 변형예인 구조체(200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복수의 비확장형 구조체(도 2의 구조체(100))와 복수의 확장형 구조체(도 13의 구조체(200))를 조합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구조체의 레이아웃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복수의 비확장형 구조체와 복수의 확장형 구조체를 안벽에 계류한 잔교의 양측에 배치하여 리조트 시설로서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2는, 실시예에 있어서 제작된 구조체를 실제로 수상에 띄웠을 때의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약'이란, 뒤에 이어지는 숫자의 ±10%의 범위 내를 말한다.
〔본 발명의 제1 구조체〕
본 발명의 제1 구조체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수상 부유 가능한 구조체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하고,
구조체로서,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와,
적어도 4개의 벽부재와,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를 구비하고,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은,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에 접합된 제1 접합가장자리와,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에 접합된 제2 접합가장자리와,
적어도 4개의 벽부재 중,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1개에 접합된 제3 접합가장자리와,
적어도 4개의 벽부재 중,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다른 1개에 접합된 제4 접합가장자리를 가지며,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 적어도 4개의 벽부재, 및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의 각각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구조체는,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 적어도 4개의 벽부재, 및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를 가지고, 각각의 부재가 발포체로 이루어지며, 또한 인접하는 부재와 접합된 접합가장자리를 가지는 것이라면, 그 밖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이러한 구조체는 확장성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구조체에서는, 4개의 벽부재 중 대향하는 2개의 벽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구조체의 치수를 확장하는 것이 간단하다.
즉, 4개의 벽부재 중 대향하는 2개의 벽부재를, 보다 길이가 긴 것으로 치환하거나, 대향하는 2개의 벽부재에 각각 동일한 형상의 벽부재를 덧붙이거나 함으로써 구조체의 측벽의 치수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구조체의 측벽의 치수를 확장할 때에는, 천장부재 및 바닥부재를 각각, 벽부재의 치환 및 덧붙임과 마찬가지로, 보다 치수가 긴 것으로 치환하거나, 천장부재 및 바닥부재에 동일한 형상의 천장부재 및 바닥부재를 덧붙이거나 함으로써, 구조체의 천장 및 바닥의 치수를 확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구조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2개의 천장부재, 4개의 벽부재, 및 2개의 바닥부재의 배치, 및 각 부재에 있어서의 제1 내지 제4 접합가장자리의 위치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도트 표시의 벽부재를 제1 벽부재(앞벽부재)(120a)로 하고, 도 1의 지면에 있어서 제1 벽부재의 뒤측, 좌측, 우측에 위치하는 벽부재를 순서대로 제2 내지 제4 벽부재(120b~120d)로 하고 있다. 또한, 천장부재에 관하여는, 지면의 전후에 위치하는 2개의 천장부재를 제1 천장부재(앞천장부재)(110a) 및 제2 천장부재(뒤천장부재)(110b)로 하고, 바닥부재에 관하여는, 지면의 전후에 위치하는 2개의 바닥부재를 제1 바닥부재(앞바닥부재)(130a) 및 제2 바닥부재(뒤바닥부재)(130b)로 하고 있다.
또한, 각 벽부재의 4개의 접합가장자리는, 각 벽부재를 향하여 상하좌우의 순서로 제1 내지 제4 접합가장자리(1)~(4)로 하고, 각 천장부재의 4개의 접합가장자리는, 각 천장부재에 있어서, 도 1의 지면의 앞측, 뒤측, 좌측, 우측의 순서로 제1 내지 제4 접합가장자리(1)~(4)로 하며, 각 바닥부재의 4개의 접합가장자리는, 각 바닥부재에 있어서, 도 1의 지면의 앞측, 뒤측, 좌측, 우측의 순서로 제1 내지 제4 접합가장자리(1)~(4)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는, 제1 천장부재(110a) 및 제2 천장부재(110b)를 포함하고, 적어도 4개의 벽부재는, 제1 벽부재(120a)~제4 벽부재(120d)를 포함하며,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는, 제1 바닥부재(130a) 및 제2 바닥부재(130b)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더욱이, 1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천장부재(110a) 및 제2 천장부재(110b)는 각각, 제1 접합가장자리(1)~제4 접합가장자리(4)를 포함하고, 제1 벽부재(120a)~제4 벽부재(120d)는 각각, 제1 접합가장자리(1)~제4 접합가장자리(4)를 포함하며, 제1 바닥부재(130a) 및 제2 바닥부재(130b)는 각각, 제1 접합가장자리(1)~제4 접합가장자리(4)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제1 벽부재(120a)의 제1 접합가장자리(1)는, 제1 천장부재(110a)의 제1 접합가장자리(1)에 접합되고, 제1 벽부재(120a)의 제2 접합가장자리(2)는, 제1 바닥부재(130a)의 제1 접합가장자리(1)에 접합되며, 제1 벽부재(120a)의 제3 접합가장자리(3)는, 제3 벽부재(120c)의 제4 접합가장자리(4)에 접합되고, 제1 벽부재(120a)의 제4 접합가장자리(4)는, 제4 벽부재(120d)의 제3 접합가장자리(3)에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벽부재(120b)의 제1 접합가장자리(1)는, 제2 천장부재(110b)의 제2 접합가장자리(2)에 접합되고, 제2 벽부재(120b)의 제2 접합가장자리(2)는, 제2 바닥부재(130b)의 제2 접합가장자리(2)에 접합되며, 제2 벽부재(120b)의 제3 접합가장자리(3)는, 제4 벽부재(120d)의 제4 접합가장자리(4)에 접합되고, 제2 벽부재(120b)의 제4 접합가장자리(4)는 제3 벽부재(120c)의 제3 접합가장자리(3)에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이, 제3 벽부재(120c)의 제1 접합가장자리(1)는, 제1 천장부재(110a)의 제3 접합가장자리(3) 및 제2 천장부재(110b)의 제3 접합가장자리(3)에 접합되고, 제3 벽부재(120c)의 제2 접합가장자리(2)는, 제1 바닥부재(130a)의 제3 접합가장자리(3) 및 제2 바닥부재(130b)의 제3 접합가장자리(3)에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제4 벽부재(120d)의 제1 접합가장자리(1)는, 제1 천장부재(110a)의 제4 접합가장자리(4) 및 제2 천장부재(110b)의 제4 접합가장자리(4)에 접합되고, 제4 벽부재(120d)의 제2 접합가장자리(2)는, 제1 바닥부재(110a)의 제4 접합가장자리(4) 및 제2 바닥부재(130b)의 제4 접합가장자리(4)에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이, 제1 천장부재(110a)의 제2 접합가장자리(2)는, 제2 천장부재(110b)의 제1 접합가장자리(1)에 접합되고, 제1 바닥부재(130a)의 제2 접합가장자리(2)는, 제2 바닥부재(130b)의 제1 접합가장자리(1)에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구조체에서는, 천장 및 벽뿐만 아니라, 바닥 나아가서는 구조체의 바닥면도, 발포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구조체는, 천장부재, 벽부재, 바닥부재 이외에 프레임·골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창 및 문 이외의 모든 부분을 발포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구조체는, 경량으로, 수상 부유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수상 부유 가능한 구조체는, 구조체 자체의 자중에 더하여 소정의 중량을 지지하여 수상에 부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체는, 바닥면의 단위면적(1m2)당 약 100kg~약 500kg의 중량을 지지하여, 수상에 부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조체의 바닥면적과 자중에 더하여 지지 가능한 중량과의 비(바닥면적(m2):중량(kg))는, 예를 들어, 1:60~1:800이고, 바람직하게는 1:100~1:5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1:200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조체가 그 자중에 더하여 단위면적(1m2)당 약 100kg의 중량을 지지 가능한 경우(즉, 바닥면적(m2):중량(kg)=1:100), 1m2당, 성인 1명 또는 사람이 들 수 있을 정도의 가구의 중량(약 100kg 이하)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조체가 그 자중에 더하여 단위면적(1m2)당 약 100kg~약 200kg의 중량을 지지 가능한 경우(즉, 바닥면적(m2):중량(kg)=1:100~1:200), 1m2의 넓이의 바닥면에 성인 2명(약 100kg~약 200kg)을 여유롭게 수용할 수 있고, 또한, 1m2의 넓이의 바닥면에 중량이 있는 가구와 그 내용물을 합친 중량(약 100kg~약 200kg)을 여유롭게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체를 수상에서의 주거공간으로서 이용 가능하게 된다.
구조체는 가라앉은 만큼 부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구조체는, 바닥두께(약 150mm)만큼 가라앉음으로써, 단위면적(1m2)당 약 150kg의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단위면적당 약 150kg의 지지중량을 달성할 수 있다(즉, 바닥면적(m2):총중량(kg)=1:150).
예를 들어, 구조체의 바닥면의 면적을 약 16m2(약 4m×약 4m)로 상정하면, 약 150mm 가라앉음으로써 약 2400kg의 부력이 발생한다.
발명자의 경험 상, 발포체로 구성된 간이가옥(바닥면적 약 10m2)의 자중이 약 600kg인 것을 고려하면, 바닥면적이 약 16m2인 구조체의 자중은 약 1000kg(≒(약 600/약 10)×약 16)이 되며, 구조체가 그 자중에 더하여 지지 가능한 중량은, 약 2400kg-약 1000kg으로 대략 1400kg이 된다. 따라서, 구조체가 그 자중에 더하여 지지 가능한 단위면적(1m2)당 중량은, 약 100kg(≒1400/16)이 된다(즉, 바닥면적(m2):중량(kg)=1:80~1:100).
구조체의 바닥부재가 바닥부재의 주위를 따라서 설치된 요벽을 가지는 경우, 요벽의 높이까지는 가라앉는 것이 가능하다. 요벽의 높이까지는, 요벽의 존재에 따라서, 물이 구조체 내에 침입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구조체는, 요벽의 높이만큼에 상당하는 최대 지지중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요벽의 높이가 약 500mm인 경우, 단위면적(1m2)당 약 500kg의 중량을 지지 가능하다(즉, 바닥면적(m2):총중량(kg)=1:500).
이것은, 바닥면적이 약 16m2(약 4m×약 4m)인 구조체에서는, 약 8000kg(약 500kg×약 16m2)의 부력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조체의 자중을 약 1000kg로 하면, 구조체는, 그 자중을 빼도 약 7000kg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어, 단위면적(1m2)당 약 400kg(약 7000kg/약 16m2)의 중량을 지지 가능해진다(즉, 바닥면적(m2):중량(kg)=1:400~1:500).
한편, 요벽 자체의 높이는, 바닥부재의 두께에 요벽의 높이를 더한 치수가 약 500mm 이상이 되는 높이(약 350mm 이상)이어도 좋고, 예를 들어, 바닥부재의 두께가 약 150mm인 경우에, 요벽의 높이는 약 350mm 이상의 높이, 예를 들어, 약 650mm이어도 좋다.
구조체는, 수상 부유 가능한 성질을 달성할 수 있을만한 중량을 가진다. 예를 들어, 구조체는, 자중에 더하여 바닥면의 단위면적(1m2)당 약 100kg~약 500kg의 중량을 지지하여, 수상에 부유하는 것이 가능할만한 중량을 가진다. 구조체의 바닥면적과 구조체의 자중과의 비(바닥면적(m2):자중(kg))는, 상술한 간이가옥의 경우(약 10m2/약 600kg)를 고려하여, 예를 들어, 1:30~1:80이고, 바람직하게는 1:40~1:7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1:65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두께(약 150mm)만큼 가라앉음으로써, 단위면적(1m2)당 약 150kg의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바닥면적(m2):자중(kg)=1:30의 경우에는, 구조체는, 자중에 더하여 약 120kg의 중량을 지지 가능하고, 바닥면적(m2):자중(kg)=1:80의 경우에는, 구조체는, 자중에 더하여 약 70kg의 중량을 지지 가능하다.
또한, 발포체가 구비하는 방수 및 방습의 성질에 따라, 구조체를 지지하는 면(예를 들어, 지면, 수면 등)으로부터의 물 및 습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구조체를 수상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물이 침입하기 어렵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구조체를 육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등의 기초 또는 블록 등에 의한 바닥 상승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제1 구조체는, 기초 또는 바닥 상승이 없어도 설치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상태의 장소에 설치 가능하다는 기술적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1 구조체는, 예를 들어, 초원, 모래땅, 언 땅 등이어도 설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구조체에서는, 바닥부재가 앞바닥부재(130a)와 뒤바닥부재(130b)로 나뉘고, 천장부재가 앞천장부재(110a)와 뒤천장부재(110b)로 나뉘어 있는 것에 대하여, 바닥부재와 천장부재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좌벽부재(120c) 및 우벽부재(120d)는 각각, 앞바닥부재(130a) 및 뒤바닥부재(130)에 걸치고, 또한, 앞천장부재(110a)와 뒤천장부재(110b)에 걸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제1 구조체에서는, 2개의 부재로 나뉘어 있는 바닥부재 및 천장부재가 좌벽부재(120c) 및 우벽부재(120d)에 의하여 보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구조체〕
본 발명의 제2 구조체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수상 부유 가능한 구조체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하고,
확장 가능한 구조체로서,
복수의 천장부재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와,
복수의 벽부재와,
복수의 바닥부재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를 구비하고,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가 복수의 천장부재 중 2개 사이에 접합됨으로써, 확장된 천장부를 형성하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가 복수의 바닥부재 중 2개 사이에 접합됨으로써, 확장된 바닥부를 형성하고,
확장된 천장부는, 복수의 벽부재에 의하여, 확장된 바닥부에 접합되며,
각 부재는,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구조체는, 확장 가능한 것으로서, 복수의 천장부재, 복수의 벽부재, 및 복수의 바닥부재와 함께,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를 가지고, 각각의 부재가 발포체로 이루어지며, 확장된 천장부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가 2개의 천장부재의 사이에 접합됨으로써 형성되고, 확장된 바닥부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가 2개의 바닥부재의 사이에 접합됨으로써 형성되며, 확장된 천장부 및 확장된 바닥부가 복수의 벽부재에 접합된 것이라면, 그 밖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구조체의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바닥부재의 각각은,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각 바닥부재의 4개의 접합가장자리 중 3개가 복수의 벽부재에 접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의 각각은,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각 확장용 바닥부재는, 4개의 접합가장자리 중 2개가 복수의 벽부재에 접합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구조체의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천장부재의 각각은,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각 천장부재는, 4개의 접합가장자리 중 3개가 복수의 벽부재에 접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의 각각은,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각 확장용 천장부재는, 4개의 접합가장자리 중 2개가 복수의 벽부재에 접합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더욱이, 제1 구조체 또는 제2 구조체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의 각각의 접합부를 덮는 코팅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접합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코팅은, 구조체의 외표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구조체의 전체적인 구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코팅 재료는, 적어도 방수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 재료가 방수성을 가짐으로써, 각 부재의 접합부로부터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상에 부유할 때에도, 각 부재의 접합부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제1 구조체 또는 제2 구조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의 각각은, 각각을 덮는 코팅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복수의 부재의 각각의 강도, 나아가서는, 구조체의 전체적인 구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 부재의 접합부는, 코킹재로 코킹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접합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코킹재를 방수성인 것으로 함으로써, 각 부재의 접합부로부터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상에 부유할 때에도, 각 부재의 접합부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구조체 또는 제2 구조체에 있어서, 바닥부재는, 구조체의 바닥을 구성하는 제1 부분(바닥판부)과, 구조체의 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부분(요벽)을 가지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조체의 바닥과 벽과의 사이에 접합부(이음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음매를 통하여 아래로부터의 침수되는 것(예를 들어, 수상으로 떠올려졌을 때에 아래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 육지에 설치되었을 때에 아래부터 습기가 침입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구조체 또는 제2 구조체의 벽은, 제1 개구부를 가지고, 제1 개구부는, 천장부재와, 벽부재와, 바닥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어도 좋고, 더욱이는, 벽은, 제2 개구부를 가지고, 제2 개구부는, 천장부재와, 벽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어도 좋다. 단, 제1 개구부 또는 제2 개구부는, 천장부재와, 벽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것이 아니라, 제1 개구부 또는 제2 개구부는, 벽부재의 내측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제1 구조체 또는 제2 구조체는, 구조체의 바닥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외부의 덱을 구성하는 외부용 바닥부재를 더 구비하고, 외부용 바닥부재가 바닥부재에 접합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구조체 또는 제2 구조체의 바닥을 외부용 바닥부재에 의하여 덱부분으로서 확장할 수 있다. 덱부분은, 바닥면적을 증가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구조체의 부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제1 구조체 또는 제2 구조체에 있어서, 천장부재, 벽부재, 및 바닥부재는 각각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바닥부재를 구성하는 발포체의 발포배율이, 천장부재를 구성하는 발포체의 발포배율 및 벽부재를 구성하는 발포체의 발포배율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부재의 발포체의 발포배율을 천장부재 및 벽부재의 발포체의 발포배율보다 작게 함으로써, 바닥부재의 밀도를 천장부재 및 바닥부재의 밀도보다 높여 구조체의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고, 구조체가 육지에 설치된 경우 또는 수상으로 떠올려졌을 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천장부재, 벽부재, 및 바닥부재를 구성하는 발포체는, 발포폴리스티렌 등의 발포수지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은데, 발포체는, 수지원료를 발포시킨 것이라면 수지의 재료가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포폴리스티렌 이외의 발포수지로는, 예를 들어, 발포폴리프로필렌, 발포폴리우레탄, 또는 발포폴리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코팅재는, 방수성을 가지는 것인데, 코팅 재료는, 불연성을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나라에 따라서는 법률(일본의 경우에는 건축기준법)로, 주거로서 이용하는 구조체의 외장에는 어느 정도의 불연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나라에 따라서는, 불연성의 코팅만으로 건축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상정되며, 그와 같은 경우에는, 현지에서 구조체를 조립한 후에, 구조체의 외장에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처리가 필요해진다.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처리는, 예를 들어, 조립한 구조체의 표면에 수지 모르타르를 분사하는 처리가 있는데, 그 밖에도, 불연성의 패널이나 강판(예를 들어, 갈바륨 강판(등록상표))을, 조립한 구조체의 표면에 부착하는 처리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조체(100) 또는 제2 구조체(200)는, 바닥부재, 벽부재 및 천장부재의 조합으로 1개의 상자체로 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체는 바닥을 가지기 때문에, 기초가 없어도, 대략 수평인 장소라면, 컨테이너와 같이, 그냥 두는 것만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제1 구조체(100) 또는 제2 구조체(200)는, 대략 수평인 장소라면, 설치장소의 상태는 상관없다. 제1 구조체(100) 또는 제2 구조체(200)는, 예를 들어, 초원, 모래땅, 언 땅 등이어도 설치 가능하다.
한편, 주거로서 이용하는 구조체에 관하여는, 일본과 같이 법률(건축기준법)로, 콘크리트제 기초가 필요시되는 나라가 있는 한편으로, 주거로서 이용하는 구조체를 그냥 두는 것만으로 또는 금속품 등의 고정장치로 지면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주택으로서 법률로 인정될 수 있는 나라도 있으며, 이와 같은 나라에서는, 구조체가 바닥을 가짐으로써 그냥 두는 것만으로 설치 가능하다는 구조체의 이점은, 큰 장점이 된다.
〔본 발명의 제1 구조체의 조립방법〕
본 발명의 제1 구조체의 조립방법은, 적어도 이하의 제1 공정 및 제2 공정의 2개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좋다.
제1 공정은,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와, 적어도 4개의 벽부재와,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를 제공하는 공정이다. 여기에서, 각 부재는,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제2 공정은, 적어도 4개의 벽부재를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와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에 접합하는 공정이다. 여기에서,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은, 적어도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적어도 4개의 접합가장자리는,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에 접합된 제1 접합가장자리와,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에 접합된 제2 접합가장자리와, 적어도 4개의 벽부재 중,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1개에 접합된 제3 접합가장자리와, 적어도 4개의 벽부재 중,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다른 1개에 접합된 제4 접합가장자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구조체를 조립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이하의 제3 공정을 포함하여도 좋다.
제3 공정은, 적어도, 접합된 각 부재의 접합부를 덮도록 코팅을 실시하는 공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구조체는, 접합된 각 부재의 접합부를 덮는 코팅을 구비할 수 있고, 코팅 재료는 목적에 따라서 임의의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수성 또는 고강도가 얻어지는 재료가 선택된다. 코팅을 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접합부의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코팅의 재료가 방수성을 가짐으로써, 각 부재의 접합부로부터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상에 부유할 때에도, 각 부재의 접합부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코팅 재료로서, 예를 들어, 방수성을 가지는 우레탄 수지를 들 수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코팅 재료는 방수성 및 고강도가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구조체의 조립방법〕
본 발명의 제2 구조체의 조립방법은, 적어도 이하의 제1 내지 제4의 4개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좋다.
제1 공정은, 복수의 천장부재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와, 복수의 벽부재와, 복수의 바닥부재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를 제공하는 공정이다. 여기에서, 각 부재는,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제2 공정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를 복수의 천장부재 중 2개 사이에 접합함으로써, 확장된 천장부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제3 공정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를 복수의 바닥부재 중 2개 사이에 접합함으로써, 확장된 바닥부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제4 공정은, 복수의 벽부재를 확장된 천장부 및 바닥부에 접합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의 제2 구조체를 조립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이하의 제5 공정을 포함하여도 좋다.
제5 공정은, 적어도, 접합된 각 부재의 접합부를 덮도록 코팅을 실시하는 공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구조체는, 접합된 각 부재의 접합부를 덮는 코팅을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접합부의 강도 또는 방수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코팅 재료는, 적어도 방수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 재료가 방수성을 가짐으로써, 각 부재의 접합부로부터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상에 부유할 때에도, 각 부재의 접합부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구조체는,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 적어도 4개의 벽부재, 및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를 가지고, 각각의 부재가 발포체로 이루어지며, 또한, 인접하는 부재와 접합된 접합가장자리를 가지는 것이라면, 그 밖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이하의 실시형태 1에서는, 제1 구조체로서, 2개의 천장부재와, 4개의 벽부재와, 2개의 바닥부재를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구조체는, 확장 가능한 것으로서, 복수의 천장부재, 복수의 벽부재, 및 복수의 바닥부재와 함께,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를 가지고, 각각의 부재가 발포체로 이루어지며, 확장된 천장부가, 2개의 천장부재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고, 확장된 바닥부가, 2개의 바닥부재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며, 확장된 천장부 및 확장된 바닥부가 복수의 벽부재에 접합된 것이라면, 그 밖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데, 이하의 실시형태 2에서는, 제2 구조체로서, 2개의 천장부재, 6개의 벽부재, 및 2개의 바닥부재와 함께, 2개의 확장용 천장부재 및 2개의 확장용 바닥부재를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구조체(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의 (a)는, 구조체(100)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구성부재의 윤곽을 나타내며, 도 2의 (c)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100)를 각각의 구성부재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제1 구조체)(100)의 벽에는, 출입구(10) 및 창(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구조체(100)는, 2개의 천장부재와, 4개의 벽부재와, 2개의 바닥부재를 가진다.
2개의 천장부재는, 도 2의 (c)의 지면 앞측의 앞천장부재(제1 천장부재)(110a) 및 도 2의 (c)의 지면 뒤측의 뒤천장부재(제2 천장부재)(110b)이다.
4개의 벽부재는, 앞벽부재(제1 벽부재)(120a), 뒤벽부재(제2 벽부재)(120b), 좌벽부재(제3 벽부재)(120c), 및 우벽부재(제4 벽부재)(120d)이다. 앞벽부재(120a)는, 도 2의 (a)의 X방향에서 구조체(100)를 보았을 때의 정면에 위치하는 벽부재이고, 좌벽부재(120c) 및 우벽부재(120d)는 각각, 앞벽부재(120a)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뒤벽부재(120b)는, 도 2의 (a)의 X방향에서 구조체(100)를 보았을 때에 구조체(100)의 뒤측에 위치하고 있는 벽부재이다.
2개의 바닥부재는, 도 2의 (c)의 지면 앞측의 앞바닥부재(제1 바닥부재)(130a) 및 도 2의 (c)의 지면 뒤측의 뒤바닥부재(제2 천장부재)(130b)이다.
여기에서, 각 부재는, 발포폴리스티렌(발포스티롤) 등의 발포체로 구성되어 있고, 바닥부재의 발포배율은, 벽부재 및 천장부재의 발포배율보다 작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포스티롤은, 통상은 발포원료를 5배(딱딱하고, 공기층이 적은 상태)에서 90배(부드럽고, 공기층이 많은 상태) 정도의 발포배율로 발포시킨 것으로, 일반적인 보냉함의 발포배율은, 발포원료에 대하여 약 60배이다.
예를 들어, 구조체의 각 부재에는, 발포원료에 대한 배율(발포배율)이 약 10배~약 60배인 발포체가 이용된다. 예를 들어, 구조체의 하부(바닥부재)의 발포배율이 약 20배~약 30배인 경우, 구조체의 상부(벽부재 및 천장부재)의 발포배율은 약 40배로 설정된다.
구조체의 하부(바닥부재)와 구조체의 상부(벽부재 및 천장부재)에서 발포배율을 대비하면, 상부(벽부재 및 천장부재)의 발포배율은, 하부(바닥부재)의 발포배율의 약 1.5배~약 4배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바닥부재)의 발포배율의 약 1.5배~약 2배이다.
여기에서, 발포체의 발포배율을 너무 낮게 하면, 발포체의 강도가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발포원료를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발포체는 보다 무거워진다. 이 경우, 부재의 운반에 불리하고, 코스트 상승을 보다 더 초래하게 되며, 가공도 하기 어려워진다. 더욱이, 부재에 포함되는 공기의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단열성이 떨어진다.
거꾸로, 발포체의 발포배율을 너무 높게 하면, 발포체의 단열성이 올라가고, 코스트 절감이 된다는 장점은 있지만, 발포체의 강도나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폐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구조체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는, 장점과 단점을 고려하여 최적의 발포배율의 발포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2개의 천장부재와, 4개의 벽부재와, 2개의 바닥부재가 각각 발포체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구조체(제1 구조체)(100)는, 수상 부유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구조체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소재가 동일하므로, 접착되는 부재의 쌍방에 대하여 동일한 접착력이 작용한다.
예를 들어, 목재와 발포재, 철재와 발포재, 벽돌과 발포재와 같이, 접착되는 부재의 쌍방에서 소재가 다른 경우, 접착제만으로는 접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고,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 가능하다고 하여도 어느 한 부재가 떨어지기 쉬워질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발포재에 최적의 접착제라도 목재에 최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 경우, 접착되는 부재의 쌍방에서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에 차이가 나온다. 이러한 접착력의 차이는, 구조체의 강도나 내구력에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구조체를 구성하는 부재에서 소재가 다른 경우, 구조체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표면에 실시되는 코팅에서도 그 강도, 내구력 등에 영향이 나올 우려가 있다.
또한, 구조체의 각 부분을 구성하는 발포체로서의 발포폴리스티렌은, 물, 자외선, 약품, 고온 등의 열화 요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열화하기 어려워 매우 오래 가는 소재로, 그러한 열화 요인의 영향은 코팅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다.
이하, 각 부재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우선, 제1 벽부재~제4 벽부재를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전후의 벽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의 (a)는, 도 2의 (c)의 지면 앞측에 위치하는 앞벽부재(120a)의 바깥면을 나타내고, 도 3의 (b)는, 도 2의 (c)의 지면 뒤측에 위치하는 뒤벽부재(120b)의 바깥면을 나타낸다.
(제1 벽부재(앞벽부재)(120a))
앞벽부재(120a)는, 한 쌍의 앞벽부재좌편(120a1) 및 앞벽부재우편(120a2)으로 구성되어 있고, 앞벽부재좌편(120a1) 및 앞벽부재우편(120a2)의 상단가장자리는, 앞천장부재(110a)에 접합되는 제1 접합가장자리(121a)로 되어 있고, 이 상단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돌기(21a)가 형성되어 있다. 앞벽부재좌편(120a1) 및 앞벽부재우편(120a2)의 하단가장자리는, 앞바닥부재(130a)에 접합되는 제2 접합가장자리(122a)로 되어 있으며, 이 하단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앞벽부재좌편(120a1)의 좌단가장자리는, 좌벽부재(120c)에 접합되는 제3 접합가장자리(123a)로 되어 있고, 이 좌단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돌기(23a)가 형성되어 있다. 앞벽부재좌편(120a1)의 우측가장자리에는, 출입구(10)를 형성하는 개구를 따른 개구테두리(10a)가 형성되어 있다.
앞벽부재우편(120a2)의 우단가장자리는, 우벽부재(120d)에 접합되는 제4 접합가장자리(124a)로 되어 있고, 이 우단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돌기(24a)가 형성되어 있다. 앞벽부재우편(120a2)의 좌측가장자리에는, 출입구(10)를 형성하는 개구를 따른 개구테두리(10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앞벽부재(120a)에서는, 높이가 약 1.5m, 폭이 약 4m이고, 출입구(10)의 사이즈는, 높이가 약 2m, 폭이 약 1m로 되어 있다. 단, 앞벽부재(120a)의 치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트럭 등의 차량으로 운반 가능하고, 사람이 들 수 있는 사이즈라면, 실용상 문제는 없다.
(제2 벽부재(뒤벽부재)(120b))
뒤벽부재(120b)의 상측가장자리는, 뒤천장부재(110b)에 접합되는 제2 접합가장자리(121b)로 되어 있고, 이 상단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돌기(21b)가 형성되어 있다.
뒤벽부재(120b)의 하단가장자리는, 뒤바닥부재(130b)에 접합되는 제2 접합가장자리(122b)로 되어 있고, 이 하단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홈(22b)이 형성되어 있다.
뒤벽부재(120b)의 좌단가장자리는, 우벽부재(120d)에 접합되는 제3 접합가장자리(123b)로 되어 있고, 이 좌단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돌기(23b)가 형성되어 있다.
뒤벽부재(120b)의 우단가장자리는, 좌벽부재(120c)에 접합되는 제4 접합가장자리(124b)로 되어 있고, 이 우단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돌기(24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뒤벽부재(120b)는, 앞벽부재(120a)와 마찬가지의 높이(약 1.5m)와 폭(약 4m)을 가지고 있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횡벽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의 (a)는, 도 2의 (c)의 지면좌측에 위치하는 횡벽부재(좌벽부재)(120c)의 바깥면을 나타내며, 도 4의 (b)는, 도 2의 (c)의 지면우측에 위치하는 횡벽부재(우벽부재)(120d)의 바깥면을 나타낸다.
(제3 벽부재(좌벽부재)(120c))
좌벽부재(120c)의 상단가장자리는, 앞천장부재(110a) 및 뒤천장부재(110b)에 접합되는 제1 접합가장자리(121c)로 되어 있고, 이 상단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돌기(21c)가 형성되어 있다.
좌벽부재(120c)의 하단가장자리는, 앞바닥부재(130a) 및 뒤바닥부재(130b)에 접합되는 제2 접합가장자리(122c)로 되어 있고, 이 하단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홈(22c)이 형성되어 있다.
좌벽부재(120c)의 좌단가장자리는, 뒤벽부재(120b)에 접합되는 제3 접합가장자리(123c)로 되어 있고, 이 좌단가장자리의 내측면에는, 선형상 홈(23c)이 형성되어 있다.
좌벽부재(120c)의 우단가장자리는, 앞벽부재(120a)에 접합되는 제4 접합가장자리(124c)로 되어 있고, 이 우단가장자리의 내측면에는, 선형상 홈(24c)이 형성되어 있다.
좌벽부재(120c)는, 약 1.5m의 높이와, 약 4m의 길이를 가진다. 단, 좌벽부재(120c)의 치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트럭 등의 차량으로 운반 가능하고, 사람이 들 수 있는 사이즈라면, 실용 상 문제는 없다.
(제4 벽부재(우벽부재)(120d))
우벽부재(120d)의 상단가장자리는, 앞천장부재(110a) 및 뒤천장부재(110b)에 접합되는 제1 접합가장자리(121d)로 되어 있고, 이 상단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돌기(21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벽부재(120d)에는, 창이 되는 절결부를 따라서 창틀(20a)이 형성되어 있다.
우벽부재(120d)의 하단가장자리는, 앞바닥부재(130a) 및 뒤바닥부재(130b)에 접합되는 제2 접합가장자리(122d)로 되어 있고, 이 하단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홈(22d)이 형성되어 있다.
우벽부재(120d)의 좌단가장자리는, 앞벽부재(120a)에 접합되는 제3 접합가장자리(123d)로 되어 있고, 이 좌단가장자리의 내측면에는, 선형상 홈(23d)이 형성되어 있다.
우벽부재(120d)의 우단가장자리는, 뒤벽부재(120b)에 접합되는 제4 접합가장자리(124d)로 되어 있고, 이 우단가장자리의 내측면에는, 선형상 홈(24d)이 형성되어 있다.
우벽부재(120d)는, 좌벽부재(120c)와 마찬가지로, 약 1.5m의 높이와, 약 4m의 길이를 가진다. 또한, 창을 형성하기 위한 절결부분의 치수는, 높이가 약 900mm, 폭이 약 1000mm의 치수로 되어 있다. 단, 창을 형성하기 위한 절결부분의 치수는, 창의 크기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고, 우벽부재(120d)의 높이와 길이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천장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의 (a)는, 도 2의 (c)의 지면 앞측에 위치하는 앞천장부재(110a)를 상방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며, 도 5의 (b)는, 도 2의 (c)의 지면 뒤측에 위치하는 뒤천장부재(110b)를 상방에서 본 구조를 나타낸다.
(제1 천장부재(앞천장부재)(110a))
앞천장부재(110a)의 전단가장자리는, 앞벽부재(120a)에 접합되는 제1 접합가장자리(111a)로 되어 있고, 이 전단가장자리의 하측면에는, 선형상 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앞천장부재(110a)의 후단가장자리는, 뒤천장부재(110b)에 접합되는 제2 접합가장자리(112a)로 되어 있고, 이 후단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돌기(12a)가 형성되어 있다.
앞천장부재(110a)의 좌단가장자리는, 좌벽부재(120c)에 접합되는 제3 접합가장자리(113a)로 되어 있고, 이 좌단가장자리의 하측면에는, 선형상 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앞천장부재(110a)의 우단가장자리는, 우벽부재(120d)에 접합되는 제4 접합가장자리(114a)로 되어 있고, 이 우단가장자리의 하측면에는, 선형상 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앞천장부재(110a)는, 약 4m의 폭과, 약 2m의 길이(깊이방향의 치수)를 가지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트럭 등의 차량으로 운반 가능한 사이즈라면, 실용 상 문제는 없다.
(제2 천장부재(뒤천장부재(110b))
뒤천장부재(110b)의 전단가장자리는, 앞천장부재(110a)에 접합되는 제1 접합가장자리(111b)로 되어 있고, 이 전단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홈(11b)이 형성되어 있다.
뒤천장부재(110b)의 후단가장자리는, 뒤벽부재(120b)에 접합되는 제2 접합가장자리(112b)로 되어 있고, 이 후단가장자리의 하측면에는, 선형상 홈(12b)이 형성되어 있다.
뒤천장부재(110b)의 좌단가장자리는, 좌벽부재(120c)에 접합되는 제3 접합가장자리(113b)로 되어 있고, 이 좌단가장자리의 하측면에는, 선형상 홈(13b)이 형성되어 있다.
뒤천장부재(110b)의 우단가장자리는, 우벽부재(120d)에 접합되는 제4 접합가장자리(114b)로 되어 있고, 이 우단가장자리의 하측면에는, 선형상 홈(14b)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바닥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의 (a)는, 도 2의 (c)의 지면 앞측에 위치하는 앞바닥부재(130a)를 상방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며, 도 6의 (b)는, 도 2의 (c)의 지면 뒤측에 위치하는 뒤바닥부재(130b)를 상방에서 본 구조를 나타낸다.
(제1 바닥부재(앞바닥부재(130a)))
앞바닥부재(130a)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103a)과, 바닥판의 앞가장자리, 좌가장자리, 및 우가장자리로부터 바닥판(103a)을 감싸도록 일어서는 ㄷ자형의 요벽(3a)을 가지고, 바닥판(103a)과 요벽(3a)은,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이음매가 없다.
또한, 요벽(3a)의 앞가장자리부의 상단가장자리가, 앞벽부재(120a)에 접속되는 제1 접합가장자리(131a)로 되어 있고, 이 상단가장자리에는, 출입구(10)를 형성하는 절결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선형상 돌기(31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출입구(10)를 형성하는 절결부는, 요벽(3)의 상단부에서 잘려진 부분이고, 출입구(10)에서는, 요벽(3a)의 높이가 다른 부분(출입구(1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비하여 낮아지거나, 요벽(3a)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구조체(100)가 수상에 설치되는 경우, 출입구(10)가, 물이 침입할 수 있는 경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출입구(10)는, 출입구(10)를 형성하는 절결부의 깊이를 가급적 얕게 하거나, 또는, 이와 같은 절결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절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둑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구(10)로부터의 물의 칩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앞바닥부재(130a) 중 출입구(10)가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요벽(3a)에 절결부를 형성하는 것과는 반대로, 요벽(3a) 상에 물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한 둑을 설치할 수도 있다.
어쨌든, 앞바닥부재(130a) 중 출입구(10)가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요벽(3a)에 절결부를 형성한 경우의 요벽(3a)의 높이, 요벽(3a)의 절결부를 둑으로 막은 경우의 둑의 높이, 요벽(3a)에 절결부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의 요벽(3a)의 높이, 또는 요벽(3a)과 그 위에 형성한 둑부와의 합계 높이로서, 적어도 앞바닥부재(130a)의 하면으로부터 약 20cm~약 30cm의 높이를 확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바닥부재(130a)의 후단가장자리는, 뒤바닥부재(130b)에 접합되는 제2 접합가장자리(132a)로 되어 있고, 이 뒤측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앞바닥부재(130a)의 제2 접합가장자리(132a)는, 바닥판(103a)의 후단가장자리와, 요벽(3a)의 후단가장자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형상 홈(32a)은, 바닥판(103a)의 후단가장자리의 끝면과, 요벽(3a)의 후단가장자리의 끝면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벽(3a)의 좌측부의 상단가장자리가, 좌벽부재(120c)에 접속되는 제3 접합가장자리(133a)로 되어 있고, 이 상단가장자리에는, 선형상 돌기(33a)가 형성되어 있다.
요벽(3a)의 우측부의 상단가장자리가, 우벽부재(120d)에 접속되는 제4 접합가장자리(134a)로 되어 있고, 이 상단가장자리에는, 선형상 돌기(34a)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재는, 약 4m의 폭과, 약 2m의 길이(깊이방향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 또한, 요벽의 높이는 약 650mm이다.
단, 바닥부재의 130a의 치수(폭, 길이)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트럭 등의 차량으로 운반 가능하고, 사람이 들 수 있는 사이즈라면, 실용 상 문제는 없다. 또한, 요벽의 높이도 한정되지 않지만, 요벽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운반할 때에 적재하기 어려워지므로, 기껏해야 약 800mm이다. 또한, 출입구에서의 요벽의 높이가 낮으면, 수해시에 저상 침수의 우려가 증대되므로, 적어도 약 200mm의 높이를 확보해 둘 필요가 있다.
(제2 바닥부재(뒤바닥부재(130b)))
뒤바닥부재(130b)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103b)과, 바닥판의 뒤가장자리, 좌가장자리, 및 우가장자리로부터 바닥판(103b)을 감싸도록 일어서는 ㄷ자형의 요벽(3b)을 가지며, 바닥판(103b)과 요벽(3b)은, 일체 성형되어 있고, 이음매가 없다.
뒤바닥부재(130b)의 전단가장자리는, 앞바닥부재(130a)에 접합되는 제1 접합가장자리(131b)로 되어 있고, 이 앞측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돌기(31b)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뒤바닥부재(130b)의 제1 접합가장자리(131b)는, 바닥판(103b)의 전단가장자리와, 요벽(3b)의 전단가장자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형상 돌기(31b)는, 바닥판(103b)의 전단가장자리의 끝면과, 요벽(3b)의 전단가장자리의 끝면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벽(3b)의 뒤가장자리부의 상단가장자리는, 뒤벽부재(120b)에 접합되는 제2 접합가장자리(132b)로 되어 있고, 이 뒤측가장자리의 끝면에는 선형상 돌기(3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벽(3b)의 좌측부의 상단가장자리가, 좌벽부재(120c)에 접속되는 제3 접합가장자리(133b)로 되어 있고, 이 상단가장자리에는, 선형상 돌기(33b)가 형성되어 있다.
요벽(3b)의 우측부의 상단가장자리가, 우벽부재(120d)에 접속되는 제4 접합가장자리(134b)로 되어 있고, 이 상단가장자리에는, 선형상 돌기(34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뒤바닥부재(130b)의 치수는, 앞바닥부재(130a)의 치수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술한 각 부재에 의하여 조립되어 있는 구조체(100)의 구조를, 단면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2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의 (a)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100)를 X방향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의 (b)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100)를 Y방향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의 (c)는, 도 7의 (b)의 VIIc-VIIc선 단면도, 도 7의 (d)는, 도 7의 (b)의 VIId-VIId선 단면도이다.
도 7의 (c)에는, 4개의 벽부재 중 인접하는 것끼리 대향하는 접합가장자리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즉, 앞벽부재(120a)의 제3 접합가장자리(123a)와, 좌벽부재(120c)의 제4 접합가장자리(124c)가 접합되어 있고, 제3 접합가장자리(123a)의 끝면에 형성된 선형상 돌기(23a)가 제4 접합가장자리(124c)의 내측면에 형성된 선형상 홈(24c)에 감합하고 있다.
앞벽부재(120a)의 제4 접합가장자리(124a)와, 우벽부재(120d)의 제3 접합가장자리(123d)가 접합되어 있고, 제4 접합가장자리(124a)의 끝면에 형성된 선형상 돌기(24a)가 제3 접합가장자리(123d)의 내측면에 형성된 선형상 홈(23d)에 감합하고 있다.
뒤벽부재(120b)의 제3 접합가장자리(123b)와, 우벽부재(120d)의 제4 접합가장자리(124d)가 접합되어 있고, 제3 접합가장자리(123b)의 끝면에 형성된 선형상 돌기(23b)가 제4 접합가장자리(124d)의 내측면에 형성된 선형상 홈(24d)에 감합하고 있다.
뒤벽부재(120b)의 제4 접합가장자리(124b)와, 좌벽부재(120c)의 제3 접합가장자리(123c)가 접합되어 있고, 제4 접합가장자리(124b)의 끝면에 형성된 선형상 돌기(24b)가 제3 접합가장자리(123b)의 내측면에 형성된 선형상 홈(23c)에 감합하고 있다.
도 7의 (d)에는, 좌벽부재(120c) 및 우벽부재(120d)가, 뒤천장부재(110b)와 뒤바닥부재(130b)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즉, 좌벽부재(120c)의 제1 접합가장자리(121c)와, 뒤천장부재(110b)의 제3 접합가장자리(113b)가 접합되고, 제1 접합가장자리(121c)의 끝면에 형성된 선형상 돌기(21c)가 제3 접합가장자리(113b)의 끝면에 형성된 선형상 홈(13b)에 감합하고 있다.
좌벽부재(120c)의 제2 접합가장자리(122c)와, 뒤바닥부재(130b)의 제3 접합가장자리(133b)가 접합되고, 제2 접합가장자리(122c)의 끝면에 형성된 선형상 홈(22c)이 제3 접합가장자리(133b)의 끝면에 형성된 선형상 돌기(33b)에 감합하고 있다.
우벽부재(120d)의 제2 접합가장자리(122d)와, 뒤바닥부재(130b)의 제4 접합가장자리(134b)가 접합되고, 제2 접합가장자리(122d)의 끝면에 형성된 선형상 홈(22d)이 제4 접합가장자리(134b)의 끝면에 형성된 선형상 돌기(134b)에 감합하고 있다.
도 8은, 도 2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의 (a)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100)를 Z방향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의 (b)는, 도 8의 (a)의 VIIIb-VIIIb선 단면도이다.
도 8의 (b)에는, 앞천장부재(110a)와 뒤천장부재(110b)와의 접합상태, 앞바닥부재(130a)와 뒤바닥부재(130b)와의 접합상태, 앞벽부재(120a)와 앞바닥부재(130a)와의 접합상태, 그리고, 뒤벽부재(120b)와 뒤천장부재(110b) 및 뒤바닥부재(130b)와의 접합상태가 나타나 있다.
즉, 앞벽부재(120a)의 제2 접합가장자리(122a)와, 앞바닥부재(130a)의 제1 접합가장자리(131a)가 접합되고, 제2 접합가장자리(122a)의 끝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 돌기(22a)가 제1 접합가장자리(131a)의 끝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 돌기(31a)에 감합하고 있다.
뒤벽부재(120b)의 제1 접합가장자리(121b)와, 뒤천장부재(110b)의 제2 접합가장자리(112b)가 접합되고, 제1 접합가장자리(121b)의 끝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 돌기(21b)가 제2 접합가장자리(112b)의 끝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 홈(12b)에 감합하고 있다.
뒤벽부재(120b)의 제2 접합가장자리(122b)와, 뒤바닥부재(130b)의 제2 접합가장자리(132b)가 접합되고, 제2 접합가장자리(122b)의 끝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 홈(22b)이 제2 접합가장자리(132b)의 끝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 돌기(32b)에 감합하고 있다.
앞천장부재(110a)의 제2 접합가장자리(112a)와, 뒤천장부재(110b)의 제1 접합가장자리(111b)가 접합되고, 제2 접합가장자리(112a)의 끝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 돌기(12a)가 제1 접합가장자리(111b)의 끝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 홈(11b)에 감합하고 있다.
앞바닥부재(130a)의 제2 접합가장자리(132a)와, 뒤바닥부재(130b)의 제1 접합가장자리(131b)가 접합되고, 제2 접합가장자리(132a)의 끝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 홈(32a)이 뒤바닥부재(130b)의 제1 접합가장자리(131b)의 끝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 돌기(31b)에 감합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 중 인접하는 부재는, 인접하는 부재의 대향하는 접합가장자리의 한 쪽에 형성된 선형상 돌기와 인접하는 부재의 대향하는 접합가장자리의 다른 쪽에 형성된 선형상 홈이 감합함으로써 접합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부재의 접합가장자리는 접착제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다. 접착제는, 발포체를 접착 가능한 임의의 접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는, 1액형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인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발포체를 녹이는 용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접착제라면 이용 가능하다. 또한, 접착제는 2액 혼합형보다는 1액형이 바람직하다. 구조체의 각 부분의 접착면과 같이 접착면적이 넓은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1액형이 작업시간의 점에서 압도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접합부의 형상은, 상술한 선형상 돌기 및 선형상 홈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한편, 상술한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서는, 좌우의 벽부재(좌벽부재(120c) 및 우벽부재(120d))로서, 전후의 천장부재(또는 전후의 바닥부재)에 걸치는 사이즈(구조체(100)의 깊이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벽부재를 이용하고 있는데,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이용되는 벽부재의 사이즈는, 전후의 천장부재(또는 전후의 바닥부재)에 걸치는 사이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변형예 1의 구조체(100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의 (a)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VIIIb-VIIIb선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구조체(100a)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9의 (b)는, 도 7의 (c)에 나타내는 VIIc-VIIc선 단면에 있어서의 구조체(100a)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 1의 구조체(100a)는,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좌벽부재(120c)를, 이 좌벽부재(120c)를 폭방향(도 9의 (b)의 지면 상하방향)을 따른 분할선으로 2분할하여 얻어지는 2개의 단척좌벽부재(120c1, 120c2)로 치환하고, 더욱이,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우벽부재(120d)를, 이 우벽부재(120d)를 상기의 분할선으로 2분할하여 얻어지는 2개의 단척우벽부재(120d1, 120d2)로 치환한 것이다. 단척좌벽부재(120c1) 및 단척우벽부재(120d1)의 길이(깊이방향의 치수)는, 앞천장부재(110a)의 깊이치수와 같고, 단척좌벽부재(120c2) 및 단척우벽부재(120d2)의 길이(깊이방향의 치수)는, 뒤천장부재(110b)의 깊이치수와 같다.
다음으로, 상술한 2개의 천장부재와, 4개의 벽부재와, 2개의 바닥부재를 조합하여 구조체(100)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를 조립하는 방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의 (a)는, 구조체(100)를 조립할 때의 복수의 구성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며, 도 10의 (b)는, 복수의 구성부재를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의 (c)는, 접합한 복수의 구성부재에 코팅을 실시한 상태를 나타낸다.
우선, 2개의 천장부재로서 앞천장부재(110a) 및 뒤천장부재(110b)를 제공하고, 4개의 벽부재로서, 앞벽부재(120a), 뒤벽부재(120b), 좌벽부재(120c), 우벽부재(120d)를 제공하며, 2개의 바닥부재로서 앞바닥부재(130a) 및 뒤바닥부재(130b)를 제공한다. 각 부재는,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앞바닥부재(130a)의 제2 접합가장자리(132a)와 뒤바닥부재(130b)의 제1 접합가장자리(131b)를 접합한다.
이어서, 앞바닥부재(130a)의 제1 접합가장자리(131a)에 앞벽부재(120a)의 제2 접합가장자리(122a)를 접합하는 동시에, 뒤바닥부재(130b)의 제2 접합가장자리(132b)에 뒤벽부재(120b)의 제2 접합가장자리(122b)를 접합한다.
그 후, 예를 들어, 앞바닥부재(130a)의 제3 접합가장자리(133a) 및 뒤바닥부재(130b)의 제3 접합가장자리(133b)에 걸치도록 좌벽부재(120c)의 제2 접합가장자리(122c)를 접합하고, 더욱이, 좌벽부재(120c)의 제3 접합가장자리(123c)를 뒤벽부재(120b)의 제4 접합가장자리(124b)에 접합하는 동시에, 좌벽부재(120c)의 제4 접합가장자리(124c)를 앞벽부재(120a)의 제3 접합가장자리(123a)에 접합한다.
이어서, 앞바닥부재(130a)의 제4 접합가장자리(134a) 및 뒤바닥부재(130b)의 제4 접합가장자리(134b)에 걸치도록 우벽부재(120d)의 제2 접합가장자리(122d)를 접합하고, 더욱이, 우벽부재(120d)의 제3 접합가장자리(123d)를 앞벽부재(120a)의 제4 접합가장자리(124a)에 접합하는 동시에, 우벽부재(120d)의 제4 접합가장자리(124d)를 뒤벽부재(120b)의 제3 접합가장자리(123b)에 접합한다.
다음으로, 앞천장부재(110a)를 앞벽부재(120a), 좌벽부재(120c) 및 우벽부재(120d) 상에 탑재함으로써, 앞천장부재(110a)의 제1 접합가장자리(111a)를 앞벽부재(120a)의 제1 접합가장자리(121a)에 접합하고, 앞천장부재(110a)의 제3 접합가장자리(113a)를 좌벽부재(120c)의 제1 접합가장자리(121c)에 접합하며, 앞천장부재(110a)의 제4 접합가장자리(114a)를 우벽부재(120d)의 제1 접합가장자리(121d)에 접합한다.
그 후, 뒤천장부재(110b)를 뒤벽부재(120b), 좌벽부재(120c) 및 우벽부재(120d) 상에 탑재함으로써, 뒤천장부재(110b)의 제1 접합가장자리(111b)를 앞천장부재(110a)의 제2 접합가장자리(112a)에 접합하는 동시에, 뒤천장부재(110b)의 제3 접합가장자리(113b)를 좌벽부재(120c)의 제1 접합가장자리(121c)에 접합하며, 더욱이, 뒤천장부재(110b)의 제4 접합가장자리(114b)를 우벽부재(120d)의 제1 접합가장자리(121d)에 접합하고, 마지막으로, 뒤천장부재(110b)의 제2 접합가장자리(112b)를 뒤벽부재(120b)의 제1 접합가장자리(121b)에 접합한다.
여기에서, 각 부재의 접합가장자리를 이것에 대향하는 다른 부재의 접합가장자리에 접합하는 경우, 대향하는 접합가장자리에는 접착제를 바르고, 더욱이, 대향하는 접합가장자리의 한쪽의 선형상 돌기를 대향하는 접합가장자리의 다른 쪽 선형상 홈에 감합시킨다.
이렇게 하여서 도 10의 (b)에 나타내는 구조체(100)를 조립할 수 있다.
그 후, 조립한 구조체(100)의 표면에 우레탄 수지 등을 이용하여 코팅을 실시하고, 더욱이 도장을 마무리함으로써, 도 1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부재의 이음매를 눈에 띄지 않게 한 구조체(100)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는, 2개의 천장부재(110a, 110b)와, 4개의 벽부재(120a~120d)와, 2개의 바닥부재(130a, 130b)를 조합하여 조립 가능하므로, 이 구조체의 운반은, 구조체의 조립전 상태로, 즉, 각각의 구성부재를 운반하기 쉬운 상태로 모아서 행할 수 있다. 즉, 구조체(100)는, 구조체(100)를 콤팩트하게 하여서 운반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운반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a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조립한 상태와, 구조체(100)의 구성부재를 콤팩트하게 중합한 상태를 대비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a의 (a)는, 구조체(100)의 각각의 구성부재를 나타내며, 도 10a의 (b)는, 조립된 구조체(100)의 예시적인 외형치수를 나타내고, 도 10a의 (c)는, 구조체(100)의 각각의 구성부재를 콤팩트하게 중합하였을 때의 예시적인 외형치수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6개의 구성부재 110a, 110b, 120a~120d와 130a, 130b(도 10a의 (a)를 참조)를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구조체(100)는, 도 10a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W=약 4.0m), 깊이(D=약 4.0m), 및 높이(H=약 2.9m)의 치수를 가진다.
이에 대하여, 6개의 구성부재 110a, 110b, 120a~120d와, 130a, 130b(도 10a의 (a)를 참조)를 콤팩트하게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P100)는, 도 10a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W1=약 4.0m), 깊이(D1=약 2.5m), 및 높이(H1=약 3.3m)의 치수를 가진다.
이러한 중합체(P100)에서는, 한 쌍의 바닥부재(130a, 130b)는, 가로로 길어지도록 대향시켜 세운 상태로 되어 있고, 이들 바닥부재(130a, 130b) 사이에, 전후좌우의 4개의 벽부재(120a~120d)가 끼워지며, 더욱이, 한 쌍의 바닥부재(130a, 130b) 상에는 전후의 천장부재(110a, 110b)가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조체(100)의 구성부재를 중합함으로써, 중합체(P100)의 바닥면의 깊이방향의 치수(D1)가, 조립된 구조체(100)의 깊이방향의 치수(D)에 비하여 짧아지고, 트럭, 트레일러 등의 하물운반차량의 짐칸에 싣기 쉬워진다.
도 10b는, 구조체(100)의 구성부재를 콤팩트하게 중합하여서 트레일러 상에 적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구조체(100)의 구성부재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진 중합체(P100)(도 10a의 (c)를 참조)의 바닥면적(W1×D1)은, 조립된 구조체(100)의 바닥면적(W×D)에 비하여 축소된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일러 등으로 운반 가능해진다. 이 트레일러로의 운반에서는, 트레일러 상의 중합체(P100)의 고정은, 예를 들어, 수지섬유, 카본섬유 등의 벨트(Pb)에 의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서는, 앞바닥부재(130a) 및 뒤바닥부재(130b)는 바닥판(103a, 103b)과 그 주위를 둘러싸는 요벽(3a, 3b)을 발포폴리스티렌 등의 발포체로 일체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므로, 구조체의 바닥과 벽과의 사이의 접합부(이음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음매를 통한 아래로부터의 침수(예를 들어, 수상으로 떠올려졌을 때에 아래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 육지에 설치되었을 때에 아래부터 습기가 침입하는 것)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육지에 설치되었을 때, 수해가 발생하여도 저상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체(100)는 구조체 자체가 물에 뜨는 구조로 되어 있고, 어떠한 이유로 구조체(100)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여도, 구조체(100) 자체가 부표로서 기능하므로 물에 잠겨버릴 일이 없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수해가 발생하여도, 수상 부유함으로써, 수해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구조체(100)는, 바닥부재, 벽부재 및 천장부재의 조합으로 1개의 상자체로 되어 있으므로, 컨테이너와 같이, 기초가 없어도, 대략 수평인 장소라면 그냥 두는 것만으로 설치할 수 있고, 더욱이, 바닥부재, 벽부재 및 천장부재는 각각, 창, 문(출입구), 환기구 등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것과 교체 가능하므로, 배치, 출입구 및 창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구조체(100)는, 2개의 천장부재(110a, 110b)와, 4개의 벽부재(120a~120d)와, 2개의 바닥부재(130a, 130b)를 조합하여 구조체(100)를 조립 가능하므로, 이 구조체의 운반은, 구조체를 조립 전의 상태에서, 즉, 이들 구성부재를 콤팩트하게 중합한 상태에서 행할 수 있어, 구조체의 운반이 간단하다.
한편,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의 조립방법은 상술한 순서로 한정되지 않으며, 2개의 바닥부재의 조립체, 4개의 벽부재의 조립체, 2개의 천장부재의 조립체를 미리 제작하고, 그 후, 2개의 바닥부재의 조립체 상에, 4개의 벽부재의 조립체를 탑재하여 이들 조립체를 접합하며, 마지막으로 천장부재의 조립체를 벽부재의 조립체 상에 탑재하여 벽부재의 조립체에 접합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더욱이,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의 바닥부재에 부가적으로 1개 이상(예를 들어, 2개)의 바닥부재를 이용하여 덱 부착 구조체를 제작하여도 좋다.
도 11은,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체(100)의 변형예 2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예를 들어 수상주택으로서 적합한 덱 부착 구조체(100b)를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재로서, 앞바닥부재(130a) 및 뒤바닥부재(130b)에 더하여 덱용으로서 여분으로 2개의 바닥부재(130c, 130d)를 준비한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서, 2개의 바닥부재, 4개의 벽부재 및 2개의 천장부재의 조립체로서의 구조체(100)를 형성한 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조체(100)의 앞바닥부재(130a)의 전방측에 추가의 바닥부재(130c)를 장착하고, 더욱이, 구조체(100)의 우측의 측면에 앞바닥부재(130a) 및 뒤바닥부재(130b)에 걸치도록 추가의 바닥부재(130d)를 장착한다.
이에 따라 덱 부착 구조체(100b)를 얻을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조립한 덱 부착 구조체(100b)를 수상주택으로서 이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덱 부착 구조체(100b)는, 구조체로서 부력이 큰 것으로 되므로, 바다 위 또는 호수 위에서의 수상생활용 주거로서 적합하고,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지에 가까운 연안 부분에 이 덱 부착 구조체(100b)를 띄워서 주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덱 부분은, 거룻배 등으로 운반해 온 화물을 내릴 때, 또는 거룻배에 화물을 싣는 경우의 일차적인 화물재치소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체의 사용장소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조체는, 육지에도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예를 들어, 수해가 발생하기 쉬운 지구, 수몰의 가능성이 있는 지구 등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구에 설치됨으로써, 수상 부유 가능한 성질에 따른 이점(예를 들어, 침수되지 않는 것, 수몰되기 어려운 것)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본 발명의 구조체는, 예를 들어, 건물을 통째로 이동할 필요가 있는 지구(예를 들어, 방목지 등)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구에 설치됨으로써, 경량인 성질에 따른 이점(예를 들어, 구조체 전체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는, 본 발명의 구조체는, 대략 수평한 장소라면, 설치장소의 상태는 상관없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예를 들어, 초원, 모래땅, 언 땅 등이어도 설치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는, 정형사이즈의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것인데, 구조체(100)의 천장부분은 전후의 천장부재의 접합에 의하여 형성되고, 구조체(100)의 바닥부재는 전후의 바닥부재의 접합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후의 천장부재의 사이에 확장용 천장부재를 삽입하고, 전후의 바닥부재의 사이에 확장용 바닥부재를 삽입함으로써 간단히 주거공간을 확장 가능하여, 이하, 실시형태 2로써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를 확장한 확장형 구조체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2)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구조체(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의 (a)는, 구조체(200)의 외관을 나타내며,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200)에 있어서의 구성부재의 윤곽을 나타내고, 도 13의 (c)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200)를 각각의 구성부재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체(제2 구조체)(200)는, 확장 가능한 구조체이고, 구조체(200)의 벽에는, 출입구(10, 30) 및 창(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구조체(200)는, 4개의 천장부재와, 6개의 벽부재와, 4개의 바닥부재를 가진다. 출입구(10) 및 창(20)은, 도 1에 나타내는 제1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한 것인데, 출입구(30)는, 제2 구조체(200)의 앞면에 위치하는 출입구(10)와는 달리, 제2 구조체(2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출입구이며, 제2 구조체(200)를 길이방향(X방향)으로 직각인 방향(도 13의 Y방향)으로 확장할 때에, 제2 구조체와 이것에 인접하는 구조체와의 사이에서 주거공간을 연결하는 데에 이용된다.
4개의 천장부재는, 앞천장부재(제1 천장부재)(210a)와, 뒤천장부재(제2 천장부재)(210b)와, 2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제3, 제4 천장부재(210c, 210d))이다.
여기에서, 앞천장부재(210a)는, 도 13의 (c)의 지면 앞측에 위치하고, 뒤천장부재(210b)는, 도 13의 (c)의 지면 뒤측에 위치하며, 2개의 확장용 천장부재(210c, 210d)는, 앞천장부재(210a)와 뒤천장부재(210b)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의 1개인 제3 천장부재(210c)는, 앞천장부재(210a)에 인접하는 앞확장용 천장부재(210c)이고, 2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의 또 다른 1개인 제4 천장부재(210d)는, 뒤천장부재(210b)에 인접하는 뒤확장용 천장부재(210d)이다.
6개의 벽부재는, 앞벽부재(제1 벽부재)(220a)와, 뒤벽부재(제2 벽부재)(220b)와, 좌앞벽부재(제3 벽부재)(220c)와, 우앞벽부재(제4 벽부재)(220d)와, 좌뒤벽부재(제5 벽부재)(220e)와, 우뒤벽부재(제6 벽부재)(220f)이다.
여기에서, 앞벽부재(220a)는, 도 13의 (a)의 X방향에서 구조체(100)를 보았을 때의 정면에 위치하는 벽부재이고, 뒤벽부재(220b)는, 도 13의 (a)의 A방향에서 구조체(100)를 보았을 때에 구조체(100)의 뒤측에 위치하고 있는 벽부재이다. 또한, 좌앞벽부재(220c)는, 도 13의 (c)의 지면 앞측 좌측에 위치하고, 우앞벽부재(220d)는, 도 13의 (c)의 지면 앞측 우측에 위치하며, 좌뒤벽부재(220e)는, 도 13의 (c)의 지면 뒤측 좌측에 위치하고, 우뒤벽부재(제6 벽부재)(220f)는, 도 13의 (c)의 지면 뒤측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4개의 바닥부재는, 앞바닥부재(제1 바닥부재)(230a)와, 뒤바닥부재(제2 바닥부재)(230b)와, 2개의 확장용 바닥부재(제3, 제4 바닥부재(230c, 230d))이다.
여기에서, 앞바닥부재(230a)는, 도 13의 (c)의 지면 앞측에 위치하고, 뒤바닥부재(230b)는, 도 13의 (c)의 지면 뒤측에 위치하며, 2개의 확장용 바닥부재(230c, 230d)는, 앞바닥부재(230a)와 뒤바닥부재(230b)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확장용 바닥부재의 1개인 제3 바닥부재(230c)는, 앞바닥부재(230a)에 인접하는 앞확장용 바닥부재이고, 2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의 또 다른 1개인 제4 천장부재(230d)는, 뒤바닥부재(230b)에 인접하는 뒤확장용 바닥부재이다.
여기에서, 각 부재는, 발포폴리스티렌 등의 발포체로 구성되어 있고, 바닥부재의 발포배율은, 벽부재 및 천장부재의 발포배율보다 작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형태 2의 구조체(200)에 있어서의 바닥부재의 발포배율은,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바닥부재의 발포배율과 동일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 2의 구조체(200)에 있어서의 벽부재 및 천장부재의 발포배율은,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벽부재 및 천장부재의 발포배율과 동일하다.
4개의 천장부재와, 6개의 벽부재와, 4개의 바닥부재가 각각 발포체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구조체(제2 구조체)(200)는, 수상 부유 가능해진다.
이하, 각 부재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우선, 제1 벽부재~제6 벽부재를 설명한다.
(제1 벽부재(앞벽부재(220a)), 제2 벽부재(뒤벽부재(220b)))
앞벽부재(220a) 및 뒤벽부재(220b)는 각각,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앞벽부재(120a) 및 뒤벽부재(120b)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좌앞벽부재(220c)및 좌뒤벽부재(220e)는,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좌벽부재(120c)와는 일부 다른 구조를 가지고, 우앞벽부재(220d) 및 우뒤벽부재(220f)는,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우벽부재(120d)와는 일부 다른 구조를 가진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체(200)의 횡벽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4의 (a)는, 도 13의 (c)의 지면 좌측 앞쪽에 위치하는 벽부재(좌앞벽부재)(120c)의 바깥면을 나타내며, 도 14의 (b)는, 도 13의 (c)의 지면 우측 앞쪽에 위치하는 벽부재(우앞벽부재)(120d)의 바깥면을 나타낸다.
(제3 벽부재(좌앞벽부재(220c)))
좌앞벽부재(220c)는,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좌벽부재(120c)의 제3 접합가장자리(123c)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 홈(23c) 대신에, 제3 접합가장자리(123c)의 끝면에 선형상 돌기(53c)를 형성한 것이다.
(제4 벽부재(우앞벽부재(220d)))
우앞벽부재(220d)는,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우벽부재(120d)의 제4 접합가장자리(124d)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 홈(24d) 대신에, 제4 접합가장자리(124d)의 끝면에 선형상 홈(54d)을 형성한 것이다.
(제5 벽부재(좌뒤벽부재(220e)))
좌뒤벽부재(220e)는, 도 14의 (b)에 나타내는 우앞벽부재(220d)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 좌뒤벽부재(220e)의 제4 접합가장자리의 선형상 홈이 좌앞벽부재(220c)의 제3 접합가장자리(123c)의 선형상 돌기(53c)와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
(제6 벽부재(우뒤벽부재(220f)))
우뒤벽부재(220f)는, 좌앞벽부재(220c)에, 앞벽부재(220a)에 있어서의 출입구(10)와 동일한 출입구(30)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를 설치한 것이고, 이 우뒤벽부재(220f)의 제3 접합가장자리의 선형상 돌기가 우앞벽부재(220d)의 제4 접합가장자리(124d)의 선형상 홈(54d)과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체(200)의 천장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5의 (a)는, 도 13의 (c)의 지면 앞측으로부터 2번째 천장부재(앞확장용 천장부재(210c))를 상방에서 본 구조를 나타낸다.
(제1 천장부재(앞천장부재(210a)), 제2 천장부재(뒤천장부재(210b)))
구조체(200)에 있어서의 앞천장부재(210a) 및 뒤천장부재(210b)는 각각,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앞천장부재(110a) 및 뒤천장부재(110b)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제3 천장부재(앞확장용 천장부재(210c)), 제4 천장부재(뒤확장용 천장부재(210d)))
구조체(200)에 있어서의 앞확장용 천장부재(210c)는,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뒤천장부재(110b)의 제2 접합가장자리(112b) 대신에, 제1 접합가장자리(111b)와 동일한 휘어진 형상으로 한 제2 접합가장자리(212b)를 구비하고, 실시형태 1의 뒤천장부재(110b)의 제2 접합가장자리(112b)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던 선형상 홈(12b) 대신에, 이 실시형태 2의 구조체(200)에 있어서의 앞확장용 천장부재(210c)의 제2 접합가장자리(212b)의 끝면에 선형상 돌기(42b)를 형성한 것이다.
한편, 뒤확장용 천장부재(210d)는, 이 뒤확장용 천장부재(210d)에 통기구(40)가 형성되어 있는 점 이외에는, 앞확장용 천장부재(210c)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6은, 도 13에 나타내는 구조체(200)의 바닥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3의 (c)의 지면 앞측으로부터 2번째에 위치하는 앞확장용 바닥부재(230c)를 상방에서 본 구조를 나타낸다.
(제1 바닥부재(앞바닥부재(230a)), 제2 바닥부재(뒤바닥부재(230b)))
구조체(200)에 있어서의 앞바닥부재(230a) 및 뒤바닥부재(230b)는,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앞바닥부재(130a) 및 뒤바닥부재(130b)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앞확장용 바닥부재(230c)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203c)과, 바닥판의 좌측가장자리, 및 우측가장자리로부터 바닥판(203c)을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도록 일어서는 한 쌍의 요벽편(3c)을 가지고, 바닥판(203c)과 요벽편(3c)은,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이음매가 없다.
또한, 요벽편(3c)의 앞가장자리 및 바닥판(203c)의 앞가장자리가, 앞바닥부재(230a)에 접속되는 제1 접합가장자리(231c)로 되어 있고, 이 제1 접합가장자리(231c)의 끝면에는 선형상 돌기(6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벽편(3c)의 뒤가장자리 및 바닥판(203c)의 뒤가장자리가, 뒤확장용 바닥부재(210d)에 접합되는 제2 접합가장자리(232b)로 되어 있고, 이 제2 접합가장자리(232b)의 끝면에는 선형상 홈(62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뒤확장용 바닥부재(210d)는 앞확장용 바닥부재(210c)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각 부재에 의하여 조립되어 있는 구조체(200)의 구조를, 단면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도 13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의 (a)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200)를 X방향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의 (b)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200)를 Y방향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의 (c)는, 도 17의 (b)의 XVIIc-XVIIc선 단면도, 도 17의 (d)는, 도 17의 (b)의 XVIId-XVIId선 단면도이다.
도 17의 (c)에는, 6개의 벽부재 중 인접하는 것끼리 대향하는 접합가장자리에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즉, 좌앞벽부재(220c)와 좌뒤벽부재(220e)가 각각의 접합가장자리에서 접합되어 있고, 좌앞벽부재(220c)와 좌뒤벽부재(220e)에 의하여 형성되는 좌벽부재는,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좌벽부재(120c)와 마찬가지로, 앞벽부재(220a) 및 뒤벽부재(220b)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우앞벽부재(220d)와 좌뒤벽부재(220f)가 각각의 접합가장자리에서 접합되어 있고, 우앞벽부재(220d)와 우뒤벽부재(220f)에 의하여 형성되는 우벽부재는,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우벽부재(120d)와 마찬가지로, 앞벽부재(220a) 및 뒤벽부재(220b)에 접합되어 있다.
도 17의 (d)에는, 좌뒤벽부재(220e) 및 우뒤벽부재(220f)가 뒤확장용 바닥부재(210d)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18은, 도 13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의 (a)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200)를 Z방향에서 본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의 (b)는, 도 18의 (a)의 XVIIIb-XVIIIb선 단면도이다.
도 18의 (b)에는, 앞천장부재(210a), 앞확장용 천장부재(210c), 뒤확장용 천장부재(210d), 및 뒤천장부재(210b) 중 인접하는 것끼리 접합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고, 앞바닥부재(230a), 앞확장용 바닥부재(230c), 뒤확장용 바닥부재(230d), 및 뒤바닥부재(230b) 중 인접하는 것끼리 접합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8의 (b)에는, 앞벽부재(220a), 좌앞벽부재(220c), 좌뒤벽부재(220e), 및 뒤벽부재(220b)의 각각이, 4개의 천장부재 중 인접하는 것과 접합되고, 4개의 바닥부재 중 인접하는 것과 접합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실시형태 2의 변형예)
한편, 상술한 실시형태 2의 구조체(200)에서는, 좌우의 벽부재(좌앞벽부재(220c), 좌뒤벽부재(220e), 우앞벽부재(220d), 및 우뒤벽부재(220f))로서, 인접하는 2개의 천장부재 및 인접하는 2개의 바닥부재에 걸치는 사이즈(구조체(200)의 깊이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벽부재를 이용하고 있는데, 실시형태 2의 구조체(200)에 이용되는 횡벽부재(좌우의 벽부재)의 사이즈는, 인접하는 2개의 천장부재 및 인접하는 2개의 바닥부재에 걸치는 사이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9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구조체(200)의 변형예의 구조체(200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의 (a)는, 도 18의 (b)에 나타내는 XVIIIb-XVIIIb선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구조체(200a)의 구조를 나타내며, 도 19의 (b)는, 도 17의 (c)에 나타내는 XVIIc-XVIIc선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구조체(200a)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의 구조체(200a)는, 실시형태 2의 구조체(200)에 있어서, 좌앞벽부재(220c)를 2개의 단척좌벽부재(220c1, 220c2)로 치환하고, 좌뒤벽부재(220e)를 2개의 단척좌벽부재(220e1, 220e2)로 치환하며, 우앞벽부재(220d)를 2개의 단척좌벽부재(220d1, 220d2)로 치환하고, 우뒤벽부재(220f)를 2개의 단척좌벽부재(220f1, 220f2)로 치환한 것이다.
여기에서, 2개의 단척좌벽부재(220c1, 220c2)는, 실시형태 2의 구조체(200)에 있어서의 좌앞벽부재(220c)를 2분할하여 얻어진 것이다. 2개의 단척좌벽부재(220e1, 2220e2)는, 실시형태 2의 구조체(200)에 있어서의 좌뒤벽부재(220e)를 2분할하여 얻어진 것이다. 2개의 단척좌벽부재(120d1, 120d2)는, 실시형태 2의 구조체(200)에 있어서의 우앞벽부재(220d)를 2분할하여 얻어진 것이다. 2개의 단척좌벽부재(120f1, 120f2)는, 실시형태 2의 구조체(200)에 있어서의 우앞벽부재(220f)를 2분할하여 얻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조체(200)의 측면에 위치하는 벽부재의 사이즈(구조체의 깊이방향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구조체(200)에 있어서의 확장 사이즈를 미세한 치수 단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벽부재의 사이즈를 갖출 수도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벽부재의 취급이 용이해져, 운반 효율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의 구조체(200)의 조립방법은,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의 조립방법과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우선, 앞바닥부재(230a)와 뒤바닥부재(230b)와의 사이에 확장용 바닥부재(230c, 230d)를 배치하여 이들을 접합함으로써 구조체(200)의 바닥부분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바닥부분 상에 앞벽부재(220a) 및 뒤벽부재(220b)를 배치하여 앞바닥부재(230a) 및 뒤바닥부재(230b)와 접합하고, 더욱이, 바닥부분 상에 좌앞벽부재(220c), 좌뒤벽부재(220e), 우앞벽부재(220d), 우뒤벽부재(220f)를 배치하며, 각각, 4개의 바닥부재 중 대응하는 바닥부재에 접합하는 동시에, 바닥부재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6개의 벽부재 중 인접하는 것끼리 접합한다.
그 후, 4개의 천장부재를 벽부재 상에 배치하여 각각, 6개의 벽부재 중 대향하는 것에 접합하는 동시에, 4개의 천장부재의 인접하는 것끼리 접합한다. 이러한 부재의 접합에는, 대향하는 접합가장자리의 한 쪽에 형성된 선형상 돌기와 대향하는 접합가장자리의 다른 쪽에 형성된 선형상 홈과의 감합 및 접착제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의 확장구조체(200)에서는, 실시형태 1의 구조체(100)의 효과에 더하여, 확장용 천장부재(210c, 210d) 및 확장용 바닥부재(230c, 230d)를 이용하여 깊이방향의 사이즈를 자유롭게, 예를 들어, 이론 상으로는 몇 십 미터에 걸쳐서도 확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구조체(100)를 복수 연결한 것과 비교하여, 구획이 없는 넓은 내부공간이 존재하는 긴 건물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확장형이 아닌 구조체(비확장형 구조체)(100)와 실시형태 2의 확장형의 구조체(200)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용도의 주거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0은, 복수의 비확장형 구조체(100)와 복수의 확장형 구조체(200)를 조합하여 얻어지는 구조체의 레이아웃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복수의 비확장형 구조체와 복수의 확장형 구조체를 안벽에 계류한 잔교의 양측에 배치하여 리조트 시설로서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장구조체(200)와 복수의 비확장형 구조체(100)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비확장형 구조체(100)를 연결하는 주거공간을 확장구조체(200)로 형성할 수 있고, 구조체(100)로 실현할 수 있는 주거공간의 레이아웃을 확장할 수 있으며, 구조체(100)를 이용한 주거공간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비확장형 구조체와 복수의 확장형 구조체를, 안벽에 계류한 잔교의 양측에 배치하여 리조트 시설로서 이용하는 경우, 이용객의 인수에 따라서 숙박시설로서의 규모를, 비확장형 구조체에 의하여 제공되는 소수 타입의 시설과, 확장형 구조체에 의하여 제공되는 다수 타입의 시설에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예에서는, 구조체를 주거목적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설명하였는데, 구조체의 용도는 주거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조체를 방재용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구조체가 수상 부유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수해시에, 수몰되기 어려운 피난시설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로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에 따라서만 그 범위가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이해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재 및 기술상식에 근거하여 등가 범위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용한 문헌은, 그 내용 자체가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대한 참고로서 원용되어야 하는 것이 이해된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발포폴리스티렌제의 부재를 조립함으로써 구조체를 제작하였다. 구조체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2개의 천장부재와, 4개의 벽부재와, 2개의 바닥부재를 이용하였다. 바닥부재로서, 요벽을 가지는 바닥부재를 이용하였다. 각 부재의 접합부는,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였다. 조립한 후, 전체를 우레탄 수지재료로 코팅하였다.
제작된 구조체는, 바닥면적이 약 2.5m×약 4.5m이고, 높이가 약 2.6m이며, 중량이 약 500kg이고, 이에 따라, 구조체 내부에, 사람이 들어가는 공간이 형성되었다. 작성된 구조체의 바닥면적과 구조체의 자중과의 비는, 바닥면적(m2):자중(kg)=약 1:45이었다.
제작된 구조체를 수상에 띄우고, 실제로 사람이 안에 들어가면, 성인 4명이 들어가도, 물이 침입하는 일도, 침몰하는 일도 없으며, 여유롭게 수상에 부유하고 있었다.
도 22는, 제작된 구조체를 실제로 수상에 띄웠을 때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22의 (a)는, 제작된 구조체의 외관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22의 (b)는, 제작된 구조체의 출입구 부근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22의 (c)는, 제작된 구조체의 바닥 부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작된 구조체에서는, 출입구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구의 일부가 둑에 의하여 막혔다. 둑 역시 발포재료로 제작되었다.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구조체로서, 수상 부유 가능한 구조체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유용하다.
10, 30: 출입구
11a, 11b, 12b, 13a, 13b, 14a, 14b, 22a~22d, 23c, 23d, 24c, 24d, 32a, 62c: 선형상 홈(선형상 오목부)
12a, 21a~21d, 23a, 23b, 24a, 24b, 31a, 31b, 32b, 33a, 33b, 34a, 34b, 42b, 61c: 선형상 돌기(선형상 볼록부)
20: 창부
40: 통기구
100, 100a, 100b, 200, 200a: 구조체
110a, 210a: 앞천장부재(제1 천장부재)
110b, 210b: 뒤천장부재(제2 천장부재)
111a, 111b, 121a~121d, 131a, 131b: 제1 접합가장자리
112a, 112b, 122a~122d, 132a, 132b: 제2 접합가장자리
113a, 113b, 123a~123d, 133a, 133b: 제3 접합가장자리
114a, 114b, 124a~124d, 134a, 134b: 제4 접합가장자리
120a, 220a: 앞벽부재(제1 벽부재)
120a1: 앞벽부재좌편
120a2: 앞벽부재우편
120b, 220b: 뒤벽부재(제2 벽부재)
120c: 좌벽부재(제3 벽부재)
120c1, 120c2, 220c1, 220c2, 220e1, 220e2: 단척좌벽부재
120d: 우벽부재(제4 벽부재)
120d1, 120d2, 220d1, 220d2, 220f1, 220f2: 단척우벽부재
130a, 230a: 앞바닥부재(제1 바닥부재)
130b, 230b: 뒤바닥부재(제2 바닥부재)
130c, 130d: 바닥부재
210c, 210d: 확장용 천장부재
220c: 좌앞벽부재
220d: 좌뒤벽부재
220d: 우앞벽부재
220f: 우뒤벽부재
230c, 230d: 확장용 바닥부재

Claims (18)

  1. 구조체로서,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와,
    적어도 4개의 벽부재와,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은,
    상기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에 접합된 제1 접합가장자리와,
    상기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에 접합된 제2 접합가장자리와,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 중,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1개에 접합된 제3 접합가장자리와,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 중,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다른 1개에 접합된 제4 접합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 및 상기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의 각각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는, 제1 천장부재 및 제2 천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천장부재 및 상기 제2 천장부재는 각각, 제1 접합가장자리, 제2 접합가장자리, 제3 접합가장자리 및 제4 접합가장자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는, 제1 벽부재, 제2 벽부재, 제3 벽부재, 및 제4 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는, 제1 바닥부재 및 제2 바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닥부재 및 상기 제2 바닥부재는 각각, 제1 접합가장자리, 제2 접합가장자리, 제3 접합가장자리 및 제4 접합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1 천장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며, 상기 제1 벽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1 바닥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고, 상기 제1 벽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3 벽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며, 상기 제1 벽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4 벽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고,
    상기 제2 벽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2 천장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며, 상기 제2 벽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2 바닥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고, 상기 제2 벽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4 벽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고, 상기 제2 벽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3 벽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며,
    상기 제3 벽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1 천장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 및 상기 제2 천장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고, 상기 제3 벽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1 바닥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 및 상기 제2 바닥부재의 상기 제3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며,
    상기 제4 벽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1 천장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 및 상기 제2 천장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고, 상기 제4 벽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1 바닥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 및 상기 제2 바닥부재의 상기 제4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며,
    상기 제1 천장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2 천장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고,
    상기 제1 바닥부재의 상기 제2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제2 바닥부재의 상기 제1 접합가장자리에 접합되어 있는, 구조체.
  3. 확장 가능 구조체로서,
    복수의 천장부재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와,
    복수의 벽부재와,
    복수의 바닥부재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가 상기 복수의 천장부재 중 2개 사이에 접합됨으로써, 확장된 천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가 상기 복수의 바닥부재 중 2개 사이에 접합됨으로써, 확장된 바닥부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된 천장부는, 상기 복수의 벽부재에 의하여, 상기 확장된 바닥부에 접합되며,
    각 부재는,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닥부재의 각각은,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바닥부재의 각각은, 상기 4개의 접합가장자리 중 3개가 상기 복수의 벽부재에 접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의 각각은,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의 각각은, 상기 4개의 접합가장자리 중 2개가 상기 복수의 벽부재에 접합되는 형상을 가지는, 구조체.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천장부재의 각각은,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천장부재의 각각은, 상기 4개의 접합가장자리 중 3개가 상기 복수의 벽부재에 접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의 각각은,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의 각각은, 상기 4개의 접합가장자리 중 2개가 상기 복수의 벽부재에 접합되는 형상을 가지는, 구조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바닥면적(m2)과 상기 구조체의 자중(kg)과의 비는, 1:30~1:80인, 구조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팅을 더 구비하고, 상기 코팅은, 적어도, 상기 구조체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부재의 각각의 접합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상기 구조체의 외표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조체.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부재의 각각은, 각각을 덮는 코팅을 구비하는, 구조체.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재료는, 적어도 방수성을 가지는, 구조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구조체의 바닥을 구성하는 제1 부분과, 상기 구조체의 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일체 성형되어 있는, 구조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제1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천장부재와, 상기 벽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구조체.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제2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천장부재와, 상기 벽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구조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구조체의 상기 바닥부재의 외측에 외부의 덱을 구성하는 외부용 바닥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외부용 바닥부재는, 상기 바닥부재에 접합되어 있는, 구조체.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부재는, 제1 발포배율을 가지는 제1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부재는, 제2 발포배율을 가지는 제2 발포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재는, 제3 발포배율을 가지는 제3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발포배율은, 상기 제1 발포배율 및 상기 제2 발포배율보다 작은, 구조체.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는, 발포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구조체.
  17. 구조체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와, 적어도 4개의 벽부재와,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각 부재는,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를 상기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와 상기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에 접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은, 적어도 4개의 접합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4개의 접합가장자리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천장부재에 접합된 제1 접합가장자리와, 상기 적어도 1개의 바닥부재에 접합된 제2 접합가장자리와,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 중,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1개에 접합된 제3 접합가장자리와,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 중, 상기 적어도 4개의 벽부재의 각각에 인접하는 다른 1개에 접합된 제4 접합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것과,
    적어도, 접합된 각 부재의 접합부를 덮도록 코팅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8. 구조체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천장부재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와, 복수의 벽부재와, 복수의 바닥부재와,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각 부재는,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천장부재를 상기 복수의 천장부재 중 2개 사이에 접합함으로써, 확장된 천장부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적어도 1개의 확장용 바닥부재를 상기 복수의 바닥부재 중 2개 사이에 접합함으로써, 확장된 바닥부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복수의 벽부재를 상기 확장된 천장부 및 바닥부에 접합하는 것과,
    적어도, 접합된 각 부재의 접합부를 덮도록 코팅을 실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15785A 2020-10-27 2021-10-27 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KR202300919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79682A JP6887187B1 (ja) 2020-10-27 2020-10-27 構造体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JP-P-2020-179682 2020-10-27
PCT/JP2021/039676 WO2022092157A1 (ja) 2020-10-27 2021-10-27 構造体およびその作製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922A true KR20230091922A (ko) 2023-06-23

Family

ID=7631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785A KR20230091922A (ko) 2020-10-27 2021-10-27 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399839A1 (ko)
JP (2) JP6887187B1 (ko)
KR (1) KR20230091922A (ko)
CN (1) CN116507778A (ko)
AU (1) AU2021371528A1 (ko)
CA (1) CA3199949A1 (ko)
TW (1) TW202221203A (ko)
WO (1) WO2022092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99840A1 (en) * 2022-06-08 2023-12-14 Jupe, Inc. Modular Building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633A (ko) 2002-07-08 2004-01-16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루브렌층을 사용한 백색 유기 발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6480A (en) * 1997-06-27 1999-12-28 Rook; John G. Low cost prefabricated housing construction system
CN100441791C (zh) * 2002-07-08 2008-12-10 有限会社日本通商 预制树脂房屋
JP4037375B2 (ja) * 2004-03-24 2008-01-23 有限会社ジャパン通商 樹脂製組立式家屋およびドーム状家屋組立方法
AU2005328856B2 (en) * 2005-03-10 2011-04-21 Yugenkaisha Japan Tsusyo Knock-down house and method of building the same
CN201195590Y (zh) * 2008-03-24 2009-02-18 郭志贵 水上漂浮建筑船舶
JP5787628B2 (ja) * 2011-06-08 2015-09-30 有限会社ジャパン通商 組立式建造物
KR101380202B1 (ko) * 2012-05-02 2014-04-03 정종영 재난시 인명을 구조하는 안전룸 기능을 구비한 재난 안전 건물
JP6065275B2 (ja) * 2013-04-04 2017-01-25 株式会社 ▲高▼▲橋▼監理 浮力室の下方に4本の鎖を介して重りを配置する津波対応浮上式小部屋
KR101682988B1 (ko) * 2016-02-17 2016-12-07 조준호 방재기능을 갖는 가옥구조물
JP2020084553A (ja) * 2018-11-22 2020-06-04 有限会社ジャパン通商 簡易家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633A (ko) 2002-07-08 2004-01-16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루브렌층을 사용한 백색 유기 발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87187B1 (ja) 2021-06-16
CN116507778A (zh) 2023-07-28
US20230399839A1 (en) 2023-12-14
WO2022092157A1 (ja) 2022-05-05
JP2022070560A (ja) 2022-05-13
JP2022070800A (ja) 2022-05-13
CA3199949A1 (en) 2022-05-05
AU2021371528A1 (en) 2023-06-22
TW202221203A (zh)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5835B2 (en) Container for prefabricated transportable buildings
US20090307994A1 (en) Module with moment frame and composite panels for a building structure
US20100050556A1 (en) Panel Structure
EP1763614A1 (en) Modular structures
CA2571631C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assembly and building
US20060201072A1 (en) Building construction
US20230228113A1 (en) Swimming Pool with Composite Wall
US20100005732A1 (en) Building roof structure having a round corner
WO2009125289A2 (en) Straight joint for sandwich panels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KR20230091922A (ko) 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US11846108B2 (en) Convertible shipping container
US8733033B2 (en) Sandwich panel ground anchor and ground preparation for sandwich panel structures
RU2573359C2 (ru) Метод производства усиленного разделяющего элемента и сам элемент
US6330775B1 (en) Prefabricated building wall structure
KR200272975Y1 (ko) 다공법이 혼용된 중력식 안벽구조
WO2009098483A2 (en) Interconnection modules
TR2023004595T2 (tr) Yapi ve i̇malatina i̇li̇şki̇n yöntem
GB2051918A (en) volume-enclosing Structure
JPS59210128A (ja) 地下室構築用ユニツト
US20220259856A1 (en) Wall-Building Element System and Building Element for Use in the System
JP2009013671A (ja) 浮体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WO2024107046A1 (en) Floating and/or floatabl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foundation for a construction on water
OA20444A (en) Wall-building element system and building element for use in the system
Wheeler APPLICATION OF RIGID FOAM TO LIGHTWEIGHT STRUCTURES
Swanson et al. Nuclear blast and fallout she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