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349A -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 Google Patents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349A
KR20230091349A KR1020210180386A KR20210180386A KR20230091349A KR 20230091349 A KR20230091349 A KR 20230091349A KR 1020210180386 A KR1020210180386 A KR 1020210180386A KR 20210180386 A KR20210180386 A KR 20210180386A KR 20230091349 A KR20230091349 A KR 20230091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ope
net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철
김지현
Original Assignee
대일어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일어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일어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0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1349A/ko
Publication of KR2023009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05Net structures, e.g. structural arrangements of net pan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물 또는 로프 간의 결합이 고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에 관한 것으로, 견인로프에 날개그물 및 자루그물이 순차 결합되며, 상기 날개그물은 견인로프 방향으로 그물망의 크기가 순차 커지는 단위날개그물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날개그물과 상기 자루그물 양측변에는 결합로프가 결합된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로프는 상기 단위날개그물과 동일 단위로 분리 형성되고, 각 결합로프의 단부에는 로프고리부가 형성되어 상호 고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RING-LINKED DOUBLED TRAWLNET}
본 발명은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물 또는 로프 간의 결합이 고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에 관한 것이다.
어구란 수산생물을 채취하거나 잡는 데 사용하는 도구를 일컫는 말로서, 어획 대상물을 직접 채포하는 도구만이 아니라, 어획 효율 또는 어로 능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나 기계, 장비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어구 중 저인망(底引網)은 배에 매달아 바닷속을 끌고 다니며 수산물을 쓸어담는 구조의 어망으로서, 저인망을 이용한 어업은 크게 외끌이대형저인망어업과 쌍끌이대형저인망어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외끌이대형저인망어업은 날개그물과 자루그물로 구성되고, 전개판 등 좌우 전개장치를 부착하지 않는 어구를 사용하며 어업허가를 받은 1척의 어선으로 수산동물을 자루그물 속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잡는 어법이다. 그리고, 쌍끌이대형저인망어업은 외끌이대형저인망어업과 같이 날개그물과 자루그물로 구성되고, 전개판 등 좌우 전개장치를 부착하지 않는 어구를 사용하되, 어업허가를 받은 2척의 어선으로 수산동물을 자루그물 속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잡는 어법이다.
종래, 쌍끌이대형저인망어업에 사용되는 어구의 날개그물은 그물망의 크기에 따라 단위날개그물로 구분 형성되고, 자루그물과 함께 하나의 결합로프에 일체 고정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그물 또는 로프를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서는 결합부 전체를 해제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결합로프와 그물을 끈으로 묶거나 서로 묶어 거는 방식으로 제조하였기 때문에 로프와 그물을 묶는 끈의 조임 형태에 따라 조업중에 장력이 미치는 부분에 차이가 발생하여 어구의 전체 길이와 폭이 균형을 유지하지 못한 채 예망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우, 그물 자체의 완전한 전개가 용이하지 않고, 특정부위의 로프와 그물의 손상 및 마모가 심하게 되어 어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물이 완전히 전개되지 못할 경우 어획량이 감소하게 되고, 종래 어구의 결합부분은 이동 자유도가 낮아 물 속에서의 저항이 높으므로 어구를 견인하는 어선의 연비가 낮아져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한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000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95-0008065호(트롤 어구 및 트롤어법) [00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26471호(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결합로프를 로프결합링으로 구획 결합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한 부분만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그물을 지지하고 견인하는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바닷물에서 사용되더라도 노후화가 진행되는 의 빠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물의 전개 시 꼬임을 방지하고, 로프 및 그물 간 마모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견인로프에 날개그물 및 자루그물이 순차 결합되며, 상기 날개그물은 견인로프 방향으로 그물망의 크기가 순차 커지는 단위날개그물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날개그물과 상기 자루그물 양측변에는 결합로프가 결합된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로프는 단위 길이로 분리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는 로프고리부가 형성되어 상호 고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를 본 발명의 요지로 한다.
상기 결합로프는, 상기 단위날개그물 길이로 단위 길이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날개그물과 상기 결합로프를 함께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상기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는, 원착사, 강력PE사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의 상기 단위날개그물은, 상기 결합로프에 결합 시, 맞닿도록 배치되는 접변부에 그물고리부가 형성되어 상호 고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의 상기 단위날개그물은, 맞닿도록 배치되는 상기 두 단위날개그물 사이에 그물로프링이 형성되어, 상기 그물로프링에 상기 그물고리부를 결합시킴으로써 두 단위날개그물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의 상기 그물고리부는, 2개 이상을 결합할 시, 각각 스트랜드의 방향이 반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의 상기 단위날개그물은, 상기 결합로프와 결합되는 양측변에 측변고리부가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결합로프에 끈으로 묶음 결합되되, 상기 측변고리부를 결합시키는 측변로프링이 형성되어, 상기 측변로프링에 상기 측변고리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로프에 상기 단위날개그물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으로 인해,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한 부분만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그물을 지지하고 견인하는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시간 바닷물에서 사용되더라도 색의 빠짐이 최소화될 수 있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그물의 전개 시 그물 또는 로프 간 꼬임을 방지하고, 마모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의 결합로프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의 로프고리부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의 로프고리부 및 결합로프링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의 측변고리부 및 측변로프링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는 2척의 어선과 연결되어 전개되는 어구로서, 견인로프(100)에 날개그물(200) 및 자루그물(400)이 순차 결합되며, 날개그물(200)은 견인로프(100) 방향으로 그물망의 크기가 순차 커지는 단위날개그물(210)로 구분 형성되어 결합된다.
이때, 날개그물(200)과 자루그물(400)의 양측변에는 결합로프(300)가 결합되며, 단위날개그물(210) 간, 단위날개그물(210)과 자루그물(400) 간 결합 또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결합로프(300)는 날개그물(200)과 자루그물(400)이 결합되는 뼈대 역할을 수행하는 로프로서,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견인로프(100)와 연결되어 2척의 어선과 연결된다.
따라서, 어선이 전방으로 전진하면 결합로프(300)에 연결된 날개그물(200)과 자루그물(400)이 이루는 내측 공간부에 수산동물이 유입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의 결합로프(300)는 설정 단위로 구획되어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결합로프(300)의 구획 단위는 단위날개그물(210)과 동일 단위로 형성되어, 그물망의 크기가 변하는 구간마다 결합로프(300)가 구획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로프(300)는 단위날개그물(210) 단위, 자루그물(400) 단위로 구획되되, 자루그물(400)이 결합되는 결합로프(300) 구획을 기준으로 날개그물(200)이 결합되는 결합로프(300)는 대칭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로프(300)의 단부에는 로프고리부(310)가 형성되어 결합로프(300)를 상호 고리결합시킨다.
결합로프(300)는 2줄 이상의 로프로 이루어지는 그물의 뼈대로서, 로프고리부(310)는 결합로프(300)를 이루는 로프의 단부를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여 고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로프의 단부를 고정하는 방식은 묶음, 박음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복수 개의 로프로 이루어지는 결합로프(300)는 일정 구간마다 묶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의 결합로프(300)는 결합로프링(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로프링(320)은 링 형상의 로프로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두 로프고리부(310)가 결합로프링(320)에 고리 결합되어 두 결합로프(300)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결합로프링(320)은 길게 형성된 로프를 작은 원 형상으로 권취하여 고정함으로써 복수 개의 링이 겹쳐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결합로프링(320)에 결합로프(300)가 로프고리부(310)를 통해 고리 결합됨으로써 어구의 특정 구간에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할 시 로프고리부(310)와 결합로프링(320)의 결합을 해제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결합로프(300)에 발생하는 장력을 유지하며 그물을 견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는 원착사, 강력PE사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착사는 그물의 제조 중 원사 제조 단계에서 염착 가공을 수행한 소재로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파라계 아라미드, 폴리에틸렌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원료 및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강력PE사는 폴리에틸렌 수지(PE)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강력PE로 형성되어 고강도, 고탄성, 고기능성의 특성을 구비하며, 그 제조단계 및 원료 중량비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의 단위날개그물(210)은 그물고리부(2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물고리부(211)는 단위날개그물(210)의 전단과 후단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로프(300)에 결합 시 맞닿도록 배치되는 두 단위날개그물(210)의 접변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그물고리부(211)는 단위날개그물(210)을 구성하는 로프 단부를 고리 형상으로 만들어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되며, 로프 단부를 고정하는 방법은 묶음, 박음 등 한정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의 단위날개그물(210)은 그물로프링(2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물로프링(212)은 맞닿도록 배치되는 두 단위날개그물(210) 사이에 배치되어 그물고리부(211)가 결합되는 링 형상의 로프로서, 복수 개의 링이 겹쳐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그물로프링(212)은 길게 형성된 로프를 작은 원 형상으로 권취한 후 고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는 단위날개그물(210) 간 결합 시 일측에 배치된 단위날개그물(210)의 그물고리부(211)와 타측에 배치된 단위날개그물(210)의 그물고리부(211)를 상호 연결하거나, 그물로프링(212)에 그물고리부(211)를 고리 결합하여 단위날개그물(21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도 3과 같이 일측에 배치된 단위날개그물(210)의 그물고리부(211)와 타측에 배치된 단위날개그물(210)의 그물고리부(211)가 각각 2개 이상이 서로 관통 결합될 시, 이웃하게 배치된 로프는 각각 스트랜드 방향이 반대로 배치되어 서로 꼬이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의 단위날개그물(210)은 측변고리부(213) 및 측변로프링(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변고리부(213)는 단위날개그물(210)의 양 측변을 이루는 로프의 단부를 고리 형상으로 고정 형성하여 마련되며, 양 측변에 각각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측변로프링(214)는 링 형상의 로프로서, 일측은 결합로프(300)에 끈으로 묶음 결합되고 링 내측으로 측변고리부(213)가 결합되어 결합로프(300)와 단위날개그물(210)의 양측변을 결합시킨다.
즉, 결합로프(300) 상에 측변로프링(214)이 복수 개 끈으로 묶음 결합되고, 측변로프링(214)에 단위날개그물(210)의 측변고리부(213)가 하나 이상 고리 결합되어 고정된다.
실시예로서, 본 발명인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로프(300)가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되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견인로프(100)에 결합된다. 이때, 결합로프(300)는 단위날개그물(210) 및 자루그물(400) 단위로 구획 형성되어 결합로프링(320)에 의해 결합되며, 결합로프(300)와 단위날개그물(210)의 측변은 측변고리부(213) 및 측변로프링(214)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단위날개그물(210)과 단위날개그물(210), 자루그물(400)은 서로 그물고리부(211) 또는 그물고리부(211)와 그물로프링(212)에 의해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물 또는 로프 간의 결합이 고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 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견인로프
200 : 날개그물
210 : 단위날개그물
211 : 그물고리부
212 : 그물로프링
213 : 측변고리부
214 : 측변로프링
300 : 결합로프
310 : 로프고리부
320 : 결합로프링
400 : 자루그물

Claims (8)

  1. 견인로프(100)에 날개그물(200) 및 자루그물(400)이 순차 결합되며, 상기 날개그물(200)은 견인로프(100) 방향으로 그물망의 크기가 순차 커지는 단위날개그물(210)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날개그물(200)과 상기 자루그물(400) 양측변에는 결합로프(300)가 결합된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로프(300)는 단위 길이로 분리 형성되고, 양측 단부에는 로프고리부(310)가 형성되어 상호 고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로프(300)는,
    상기 단위날개그물(210) 길이로 단위 길이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날개그물(210)과 상기 결합로프(300)를 함께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로프(300)는,
    상기 로프고리부(310)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로프링(3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어구가 전개될 시 상기 결합로프(300)의 이동 자유도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는,
    원착사, 강력PE사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날개그물(210)은,
    상기 결합로프(300)에 결합 시, 맞닿도록 배치되는 접변부에 그물고리부(211)가 형성되어 상호 고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날개그물(210)은,
    맞닿도록 배치되는 상기 두 단위날개그물(210) 사이에 그물로프링(212)이 형성되어, 상기 그물로프링(212)에 상기 그물고리부(211)를 결합시킴으로써 두 단위날개그물(210)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고리부(211)는,
    2개 이상을 결합할 시, 각각 스트랜드의 방향이 반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날개그물(210)은,
    상기 결합로프(300)와 결합되는 양측변에 측변고리부(213)가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결합로프(300)에 끈으로 묶음 결합되되, 상기 측변고리부(213)를 결합시키는 측변로프링(214)이 형성되어,
    상기 측변로프링(214)에 상기 측변고리부(213)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결합로프(300)에 상기 단위날개그물(21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KR1020210180386A 2021-12-16 2021-12-16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KR20230091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386A KR20230091349A (ko) 2021-12-16 2021-12-16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386A KR20230091349A (ko) 2021-12-16 2021-12-16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349A true KR20230091349A (ko) 2023-06-23

Family

ID=8699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386A KR20230091349A (ko) 2021-12-16 2021-12-16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134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065A (ko) 1993-09-24 1995-04-15 김종섭 콘크리트의 믹싱장치 및 그 방법
KR100426471B1 (ko) 2003-08-14 2004-04-17 대한민국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065A (ko) 1993-09-24 1995-04-15 김종섭 콘크리트의 믹싱장치 및 그 방법
KR100426471B1 (ko) 2003-08-14 2004-04-17 대한민국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60656A1 (en) Self-spreading trawls having a high aspect ratio mouth opening
KR100444341B1 (ko) 트롤시스템셀설계및방법
EP2913434B1 (en) A process for forming an eye in a rope end
EP3533325B1 (en) Process for forming a coverbraided ribline
CN103039408B (zh) 内陆大水面中上层水体大型浮游生物调查浮拖网
US20150267347A1 (en) Chafe protected rope and protective cover therefore
CN102619115A (zh) 超高分子量聚乙烯三层平行编绞绳芯防沙锚索
KR20230091349A (ko)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JP3541146B2 (ja) 網仕立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網並びに網の仕立方法
WO2010036381A1 (en) Lower cost, higher efficiency trawl construction
CN106508830B (zh) 一种大型箕状敷网网囊及其扎制方法
KR102528821B1 (ko) 고강도 아이스플라이스를 구비한 트롤 그물용 로프
CN203015664U (zh) 一种拖网网囊出鱼口的结构
CN217936960U (zh) 折叠捕鱼笼
CN102763612A (zh) 节能降耗型大黄鱼养殖用斜方网网箱
RU2048096C1 (ru) Способ выборки речных закидных неводов
RU2815117C1 (ru) Трос для траловых сетей с огоном
CN102085547B (zh) 铜合金斜方网相邻网衣连接方法
CN201243550Y (zh) 一种养殖网箱用防鸟网
US20190062994A1 (en) Process for splicing coverbraided ropes having at least one eye
WO2017045098A1 (zh) 渔具浮子绳
TWM515280U (zh) 漁具浮子繩
JP3040534U (ja) 貝類の吊り養殖用吊りロープ
CN203167846U (zh) 渔网浮标结构
LT5960B (lt) Tralas žuvims gaudy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