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471B1 -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 - Google Patents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471B1
KR100426471B1 KR10-2003-0056500A KR20030056500A KR100426471B1 KR 100426471 B1 KR100426471 B1 KR 100426471B1 KR 20030056500 A KR20030056500 A KR 20030056500A KR 100426471 B1 KR100426471 B1 KR 100426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canvas
bag
line
moxi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531A (ko
Inventor
배봉성
안희춘
김인옥
박성욱
백철인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3-0056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4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74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롤 또는 저인망 어업에 사용되는 자루 모양의 그물 입구를 상하로 벌려주는 역할을 하는 부속구로서 PVC부자 대신에 소형의 개별식 범포를 사용함으로서, 범포에 의한 유체저항으로부터 부력을 발생시켜 각각의 범포가 부자의 역할을 하도록 함과 동시에 다수 개의 소형 범포를 개별식으로 부착하여 어구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어구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자루형 그물을 양망기로부터 풀어내거나 감아들이는 작업 및 자루형 그물을 이용한 조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조업시 발생하는 자루형 그물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범포에 작용하는 부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조업여건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자루형 그물을 운용시킬 수 있도록 한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은, 천장망(11)과 바닥망(11')이 상하로 구비되고 그 양측으로 날개그물(12)이 일체로 연결되어 각각의 그물(11)(11')(12)이 후단부에서 끝자루(13)를 형성하며, 상기 천장망(11)의 선단에 걸쳐 연결된 뜸줄(14)에는 부력재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바닥망(11')의 선단에 걸쳐 연결된 발줄(15)에는 침자(沈子)(17)가 설치된 자루형 그물(10)에 있어서, 상기 뜸줄(14)에 설치되는 부력재는 천장망(11)의 선단에 걸쳐 개별식으로 분할되는 소형 범포(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범포(20)는 그 양끝단이섀클(23)과 고리(24)에 의하여 날개그물(12) 선단의 상부 넷펜던트(5)와 연결되는 범포연결줄(21)과 상기 뜸줄(14)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범포연결줄(21)과 뜸줄(14)의 사이에 설치되는 각각의 범포(20)는 그 몸체의 양측단이 범포연결줄(21)과 뜸줄(14)에 감겨진 상태로 연결구멍(25)을 통하여 범포연결줄(21)과 뜸줄(14)에 일체로 결속되거나, 그 일측단이 뜸줄(14)에 감겨진 상태로 연결구멍(25)을 통하여 뜸줄(14)과 일체로 결속되고, 그 타측단은 각도조정줄(26)에 의하여 범포연결줄(21)과 이격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Bag-net using each kite as buoyant article}
본 발명은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롤 또는 저인망 어업에 사용되는 자루 모양의 그물 입구를 상하로 벌려주는 역할을 하는 부속구로서 PVC부자 대신에 소형의 개별식 범포를 사용함으로서, 범포에 의한 유체저항으로부터 부력을 발생시켜 각각의 범포가 부자의 역할을 하도록 함과 동시에 다수 개의 소형 범포를 개별식으로 부착하여 어구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어구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자루형 그물을 양망기로부터 풀어내거나 감아들이는 작업 및 자루형 그물을 이용한 조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조업시 발생하는 자루형 그물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범포에 작용하는 부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조업여건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자루형 그물을 운용시킬 수 있도록 한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루형 그물을 사용하는 트롤이나 저인망 등의 조업방식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종 어군이 형성된 곳에 자루형 그물(10)을 양망기로부터 풀어내어 선박(1)으로 자루형 그물(10)을 어군측으로 예망하므로서 자루형 그물(10)의 내부로 어군이 포획되어 그 후단부의 끝자루(13)에 갇히도록 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트롤이나 저인망 등의 조업방식에 사용되는 자루형 그물(10)의 경우에는 그 입구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크게 벌려주어야만 보다 많은 어군을 포획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루형 그물(10)의 입구를 좌우로 벌려주기 위하여 트롤 어선의 경우 한 쌍의 전개판(3)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선박(1)으로부터 연장되는 끌줄(2)(Trawl warp)에 상기 전개판(3)이 연결되어 선박(1)의 진행 과정에서 양측 전개판(3)이 일차적으로 좌우로 벌어지게 되고, 이 전개판(3)에 후릿줄(4)(Hand Rope) 및 넷펜던트(5)(Net Pendant)로서 연결된 자루형 그물(10)의 양측 날개그물(12)이 상기 전개판(3)과 함께 좌우로 벌어지게 되므로서 자루형 그물(10)의 입구를 좌우로 벌려줄 수 있게 되며, 저인망 어업의 경우에는 상기 전개판(3)을 사용하는 대신에 두 척의 선박이 자루형 그물(10)의 전방에 해당하는 양쪽 날개그물(12)을 예망하므로서 자루형 그물(10)의 입구가 좌우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전개판(3)을 사용하여 자루형 그물(10)의 입구를 좌우로 벌어지게 함과 동시에 자루형 그물(10)의 입구가 상하 방향으로도 벌어지게 하여야 하는 데,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루형 그물(10)의 상부에 해당하는 천장망(11)의 선단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대형 PVC부자(16)가 뜸줄(14)상에 설치되고, 그 하부의 바닥망(11')에는 바닷물속으로 가라앉도록 침강력을 가지는 침자(17)(沈子)가 발줄(15)상에 설치되어, 선박(1)으로 자루형 그물(10)을 예망하는 과정에서 천장망(11)의 선단부는 대형 PVC부자(16)에 의하여 수면 위로 뜨게 되고, 바닥망(11')의 선단부는 침자(17)에 의하여 물속으로 가라앉게 됨으로서 자루형 그물(10)의 입구가 상하로 벌어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트롤이나 저인망 어업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자루형 그물(10)의 경우에는 그 입구를 상하로 벌려주기 위한 부력재로서 수중에서 항상 일정한 수준의 부력을 얻을 수 있는 대형 PVC부자(16)를 사용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대형 PVC부자(16)는 고강도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chloride) 소재를 사용하여 그 내부가 비어 있는 구(球)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각 PVC부자(16)의 중앙부에 부자(16)를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시키므로서 그 속으로 상기 뜸줄(14)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형 PVC부자(16)는 그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그 무게와 부피 또한 매우 크게 되기 때문에 자루형 그물(10)의 전체적인 제작비용과 무게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선박(1)에 설치된 네트드럼이나 트롤윈치와 같은 각종 양망기를 사용하여 자루형 그물(10)을 양망시킬 경우에도 대형 PVC부자(16)에 의하여 양망작업이 매우 난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양망작업과정에서 자루형 그물(10)과 대형 PVC부자(16)를 함께 감아들임에 따라 PVC부자(16)를 감싸고 있는 그물실(網絲)에 큰 인장력이 작용하여 그물코가 파단되는 등 그물 파손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심이 다소 깊은 곳에서 자루형 그물(10)을 양망할 시 수압 및 양망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PVC부자(16) 자체가 파손되거나 뜸줄(14)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고, 자루형 그물(10) 전체를 수상에서 인양할 경우 PVC부자(16)의 무게와 부피에 의하여 자루형 그물(10)을 다루기가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자루형 그물(10)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단단한 PVC부자(16)에 의하여 조업자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뜸줄(14) 자체에 PVC부자(16)가 미리 관통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 제작된 자루형 그물(10)은 그 제작이나 설계상의 오류 및 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부력을 조절할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PVC부자(16)의 재착탈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대형 PVC부자(16)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장망(11)의 전방 중앙측에 1개의 대형 범포(18)를 일체로 부착시키거나, 양측 날개그물(12)의 전방 상부측에 대형 범포(18')를 각각 부착시킨 다음 범포연결줄(19)을 사용하여 각각의 범포(18')를 연결시키므로서, 자루형 그물(10)이 예망될 때 범포(18)(18')에 작용하는 유체저항으로부터 부력을 발생시켜 천장망(11)의 선단부가 수면위로 뜰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형 범포(18)(18')를 부착시킨 종래의 자루형 그물(10) 또한 대형 PVC부자(16)가 설치된 일반적인 자루형 그물(10)과 마찬가지로 범포(18)(18') 자체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자루형 그물(10)의 양망작업 및 자루형 그물(10)을 이용한 각종 조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양망기로부터 자루형 그물(10)을 풀어낸 초기 시점에서 대형 범포(18)(18')가 유체저항에 의하여 수면의 상부로 뜨게 되는 시점까지 비교적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서 자루형 그물(10) 입구의 신속한 상하 전개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선박(1)이 좌우로 방향을 변경할 때 대형 범포(18)(18')가 부착된 부분을 중심으로 자루형 그물(10)이 쉽게 비틀리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대형 범포(18)(18')가 부착된 부분에서 그물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은 그 입구측을 상하로 벌려주는 역할을 하는 부속구로서 PVC부자 대신에 소형의 개별식 범포를 사용함으로서, 범포에 의한 유체저항으로부터 부력을 발생시켜 각각의 범포가 부자의 역할을 하도록 함과 동시에 다수 개의 소형 범포를 개별식으로 부착하여 어구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어구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자루형 그물을 양망기로부터 풀어내거나 감아들이는 작업 및 자루형 그물을 이용한 조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조업시 발생하는 자루형 그물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범포에 작용하는 부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조업여건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자루형 그물을 운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망과 바닥망이 상하로 구비되고 그 양측으로 날개그물이 일체로 연결되어 각각의 그물이 후단부에서 끝자루를 형성하며, 상기 천장망의 선단에 걸쳐 연결된 뜸줄에는 부력재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바닥망의 선단에 걸쳐 연결된 발줄에는 침자(沈子)가 설치된 자루형 그물에 있어서, 상기 뜸줄에 설치되는 부력재는 천장망의 선단에 걸쳐 개별식으로 분할되는 소형 범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범포는 그 양끝단이 섀클과 고리에 의하여 날개그물 선단의 상부 넷펜던트와 연결되는 범포연결줄과 상기 뜸줄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범포연결줄과 뜸줄의 사이에 설치되는 각각의 범포는 그 몸체의 양측단이 범포연결줄과 뜸줄에 감겨진 상태로 연결구멍을 통하여 범포연결줄과 뜸줄에 일체로 결속되거나, 그 일측단이 뜸줄에 감겨진 상태로 연결구멍을 통하여 뜸줄과 일체로 결속되고, 그 타측단은 각도조정줄에 의하여 범포연결줄과 이격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루형 그물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일반적인 자루형 그물을 나타내는 일부확대 사시도.
도 3의 (가) 및 (나)는 대형범포가 부착된 종래의 자루형 그물을 나타내는 일부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루형 그물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루형 그물을 나타내는 일부확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루형 그물을 나타내는 일부확대 측면도.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루형 그물에 설치되는 범포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루형 그물에 설치된 범포의 작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박 2 : 끌줄 3 : 전개판
4 : 후릿줄 5 : 넷펜던트 10 : 자루형 그물
11 : 천장망 11' : 바닥망 12 : 날개그물
13 : 끝자루 14 : 뜸줄 15 : 발줄
17 : 침자 20 : 범포 21 : 범포연결줄
22 : 소형 PVC부자 23 : 섀클 24 : 고리
25 : 연결구멍 26 : 각도조정줄 B : 부력
D : 유체방향 H : 수평분력 R : 저항력
θ : 경사각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루형 그물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루형 그물을 나타내는 일부확대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루형 그물을 나타내는 일부확대 측면도이고,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루형 그물에 설치되는 범포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루형 그물에 설치된 범포의 작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장망(11)과 바닥망(11')이 상하로 구비되고 그 양측으로 날개그물(12)이 일체로 연결되어 각각의 그물(11)(11')(12)이 후단부에서끝자루(13)를 형성하며, 상기 천장망(11)의 선단에 걸쳐 연결된 뜸줄(14)에는 부력재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바닥망(11')의 선단에 걸쳐 연결된 발줄(15)에는 침자(沈子)(17)가 설치되어 트롤이나 저인망 등에 사용되는 자루형 그물(10)에 있어서, 상기 뜸줄(14)에 설치되는 부력재를 천장망(11)의 선단에 걸쳐 개별식으로 분할되는 다수 개의 소형 범포(20)로 형성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범포(20)(帆布, Canvas)는 날실 또는 씨실에 굵은 번수의 단사(單絲)나 합연사(合撚絲) 또는 평행사를 사용하여 치밀하게 짠 두꺼운 평직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각 소형 범포(20)의 크기와 그 부착 개수는 자루형 그물(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가로변(넓은 쪽)의 폭이 개략 2 ~ 4m, 세로변(좁은 쪽)의 폭이 개략 1 ~ 2m 정도되는 소형 범포(20)를 천장망(11)의 선단에 걸쳐 연결된 뜸줄(14)을 따라 10 ~ 20개 정도로 부착시키는 것이 자루형 그물(10)의 예망시 천장망(11)을 띄울 수 있는 충분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서도 자루형 그물(10)의 전체적인 무게와 그 제작비용을 경감시키는 데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소형 범포(20)는 뜸줄(14)의 전방측에서 뜸줄(14)과 개략 평행하게 설치되는 범포연결줄(21)에 의하여 뜸줄(14)과의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데, 상기 범포연결줄(21)은 그 양끝단에 고정되는 섀클(23)(Shackle) 및 날개그물(12)의 선단에 설치되는 넷펜던트(5) 중 그 상부 넷펜던트(5)에 고정된 고리(24)에 의하여 상부 넷펜던트(5)와 일체로 연결되고, 각각의 소형 범포(20)사이에는 소형 PVC부자(22)가 범포연결줄(21)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범포연결줄(21)을 상부 넷펜던트(5)와 연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섀클(23)(Shackle)은 체인이나 각종 로프의 연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서 연환(連環;연결용 쇠고리)이라고도 하며,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개구부측에 막대볼트를 관통시켜 그 일단에 너트를 체결한 것이고, 상부 넷펜던트(5)에 설치되는 고리(24)는 상부 넷펜던트(5)를 따라 다수 개,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5개 정도가 고정되어 상기 섀클(23)과 고리(24)와의 연결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범포연결줄(21)에 작용하는 장력, 즉 각 소형 범포(20)의 경사각도에 따른 범포(20)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넷펜던트(5)는 종래의 기술내용에서도 언급되어진 바와 같이, 양측 날개그물(12)의 선단에 상하로 연결되어 전개판(3)으로부터 연장되는 후릿줄(4)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전개판(3)에 의하여 양측 날개그물(12)을 좌우로 벌어지게 함과 동시에 자루형 그물(10) 입구의 상하 벌림폭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상부 넷펜던트(5)의 경우는 상기 뜸줄(14)을 연장시켜 넷펜던트(5)로 사용할 수도 있고, 천장망(11)과 날개그물(12)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나 로프를 넷펜던트(5)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후릿줄(4)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날개그물(12)의 상단부에 그 타단이 고정되는 별도의 와이어나 로프를 상부 넷펜던트(5)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범포연결줄(21)에 설치되는 소형 PVC부자(22)는 종래에 사용되는 PVC부자와 동일한 구조 및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대부분의 부력이 각각의 소형 범포(20)에 의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소형 PVC부자(22)는 이를 보조하기 위한 하나의 선택적인 수단으로 적용되는 것으로서, 네트드럼이나 트롤윈치와 같은 양망기로자루형 그물(10)을 감아들일 경우 양망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자루형 그물(10)의 규모에 따라 그 직경이 10∼20cm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소형 PVC부자(22)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며, 종래의 경우와 같이 소형 PVC부자(22)가 범포연결줄(21)에 관통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범포연결줄(21)에 단순히 매단 형태로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소형 범포(20)가 범포연결줄(21)과 뜸줄(14)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은 도 7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범포(20)의 몸체 양측단을 적당한 길이로 접어서 봉재하여 범포연결줄(21)과 뜸줄(14)이 범포(20)의 몸체 양측단으로 통과되도록 한 상태에서 범포(20)의 몸체 양측에 형성된 연결구멍(25)을 통하여 와이어나 로프 등을 결속시키므로서 범포(20)를 범포연결줄(21)과 뜸줄(14)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고, 도 7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범포(20)의 몸체 일측단은 적당한 길이로 접어서 봉재하여 뜸줄(14)이 범포(20)의 몸체 일측단으로 통과되도록 한 상태에서 범포(20)의 몸체 일측에 형성된 연결구멍(25)을 통하여 와이어나 로프 등으로 범포(20)를 뜸줄(14)에 견고하게 결속시키며, 그 타측단은 범포(20)와 범포연결줄(21)의 사이에 한 쌍의 각도조정줄(26)을 견고하게 연결시키므로서 범포(20)와 범포연결줄(21)이 서로 이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소형 범포(20)의 양측단이 범포연결줄(21)과 뜸줄(14)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각 범포(20)의 고정상태를 오랜 기간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바람직하고, 후자의 경우는 상기 섀클(23)과 고리(24)에 의하여 범포연결줄(21)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시키므로서 각각의 소형 범포(20)에 작용하는 부력을 조정하는 것과 병행하여, 상기 각도조정줄(26)의 길이를 조절시키므로서 각 범포(20)에 작용하는 부력을 보다 섬세하게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바람직하며, 상기 범포연결줄(21)과 뜸줄(14)은 큰 저항력에도 파단되거나 늘어나지 않도록 와이어로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의 작용관계를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루형 그물(10)을 도시되지 않은 네트드럼이나 트롤윈치와 같은 양망기에 감아 놓은 상태에서 어군을 포획하기 위하여 양망기로부터 자루형 그물(10)을 풀어내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루형 그물(10)의 경우 소형 범포(20) 및 소형 PVC부자(22)가 부력재로 부착되어 그 무게가 비교적 가볍고 종래의 PVC부자와 같은 대형부속구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자루형 그물(10)이 별다른 장애없이 양망기로부터 원활하게 풀려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루형 그물(10)을 양망기로부터 풀어내면서 선박을 계속 진행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박(1)과 끌줄(2)로 연결된 전개판(3) 및 상기 전개판(3)과 후릿줄(4)로서 연결된 자루형 그물(10)의 날개그물(12)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므로서 자루형 그물(10)의 입구를 좌우로 벌려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자루형 그물(10)의 천장망(11) 선단에 설치된 각각의 소형 범포(20)에 바닷물에 의한 유체저항이 작용하여 범포(20)를 상부로 밀어내는 부력이 발생하므로서 천장망(11)이 수면쪽으로 부상(浮上)되고, 그 하부의바닥망(11')은 침강력을 가지는 침자(17)에 의하여 바닷물속으로 가라앉게 되므로서 자루형 그물(10)의 입구가 상하로도 벌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루형 그물(10)에 의한 어군의 포획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바닷물에 의한 유체저항으로 각각의 범포(20)에 부력이 작용하게 되는 원리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범포연결줄(21)에 의하여 수평면과 일정한 경사각(θ)을 가지게 되는 범포(20)는 선박(1)의 진행에 따라 그 반대되는 유체방향(D)으로 바닷물의 저항을 받게 되는 데, 이러한 저항력(R)은 범포(20)의 전방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 저항력(R)이 범포(20)를 상승시키는 양력으로서의 부력(B)과 범포(20)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수평분력(H)으로 나뉘어지게 되므로서, 상기 부력(B)에 의하여 각각의 소형 범포(20) 및 그 범포(20)가 연결된 천장망(11)의 선단부가 수면으로 부상(浮上)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자루형 그물(10)의 천장망(11)을 수면으로 부상시키기 위한 전체 부력이 각각의 소형 범포(20)에 분산되어 작용하므로서 범포(20) 및 그와 연결된 자루형 그물(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소형의 PVC부자(22)를 범포(20)에 추가로 부착할 경우, 각각의 소형 범포(20)가 해당 부력에 의하여 빠르게 부상하므로서 양망기에 의한 자루형 그물(10)의 투망 초기시점부터 자루형 그물(10)의 입구가 전체적으로 벌어지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어군의 방향을 따라 선박(1)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더라도 각각의 소형 범포(20)에 의하여 자루형 그물(10)이 선박(1)의 진행방향을 따라 뒤틀림이 없이 용이하게 예망되므로서 보다 빠른 시간안에 많은 양의 어군을 포획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루형 그물(10)을 사용하여 요구하는 조업을 원활하게 수행한 다음, 도시되지 않은 네트드럼이나 트롤윈치와 같은 양망기로 자루형 그물(10)을 감아들이게 되면, 소형 범포(20) 및 소형 PVC부자(22)가 자루형 그물(10)과 함께 양망기에 용이하게 감겨들어갈 뿐만 아니라, 자루형 그물(10)을 이루는 그물실(網絲)에 큰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부속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양망작업시 그물코가 파단되는 것과 같은 그물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며, 자루형 그물(10) 전체를 수상에서 인양할 경우에도 자루형 그물(10)을 매우 용이하게 다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PVC부자를 설치하였던 종래의 자루형 그물에 비하여 조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변화되는 조업여건에 맞추어 자루형 그물(10)에 작용하는 부력을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범포연결줄(21)의 양끝단에 설치된 섀클(23)을 상부 넷펜던트(5)를 따라 고정된 다수 개의 고리(24) 중 해당하는 고리(24)에 연결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요구하는 부력, 다시 말해서 바닷물에 대한 범포(20)의 경사각을 조절시킬 수 있게 되며, 보다 더 섬세한 부력의 조정이 요구될 경우에는 상기 범포연결줄(21)의 조절작업과 병행하여 각각의 범포(20)에 설치된 각도조정줄(26)의 길이를 조절하면 되기 때문에, 변화되는 조업여건에 맞추어 자루형 그물(10)을 매우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은,그 입구를 상하로 벌려주는 역할을 하는 부속구로서 PVC부자 대신에 소형의 개별식 범포를 사용하므로서, 범포에 의한 유체저항으로부터 부력을 발생시켜 각각의 범포가 부자의 역할을 하도록 함과 동시에 다수 개의 소형 범포를 개별식으로 부착하여 어구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어구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자루형 그물을 양망기로부터 풀어내거나 감아들이는 작업 및 자루형 그물을 이용한 조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조업시 발생하는 자루형 그물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범포에 작용하는 부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조업여건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자루형 그물을 효율적으로 운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천장망(11)과 바닥망(11')이 상하로 구비되고 그 양측으로 날개그물(12)이 일체로 연결되어 각각의 그물(11)(11')(12)이 후단부에서 끝자루(13)를 형성하며, 상기 천장망(11)의 선단에 걸쳐 연결된 뜸줄(14)에는 부력재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바닥망(11')의 선단에 걸쳐 연결된 발줄(15)에는 침자(沈子)(17)가 설치된 자루형 그물(10)에 있어서,
    상기 뜸줄(14)에 설치되는 부력재는 천장망(11)의 선단에 걸쳐 개별식으로 분할되는 소형 범포(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범포(20)는 그 양끝단이 섀클(23)과 고리(24)에 의하여 날개그물(12) 선단의 상부 넷펜던트(5)와 연결되는 범포연결줄(21)과 상기 뜸줄(14)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범포연결줄(21)과 뜸줄(14)의 사이에 설치되는 각각의 범포(20)는 그 몸체의 양측단이 범포연결줄(21)과 뜸줄(14)에 감겨진 상태로 연결구멍(25)을 통하여 범포연결줄(21)과 뜸줄(14)에 일체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범포연결줄(21)과 뜸줄(14)의 사이에 설치되는 각각의 범포(20)는 그 일측단이 뜸줄(14)에 감겨진 상태로 연결구멍(25)을 통하여 뜸줄(14)과 일체로 결속되고, 그 타측단은 각도조정줄(26)에 의하여범포연결줄(21)과 이격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
KR10-2003-0056500A 2003-08-14 2003-08-14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 KR100426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500A KR100426471B1 (ko) 2003-08-14 2003-08-14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500A KR100426471B1 (ko) 2003-08-14 2003-08-14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531A KR20030074531A (ko) 2003-09-19
KR100426471B1 true KR100426471B1 (ko) 2004-04-17

Family

ID=3222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500A KR100426471B1 (ko) 2003-08-14 2003-08-14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4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01B1 (ko) 2010-02-11 2010-10-13 차혜진 범포식 어류 포획용 어망
KR20230091349A (ko) 2021-12-16 2023-06-23 대일어망 주식회사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5907B (zh) * 2013-03-05 2014-12-10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捕捞野生银鲳苗活体的推网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01B1 (ko) 2010-02-11 2010-10-13 차혜진 범포식 어류 포획용 어망
CN102165940A (zh) * 2010-02-11 2011-08-31 车慧真 帆布式捕鱼用鱼网
KR20230091349A (ko) 2021-12-16 2023-06-23 대일어망 주식회사 고리 결합식 쌍끌이 대형 저인망 어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531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1472B2 (ja) トロール漁具およびトロール漁法
TW512051B (en) Twist closure drop fishing net
CN108502113B (zh) 一种捕鱼系统
KR100936233B1 (ko) 저층 및 중층에 모두 사용가능한 트롤 및 그 방법
KR100426471B1 (ko) 개별식 범포를 부력재로 사용한 자루형 그물
KR200477929Y1 (ko) 가름대의 보호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가름대구조물
NO143027B (no) Fremgangsmaate for hindring av polymeroppbygging ved fremstilling av vinylkloridpolymerer
KR101707936B1 (ko) 무게 분산형 암해가 장착된 안강망 어구
KR101599232B1 (ko) 자망 구조
KR101816248B1 (ko) 연료절감형 권현망어구
JP3084117B2 (ja) 拡網体および拡網体を用いたトロール漁具
US1480192A (en) Bowlder dredge
US3018581A (en) Trawl lines
US2310702A (en) Purse seine
KR20220002524U (ko) 회전식 자동 조획장치
WO2003071035A1 (en) Oil spill containment boom
DE19928792A1 (de) Schlauchboot, insbesondere Rettungsinsel
CN206165540U (zh) 一种大型箕状敷网网囊
US50623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boats
JP6371677B2 (ja) フカセ釣りの為の船体安定方法
CN108590560A (zh) 一种长观孔测绳打捞装置及打捞方法
KR102152316B1 (ko)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
KR100211910B1 (ko) 시 안카 본체 제조방법
JP5667458B2 (ja) 中層浮魚礁設備
JP4422869B2 (ja) シーアンカー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