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316B1 -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 - Google Patents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316B1
KR102152316B1 KR1020200036288A KR20200036288A KR102152316B1 KR 102152316 B1 KR102152316 B1 KR 102152316B1 KR 1020200036288 A KR1020200036288 A KR 1020200036288A KR 20200036288 A KR20200036288 A KR 20200036288A KR 102152316 B1 KR102152316 B1 KR 102152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wing
gear
line
tra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혜
권대현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3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해양에서 이동하고 사이드 또는 선미에서 그물의 수거가 가능한 선체; 상기 선체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끌줄; 상기 끌줄과 연결되는 전개판과; 상기 전개판과 앞 끝에 연결한 후 타 끝에는 자루형상의 그물 좌우 앞 끝에 연결되는 후릿줄과; 상기 후릿줄과 연결되어 해저의 골재를 채취되며 몸통그물과 끝자루를 포함하는 그물감으로 이루어지는 암반용 저층트롤어구를 제공함으로써, 골재채취해역의 급격한 암반지형에 타이어부가 바퀴처럼 굴러서 지나가게 트롤어구가 예인됨으로 트롤어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다양한 암반지형에서 발생하는 어구가 파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Bottom trawl net for rocky sea area}
본 발명은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에 관한 것으로, 골재채취 지역에서 골재 채취에 따른 해저 높낮이 차가 큰 해저 지형에서도 보다 일정한 예인이 가능하도록 타이어부가 설치되어 어구 손상 및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한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에 관한 것이다.
저층트롤어구는 함입어구류 중에서도 어획 성능이 매우 높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조나 규모 등이 매우 다양하다. 트롤 어법은 어선이 트롤 어구를 끌어서 어획함으로 어구의 효율성을 검토하기 위해 선박의 추력과 어구 저항과의 관계가 확인되어야 한다.
특히, 저층트롤어구는 해저에 서식하는 수족을 어획할 목적으로 항시 해저를 소해하면서 예인되기 때문에, 예인 도중에 해저와의 마찰을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뻘을 뜨거나 장애물에 걸리는 등의 사고가 많다. 또한, 예인 중에 유수저항을 크게 받기 때문에 그물 각부가 파단하거나 피로를 일으키기 쉬우며 어구의 규모가 어선의 예망력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관계 조정도 어렵다.
통상적인 저층트롤어구의 구조는 자루형상의 그물 좌우 앞 끝에서 각기 한 가닥씩의 기다란 후릿줄을 내고 그 앞 끝에 전개판을 연결한 후 다시 기다란 끌줄이 연결되는 구조로 끌줄을 선체와 연결되어 선체의 이동에 따라 예인이 이루어진다. 그물의 구조는 폭 방향으로 배열된 그물감의 수에 따라 2폭 그물, 4폭 그물, 6폭 그물, 8폭 그물, 10폭 그물 및 12폭 그물저의 6가지로 나누어진다. 2폭 그물은 제작과 수리가 가장 간편하고 4폭 그물은 그 다음으로 간편하나 이들 그물의 뜸의 효과나 망고에서 6폭 그물에 크게 뒤지므로 극히 보통의 저서 어류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모두 6폭 그물로 설계된다.
명태, 쥐치 등의 뜬 고기를 주 대상으로 할 경우는 8폭 이상의 그물을 이용하고 이때 8폭에서 12폭으로 그물 폭수가 많아짐에 따라 그물의 규모, 망고 등이 커져 그로인한 기관의 마력도 커져야 하므로 이들 그물로 설계할 때는 어군의 밀도, 어업의 경제성 등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저층트롤을 구성하는 밧줄류에는 끌줄, 후릿줄, 그물 목줄, 뜸줄, 발줄, 날개 힘줄, 자루 힘줄, 끝자루 힘줄 등이 있다. 저층트롤 어구를 설계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취급하는 부속구에는 뜸과 발돌 및 전개판이 있는데, 이들 중 뜸과 발돌은 그물에 부력과 침강력을 부여함으로써 그물을 상하로 전개시키기 위한 것들이고 전개판은 그것이 가지는 전개력으로 그물을 좌우로 전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발줄은 반드시 해저에 접촉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접촉력도 적합해야 한다. 통상적인 발돌은 소형 어구의 경우는 보빈 등의 발돌을 사용하지 않고 헌 그물감을 발줄에 감아 말은 뒤에 가는 밧줄로 동여매어 구성하나, 대부분의 어구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 타이어 프레스, 철구, 철 체인, 화이어 클립 등을 함께 발줄에 끼워 구성한다. 이 경우 가장 많이 소요되는 것은 보빈인데 그 재료는 과거에는 나무였으나, 현재에는 거의 합성고무로 바뀌었다.
발줄에 부착되는 발돌의 총수는 발줄에 가해지는 침강력의 크기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 침강력은 해저를 향하여 수직으로 작용하는 데 비해 그물에 가해지는 유수저항은 발줄을 들어올리려고 하기 때문에 발줄의 하향력은 그것에 가해지는 총 침강력에서 그물의 유수저항으로 인한 상향력을 뺀 값으로 주어진다.
하나의 어구가 설계 및 구성되면 발줄에서의 침강력은 어떤 일정치로 고정되어 버리는 데 그물의 유수저항은 예망 속도에 따라 수시로 그 값이 변화하기 때문에, 유수 저항에 대한 침강력의 비는 예망 속도에 따라 수시로 변하게 된다.
한편, 골재란 하천, 산림, 공유수면이나 그 밖의 지상 및 치하 등 자연상태에 부존하는 암석, 모래 또는 자갈로서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재료 또는 그 밖에 건설 공사의 기초재료로 쓰이는 것을 지칭한다. 대규모 국가사업 및 건설 경기 호황에 따라 매년 골재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반면, 자원 부존도나 공급구조상 확대가 곤란하여 바다 모래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여 최근에는 EEZ에서 채취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골재채취해역에서는 해저지형이 굴곡이 심하게 형성되고 해저암반이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지형은 평탄한 지형도 있으나 굴곡이 심한 해저에서 저층트롤 어구를 운용하는 경우 해저지형에 따라 마찰력이 변화 및 그물의 유수저항 및 선박의 예인력도 변화하게 되어 심화되면 어구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실선 시험에 의한 저층트롤 어구에 관한 연구-II -어구의 수중 형태에 관한 논문(조봉곤 외 1명, 한국어업기술학회지. vol 36, 2000년, 281-286pp.)이 게재되어 있으나 끌줄의 길이에 따라 저항 차를 확인한 것이지 본 발명의 그물구조의 구성을 달리하여 저항차를 조절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는 차이가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3164호에는 그물은 저층에 그리고 전개판은 해저의 중층에 위치하도록 전개판을 경량재로 구성하고 그물의 상부 등판 앞끝에 부착시킨 천정망을 하부 밑판 앞끝 보다 약 20m 정도 튀어나오게 구성하므로서 고속 예망시 경량의 전개판이 들리게 됨에 따라 그물의 상부 천정망이 들려 망고가 크게 전개되도록 하여 어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한 개량 트롤 어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798454호에는 망고(網高)보다 망폭(網幅)이 상대적으로 더 길어지게 형성되는 망구(網口); 상기 망구와 연결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구간별로 그물코의 형상이 다르게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간에는 그물코의 형상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영역이 형성되는 연결망; 및, 상기 연결망과 연결되어 연결망을 통해 포획되는 어류를 포집하는 포집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롤망에 관하여 게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936233호에는 심해의 환경에 따라 그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물의 높이 조절장치를 그물에 설치하거나 혹은 그물을 전개하는 전개장치에 설치하는 것으로, 높이 조절장치는 유속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압에 의하여 상방으로 뜨거나 하방으로 가라앉는 높이 조절키와, 높이 조절키의 상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고 높이 조절키의 상단 모서리 혹은 하단 모서리를 잡아 끌어줌으로써 높이 조절키를 제어하는 조절수단과, 높이 조절키의 진행 방향으로 그물을 유인하는 견인 로프로 구성되는 저층 및 중층에 모두 사용가능한 트롤 및 그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97804호는 어선의 선미로부터 연장되고 줄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와프; 상기 와프에 각각 결합되어 수중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전개판; 상기 전개판으로부터 연장되는 로프부; 상부망과 하부망이 상하로 구비되고 측면망이 좌우로 구비되어 상기 로프부와 연결되는 망구를 형성하고, 상기 망구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그물형상의 어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망, 하부망 및 측면망은 상기 로프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망구를 통해 포획된 어류를 포집하는 포집부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그물코는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표층 조업용 트롤 어구에 관하여 개시하고있다.
본 발명은 그물망 구조에 관한 구성 및 해저층의 표면 구조를 고려한 구조의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를 제공함으로써 해저의 높낮이가 달라 발돌이 해저지형에 따라 마찰력이 달라짐에 따라 그물의 유수저항 및 선박의 예인력도 변화하게 되어 어구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는 해양에서 이동하고 사이드 또는 선미에서 그물의 수거가 가능한 선체; 상기 선체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끌줄; 상기 끌줄과 연결되는 전개판과; 상기 전개판과 앞 끝에 연결한 후 타 끝에는 자루형상의 그물 좌우 앞 끝에 연결되는 후릿줄과; 상기 후릿줄과 연결되어 해저의 골재를 채취되며 몸통그물과 끝자루를 포함하는 그물감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몸통그물은 밑날개, 윗날개, 날개 삼각망, 자루 삼각망, 천정망, 자루등판, 자루옆판, 자루밑판, 밑판 삼각망을 포함하고, 끝자루는 끝자루밑판, 끝자루 옆판, 끝자루 등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밑날개와 자루밑판에는 발줄이 연결되고 발줄은 센터발줄과 상기 센터발줄에서 여러 가닥의 연결체인이 설치되며, 상기 그물감과 연결되는 보조발줄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발줄에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부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몸통 그물의 밑날개, 자루밑판, 밑판 삼각망은 PEUC 네트(Polyethylene Ultra Cross Netting)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는 골재채취해역 급격한 암반지형에 타이어부가 바퀴처럼 굴러서 지나가게 트롤어구가 예인됨으로 트롤어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다양한 암반지형에서 발생하는 어구가 파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기존 저층트롤어구의 발돌부를 나타낸다.
도 2는 골재채취가 실시되는 국내 해역 해저지형 양상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그물감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그물감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타이어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타이어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발줄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부 발줄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 발줄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뜸줄을 나타낸다.
도 1은 기존 저층트롤 어구의 발돌부를 나타내고, 도 2는 저층트롤어구가 운용되는 암반해역의 해저지형 양상을 나타낸다. 통상적인 발돌은 소형 어구의 경우, 보빈 등의 발돌을 사용하지 않고 헌 그물감을 발줄에 감아 말은 뒤에 가는 밧줄로 동여매어 구성하나, 대부분의 저층트롤 어구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 타이어 프레스, 철구, 철 체인, 화이어 클립 등을 함께 발줄에 끼워 구성한다.
이때 암반 해역의 해저에 접촉하여 이동하므로 접촉력도 적합해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수산자원 채집이 실시되는 국내 해역의 해저는 평탄한 곳뿐만 아니라 도 2와 같이 그물 어구를 운용하기에 부적합한 다양한 양상을 보이게 된다. 이와같이 해저지형의 높낮이가 다르거나 표면 강도가 높고 마찰이 심하며, 급격한 경사를 갖는 곳에서의 저층트롤을 운용하는 경우 암반 등에 그물이 걸려 어구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와 관련한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는 바다 해상에서 이동하고 사이드 또는 선미에서 그물의 수거가 가능한 선체; 상기 선체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끌줄(10); 상기 끌줄과 연결되는 전개판(20)과; 상기 전개판과 앞 끝에 연결한 후 타 끝에는 자루형상의 그물 좌우 앞 끝에 연결되는 후릿줄(30)과; 상기 후릿줄과 연결되어 해저의 수산자원을 포획하는 그물감(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암반용 저층트롤어구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릿줄은 전개판과 목줄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고 날개 앞쪽에서 발줄과 보조발줄을 연장하고 그들을 한데 모아 하부 그물 목줄에 연결시킨 후 그 앞끝을 상부 그물 목줄에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릿줄은 앞끝은 8자형 고리의 한쪽 구멍에 끼운뒤 그 구멍보다 크게 고리를 만들어 헛줄에 연결함으로써 후릿줄이 8자형 고리를 통해 앞쪽으로는 당겨지되 뒤쪽으로는 당겨지지 않도록 하고, 8자형 고리의 다른 쪽 구멍에는 전개판 꼬릿줄을 연결하며, 후릿줄의 뒤끝에는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래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줄부는 전개판, 토잉체인과 토잉샤클 및 목줄 연결용 샤클을 제외한 일체의 속구와 와이어줄로 형성할 수 있다. 와이어줄의 스플라이스 횟수는 5회가 되도록 하고, OB 목줄의 경우, D형 코스 20mm를 양쪽에 끼우고 한 쪽에 2번씩 Swaging(록킹)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를 구성하는 밧줄은 끌줄, 후릿줄, 그물목죽, 뜸줄, 발줄, 날개힘줄, 자루힘줄, 끝자루 힘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날개 힘줄과 자루 힘줄 및 끝자루 힘줄은 날개 그물과 자루그물 및 끝자루 그물의 길이 방향의 봉합선에 부착되는 밧줄들로서 그물감을 보강하면서 그물감에 걸리는 하중을 부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밧줄 중 그물과 선체 사이를 연결하거나 그물 지지하는데 끌줄, 후릿줄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뜸줄, 발줄, 힘줄 등은 그물감의 내부 또는 각각의 변에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뜸줄, 발줄, 힘줄 등은 CPR(compound rope)와 같은 복합 밧줄이나 철사 밧줄로 형성될 수 있고 철사 밧줄로 구성할 경우 섬유 트와인 또는 비닐로 덧감기를 하는 것이 적절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감에 힘줄을 부착하는 방식은 직경 6mm의 땋은 나일론(nylon braided) 그물사를 10cm 간격으로 두 번 돌려 매어 돌려 매는 줄과 힘줄 사이를 통과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힘줄의 앞쪽 끝 4군데에는 master link 19mm(국산, 합금강 재질)를 넣어서 eye-splice하고 Nylon braided 4mm로 고리 (eye)전체를 Serving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을 항치는 방식은 그물을 항치기 위해 잡는 콧수는 4mm, double 그물의 경우 2코씩(5다리), 4mm, single 그물의 경우 4코씩(9다리), 3mm, single 그물의 경우 6코씩(13다리)를 잡아 반 코에 세번씩 돌려서 매어줌과 동시에 매듭을 지어주며 항을 칠 수 있다. 이때 항을 치는 실은 땋은 나일론 그물사(Nylon braided) 4mm를 1가닥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판의 붙이기는 트롤그물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앞쪽 판 반코를 붙이기하며 붙이는 데 사용되는 실은 PE 16가닥으로 이루어진 braided twine을 사용하고 그 굵기는 뒷쪽 판 실의 굵기에 따른다. 옆판에 사용되어지는 붙이기 실은 PE(주황색)이며, 윗판은 PE(백색), 밑판은 PE(흑색)의 실만을 사용한다. 매듭은 반드시 2번 돌려 이중막매듭을 한다.
본 발명의 뜸은 중공형상으로 알루미늄 합금, PE, ABS 중 어누 하나의 재질을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고 뜸줄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뜸은 그물에 작용하는 거대한 유수저항에도 불고하고 소정의 망고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단위 체적당의 부력이 커야하고 해저 깊은 곳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내압성이 커야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뜸은 중앙에 구멍이 있는 국산 270mm A형, 사용수심이 2,000m이고 개당 부력이 4.2kg로 총 부력은 336kg이고 그라운드 침강력에 대비 약 53%인 것을 설치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그물감 전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그물감은 8폭 그물감으로 밑날개(1), 윗날개(2), 날개 삼각망(3), 자루삼각망(4), 천정망(5), 자루등판(6), 자루옆판(7), 자루 밑판(8), 밑판 삼각망(9)을 포함하는 몸통그물(60)과 끝자루밑판(51), 끝자루 옆판(52), 끝자루 등판(53)을 포함하는 끝자루(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끝자루는 내장망의 경우 나이론 직경0.9mm 망목 20mm인 그물감 만을 사용하되 필요한 경우, 본 끝자루와 일체형으로 제작하도록 하고 본망의 길이보다 1m정도 길도록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힘줄에 그물을 부착하는 방식은 도 5와 같이 PP 8연 32mm 힘줄에 20cm 간격으로 뚫어서 Nylon 3연 14mm로된 코걸이줄을 만들어 코걸이줄에 반코마다 Nylon braided 4mm실로 8번 이상 감싸서 매어주고 25cm 간격마다 cross시켜서 돌려 매어 그물감이 밀리는 것을 막아주도록 한다. 밴드로프는 PP 3연 28mm줄을 사용하고 도5와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여 코걸이 줄을 통해서 빠져 나오도록 한다. 자루 힘줄의 양쪽 끝은 Nylon braided실 4mm로 촘촘하게 Serving하고, 몸통 그물과의 연결에는 커플링 CP형 16mm를 사용한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사의 사양을 나타낸다. 상기 몸통그물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재질로 형성되어 denier당 9.5gr의 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그물사의 구성은 땋은(bradided)방식으로 코어부(core)가 빈틈이 없는 형태로 형성되어 저층 작업 실시할 경우, 뻘이나 이물질이 그물사에 침투하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매듭(결절)의 상태는 손으로 움직여 보았을 때 헐거워지지 않도록 열처리를 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물사 사양
직경(mm) 파단강도(kg) 굵기(m/kg)
3.0 200 263
4.0 264 192
5.0 418 130
상기 몸통 그물의 밑날개, 자루밑판, 밑판 삼각망은 PEUC 네트(Polyethylene Ultra Cross Netting)가 형성된다. 이는 후술 할 발줄 및 타이어부가 설치됨에 따라 수류저항을 낮추어 그물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PEUC 네트(Polyethylene Ultra Cross Netting)는 매듭을 갖지 않는 크로스 네팅으로 이루어져 섬유 매듭시 강도의 30 ~ 60 %를 손실하지 않은 고강도를 구성한다. 또한 매듭이 없기 때문에 일반 매듭을 갖는 그물감에 비해 수류 저항이 낮고, 매듭을 만들지 않아 매듭에 사용되는 원료 원료의 50 %를 절감하여 그물 무게가 가법고 매듭 사이의 마찰이 없어 그물의 마모저항이 낮은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EUC 네트는 14mm x 12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물감의 밑날개 및 자루밑판은 발줄(80)이 연결된다. 발줄은 그물 밑판을 해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센터발줄에서 여러 가닥의 연결체인(hanging chain)을 내고 그 상단을 밑날개 및 자루밑판의 그물감에 부착되는 보조발줄(fishing line)에 연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센터발줄에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부가 관통되어 연결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줄(ground rope)의 보조 발줄(fishing line)으로 PP CPR(compound rope) 직경 22mm와 센터 발줄로 wire rope 22mm, G6 x 24FC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타이어부를 나타낸다. 센터발줄에는 하나 이상의 타이어부가 관통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부는 통상적인 합성고무로 직경 60cm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직경은 통상적인 타이어는 비중이 0.22로 1L당 880g의 부력을 받아 수중 중량 증가를 받지 않게 된다.
이에 타이어부 후면의 와이어 및 체인 무게에 의해 저층으로 부착하게 되고 로프는 저층트롤 인망시 여수압력으로 저층에 착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해결하기위한 문제점인 기존의 골재채취해역 급격한 암반지형에 타이어부가 바퀴처럼 굴러서 지나가게 트롤어구가 예인됨으로 트롤 어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발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발줄은 자루밑판 일측에 연결되는 센터부 발줄(81)과 밑날개 일측에 연결되는 날개부 발줄(8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부 발줄을 나타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 발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부 발줄은 4.9미터로 형성되고, 날개부 발줄은 5.7m로 날개부 발줄은 센터부발줄 일단과 연결되는 바닥 날개부 발줄(82a)과 상기 날개부 발줄 타단에는 제1날개부 발줄(82b), 제2날개부 발줄(82c), 제3날개부 발줄(82d)가 일련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뜸줄은 그물감의 날개삼각망과 천정망에 연결된다. 도 11은 뜸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뜸줄은 피피 컴파운드 로프(pp compound rope)재질로 직경은 20mm로 형성될 수 있다. 뜸줄과 상기 그물감과의 연결은 코스(heart course)를 끼워 고리(eye)를 만들고 직경 16mm의 CP형 커플링(coupling)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시 그물에 별도로 PK줄 12mm를 덧대어 항을 치고 40cm로 상기 뜸줄에 nylon braided 실 4mm 두가닥으로 5번 이상 돌려매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통 그물에 부착되어 있는 BL(bolish line)은 뜸줄과 동일한 재질로 그물을 PK줄 12mm에 항을 쳐서 매고 20cm 간격으로 상기 BL nylon braided 실 4mm 두가닥으로 5번 이상 돌려 매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뜸줄과 동일한 그물감에 위치하며 연결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본 발명의 암반용 저층트롤어구를 제공함으로써 저층트롤어구가 사용이 적합하지 않은 뾰족한 암반이 많은 지형 등 해역 지형을 고려하지 않고 어구 파손 없이 안정적인 수산자원 어획이 가능하여 관련 산업인의 이익 제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 밑날개 2: 윗날개
3: 날개 삼각망 4: 자루삼각망
5: 천정망 6: 자루등판,
7: 자루옆판, 8: 자루밑판
9: 밑판 삼각망 10: 끌줄
20: 전개판 30: 후릿줄
40: 그물감 50: 끝자루
51: 끝자루 밑판 52: 끝자루 옆판,
53: 끝자루 등판 60: 몸통그물
80: 발줄 81: 센터부 발줄
82: 날개부 발줄 82a: 바닥 날개부 발줄
82b: 제1날개부 발줄 82c: 제2날개부 발줄
82d: 제3날개부 발줄

Claims (7)

  1. 해양에서 추진력으로 이동되며 사이드 또는 선미에서 양망 가능한 선체 및 선체와 한 쌍의 전개판을 연결하는 끌줄 및 한 쌍의 전개판과 자루형상의 그물을 연결하는 후릿줄 및 상기 후릿줄과 연결되어 몸통그물과 끝자루를 포함하는 그물 어구로 이루어지는 저층트롤 어구에 있어서,
    상기 그물어구는 날개그물과 몸통그물 끝자루로 구분되고, 날개그물은 밑날개와 윗날개로 구분되어 결합되며, 상기 몸통그물은 날개 삼각망, 자루 삼각망, 천정망, 자루등판, 자루옆판, 자루밑판, 밑판 삼각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그물의 밑날개와 몸통그물의 자루밑판과 밑판 삼각망은 PEUC 네트(Polyethylene Ultra Cross Netting)로 이루어지며,
    상기 밑날개와 자루밑판에는 발줄이 연결되고 발줄에는 복수개의 타이어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타이어부가 연결되어 급격한 암반지형에서 타이어부가 바퀴처럼 굴러서 지나가도록 그물어구가 예인됨으로 암반해역에서 그물어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 어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36288A 2020-03-25 2020-03-25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 KR102152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288A KR102152316B1 (ko) 2020-03-25 2020-03-25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288A KR102152316B1 (ko) 2020-03-25 2020-03-25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316B1 true KR102152316B1 (ko) 2020-09-04

Family

ID=7247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288A KR102152316B1 (ko) 2020-03-25 2020-03-25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31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0858Y2 (ja) * 1979-11-12 1983-09-14 函館製網船具株式会社 底曳網のグランドチエ−ン用ワツシヤ−
KR200233164Y1 (ko) 2000-10-26 2001-10-25 이주희 개량 트롤 어구
KR20040073018A (ko) * 2003-02-12 2004-08-19 김대안 전개범식 멸치 들망 어구 및 이를 이용한 조업 방법
KR20090079735A (ko) * 2008-01-18 2009-07-22 김영한 저층 및 중층에 모두 사용가능한 트롤 및 그 방법
KR20100097804A (ko) 2009-02-27 2010-09-06 백경공업주식회사 표층 조업용 트롤 어구
KR101798454B1 (ko) 2016-03-07 2017-11-16 주식회사 비엠인터내셔널 트롤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0858Y2 (ja) * 1979-11-12 1983-09-14 函館製網船具株式会社 底曳網のグランドチエ−ン用ワツシヤ−
KR200233164Y1 (ko) 2000-10-26 2001-10-25 이주희 개량 트롤 어구
KR20040073018A (ko) * 2003-02-12 2004-08-19 김대안 전개범식 멸치 들망 어구 및 이를 이용한 조업 방법
KR20090079735A (ko) * 2008-01-18 2009-07-22 김영한 저층 및 중층에 모두 사용가능한 트롤 및 그 방법
KR100936233B1 (ko) 2008-01-18 2010-01-11 김영한 저층 및 중층에 모두 사용가능한 트롤 및 그 방법
KR20100097804A (ko) 2009-02-27 2010-09-06 백경공업주식회사 표층 조업용 트롤 어구
KR101798454B1 (ko) 2016-03-07 2017-11-16 주식회사 비엠인터내셔널 트롤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eed et al. Modern fishing gear technology
CN108849777B (zh) 一种可释放海蜇的毛虾张网及其装配方法
He Gillnets: gear design, fishing performance and conservation challenges
Thorsteinsson The use of square mesh codends in the Icelandic shrimp (Pandalus borealis) fishery
Montgomerie Basic fishing methods: a comprehensive guide to commercial fishing methods.
KR101096750B1 (ko) 안강망 어업용 어망
KR102152316B1 (ko)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
McCarron et al. Lobster pot gear configurations in the Gulf of Maine
CN106522180A (zh) 水面漂浮物拦截装置
CN109463358A (zh) 一种友好型底拖网
CN204259649U (zh) 一种深水底拖网网具结构
KR20110019185A (ko) 부상식 인공어초의 설치구조
CN208581732U (zh) 一种底收口打鱼旋网
Adamidou III. 4. COMMERCIAL FISHING GEARS AnD METHoDs usED In HELLAs
CN109122437A (zh) 池塘表层水和潮间带低潮区接力养殖牡蛎的方法
CN213306982U (zh) 一种灯光敷网及装置
KR200401529Y1 (ko) 힘줄 자망 또는 p.l-g.net
JP3150490U (ja) 養殖用水深可変係留施設
KR101599232B1 (ko) 자망 구조
KR20130003456U (ko) 올내 낚시
Ramamurthy et al. Prawn fishing methods
CN2381125Y (zh) 水下悬浮式软体网箱
Raje et al. On the dol net operation at Versova, Bombay
CN218851681U (zh) 一种防挂网的渔网
CN205804306U (zh) 便捷式水上漂浮物拦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