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454B1 - 트롤망 - Google Patents

트롤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454B1
KR101798454B1 KR1020160026916A KR20160026916A KR101798454B1 KR 101798454 B1 KR101798454 B1 KR 101798454B1 KR 1020160026916 A KR1020160026916 A KR 1020160026916A KR 20160026916 A KR20160026916 A KR 20160026916A KR 101798454 B1 KR101798454 B1 KR 101798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xagonal
rope
mesh
region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213A (ko
Inventor
김성헌
박경현
박성호
이진영
원성재
윤홍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6002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454B1/ko
Publication of KR20170104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망 시 수중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트롤망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망고(網高)보다 망폭(網幅)이 상대적으로 더 길어지게 형성되는 망구(網口); 상기 망구와 연결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구간별로 그물코의 형상이 다르게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간에는 그물코의 형상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영역이 형성되는 연결망; 및, 상기 연결망과 연결되어 연결망을 통해 포획되는 어류를 포집하는 포집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롤망 {Trawl}
본 발명은 트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층 또는 저층의 어군을 포획하기 위한 조업 시 사용되는 트롤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트롤망(trawl)을 이용한 조업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어군이 형성된 곳에 트롤망(10)을 양망기로부터 풀어내어 트롤망(10)을 어군 측으로 예망함으로써 트롤망(10)의 내부로 어군이 포획됨에 따라 트롤망(10)의 후단에 포집시키는 방식이다.
종래의 트롤망(10)의 그물코(mesh)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또는 마름모꼴로 이루어지며, 후방으로 갈수록 그물코가 작아지도록 직조되며, 망구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크게 벌려 더욱 많은 어군을 포획하기 위해 한 쌍의 전개판(3)을 사용하게 된다. 즉, 어선(1)으로부터 연장되는 와프(2)에 전개판(3)이 연결되며 어선(1)의 진행과정에서 전개판(3)이 좌우로 벌어지게 되고, 전개판(3)과 핸드로프(4) 및 넷펜던트(5)에 의해 연결된 트롤망(10) 전개판(3)과 함께 좌우로 벌어지게 되어 전개판(10)의 망구를 좌우로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트롤망(10)의 망구가 상하로 확장되게 하기 위해 망구의 상부 측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자가 설치되고, 하부 측에는 바닥망에는 침강력을 가지는 침자가 설치되어 예망하는 과정에서 부자가 뜨고 침자는 가라앉음으로 인해 트롤망의 망구가 상하로 확장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트롤망은 그물코가 사각형 또는 마름모꼴로 직조됨에 따라 어선에 의해 예망될 때 트롤망이 전후로 길게 늘어나면 그물코의 형상이 불규칙적으로 울퉁불퉁하게 변형되어 저항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7804호 (공개일자: 2010.09.06) "표층 조업용 트롤어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예망 시 수중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트롤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부위의 망구와 그물코 간 이음구조를 촘촘히 하여 망구의 상방 벌림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트롤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더욱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롤망은 좌측부재 및 우측부재가 이루는 망고(網高)보다 상측부재 및 하측부재가 이루는 망폭(網幅)이 상대적으로 더 길어지게 형성되는 망구(網口)와, 상기 망구와 연결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구간별로 그물코의 형상이 다르게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간에는 그물코의 형상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영역이 형성되는 연결망 및 상기 연결망과 연결되어 연결망을 통해 포획되는 어류를 포집하는 포집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부재 및 하측부재는 후방을 따라 상호 대향되며 망구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로프부, 상기 제1 로프부 각각의 후방에서 제1 로프부의 경사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각도로 배치되는 제2 로프부, 상기 제2 로프부 각각의 후방에서 제2 로프부의 경사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각도로 배치되는 제3 로프부및, 상기 제3 로프부 각각의 사이에서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4 로프부로 구획되어 배치되며, 상기 연결망은 동일한 육각 그물코들로 이루어지는 육각코 영역과, 상기 망구의 둘레를 이루는 각각의 부재와 육각코 영역을 연결시키는 제1 이음영역을 포함하는 광역구간 및, 상기 육각 그물코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면적의 동일한 마름모 그물코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육각코 영역의 밀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빽빽하게 이루어지는 마름모코 영역 및, 상기 육각코 영역과 마름모코 영역을 연결시키는 제2 이음영역을 포함하는 협역구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역구간의 길이는 협역구간 길이의 5.1배 내지 5.5배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부재의 후단부와 육각코 영역의 이음부분에는 보강로프가 육각 그물코의 전방 빗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육각코 영역은 상기 육각 그물코가 폭 방향 및 후방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육각 그물코의 개수가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름모코 영역은 상기 마름모 그물코가 폭 방향 및 후방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마름모 그물코의 개수가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망 시 망구를 장방형상으로 확장시킬 수 있게 되고 연결망의 그물코 형상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의 트롤망보다 수중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트롤망의 수중저항이 저감됨으로써 어선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표층뿐만 아니라 중층에서 서식하는 어군들을 포획할 수 있게되는 이점이 있다.
망구의 상방 벌림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망구의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으며 양망 시 어망의 회수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도 1은 종래의 트롤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망의 실시예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망의 실시예를 측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저항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망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저항시험 결과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및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용어 중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방향을 표현한 용어는 바라보는 시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임을 주지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예망 시 망구(網口)를 수중저항에 최적화된 장방형상으로 확장시킬 수 있게 되고 연결망의 그물코 형상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그물코의 형상과 연결망의 구간별 그물코 배치를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트롤망보다 수중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트롤망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구성은 망구, 연결망 및 포집망으로 구성된다.
먼저 망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망 시 망고(網高)보다 망폭(網幅)이 상대적으로 더 길어지게끔 형성되는 것으로 망고의 둘레를 이루는 부재들이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어 예망 시 전개판에 의해 망구가 펼쳐지게 되면 수중저항에 최적화되는 장방형상을 이루게끔 형성되는데, 망폭의 길이가 망고 길이의 1.1배 내지 1.5배의 범위내에서 형성되게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연결망은 망구와 연결되며 수중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구간별로 그물코(mesh)의 형상이 다르게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간에는 그물코의 형상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영역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망은 로프로 직조되는 광역구간 및 그물(net)로 직조되는 협역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역구간은 수중 저항을 가장 많이 받게 되는 구간이므로 동일한 육각 그물코들로 이루어져 예망 시 형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육각코 영역과, 망구의 둘레를 이루는 각각의 부재와 육각코 영역을 연결시키는 제1 이음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육각코 영역은 육각 그물코가 폭 방향 및 후방을 따라 행렬을 이루게끔 다수로 형성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육각 그물코의 개수가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협역구간은 광역구간을 통과한 어군의 포집이 시작될 수 있도록 육각 그물코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면적의 동일한 마름모 그물코들로 이루어지고 육각코 영역의 밀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빽빽하게 이루어지는 마름모코 영역 및, 육각코 영역과 마름모코 영역을 연결시키는 제2 이음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마름모코 영역은 마름모 그물코가 폭 방향 및 후방을 따라 행렬을 이루게끔 다수로 형성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마름모 그물코의 개수가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포집망은 연결망과 연결되어 연결망을 통해 포획되는 어류를 포집하는 그물로써,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후단부(엔드부)는 포획된 어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끔 그물코로 차폐되어 마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광역구간의 길이는 협역구간 길이의 5.1배 내지 5.5배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져 수중저항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 및 수치 한정으로 인한 효과는 다음의 실시예 설명에서 입증시키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롤망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망구(10), 연결망(20) 및 포집망(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망구(10)는 예망 시 장방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망구(10)의 망폭을 이루는 상측부재(100a) 및 하측부재(100b)가 위아래로 형성되며, 망구(10)의 망고를 이루는 좌측부재(100c) 및 우측부재(100d)가 양측으로 형성되고, 이들 부재들이 일체로 연결되어 망구(10)를 이루게된다.
이러한 상기 상측부재(100a), 하측부재(100b), 좌측부재(100c) 및 우측부재(100d) 각각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측부재(100a) 및 하측부재(100b) 각각의 길이는 좌측부재(100c) 및 우측부재(100d) 각각의 길의 1.1배 내지 1.5배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져 예망 시 수중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방형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실시예(도 4-a)와 종래의 트롤망[비교예(도 4-b)]의 저항 시뮬레이션 결과를 정면도로 나타낸 도 4 및, 실시예(도 7-a)와 비교예(도 7-b)의 저항시험 결과치를 나타낸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 형상에 가깝게 형성되는 실시예와 불규칙적으로 확장된 어구의 형상을 가지는 비교예를 대비해보면 도 7의 the horizontal distance of wing tip-center(망폭), the vertical height(망고) 및 the resistance of fishing gear(트롤망의 저항값)에서의 결과치에서 확인되는바, 실시예의 망구 크기가 비교예의 망구 크기보다 더 큼에도 불구하고 실시예의 저항값이 비교예의 저항값보다 작아 수중저항의 저감에 효율적임과 더불어 어군 포획에 더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망(30)은 상기 상측부재(100a)와 연결되는 상측연결망(200a), 상기 하측부재(100b)와 연결되는 하측연결망(200b), 상기 좌측부재(100c)와 연결되는 좌측연결망(200c) 및 상기 우측부재(100d)와 연결되는 우측연결망(200d) 각각이 일체로 연결시키는 직조방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상측연결망(200a), 하측연결망(200b), 좌측연결망(200c) 및 우측연결망(200d) 각각은 광역구간(210a, 210b, 210c, 210d) 및 협역구간(220a, 220b, 220c, 220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역구간(210a, 210b, 210c, 210d)은 동일한 육각 그물코(m1)들로 이루어지는 육각코 영역(212a, 212b, 212c, 212d)과, 상기 상측부재(200a), 하측부재(200b), 좌측부재(200c) 및 우측부재(200d) 각각과 육각코 영역(212a, 212b, 212c, 212d)을 연결시키는 제1 이음영역(211a, 211b, 211c, 211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육각코 영역(212a, 212b, 212c, 212d)은 육각 그물코(m1)가 폭 방향 및 후방을 따라 다수로 행렬을 이루며 형성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육각 그물코(m1)의 개수가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1 이음영역으로 구획하는 기준은 육각 형상이 온전히 반영된 육각 그물코 개수가 육각 형상이 온전히 반영되지 못한 그물코의 개수보다 상대적으로 적을 시에 제1 이음영역으로 구획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협역구간(220a, 220b, 220c, 220d)은 육각 그물코(m1)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면적의 동일한 마름모 그물코(m2)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육각코 영역(212a, 212b, 212c, 212d)의 밀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빽빽하게 이루어지는 마름모코 영역(222a, 222b, 222c, 222d)과, 상기 육각코 영역(212a, 212b, 212c, 212d)과 마름모코 영역(222a, 222b, 222c, 222d)을 연결시키는 제2 이음영역(221a, 221b, 221c, 221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마름모코 영역(222a, 222b, 222c, 222d)은 마름모 그물코(m2)가 폭 방향 및 후방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마름모 그물코(m2)의 개수가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육각코 영역(212a, 212b, 212c, 212d)의 후단부의 폭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다가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측부재(100a), 하측부재(100b), 좌측부재(100c) 및 우측부재(100d) 각각은 직조 시 연결망(20)의 전체적인 형상과 육각 그물코(m1)와의 연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형상(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제1 이음영역(211a, 211b, 211c, 211d)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상측부재(100a) 및 하측부재(100b) 각각은 후방을 따라 상호 대향되며 망구(10)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로프부(110a, 110b), 상기 제1 로프부(110a, 110b) 각각의 후방에서 제1 로프부(110a, 110b)의 경사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각도로 배치되는 제2 로프부(120a, 120b), 상기 제2 로프부(120a, 120b) 각각의 후방에서 제2 로프부(120a, 120b)의 경사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각도로 배치되는 제3 로프부(130a, 130b) 및, 상기 제3 로프부(130a, 130b) 각각의 사이에서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4 로프부(140a, 140b)로 구획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부재(100c) 및 우측부재(100d) 각각은 후방을 따라 상호 대향되며 망구(10)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되 상기 제1 로프부(110a, 110b)의 경사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각도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5 로프부(110c, 110d), 상기 제5 로프부(110c, 110d) 각각의 후방에서 제2 로프부(120a, 120b)의 경사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각도로 배치되는 제6 로프부(120c, 120d), 상기 제6 로프부(120c, 120d) 각각의 후방에서 제3 로프부(130a, 130b)의 경사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각도로 배치되는 제7 로프부(130c, 130d) 및, 상기 제7 로프부(130c, 130d) 각각의 사이에서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8 로프부(140c, 140d)로 구획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상측부재(100a), 하측부재(100b), 좌측부재(100c) 및 우측부재(100d) 각각은 제1 이음영역(211a, 211b, 211c, 211d)에 의해 육각코 영역(212a, 212b, 212c, 212d)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이음영역(211a, 211b, 211c, 211d)은 그물코의 형상이 최대한 육각 형상을 이루도록 직조된다.
상기한 광역구간(210a, 210b, 210c, 210d)의 길이는 협역구간(220a, 220b, 220c, 220d) 길이의 5.1배 내지 5.5배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져 수중저항을 종래의 트롤망보다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실시예(도 5-a)와 비교예(도 5-b)의 저항 시뮬레이션 결과를 측면도로 나타낸 도 5, 실시예(도 6-a)와 비교예(도 6-b)의 저항 시뮬레이션 결과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코 영역(212a, 212b, 212c, 212d)의 형상이 유지되는 실시예와 그물코의 형상 변형이 매우 큰 비교예를 대비해보면, 비교예의 연결망 길이보다 실시예의 연결망의 길이가 더 큼에도 불구하고 실시예의 저항값이 비교예의 저항값보다 작아 수중저항의 저감에 효율적임과 더불어 어군 포획에 더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상측부재(100a)의 후단부인 제4 로프부(140a)와 육각코 영역(212a)의 이음부분에는 보강로프(S)가 직조되되 육각 그물코(m1)의 전방 빗변 사이에 직조되어 제4 로프부(140a)에 설치되는 부력발생수단[부자, 카이트(kite) 등]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의 영향에 의해 제4 로프부(140a)와 육각코 영역(212a)의 이음부분의 형상변형을 최소화시켜 망구의 상방 벌림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포집망(30)은 연결망(20)과 연결되어 연결망(20)을 통해 포획되는 어류를 포집할 수 있도록 각각의 마름모코 영역(222a, 222b, 222c, 222d)과 연결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상측포집망(300a), 하측포집망(300b), 좌측포집망(300c) 및 우측포집망(300d)이 일체로 직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의 내용을 정리하면 비교예는 망구가 정방형상에 가깝게 형성되며 그물코가 육각코 또는 마름모꼴로 직조되지만 실시예에서의 육각코 영역과 같이 동일한 육각 형상의 그물코가 배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비교예의 망폭과 망고는 실시예보다 상대적으로 더 짧은 망폭과 망고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비교예와 실시예를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망 시에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구가 장방형상에 가깝게 확장되고,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망에서 그물코의 형상의 변형이 거의 없이 유지되며 규칙적인 형상을 이루면서 늘어나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유선형을 이루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비교예는 예망 시에 그물코의 형상이 불규칙적인 형상을 이루며서 늘어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어종을 포획할 수 있는 트롤망의 전반적인 규모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망이 종래보다 크게 유지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종 포획량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트롤망이 우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예망 속도에서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망폭과 망고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실시예의 저항값이 비교예의 저항값보다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망구를 장방형상으로 확장시킬 수 있게 되고 연결망의 그물코 형상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의 트롤망보다 수중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예망 시 수중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트롤망을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망구
100a, 100b, 100c, 100d: 상측부재, 하측부재, 좌측부재, 우측부재
20: 연결망
200a, 200b, 200c, 200d: 상측연결망, 하측연결망, 좌측연결망, 우측연결망
210a, 210b, 210c, 210d: 광역구간
211a, 211b, 211c, 211d: 제1 이음영역
212a, 212b, 212c, 212d: 육각코 영역
220a, 220b, 220c, 220d: 협역구간
221a, 221b, 221c, 221d: 제2 이음영역
222a, 222b, 222c, 222d: 마름모코 영역
30: 포집망
m1: 육각 그물코
m2: 마름모 그물코
S: 보강로프

Claims (11)

  1. 좌측부재 및 우측부재가 이루는 망고(網高)보다 상측부재 및 하측부재가 이루는 망폭(網幅)이 상대적으로 더 길어지게 형성되는 망구(網口);
    상기 망구와 연결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구간별로 그물코의 형상이 다르게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간에는 그물코의 형상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영역이 형성되는 연결망; 및,
    상기 연결망과 연결되어 연결망을 통해 포획되는 어류를 포집하는 포집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부재 및 하측부재는,
    후방을 따라 상호 대향되며 망구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로프부, 상기 제1 로프부 각각의 후방에서 제1 로프부의 경사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각도로 배치되는 제2 로프부, 상기 제2 로프부 각각의 후방에서 제2 로프부의 경사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경사각도로 배치되는 제3 로프부및, 상기 제3 로프부 각각의 사이에서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4 로프부로 구획되어 배치되며,
    상기 연결망은,
    동일한 육각 그물코들로 이루어지는 육각코 영역과, 상기 망구의 둘레를 이루는 각각의 부재와 육각코 영역을 연결시키는 제1 이음영역을 포함하는 광역구간 및, 상기 육각 그물코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면적의 동일한 마름모 그물코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육각코 영역의 밀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빽빽하게 이루어지는 마름모코 영역 및, 상기 육각코 영역과 마름모코 영역을 연결시키는 제2 이음영역을 포함하는 협역구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역구간의 길이는 협역구간 길이의 5.1배 내지 5.5배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부재의 후단부와 육각코 영역의 이음부분에는 보강로프가 육각 그물코의 전방 빗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재 및 하측부재 각각의 길이는 좌측부재 및 우측부재 각각의 길이의 1.1배 내지 1.5배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망.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코 영역은,
    상기 육각 그물코가 폭 방향 및 후방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육각 그물코의 개수가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망.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름모코 영역은,
    상기 마름모 그물코가 폭 방향 및 후방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마름모 그물코의 개수가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망.
  11. 삭제
KR1020160026916A 2016-03-07 2016-03-07 트롤망 KR101798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916A KR101798454B1 (ko) 2016-03-07 2016-03-07 트롤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916A KR101798454B1 (ko) 2016-03-07 2016-03-07 트롤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213A KR20170104213A (ko) 2017-09-15
KR101798454B1 true KR101798454B1 (ko) 2017-11-16

Family

ID=5992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916A KR101798454B1 (ko) 2016-03-07 2016-03-07 트롤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4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270B1 (ko) 2019-08-10 2020-05-08 정기혁 예인망
KR102152316B1 (ko) 2020-03-25 2020-09-04 대한민국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
KR20210018986A (ko) 2020-04-29 2021-02-19 정기혁 예인망
EP4311431A1 (en) 2022-07-29 2024-01-31 Jung, Samyoung Rope for trawl nets with high-strength eye-spl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909Y1 (ko) 2000-07-27 2000-12-15 이을범 어망
KR101099649B1 (ko) 2009-02-27 2011-12-29 주식회사 비엠인터내셔널 표층용 트롤 전개판
JP2014079200A (ja) 2012-10-16 2014-05-08 Kobe Gyomo Kk 船びき網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909Y1 (ko) 2000-07-27 2000-12-15 이을범 어망
KR101099649B1 (ko) 2009-02-27 2011-12-29 주식회사 비엠인터내셔널 표층용 트롤 전개판
JP2014079200A (ja) 2012-10-16 2014-05-08 Kobe Gyomo Kk 船びき網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270B1 (ko) 2019-08-10 2020-05-08 정기혁 예인망
KR102152316B1 (ko) 2020-03-25 2020-09-04 대한민국 암반해역 수산자원 포획용 저층트롤어구
KR20210018986A (ko) 2020-04-29 2021-02-19 정기혁 예인망
EP4311431A1 (en) 2022-07-29 2024-01-31 Jung, Samyoung Rope for trawl nets with high-strength eye-spl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213A (ko) 2017-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454B1 (ko) 트롤망
AU2014100588B4 (en) Barrier
US5325619A (en) Selective excluding fishing trawl device
CN208650017U (zh) 一种核电厂海生物拦截系统
KR100948590B1 (ko) 다기능 삼각형 인공어초
CN207201780U (zh) 一种阻断底栖外来鲇形目鱼类扩散的网笼刺网捕鱼装置
CN112450163A (zh) 一种用于收集逃逸渔获物的双层套网
TWM639251U (zh) 底拖網漁獲篩選及廢棄物快速移除裝置
TWI533798B (zh) 底拖網
KR100510032B1 (ko) 소형 어류 탈출장치가 구비된 트롤어구
Adamidou III. 4. COMMERCIAL FISHING GEARS AnD METHoDs usED In HELLAs
KR101063124B1 (ko) 삼각 그물망
CN111802337B (zh) 一种南极磷虾拖网双重选择性装置结构
TW202416827A (zh) 底拖網漁獲篩選及廢棄物快速移除裝置
TWI820981B (zh) 底拖網漁獲篩選及廢棄物快速移除裝置
RU63173U1 (ru) Сорт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для выпуска из трала непромысловых объектов лова
KR200322508Y1 (ko) 인공 어초
JP7086682B2 (ja) 鋼製人工魚礁
CN111802338B (zh) 一种导管式南极磷虾拖网选择性装置
CN219288510U (zh) 一种高效捕捉流水河道底层鱼类的装置
AU2015101729B4 (en) Barrier
TWI813472B (zh) 漁業用快速拆卸篩選器
CN117204384B (zh) 一种多元复合式船型鱼礁及改造方法
CN108651397A (zh) 河口潮间带生物监测网及其构建方法
JP3075693B2 (ja) 定置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