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832A -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832A
KR20230089832A KR1020210178542A KR20210178542A KR20230089832A KR 20230089832 A KR20230089832 A KR 20230089832A KR 1020210178542 A KR1020210178542 A KR 1020210178542A KR 20210178542 A KR20210178542 A KR 20210178542A KR 20230089832 A KR20230089832 A KR 20230089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space
pressing
housing
h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966B1 (ko
Inventor
정영철
Original Assignee
정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철 filed Critical 정영철
Priority to KR1020210178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966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그립공간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그립공간으로 인입출 하면서 상기 그립공간에 수용된 그립대상물을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재와; 상기 그립부재가 상기 그립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판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한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그립 대상물을 한번의 동작에 의하여 동시에 그립하여 필요한 장소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FIVE AXIS ZERO-POINT WORKHOLDING DEVICE}
본 발명은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그립 대상물을 한번의 동작에 의하여 동시에 그립하여 필요한 장소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부품을 픽업하는 그립퍼장치가 있으나, 이들 그립퍼는 평행개폐 또는 일정한 각도로 개폐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또한, 종래의 그립퍼장치는 작업공정에 따라 그립퍼의 길이나 크기가 그립대상물에 대응하도록 기설정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그립퍼장치는 그립대상물을 하나씩 낱개로 그립하여 원하는 장소나 위치로 운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립대상물을 그립하여 운반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그립대상물을 한번의 그립 동작으로 동시에 그립하여 필요한 장소나 위치로 신속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그립 대상물을 한번의 동작에 의하여 동시에 그립하여 필요한 장소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는, 상면이 개구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그립공간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그립공간으로 인입출 하면서 상기 그립공간에 수용된 그립대상물을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재와; 상기 그립부재가 상기 그립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판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과 수용공간 사이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삽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의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과 수용공간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공과 연통되고,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연결공에 배치되며 상호 탈부착되어 상기 그립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압부재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그립부재를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바의 단부 양측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면이 구비되고, 상호 탈부착되는 한 쌍의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가압바가 가압시에 상기 테이퍼면을 따라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퍼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재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바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호 이탈후에 상기 가압바에 의한 가압력이 제거되면 자력에 의하여 상호 부착됨으로써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의 상면에는 별도의 차폐커버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공간과 연통되는 상기 그립부재의 모서리 영역은 단부가 뾰족하도록 상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그립대상물의 중앙 영역은 상기 그립부재의 뾰족한 단부가 삽입되는 그립홈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그립홈 사이로 상기 그립부재의 모서리가 삽입되면서 상기 그립대상물을 끌어당겨 밀착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그립공간과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그립부재의 모서리 영역은 상기 그립공간과 근접할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는 복수의 그립 대상물을 한번의 동작에 의하여 동시에 그립하여 필요한 장소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의 저부면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의 가압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의 가압바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의 저부면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의 가압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의 가압바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는 상면이 개구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용공간(110)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수용공간(110)과 연통되는 그립공간(120)이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에 각각 수용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그립공간(120)으로 인입출 하면서 상기 그립공간(120)에 수용된 그립대상물(1)을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재(200)와; 상기 그립부재(200)가 상기 그립공간(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판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그립대상물(1)을 한번의 동작에 의하여 한꺼번에 그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으로서, 그립대상물(1)은 그립공간(120)에 삽입되어 그립부재(200)의 동작에 의하여 그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그립대상물(1)은 그립공간(120)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립부재(200)에 의하여 그립이 가능하도록 그립대상물(1)의 중앙 영역 측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그립홈(1a)이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장방 형상의 부재로서, 판면에 상면이 개구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며, 수용공간(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수용공간(110)과 연통된 그립공간(120)이 구비되어 있다.
수용공간(110)은 하우징(100)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하우징(1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공간(11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수용공간(110)의 경사진 측면과 연통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수용공간(110)의 개구된 상면에는 그립부재(200)가 설치된 후에 설치된 그립부재(200)가 수용공간(110)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차폐커버(111)가 설치된다.
또한, 수용공간(110)과 수용공간(110) 사이의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일단이 하우징(100)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삽입공(130)이 구비되어 가압바(32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수용공간(110)과 수용공간(110)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공(140)이 관통 형성되어 삽입공(130)의 타단과 연통됨으로써 가압부재(31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립부재(200)는 수용공간(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폭이 수용공간(110)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그립대상물(1)을 그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그립부재(200)는 그립공간(120)과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그립부재(200)의 모서리 영역이 그립공간(120)과 근접할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 즉, 그립공간(120)과 연통되는 그립부재(200)의 모서리 영역은 단부가 뾰족하도록 상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립대상물(1)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그립홈(1a)에 상기 그립부재(200)의 뾰족한 단부가 삽입되어 그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그립대상물(1)에 형성된 그립홈(1a) 사이로 상기 그립부재(200)의 모서리가 삽입되면서 상기 그립대상물(1a)을 끌어당겨 밀착 고정시키킴으로써 하우징(100)의 상하면인 기준면과 그립대상물(1a)의 상하면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그립대상물(1a)을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동수단(300)은 연결공(140)에 배치되며 상호 탈부착되어 그립부재(200)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압부재(310)와, 삽입공(130)에 삽입되어 가압부재(310)의 일측을 가압하여 가압부재(310)가 그립부재(200)를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바(3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압부재(310)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가압바(320)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호 이탈후에 가압바(320)에 의한 가압력이 제거되면 자력에 의하여 상호 부착됨으로써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호 탈부착되는 한 쌍의 가압부재(310)에는 가압바(320)가 가압시에 가압바(320)에 형성된 테이퍼면(321)을 따라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테이퍼면(321)과 대응되는 경사면(311)이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바(320)의 단부 양측에는 가압부재(310)에 형성된 경사면(311)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면(321)이 구비됨으로써 가압부재(310)의 분리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압부재(310)가 그립부재(200)를 하우징(100)의 양측 가장자리로 가압하여 그립대상물(1)의 그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그립대상물을 동시에 그립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형성된 그립공간(120)으로 그립대상물(1)이 삽입되도록 한 후에 별도의 공구나 작업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하우징(100)의 삽입공(130)에 삽입되어 있는 가압바(320)를 삽입공(130)의 내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가압된 가압바(320)는 가압부재(310)의 일측면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바(320)의 가압에 의하여 가압부재(310)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311)이 가압바(320)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면(321)을 따라 이동하여 벌어지면서 가압부재(310)가 상호 이탈되면서 그립부재(200)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부재(310)에 의하여 그립부재(200)가 가압되면 그립부재(200)는 수용공간(110)의 내부에서 하우징(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립부재(200)의 경사지며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 경사면이 그립공간(120)으로 인입되면서 그립대상물(1)의 그립홈(1a)에 삽입되어 도 4의 (b)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우징(100)을 원하는 위치로 옮기게 되면 그립된 복수의 그립대상물이 한꺼번에 하우징(100)과 함께 이동하여 지면에 하우징(100)을 안착시키게 된다.
그 후, 상기 공구에 의하여 가압바(320)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거하면 자성체로 형성된 가압부재(310)가 상호 부착되면서 벌어진 상태가 오므라들게 되며, 그에 따라 그립부재(200)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됨으로써 그랍부재(200)의 경사진면이 그립대상물(1)의 그립홈(1a)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우징(100)을 리프팅시키면 그립대상물(1)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하우징(100)을 이용하여 또 다른 그립대상물(1)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그립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는 복수의 그립 대상물을 한번의 동작에 의하여 동시에 그립하여 필요한 장소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그립대상물 1a : 그립홈
100 : 하우징 110 : 수용공간
120 : 그립공간 130 : 삽입공
140 : 연결공 200 : 그립부재
300 : 이동수단 310 : 가압부재
311 : 경사면 320 : 가압바
321 : 테이퍼면

Claims (7)

  1. 상면이 개구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수용공간(110)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수용공간(110)과 연통되는 그립공간(120)이 구비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에 각각 수용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상기 그립공간(120)으로 인입출 하면서 상기 그립공간(120)에 수용된 그립대상물(1)을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재(200)와;
    상기 그립부재(200)가 상기 그립공간(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판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110)과 수용공간(110) 사이의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삽입공(130)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130)의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110)과 수용공간(110)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공(140)과 연통되고,
    상기 이동수단(300)은 상기 연결공(140)에 배치되며 상호 탈부착되어 상기 그립부재(200)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압부재(310)와, 상기 삽입공(130)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310)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재(310)가 상기 그립부재(200)를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바(3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바(320)의 단부 양측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면(321)이 구비되고, 상호 탈부착되는 한 쌍의 상기 가압부재(310)에는 상기 가압바(320)가 가압시에 상기 테이퍼면(321)을 따라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퍼면(321)과 대응되는 경사면(3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310)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바(320)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호 이탈후에 상기 가압바(320)에 의한 가압력이 제거되면 자력에 의하여 상호 부착됨으로써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110)의 상면에는 별도의 차폐커버(111)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공간(120)과 연통되는 상기 그립부재(200)의 모서리 영역은 단부가 뾰족하도록 상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그립대상물(1)의 중앙 영역은 상기 그립부재(200)의 뾰족한 단부가 삽입되는 그립홈(1a)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그립홈(1a) 사이로 상기 그립부재(200)의 모서리가 삽입되면서 상기 그립대상물을 끌어당겨 밀착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공간(120)과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그립부재(200)의 모서리 영역은 상기 그립공간(120)과 근접할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KR1020210178542A 2021-12-14 2021-12-14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KR10256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542A KR102565966B1 (ko) 2021-12-14 2021-12-14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542A KR102565966B1 (ko) 2021-12-14 2021-12-14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832A true KR20230089832A (ko) 2023-06-21
KR102565966B1 KR102565966B1 (ko) 2023-08-10

Family

ID=8698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542A KR102565966B1 (ko) 2021-12-14 2021-12-14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9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5524A (ko) * 1973-11-28 1975-07-10
JPS60167659U (ja) * 1984-04-16 1985-11-07 リ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自動研磨機用試料ホルダ
WO1989012178A1 (en) * 1988-06-06 1989-12-14 Teldix Gmbh Bearing for radially and axially holding a rotor with large radial dimensions
KR20190124363A (ko) * 2018-04-26 2019-11-05 (주)코리아유공압 청소기능을 갖는 그립퍼
KR102132272B1 (ko) * 2019-03-11 2020-07-09 (주)신스윈 올담링의 가공지그
CN215092265U (zh) * 2021-07-20 2021-12-10 西安家麒工模具有限公司 一种多工位气动式圆锥面夹紧工装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5524A (ko) * 1973-11-28 1975-07-10
JPS60167659U (ja) * 1984-04-16 1985-11-07 リ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自動研磨機用試料ホルダ
WO1989012178A1 (en) * 1988-06-06 1989-12-14 Teldix Gmbh Bearing for radially and axially holding a rotor with large radial dimensions
KR20190124363A (ko) * 2018-04-26 2019-11-05 (주)코리아유공압 청소기능을 갖는 그립퍼
KR102132272B1 (ko) * 2019-03-11 2020-07-09 (주)신스윈 올담링의 가공지그
CN215092265U (zh) * 2021-07-20 2021-12-10 西安家麒工模具有限公司 一种多工位气动式圆锥面夹紧工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966B1 (ko)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50224B (zh) 一种双重夹持的机械抓手装置
KR850000057B1 (ko) 산업로보트의 손
US9662793B1 (en) Stack gripper
EP2666599A1 (en) Robot hand, robo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rkpiece
US7513546B2 (en) Conformal gripping device
US6105948A (en) Multi-quick jaw assembly
WO2016017029A1 (ja) 部品装着方法および部品装着装置
JP2011177862A (ja) 把持装置
KR102565966B1 (ko)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CN112752635B (zh) 机器人系统
JP3173038U (ja) ピン打ち装置
JP6855511B2 (ja) 受容要素、アセンブリ及び方法
KR102666999B1 (ko) 오축 제로 포인트 공작물 고정장치
JP5807737B2 (ja) ハンド装置
KR102136457B1 (ko) 머신 센터를 위한 툴 카텐
US2906013A (en) Tool
JP6726597B2 (ja) レーザ加工機
US4975020A (en) Honeycomb core gripper apparatus
US11970353B2 (en) Gripper assembly, apparatus for recovering a layout from a sheet material and method for separating a layout from waste of a sheet material
JPH0111404Y2 (ko)
KR102098678B1 (ko) 창호 프로파일용 홀 가공장치
KR101808408B1 (ko) 소재 분리장치
CN204453933U (zh) 取纸切纸生产联线
JP5372600B2 (ja) 真空チャック装置及び加工装置
KR102613810B1 (ko) 섬유 의류원단 이송용 니들 그리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