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057A -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057A
KR20230088057A KR1020210176885A KR20210176885A KR20230088057A KR 20230088057 A KR20230088057 A KR 20230088057A KR 1020210176885 A KR1020210176885 A KR 1020210176885A KR 20210176885 A KR20210176885 A KR 20210176885A KR 20230088057 A KR20230088057 A KR 20230088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magnetic body
gear
uni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312B1 (ko
Inventor
윤슬해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6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312B1/ko
Priority to PCT/KR2022/017639 priority patent/WO2023106655A1/ko
Publication of KR20230088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Abstract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의 일 실시예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가 저장되는 에스크로 유닛에 구비된 드럼이 회전되는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로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된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의 일측에 기어결합되는 제2기어; 상기 제1기어의 회전중심에 구비된 제1자성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중심에 구비된 제2자성체;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1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설정된 제1분해능 각도 단위로 감지하는 제1위치감지부;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2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설정된 제2분해능 각도 단위로 감지하는 제2위치감지부; 및 상기 제1위치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제1자성체의 위치 변화와, 상기 제2위치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제2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기준으로,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Escrow unit control device of 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스크로 유닛에 구비된 드럼이 회전되는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지폐의 입출금 시 지폐를 저장하기 위한 에스크로 유닛(Escrow unit)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일례로 드럼에 테이프와 지폐를 감아서 저장하고, 릴을 감고 드럼을 되감아 지폐를 방출하고 테이프는 릴에 감는 방식으로 구성된 에스크로 유닛이 있다.
이와 같이 드럼과 릴을 구비한 에스크로 유닛에는 드럼이 회전되는 위치를 측정하고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 종래 대표적인 드럼의 회전수 검출 장치로는, 회전되는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에 따라서 인크리멘탈 엔코더(Incremental Encoder)와 앱솔루트 엔코더(Absolute Encoder)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종래의 인크리멘탈 엔코더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물체의 회전 움직임의 변화량에 따라서 펄스(Pulse)수를 카운트하여 회전량을 검출하는 장치로서, 회전할 때마다 펄스의 횟수가 증가하여 물체의 회전 위치와 회전 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크리멘탈 엔코더는, A상과 B상이 9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있으며, 회전 원점을 검출하기 위해 1회전당 하나의 펄스가 얻어지는 원점 위상 결정용의 Z상이 있다. A상의 출력전압이 B상의 출력전압보다 90도 앞서게 되면 드럼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A상의 출력전압이 B상의 출력전압보다 90도 뒤지게 되면 드럼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감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크리멘탈 엔코더는 드럼의 원점 위상이 Z상 기준으로만 측정되기 때문에 전원이 오프(OFF)된 후에 다시 온(ON)된 상태에서 원점을 알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원점이 근본적으로 필요치 않은 장비 또는 부품의 경우 크게 상관이 없으나, 에스크로 유닛과 같이 드럼이 회전 관성에 의해 설정된 위치보다 더 회전되는 현상인 감가속 오버런(OVER RUN)이 반복될 경우 테이프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는 장치의 경우에는, 기계적 오차와 회전 오차, 엔코더의 회전원판 슬롯의 배열 오차가 합쳐지면 측정범위의 오차가 더욱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오차가 커지게 되면, 회전하던 드럼이 정지되더라도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되지 못하고 더욱 회전되어 오버런되거나, 이와 반대로 덜 회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테이프의 수명이 조금씩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앱솔루트 엔코더는, 원판을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0도~360도로 일정한 비율로 분할하여 놓고, 분할된 위치마다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지정하여 회전하는 물체의 회전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위치에 맞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회전량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앱솔루트 엔코더는, 1회전(360도)당 분해능이 1.2도 정도가 최선의 분해능이지만, 종래 에스크로 유닛의 드럼의 경우 4도, 6도 또는 10도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어 드럼이 회전된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앱솔루트 엔코더는, 사용할 때마다 원점(기준점)으로 복귀한 후에 사용해야 하며, 원판 형식의 이진(Binary) 부호화된 위치코드를 가지며 해당 위치를 읽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나, 정확한 원점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와 드럼이 회전된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따라 장치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드럼과 릴을 구비한 에스크로 유닛과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6306호에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에스크로 유닛에 구비된 드럼의 절대적인 원점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목표로 하는 드럼의 회전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가 저장되는 에스크로 유닛에 구비된 드럼이 회전되는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로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된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의 일측에 기어결합되는 제2기어; 상기 제1기어의 회전중심에 구비된 제1자성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중심에 구비된 제2자성체;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1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설정된 제1분해능 각도 단위로 감지하는 제1위치감지부;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2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설정된 제2분해능 각도 단위로 감지하는 제2위치감지부; 및 상기 제1위치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제1자성체의 위치 변화와, 상기 제2위치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제2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기준으로,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정지한 초기 설정 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1자성체의 위치와 상기 제2위치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자성체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의 원점을 각각 저장하고,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위치감지부와 제2위치감지부가 감지하는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의 원점과 비교하여 상기 드럼이 상기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회전된 회전수를 산출하여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목표 회전수와, 상기 제1분해능 각도, 및 상기 제2분해능 각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드럼의 목표 회전수를 상기 제1분해능 각도로 나눈 값인 제1순환주기와, 상기 드럼의 목표 회전수를 상기 제2분해능 각도로 나눈 값인 제2순환주기를 산출하고, 상기 제1순환주기와 상기 제2순환주기의 최소공배수를 산출하여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가 설정된 원점으로 되돌아 올 때까지의 상기 드럼의 회전수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드럼이 현재 회전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상기 목표 회전수에 도달하여 정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드럼의 감가속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상기 목표 회전수에 도달하여 정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드럼의 정지 구간을 설정하여 상기 드럼의 오버런이 방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감지부와 상기 제2위치감지부는 각각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의 위치를 12BIT로 분해하여 감지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앤티 백래쉬 기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이 정지한 초기 설정 위치는, 상기 드럼에 감겨 있던 테이프와 지폐가 상기 드럼으로부터 모두 방출된 상태일 때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에 의하면, 드럼의 절대적인 원점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드럼의 감가속 시간을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드럼이 회전되는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드럼의 오버런 현상을 방지하여 테이프의 수명 단축을 방지하고, 지폐의 집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의 평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의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크로 유닛 제어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에서 4개 기어로 360회전 분해능 시 측정 데이터 표,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에서 2개 기어로 360회전 분해능 시 각 기어별 분해능 각도를 달리 설정한 경우의 측정 데이터 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100)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가 저장되는 에스크로 유닛에 구비된 드럼(110)이 회전되는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1기어(120), 제2기어(130), 제1자성체(140), 제2자성체(150), 제1위치감지부(161), 제2위치감지부(162)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폐의 저장 시에는 상기 드럼(110)의 외주면에 이중의 테이프와 그 사이에 협지되는 지폐가 함께 감겨져 저장되고, 지폐의 방출 시에는 드럼(110)에 감겨 있던 테이프와 지폐가 드럼(110)으로부터 되감겨 풀어내어지며 드럼(110)으로부터 방출된다.
상기 제1기어(120)는 드럼(110)의 회전축(111)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1기어(120)의 회전중심에는 N극과 S극을 갖는 제1자성체(1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기어(130)는 제1기어(120)의 일측에 기어결합되고, 제2기어(130)의 회전중심에는 N극과 S극을 갖는 제2자성체(150)가 구비된다.
상기 제1기어(120)와 제2기어(130) 중 적어도 하나는 앤티 백래쉬(Anti-Backlash) 기어로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기어(130)에는 회전중심의 양측에 탄성부재(131,132)가 구비되어 제2기어(130)를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써, 제1기어(120)와 제2기어(130)가 서로 맞물린 잇면 사이에 간극(Backlash)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잇면 사이에서의 기계적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110)이 회전되면, 드럼(110)의 회전축(111)에 연결된 제1기어(120)와, 상기 제1기어(120)에 기어결합된 제2기어(13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제1기어(120)에 구비된 제1자성체(140)와 제2기어(130)에 구비된 제2자성체(150) 또한 회전되는 위치(위상)가 변하게 된다.
상기 제1위치감지부(161)는 제1자성체(140)와 대면하는 위치에 소정 간극을 두고 구비되어 제1자성체(14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제2위치감지부(162)는 제2자성체(150)와 대면하는 위치에 소정 간극을 두고 구비되어 제2자성체(15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제1위치감지부(161)는 드럼(110)의 회전에 의한 제1자성체(140)의 위치 변화를 설정된 제1분해능 각도 단위로 감지하고, 상기 제2위치감지부(162)는 드럼(110)의 회전에 의한 제2자성체(150)의 위치 변화를 설정된 제2분해능 각도 단위로 감지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위치감지부(161)와 제2위치감지부(162)는, 각각 상기 제1자성체(140)와 상기 제2자성체(150)의 위치를 12BIT로 분해하여 감지할 수 있는 칩(Chip)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위치감지부(161)와 제2위치감지부(162)는 1회전을 212=4096으로 나눈 각도, 즉 (360도/4096)≒0.09도의 분해능으로 제1자성체(140)와 제2자성체(150)의 위치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에는, 입력부(170)를 통하여 입력되는 드럼(110)의 목표 회전수와, 상기 제1분해능 각도, 및 상기 제2분해능 각도에 해당하는 데이터와, 상기 제1위치감지부(161)가 감지한 제1자성체(140)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감지부(162)가 감지한 제2자성체(150)의 위치 정보가 입력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드럼(110)의 목표 회전수는 드럼(110)의 외주면에 지폐가 감겨져 저장된 상태로부터 지폐가 되감겨져 완전히 방출될 때까지 필요한 드럼(110)의 회전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180)는, 상기 입력된 데이터와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도 5 내지 도 7에 예시된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테스트 결과값과 대비하여 현재 드럼(110)이 회전된 위치를 추적하고, 드럼(110)이 설정된 목표 위치까지 회전되도록 드럼(110)을 회전 구동하는 드럼 구동부(191)와,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 구동부(192)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드럼(110)이 정지한 초기 설정 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감지부(161)가 감지한 제1자성체(140)의 위치와, 상기 제2위치감지부(162)가 감지한 제2자성체(150)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자성체(140)와 제2자성체(150)의 원점을 저장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드럼(110)이 정지한 초기 설정 위치는, 상기 드럼(110)에 감겨 있던 테이프와 지폐가 상기 드럼(110)으로부터 모두 방출된 상태일 때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위치감지부(161)와 제2위치감지부(162)가 감지하는 제1자성체(140)와 제2자성체(150)의 위치 변화를 상기 제1자성체(140)와 제2자성체(150)의 원점과 비교하여, 드럼(110)이 초기 설정 위치인 원점으로부터 회전된 회전수를 산출하여 현재 드럼(110)이 회전된 위치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드럼(110)이 목표로 하는 위치까지 회전되어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드럼(110)의 목표 회전수를 상기 제1분해능 각도로 나눈 값인 제1순환주기와, 상기 드럼(110)의 목표 회전수를 상기 제2분해능 각도로 나눈 값인 제2순환주기를 산출하고, 상기 제1순환주기와 제2순환주기의 최소공배수(lcm)를 산출하여 제1자성체(140)와 제2자성체(150)가 설정된 원점으로 되돌아 올 때까지의 드럼(110)의 회전수를 산출함으로써, 드럼(110)이 현재 회전된 위치와, 앞으로 더욱 회전될 회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최소공배수(lcm)는 아래 [수학식 1]과 [수학식 2]의 조합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아래 식에서 a, b는 제1순환주기와 제2순환주기, lcm(a,b)는 제1순환주기와 제2순환주기의 최소공배수, gcd(a,b)는 제1순환주기와 제2순환주기의 최대공약수, Cn(t)는 라마누잔합 함수를 나타낸 것이며, 이들 수학식 1, 2는 최소공배수를 산출하기 위한 공지된 수학식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170)를 통하여 제1위치감지부(161)와 제2위치감지부(162)에 분해능을 설정하고 드럼(110)을 회전시키게 되면, 제어부(180)는 제1위치감지부(161)와 제2위치감지부(162)에서 감지되는 측정값과 기 측정된 원점을 상호 비교하여 드럼(110)이 원점으로부터 회전된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하여 제어부(180)는 드럼(110)이 목표 회전수에 도달하여 정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드럼(110)의 감가속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드럼(110)이 목표 회전수에 도달하여 정위치에서 정지되도록 드럼(110)의 정지 구간을 설정하여 상기 드럼(110)의 오버런이 방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100)를 이용한 드럼(110)의 위치 제어 과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실시예는, 제1기어(120)와 제2기어(130) 이외에 추가적으로 제3기어와 제4기어를 더 포함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는 드럼(110)의 목표 회전수를 360회전으로 설정하고, 360도 회전을 1도 단위로 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 경우이다.
4개의 기어로 드럼(110)의 360회전을 1도 단위로 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경우, 아래와 같이 각 기어별로 순환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제1기어 = 45도 분해능 각도 → 360회전/45도 = 제1순환주기 8
제2기어 = 36도 분해능 각도 → 360회전/36도 = 제2순환주기 10
제3기어 = 30도 분해능 각도 → 360회전/30도 = 제2순환주기 12
제4기어 = 20도 분해능 각도 → 360회전/20도 = 제2순환주기 18
도 5 내지 도 7에서 사각형으로 표기한 것은 각 기어별 순환주기 및 원점을 나타낸 것이다.
위와 같이 4개의 기어로 조합을 맞출 경우 아래와 같이 최소공배수를 산출하여 초기 원점으로 되돌아올때까지의 드럼(110)의 회전수를 산출할 수 있다.
lcm(8, 10, 12, 18) = |8*10*12*18|/gcd(8, 10, 12, 18) = 360회전
위와 같이 4개의 기어로 알고리즘을 작성하여 진행하게 되면 원가적으로 손해는 물론이고, 여러 기어를 조합함에 따른 백래쉬에 의해 누적오차도 발생하게 되므로, 이하에서는 2개의 기어로 분해능의 폭을 줄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나타낸 실시예는, 제1기어(120)와 제2기어(130)를 조합하고, 360회전을 1도 단위로 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경우, 아래와 같이 각 기어별로 순환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제1기어 = 8도 분해능 각도 → 360회전/8도 = 제1순환주기 45
제2기어 = 15도 분해능 각도 → 360회전/15도 = 제2순환주기 24
위와 같이 2개의 기어로 조합을 맞출 경우 아래와 같이 최소공배수를 산출하여 초기 원점으로 되돌아올때까지의 드럼(110)의 회전수를 산출할 수 있다.
lcm(45, 24) = |45*24|/gcd(45, 24) = 360회전
위의 예시 이외에 좀 더 완화된 조건인 제1기어와 제2기어의 분해능 각도를 8도, 45도로 설정하여 360회전을 1도 단위로 감지할 수도 있다.
제1기어 = 8도 분해능 각도 → 360회전/8도 = 제1순환주기 45
제2기어 = 45도 분해능 각도 → 360회전/45도 = 제2순환주기 8
lcm(45, 8) = |45*8|/gcd(45, 8) = 360회전
다른 실시예로, 정밀도를 높여 360회전을 0.5도 단위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기어의 분해능 각도를 8도로 설정하고, 제2기어의 분해능 각도를 22.5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아래와 같이 드럼(110)이 720회전하게 되면 다시 원점으로 복귀하게 된다.
제1기어 = 8도 분해능 각도 → 360회전/8도 = 제1순환주기 45
제2기어 = 22.5도 분해능 각도 → 360회전/22.5도 = 제2순환주기 16
lcm(45, 16) = |45*16|/gcd(45, 16) = 720회전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드럼(110)의 목표 회전수를 설정하고, 제1위치감지부(161)의 제1분해능 각도와, 제2위치감지부(162)의 제2분해능 각도를 설정하고, 제1기어(120)에 구비된 제1자성체(140)와, 제2기어(120)에 구비된 제2자성체(15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면서 초기 설정된 원점과 상호 대비하여 현재 드럼(110)이 회전된 위치를 정확하게 추적함으로써, 드럼(110)이 설정된 위치, 예를들어 드럼(110)의 목표 회전수까지 회전되도록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드럼(110)의 절대적인 원점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드럼(110)의 감가속 시간을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드럼(110)이 회전되는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드럼(110)의 오버런 현상을 방지하여 테이프의 수명 단축을 방지하고, 지폐의 집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110 : 드럼
111 : 회전축 120 : 제1기어
130 : 제2기어 131,132 : 탄성부재
140 : 제1자성체 150 : 제2자성체
161 : 제1위치감지부 162 : 제2위치감지부
170 : 입력부 180 : 제어부
191 : 드럼 구동부 192 : 반송로 구동부

Claims (8)

  1.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가 저장되는 에스크로 유닛에 구비된 드럼이 회전되는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로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된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의 일측에 기어결합되는 제2기어;
    상기 제1기어의 회전중심에 구비된 제1자성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중심에 구비된 제2자성체;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1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설정된 제1분해능 각도 단위로 감지하는 제1위치감지부;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2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설정된 제2분해능 각도 단위로 감지하는 제2위치감지부; 및
    상기 제1위치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제1자성체의 위치 변화와, 상기 제2위치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제2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기준으로,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정지한 초기 설정 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1자성체의 위치와 상기 제2위치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2자성체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의 원점을 각각 저장하고,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위치감지부와 제2위치감지부가 감지하는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의 원점과 비교하여 상기 드럼이 상기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회전된 회전수를 산출하여 상기 드럼이 회전되는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목표 회전수와, 상기 제1분해능 각도, 및 상기 제2분해능 각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드럼의 목표 회전수를 상기 제1분해능 각도로 나눈 값인 제1순환주기와, 상기 드럼의 목표 회전수를 상기 제2분해능 각도로 나눈 값인 제2순환주기를 산출하고, 상기 제1순환주기와 상기 제2순환주기의 최소공배수를 산출하여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가 설정된 원점으로 되돌아 올 때까지의 상기 드럼의 회전수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드럼이 현재 회전된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상기 목표 회전수에 도달하여 정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드럼의 감가속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상기 목표 회전수에 도달하여 정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드럼의 정지 구간을 설정하여 상기 드럼의 오버런이 방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감지부와 상기 제2위치감지부는 각각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의 위치를 12BIT로 분해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앤티 백래쉬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정지한 초기 설정 위치는, 상기 드럼에 감겨 있던 테이프와 지폐가 상기 드럼으로부터 모두 방출된 상태일 때의 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KR1020210176885A 2021-12-10 2021-12-10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KR102621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885A KR102621312B1 (ko) 2021-12-10 2021-12-10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PCT/KR2022/017639 WO2023106655A1 (ko) 2021-12-10 2022-11-10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885A KR102621312B1 (ko) 2021-12-10 2021-12-10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057A true KR20230088057A (ko) 2023-06-19
KR102621312B1 KR102621312B1 (ko) 2024-01-04

Family

ID=8673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885A KR102621312B1 (ko) 2021-12-10 2021-12-10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1312B1 (ko)
WO (1) WO202310665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0162A1 (en) * 2009-10-06 2011-04-07 Asm Automation Sensorik Messtechnik Gmbh Assembly for detecting more than one rotation through a position encoder magnet
JP2013525926A (ja) * 2010-05-05 2013-06-20 ヴィンコール ニクスドルフ インテルナチオナー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有価券を運搬および/または保管するための装置
JP2016095700A (ja) * 2014-11-14 2016-05-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20180106561A (ko) * 2017-03-21 2018-10-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다회전 앱솔루트 엔코더, 다회전 앱솔루트 엔코더의 회전수 검출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813A (ko) * 2008-12-31 2010-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8338B1 (ko) * 2012-12-31 2015-04-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KR102323433B1 (ko) * 2015-05-28 2021-11-09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JP6658208B2 (ja) * 2016-03-30 2020-03-04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システム
KR20200142387A (ko) * 2019-06-12 2020-12-22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0162A1 (en) * 2009-10-06 2011-04-07 Asm Automation Sensorik Messtechnik Gmbh Assembly for detecting more than one rotation through a position encoder magnet
JP2013525926A (ja) * 2010-05-05 2013-06-20 ヴィンコール ニクスドルフ インテルナチオナー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有価券を運搬および/または保管するための装置
JP2016095700A (ja) * 2014-11-14 2016-05-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20180106561A (ko) * 2017-03-21 2018-10-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다회전 앱솔루트 엔코더, 다회전 앱솔루트 엔코더의 회전수 검출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312B1 (ko) 2024-01-04
WO2023106655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0905A (en) Method and device for angular measurement of a rotatable body
US5608394A (en) Position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EP2609399B1 (en) Apparatus adapted to provide an indication of an angular position of an input member over multiple turns
US5532583A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position sensing system
US6914543B2 (en) Method for initializing position with an encoder
JP6445310B2 (ja) マルチターン‐ロータリエンコーダ
US84618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isplacements of displaceable members
WO2006003452A2 (en) Scale reading apparatus
CN108120454B (zh) 一种增量编码器的角度检测方法
JPH0743134A (ja) 回転角検出装置
US20210325209A1 (en) Position encoder controller
KR20230088057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US5440602A (en) Method and device for counting clock pulses for measuring period length
JPH01414A (ja) 回転角検出装置
US5048063A (en) Machine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US66293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ity measurement
JP2006284388A (ja) 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の絶対値検出回路及び方法
KR940000366B1 (ko) 로보트의 위치검출방법
US4635507A (en) Angular indexing device and method for output shaft
CN110834984B (zh) 一种卷径计算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582529B1 (ko) 카운터 타입의 앱솔루트 엔코더
US20090192747A1 (e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measurement system
JP4858707B2 (ja) 変位検出装置
ITTV20070065A1 (it) Azionamento con migliorato sensore rotazionale
RU150007U1 (ru) Измеритель длины и скорости вытравленного кана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