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416A -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416A
KR20230087416A KR1020230048598A KR20230048598A KR20230087416A KR 20230087416 A KR20230087416 A KR 20230087416A KR 1020230048598 A KR1020230048598 A KR 1020230048598A KR 20230048598 A KR20230048598 A KR 20230048598A KR 20230087416 A KR20230087416 A KR 20230087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coupling hole
upper handrail
unit assembly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숙현
Original Assignee
박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숙현 filed Critical 박숙현
Priority to KR1020230048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7416A/ko
Publication of KR2023008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1Railings with an access door or the like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한쪽 단부에 제1 연결핀이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 제2 연결핀이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2 연결핀에 각각 인접하게 제1,2 결합구멍이 구비된 상부난간대; 상기 상부난간대보다 길이가 길며, 한쪽 단부에 제3 결합구멍이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 제4 결합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제4 결합구멍과 간격을 두고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제5 결합구멍이 구비된 경사부재; 상기 상부난간대의 제1 결합구멍과 경사부재의 제3 결합구멍을 관통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난간대와 경사부재를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상부난간대의 제2 결합구멍과 경사부재의 제4 결합구멍을 관통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난간대와 경사부재를 체결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작업이 안전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해체 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운반이 쉽고 설치 작업이 간단하다.

Description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SCAFFOLD UNIT ASSEMBLEY}
본 발명은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신축 작업 또는 유지보수 작업시 건축물의 높은 부분에서의 작업을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비계(scaffold)를 설치한다.
비계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다수 개의 수직비계파이프들과, 그 수직비계파이프들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비계파이프들과, 수직비계파이프들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발판들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비계를 설치시 수직비계파이프들을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수직비계파이프들에 수평비계파이프들을 배치시켜 연결수단으로 서로 연결시킨 다음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에 발판들을 수평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제1층 발판들을 설치한다. 그리고 제1층 발판들 위쪽으로 수직비계파이프들에 난간파이프들을 설치하고 이어 제1층 발판들 위쪽으로 설정된 높이에 발판들을 수평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제2층 발판들을 설치하고 이어 제2층 발판들 위쪽으로 수직파이프들에 난간파이프들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설정된 높이까지 비계를 설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비계 설치방법은 수직비계파이프들에 발판들을 설치하고 이어 그 발판들에서 난간파이프들을 설치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발판들에서 난간파이프들을 설치시 부주의로 낙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난간파이프들을 설치시 난간파이프들을 하나씩 수직비계파이프들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번거롭고 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작업이 안전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해체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이 쉽고 설치 작업이 간단한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쪽 단부에 제1 연결핀이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 제2 연결핀이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2 연결핀에 각각 인접하게 제1,2 결합구멍이 구비된 상부난간대; 상기 상부난간대보다 길이가 길며, 한쪽 단부에 제3 결합구멍이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 제4 결합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제4 결합구멍과 간격을 두고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제5 결합구멍이 구비된 경사부재; 상기 상부난간대의 제1 결합구멍과 경사부재의 제3 결합구멍을 관통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난간대와 경사부재를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상부난간대의 제2 결합구멍과 경사부재의 제4 결합구멍을 관통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난간대와 경사부재를 체결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상부난간대는 양쪽 단부에 상기 제1,2 결합구멍이 구비된 베이스파이프와, 상기 베이스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2 연결구와, 상기 제1,2 연결구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2 연결구는 각각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파이프의 단부가 결합되는 파이프결합홈과,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는 디스크삽입슬롯과, 상기 몸체부에 디스크삽입슬롯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핀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연결핀은 각각 균일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핀몸체와, 상기 핀몸체의 하단부 양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하부걸림돌기들과, 상기 핀몸체의 상단부에 한쪽면에 돌출 형성되는 상부걸림돌기와, 상기 핀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는 제1,2 연결핀이 구비된 상부난간대와, 그 상부난간대의 양단부에 제1,2 착탈부재에 의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부재를 포함하게 되므로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의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운반이 쉽고 설치가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 조립방법은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의 제2 체결부재를 풀고 상부난간대에 중간난간대를 제2 체결부재로 연결하고 작업자가 중간난간대와 경사부재를 집고 상부난간대를 위쪽에 위치하는 두 개의 수직파이프의 고정디스크에 걸치고 이어 발판들을 설치한 다음 그 발판에서 작업자가 상부난간대와 중간난간대를 두 개의 수직파이프의 고정디스크에 연결하는 것을 반복하게 되므로 설치작업이 안전하게 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해체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의 일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의 일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난간대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난간대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의 일실시예에 중간난간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를 구비한 시스템 비계 조립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7 ~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를 구비한 시스템 비계 조립과정을 순서적으로 각각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의 일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의 일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난간대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난간대의 일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2,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의 일실시예는, 상부난간대(10), 경사부재(20), 제1 체결부재(30), 제2 체결부재(40)를 포함한다.
상부난간대(10)의 일예로, 상부난간대(10)는 양쪽 단부에 제1,2 결합구멍(1)(2)이 구비된 베이스파이프(11)와, 그 베이스파이프(1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2 연결구(12)(13)와, 그 제1,2 연결구(12)(13)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연결핀(14)(15)을 포함한다.
베이스파이프(11)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원형 파이프이며, 제1 결합구멍(1)과 베이스파이프(11)의 한쪽 끝 거리는 제2 결합구멍(2)과 베이스파이프(11)의 다른 한쪽 끝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연결구(12)(13)는 각각,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3)와, 그 몸체부(3)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베이스파이프(11)의 단부가 결합되는 파이프결합홈(4)과, 몸체부(3)의 타측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는 디스크삽입슬롯(5)과, 몸체부(3)에 디스크삽입슬롯(5)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핀삽입홀(6)을 포함한다. 몸체부(3)의 일측은 디스크삽입슬롯(5)에 의해 몸체상부와 몸체하부로 분리된다. 핀삽입홀(6)은 사각단면을 가지며 몸체부(3)의 하면부터 위쪽으로 설정된 깊이로 형성된 하부수직홀부(6a)와, 몸체부(3)의 상면으로부터 하부수직홀부(6a)에 관통되되 하부수직홀부(6a)의 사각단면보다 작은 사각단면을 가지는 상부수직홀부(6b)와, 하부수직홀부(6a)와 상부수직홀부(6b)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단턱부(6c)와, 상부수직홀부(6b)에 가로질러 형성되는 삽입홀부(6d)를 포함한다. 하부수직홀부(6a)는 몸체하부를 관통하여 몸체상부의 일부분까지 형성된다.
제1,2 연결핀(14)(15)은 각각 균일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핀몸체(7)와, 그 핀몸체(7)의 하단부 양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하부걸림돌기(8)들과, 핀몸체(7)의 상단부에 한쪽면에 돌출 형성되는 상부걸림돌기(9)와, 핀몸체(7)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경사면(7a)을 포함한다.
제1 연결핀(14)은 제1 연결구(12)에 결합시 제1 연결구(12)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결합되되, 하부걸림돌기(8)들이 제1 연결구(12)의 핀삽입홀(6)의 삽입홀부(6d)에 삽입됨과 동시에 핀몸체(7)가 핀삽입홀(6)의 상부수직홀부(6b)에 삽입되어 제1 연결핀(14)의 하단부가 핀삽입홀(6)의 하부수직홀부(6a)를 관통하여 아래로 돌출되면서 제1 연결핀(14)의 상부걸림돌기(9)가 제1 연결구(12)의 상면에 걸려 지지된다. 한편, 제1 연결핀(14)의 상단을 집고 제1 연결핀(14)을 수직방향으로 올리게 되면 제1 연결핀(14)이 위로 이동하면서 제1 연결핀(14)의 하부걸림돌기(8)들이 단턱부(6c)에 걸리게 된다.
경사부재(20)의 일예로, 경사부재(20)는 상부난간대(10)보다 길이가 긴 베이스파이프(21)와, 베이스파이프(21)의 한쪽 단부에 형성되는 제3 결합구멍(22)과, 베이스파이프(21)의 다른 한쪽에 형성되는 제4 결합구멍(23)과, 제4 결합구멍(23)과 간격을 두고 베이스파이프(21)의 다른 한쪽 단부에 형성되는 제5 결합구멍(24)을 포함한다. 경사부재(20)의 제3,4 결합구멍(22)(23)의 거리는 상부난간대(10)의 제1,2 결합구멍(1)(2)의 거리와 같다.
제1 체결부재(30)는 상부난간대(10)의 제1 결합구멍(1)과 경사부재(20)의 제3 결합구멍(22)을 관통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난간대(10)와 경사부재(20)를 체결한다. 제1 체결부재(30)의 일예로, 제1 체결부재(30)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한다. 다른 일예로, 머리가 구비된 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체결부재(3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40)는 상부난간대(10)의 제2 결합구멍(2)과 경사부재(20)의 제4 결합구멍(23)을 관통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난간대(10)와 경사부재(20)를 체결한다. 제2 체결부재(40)의 일예로, 제2 체결부재(40)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한다. 다른 일예로, 머리가 구비된 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체결부재(4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30)와 제2 체결부재(40)는 서로 같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일실시예는, 상부난간대(10)와 경사부재(20)가 제1,2 체결부재(30)(40)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적재하거나 운반하게 된다. 한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를 시스템 비계를 조립시 조립장소에 운반된 상태에서 제2 체결부재(40)의 체결을 해제하고 제1 체결부재(30)를 축으로하여 상부난간대(10)와 경사부재(20)가 수직을 이루도록 상부난간대(10)와 경사부재(20)를 벌리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난간대(10')의 한쪽을 상부난간대(10)의 제2 결합구멍(2)에 제2 체결유닛(40)으로 체결시킨다.
중간난간대(10')는 양쪽 단부에 제1,2 결합구멍이 구비된 베이스파이프(11')와, 그 베이스파이프(1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2 연결구(12')(13')와, 그 제1,2 연결구(12')(13')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연결핀(14')(15')을 포함한다. 즉, 중간난간대(10')는 상부난간대(10)와 구성이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를 구비한 시스템 비계 조립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를 구비한 시스템 비계 조립과정을 순서적으로 각각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를 구비한 시스템 비계 조립방법의 일실시예는, 먼저, 복수 개의 핀연결구멍(51)들이 구비된 고정디스크(50)가 간격을 두고 각각 다수 개 결합된 수직파이프(60)들을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두 개의 열로 배열시키면서 수직파이프(60)들의 하단에 제1층 발판(70)들을 설치하는 단계(S10)가 진행된다(도 7 참조).
수직파이프(60)들이 건물에 인접하게 설치될 경우 두 개의 열은 건물의 외벽을 따라 설치된다. 한 개의 열을 이루는 수직파이프(60)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각각 수직으로 세워지며, 두 개의 열로 배열되는 수직파이프(60)들은 서로 일대일 대응되게 배열된다.
고정디스크(50)는 균일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판부(52)와, 그 판부(52)의 가운데 형성되어 수직파이프(60)가 관통 결합되는 축결합구멍(53)과, 그 축결합구멍(53)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핀연결구멍(51)들을 포함한다. 핀연결구멍(51)은 사각형의 메인구멍과, 그 메인구멍의 한쪽변에 사각형의 개구형태로 형성된 개구구멍으로 이루어진다. 핀연결구멍(51)들은 네 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네 개의 핀연결구멍(51)들은 서로 균일한 간격을 갖는다.
수직파이프(60)들을 두 개의 열로 배열시킨 다음 제1층 발판(70) 위쪽에 위치하도록 수직파이프(60)들의 고정디스크(50)에 하부난간대를 설치하는 단계(S11)가 진행된다.
하부난간대(10")는 양쪽 단부에 제1,2 결합구멍이 구비된 베이스파이프와, 그 베이스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2 연결구와, 그 제1,2 연결구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연결핀을 포함한다. 하부난간대(10")는 상부난간대(10)와 구성이 같다.
하부난간대(10")는 수직파이프(60)의 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수직파이프(60)의 고정디스크(50)에 연결한다. 이때, 하부난간대(10")의 제1 연결핀을 위로 당긴 상태에서 제1 연결구의 디스크삽입슬롯에 고정디스크(50)의 일부분을 삽입시키고 제1 연결핀을 아래로 밀어 고정디스크(50)의 핀연결구멍(51)을 관통시켜 연결한다(도 3 참조). 하부난간대(10")의 제2 연결핀과 제2 연결구도 같은 방식으로 연결시킨다.
수직파이프(60)들에 하부난간대(10")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시킨 다음 제1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제2 체결부재(40)를 풀어 상부난간대(10)와 경사부재(20)의 한쪽 체결을 해제하는 단계(S12)가 진행된다. 제1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난간대(10), 경사부재(20), 제1 체결부재(30), 제2 체결부재(40)로 구성된다. 작업자가 제1층 발판(70)에 올라선 상태에서 제1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제2 체결부재(40)를 푼다.
제1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제2 체결부재(40)를 푼 다음 상부난간대(10)의 제2 결합구멍(2)에 중간난간대(10')의 한쪽을 제2 체결부재(40)로 체결하여 경사부재(20)와 한쪽이 연결된 상부난간대(10)에 중간난간대(10')를 연결하는 단계(S13)가 진행된다. 중간난간대(1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상부난간대(10)에 중간난간대(10')를 연결한 다음 하부난간대(10") 위쪽에 위치하도록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수직파이프(60)들의 고정디스크(50)에 상부난간대(10)를 걸치되, 중간난간대(10')와 경사부재(20)가 아래로 향하도록 상부난간대(10)의 제1,2 연결핀(14)(15)을 고정디스크(50)의 핀연결구멍(51)에 걸치는 단계(S14)가 진행된다(도 8 참조).
즉, 작업자는 중간난간대(10')와 경사부재(20)를 상부난간대(10)에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중간난간대(10')와 경사부재(20)를 집어 올려 상부난간대(10)의 제1,2 연결핀(14)(15)을 두 개의 수직파이프(60)들의 고정디스크 핀연결구멍(51)에 각각 걸치게 된다.
제1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를 수직파이프(60)들의 열 방향으로 동일 선상으로 걸친 다음 걸쳐진 상부난간대(10)와 하부난간대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직파이프(60)들에 제2층 발판(71)을 설치하는 단계(S15)가 진행된다(도 9 참조).
제2층 발판(71)들은 수평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제2층 발판(71)은 고정디스크(5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층 발판(71)들을 수평 방향으로 설치한 다음, 제1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에 결합된 중간난간대(10')를 걸쳐진 상부난간대(10)로부터 분리하여 중간난간대(10')를 상부난간대(10)와 제2층 발판(71)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직파이프(60)들의 고정디스크(50)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걸쳐진 상부난간대(10)의 제1,2 연결핀(14)(15)을 고정디스크들에 각각 고정 결합시키는 단계(S16)가 진행된다(도 10 참조).
상부난간대(10)의 제1 연결핀(14)을 고정디스크(50)에 고정 결합시키는 과정은 제1 연결핀(14)을 위로 이동시킨 다음 상부난간대 제1 연결구(12)의 디스크삽입슬롯(5)에 고정디스크(50)의 일부분을 삽입시키고 제1 연결핀(14)을 아래로 압입하여 제1 연결핀(14)의 핀몸체(7) 하부를 고정디스크(50)의 핀연결구멍(51)에 관통 압입시켜 결합시킨다. 상부난간대(10)의 제2 연결핀(15)도 같은 방식으로 고정 결합시킨다. 중간난간대(10')를 수직파이프(60)들의 고정디스크(50)에 결합하는 방식도 상부난간대(10)를 수직파이프(60)들의 고정디스크(50)에 결합하는 방식과 같다.
이때, 작업자는 제2층 발판(71)들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하게 된다. 제1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경사부재(20)는 상부난간대(10)에 연결된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이어, 제2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제2 체결부재(40)를 풀어 상부난간대(10)와 경사부재(20)의 한쪽 체결을 해제하는 단계(S17)가 진행된다. 제2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는 제1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구성과 같다. 이때, 작업자는 제2층 발판(71)들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하게 된다.
제2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제2 체결부재(40)를 푼 다음 제2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상부난간대(10)의 제2 결합구멍(2)에 중간난간대(10')의 한쪽을 제2 체결부재(40)로 체결하여 경사부재(20)와 한쪽이 연결된 상부난간대(10)에 중간난간대(10')를 연결하는 단계(S18)가 진행된다.
제2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상부난간대(10)에 중간난간대(10')를 연결한 다음, 제1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상부난간대(10) 위쪽에 위치하도록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수직파이프(60)들의 고정디스크(50)에 제2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상부난간대(10)를 걸치되, 중간난간대(10')와 경사부재(20)가 아래로 향하도록 상부난간대(10)의 제1,2 연결핀(14)(15)을 고정디스크(50)의 핀연결구멍(51)에 걸치는 단계(S19)가 진행된다(도 11 참조).
즉, 작업자는 중간난간대(10')와 경사부재(20)를 상부난간대(10)에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중간난간대(10')와 경사부재(20)를 집어 올려 상부난간대(10)의 제1,2 연결핀(14)(15)을 두 개의 수직파이프(60)들의 고정디스크 핀연결구멍(51)에 각각 걸치게 된다.
제2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를 수직파이프(60)들의 열 방향으로 동일 선상으로 걸친 다음, 그 걸쳐진 상부난간대(10)와 제1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상부난간대(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직파이프(60)들에 제3층 발판(72)들을 설치하는 단계(S20)가 진행된다(도 11 참조). 제3층 발판(72)들은 수평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제3층 발판(72)은 고정디스크(5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층 발판(72)들을 수평 방향으로 설치한 다음, 제2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에 결합된 중간난간대(10')를 걸쳐진 상부난간대(10)로부터 분리하여 중간난간대(10')를 상부난간대(10)와 제3층 발판(72)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직파이프(60)들의 고정디스크(50)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걸쳐진 상부난간대(10)의 제1,2 연결핀(14)(15)을 고정디스크(50)들에 각각 고정 결합시키는 단계(S21)가 진행된다(도 11 참조).
상부난간대(10)의 제1,2 연결핀(14)(15)을 고정디스크(50)들에 각각 고정 결합시키는 과정과, 중간난간대(10')를 고정디스크(500들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각각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때, 작업자는 제3층 발판(72)들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하게 된다. 제2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경사부재(20)는 상부난간대(10)에 연결된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이어, 제2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경사부재(20)를 경사지게 위치시켜 경사부재(20)의 다른 한쪽을 제1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상부난간대(10)에 연결시키고, 제1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경사부재(20)를 경사지게 위치시켜 하부난간대(10")에 연결시키는 단계(S22)가 진행된다(도 12 참조). 경사부재(20)의 다른 한쪽은 상부난간대(10)의 제2 연결구멍(2)에 연결되고 다른 경사부재(20)는 하부난간대(10")의 제2 연결구멍(2)에 연결된다.
위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설정된 높이의 시스템 비계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는 제1,2 연결핀(14)(15)이 구비된 상부난간대(10)와, 그 상부난간대(10)의 양단부에 제1,2 착탈부재(30)(40)에 의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부재(20)를 포함하게 되므로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운반이 쉽고 설치가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 조립방법은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A)의 제2 체결부재(40)를 풀고 상부난간대(10)에 중간난간대(10')를 제2 체결부재(40)로 연결하고 작업자가 중간난간대(10')와 경사부재(20)를 집고 상부난간대(10)를 위쪽에 위치하는 두 개의 수직파이프(60)의 고정디스크(50)에 걸치고 이어 발판들을 설치한 다음 그 발판에서 작업자가 상부난간대(10)와 중간난간대(10')를 두 개의 수직파이프(60)의 고정디스크(50)에 연결하는 것을 반복하게 되므로 설치작업이 안전하게 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해체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10; 상부난간대 20; 경사부재
30; 제1 체결부재 40; 제2 체결부재

Claims (3)

  1. 한쪽 단부에 제1 연결핀이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 제2 연결핀이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2 연결핀에 각각 인접하게 제1,2 결합구멍이 구비된 상부난간대;
    상기 상부난간대보다 길이가 길며, 한쪽 단부에 제3 결합구멍이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 제4 결합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제4 결합구멍과 간격을 두고 다른 한쪽 단부에 구비되는 제5 결합구멍이 구비된 경사부재;
    상기 상부난간대의 제1 결합구멍과 경사부재의 제3 결합구멍을 관통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난간대와 경사부재를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상부난간대의 제2 결합구멍과 경사부재의 제4 결합구멍을 관통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난간대와 경사부재를 체결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난간대는 양쪽 단부에 상기 제1,2 결합구멍이 구비된 베이스파이프와, 상기 베이스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2 연결구와, 상기 제1,2 연결구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 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2 연결구는 각각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파이프의 단부가 결합되는 파이프결합홈과,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는 디스크삽입슬롯과, 상기 몸체부에 디스크삽입슬롯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핀삽입홀을 포함하는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연결핀은 각각 균일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핀몸체와, 상기 핀몸체의 하단부 양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하부걸림돌기들과, 상기 핀몸체의 상단부에 한쪽면에 돌출 형성되는 상부걸림돌기와, 상기 핀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KR1020230048598A 2021-12-09 2023-04-13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KR20230087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8598A KR20230087416A (ko) 2021-12-09 2023-04-13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987A KR102523715B1 (ko) 2021-12-09 2021-12-09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시스템 비계 조립방법
KR1020230048598A KR20230087416A (ko) 2021-12-09 2023-04-13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987A Division KR102523715B1 (ko) 2021-12-09 2021-12-09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시스템 비계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416A true KR20230087416A (ko) 2023-06-16

Family

ID=861422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987A KR102523715B1 (ko) 2021-12-09 2021-12-09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시스템 비계 조립방법
KR1020230048598A KR20230087416A (ko) 2021-12-09 2023-04-13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987A KR102523715B1 (ko) 2021-12-09 2021-12-09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시스템 비계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37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1105B2 (ja) * 2001-04-20 2006-11-29 株式会社有弘メンテナンス 仮設構造物の構築方法とこれに用いる手摺り筋交い
KR102029907B1 (ko) * 2017-05-19 2019-11-15 (주)동은에프앤씨 시스템 동바리
KR102099446B1 (ko) * 2019-07-24 2020-04-09 박숙현 비계단위어셈블리, 그 비계단위어셈블리를 구비한 시스템 비계 및 그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715B1 (ko)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AU2018276231B2 (en) Movable platform for assembling lift equipment
SK743289A3 (en) Support system
EP3012385B1 (en) Scaffolding security railing
KR102235163B1 (ko) 교각 설치용 교량점검시설
KR101208892B1 (ko) 조립식 정자
KR20100123012A (ko) 건축용 비계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KR102523715B1 (ko) 경량형 비계단위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시스템 비계 조립방법
CA2638490A1 (en) Scaffolding safety device
CN110805289A (zh) 插接式卸料平台及施工方法
JP5789606B2 (ja) 方杖付つなぎ材および仮設足場
KR200445310Y1 (ko)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JP5809955B2 (ja) 仮設足場
EP3953542A1 (en) A connector for a modular decking system and a modular deck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4871654B2 (ja) 連結具
KR100406619B1 (ko) 슬라이드갱폼
KR101162471B1 (ko) 조립식 워킹 타워
JP2010071042A (ja) 仮設手摺
KR100497701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그 설치방법
JP7424694B1 (ja) 仮設ステージ
JP5502396B2 (ja) 手摺支柱および先行手摺
JPH0814198B2 (ja) 枠組み足場の組立方法及び枠組み足場の組立用ガイド金具
JP5745898B2 (ja) 先行手摺枠付き方杖型つなぎ材および仮設足場
KR100458945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그 설치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