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363A - 배수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363A
KR20230087363A KR1020220108555A KR20220108555A KR20230087363A KR 20230087363 A KR20230087363 A KR 20230087363A KR 1020220108555 A KR1020220108555 A KR 1020220108555A KR 20220108555 A KR20220108555 A KR 20220108555A KR 20230087363 A KR20230087363 A KR 20230087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pipe connection
sewer
sewag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507B1 (ko
Inventor
신상철
Original Assignee
신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철 filed Critical 신상철
Priority to PCT/KR2022/01967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06780A1/ko
Publication of KR20230087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배수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수관 연결부; 상기 배수관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하수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수관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수관 연결부는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관 연결부에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하수관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배수관 연결부와 연통하고, 상기 배수관 연결장치는 상기 하수관으로부터 상기 하수관 연결부에 유입된 냄새 또는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관 연결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관 연결장치 내에 머무르도록 구성된, 배수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관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DRAIN PIPE}
본 발명은 배수관 연결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 등의 물 사용장치의 하측에 연결되는 배수관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된다. 배수관이 외부로 노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으므로, 배수관을 가리기 위하여 세면대의 하부를 하측으로 길게 형성하여 배수관을 가리거나, 별도의 수납장을 세면대의 하부에 설치하여 배수관을 가리게 된다. 이로 인해, 세면대 설치비용의 증가 및 세면대 설치 시간의 지연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벽에 매립되며 배수관과 연결되는 하수관으로부터 악취 등의 냄새나 벌레 등의 이물질이 배수관에 유입될 수 있어서, 별도의 악취 및 벌레를 차단하는 제품을 구입하여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관을 벽에 매립된 하수관에 연결시키는 종래의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가 어려우며,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미관상 좋은 배수관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배수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수관 연결부; 상기 배수관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하수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수관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수관 연결부는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관 연결부에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하수관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배수관 연결부와 연통하고, 상기 배수관 연결장치는 상기 하수관으로부터 상기 하수관 연결부에 유입된 냄새 또는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관 연결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관 연결장치 내에 머무르도록 구성된, 배수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관 연결부는 내부에 물이 유동하기 위한 유동공간이 형성된 하수관 연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유동공간과 상기 배수관 연결부를 연통시키는 유동연결구멍이 형성되는, 배수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관 연결부는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유동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연장되는 물막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는 상기 유동연결구멍을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막이부재는 상단이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의 상단 보다 하측에 놓이고, 상기 유동연결구멍의 상단 보다 상측에 놓이도록 연장된, 배수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막이부재는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된, 배수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막이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물의 유동방향으로 볼록한 곡면판인, 배수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의 타측에는 복수 개의 절개부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의 타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배수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의 폭은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배수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에는,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고 외경이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의 타측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커지다가 작아지는 끼움턱부가 형성되는, 배수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에는, 상기 끼움턱부와 연결되며, 외경이 상기 하수관 연결부의 타측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직경 감소부가 형성되고, 상기 직경 감소부는 상기 하수관 연결부의 타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배수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외경이 커지는 상기 끼움턱부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곡면의 기울기는 외경이 감소하는 상기 끼움턱부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곡면의 기울기보다 큰, 배수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 연결부는, 내부에 상기 배수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배수관 연결구멍이 형성된 배수관 연결바디를 포함하는, 배수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 연결부는, 상기 배수관 연결구멍에 삽입된 상기 배수관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관 연결구멍에 놓이는 배수관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 연결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수관 지지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단차 형상을 가지는 지지턱이 형성된, 배수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판 형상이며,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는 상기 배수관 연결부가 연결되고 타면에는 상기 하수관 연결부가 연결되며 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수관이 매립된 벽에 밀착되는, 배수관 연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수관을 하수관에 연결시키는 배수관 연결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미관상 좋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가 물사용장치 중의 하나인 세면대에 연결된 배수관과 벽에 매립된 하수관에 각각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가 물사용장치 중의 하나인 세면대에 연결된 배수관과 벽에 매립된 하수관에 각각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를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하수관이 매립된 벽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의 하수관 연결부가 벽에 매립된 하수관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의 배수관 연결부에 물 사용장치 중의 하나인 세면대에 연결된 배수관이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가 물사용장치 중의 하나인 세면대에 연결된 배수관과 벽에 매립된 하수관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공급',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공급,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상단, 상측, 하측, 아래, 수직, 수평, 폭, 높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는 배수관(3)을 하수관(6)에 연결하여 배수관(3)으로 배수되는 물이 하수관(6)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배수관(3)은 물 사용장치(2)에 연결되고 하수관(6)은 벽(4)에 매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사용장치(2)는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일 수 있다. 그러나, 물 사용장치(2)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물 사용장치(2)는 하수관(6)이 매립된 벽(4)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물 사용장치(2)는 하수관(6)이 매립된 벽(4)이 아닌 다른 벽에 설치될 수도 있고 하수관(6)이 매립된 벽(4)에 설치되지 않고 하수관(6)이 매립된 벽(4)에 인접하게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는 하수관(6)의 악취 등의 냄새나 벌레 등의 이물질이 배수관(3)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는 하수관(6)으로부터 유입된 냄새 또는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3)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관 연결장치(1)로 유입된 물이 배수관 연결장치(1) 내에 머무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는 배수관 연결부(100), 지지부(200), 및 하수관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관 연결부(100)에는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의 물 사용장치(2) 등에 연결된 배수관(3)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배수관 연결부(100)는 배수관 연결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관 연결바디(110)에는 배수관 연결구멍(111)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관(3)의 적어도 일부가 배수관 연결구멍(111) 내부에 삽입되어, 배수관(3)이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배수관(3)의 적어도 일부가 배수관 연결구멍(111)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배수관(3)이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서 배수관(3)이 배수관 연결바디(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수관(3)이 배수관 연결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배수관(3)이 배수관 연결구멍(111)으로부터 빼내어 지는 것으로, 배수관(3)이 배수관 연결구멍(111)으로부터 분리되며, 이에 의해서 배수관(3)이 배수관 연결바디(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배수관(3)이 배수관 연결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배수관(3)이 배수관 연결부(100)에 용이하게 연결되거나 배수관(3)이 배수관 연결부(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관 연결구멍(111)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배수관 연결바디(110)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 사용장치(2) 등의 하측에 연결되어 물 사용장치(2) 등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배수관(3)의 적어도 일부가, 배수관 연결구멍(11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삽입되는 것으로,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삽입되어 연결된 배수관(3)의 적어도 일부가 배수관 연결구멍(11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배수관 연결구멍(111)으로부터 빼내어 지는 것으로, 배수관 연결구멍(11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배수관 연결구멍(111)이 배수관 연결바디(110)에 형성되는 방향과 배수관 연결구멍(111)이 개방되는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배수관 연결바디(110)에는 유동 가이드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공간(112)은 배수관 연결구멍(111)과, 지지부(200)에 형성되는 후술할 유동연결구멍(20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의 유동연결구멍(201)은 하수관 연결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하수관 연결바디(310)에 형성되는 유동공간(3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연결된 배수관(3)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유동 가이드공간(112)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유동 가이드공간(112)으로 유동한 물은 지지부(200)의 유동연결구멍(201)을 통과하여 하수관 연결부(300)의 유동공간(311)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2와 도 6을 참조하면, 배수관 연결부(100)는 배수관 지지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관 지지부재(120)는 배수관 연결바디(110)의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삽입된 배수관(3)을 지지하기 위하여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배수관 연결바디(110)의 내주면에는 단차 형상을 가지는 지지턱(111-1)이 형성되어 배수관 지지부재(1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수관 지지부재(120)에는 연통구멍(121)이 형성되어,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연결된 배수관(3)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배수관 연결바디(110) 내부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관(3)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배수관 지지부재(120)의 연통구멍(121)을 통과하여 유동 가이드공간(112)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배수관 연결부(100)는 필터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재(130)는 배수관 지지부재(120)에 접촉되도록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배수관(3)과 배수관 지지부재(120) 사이에 필터부재(130)가 위치할 수 있어서, 벌레 등의 이물질이 배수관(3)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배수관 연결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200)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배수관 연결부(100)의 배수관 연결바디(110)에는 평면인 연결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판 형상의 지지부(200)의 일면에 배수관 연결부(100)의 배수관 연결바디(110)의 연결면이 밀착되어 연결되는 것으로, 지지부(200)가 배수관 연결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수관 연결부(100)와 판 형성의 지지부(200)는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부(200)의 일면에 배수관 연결부(100)의 배수관 연결바디(110)의 연결면이 밀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배수관 연결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200)에는 유동연결구멍(201)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연결구멍(201)은 하수관 연결부(300)의 유동공간(311)과 배수관 연결부(10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연결구멍(201)은 하수관 연결부(300)의 유동공간(311)의 일측과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을 유동한 물은 유동연결구멍(201)을 통과하여 하수관 연결부(300)의 유동공간(311)으로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연결구멍(201)은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유동연결구멍(20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지지부(200)가 판 형상인 경우, 판 형상의 지지부(200)의 일면에는 배수관 연결부(100)가 연결되고 타면에는 하수관 연결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수관 연결부(300)가 벽(4)에 매립된 하수관(6)에 연결되면, 지지부(200)의 타면의 적어도 일부는 벽(4)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6)과 하수관 연결부(300)는 지지부(200)에 의해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며 배수관(3)이 연결된 배수관 연결부(100)와 지지부(200)만이 외부에서 보이기 때문에, 미관상 좋을 수 있다.
하수관 연결부(300)의 일측은 지지부(200)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200)는 판 형상이고, 판 형상의 지지부(200)의 일면에는 배수관 연결부(1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판 형상의 지지부(200)의 타면에는 하수관 연결부(300)의 일측이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판 형상의 지지부(200)와 하수관 연결부(300)는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부(200)의 타면에 하수관 연결부(300)가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하수관 연결부(300)의 일측이 지지부(200)에 지지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수관 연결부(300)의 타측은 하수관(6)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수관(6)은 벽(4)에 매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수관(6)은 벽(4)에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하수관 배치구멍(5)에 배치되어 벽(4)에 매립될 수 있다. 또한, 하수관 연결부(300)의 타측은 하수관 배치구멍(5)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하수관(6)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수관 연결부(300)의 타측이 벽(4)에 매립된 하수관(6)에 연결된 상태에서,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의 물 사용장치(2) 등에 연결된 배수관(3)이 배수관 연결부(100)의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삽입되는 것으로, 배수관(3)을 벽(4)에 매립된 하수관(6)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는 설치가 용이할 수 있으며,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의 물 사용장치(2) 등에 연결된 배수관(3)을 벽(4) 등에 매립된 하수관(6)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하수관 연결부(300)는 배수관(3)으로부터 배수관 연결부(100)에 유입되는 물이 하수관(6)으로 유동하도록 배수관 연결부(100)와 연통할 수 있다. 이러한 하수관 연결부(300)는 하수관 연결바디(310) 및 물막이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내부에는 물이 유동하기 위한 유동공간(311)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공간(311)의 일측은 배수관 연결부(100)의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관 연결부(100)의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연결된 배수관(3)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유동공간(311)으로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관 연결부(100)의 배수관 연결구멍(111)은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은 지지부(200)의 유동연결구멍(20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동공간(311)의 일측이 지지부(200)의 유동연결구멍(20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수관 연결바디(310)는 유동연결구멍(201)을 둘러싸도록 지지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유동공간(311)의 일측이 관 연결부(100)의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연결될 수 있다. 유동공간(311)의 타측은 하수관(6)에 연결될 수 있다. 하수관 연결부(300)가 벽(4) 등에 형성된 하수관 배치구멍(5)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하수관(6)에 연결되면, 유동공간(311)이 하수관(6)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동공간(311)을 유동한 물이 벽(4) 등에 매립된 하수관(6)에 유입되어 하수관(6)을 유동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에는 복수 개의 절개부(312)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며, 절개부(312)는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은 소정 개수의 부분으로 갈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에는 4 개의 절개부(312)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며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은 4개의 부분으로 갈라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의 변형이 용이해져서,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이 용이하게 하수관(6)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절개부(312)의 폭(W)은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의 변형이 더욱 용이해 질 수 있다. 한편, 절개부(312)에 의해서 소정 개수의 부분으로 갈라진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은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에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어서, 하수관(6)에 연결되기 위해서 변형된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이 하수관(6)에 연결된 후에는 변형 전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에는 직경 감소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직경 감소부(313)는 외경이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 단부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직경 감소부(313)는 내경도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 단부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직경 감소부(313)는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이 벽(4) 등에 매립된 하수관(6)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어서,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이 벽(4) 등에 매립된 하수관(6)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직경 감소부(313)는 후술할 끼움턱부(314)와 연결될 수 있다.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에는 끼움턱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턱부(314)는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볼록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끼움턱부(314)는 외경이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커지다가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끼움턱부(314)는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이 벽(4) 등에 매립된 하수관(6)에 연결될 때, 하수관(6) 내부에 끼워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이 벽(4) 등에 매립된 하수관(6)에 연결되었을 때, 하수관 연결바디(310)가 끼움턱부(314)에 의해서 하수관(6)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외경이 커지는 끼움턱부(314)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곡면의 기울기는 외경이 작아지는 끼움턱부(314)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곡면의 기울기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끼움턱부(314)가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에 형성되더라도,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이 용이하게 벽(4) 등에 매립된 하수관(6)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하수관(6)에 연결된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이 하수관(6)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끼움턱부(314)는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 단부 방향으로 직경 감소부(313) 전의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끼움턱부(314)는 직경 감소부(31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끼움턱부(314)가 형성되는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수관 연결바디(310)는 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하수관 연결바디(310)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형상이나 배치 방향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도 3과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물막이부재(320)는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내주면으로부터 유동공간(311)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물막이부재(320)는 상단이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상단 보다 하측에 놓이고 지지부(200)의 유동연결구멍(201)의 상단 보다 상측에 놓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배수관 연결부(100)에 연결된 배수관(3)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하수관 연결부(300)가 연결된 하수관(6)으로 유동할 때,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과 하수관 연결부(300)의 유동공간(311)에는 물막이부재(320)의 상단의 높이와 같은 수위로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수관(3)으로부터 물이 계속해서 배출되면,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으로 물이 계속해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의 물은 지지부(200)의 유동연결구멍(201)을 통해 유동공간(311)으로 유동하고 물막이부재(320)를 넘어 하수관(6)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물은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으로부터 지지부(200)의 유동연결구멍(201)을 통해 유동공간(311)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200)의 유동연결구멍(201)은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과 유동공간(311)에 채워진 물에 의해서 막힐 수 있다. 따라서, 하수관(6)으로부터 유동공간(311)에 유입된 악취 등의 냄새가 지지부(200)의 유동연결구멍(201)을 통해 배수관 연결부(100)에 연결된 배수관(3)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수관(6)으로부터 유동공간(311)에 유입된 벌레 등의 이물질은, 거의 대부분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과 유동공간(311)에 채워진 물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벌레 등의 이물질이 배수관 연결부(100)에 연결된 배수관(3)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과 유동공간(311)에 채워진 물에 있는 벌레 등의 이물질은, 하수관 연결부(300)를 하수관(6)으로부터 분리하고 유동 가이드공간(112)과 유동공간(311)에 채워진 물을 하수관 연결부(300)를 통해 외부로 버리는 것으로, 유동 가이드공간(112)과 유동공간(31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물막이부재(320)는 하수관 연결바디(310)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물막이부재(320)가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유동공간(311)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한다고 하더라도, 유동공간(311)으로부터 하수관(6)으로의 물이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막이부재(320)는 하수관 연결바디(310)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측으로 30도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물막이부재(320)가 하수관 연결바디(310)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물막이부재(320)는 적어도 일부가 물의 유동방향으로 볼록한 곡면판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물막이부재(320)가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유동공간(311)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한다고 하더라도, 유동공간(311)으로부터 하수관(6)으로의 물이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수관 연결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는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의 물 사용장치(2) 등에 연결된 배수관(3)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수관 연결부(100), 배수관 연결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 및 일측은 지지부(200)에 지지되고 타측은 벽(4) 등에 매립된 하수관(6)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수관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는 구조가 간단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의 하수관 연결부(300)가 연결되는 하수관(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4)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하수관 배치구멍(5)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는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 연결부(300)의 타측이 하수관 배치구멍(5)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하수관(6)에 연결될 수 있다. 하수관 연결부(300)의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은 복수 개의 절개부(312)에 의해서 소정 개수의 부분으로 갈라져서 변형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에는 적어도 외경이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직경 감소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은 하수관 배치구멍(5)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하수관(6)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하수관(6)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에는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끼움턱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수관(6)에 연결된 하수관 연결바디(310)의 타측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벽(4)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수관 연결부(300)의 타측이, 벽(4) 등에 매립된 하수관(6)에 연결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의 물 사용장치(2) 등에 연결된 배수관(3)을 배수관 연결부(100)의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삽입하는 것으로, 배수관(3)을 배수관 연결부(100)에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에 의해서,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의 물 사용장치(2) 등에 연결된 배수관(3)과, 벽(4) 등에 매립된 하수관(6)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수관 연결부(300)를 벽(4) 등에 매립된 하수관(6)에 연결하고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의 물 사용장치(2) 등에 연결된 배수관(3)을 배수관 연결부(100)에 연결하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는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의 지지부(200)의 적어도 일부는 벽(4)에 밀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는 벽(4)의 하수관 배치구멍(5)이나 하수관 배치구멍(5)에 배치된 하수관(6)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의 하수관 연결부(300)는 보이지 않게 되어, 미관상 좋을 수 있다. 또한, 배수관(3)의 일부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의 배수관 연결부(100)의 배수관 연결구멍(111)에 삽입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배수관(3)의 일부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미관상 좋을 수 있다.
하수관 연결부(300)가 벽(4) 등에 매립된 하수관(6)에 연결되고 배수관 연결부(100)에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의 물 사용장치(2) 등에 연결된 배수관(3)이 연결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사용장치(2) 등으로부터 배수관(3)으로 배수되는 물이 하수관(6)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과 하수관 연결부(300)의 유동공간(311)에는, 유동공간(311)의 물막이부재(320)에 의해서, 유동공간(311)의 상단 보다는 낮으나 지지부(200)의 유동연결구멍(201)의 상단 보다 높은 수위로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즉,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과 하수관 연결부(300)의 유동공간(311)에는 물막이부재(320)의 상단의 높이와 같은 수위로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수관(3)으로부터 물이 계속해서 배출되면,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의 물은 지지부(200)의 유동연결구멍(201)을 통해 유동공간(311)으로 유동하고 물막이부재(320)를 넘어 하수관(6)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물은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으로부터 지지부(200)의 유동연결구멍(201)을 통해 하수관 연결부(300)의 유동공간(311)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200)의 유동연결구멍(201)은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과 하수관 연결부(300)의 유동공간(311)에 채워진 물에 의해서 막힐 수 있다. 따라서, 하수관(6)으로부터 하수관 연결부(300)의 유동공간(311)에 유입된 악취 등의 냄새가 지지부(200)의 유동연결구멍(201)을 통해 배수관 연결부(100)에 연결된 배수관(3)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수관(6)으로부터 하수관 연결부(300)의 유동공간(311)에 유입된 벌레 등의 이물질은, 거의 대부분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과 하수관 연결부(300)의 유동공간(311)에 채워진 물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벌레 등의 이물질이 배수관 연결부(100)에 연결된 배수관(3)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수관 연결부(100)의 유동 가이드공간(112)과 하수관 연결부(300)의 유동공간(311)에 채워진 물에 있는 벌레 등의 이물질은, 하수관 연결부(300)를 하수관(6)으로부터 분리하고 유동 가이드공간(112)과 하수관 연결부(300)의 유동공간(311)에 채워진 물을 하수관 연결부(300)를 통해 외부로 버리는 것으로, 유동 가이드공간(112)과 유동공간(31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의 물 사용장치(2) 등에 연결된 배수관(3)이 배수관 연결부(100)의 배수관 연결구멍(11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상태에서, 하수관 연결부(300)가 벽(4) 등에 매립된 하수관(6)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연결장치(1)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배수관 연결장치 2 : 물 사용장치
3 : 배수관 4 : 벽
5 : 하수관 배치구멍 6 : 하수관
100 : 배수관 연결부 110 : 배수관 연결바디
111 : 배수관 연결구멍 111-1 : 지지턱
112 : 유동 가이드공간 120 : 배수관 지지부재
121 : 연통구멍 130 : 필터부재
200 : 지지부 201 : 유동연결구멍
300 : 하수관 연결부 310 : 하수관 연결바디
311 : 유동공간 312 : 절개부
313 : 직경 감소부 314 : 끼움턱부
320 : 물막이부재 W : 폭

Claims (13)

  1. 배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배수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수관 연결부;
    상기 배수관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하수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수관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수관 연결부는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상기 배수관 연결부에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하수관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배수관 연결부와 연통하고,
    상기 배수관 연결장치는 상기 하수관으로부터 상기 하수관 연결부에 유입된 냄새 또는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관 연결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수관 연결장치 내에 머무르도록 구성된,
    배수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 연결부는 내부에 물이 유동하기 위한 유동공간이 형성된 하수관 연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유동공간과 상기 배수관 연결부를 연통시키는 유동연결구멍이 형성되는,
    배수관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 연결부는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유동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연장되는 물막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는 상기 유동연결구멍을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막이부재는 상단이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의 상단 보다 하측에 놓이고, 상기 유동연결구멍의 상단 보다 상측에 놓이도록 연장된,
    배수관 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부재는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된,
    배수관 연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물의 유동방향으로 볼록한 곡면판인,
    배수관 연결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의 타측에는 복수 개의 절개부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의 타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배수관 연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폭은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배수관 연결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에는,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고 외경이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의 타측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커지다가 작아지는 끼움턱부가 형성되는,
    배수관 연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 연결바디에는, 상기 끼움턱부와 연결되며, 외경이 상기 하수관 연결부의 타측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직경 감소부가 형성되고,
    상기 직경 감소부는 상기 하수관 연결부의 타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배수관 연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외경이 커지는 상기 끼움턱부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곡면의 기울기는 외경이 감소하는 상기 끼움턱부의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곡면의 기울기보다 큰,
    배수관 연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연결부는,
    내부에 상기 배수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배수관 연결구멍이 형성된 배수관 연결바디를 포함하는,
    배수관 연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연결부는, 상기 배수관 연결구멍에 삽입된 상기 배수관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관 연결구멍에 놓이는 배수관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 연결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수관 지지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단차 형상을 가지는 지지턱이 형성된,
    배수관 연결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판 형상이며,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는 상기 배수관 연결부가 연결되고 타면에는 상기 하수관 연결부가 연결되며 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수관이 매립된 벽에 밀착되는,
    배수관 연결장치.
KR1020220108555A 2021-12-09 2022-08-29 배수관 연결장치 KR102628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9679 WO2023106780A1 (ko) 2021-12-09 2022-12-06 배수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828 2021-12-09
KR20210175828 2021-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363A true KR20230087363A (ko) 2023-06-16
KR102628507B1 KR102628507B1 (ko) 2024-01-24

Family

ID=8694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555A KR102628507B1 (ko) 2021-12-09 2022-08-29 배수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50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753A (ja) * 1993-10-13 1995-04-25 Inax Corp 洗面台等の排水トラップ構造
JPH084065A (ja) * 1994-06-16 1996-01-09 Ryowa Sanshi Kk 二重配管における水栓ジョイントボックスの取付け構造
JPH0913449A (ja) * 1995-07-04 1997-01-14 Mirai Ind Co Ltd ユニットバス用水栓取付ボックスの支持部材及び固定構造
JP2002227259A (ja) * 2001-02-02 2002-08-14 San-Ei Faucet Mfg Co Ltd 水道用コンセント
KR200356299Y1 (ko) * 2004-03-26 2004-07-15 이영구 세면대 배수관용 배수트랩
EP1593785A2 (en) * 2004-05-05 2005-11-09 Silfra S.P.A. A compact siphon construction for sanitary fittings
US7941878B1 (en) * 2007-07-23 2011-05-17 Daniel Danh Truong Sink drain system
JP2020084632A (ja) * 2018-11-28 2020-06-04 丸一株式会社 排水トラップ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753A (ja) * 1993-10-13 1995-04-25 Inax Corp 洗面台等の排水トラップ構造
JPH084065A (ja) * 1994-06-16 1996-01-09 Ryowa Sanshi Kk 二重配管における水栓ジョイントボックスの取付け構造
JPH0913449A (ja) * 1995-07-04 1997-01-14 Mirai Ind Co Ltd ユニットバス用水栓取付ボックスの支持部材及び固定構造
JP2002227259A (ja) * 2001-02-02 2002-08-14 San-Ei Faucet Mfg Co Ltd 水道用コンセント
KR200356299Y1 (ko) * 2004-03-26 2004-07-15 이영구 세면대 배수관용 배수트랩
EP1593785A2 (en) * 2004-05-05 2005-11-09 Silfra S.P.A. A compact siphon construction for sanitary fittings
US7941878B1 (en) * 2007-07-23 2011-05-17 Daniel Danh Truong Sink drain system
JP2020084632A (ja) * 2018-11-28 2020-06-04 丸一株式会社 排水トラ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507B1 (ko) 202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2554A (en) Retainer for flexible drain pipes
KR100938733B1 (ko) 배수트랩
KR20100042619A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KR20230087363A (ko) 배수관 연결장치
JP4842021B2 (ja) 排水トラップ
JP2019052422A (ja) 洗面器
KR101605286B1 (ko) 하수구 악취 방지 장치
JP4617415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90008537A (ko) 배수트랩
KR20210131203A (ko) 배수관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관 조립체
KR102090044B1 (ko) 배관 구조물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KR102047118B1 (ko) 자동조절 배수 장치
JP2007303193A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の封水高さ調整部材
JP356984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WO2023106780A1 (ko) 배수관 연결장치
JP4529938B2 (ja) 浴室の排水構造
KR102499795B1 (ko) 가변형 배수 장치
KR101263603B1 (ko) 사출 배수 트랜치의 하수관 연결장치
KR200451193Y1 (ko) 배수트랩
JP2001098603A (ja) 排水トラップ
JP4595872B2 (ja) 浴室の排水構造
KR200447783Y1 (ko) 세면대 연결소켓 겸용 욕실 배수트랩
JP4595888B2 (ja) 浴室の排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