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563A -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이것이 구비된 소방용 연결배관 - Google Patents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이것이 구비된 소방용 연결배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6563A KR20230086563A KR1020220071382A KR20220071382A KR20230086563A KR 20230086563 A KR20230086563 A KR 20230086563A KR 1020220071382 A KR1020220071382 A KR 1020220071382A KR 20220071382 A KR20220071382 A KR 20220071382A KR 20230086563 A KR20230086563 A KR 202300865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firefighting
- connector
- connection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5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한편, 소방용 연결배관의 경량화를 구현하고,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파이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이것이 구비된 소방용 연결배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소방용 연결커넥터는 소방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에 결합되는 소방용 연결커넥터이고, 파이프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중공의 내관결합부재와, 탄성을 가지고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와, 내관결합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결합너트부재와, 내관결합부재에 지지되도록 결합너트부재에 삽입 지지되는 중공의 결합패킹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소방용 연결커넥터는 소방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에 결합되는 소방용 연결커넥터이고, 파이프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중공의 내관결합부재와, 탄성을 가지고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와, 내관결합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결합너트부재와, 내관결합부재에 지지되도록 결합너트부재에 삽입 지지되는 중공의 결합패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이것이 구비된 소방용 연결배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이프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한편, 소방용 연결배관의 경량화를 구현하고,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파이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이것이 구비된 소방용 연결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용 연결커넥터는 소방용 연결배관을 기구물에 연결하기 위한 관이음부재이다.
소방용 연결배관은 흡수관 또는 중계관을 구현할 수 있다.
흡수관의 경우, 파이프의 일단부에 구비된 소방용 연결커넥터가 소방차에서 소방수조에 소방수를 펌핑하기 위한 소방펌프의 펌프도관에 결합되고, 파이프의 타단부에 구비된 리테이너가 수원에 배치되므로, 소방차의 소방수조에 소방수가 떨어진 경우, 저수지, 하천 등과 같은 수원의 물을 소방수조에 펌핑할 수 있다.
중계관의 경우, 파이프의 양단부에 각각 소방용 연결커넥터가 구비되므로, 소방용 연결커넥터를 각각 펌프도관과 외부소화전에 결합되므로, 소방차의 소방수조에 소방수가 떨어진 경우, 외부소화전의 물을 소방수조에 펌핑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소방용 연결배관에서 파이프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무게가 과도하게 무거울 뿐만 아니라 유연성이 떨어져 작업성 저하되고, 긴급한 작업 및 대응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소방용 연결배관은 고무 재질의 특성 상 소방대원 1인이 운영하기 어려운 무게를 나타내고, 유연성이 부족하여 공간 활용에 제약을 받고 있다.
또한, 종래의 소방용 연결배관으로 물을 펌핑하는 과정에서 파이프에 음압이 발생함에 따라 파이프가 찌그러지거나 흡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방용 연결배관은 내부를 시인하기 어려워 흡수 또는 배수가 원활하게 진행되는지 확인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소방용 연결배관은 기구물에 결합될 때, 내부에서 외부로 압력을 가해 배관이 확장되면서 탄성, 수밀성 등이 저하되어, 높은 수압에 관이 빠지거나 내구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방용 연결배관은 고무관과 소방용 연결커넥터 사이에서의 고정력이 저하되어 소방수의 펌핑 압력에 의해 고무관과 소방용 연결커넥터가 분리되는 경우, 재결합이 어려워 폐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방용 연결배관은 야간 작업 시 배관의 위치 및 암수 결합부를 구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이프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한편, 소방용 연결배관의 경량화를 구현하고,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파이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이것이 구비된 소방용 연결배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커넥터는 소방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에 결합되는 소방용 연결커넥터이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중공의 내관결합부재; 탄성을 가지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 상기 내관결합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결합너트부재; 및 상기 내관결합부재에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너트부재에 삽입 지지되는 중공의 결합패킹;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권취되는 가압스프링; 및 중공의 관 형상으로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되, 탄성을 가지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슬리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권취되는 가압스프링; 및 중공의 관 형상으로 상기 가압스프링을 감싸되, 탄성을 가지고 상기 가압스프링을 가압하는 탄성슬리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슬리브는, 상기 소방수의 흐름 방향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길게 함몰 형성되는 지지오목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관결합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탄성오목부; 및 상기 가압스프링을 가압하도록 상기 소방수의 흐름 방향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길게 돌출 형성되는 지지볼록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관결합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인접한 두 탄성오목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다수의 탄성볼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커넥터는 상기 결합너트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내관결합부재가 회전 가능하되도록 상기 결합너트부재에 관통 형성된 지지홀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배관은 소방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차량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커넥터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배관은 소방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차량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외부커넥터; 및 상기 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로 유입되는 상기 소방수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리테이너;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커넥터와 상기 외부커넥터 중 적어도 상기 차량커넥터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배관은 소방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차량커넥터; 상기 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외부커넥터; 및 상기 외부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로 유입되는 상기 소방수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커넥터와 상기 외부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커넥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는, 중공의 관 형상을 나타내는 내관부재; 및 상기 내관부재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코일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내관부재와 상기 보강코일부재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코일부재의 경도는, 상기 내관부재의 경도보다 크다.
여기서, 상기 내관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의 강도는 1.5Kg/m 내지 2.5Kg/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코일부재의 직경은 상기 내관부재의 두께 보다 10% 내지 30%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배관은 식별을 위해 상기 파이프의 단부와 상기 차량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는 구별시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이것이 구비된 소방용 연결배관에 따르면, 파이프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한편, 소방용 연결배관의 경량화를 구현하고,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파이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방대원 1인의 장비 경량화 및 효율 향상에 이바지하고, 화재진압활동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증대시키며, 재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소방대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관결합부재를 통해 파이프와의 끼움 결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관결합부재의 세부 구성을 통해 결합너트부재와 내관결합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파이프와의 끼움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결합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요철링을 통해 파이프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가압부재를 통해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내관결합부재를 향해 파이프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파이프를 내관결합부재에 밀착시키므로, 소방용 연결배관의 탄성 및 수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이프와 내관결합부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며, 파이프를 확관하는 방식에 비해 견고하게 파이프와 내관결합부재의 결합완성도를 높이고, 파이프와 내관결합부재가 분리되더라도 파이프와 내관결합부재의 재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스프링을 통해 파이프와의 나사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파이프의 외주면에서 파이프를 조여 파이프가 내관결합부재에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가압스프링을 통해 내관결합부재에서 파이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슬리브를 통해 내관결합부재가 끼움 결합된 파이프의 단부 또는 가압스프링을 안정되게 가압하므로, 파이프가 내관결합부재에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스프링과 탄성슬리브의 결합 관계를 통해 탄성슬리브의 가압에 따라 가압스프링이 파이프를 원활하게 조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슬리브의 세부 구성을 통해 탄성볼록부와 탄성오목부의 형상에 따른 탄성력이 파이프의 단부 또는 가압스프링에 안정된 외력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파이프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가압스프링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너트부재를 통해 기구물과의 결합 안정성을 확보하고, 결합너트부재와 내관결합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너트부재의 세부 구성을 통해 기구물과의 나사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내관결합부재의 상대 회전을 부드럽게 하며, 결합패킹의 정위치 및 결합패킹의 유동 제한에 이바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패킹을 통해 기구물과 내관결합부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기구물과의 결합시 소방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지지부재와 지지홀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구름볼의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하고, 구름볼의 배치를 간소화시키며, 구름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압스프링과의 나사 결합을 명확하게 하고, 보강코일부재를 통해 야간 식별을 간편하게 하며, 파이프의 꺽임과 같은 파이프의 변형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재질 한정을 통해 파이프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파이프의 경량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관부재와 보강코일부재의 경도 차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의 내관부재는 경량화 및 유연성을 개선시키고,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의 보강코일부재를 통해 내구성과 음압에 따른 흡착 방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재질을 통해 상용성 및 접착성을 우수하게 하고, 내구성 및 제품 수명 개선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내관부재를 통해 투명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적용하므로, 내관부재의 내부 상태 식별을 원활하게 하며, 내관부재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소방수의 흐름을 식별하고, 원활한 흡수 및 배수의 체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재질을 폴리우레탄으로 한정, 강도 한정 및 두께(직경) 한정에 따라 배관부재에 걸리는 음압에도 불구하고 흡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성의 개선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별시트를 통해 소방용 연결배관의 방향성을 나타내고, 야간 식별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배관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배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배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이것이 구비된 소방용 연결배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배관은 파이프(10)와, 차량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10)는 소방수의 유로를 형성한다. 파이프(10)는 중공의 관 형상을 나타내는 내관부재(11)와, 내관부재(11)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코일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내관부재(1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 상태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강코일부재(12)의 단부는 후술하는 탄성가압부재 중 가압스프링(30)과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내관부재(11)와 보강코일부재(12)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보강코일부재(12)의 경도는 내관부재(11)의 경도보다 크도록 하여 소방수의 압력에 따라 파이프(10)의 직경이 변화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의 강도는 1.5Kg/m 내지 2.5Kg/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관부재(11)의 강도는 1.5 Kg/m 내지 2.1Kg/m, 상기 보강코일부재(12)의 강도는 2.1Kg/m 내지 2.5Kg/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보강코일부재의 직경은 상기 내관부재의 두께 보다 10% 내지 30%, 구체적으로 15% 내지 25% 클 수 있다.
차량커넥터는 파이프(1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차량커넥터는 기구물에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차량커넥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구물은 소방차에 구비되는 펌프도관, 야외소화전에 구비되는 결합볼트부재, 후술하는 리테이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커넥터는 내관결합부재(20)와, 탄성가압부재와, 결합너트부재(50)와, 결합패킹(60)을 포함할 수 있다.
내관결합부재(20)는 중공의 관 형상을 나타낸다. 내관결합부재(20)는 파이프(10)의 단부에 끼움 결합된다.
좀더 자세하게, 내관결합부재(20)는 결합너트부재(50)의 내주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중공의 너트지지부재(21)와, 파이프(10)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너트지지부재(21)에서 연장되는 중공의 결합슬리브(22)와, 결합너트부재(50)와 너트지지부재(21) 사이에 구비되고 결합너트부재(50)와 너트지지부재(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다수의 구름볼(211)을 포함할 수 있다.
너트지지부재(21)의 외주면에는 구름볼(211)의 구름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링 형상의 볼지지홈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결합슬리브(22)의 외주면에는 요철링이 구비되므로, 파이프(1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요철링은 소방수의 흐름 방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기도 하고, 파이프(10)의 보강코일부재(12)에 대응하여 나선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탄성가압부재는 탄성을 가지고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탄성가압부재는 가압스프링(30)과, 탄성슬리브(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스프링(30)은 탄성을 가지고, 파이프(10)의 단부에 권취된다. 가압스프링(30)은 나선 형상을 나타내고, 파이프(10)의 보강코일부재(12)와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가압스프링(30)은 탄성력에 의해 파이프(10)의 내관부재(11)를 가압하므로, 파이프(10)의 내주면과 내관결합부재(20)의 외주면이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한다.
탄성슬리브(40)는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가압스프링(30)과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일예로, 탄성슬리브(40)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탄성슬리브(40)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감싸되, 탄성을 가지고, 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그러면, 탄성슬리브(40)는 탄성력에 의해 파이프(10)의 보강코일부재(12)를 가압하므로, 파이프(10)의 내주면과 내관결합부재(20)의 외주면이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한다.
다른 예로, 탄성슬리브(40)가 가압스프링(30)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탄성슬리브(40)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가압스프링(30)을 감싸되, 탄성을 가지고, 가압스프링(30)을 가압한다. 그러면, 탄성슬리브(40)는 탄성력에 의해 가압스프링(30)과 파이프(10)의 보강코일부재(12) 중 적어도 가압스프링(30)을 가압하고, 가압스프링(30)은 파이프(10)의 내관부재(11)를 가압을 가압하므로, 파이프(10)의 내주면과 내관결합부재(20)의 외주면이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슬리브(40)는 탄성오목부(41)와, 탄성볼록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오목부(41)는 다수 개가 내관결합부재(20)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탄성오목부(41)에는 소방수의 흐름 방향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길게 함몰 형성되는 지지오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오목부(41)에는 지지오목부에 대응하여 외주면에 길게 돌출 형성되는 외측볼록부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볼록부(42)는 다수 개가 내관결합부재(20)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인접한 두 탄성오목부(41)를 일체로 연결시킨다. 탄성볼록부(42)에는 파이프(10)의 보강코일부재(12)와 가압스프링(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도록 소방수의 흐름 방향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길게 돌출 형성되는 지지볼록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볼록부(42)에는 지지볼록부에 대응하여 외주면에 길게 함몰 형성되는 외측오목부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슬리브(40)는 압착공구(미도시)에 의해 압착됨에 따라 탄성오목부(41)와 탄성볼록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너트부재(50)는 중공의 관 형상을 나타낸다. 결합너트부재(50)는 내관결합부재(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너트부재(50)는 연결너트부재(51)와, 연결파지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너트부재(51)는 내관결합부재(20)의 일부를 감싼다.
연결너트부재(51)에는 내측 일단부에 형성되는 너트나선부(511)와, 내관결합부재(20)의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내측 타단부에 형성되는 볼가이드부(512)와, 결합패킹(60)이 안착되도록 너트나선부(511)와 볼가이드부(512)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안착부(513)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결합너트부재(50)의 연결너트부재(51)에는 내관결합부재(20)가 노출되도록 관통 형성되고, 볼지지부재(70)가 나사 결합되는 지지홀부(52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연결파지부재(52)는 연결너트부재(51)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그러면, 연결파지부재(52)는 사용자의 파지 또는 결합공구(미도시)의 결합을 안정화시켜 결합너트부재(50)를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결합너트부재(50)는 너트나선부(511)를 통해 기구물에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결합패킹(60)은 중공의 링 형상을 나타낸다. 결합패킹(60)은 내관결합부재(20)에 지지되도록 결합너트부재(50)에 구비되는 패킹안착부(513)에 삽입 지지된다. 결합패킹(60)은 결합너트부재(50)가 기구물에 결합될 때, 결합너트부재(50)에 결합되는 기구물과 내관결합부재(20) 사이를 밀폐시켜 소방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커넥터는 볼지지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볼지지부재(70)는 결합너트부재(50)를 기준으로 내관결합부재(20)가 회전 가능하되도록 결합너트부재(50)에 구비되는 지지홀부(52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볼지지부재(70)는 지지홀부(521)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배관은 외부커넥터와, 리테이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커넥터는 파이프(10)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외부커넥터는 기구물에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외부커넥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커넥터는 기구물 중 펌프도관에 나사 결합되고, 외부커넥터는 기구물 중 결합볼트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배관은 소방용 중계관을 구현하므로, 야외소화전의 물을 소방수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커넥터는 기구물 중 펌프도관에 나사 결합되고, 외부커넥터는 기구물 중 리테이너에 나사 결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배관은 소방용 흡수관을 구현하므로, 저수지, 하천 등과 같은 수원의 물을 소방수로 활용할 수 있다.
리테이너는 파이프(10)로 유입되는 소방수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일예로, 리테이너는 파이프(10)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리테이너와 파이프(10)의 결합 방식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연결커넥터의 결합 방식을 차용할 수 있다. 그러면, 리테이너는 상술한 내관결합부재(20)와,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고, 내관결합부재(20)에 결합되어 소방수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거름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관결합부재(20)는 거름망이 결합되는 거름망결합부와, 거름망결합부에서 연장되어 파이프(10)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슬리브(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리테이너는 외부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리테이너에는 상술한 결합볼트부재가 구비되므로, 외부커넥터와의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연결배관은 구별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별시트는 식별을 위해 파이프(10)의 일단부와 차량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싼다. 파이프(10)의 타단부에 외부커넥터가 결합되는 경우, 구별시트는 식별을 위해 파이프(10)의 타단부와 외부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감쌀 수 있다. 파이프(10)의 타단부에 리테이너가 결합되는 경우, 구별시트는 식별을 위해 파이프(10)의 타단부와 리테이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감쌀 수 있다.
상술한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이것이 구비된 소방용 연결배관에 따르면, 파이프(10)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한편, 소방용 연결배관의 경량화를 구현하고,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파이프(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방대원 1인의 장비 경량화 및 효율 향상에 이바지하고, 화재진압활동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증대시키며, 재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소방대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내관결합부재(20)를 통해 파이프(10)와의 끼움 결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내관결합부재(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결합너트부재(50)와 내관결합부재(2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파이프(10)와의 끼움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결합슬리브(2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요철링을 통해 파이프(1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가압부재를 통해 파이프(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관결합부재(20)를 향해 파이프(10)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파이프(10)를 내관결합부재(20)에 밀착시키므로, 소방용 연결배관의 탄성 및 수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이프(10)와 내관결합부재(2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며, 파이프(10)를 확관하는 방식에 비해 견고하게 파이프(10)와 내관결합부재(20)의 결합완성도를 높이고, 파이프(10)와 내관결합부재(20)가 분리되더라도 파이프(10)와 내관결합부재(20)의 재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압스프링(30)을 통해 파이프(10)와의 나사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파이프(10)의 외주면에서 파이프(10)를 조여 파이프(10)가 내관결합부재(20)에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가압스프링(30)을 통해 내관결합부재(20)에서 파이프(10)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슬리브(40)를 통해 내관결합부재(20)가 끼움 결합된 파이프(10)의 단부 또는 가압스프링(30)을 안정되게 가압하므로, 파이프(10)가 내관결합부재(20)에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가압스프링(30)과 탄성슬리브(40)의 결합 관계를 통해 탄성슬리브(40)의 가압에 따라 가압스프링(30)이 파이프(10)를 원활하게 조이도록 한다.
또한, 탄성슬리브(4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탄성볼록부(42)와 탄성오목부(41)의 형상에 따른 탄성력이 파이프(10)의 단부 또는 가압스프링(30)에 안정된 외력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파이프(1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가압스프링(3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너트부재(50)를 통해 기구물과의 결합 안정성을 확보하고, 결합너트부재(50)와 내관결합부재(20)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너트부재(50)의 세부 구성을 통해 기구물과의 나사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내관결합부재(20)의 상대 회전을 부드럽게 하며, 결합패킹(60)의 정위치 및 결합패킹(60)의 유동 제한에 이바지한다.
또한, 결합패킹(60)을 통해 기구물과 내관결합부재(2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기구물과의 결합시 소방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지지부재(70)와 지지홀부(521)의 결합 관계를 통해 구름볼(211)의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하고, 구름볼(211)의 배치를 간소화시키며, 구름볼(21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압스프링(30)과의 나사 결합을 명확하게 하고, 보강코일부재(12)를 통해 야간 식별을 간편하게 하며, 파이프(10)의 꺽임과 같은 파이프(10)의 변형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10)의 재질 한정을 통해 파이프(10)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파이프(10)의 경량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내관부재(11)와 보강코일부재(12)의 경도 차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의 내관부재(11)는 경량화 및 유연성을 개선시키고,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의 보강코일부재(12)를 통해 내구성과 음압에 따른 흡착 방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10)의 재질을 통해 상용성 및 접착성을 우수하게 하고, 내구성 및 제품 수명 개선도 가능하다.
또한, 투명 또는 반투명한 내관부재(11)를 통해 투명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적용하므로, 내관부재(11)의 내부 상태 식별을 원활하게 하며, 내관부재(11)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소방수의 흐름을 식별하고, 원활한 흡수 및 배수의 체크가 용이하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의 강도는 1.5Kg/m 내지 2.5Kg/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관부재(11)의 강도는 1.5 Kg/m 내지 2.1Kg/m, 상기 보강코일부재(12)의 강도는 2.1Kg/m 내지 2.5Kg/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보강코일부재의 직경은 상기 내관부재의 두께 보다 10% 내지 30%, 구체적으로 15% 내지 25% 클 수 있다.
또한, 파이프의 재질을 폴리우레탄으로 한정, 강도 한정 및 두께(직경)를 한정함에 따라 배관부재에 걸리는 음압에도 불구하고 흡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성의 개선에 효과가 있다.
또한, 구별시트를 통해 소방용 연결배관의 방향성을 나타내고, 야간 식별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파이프
11: 내관부재
12: 보강코일부재
20: 내관결합부재 21: 너트지지부재 211: 구름볼
22: 결합슬리브 30: 가압스프링 40: 탄성슬리브
41: 탄성오목부 42: 탄성볼록부 50: 결합너트부재
51: 연결너트부재 511: 너트나선부 512: 볼가이드부
513: 패킹안착부 52: 연결파지부재 521: 지지홀부
60: 결합패킹 70: 볼지지부재
20: 내관결합부재 21: 너트지지부재 211: 구름볼
22: 결합슬리브 30: 가압스프링 40: 탄성슬리브
41: 탄성오목부 42: 탄성볼록부 50: 결합너트부재
51: 연결너트부재 511: 너트나선부 512: 볼가이드부
513: 패킹안착부 52: 연결파지부재 521: 지지홀부
60: 결합패킹 70: 볼지지부재
Claims (14)
- 소방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에 결합되는 소방용 연결커넥터이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중공의 내관결합부재;
탄성을 가지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
상기 내관결합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결합너트부재; 및
상기 내관결합부재에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너트부재에 삽입 지지되는 중공의 결합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권취되는 가압스프링; 및
중공의 관 형상으로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되, 탄성을 가지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슬리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권취되는 가압스프링; 및
중공의 관 형상으로 상기 가압스프링을 감싸되, 탄성을 가지고 상기 가압스프링을 가압하는 탄성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커넥터.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슬리브는,
상기 소방수의 흐름 방향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길게 함몰 형성되는 지지오목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관결합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탄성오목부; 및
상기 가압스프링을 가압하도록 상기 소방수의 흐름 방향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길게 돌출 형성되는 지지볼록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관결합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인접한 두 탄성오목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다수의 탄성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커넥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너트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내관결합부재가 회전 가능하되도록 상기 결합너트부재에 관통 형성된 지지홀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커넥터.
- 소방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차량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커넥터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소방용 연결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배관.
- 소방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차량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외부커넥터; 및
상기 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로 유입되는 상기 소방수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리테이너;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커넥터와 상기 외부커넥터 중 적어도 상기 차량커넥터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소방용 연결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배관.
- 소방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차량커넥터;
상기 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외부커넥터; 및
상기 외부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로 유입되는 상기 소방수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커넥터와 상기 외부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소방용 연결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배관.
-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중공의 관 형상을 나타내는 내관부재; 및
상기 내관부재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코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배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재와 상기 보강코일부재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코일부재의 경도는, 상기 내관부재의 경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배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배관.
-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배관.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코일부재의 직경은 상기 내관부재의 두께 보다 10% 내지 30% 큰 소방용 연결배관.
-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별을 위해 상기 파이프의 단부와 상기 차량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싸는 구별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연결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5223 | 2021-12-08 | ||
KR20210175223 | 2021-12-0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6563A true KR20230086563A (ko) | 2023-06-15 |
Family
ID=8676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1382A KR20230086563A (ko) | 2021-12-08 | 2022-06-13 |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이것이 구비된 소방용 연결배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86563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9458Y1 (ko) | 1997-11-27 | 2000-08-01 | 박승옥 | 흡수관용 연결 금속구(metal connection for absorption tube) |
KR101716476B1 (ko) | 2015-08-27 | 2017-03-16 | (주)다산테크 | 관 이음쇠 |
-
2022
- 2022-06-13 KR KR1020220071382A patent/KR2023008656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9458Y1 (ko) | 1997-11-27 | 2000-08-01 | 박승옥 | 흡수관용 연결 금속구(metal connection for absorption tube) |
KR101716476B1 (ko) | 2015-08-27 | 2017-03-16 | (주)다산테크 | 관 이음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04758B1 (en) | Hose coupl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 |
TW374838B (en) | Connector for resin-made tubes | |
JP6228429B2 (ja) | 逆止弁の装嵌構造とパッキン一体型逆止弁 | |
US20100019491A1 (en) | Dispensing head for air pump | |
US7188869B2 (en) | Scuba regulator connector using a sealed ball swivel | |
TW201812201A (zh) | 消防設備配管之接續構造 | |
KR20230086563A (ko) | 소방용 연결커넥터와 이것이 구비된 소방용 연결배관 | |
US8011077B2 (en) | Steering knuckle boot | |
JP2008190673A (ja) | 逆止弁カートリッジの取付け構造と逆止弁カートリッジ | |
JP3682666B2 (ja) | スプリンクラー巻き出し配管の管体構造 | |
AU689653B2 (en) | Swivel coupler | |
US20070046023A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water transfer pipeline | |
JP5379649B2 (ja) | 鋼管用管継手 | |
US20110169259A1 (en) | Tube fitting connection | |
GB1599304A (en) | Inflation valve connectors | |
KR101328191B1 (ko) | 관 연결구 | |
JP3178800B2 (ja) | 消防ポンプの中継水受入装置 | |
CN109045501A (zh) | 呼吸设备的耦合装置 | |
JPH11304065A (ja) | 管継手 | |
GB2574340A (en) | A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 |
KR102520655B1 (ko) | 호스 꼬임 방지용 커플링 | |
CN214064157U (zh) | 一种轻量化消防接扣 | |
US20220333726A1 (en) | Expansion tank | |
AU2010100882A4 (en) | A pipe coupling having a collet and seal ring where the seal ring is removably attached to the collet | |
CN220929656U (zh) | 一种高密封水泵接合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