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472A - 카고 바이크 - Google Patents

카고 바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472A
KR20230086472A KR1020210175125A KR20210175125A KR20230086472A KR 20230086472 A KR20230086472 A KR 20230086472A KR 1020210175125 A KR1020210175125 A KR 1020210175125A KR 20210175125 A KR20210175125 A KR 20210175125A KR 20230086472 A KR20230086472 A KR 20230086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unit
wheel
cargo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684B1 (ko
Inventor
금동옥
심우정
이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휠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휠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휠라인
Priority to KR102021017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684B1/ko
Publication of KR20230086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7/00Freight- or passenger-carrying cycles
    • B62K7/02Frames
    • B62K7/04Frames having a carry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62J6/028Headlights specially adapted for rider-propelled cycles with or without additional source of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2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by both hand and foot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Wrapper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크 운전자와 카고에 탑승한 탑승자가 각자 페달을 돌려 주행할 수 있는 카고 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 마련되고 운전자를 안착시키는 안장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바닥을 지지하는 메인 바퀴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메인 바퀴부와 메인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메인 바퀴부를 회전시키는 메인 페달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부에 양측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마련한 카고부, 상기 카고부의 둘레부 중 상기 안장부와 마주하는 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카고부가 양측으로 선회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핸들부, 상기 카고부의 둘레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바닥을 지지하는 제1 서브 바퀴부, 상기 제1 서브 바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제1 서브 바퀴부와 제1 서브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서브 바퀴부를 회전시키는 제1 서브 페달부, 상기 카고부의 둘레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바닥을 지지하는 제2 서브 바퀴부 및 상기 제2 서브 바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제2 서브 바퀴부와 제2 서브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서브 바퀴부를 회전시키는 제2 서브 페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고 바이크{CARGO BIKE}
본 발명은 카고 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바이크 운전자와 카고에 탑승한 탑승자가 각자 페달을 돌려 주행할 수 있는 카고 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앞바퀴와 뒷바퀴가 수평, 수직 지지간에 연결 설치되고, 뒷바퀴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회전축으로는 발로 밟아 돌릴 수 있는 페달의 링크가 대칭되게 축설되며, 조향 핸들 및 사용자의 안장 그리고 필요에 따라 보조 안장, 짐받이 등이 설치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되어 온 자전거는 다리로 페달을 밟아 주행하고 손으로 핸들을 돌려 방향을 조정하게 되어 있는 정상인을 위한 자전거였다.
따라서, 이러한 자전거를 장애인들 중 특히 다리부분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이 타고자 하는 경우에는 균형을 잡는데도 어려움이 많아서 주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승차할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마저 높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4429호에는 종래의 휠체어탑재용 삼륜손자전거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탑승자 혼자서 손으로 페달을 돌려 주행하기 때문에 주행이 쉽지 않은 비탈길을 올라가거나 비포장 도로 등을 주행할 시에는 많은 힘이 필요하고 체력이 금방 소진되어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행 바퀴에 모터를 설치하여 주행할 시에도 지체장애인이나 발달장애인 및 심신미약자들은 혼자서 조종하여 주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와 카고부 탑승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페달을 사용하여 동력을 발생할 수 있는 카고 바이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 마련되고 운전자를 안착시키는 안장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바닥을 지지하는 메인 바퀴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메인 바퀴부와 메인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메인 바퀴부를 회전시키는 메인 페달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부에 양측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마련한 카고부, 상기 카고부의 둘레부 중 상기 안장부와 마주하는 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카고부가 양측으로 선회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핸들부, 상기 카고부의 둘레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바닥을 지지하는 제1 서브 바퀴부, 상기 제1 서브 바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제1 서브 바퀴부와 제1 서브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서브 바퀴부를 회전시키는 제1 서브 페달부, 상기 카고부의 둘레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바닥을 지지하는 제2 서브 바퀴부 및 상기 제2 서브 바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제2 서브 바퀴부와 제2 서브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서브 바퀴부를 회전시키는 제2 서브 페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는 상기 메인 바퀴부 또는 상기 메인 바퀴부와 상기 제1 서브 바퀴부와 상기 제2 서브 바퀴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바퀴부와 상기 제2 서브 바퀴부는 각각 바닥으로부터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서브 바퀴부와 상기 제2 서브 바퀴부는 각각 주행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페달부와 상기 제2 서브 페달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서브 페달부는 상기 제1 서브 바퀴부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 서브 페달부는 상기 제2 서브 바퀴부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카고부의 둘레부 중 주행 방향을 바라보는 일측부는 상기 카고부의 저면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저면부를 중심으로 선회하며 상기 주행 방향을 바라보는 일측부를 개폐하는 게이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부는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외측부에 빛을 조명하는 조명부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는 운전자와 카고부 탑승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동력을 발생할 수 있어 일반 자전거에 비해 무게가 증가하여도 주행에 필요한 충분한 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는 카고부에 휠체어와 함께 탑승자를 태운 상태에서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측면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을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을 배면에서 도시한 배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측면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을 평면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을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을 배면에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1)는 프레임부(100), 메인 바퀴부(200), 카고부(300), 제1 서브 바퀴부(400), 제2 서브 바퀴부(5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0)는 메인 바퀴부(200), 카고부(300), 제1 서브 바퀴부(400) 및 제2 서브 바퀴부(500)를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frame)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상부에 안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장부(110)는 운전자를 안착시킬 수 있게 운전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 역할을 할 수 있다.
안장부(110)는 금속, 나무,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되거나 금속, 나무, 플라스틱 등의 소재 상부에 고무, 스폰지, 실리콘, 합성섬유 등의 소재를 적층하여 쿠션(cushion)을 제공할 수도 있다.
메인 바퀴부(20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1)를 주행하게 할 수 있다.
메인 바퀴부(200)는 프레임부(1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
메인 바퀴부(200)는 메인 바퀴부(200)에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 동력 전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인 동력 전달부(210)는 메인 페달부(211)와 메인 동력 전달 조립체(213)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페달부(211)는 프레임부(100)의 하부에 메인 바퀴부(200)와 이격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메인 페달부(211)는 프레임부(1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 체인휠(211a)과 메인 체인휠(211a)의 양측부 중앙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 쌍의 메인 페달(211b)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체인휠(211a)은 둘레부에 메인 톱니 기어부(211c)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메인 페달(211b)은 메인 체인휠(211a)의 양측부 중앙부로부터 서로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메인 체인휠(211a)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메인 페달(211b)은 단부가 서로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운전자가 절곡부를 발로 밝고 회전시킴에 따라 메인 체인휠(211a)을 회전시킬 수 있다.
메인 동력 전달 조립체(213)는 메인 체어부(213a)와 메인 기어부(213b)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체어부(213a)는 메인 톱니 기어부(211c)에 일측부를 연결할 수 있다.
메인 기어부(213b)는 복수 개의 기어의 조립체로 형성되고 메인 바퀴부(200)의 중앙 회전축에 기어 결합할 수 있다.
메인 체어부(213a)의 타측부는 메인 기어부(213b)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한 쌍의 메인 페달(211b)을 회전시켜 메인 체인휠(211a)에 회전력을 부여하면 메인 체인휠(211a)의 회전력이 메인 톱니 기어부(211c)에 연결된 메인 체어부(213a)를 통해 메인 기어부(213b)로 전달되고 메인 기어부(213b)는 기어 결합된 메인 바퀴부(20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메인 동력 전달부(210)는 메인 바퀴부(200)에 동력부(215)를 형성할 수 있다.
동력부(215)는 메인 바퀴부(200)에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동력부(215)는 동력을 발생할 수 있는 전기 모터, 허브 모터, 미드 드라이브, PAS(pedal assist system) 등과 같은 동력 장치일 수 있다.
동력부(215)가 전기 모터, 허브 모터, 미드 드라이브일 경우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동력부(215)의 힘만으로 메인 바퀴부(200)를 회전시켜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동력부(215)가 PAS일 경우에는 운전자가 적은 힘으로 메인 페달부(211)를 회전시키면 PAS가 동력을 발생시켜 메인 바퀴부(200)를 운전자의 힘보다 큰 힘으로 회전시켜 주행시킬 수 있다.
카고부(300)는 프레임부(100)에 연결되어 휠체어 등을 내부에 탑재할 수 있다.
카고부(300)는 프레임부(100)의 일단부에 양측으로 선회 가능하게 회전축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카고부(300)는 저면부와 저면부의 테두리부로부터 기립되고, 저면부의 상측 둘레를 감싸는 둘레부를 형성하고, 저면부와 둘레부에 의해 감싸게 형성된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카고부(300)는 수용 공간에 휠체어와 함께 휠체어에 탑승된 탑승자를 탑재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 공간의 개구된 상측으로 탑승자가 몸체의 상부를 노출시키게 할 수 있다.
카고부(300)는 둘레부 중 주행방향을 바라보는 일측부(즉 프레임부(100)와 연결된 반대측)에 게이트부(310)를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부(310)는 카고부(300)의 둘레부 중 일측부를 개폐할 수 있다.
게이트부(310)는 카고부(300)의 저면부 일단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카고부(300)의 저면부 일단부를 중심으로 선회하며 게이트부(310)의 둘레부 중 일측부를 개폐할 수 있다.
게이트부(310)를 열면 카고부(300)의 내부로 휠체어를 출입시킬 수 있고, 카고 바이크(1)의 주행시 장애물 등에 의해 흔들릴 경우에 카고부(300)의 내부에 탑재된 휠체어가 카고부(300)의 외측으로 굴러가거나 튕겨져 나가는 등의 사고를 차단하여 방지하기 위해 게이트부(310)를 닫을 수 있다.
게이트부(310)는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부(310)는 닫혀진 상태에서 하부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1)의 주행 방향으로 기울이지고 상부가 주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형성함에 따라 주행중 카고부(300)에서 받는 공기 저항을 극소화할 수 있다. 즉 공기가 기울어진 게이트부(310)를 따라 아래에서 위로 흐르고, 공기의 흐름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1)의 주행 방향 측으로 카고부(300)의 게이트부(310)가 아래로 깔리는 효과를 주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1)의 주행 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게이트부(310)가 열린 상태에서 게이트부(310)는 카고부(300)의 저면부와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게이트부(310)의 상단부가 바닥에 지지된 상태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부(310)의 경사면을 활용하여 휠체어 탑승자는 혼자서도 휠체어를 카고부(300)의 내부로 안전하고도 쉽게 인입하거나, 카고부(300)의 내부에 탑재된 휠체어를 밖으로 안전하고도 쉽게 내보낼 수 있다.
게이트부(3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1)의 주행 측부인 외측부에 조명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311)는 전기 조명 장치 등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1)의 주행 방향으로 조명을 비추어 빛이 없는 어두운 상황이나 안개가 심한 상황에서도 시야를 확보하면서 주행하게 할 수 있다.
카고부(300)는 둘레부 중 안장부(110)와 마주하는 측부에 핸들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320)는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게 조종함에 따라 핸들부(320)와 연결된 카고부(300)를 좌우 방향으로 틀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1)의 주행 방향을 조종할 수 있다.
핸들부(320)는 카고부(300)의 둘레부 중 프레임부(100)와 연결된 측부의 상부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320)는 양측부에 운전자가 손으로 그립(grip)할 수 있는 그립부(321)가 연장될 수 있다.
제1 서브 바퀴부(400)는 카고부(300)의 둘레부 양측부 중 어느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바퀴부(400)는 카고부(300)를 일측에서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1)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제1 서브 바퀴부(400)는 카고부(300)에 탑승한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주행할 수 있다.
제1 서브 바퀴부(400)는 제1 서브 바퀴부(40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 서브 동력 전달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서브 동력 전달부(410)는 제1 서브 페달부(411)와 제1 서브 동력 전달 조립체(413)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서브 페달부(411)는 카고부(300)의 둘레부 양측부 중 어느 일측의 상부에 상측으로 연장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서브 페달부(411)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서브 체인휠(411a)과 제1 서브 체인휠(411a)의 양측부 중 카고부(300) 측 측부 중앙으로부터 연장된 제1 서브 페달(411b)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서브 페달(411b)은 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되고 다시 한번 절곡되어 카고부(300) 탑승자가 절곡된 단부를 한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제1 서브 체인휠(411a)은 둘레부에 제1 서브 톱니 기어부(411c)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서브 동력 전달 조립체(413)는 제1 서브 체어부(413a)와 제1 서브 기어부(213b)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서브 체어부(413a)는 제1 서브 톱니 기어부(411c)에 일측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서브 기어부(413b)는 제1 서브 바퀴부(400)의 중앙 회전축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체어부(413a)의 타측부는 제1 서브 기어부(413b)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카고부(300) 탑승자가 제1 서브 페달(411b)을 한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 제1 서브 체인휠(411a)에 회전력을 부여하면 제1 서브 체인휠(411a)의 회전력이 제1 서브 톱니 기어부(411c)에 연결된 제1 서브 체어부(413a)를 통해 제1 서브 기어부(413b)로 전달되고 제1 서브 기어부(413b)는 연결된 제1 서브 바퀴부(40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서브 동력 전달부(410)는 제1 서브 바퀴부(400)에 동력부(215)를 설치할 수 있다.
동력부(215)는 메인 바퀴부(200)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서브 바퀴부(500)는 카고부(300)의 둘레부 양측부 중 제1 서브 바퀴부(400)가 설치된 반대측인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서브 바퀴부(500)는 카고부(300)를 타측에서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1)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제2 서브 바퀴부(500)는 카고부(300)에 탑승한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주행할 수 있다.
제2 서브 바퀴부(500)는 제2 서브 바퀴부(50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 서브 동력 전달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서브 동력 전달부(510)는 제2 서브 페달부(511)와 제2 서브 동력 전달 조립체(513)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서브 페달부(511)는 카고부(300)의 둘레부 양측부 중 타측의 상부에 상측으로 연장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서브 페달부(511)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서브 체인휠(511a)과 제2 서브 체인휠(511a)의 양측부 중 카고부(300) 측 측부 중앙으로부터 연장된 제2 서브 페달(511b)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서브 페달(511b)은 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되고 다시 한번 절곡되어 카고부(300) 탑승자가 절곡된 단부를 한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제2 서브 체인휠(511a)은 둘레부에 제2 서브 톱니 기어부(511c)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서브 동력 전달 조립체(513)는 제2 서브 체어부(513a)와 제2 서브 기어부(513b)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서브 체어부(513a)는 제2 서브 톱니 기어부(511c)에 일측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서브 기어부(513b)는 제2 서브 바퀴부(500)의 중앙 회전축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서브 체어부(513a)의 타측부는 제2 서브 기어부(513b)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카고부(300) 탑승자가 제2 서브 페달(511b)을 한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 제2 서브 체인휠(511a)에 회전력을 부여하면 제2 서브 체인휠(511a)의 회전력이 제2 서브 톱니 기어부(511c)에 연결된 제2 서브 체어부(513a)를 통해 제2 서브 기어부(513b)로 전달되고 제2 서브 기어부(513b)는 연결된 제2 서브 바퀴부(50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서브 동력 전달부(510)는 제2 서브 바퀴부(500)에 동력부(215)를 설치할 수 있다.
동력부(215)는 메인 바퀴부(200)에 설치된 것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바퀴부(200)와 제1 서브 바퀴부(400)와 제2 서브 바퀴부(500)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주행할 수 있다.
제1 서브 바퀴부(400)와 제2 서브 바퀴부(500)는 메인 바퀴부(200)에 비해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제1 서브 바퀴부(400)와 제2 서브 바퀴부(500)는 카고부(300)에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바퀴부(400)와 제2 서브 바퀴부(500)는 주행 방향 측으로 모아지게 기울어지는데(toe-in), 제1 서브 바퀴부(400)와 제2 서브 바퀴부(500)가 주행 방향으로 갈수로 서로 거리가 가까워지게 기울어짐에 따라 반대측으로 갈수록 서로 거리가 멀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바퀴부(400)와 제2 서브 바퀴부(500)는 바닥으로 갈수록 서로 거리가 멀어지게 기울어짐(negative camber)에 따라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거리가 가까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서브 바퀴부(400)와 제2 서브 바퀴부(500)가 기울어지게 형성됨에 따라 카고부(300)의 좌우 방향 회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카고부(300)에 핸들부(320)를 형성하고 운전자가 핸들부(320)를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 바이크(1)의 주행 방향을 조종할 수 있다. 그런데 카고부(300)에 형성된 제1 서브 바퀴부(400)와 제2 서브 바퀴부(500)가 기울어지게 형성되지 않으면 카고부(300)의 회전중심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핸들부(320)를 조종해도 카고부(300)가 회전 방향으로 선회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바퀴부(400)와 제2 서브 바퀴부(500)를 기울어지게 형성함에 따라 카고부(300)의 회전 중심을 카고부(300)의 중앙부로부터 핸들부(320) 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켜 핸들부(320)의 조종에 의해 카고부(300)가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카고 바이크
100: 프레임부
110: 안장부
200: 메인 바퀴부
210: 메인 동력 전달부
211: 메인 페달부
211a: 메인 체인휠
211b: 메인 페달
211c: 메인 톱니 기어부
213: 메인 동력 전달 조립체
213a: 메인 체어부
213b: 메인 기어부
215: 동력부
300: 카고부
310: 게이트부
311: 조명부
320: 핸들부
321: 그립부
400: 제1 서브 바퀴부
410: 제1 서브 동력 전달부
411: 제1 서브 페달부
411a: 제1 서브 체인휠
411b: 제1 서브 페달
411c: 제1 서브 톱니 기어부
413: 제1 서브 동력 전달 조립체
413a: 제1 서브 체어부
413b: 제1 서브 기어부
500: 제2 서브 바퀴부
510: 제2 서브 동력 전달부
511: 제2 서브 페달부
511a: 제2 서브 체인휠
511b: 제2 서브 페달
511c: 제2 서브 톱니 기어부
513: 제2 서브 동력 전달 조립체
513a: 제2 서브 체어부
513b: 제2 서브 기어부

Claims (5)

  1.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운전자를 안착시키는 안장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바닥을 지지하는 메인 바퀴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메인 바퀴부와 메인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메인 바퀴부를 회전시키는 메인 페달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단부에 양측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을 마련한 카고부;
    상기 카고부의 둘레부 중 상기 안장부와 마주하는 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카고부가 양측으로 선회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핸들부;
    상기 카고부의 둘레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바닥을 지지하는 제1 서브 바퀴부;
    상기 제1 서브 바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제1 서브 바퀴부와 제1 서브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서브 바퀴부를 회전시키는 제1 서브 페달부;
    상기 카고부의 둘레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바닥을 지지하는 제2 서브 바퀴부; 및
    상기 제2 서브 바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제2 서브 바퀴부와 제2 서브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서브 바퀴부를 회전시키는 제2 서브 페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바이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퀴부 또는 상기 메인 바퀴부와 상기 제1 서브 바퀴부와 상기 제2 서브 바퀴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바이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바퀴부와 상기 제2 서브 바퀴부는 각각 바닥으로부터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서브 바퀴부와 상기 제2 서브 바퀴부는 각각 주행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바이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페달부와 상기 제2 서브 페달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서브 페달부는 상기 제1 서브 바퀴부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 서브 페달부는 상기 제2 서브 바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바이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고부의 둘레부 중 주행 방향을 바라보는 일측부는 상기 카고부의 저면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저면부를 중심으로 선회하며 상기 주행 방향을 바라보는 일측부를 개폐하는 게이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부는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외측부에 빛을 조명하는 조명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바이크.
KR1020210175125A 2021-12-08 2021-12-08 카고 바이크 KR102620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125A KR102620684B1 (ko) 2021-12-08 2021-12-08 카고 바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125A KR102620684B1 (ko) 2021-12-08 2021-12-08 카고 바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472A true KR20230086472A (ko) 2023-06-15
KR102620684B1 KR102620684B1 (ko) 2024-01-03

Family

ID=8676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125A KR102620684B1 (ko) 2021-12-08 2021-12-08 카고 바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6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1515A (ja) * 2006-06-14 2007-12-27 Nagano:Kk フロント荷台三輪自転車
CN201254261Y (zh) * 2008-08-14 2009-06-10 刘世昌 双驱动休闲三轮车
CN204847018U (zh) * 2015-08-19 2015-12-09 李春波 一种带有可拆卸垃圾箱的电动三轮车
CN107521607A (zh) * 2017-08-29 2017-12-29 佛山神航科技有限公司 一种手脚并用三轮自行车
KR20190021104A (ko) * 2017-08-22 2019-03-05 장기석 전륜의 틸팅조절이 가능한 역삼륜자전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1515A (ja) * 2006-06-14 2007-12-27 Nagano:Kk フロント荷台三輪自転車
CN201254261Y (zh) * 2008-08-14 2009-06-10 刘世昌 双驱动休闲三轮车
CN204847018U (zh) * 2015-08-19 2015-12-09 李春波 一种带有可拆卸垃圾箱的电动三轮车
KR20190021104A (ko) * 2017-08-22 2019-03-05 장기석 전륜의 틸팅조절이 가능한 역삼륜자전거
CN107521607A (zh) * 2017-08-29 2017-12-29 佛山神航科技有限公司 一种手脚并用三轮自行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684B1 (ko)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1813B2 (ja) バランス一輪車
US6402174B1 (en) Recumbent tricycle with controlled wheel and body lean
US4198072A (en) Wheeled vehicle
JP2010508188A (ja) 三輪車
KR20050000513A (ko) 접철식 자전거
US20120175856A1 (en) Tricycle With Wheelchair Platform
US6988741B2 (en) Tricycle
WO2005123493A1 (en) A front- wheel drive vehicle having no chain
US9339428B2 (en) Motor vehicle with wheelchair caddy
GB2374327A (en) Laterally tilting vehicle
JP4529629B2 (ja) 小型電動車両の方向指示装置
KR20230086472A (ko) 카고 바이크
US20160304147A1 (en) Velocipede
KR101583053B1 (ko) 전륜구동식 리컴번트 자전거
KR101709132B1 (ko) 앞바퀴 굴림 안전 자전거
WO2020075404A1 (ja) 不整地走行車両
KR20210048009A (ko) 다인승 4륜 전기 자전거
JPH05105146A (ja) 電動機付き二輪車
US20220297786A1 (en) Multifunctional assisted ergonomic tricycle type device
WO2024058272A1 (ja) 前2輪リーン車両
JPS6260315B2 (ko)
KR20160128985A (ko) 앞바퀴 굴림 안전 자전거
JP2006062526A (ja) リカンベント型自転車
JP3803089B2 (ja) 自転車等の座席移動調整装置
CN100439192C (zh) 可分别独立驱动亦可同时驱动的模块化电动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