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352A - 샤시프레임 - Google Patents

샤시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352A
KR20230086352A KR1020210174897A KR20210174897A KR20230086352A KR 20230086352 A KR20230086352 A KR 20230086352A KR 1020210174897 A KR1020210174897 A KR 1020210174897A KR 20210174897 A KR20210174897 A KR 20210174897A KR 20230086352 A KR20230086352 A KR 20230086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chassis frame
reinforcing member
wall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352A/ko
Priority to US17/811,943 priority patent/US11904943B2/en
Priority to CN202210881963.1A priority patent/CN116238592A/zh
Publication of KR2023008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transverse members providing body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assembled from readily detach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built up with interlaced cross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프레임은,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파티션; 및 인접한 파티션들의 하부들을 연결하도록 각 파티션의 하부들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샤시프레임{CHASSIS FRAME}
본 발명은 샤시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보강재가 샤시프레임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샤시프레임의 운반 및 보관 시 샤시프레임의 변형, 휨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샤시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차체를 지지하는 샤시프레임을 포함한다. 샤시프레임은 플로어의 아래에 배치된다. 공력 및 주행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배터리모듈, 수소탱크모듈 등과 같은 상대적으로 무거운 모듈들이 샤시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된다.
샤시프레임은 상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아래에 이격된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 및 하부프레임 사이에서 배치된 복수의 파티션프레임을 포함한다. 복수의 파티션프레임은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사이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사이의 공간은 복수의 장착공간으로 구획되고, 배터리모듈, 수소탱크모듈 등과 같은 상대적으로 무거운 모듈들이 복수의 장착공간에 개별적으로 장착된다. 각 파티션프레임의 상단은 상부프레임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각 파티션프레임의 하단은 하부프레임에 직접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샤시프레임은 차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강성을 가진다.
모듈들을 샤시프레임에 조립할 때, 하부프레임이 장착공간들의 하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므로 모듈들이 장착공간를 향해 수직으로 로딩될 수 없고, 이에 모듈들이 장착공간들의 측방향으로 로딩된다. 이에 따라, 모듈들의 조립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모듈들을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부프레임이 제거될 경우 샤시프레임의 강성이 취약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샤시프레임의 이송, 보관 시에 샤시프레임의 변형, 휨 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강재가 샤시프레임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모듈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샤시프레임의 운반 및 보관 시 샤시프레임의 변형, 휨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샤시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프레임은,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파티션; 및 인접한 파티션들의 하부들을 연결하도록 각 파티션의 하부들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재가 인접한 파티션들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운반 내지 보관 중인 샤시프레임의 강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상부프레임의 하부공간은 복수의 파티션에 의해 복수의 장착공간으로 구획되며, 보강재가 파티션으로부터 분리될 때 모듈은 샤시프레임의 각 장착공간으로 수직 상향으로 로딩되고 조립될 수 있다. 즉, 보강재가 샤시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모듈이 샤시프레임에 대해 수직상향으로 간편하게 로딩될 수 있으므로 그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해질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제1단부와, 제1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2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부 및 제2단부는 그에 상응한 파티션의 하부에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재의 각 단부가 그에 상응한 파티션의 하부에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보강재는 인접한 파티션들의 하단들을 샤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1단부의 양측에 제공된 한 쌍의 제1보강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제1보강브라켓은 제1볼트 및 제1너트를 통해 그에 상응한 파티션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1보강브라켓이 보강재의 제1단부는 한 쌍의 제1보강브라켓에 의해 그 강성이 강화될 수 있고, 특히 한 쌍의 제1보강브라켓이 제1볼트 및 제1너트를 통해 파티션의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제1단부의 장착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각 제1보강브라켓은 상기 제1단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벽은 상기 보강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벽이 제1단부의 측면에 직접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제1보강브라켓은 제1단부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장착벽은 상기 고정벽에 대해 직교할 수 있고, 상기 각 제1보강브라켓은 상기 장착벽 및 상기 고정벽을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제1보강브라켓은 연결리브에 의해 장착벽 및 고정벽이 서로 간에 연결됨으로써 그 자체적인 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한 쌍의 제1보강브라켓의 하단들을 연결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장착벽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플레이트가 파티션의 하단면과 제1단부의 저면을 함께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파티션 및 보강재는 지지플레이트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장착벽은 그에 상응한 파티션과 접촉하는 제1면과,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장착벽의 제2면에 제공된 제1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스토퍼는 "U"자형상의 홈을 가지며, 상기 제1너트가 상기 제1스토퍼의 "U"자형상의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너트가 제1스토퍼의 "U"자형 홈에 수용되고 규제됨에 따라 제1너트의 위치가 제1장착벽의 관통홀에 정확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2단부의 외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보강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부 및 제2보강브라켓은 제2볼트 및 제2너트를 통해 그에 상응한 파티션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보강브라켓이 보강재의 제2단부를 둘러싸도록 부착됨으로써 보강재의 제2단부에 대한 강성이 강화될 수 있고, 특히 제2단부 및 제2보강브라켓이 제2볼트 및 제2너트를 통해 파티션의 하부에 직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제2단부의 장착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브라켓은 제2단부의 양 측면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제2단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보강브라켓이 제2단부의 바닥벽을 제외한 측벽들과 상부벽에 직접적으로 부착됨으로써 제2단부에 대한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2단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토퍼는 "U"자형상의 홈을 가지며, 상기 제2너트가 상기 "U"자형상의 홈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너트가 제2스토퍼의 "U"자형상의 홈에 수용되고 규제됨으로써 제2너트의 위치가 제2단부의 관통홀에 정확하게 정렬 및 포지셔닝될 수 있다
상기 제1볼트의 길이방향 축선은 상기 보강재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2볼트의 길이방향 축선은 상기 보강재의 길이방향 축선과 직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볼트의 길이방향 축선이 제2볼트의 길이방향 축선과 직교함으로써 제1볼트의 체결방향은 제2볼트의 체결방향에 대해 직교할 수 있고, 제2볼트 및 제2너트가 보강재의 제2단부 및 그에 상응한 파티션의 하부를 체결하고, 그 이후에 보강재의 제1단부가 그에 상응한 파티션의 하부에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제1볼트 및 제1너트가 보강재의 제1단부 및 그에 상응한 파티션의 하부를 체결함으로써 보강재는 인접한 2개의 파티션들의 하부들 사이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재가 샤시프레임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모듈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샤시프레임의 운반 및 보관 시 샤시프레임의 변형, 휨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프레임에 복수의 보강재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프레임의 보강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강재가 상하로 반전(is turned upside down)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프레임에서 보강재가 인접한 파티션들 사이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프레임의 보강재가 조립지그의 안착구조에 안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프레임에 하부프레임이 수직 상향으로 로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프레임에 하부프레임이 조립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프레임(10)은, 상부프레임(11)과, 상부프레임(11)에 결합된 복수의 파티션(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11)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래더 프레임(11a)과, 래더 프레임(11a)에 연결된 복수의 지지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11)은 복수의 휠하우스(11b)를 포함할 수 있고, 각 휠하우스(11b)는 바퀴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파티션(12)은 상부프레임(11)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각 파티션(12)이 상부프레임(1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각 파티션(12)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 이상의 폭방향 멤버와, 대각선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 이상의 대각선 멤버와, 수직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수직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파티션(12)은 폭방향멤버, 대각선 멤버, 수직멤버 등에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파티션(12)은 그 하부에 부착된 하부 보강재(12b)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보강재(12b)는 상부프레임(11)의 폭방향(즉, 각 파티션(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파티션(12)이 상부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부프레임(11)의 아래공간은 복수의 파티션(12)에 의해 복수의 장착공간(12a)으로 구획될 수 있고, 각 장착공간(12a)의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배터리모듈, 수소탱크모듈, 에어탱크모듈 등과 같은 상대적으로 무거운 모듈들이 각 장착공간(12a) 내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각 모듈은 샤시프레임에 용이하게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프레임(10)은 인접한 파티션(12)들의 하부들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재(20)를 포함할 수 있고, 보강재(20)는 상부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강재(20)의 양 단부가 인접한 파티션(12)들의 하부들에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인접한 2개의 파티션(12)들의 하부들이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재(20)가 인접한 파티션(12)들의 하부들 사이에 연결함으로써 샤시프레임(10)의 강성은 보강재(20)에 의해 전체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보강재(20)가 인접한 파티션(12)들로부터 분리될 때, 파티션(12)들에 의해 한정된 장착공간(12a)의 하부는 개방될 수 있고, 다양한 모듈이 샤시프레임(10)의 하부로부터 각 장착공간(12a)을 향해 수직 상향으로 로딩되고 조립될 수 있다.
샤시프레임(10)의 파티션(12)들의 하부들이 서로 간에 연결되지 않은 조건에서, 샤시프레임(10)은 그 자체적인 강성이 취약하므로 샤시프레임(10)의 휨, 변형 등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모듈들이 샤시프레임(10)의 장착공간들에 장착되기 전에, 샤시프레임(10)이 보관 내지 운반되는 도중에, 샤시프레임(10)의 휨, 기타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샤시프레임(10)이 보관 내지 운반될 때, 복수의 보강재(20)가 복수의 파티션(12)의 하부들을 샤시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하도록 파티션(12)들의 하부들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보강재(20)가 파티션(12)들의 하부들에 결합될 때, 인접한 파티션(12)들은 복수의 보강재(20)에 의해 그 강성이 강화될 수 있고, 이에 샤시프레임(10)의 휨, 기타 변형 등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듈이 파티션(12)들에 의해 구획된 장착공간(12a)에 조립될 때, 보강재(20)가 파티션(12)의 하부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모듈이 샤시프레임(10)의 하부로부터 수직으로 로딩될 수 있고, 이에 그 조립작업이 간편하게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재(20)의 각 단부가 그에 상응한 파티션(12)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보강재(20)는 제1단부(21)와, 제1단부(21)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2단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단부(21)는 차량의 전방을 향할 수 있고, 제2단부(22)는 차량의 후방을 향할 수 있다. 보강재(20)의 제1단부(21)는 제1볼트(41) 및 제1너트(42)를 통해 그에 상응한 파티션(12)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보강재(30)의 제2단부(22)는 제2볼트(43) 및 제2너트(44)를 통해 그에 상응한 파티션(12)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보강브라켓(23)이 제1단부(21)의 양측에 일체로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보강재(20)의 제1단부(21)는 한 쌍의 제1보강브라켓(23)에 의해 그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각 제1보강브라켓(23)은 그에 상응한 파티션(12)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벽(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1보강브라켓(23)이 파티션(12)의 하부에 직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보강재(20)의 제1단부(21)의 장착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제1보강브라켓(23)은 보강재(20)의 제1단부(21)의 한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벽(33)을 포함할 수 있고, 고정벽(33)은 장착벽(31)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고정벽(33)은 용접, 체결구 등을 통해 보강재(20)의 제1단부(21a)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고, 한 쌍의 고정벽(33)이 보강재(20)의 양측면에 대향되게 부착됨으로써 제1볼트(41)가 제1너트(42)에 나사결합될 때 제1보강브라켓(23)은 제1볼트(41)의 토크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보강재(20)의 제1단부(21)의 장착강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고정벽(33)은 보강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장착벽(31)은 보강재(20) 및 고정벽(33)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즉, 제1보강브라켓(23)은 서로 직교하는 장착벽(31) 및 고정벽(33)을 가진 "L"자형상일 수 있다. 각 제1보강브라켓(23)은 장착벽(31) 및 고정벽(33)을 대각선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리브(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제1보강브라켓(23)은 연결리브(35)에 의해 장착벽(31) 및 고정벽(33)이 서로 간에 연결됨으로써 그 자체적인 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27)가 한 쌍의 제1보강브라켓(23)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27)는 각 제1보강브라켓(23)의 장착벽(31)의 저면 및 고정벽(33)의 저면들을 연결할 수 있다. 특히, 지지플레이트(27)는 제1보강브라켓(23)의 장착벽(31)으로부터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플레이트(27)는 제1보강브라켓(23)의 장착벽(31)들로부터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보강재(20)가 한 쌍의 제1보강브라켓(23)을 통해 파티션(12)에 결합될 때 지지플레이트(27)는 보강재(20)의 제1단부(21)의 저면 및 파티션(12)의 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 및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7)가 파티션(12)의 저면 및 보강재(20)의 제1단부(21)의 저면을 지지함으로써 일부의 체결구가 파손되더라도 샤시프레임(1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착벽(31)은 파티션(12)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1면(31a)과, 제1면(31a)과 대향하는 제2면(31b)을 가질 수 있다. 장착벽(31)은 제1볼트(41)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고, 제1너트(42)는 장착벽(31)의 관통홀에 정렬될 수 있으며, 제1너트(42)가 장착벽(31)의 제2면(31b)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볼트(41)의 길이방향 축선(X1)은 보강재(20)의 길이방향 축선(X)에 정렬될 수 있고, 제1볼트(41)가 파티션(12)의 하부, 및 장착벽(31)의 관통홀을 통과하고 제1볼트(41)의 나사부가 제1너트(42)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보강재(20)의 제2단부(22)는 그에 상응한 파티션(12)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스토퍼(45)가 장착벽(31)의 제2면(31b)에 제공될 수 있고, 제1스토퍼(45)는 그 상단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U"자형상일 수 있다. 이에, 제1스토퍼(45)는 상부를 향해 개방된 "U"자형상의 홈(45a)을 가질 수 있으며, 제1너트(42)가 제1스토퍼(45)의 "U"자형상의 홈(45a)에 수용되고 규제됨으로써 제1너트(42)의 위치가 장착벽(31)의 관통홀에 정확하게 정렬 및 포지셔닝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스토퍼(45)가 장착벽(31)에 대해 별도로 제조될 수 있고, 제1스토퍼(45)는 용접 등을 통해 장착벽(31)의 제2면(31b)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1스토퍼(45)가 장착벽(31)의 제2면(31b)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1스토퍼(45) 및 장착벽(31)은 단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보강브라켓(24)이 제2단부(22)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강재(20)의 제2단부(22)에 대한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제2보강브라켓(24)은 제2단부(22)의 양 측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측벽(36)과, 제2단부(22)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벽(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보강브라켓(24)은 한 쌍의 측벽(36) 및 상부벽(34)을 가진 "U"자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보강브라켓(24)이 제2단부(22)의 바닥벽을 제외한 측벽들과 상부벽에 직접적으로 부착됨으로써 제2단부(22)에 대한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제2보강브라켓(24)의 상부벽(34)은 제2볼트(43)가 통과하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고, 보강재(20)의 제2단부(22)는 제2볼트(43)가 통과하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제2보강브라켓(24)의 상부벽(34)의 관통홀은 보강재(20)의 제2단부(22)의 관통홀에 정렬될 수 있고, 이에 제2볼트(43)가 파티션(12)의 하부 보강재(12b)의 관통홀, 상부벽(34)의 관통홀, 및 제2단부(22)의 관통홀을 통과할 수 있다. 제2너트(44)가 보강재(20)의 제2단부(22)의 저면(바닥벽)에 부착될 수 있고, 제2너트(44)는 제2단부(22)의 관통홀에 정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볼트(43)의 길이방향 축선(X2)은 보강재(20)의 길이방향 축선(X)과 직교할 수 있다. 제2볼트(43)가 파티션(12)의 하부 보강재(12b)의 관통홀, 제2보강브라켓(24)의 상부벽(34)의 관통홀, 및 보강재(20)의 제2단부(22)의 관통홀을 통과하고, 제2볼트(43)의 나사부가 제2너트(44)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보강재(20)의 제2단부(22) 및 제2보강브라켓(24)은 그에 상응한 파티션(12)의 하부 보강재(12b)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스토퍼(46)가 보강재(20)의 제2단부(22)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제2스토퍼(46)는 보강재(20)의 외측을 향해 개방된 "U"자형상일 수 있다. 이에, 제2스토퍼(46)는 그 내부에 한정된 "U"자형상의 홈(45a)을 가질 수 있으며, 제2너트(44)가 제2스토퍼(46)의 "U"자형상의 홈(46a)에 수용되고 규제됨으로써 제2너트(44)의 위치가 제2단부(22)의 관통홀에 정확하게 정렬 및 포지셔닝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스토퍼(46)가 보강재(20)의 제2단부(22)에 대해 별도로 제조될 수 있고, 제2스토퍼(46)는 용접 등을 통해 보강재(20)의 제2단부(22)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2스토퍼(46)가 보강재(20)의 제2단부(22)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2스토퍼(46) 및 보강재(20)는 단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스토퍼(46)가 보강재(20)의 제2단부(22)의 저면(바닥벽)에 부착됨으로써 제2볼트(43)가 제2너트(44)에 나사결합될 때 제2볼트(43)의 토크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강재(20)의 제2단부(22)에 대한 장착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제1볼트(41)의 길이방향 축선(X1)이 보강재(20)의 길이방향 축선(X)과 평행하거나 정렬되고, 제2볼트(43)의 길이방향 축선(X2)이 보강재(20)의 길이방향 축선(X)과 직교함으로써 제1볼트(41)의 길이방향 축선(X1)은 제2볼트(43)의 길이방향 축선(X2)과 직교할 수 있고, 제1볼트(41)의 체결방향은 제2볼트(43)의 체결방향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볼트(43) 및 제2너트(44)가 보강재(20)의 제2단부(22) 및 그에 상응한 파티션(12)의 하부 보강재(12b)를 체결하고, 그 이후에 보강재(20)의 제1단부(21)가 그에 상응한 파티션(12)의 하부에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제1볼트(41) 및 제1너트(42)가 보강재(20)의 제1단부(21) 및 그에 상응한 파티션(12)의 하부를 체결함으로써 보강재(20)는 인접한 2개의 파티션(12)들의 하부들 사이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보강재(20)가 볼트(41, 43) 및 너트(42, 44)를 통해 샤시프레임(10)의 파티션(12)들에 결합된 조건에서, 도 7과 같이 샤시프레임(10)이 조립지그(8) 상에 안착될 때, 복수의 보강재(20)가 조립지그(8)의 안착구조(8a)에 안정적으로 안착됨으로써 샤시프레임(10)은 복수의 보강재(20)에 의해 조립지그(8)에 대해 정확하게 포지셔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시프레임(10)은 보강재(20)가 조립지그(8)의 안착구조(8a)에 안착됨으로써 기존 샤시프레임의 조립에 이용되는 조립지그를 변형할 필요 없이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배터리모듈(6), 수소탱크모듈(7) 등과 같은 복수의 모듈이 하부프레임(13) 상에 장착되고, 샤시프레임(10)의 파티션(12)들로부터 복수의 보강재(20)를 분리함으로써 파티션(12)들에 의해 구회된 장착공간들의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복수의 모듈(6, 7)이 조립된 하부프레임(13)이 하부에서 수직으로 샤시프레임(10)을 향해 로딩되고 조립됨으로써 도 9와 같이 복수의 모듈(6, 7)이 그에 상응한 장착공간들에 개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샤시프레임 11: 상부프레임
12: 파티션 20: 보강재
21: 제1단부 22: 제2단부
23: 제1보강브라켓 24: 제2보강브라켓
27: 지지플레이트 31: 장착벽
33: 고정벽 34: 상부벽
35: 연결리브 36: 측벽
41: 제1볼트 42: 제1너트
43: 제2볼트 44: 제2너트
45: 제1스토퍼 46: 제2스토퍼

Claims (12)

  1.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파티션; 및
    인접한 파티션들의 하부들을 연결하도록 각 파티션의 하부들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강재를 포함한 샤시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제1단부와, 제1단부의 반대측에 위치한 제2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부 및 제2단부는 그에 상응한 파티션의 하부에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샤시프레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1단부의 양측에 제공된 한 쌍의 제1보강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각 제1보강브라켓은 제1볼트 및 제1너트를 통해 그에 상응한 파티션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벽을 포함하는 샤시프레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제1보강브라켓은 상기 제1단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벽은 상기 보강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샤시프레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착벽은 상기 고정벽에 대해 직교하고, 상기 각 제1보강브라켓은 상기 장착벽 및 상기 고정벽을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더 포함하는 샤시프레임.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한 쌍의 제1보강브라켓의 하단들을 연결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장착벽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샤시프레임.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착벽은 그에 상응한 파티션과 접촉하는 제1면과,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을 가지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장착벽의 제2면에 제공된 제1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토퍼는 "U"자형상의 홈을 가지며, 상기 제1너트가 상기 제1스토퍼의 "U"자형상의 홈에 수용되는 샤시프레임.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볼트의 길이방향 축선은 상기 보강재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한 샤시프레임.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2단부의 외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보강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보강브라켓은 제2볼트 및 제2너트를 통해 그에 상응한 파티션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샤시프레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브라켓은 제2단부의 양 측면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제2단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벽을 포함한 샤시프레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2단부의 저면에 부착되는 제2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스토퍼는 "U"자형상의 홈을 가지며, 상기 제2너트가 상기 "U"자형상의 홈에 수용된 샤시프레임.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볼트의 길이방향 축선은 상기 보강재의 길이방향 축선과 직교하는 샤시프레임.


KR1020210174897A 2021-12-08 2021-12-08 샤시프레임 KR20230086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897A KR20230086352A (ko) 2021-12-08 2021-12-08 샤시프레임
US17/811,943 US11904943B2 (en) 2021-12-08 2022-07-12 Chassis frame
CN202210881963.1A CN116238592A (zh) 2021-12-08 2022-07-26 底盘车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897A KR20230086352A (ko) 2021-12-08 2021-12-08 샤시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352A true KR20230086352A (ko) 2023-06-15

Family

ID=8660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897A KR20230086352A (ko) 2021-12-08 2021-12-08 샤시프레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04943B2 (ko)
KR (1) KR20230086352A (ko)
CN (1) CN116238592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0417B2 (en) * 2002-09-29 2004-12-14 Edward Deets Apparatus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transporting freight and passengers
US8876160B2 (en) * 2009-11-25 2014-11-04 Spartan Motors, Inc. Vehicle chassis with anti-camber
US7967338B1 (en) * 2010-03-24 2011-06-28 Russell L Anderson Trailer chassis
CN204130611U (zh) * 2014-11-07 2015-01-28 国家电网公司 一种电动汽车及其电池总成架
SI3239022T1 (sl) * 2016-04-28 2019-11-29 Kober Gmbh A Sistem platform
AR116443A1 (es) * 2019-09-20 2021-05-05 Perfasil S A Acoplado jaula modular para transporte de ganado
KR20220105435A (ko) * 2021-01-20 2022-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상버스용 런닝베어샤시 어셈블리 및 런닝베어샤시 어셈블리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74156A1 (en) 2023-06-08
CN116238592A (zh) 2023-06-09
US11904943B2 (en)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4137B2 (en) Vehicle battery tray structure with nodal modularity
US9281505B2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US10513295B2 (en) Vehicle lower portion structure
US9956861B2 (en) Framework structure of body-on-frame vehicle
US8118125B2 (en) Vehicle body floor structure
US11201370B2 (en) Battery housing for a vehicle battery and chassis for an electric vehicle
US8262155B2 (en) Overmolded joint for beam assembly
US20190359265A1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JP6115659B2 (ja) 電池容器
JP2009143446A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取付構造
US20170237053A1 (en) On-Vehicle Battery Pack
US20200373531A1 (en) Battery assembly
KR20210155260A (ko) 차량 플로어구조
US11820430B2 (en) Subframe assembly for a vehicle
CN114552105A (zh) 车辆搭载用电池组
US10836433B2 (en) Rear subframe structure
KR20230086352A (ko) 샤시프레임
CN114571974A (zh) 电池支承结构
JP2007161438A (ja) ラック
CN106945733B (zh) 汽车货箱和自卸汽车
CN213366686U (zh) 电池包
CN215622262U (zh) 平台骨架结构及矿用自卸车
US11958350B2 (e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having longitudinal reinforcements
JP2019188914A (ja) 吊り下げ式のバッテリケージ構造
CN217994550U (zh) 卡车的车架结构及卡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