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173A -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173A
KR20230086173A KR1020210174560A KR20210174560A KR20230086173A KR 20230086173 A KR20230086173 A KR 20230086173A KR 1020210174560 A KR1020210174560 A KR 1020210174560A KR 20210174560 A KR20210174560 A KR 20210174560A KR 20230086173 A KR20230086173 A KR 2023008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information
data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엽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173A/ko
Priority to PCT/KR2022/019824 priority patent/WO2023106836A1/ko
Publication of KR2023008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커버리지 내 단말 리스트 및 상기 단말 리스트 내 단말 별 지원하는 통신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커버리지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커버리지 관리부;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단말 리스트 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없고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이종인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2 데이터 패킷으로 전환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VEHICL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의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가 혼재된 환경에서 차량 간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 및 자동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자율 주행 차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율 주행 차량은 카메라, 레이더(radar), 라이다(lidar) 등의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기술, 경로 탐색 기술,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기술 등을 탑재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이를 인지함으로써, 목적지까지 스스로 주행하는 자동차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V2X 통신 기술은 차량 간 안전 정보 및 운행 정보 등을 공유하기 위하여, 차량이 유무선 망을 통해 다른 차량, 모바일 기기, 도로 등의 사물과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V2X 통신 기술은, 크게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방식과 C-V2X(Cellular-V2X) 방식의 두 가지 통신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DSRC 방식과 C-V2X 방식은 5.9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DSRC 기술은 IEEE 802.11 표준 기반의 기술이고, C-V2X는 셀룰러 통신 표준 기반의 기술인 점에서 상이하다.
DSRC 방식과 C-V2X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현재 도로 상에는 DSRC 방식만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 C-V2X 방식만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 및 DSRC 방식과 C-V2X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장치가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이종의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 간 통신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종의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가 혼재된 환경에 통신 장치 간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커버리지 내 단말 리스트 및 상기 단말 리스트 내 단말 별 지원하는 통신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커버리지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커버리지 관리부;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단말 리스트 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없고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이종인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2 데이터 패킷으로 전환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방식 및 C-V2X(Cellular-V2X) 방식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상기 DSRC 방식 및 상기 C-V2X 방식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방식 및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리스트 내 노변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으로의 전환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리지 정보는 단말 별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부하 정보 및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별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부하 정보 및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리스트 내 앵커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앵커 단말이 다른 통신 장치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으로의 전환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커버리지 내 단말 리스트 및 상기 단말 리스트 내 단말 별 지원하는 통신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커버리지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리스트 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없고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이종인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2 데이터 패킷으로 전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리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리스트 내 앵커 단말을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리지 정보는 단말 별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부하 정보 및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커 단말이 노변 기지국이거나, 다른 통신 장치이면,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으로의 전환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단말이 제1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단말과 제2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단말 간 통신을 중계하므로, 도로 내 차량 간 도로 상황이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해 RSU가 없는 환경에서도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단말이 앵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시스템 내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 내 통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리지 정보의 예이다.
도 7은 커버리지 정보의 업데이트를 위한 의사코드의 한 예이다.
도 8은 앵커 단말의 선정을 위한 의사코드의 한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의사코드의 한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도로 위에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통신 장치가 탑재된 차량(V1, V2),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2 통신 장치가 탑재된 차량(V3, V4) 및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제3 통신 장치가 탑재된 차량(V5, V6, V7)이 혼재되어 주행 중에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노변기지국(RSU)에도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제3 통신 장치가 탑재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 제2 통신 장치 및 제3 통신 장치는 차량 간 통신을 위한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장치이다. V2X는 차량이 사물과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차량과 네트워크 망 간의 무선 통신(Vehicle to Network, V2N), 차량과 인프라 간의 무선 통신(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차량과 차량 간의 무선 통신(Vehicle to Vehicle, V2V) 및 차량과 보행자 간의 무선 통신(Vehicle to Pedestrian, V2P) 등이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방식은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방식이고, 제2 통신 방식은 C-V2X(Cellular-V2X) 방식일 수 있다. DSRC 방식 및 C-V2X 방식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인 5.9GHz를 사용하지만, 물리적인 인터페이스가 상이하다. 이에 따라, DSRC를 지원하는 통신 장치와 C-V2X를 지원하는 통신 장치간 통신이 불가능하다.
즉,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통신 장치가 탑재된 차량(V1, V2) 간 통신,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2 통신 장치가 탑재된 차량(V3, V4) 간 통신 및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제3 통신 장치가 탑재된 차량(V5, V6, V7) 간 통신이 가능하며,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통신 장치가 탑재된 차량(V1, V2)과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제3 통신 장치가 탑재된 차량(V5, V6, V7) 간 통신이 가능하고,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2 통신 장치가 탑재된 차량(V3, V4)과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제3 통신 장치가 탑재된 차량(V5, V6, V7) 간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통신 장치가 탑재된 차량(V1, V2)과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2 통신 장치가 탑재된 차량(V3, V4) 간 통신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가 혼재된 시스템 내에서, 차량 간 안전 정보 및 운행 정보가 원활하게 공유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제3 통신 장치가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통신 장치와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2 통신 장치 간 통신을 중계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간 통신 시스템 내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 내 통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00)는 수신부(110), 송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00)는 차량에 탑재된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수신부(110)는 외부 단말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송신부(120)는 외부 단말에게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수신부(110) 및 송신부(120)는 RF(radio frequency) 모듈이라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 장치(110)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이에 따라, 통신 장치(100)는 하이브리드 통신 장치라 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통신 방식은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방식이고, 제2 통신 방식은 C-V2X(Cellular-V2X) 방식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통신 방식은 제1 RAT(radio access technology)이고, 제2 통신 방식은 제1 RAT와 이종인 제2 RA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장치(100)는 커버리지 관리부(140)를 더 포함한다. 커버리지 관리부(140)는 통신 장치(100)의 커버리지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커버리지는 통신 장치(100)의 통신 가능 영역을 의미하며, 커버리지 정보는 커버리지 내 단말 리스트 및 단말 리스트 내 단말 별 지원하는 통신 방식 정보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리지 정보의 예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커버리지 정보는 테이블의 형태로 관리될 수 있으며, 단말 리스트 및 단말 리스트 내 단말 별 지원하는 통신 방식인 RAT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은 도 1 내지 도 2의 제1 통신 장치, 제2 통신 장치 및 제3 통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 리스트는 단말 ID 또는 단말이 탑재된 차량 또는 RSU의 ID일 수 있다. 커버리지 내에 RSU가 존재하는 경우, 커버리지 정보는 도 5와 같이 RSU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리지 내에 RSU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커버리지 정보는 도 6과 같이 RSU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리지 정보는 단말 리스트 내 단말 별 파라미터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 별 파라미터 정보는 단말 별 수신 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정보, 단말 별 부하 정보 및 단말 별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별 부하 정보는 단말 별 CPU의 부하 정보를 의미하고, 단말 별 전력 정보는 단말 별 최대 전력(max_Power)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커버리지 관리부(140)의 커버리지 정보 업데이트 결과를 이용하여 커버리지 내 단말들 간 통신을 중계한다.
즉, 단말 리스트 내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없고,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이 존재할 경우, 제어부(130)는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데이터 패킷을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2 데이터 패킷으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단말 리스트 내 DSRC 방식을 지원할 수 없고, C-V2X 방식만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DSRC 방식을 지원하는 데이터 패킷을 C-V2X를 지원하는 데이터 패킷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단말 리스트 내 C-V2X 방식을 지원할 수 없고, DSRC 방식만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C-V2X 방식을 지원하는 데이터 패킷을 DSRC 방식을 지원하는 데이터 패킷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장치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00)는 제1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와 제2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제2 통신 장치 간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 제2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 및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통신 장치가 혼재하는 환경 하에서, 신속하고 원활하게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100)는 커버리지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S400).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리지 정보는 테이블의 형태로 관리될 수 있으며, 단말 리스트 및 단말 리스트 내 단말 별 지원하는 통신 방식인 RAT 정보를 포함하고, 단말 리스트 내 단말 별 파라미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리지 정보와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 장치(100)가 커버리지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주기는 미리 설정된 주기일 수 있다. 또는, 통신 장치(100)가 커버리지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주기는 동적으로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의 속도, 주변 차량의 속도, 통신 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의 주변 교통량, 통신 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의 주변 네트워크 환경 등에 따라 통신 장치(100)가 커버리지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주기는 동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커버리지 정보의 업데이트는 커버리지 내 단말들과의 통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리지 내 단말들은 단말 ID 또는 단말이 탑재된 차량이나 RSU ID 및 지원하는 통신 방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커버리지 내 단말들은 파라미터 정보, 예를 들어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부하 정보 및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커버리지 내 단말들이 커버리지 정보의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하면, 통신 장치(100)는 커버리지 정보의 업데이트를 위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리지 내 단말 중 C-V2X 단말은 SPS folw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DSRC 단말은 timing advertisement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SPS folw 또는 timing advertisement를 이용하여 커버리지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7은 커버리지 정보의 업데이트를 위한 의사코드의 한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00)는 커버리지 내 단말 별 ID(V), 수신 신호 세기 정보(R), 부하 정보(C), 전력 정보(P)를 수집하며, 새로운 ID(V)가 존재하면, 해당 ID(V)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 정보(R), 부하 정보(C), 전력 정보(P)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장치(100)는 단계 S400에서 업데이트한 커버리지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리스트 내 앵커(anchor) 단말을 선정한다(S410). 본 명세서에서, 앵커 단말은 이종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서로 다른 통신 장치 간 통신을 중계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 장치(100)는 먼저, 단말 리스트 내 RSU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S412). 단말 리스트 내 RSU가 존재하면, RSU가 앵커 단말이 되므로, 통신 장치(100)는 수신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420). 만약, 커버리지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전에 통신 장치(100)가 앵커 단말의 역할을 하고 있었던 경우, 새로운 앵커 단말인 RSU가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므로, 통신 장치(100)는 앵커 단말의 역할을 중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신 장치(100)가 수신 모드로 전환되기 전, 통신 장치(100)는 앵커 단말인 RSU에게 앵커 단말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 리스트 내 RSU가 존재하지 않으면, 통신 장치(100)는 자신이 앵커 단말인지 판단한다(S414). 앵커 단말은 단말 리스트 내 단말 별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부하 정보 및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선정될 수 있다. 도 8은 앵커 단말의 선정을 위한 의사코드의 한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00)는 단말 리스트 내 RSU가 하나 이상인 경우 수신 신호 세기 정보(R), 부하 정보(C) 및 전력 정보(P)를 고려하여 최적의 앵커 단말을 선정하고, 단말 리스트 내 RSU가 하나인 경우 그 RSU를 앵커 단말로 선정한다.
통신 장치(100)는 단말 리스트 내 RSU가 없는 경우, 단말 리스트 내 하이브리드 단말을 검색하고, 하이브리드 단말이 하나 이상인 경우 수신 신호 세기 정보(R), 부하 정보(C) 및 전력 정보(P)를 고려하여 최적의 앵커 단말을 선정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세거나, CPU 부하가 가장 낮거나, 최대 전력이 가장 센 단말을 앵커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장치(100)는 앵커 단말을 선정하기 위하여 수신 신호 세기 정보(R), 부하 정보(C) 및 전력 정보(P)를 모두 고려하되, 수신 신호 세기 정보(R), 부하 정보(C) 및 전력 정보(P) 각각에는 서로 다른 가중치가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단말은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단말로 RSU에 탑재된 단말이 아닌, 차량에 탑재된 단말을 의미한다.
단계 S414의 판단 결과, 단말 리스트 내 자신이 최적의 앵커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신 장치(100)는 수신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420). 만약, 커버리지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전에 통신 장치(100)가 앵커 단말의 역할을 하고 있었으나, 새로운 앵커 단말이 검색된 경우, 통신 장치(100)는 앵커 단말의 역할을 중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신 장치(100)가 수신 모드로 전환되기 전, 통신 장치(100)는 앵커 단말에게 앵커 단말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 장치(100)가 앵커 단말인 경우, 통신 장치(100)는 앵커 단말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 장치(100)가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S430), 통신 장치(100)는 단말 리스트 내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없고, 제1 통신 방식과 이종인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검색한다(S432).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가 DSRC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단말 리스트 내 DSRC 방식을 지원할 수 없고 C-V2X 방식만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단말 리스트 내 모든 단말이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 통신 장치(100)는 수신 모드로 전환되지만(S420), 단말 리스트 내 제1 통신 방식과 이종인 제2 통신 방식만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통신 장치(100)는 제1 데이터 패킷을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2 데이터 패킷으로 전환하고(S434), 제2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S436).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가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경우, 통신 장치(100)는 제1 데이터 패킷이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지원되는 데이터 패킷인지, 아니면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지원되는 데이터 패킷인지를 판단한다. 이는 데이터 패킷의 헤더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통신 장치(100)가 제1 데이터 패킷을 제2 데이터 패킷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통신 장치(100)는 제1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를 발췌하여 제2 데이터 패킷으로 재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 장치(100)는 제1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를 파싱하여 제2 데이터 패킷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00)의 통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의사코드의 한 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100)는 커버리지 내 단말 별 ID(V), 수신 신호 세기 정보(R), 부하 정보(C), 전력 정보(P)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며, 앵커 단말을 선정한다. 통신 장치(100)가 앵커 단말인 경우, C-V2X 방식에 의해 지원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였다면, 커버리지 내 DSRC 방식만을 지원하는 단말이 있는지 검색하고, DSRC 방식에 의해 지원되도록 데이터 패킷을 전환하여 전송한다. 통신 장치(100)가 앵커 단말인 경우, DSRC 방식에 의해 지원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였다면, 커버리지 내 C-V2X 방식만을 지원하는 단말이 있는지 검색하고, C-V2X 방식에 의해 지원되도록 데이터 패킷을 전환하여 전송한다.
한편, 커버리지 정보의 주기적인 업데이트에 따라, 자신이 아닌 새로운 앵커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 장치(100)는 제1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제2 데이터 패킷으로의 전환을 중단하고, 수신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앵커 단말은 노변 기지국 또는 차량에 탑재된 하이브리드 단말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새로운 앵커 단말의 출현으로 인해, 앵커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던 통신 장치(100)가 더 이상 앵커 단말의 역할을 하지 않을 경우, 통신 장치(100)는 자신이 더 이상 앵커 단말이 아님을 알리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단말이 제1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단말과 제2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단말 간 통신을 중계하므로, 도로 내 차량 간 도로 상황이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해 RSU가 없는 환경에서도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단말이 앵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커버리지 내 단말 리스트 및 상기 단말 리스트 내 단말 별 지원하는 통신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커버리지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커버리지 관리부;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단말 리스트 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없고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이종인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2 데이터 패킷으로 전환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방식 및 C-V2X(Cellular-V2X) 방식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상기 DSRC 방식 및 상기 C-V2X 방식 중 다른 하나인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방식 및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리스트 내 노변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으로의 전환을 중단하는 통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 정보는 단말 별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부하 정보 및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별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부하 정보 및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리스트 내 앵커 단말을 선정하는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단말이 다른 통신 장치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으로의 전환을 중단하는 통신 장치.
  8. 커버리지 내 단말 리스트 및 상기 단말 리스트 내 단말 별 지원하는 통신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커버리지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리스트 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없고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이종인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2 데이터 패킷으로 전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리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리스트 내 앵커 단말을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리지 정보는 단말 별 수신 신호 세기 정보, 부하 정보 및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단말이 노변 기지국이거나, 다른 통신 장치이면,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으로의 전환을 중단하는 통신 방법.
KR1020210174560A 2021-12-08 2021-12-08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 KR20230086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560A KR20230086173A (ko) 2021-12-08 2021-12-08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
PCT/KR2022/019824 WO2023106836A1 (ko) 2021-12-08 2022-12-07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560A KR20230086173A (ko) 2021-12-08 2021-12-08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173A true KR20230086173A (ko) 2023-06-15

Family

ID=8673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560A KR20230086173A (ko) 2021-12-08 2021-12-08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6173A (ko)
WO (1) WO202310683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118B1 (ko) * 2017-12-30 2023-05-23 인텔 코포레이션 차량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898611B1 (ko) * 2018-03-26 2018-09-13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Wave-v2x 및 c-v2x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탑재 장치 및 노변 기지국
US20220132524A1 (en) * 2019-03-18 2022-04-28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alancing time resource allocation to cellular vehicle-to-everything (c-v2x) and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g5) or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dsrc) depending on user configurations
US10966265B2 (en) * 2019-06-11 2021-03-30 Blackberry Limited Interworking system and operation in V2X applications
US11963051B2 (en) * 2020-09-17 2024-04-16 Intel Corporation Context aware hando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836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3612B2 (en) Vehicle-to-roadside an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thereof
US11228869B2 (en) Roadway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cast
US9340154B2 (en) Collision avoidance in vehicular networks
WO2017049978A1 (zh) 车联网中车载单元位置的同步方法、装置及设备
WO2014104168A1 (ja) 車両通信システム、車載器、記録媒体、及び、通信方法
CN101902794B (zh) V2i通信中基于运动预测的二层快速切换方法
JP2007174120A (ja) 路車間通信方法
EP3912326A1 (en) Vehicle-to-vehicle and vehicle-to-network communication
KR20220119342A (ko) 차량용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 환경 설정 방법
KR101964175B1 (ko) 차량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차량통신 서비스 제공 단말
KR20230086173A (ko)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 간 통신 방법
KR101975759B1 (ko) 차량 간 통신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190064819A (ko) V2i 통신을 제어하는 차량, 인프라 및 방법
JP2005227181A (ja) 移動体通信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移動体ルート検索方法、および移動体
CN103001717A (zh) 基于车载终端的节目下载方法、设备和系统
WO2019138973A1 (ja) ユーザ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JP2002237781A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局情報の転送方法
WO2016119834A1 (en) Method for communications reliability enhancements with access entity assistance
WO2022182425A1 (en) Cv2x situationally-dependent service prioritization
CN113242533A (zh) 行车环境信息获取方法及车载设备
JPH03203770A (ja) ナビゲーション用地図描画方法
KR101218347B1 (ko) Its 통신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노변장치
JP2005328409A (ja) 通信システム切り替え方法とその端末、サーバ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7258248B2 (ja) 無線装置
US201902688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data